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781B1 - 개선된 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대 - Google Patents

개선된 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781B1
KR102125781B1 KR1020180153331A KR20180153331A KR102125781B1 KR 102125781 B1 KR102125781 B1 KR 102125781B1 KR 1020180153331 A KR1020180153331 A KR 1020180153331A KR 20180153331 A KR20180153331 A KR 20180153331A KR 102125781 B1 KR102125781 B1 KR 102125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ial platform
communication means
operator
aerial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6796A (ko
Inventor
유남호
Original Assignee
유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남호 filed Critical 유남호
Priority to KR1020180153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7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66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4Storage and transport racks for scaffolding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n emergency event, e.g. a fal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8Inclined stru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용이한 랙 방식의 고소 작업대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수직 포스트, 상기 수직 포스트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연결부, 상기 수직 포스트 및 수평 연결부 사이에 지면과 수평하게 마련되는 수평 패널, 상기 고소 작업대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기 수평 패널과 상기 고소 작업대의 하부를 연결하는 사다리, 상기 고소 작업대의 이동을 위한 이동수단, 상기 고소 작업대의 지면 고정을 위한 아웃 트리거 및 상기 고소 작업대의 상부 작업자와 하부 작업자 사이에 물건의 이송을 위한 이송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은 도르레, 윈치, 케이블 및 와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대{Improved Height Work Bench}
본 발명은 고소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생산라인과 같은 클린룸 환경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부 및 하부 작업자 사이의 의사소통 및 물건의 전달 기능이 개선된 고소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高所;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 및 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대가 사용되고 있다. 즉, 선박의 제조공정, 터널 내 고소 작업, 건축물의 마감 공정 등에는 작업자의 키를 넘는 고소의 작업이 필요하므로 이러한 고소 작업대가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반도체 생산 라인과 같은 클린 룸은 대부분의 설비 또는 이동용 라인이 클린 룸의 천장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필수적으로 고소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클린 룸이라는 작업 환경 특성을 반영하고 다양한 기능이 포함된 고소 작업대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 클린 룸 내부에서 고소 작업이 필요한 경우 예를 들면 클린 룸 천장 부위에서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 고소 작업대를 이용할 수 있으나, 작업 시 파티클이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클린 룸 내부에서 상기 고소 작업대에 의해 와류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클린 룸 내부에서 고소 작업을 하는 경우 파티클의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해 방진복 및 방진 마스크 등을 착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 조건과 클린 룸 내의 설비 등의 동작 소음으로 인해 고소 작업대의 상부 및 하부 작업자 간의 의사소통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 도구, 부품 또는 클린 룸 상부에 설치할 케이블 등과 같이 부피 큰 설비 등을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종래에는 전동 리프트 등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전동 리프트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작동 내지 고소 작업대와의 충격에 의한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 고소 작업대를 이동하는 경우 작업자가 상부 상황이나 설비 등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하여 고소 작업대가 상부 시설물등과 충돌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88462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소 작업대의 상하부 사이 통신 수단 및 이동 수단을 마련하고 센서 및 알람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성 및 안전성이 개선된 고소 작업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용이한 랙 방식의 고소 작업대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수직 포스트, 상기 수직 포스트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연결부, 상기 수직 포스트 및 수평 연결부 사이에 지면과 수평하게 마련되어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수평 패널, 상기 고소 작업대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기 수평 패널과 상기 고소 작업대의 하부를 연결하는 사다리, 상기 고소 작업대의 이동을 위한 이동수단, 상기 고소 작업대의 지면 고정을 위한 아웃 트리거 및 상기 고소 작업대의 상부 작업자와 하부 작업자 사이에 물건의 이송을 위한 이송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은 도르레, 윈치, 케이블 및 와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소 작업대의 상부 작업자와 하부 작업자 사이의 정보 전달을 위한 통신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수단은 헤드 셋을 이용하되 근거리 통신수단인 지그비, 비콘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NF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소 작업대의 상부에 마련되어 주변 사물과의 충돌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한 센싱 정보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거리 측정센서 또는 적외선 감지센서를 사용하고, 상기 알람부는 별도 구성으로 마련되어 시각적, 청각적 정보를 알려주거나 경우에 따라서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작업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은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작업자가 상기 고소 작업대에 없는 경우에도 물건의 이송이 가능하며, 상기 통신수단과 연계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통신수단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이송수단이 상기 통신수단에서 수신된 정보 또는 지령에 따라 물건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패널의 상면 또는 상기 고소 작업대의 측면에는 작업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기 위한 색채, 도형 이미지 및 시각적인 정보메시지가 마련되고, 상기 수평 패널의 상면, 상기 수직 포스트 및 수평 연결부의 표면에는 논 슬립 고무 또는 요철부, 돌기와 같은 미끄럼 방지수단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소 작업대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목을 기대거나 지지하여 보호할 수 있는 목 보호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목 보호부재는 연장 및 신축이 가능한 링크구조 또는 접철식 구조의 프레임과 탄성재질 또는 완충기능을 갖는 지지부로 마련되어 작업자가 필요시 상기 프레임을 조절하여 상기 지지부에 작업자의 목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수단, 이송수단, 센서부 및 알람부를 제어하되 사용자의 지령에 따라 제어하거나 기 설정된 조건이나 규칙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대는 클린 룸에 주로 사용되고 일반 현장에도 적용 가능하며 작업자간 의사소통이 용이하고 물건의 이송이 편리한 랙 방식의 고소 작업대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반도체 생산 라인의 클린 룸 천장 물류 자동화 설비에 관한 설명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고소 작업대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소 작업대의 사용상태에 관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통신수단 및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대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수단 및 통신수단이 마련된 고소 작업대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수단 및 통신수단이 마련된 고소 작업대의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수단이 마련된 고소 작업대의 부분 확대도,
도 9는 랙 방식의 고소 작업대를 확장시켜 활용하는 확장 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대에 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통신수단 및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대는 반드시 클린 룸에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고소의 작업 예컨대, 터널 내의 사용, 건축물의 시공 및 마감 및 조선과 같이 고소의 작업이 필요한 분야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용이한 랙 방식의 고소 작업대(1)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수직 포스트(50), 상기 수직 포스트(50)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연결부(51), 상기 수직 포스트(50) 및 수평 연결부(51) 사이에 지면과 수평하게 마련되어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수평 패널(70), 상기 고소 작업대(1)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기 수평 패널(70)과 상기 고소 작업대의 하부를 연결하는 사다리(30), 상기 고소 작업대의 이동을 위한 이동부(90), 상기 고소 작업대의 지면 고정을 위한 아웃 트리거(80) 및 상기 고소 작업대의 상부 작업자와 하부 작업자 사이의 정보 전달을 위한 통신수단(100)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수단(100)은 헤드 셋을 이용하되 근거리 통신수단인 지그비, 비콘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NF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셋을 포함한 통신수단(100)의 기능을 위해 별도의 마이크가 추가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와 연동되는 스피커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통신수단(100)을 근거리 통신수단을 이용함에 따라 저 전력의 사용이 가능하며, 클린 룸의 작업 환경 특성 상 별도의 전원 연결부 없이 자체적으로 마련된 전원을 이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필요 시 상기 통신수단(100)의 필요성, 적용범위 및 작업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통신수단(100)의 기능이나 전원에 대한 해결방안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통신수단(100)으로는 헤드 셋 이외에도 작업자 간 외부 소음의 영향을 받지 않는 무선의 통신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근거리 통신이나 무전기를 이용하여 의사소통을 할 수도 있다. 다만, 클린 룸의 작업 환경 특성에 따라 전원의 공급에 대한 문제점과 파티클의 발생이 제한되어야 하는 부분을 만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통신수단(100)은 근거리 통신수단과 함께 발광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활용함으로써 음성 전달과 함께 시각적인 전달을 동시에 진행하여 보다 명확한 의사소통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수단(100)으로 마이크와 스피커를 활용할 수도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 작업의 상부 작업대에 마이크를 설치하고, 하부에 스피커를 설치함으로써 상부 작업자 및 하부 작업자의 의사소통이 가능한 것이다. 물론, 상기 마이크 및 스피커의 위치, 개수 및 크기 등의 조건은 다양하게 변경되거나 치환될 수 있으며 새로운 기능이나 구성이 부가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수단(100)인 마이크가 상부 작업대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가 하부 작업대 또는 사다리 부분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수단(100)은 다양한 변경, 치환, 추가 등이 가능하며, 클린룸의 작업 환경 상 허용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하게 추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징인 고소 작업대의 상부 하부 간 의사소통 및 통신을 위한 다양한 개념 구체화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동부(90)는 일반적으로 캐스터나 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대는 반도체 생산라인과 같은 클린 룸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마찰에 의해 먼지나 파티클이 생성되지 않도록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사용되고 나아가 상기 이동부(90)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는 별도의 먼지 제거기능 수단(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사다리(30)는 그 명칭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자가 상부 수평 패널(70)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이 가능한 수단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필요 시 전동 장치에 의한 승강 수단이 적용되거나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사다리의 형태, 모양, 크기 등이 다양하게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대는 랙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발명의 내용은 앞서 본 출원인의 출원한 발명에도 일부 개시되어 있다. 즉, 각각의 패널과 포스트 및 연결부가 랙(rack) 구조를 이용하여 체결됨으로써 확장 기능을 갖는 것이다.
반도체 생산라인과 같은 대 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고소 작업대를 좌, 우 방향으로 밀면서 작업을 해야 하나 이 경우 이동의 불편함과 안전 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랙 구조의 고소 작업대는 모듈화, 유닛화를 통해 각각의 구조가 연결되고 확장됨으로써 수평방향 나아가 수직방향 등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대는 도 2의 기본적인 형태를 비롯하여 도 9와 같이 다양한 요구 조건 및 사용 상태, 환경조건의 필요에 따라 여러 형태로 확장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종 방향으로의 확장 된 모습만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나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랙방식의 고소 작업대는 횡 방향으로 추가로 연결 확장되어 사용될 수 있음이다.
도 3은 종래의 고소 작업대의 작업 환경에 대한 설명을 보여주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의 작업자와 하부의 작업자 사이에는 필수적으로 의사소통이 필요하며, 상부 작업에서 필요한 물건의 이송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클린 룸이라는 환경 특성 상 작업자 들은 방진복을 착용하고 있으며 주변의 소음으로 인해 육성을 통한 의사 전달은 매우 어렵게 되며 이러한 것은 작업의 능률을 저하시키며 안전 상의 문제도 야기하는 것이다.
또한, 어느 정도 중량감이 있는 물건 예컨대, 케이블이나 기타 천장 설비를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종래에는 별도의 전동 리프트를 사용하는데 이는 매우 불편하며 충돌이라는 안전 상 문제점도 발생한다.
그 밖에 상대적으로 부피와 중량이 작은 물건을 고소 작업을 위해 상부로 이동하기 위해 작업자가 직접 전달하거나 상기 전동 리프트를 사용하는 경우 매우 불편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이해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이송 수단(300)이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자가 상기 고소 작업대를 하부에서 밀면서 이동시키는 경우 상부에 있는 여러 설비 및 장비등과 충돌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즉, 반도체 생산라인의 특성 상 상부에 여러 가지 설비들이 마련되는 데 고소 작업대의 높이에 따른 충돌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대(1)는 상술한 통신수단(100)이 마련되고 나아가 상기 고소 작업대의 상부 작업자와 하부 작업자 사이에 물건의 이송을 위한 이송 수단(300)을 더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대는 상, 하부 사이에 물건의 이송이 가능한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며, 이는 앞서 설명한 작업자의 이동수단인 사다리 또는 승강장치와는 별개의 수단을 말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사다리)를 물건의 이송 수단으로 활용할 수는 있으나 작업자라는 사람을 이동 하는 기능과 물건을 이송하는 기능은 상이하므로 그 크기나 구동 방법이 별도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송수단(300)은 도르레(340), 윈치(350), 케이블 및 와이어(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300)은 전동장치 또는 자동화 장치에 의한 이송기능이 아니라 작업자의 수동조작에 의한 것이다. 즉, 작업자가 이송이 필요한 물건을 상기 수납부(310)에 올리고 와이어(320) 또는 도르레(340), 윈치(330)의 조작을 통해 물건을 상부로 이송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상기 이송 기능을 위해 추가적인 장치가 마련되거나 자동으로 조작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전동 모터, 승강리프트 등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동 장치는 고소 작업대가 사용되는 환경적인 특성에 잘 반영되고 또한 적합한 설비가 마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 수단(300)이 링크구조 또는 접철식 구조가 마련되고 이를 통해 물건을 상부로 이송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와이어(320), 링크구조를 비롯하여 수납부(310)를 상부로 이송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결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동작하거나 필요 시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대는 상기 고소 작업대의 상부에 마련되어 주변 사물과의 충돌을 감지하는 센서부(500) 및 상기 센서부(500)에 의한 센싱 정보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알람부(70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500)가 상부의 설비 등과의 충돌을 미리 감지하고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500)는 필요 시 상기 고소 작업대의 상부 이외에도 측면이나 저면에도 설치되어 다양한 충돌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센서부(500)는 거리 측정센서(미도시) 또는 적외선 감지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센싱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700)는 별도 구성으로 마련되어 시각적, 청각적 정보를 알려주거나 경우에 따라서 상기 통신수단(100)을 통해 작업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300)은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작업자가 상기 고소 작업대에 없는 경우에도 물건의 이송이 가능하며, 상기 통신수단(100)과 연계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통신수단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이송수단(300)이 상기 통신수단(100)에서 수신된 정보 또는 지령에 따라 물건을 이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대는 제어부(9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통신수단(100), 이송수단(300), 센서부(500) 및 알람부(700)를 제어하되 사용자의 지령에 따라 제어하거나 기 설정된 조건이나 규칙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대는 상기 수평 패널(70)의 상면 또는 상기 고소 작업대의 측면에 작업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기 위한 색채, 도형 이미지 및 시각적인 정보메시지가 마련될 수 있다.
즉, 고소의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하기 위해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며 나아가 청각적인 효과를 부가하기 위해 별도의 음원장치(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수평 패널(70)의 상면, 상기 수직 포스트 및 수평 연결부의 표면에는 논 슬립 고무 또는 요철부, 돌기와 같은 미끄럼 방지수단이 더 마련도리 수 있다. 즉, 작업자의 이동 시 미끄러져 낙하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서는 상술한 수단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대는 상부에 작업자가 목을 기대거나 지지하여 보호할 수 있는 목 보호부재(미도시)가 마련되고, 상기 목 보호부재는 연장 및 신축이 가능한 링크구조 또는 접철식 구조의 프레임과 탄성재질 또는 완충기능을 갖는 지지부로 마련되어 작업자가 필요 시 상기 프레임을 조절하여 상기 지지부에 작업자의 목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부 작업자가 천장을 바라보고 작업을 하는 경우 목의 피로가 누적되고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으나 오히려 상부 작업 시 작업에 간섭이 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목 보호부재는 상기 고소 작업대와 탈 부착이 가능하게 비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대는 통신수단 및 이송수단을 마련하여 상부 작업자와 하부 작업자의 의사소통이 편리하고 도구 및 물품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클린룸용 고소 작업대에 이용될 수 있다.
1: 고소 작업대 10:VEHICLE
20: 이동 라인 30: 사다리(승강부)
40: 안전난간 50: 수직 포스트
51: 수평 연결부 60: 프로파일
70: 수평 패널 80: 아웃 트리거
90: 이동부(휠, 캐스터)
100: 통신수단 300: 이송수단
310: 수납부 320: 와이어
330: 링크 340: 도르래
350: 윈치 500: 센서부
700: 알람부 900: 제어부

Claims (7)

  1. 확장이 용이한 랙 방식의 고소 작업대에 있어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수직 포스트;
    상기 수직 포스트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연결부;
    상기 수직 포스트 및 수평 연결부 사이에 지면과 수평하게 마련되어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수평 패널;
    상기 고소 작업대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기 수평 패널과 상기 고소 작업대의 하부를 연결하는 사다리;
    상기 고소 작업대의 이동을 위한 이동수단;
    상기 고소 작업대의 지면 고정을 위한 아웃 트리거; 및
    상기 고소 작업대의 상부 작업자와 하부 작업자 사이에 물건의 이송을 위한 이송 수단;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 패널의 상면 또는 상기 고소 작업대의 측면에는 작업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기 위한 색채, 도형 이미지 및 시각적인 정보메시지가 마련되고, 상기 수평 패널의 상면, 상기 수직 포스트 및 수평 연결부의 표면에는 논 슬립 고무 또는 요철부, 돌기와 같은 미끄럼 방지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이송수단은 도르레, 윈치, 케이블 및 와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소 작업대의 상부 작업자와 하부 작업자 사이의 정보 전달을 위한 통신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수단은 헤드 셋을 이용하되 근거리 통신수단인 지그비, 비콘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NF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소 작업대의 상부에 마련되어 주변 사물과의 충돌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한 센싱 정보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알람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거리 측정센서 또는 적외선 감지센서를 사용하고,
    상기 알람부는 별도 구성으로 마련되어 시각적, 청각적 정보를 알려주거나 경우에 따라서 통신수단을 통해 작업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작업자가 상기 고소 작업대에 없는 경우에도 물건의 이송이 가능하며, 상기 통신수단과 연계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통신수단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이송수단이 상기 통신수단에서 수신된 정보 또는 지령에 따라 물건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소 작업대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목을 기대거나 지지하여 보호할 수 있는 목 보호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목 보호부재는 연장 및 신축이 가능한 링크구조 또는 접철식 구조의 프레임과 탄성재질 또는 완충기능을 갖는 지지부로 마련되어 작업자가 상기 프레임을 조절하여 상기 지지부에 작업자의 목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7. 제 3항에 있어서,
    제어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수단, 이송수단, 센서부 및 알람부를 제어하되 사용자의 지령에 따라 제어하거나 기 설정된 조건이나 규칙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KR1020180153331A 2018-12-03 2018-12-03 개선된 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대 KR102125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331A KR102125781B1 (ko) 2018-12-03 2018-12-03 개선된 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331A KR102125781B1 (ko) 2018-12-03 2018-12-03 개선된 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796A KR20200066796A (ko) 2020-06-11
KR102125781B1 true KR102125781B1 (ko) 2020-06-23

Family

ID=71070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331A KR102125781B1 (ko) 2018-12-03 2018-12-03 개선된 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7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673B1 (ko) * 2020-09-28 2021-10-18 이승훈 기능성 우마 사다리
KR200496549Y1 (ko) 2021-06-11 2023-02-23 백경진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
KR102536587B1 (ko) 2021-08-07 2023-05-26 백경진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7969A (ja) * 2000-12-04 2002-06-11 Protector:Kk 台車付きパイプ構築フレーム
KR101884626B1 (ko) * 2017-09-28 2018-08-02 유남호 랙방식으로 연결되는 고소작업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299B1 (ko) * 2008-04-30 2010-06-11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고소작업대의 자동제동장치
KR20150001772U (ko) * 2013-10-31 2015-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작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7969A (ja) * 2000-12-04 2002-06-11 Protector:Kk 台車付きパイプ構築フレーム
KR101884626B1 (ko) * 2017-09-28 2018-08-02 유남호 랙방식으로 연결되는 고소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796A (ko)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5781B1 (ko) 개선된 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대
JP6462280B2 (ja) 近接場無線自動識別検出を含む抑制システム
US20180126198A1 (en) Automated human personnel fall arresting system and method
KR101812231B1 (ko) 과 상승 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102488369B1 (ko) 건설현장 내 작업자의 안전모 컬러 판별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N104507847A (zh) 起重机及相关操作方法
CN104507848B (zh) 起重机及相关操作方法
KR101897142B1 (ko) 고소작업차의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654995B2 (ja) 高所作業車用安全具
KR20150049650A (ko) 장애물 근접거리 계측에 의한 지게차 알람 및 정지 제어 시스템
CN107364807A (zh) 一种用途广泛的建筑升降平台
KR102408771B1 (ko) 다기능 고소 작업차
KR20140000033U (ko) 협착방지장치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KR20200086897A (ko) Ict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 안전발판
JP2018095364A (ja) クレーンの接触監視システム
JP2015089518A (ja) 拘束システム及び視覚システムを含む高架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
KR102152456B1 (ko) 고소작업차의 전도 방지 시스템
JP2009209535A (ja) スライド式吊り荷台装置
KR101465783B1 (ko) 위험경보장치
CN203232548U (zh) 升降式可燃气体报警器安装装置
KR20210053971A (ko) 리프팅 시스템과 리프팅 시스템 제어 방법 및 리프팅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
KR20160071560A (ko)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
JP2010254417A (ja) 方向表示装置、移動体操作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の操作方法
US20090195759A1 (en) Portable laser projector and enclosure
KR102150802B1 (ko) 건설현장의 개구부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