KR102638163B1 - 물류차량의 적재함 받침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물류차량의 적재함 받침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163B1
KR102638163B1 KR1020230118829A KR20230118829A KR102638163B1 KR 102638163 B1 KR102638163 B1 KR 102638163B1 KR 1020230118829 A KR1020230118829 A KR 1020230118829A KR 20230118829 A KR20230118829 A KR 20230118829A KR 102638163 B1 KR102638163 B1 KR 102638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oading
support means
logistics vehicle
loa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8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창기
Original Assignee
에이치티하이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티하이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티하이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18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차량의 적재함 받침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제조 물품이 이송 배출되는 적재 장소에서 물류차량의 적재함에 제조 물품을 적재하되, 상기 물류차량을 적재 장소로 이동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적재함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롤 형태의 지지 수단이 적재 장소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 수단의 상부로 이동 안내되면서 물류차량의 적재함을 일정 높낮이 레벨로 받침 지지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별도의 높낮이 조절 작업 없이 자동으로 일정 높낮이 레벨로 받침 지지하므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적재 작업을 수행함은 물론 자동화 설비에 의한 제조 물품의 자동 적재 작업을 더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물류차량의 적재함 받침 지지장치{The loading box supporting apparatus of the physical distribution vehicle}
본 발명은 물류차량의 적재함 받침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물류차량을 제조 물품(적재 물품)의 적재 장소로 이동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적재함의 후방 하부를 자동으로 받침 지지하되 일정 높낮이 레벨로 받침 지지하도록 하는 물류차량의 적재함 받침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아웃트리거(또는 받침대)는 차량의 전후좌우 측면을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대 역활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아웃트리거(또는 받침대)는 차량의 전후좌우 측면 하부로 서리하되 수동 또는 전동으로 승하강시켜 차량이 주차되는 바닥면에 받침 지지하도록 사용하는 것이다.
특히, 물류차량의 경우 적재함에 물품 적재시 적재함 하부를 받침 지지하므로 적재 물품을 더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물류 차량을 물품의 적재 장소로 이동시킨 후, 적재함을 받침 지지하기 위해 아웃트리거(또는 받침대)를 승하강 조작하면서 적재함을 받침 지지 또는 지지 해제시키도록 하되, 적재함의 전후좌우로 위치하는 아웃트리거(또는 받침대)의 높낮이를 각각 승하강 조작하면서 받침 지지하기 때문에 적재 작업 이외에 적재함을 받침 지지하는 작업 시간이 추가적으로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물류차량의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자동차용 배터리, 샤시 등과 같은 각종 제조 물품을 공장에서 제조한 후 이송 배출시스템에서 배출 컨베이어에 의해 자동으로 이송 배출하면서 물류차량의 적재함에 적재하도록 사용하는데, 이 경우 상기 물류차량의 적재함 높낮이 레벨을 일정하게 맞추지 못하는 경우 적재 작업의 어려움을 유발하기 때문에 적재함의 받침 지지 작업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로딩 수단에 의한 자동 적재 작업의 경우 물류차량의 높낮이 레벨을 일정하게 맞추지 못하는 경우에 적재 작업의 오차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로딩 수단에 의한 자동 적재 작업을 구현하는데 많은 기술적 어려움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23-0105105호(2023년07월11일) 공개특허 제10-2010-0077384호(2010년07월08일) 공개특허 제10-2011-0117521호(2011년10월27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물류차량을 제조 물품의 적재 장소로 이동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적재함의 후방 하부를 자동으로 받침 지지하되 일정 높낮이 레벨로 받침 지지하도록 하면서 제조 물품의 적재 작업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상기 물류차량을 적재 장소로 이동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적재함의 높낮이 레벨을 일정하게 받침 지지하도록 하므로 로딩 수단에 의한 자동 적재 작업시 적재 작업을 더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각종 제조 물품의 적재 장소로 물류차량을 이동시켜 제조 물품을 적재하되 상기 물류차량의 적재함을 받침 지지함에 있어서, 상기 물류차량의 적재함 하부 후방에 설치되는 지지 수단과, 상기 적재 장소의 바닥에 고정 설치하여 지지 수단이 안착 지지되는 받침 수단으로 구성하되, 물류차량을 적재 장소로 이동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지지 수단이 받침 수단 상부에 안착 지지되면서 적재함을 일정 높낮이 레벨로 받침 지지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 수단과 받침 수단은 적재함의 좌우 위치에 대향되게 복수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 수단은 몸체 하부에 지지롤을 전후로 구름 회전하도록 축 설치하고, 상기 받침 수단은 몸체 상부에 지지 수단의 지지롤이 이동 안내되도록 경사를 이루는 인입부와 안착 지지되도록 수평을 이루는 안착부를 전후로 연결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 수단의 몸체는 지지롤이 축 설치되는 결합 브라켓과 지지 브라켓을 수평바에 연결 설치하되 상기 결합 브라켓 양 측방에 고정 볼트를 체결 설치하기 위한 체결공을 상하 장공 형태로 형성하여 적재함 하부에 나사 체결하고, 상기 받침 수단의 몸체는 하부에 받침판을 이격 설치하고, 상기 받침판 상부에 수직 설치된 수직 볼트를 받침 수단의 몸체 하부에 형성된 조립공에 삽입하여 상하 고정 너트로 나사 체결하는 것에 의해 조립 설치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조 물품이 이송 배출되는 적재 장소에서 물류차량의 적재함에 제조 물품을 적재하되, 상기 물류차량을 적재 장소로 이동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적재함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롤 형태의 지지 수단이 적재 장소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 수단의 상부로 이동 안내되면서 물류차량의 적재함을 일정 높낮이 레벨로 받침 지지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별도의 높낮이 조절 작업 없이 자동으로 일정 높낮이 레벨로 받침 지지하도록 하므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적재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물류차량을 적재 장소로 이동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적재함의 높낮이 레벨을 일정하게 받침 지지하도록 하므로 로딩 수단에 의한 자동 적재 작업시 적재 작업을 더 안정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이송 배출 시스템을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물류 차량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 구성도.
도 6은 도 4의 측면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한 작동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정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 물류차량의 적재함 받침 지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배터리, 샤시 등과 같은 각종 제조 물품(2)을 이송 배출시스템(3)에서 배출 컨베이어(3a)에 의해 적재 장소(S)로 이동 배출하여 물류차량(5)의 적재함(6)에 적재하기 위해 적재함 하부 후방을 받침 지지하되, 상기 물류 차량을 적재 장소(S)로 이동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적재함을 일정한 높낮이 레벨로 받침 지지하도록 하므로 제조 물품을 로딩 수단에 의해 자동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지지 수단(10)과 받침 수단(20)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 수단(10)은 물류차량(5)의 적재함(6) 하부 후방에 설치 구성하고, 상기 받침 수단(20)은 제조 물품을 적재하는 적재 장소(S)의 바닥에 고정 설치하여 지지 수단(10)이 받침 수단(20)에 안착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즉, 물류 차량(5)을 제조 물품(2)의 적재 장소(S)로 이동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지지 수단(10)이 받침 수단(20) 상부에 안착 지지되면서 적재함을 일정 높낮이 레벨로 자동 받침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 수단(10)과 받침 수단(20)은 적재함의 좌우 위치에 대향되게 복수 형성하여 물류차량의 적재함(6) 후방 하부를 좌우에서 더 안정적으로 받침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지지 수단(10)은 몸체(11) 하부에 지지롤(15)을 전후로 구름 회전하도록 축 설치하고, 상기 받침 수단(20)은 몸체(21) 상부에 지지 수단의 지지롤(15)이 이동 안내되도록 경사를 이루는 인입부(22a)와 안착 지지되도록 수평을 이루는 안착부(22b)를 전후로 연결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 수단(10)과 받침 수단(20)은 설치 위치를 상하로 이동 조절하여 물류 차량의 적재함(6) 받침 지지 위치를 상하로 조절 셋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수단의 몸체(11)는 지지롤(15)이 축 설치되는 결합 브라켓(12)과 지지 브라켓(13)을 수평바(14)로 연결 설치하되 상기 결합 브라켓 양 측방에 고정 볼트(16)를 체결 설치하기 위한 체결공(12a)을 상하 장공 형태로 형성하여 설치 위치를 상하 조절하면서 적재함 하부에 나사 체결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 수단(20)의 몸체(21)는 하부에 받침판(24)을 이격 설치하고, 상기 받침판 상부에 수직 설치된 수직 볼트(25)를 받침 수단의 몸체 하부에 형성된 조립공(23)에 삽입하여 상하 고정 너트(26)로 조립공(23) 상하에서 나사 체결 하는 것에 의해 설치 위치를 상하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적재 장소(S)에는 바닥에 물류차량의 바퀴를 스톱시키는 스톱퍼(30)를 고정 설치하여 물류 차량을 적재 장소로 이동 위치시킬 때 지지 수단의 지지롤(15)이 받침 수단의 안착부(22b)에서 정 위치로 위치하여 받침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미 설명 부호로서, 100은 물류 차량의 적재함 하부 전방에 좌우로 설치하되 통상의 기술로 신장되어 적재함을 받침 지지하는 아웃트리거(또는 받침대), 200은 물류차량의 바퀴가 넘어 이동하되 전방으로 구름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전방 스톱퍼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서와 같이 물류차량(5)을 자동차용 배터리, 샤시 등과 같은 각종 제조 물품(2)을 제조한 후 이송 배출시스템(3)에서 배출 컨베이어(3a)에 의해 전방의 적재 장소(S)로 이동 배출시킨다.
이와 함게 상기 적재 장소에 물류차량을 위치시켜 적재 장소로 이송 배출되는 제조 물품을 적재하여 운반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차량(5)을 제조 물품의 적재를 위해 적재 장소(S)에 이동 위치시키는 과정 중에 적재함 하부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 수단(10)이 적재 장소(S)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 수단(20) 상부로 안내되어 적재함(6)을 받침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물류차량(5)을 적재 장소(S)로 이동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적재함(6)의 하부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 수단(10) 하부에 축 설치되어 있는 지지롤(15)이 적재 장소(S)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 수단(20)의 상부로 구름 안내되되, 상기 지지 수단의 지지롤(15)이 받침 수단의 몸체(21) 상부에서 전후로 경사를 이루는 인입부(22a)에 의해 구름 안내되며 이동한 후 상기 인입부 후방에 수평을 이루는 안착부(22b)에 이동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지지 수단의 지지롤(15)이 전후로 구름 회전하면서 받침 수단의 인입부(22a)- 안착부(22b)로 원활하게 이동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물류차량(5)이 적재 장소(S)로 이동 위치할 때 적재 장소 바닥의 스톱퍼(30)와 전방 스톱퍼(200)가 물류차량의 바퀴를 전후로 이동되지 않게 정 위치 스톱시키므로 상기 지지 수단의 지지롤(15)이 받침 수단의 안착부(22b)에 정 위치로 안착되게 위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물류차량을 적재 장소(S)로 이동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지지 수단의 지지롤(15)이 받침 수단의 안착부(22b)에 안착 지지되면서 물류차량의 적재함(6)을 종래와 같은 별도의 조작 작업 없이 간단히 받침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지지 수단의 지지롤(15)이 받침 수단 상부의 안착부(22b)에 안착되어 적재함을 받침 지지하기 때문에 적재함(6)의 받침 높낮이를 맞출 필요 없이 일정 높낮이 레벨로 자동 받침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물류차량을 적재 장소(S)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적재함을 자동으로 받침 지지하기 때문에 이송 배출시스템(3)에서 배출 컨베이어(3a)에 의해 이송 배출되는 제조 물품을 로딩 수단에 의해 즉각적으로 적재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더우기, 상기 물류차량의 적재함(6)을 일정 높낮이 레벨로 받침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 물품(2)을 로딩 수단에 의해 자동 적재하는 작업을 적용할 수 있는데, 상기 적재함의 상하 높낮이 레벨을 일정하게 제공하므로 자동 적재 작업을 더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물류차량의 적재함(6)에 제조 물품(2)을 적재 완료한 후에는 물류차량을 적재 장소에서 다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지지 수단의 지지롤(15)이 받침 수단 상부의 안착부(22b)에서 구름 회전하면서 벗어나 적재함의 받침 지지 상태를 간단히 해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는 물류차량의 적재함을 받침 지지하는 높낮이 레벨에 맞추어 지지 수단(10) 및 받침 수단(20)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 셋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지지 수단의 경우, 결합 브라켓의 체결공(12a)으로 고정 볼트(16)를 삽입 체결하여 적재함에 결합 설치하되, 상기 체결공을 상하 장공 형태로 형성하고 있어 결합 브라켓(12)의 설치 위치를 상하 이동 조절하는 것에 의해 지지 수단(10), 즉 지지 수단 하부의 지지롤(15) 설치 위치를 상하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 수단의 경우, 받침판(24) 상부의 수직 볼트(25)에 몸체(21)하부의 조립공(23)을 삽입하여 조립공 상하부에서 상하 고정 너트(26)로 나사 체결하는데, 상기 상하 고정 너트(26)로 나사 체결하는 위치를 상하 조절하는 것에 의해 받침 수단(20), 즉 받침 수단 상부의 안착부(22b) 설치 위치를 상하 조절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 수단 또는 받침 수단 또는 지지수단과 받침 수단의 조립 위치를 조절하여 물류차량의 적재함을 받침 지지하는 높낮이 레벨을 상하 조절 셋팅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류차량(5)을 제조 물품의 적재 장소(S)로 이동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적재함의 후방 하부를 자동으로 받침 지지하되 일정 높낮이 레벨로 받침 지지하면서 제조 물품의 적재 작업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함은 물론 적재함의 높낮이 레벨을 일정하게 제공하므로 로딩 수단에 의한 자동 적재 작업을 더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 제조 물품 5: 물류차량
6: 적재함 10: 지지 수단
11: 몸체 12: 결합 브라켓
12a: 체결공 13: 지지 브라켓
14: 수평바 15: 지지롤
16: 고정 볼트 20: 받침 수단
21: 몸체 22a: 인입부
22b: 안착부 24: 받침판
25: 수직 볼트 26: 고정 너트

Claims (4)

  1. 각종 제조 물품(2)의 적재 장소(S)로 물류차량(5)을 이동시켜 제조 물품을 적재하되 상기 물류차량의 적재함(6)을 받침 지지하는 물류차량의 적재함 받침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류차량(5)의 적재함(6) 하부 후방에 설치되는 지지 수단(10)과,
    상기 적재 장소(S)의 바닥에 고정 설치하여 지지 수단(10)이 안착 지지되는 받침 수단(20)으로 구성하여 물류차량을 적재 장소(S)로 이동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지지 수단이 받침 수단 상부에 안착 지지되면서 적재함을 일정 높낮이 레벨로 받침 지지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지지 수단(10)은 몸체(11) 하부에 지지롤(15)을 전후로 구름 회전하도록 축 설치하고, 상기 받침 수단(20)은 몸체(21) 상부에 지지 수단의 지지롤(15)이 이동 안내되도록 경사를 이루는 인입부(22a)와 안착 지지되도록 수평을 이루는 안착부(22b)를 전후로 연결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지지 수단(10)의 몸체(11)는 지지롤(15)이 축 설치되는 결합 브라켓(12)과 지지 브라켓(13)을 수평바(14)에 연결 설치하고 상기 결합 브라켓 양 측방에 고정 볼트(16)를 체결 설치하기 위한 체결공(12a)을 상하 장공 형태로 형성하여 적재함 하부에 나사 체결하여 조립 설치하며, 상기 받침 수단(20)의 몸체(21)는 하부에 받침판(24)을 이격 설치하고, 상기 받침판 상부에 수직 설치된 수직 볼트(25)를 받침 수단의 몸체 하부에 형성된 조립공(23)에 삽입하여 상하 고정 너트(26)로 나사 체결하는 것에 의해 조립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차량의 적재함 받침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10)과 받침 수단(20)은 적재함의 좌우 위치에 대향되게 복수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차량의 적재함 받침 지지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230118829A 2023-09-07 2023-09-07 물류차량의 적재함 받침 지지장치 KR102638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8829A KR102638163B1 (ko) 2023-09-07 2023-09-07 물류차량의 적재함 받침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8829A KR102638163B1 (ko) 2023-09-07 2023-09-07 물류차량의 적재함 받침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163B1 true KR102638163B1 (ko) 2024-02-19

Family

ID=9005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8829A KR102638163B1 (ko) 2023-09-07 2023-09-07 물류차량의 적재함 받침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1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64052A1 (de) * 2001-12-19 2003-07-03 Alfred Arnold Verladesysteme Positioniereinrichtung für Nutzfahrzeuge und Führungselementeinsatz
KR20100077384A (ko) 2008-12-29 2010-07-08 권오준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차량
KR20110117521A (ko) 2010-04-21 2011-10-27 김현희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
KR101584333B1 (ko) * 2014-07-16 2016-01-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화물 차량용 레벨 유지장치
KR20230105105A (ko) 2022-01-03 2023-07-11 한국전력공사 작업차량용 아웃트리거 자동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64052A1 (de) * 2001-12-19 2003-07-03 Alfred Arnold Verladesysteme Positioniereinrichtung für Nutzfahrzeuge und Führungselementeinsatz
KR20100077384A (ko) 2008-12-29 2010-07-08 권오준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차량
KR20110117521A (ko) 2010-04-21 2011-10-27 김현희 아웃트리거 수평조절장치
KR101584333B1 (ko) * 2014-07-16 2016-01-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화물 차량용 레벨 유지장치
KR20230105105A (ko) 2022-01-03 2023-07-11 한국전력공사 작업차량용 아웃트리거 자동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7790B2 (en) Loading platform with twin roller conveyors
US5564767A (en) Motorized extendible drawer apparatus for a vehicle
CN201030895Y (zh) 轮胎翻转装置
US11882932B2 (en) Interchangeable base steel structure storage assembly
US7140503B2 (en) Pushback cart storage system
US7780019B2 (en) Cantilever pallet cart
US6189852B1 (en) Seating system
KR102638163B1 (ko) 물류차량의 적재함 받침 지지장치
US5940953A (en) Cart and method for changing tooling in a thermoformer machine
JP2737423B2 (ja) 自動倉庫
US20040133998A1 (en) Multi-configuration access ramp
EP3680196B1 (de) Warenlager für die einzelplatzlagerung von stückgütern
CN219807088U (zh) 货物运输装置
JP2737421B2 (ja) 自動倉庫
US20060076543A1 (en) Compact modular lifting and holding apparatus
JP3213732B2 (ja) 二段式立体駐車装置
CN110803433A (zh) 货架装置和装载组件
JP6604481B2 (ja) ラック
US10827722B1 (en) Livestock loading chute
KR102622127B1 (ko) 화물 이송장치
AT524585B1 (de) Verpackungsanlage zum Verpacken von Waren
CN210027654U (zh) 一种使用稳定的仓栏式半挂车
CN211442386U (zh) 一种卷接机组搬运车
RU2660194C1 (ru) Управляемый колесный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амолетов, оборудованных грузовой рампой, и способ погрузки-выгрузки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грузов в/из транспортных самолет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управляемого колесного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ого комплекс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амолетов
KR100807183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