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673B1 - 기능성 우마 사다리 - Google Patents
기능성 우마 사다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3673B1 KR102313673B1 KR1020200125558A KR20200125558A KR102313673B1 KR 102313673 B1 KR102313673 B1 KR 102313673B1 KR 1020200125558 A KR1020200125558 A KR 1020200125558A KR 20200125558 A KR20200125558 A KR 20200125558A KR 102313673 B1 KR102313673 B1 KR 1023136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ing bar
- disposed
- upper plate
- connection part
- safet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4—Scaffold constructions able to be folded in prismatic or flat parts or able to be turned down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Ladders having platforms; Ladders changeable into platforms
- E06C1/393—Ladders having platforms foldable with the ladder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06C7/082—Connections between rungs or treads and longitudinal members
- E06C7/083—Bracket type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우마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단부에 푸트가 마련되며, 보강대로 보강되는 복수 개의 다리부재; 상기 다리부재에 각각 연결되되 작업자가 밟고 올라서는 복수 개의 상판; 상기 상판들의 가운데 배치되어 상기 상판들을 연결하되 상기 상판들이 접히거나 펼쳐지게 작용하는 접철 연결부; 및 상기 접철 연결부가 위치하는 상기 상판들의 하면에 마련되며, 상기 접철 연결부가 파손되어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안전 보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능성 우마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의 가운데 접철 연결부를 보강할 수 있어서 하중 또는 움직임으로 인해 접철 연결부가 파손되어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기능성 우마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우마 사다리는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건설 현장에서 벽이나 천장과 같은 높은 위치에 도배나 페인트 도장, 매장의 디스플레이 등의 인테리어 작업을 하거나, 자동차 세차 등의 작업을 할 때 주로 사용된다.
예컨대, 도 1과 같은 형태의 우마 사다리(1)가 가장 흔히 알려져 있다. 즉 다리부재(4)에 의해 지지되는 상판(2)이 수평으로 길고 넓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판(2) 위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면서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
특히, 상판(2)과 다리부재(4)는 쌍으로 이루어져 힌지(3)에 의해 접철 가능하다. 때문에, 보관 및 운반할 때는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할 때만 도 1처럼 펼쳐 사용하면 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도 1과 같은 형태의 우마 사다리(1), 혹은 이와 유사한 형태의 우마 사다리는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것인데, 이러한 종래의 우마 사다리(1)는 사용 강도 또는 시간에 따라 힌지(3)가 있는 가운데 접철 연결부가 파손될 소지가 큰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접철 연결부 중에서도
만약, 작업자가 상판(2)에 올라선 상태에서 가운데 접철 연결부가 파손되어 임의로 접힐 경우, 발목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신개념의 우마 사다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판의 가운데 접철 연결부를 보강할 수 있어서 하중 또는 움직임으로 인해 접철 연결부가 파손되어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기능성 우마 사다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단부에 푸트가 마련되며, 보강대로 보강되는 복수 개의 다리부재; 상기 다리부재에 각각 연결되되 작업자가 밟고 올라서는 복수 개의 상판; 상기 상판들의 가운데 배치되어 상기 상판들을 연결하되 상기 상판들이 접히거나 펼쳐지게 작용하는 접철 연결부; 및 상기 접철 연결부가 위치하는 상기 상판들의 하면에 마련되며, 상기 접철 연결부가 파손되어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안전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우마 사다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상판의 하면은 골부와 정부가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요철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안전 보강부는 상기 상판의 정부 내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안전 보강부는 상기 접철 연결부를 기준으로 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작 가능하게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전 보강부는, 상기 접철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판들의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 터널부; 상기 접철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판들의 타측에 배치되는 경유 터널부; 상기 경유 터널부를 경유해서 단부가 상기 고정 터널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이동식 보강바; 상기 이동식 보강바의 일측 단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결합하는 손잡이; 및 상기 경유 터널부가 위치하는 상판에 마련되며, 상기 이동식 보강바의 단부가 삽입되면서 파킹되는 파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보강부는, 상기 경유 터널부의 입구 영역에 조임 가능하게 결합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이동식 보강바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보강바 구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판의 가운데 접철 연결부를 보강할 수 있어서 하중 또는 움직임으로 인해 접철 연결부가 파손되어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우마 사다리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안전 보강부가 동작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A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안전 보강부가 동작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안전 보강부가 동작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A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안전 보강부가 동작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어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부분 평면도, 도 5는 도 4에서 안전 보강부가 동작한 상태의 도면, 도 6은 도 3의 A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안전 보강부가 동작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100)는 상판(120)의 가운데 접철 연결부(130)를 보강할 수 있어서 하중 또는 움직임으로 인해 접철 연결부(130)가 파손되어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100)는 다리부재(110), 상판(120), 접철 연결부(130), 그리고, 안전 보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100)는 가벼우면서도 내부식성이 강해야 하므로,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소재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다리부재(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100)를 지면에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판(120)과 마찬가지로, 접철 연결부(130)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다리부재(110)들의 단부에는 푸트(111)가 마련된다. 푸트(111)는 고무재질로 적용될 수 있고, 다리부재(110)의 단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푸트(111)는 다리부재(110)가 지면에 미끄러지지 않게끔 한다.
다리부재(110)들 사이에는 보강대(112)가 결합한다. 보강대(112)로 인해 한 쌍의 다리부재(110)에 대한 강성이 보강된다. 보강대(112)와 상판(120)에는 빗장 지지대(113)가 결합한다. 빗장 지지대(113)는 도 2 및 도 3처럼 사용 중에 다리부재(110)가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한다.
다리부재(110)와 상판(120) 사이에는 회전부(114)가 마련된다. 힌지 타입의 회전부(114)로 인해 다리부재(110)를 상판(120)에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따라서,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다.
상판(120)은 작업자가 밟고 올라서는 부분으로서, 다리부재(110)에 각각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판(120)은 다리부재(110)와 마찬가지로 접철 연결부(130)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상판(120)의 상면은 도 2처럼 평평한 평판 플레이트(121)를 이룬다. 반면, 상판(120)의 하면은 골부(122)와 정부(123)가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요철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안전 보강부(140)는 상판(120)의 정부(123)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접철 연결부(130)는 상판(120)들의 가운데 배치되어 상판(120)들을 연결하되 상판(120)들이 접히거나 펼쳐지게 작용한다. 접철 연결부(130)는 일종의 힌지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앞서 기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100)는 접철 연결부(130)로 인해 상판(120)들이 접히거나 펼쳐지는 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 강도 또는 시간에 따라 접철 연결부(130)가 파손될 소지가 있다.
만약, 작업자가 상판(120)에 올라선 상태에서 가운데 접철 연결부(130)가 파손되어 상판(120)이 임의로 접힐 경우, 발목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100)에는 안전 보강부(140)가 갖춰진다.
안전 보강부(140)는 접철 연결부(130)가 위치하는 상판(120)들의 하면에 마련되며, 접철 연결부(130)가 파손되어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안전 보강부(140)는 상판(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정부(123)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판(120)들을 접을 때, 간섭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전 보강부(140)가 홈 형태의 정부(123) 내에 숨어 있는 상태라서 기능성 우마 사다리(100)를 이동할 때, 다른 구조물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전 보강부(140)는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로 적용된다. 특히, 복수 개의 안전 보강부(140)는 접철 연결부(130)를 기준으로 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작 가능하게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안정적인 구조가 가능하고, 또한 조작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러한 안전 보강부(140)는 고정 터널부(141), 경유 터널부(142), 이동식 보강바(144), 파킹부(146), 보강바 구속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터널부(141)는 접철 연결부(130)를 사이에 두고 상판(120)들의 일측에 배치되는 대락 ㄷ자형 구조물이다. 도 4 및 도 6처럼 이동식 보강바(144)가 고정 터널부(141)에 삽입되면서 배치될 때, 상판(120)들이 임의로 접히지 않게끔 보강할 수 있다.
경유 터널부(142)는 접철 연결부(130)를 사이에 두고 상판(120)들의 타측에 배치되는 구조물로서, 이동식 보강바(144)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경유 터널부(142)는 고정 터널부(141)와 유사한 구조를 이룬다.
이동식 보강바(144)는 경유 터널부(142)를 경유해서 단부가 고정 터널부(141)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봉 타입의 구조물이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도 4 및 도 6처럼 이동식 보강바(144)가 고정 터널부(141)에 삽입되면서 배치될 때, 상판(120)들이 임의로 접히지 않게끔 보강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식 보강바(144)를 조작할 수 있도록 이동식 보강바(144)에 손잡이(145)가 마련된다. 이때, 손잡이(145)는 이동식 보강바(144)의 일측 단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결합한다. 이는, 이동식 보강바(144)의 단부가 파킹부(146)에 파킹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파킹부(146)는 경유 터널부(142)가 위치하는 상판(120)에 마련되며, 상기 이동식 보강바(144)의 단부가 삽입되면서 파킹되는 장소를 이룬다.
보강바 구속부재(143)는 경유 터널부(142)의 입구 영역에 조임 가능하게 결합하며, 해당 위치에서 이동식 보강바(144)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도 4 및 도 6의 상태에서 보강바 구속부재(143)를 조작하면 고정 터널부(141)에 삽입된 이동식 보강바(144)가 임의로 빠지지 않는다. 반대로, 도 5 및 도 7의 상태에서 보강바 구속부재(143)를 조작하면 이동식 보강바(144)가 고정 터널부(141) 쪽으로 임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을 하는 기능성 우마 사다리(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처럼 접철 연결부(130)의 작용으로 상판(120)들을 펼친 후, 도 4 및 도 6처럼 이동식 보강바(144)가 고정 터널부(141)에 삽입되면서 배치되게 한 다음, 보강바 구속부재(143)를 조임으로써 기능성 우마 사다리(100)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 상태에서는 상판(120)들이 임의로 접히지도 않고 또한 다소 약한 부위인 접철 연결부(130)에 하중이 많이 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철 연결부(1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판(120)의 가운데 접철 연결부(130)를 보강할 수 있어서 하중 또는 움직임으로 인해 접철 연결부(130)가 파손되어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200) 역시, 다리부재(210), 상판(120), 그리고, 안전 보강부(140,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구조와 기능,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피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200)에서 다리부재(21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푸트(111)에서 상판(120)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태를 취한다.
이럴 경우, 다리부재(21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는데, 이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300) 역시, 다리부재(110), 상판(120), 접철 연결부(130), 그리고, 안전 보강부(140,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구조와 기능,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피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300)에서 상판(120)에는 하부 관찰창(350)이 형성된다. 하부 관찰창(350)은 단순한 홀(hole)의 형태일 수도 있고, 혹은 홀(hole)에 투명 아크릴을 개재한 형태일 수도 있다.
어떠한 형태일지라도 상판(120)에 하부 관찰창(350)이 더 형성되면, 상판(120)에 올라선 작업자가 상판(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안전 보강부(140)가 동작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400) 역시, 다리부재(110), 상판(120), 접철 연결부(130), 그리고, 안전 보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구조와 기능,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피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우마 사다리(400)에는 전자적인 요소가 가미된다. 즉 기능성 우마 사다리(400)의 일측에 스위치(470)가 마련되며, 안전 보강부(140)를 이루는 고정 터널부(141)에 바 센서(490)가 마련된다. 바 센서(490)는 근접센서의 일종으로서 이동식 보강바(144)가 고정 터널부(141) 내에 배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그리고, 기능성 우마 사다리(400)의 일측에는 알림부(492)가 마련된다. 알림부(492)는 일종의 부저이며, 컨트롤러(480)에 의해 작동이 컨트롤된다.
컨트롤러(480)는 스위치(470)가 온(on)된 상태에서 바 센서(490)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알림부(492)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다시 말해, 기능성 우마 사다리(400)의 사용을 위해 기능성 우마 사다리(400)를 펼친 후, 스위치(470)를 온(on)시킨 이후에, 일정시간이 지났음에도 안전 보강부(140)를 동작하지 않으면, 다시 말해, 이동식 보강바(144)가 고정 터널부(141) 내에 배치되지 않으면 알림부(492)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이럴 경우, 실수로 안전 보강부(140)를 동작시키지 않는 폐단을 없앨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480)는 중앙처리장치(481, CPU), 메모리(4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4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481)는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470)가 온(on)된 상태에서 바 센서(490)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알림부(492)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4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481)와 연결된다. 메모리(4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4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4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4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80)는 스위치(470)가 온(on)된 상태에서 바 센서(490)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알림부(492)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4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4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상판(120)의 가운데 접철 연결부(130)를 보강할 수 있어서 하중 또는 움직임으로 인해 접철 연결부(130)가 파손되어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기능성 우마 사다리 110 : 다리부재
111 : 푸트 112 : 보강대
113 : 빗장 지지대 114 : 회전부
120 : 상판 121 : 평판 플레이트
122 : 골부 123 : 정부
130 : 접철 연결부 140 : 안전 보강부
141 : 고정 터널부 142 : 경유 터널부
143 : 보강바 구속부재 144 : 이동식 보강바
145 : 손잡이 146 : 파킹부
111 : 푸트 112 : 보강대
113 : 빗장 지지대 114 : 회전부
120 : 상판 121 : 평판 플레이트
122 : 골부 123 : 정부
130 : 접철 연결부 140 : 안전 보강부
141 : 고정 터널부 142 : 경유 터널부
143 : 보강바 구속부재 144 : 이동식 보강바
145 : 손잡이 146 : 파킹부
Claims (4)
- 단부에 푸트가 마련되며, 보강대로 보강되는 복수 개의 다리부재;
상기 다리부재에 각각 연결되되 작업자가 밟고 올라서는 복수 개의 상판;
상기 다리부재를 상기 상판에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상기 다리부재와 상기 상판 사이에 마련되는 힌지 타입의 회전부;
상기 상판들의 가운데 배치되어 상기 상판들을 연결하되 상기 상판들이 접히거나 펼쳐지게 작용하는 접철 연결부; 및
상기 접철 연결부가 위치하는 상기 상판들의 하면에 마련되며, 상기 접철 연결부가 파손되어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안전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보강부는,
상기 접철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판들의 일측에 배치되는 ㄷ자형 구조물인 고정 터널부;
상기 접철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판들의 타측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 터널부와 유사한 구조를 이루는 경유 터널부;
상기 경유 터널부를 경유해서 단부가 상기 고정 터널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이동식 보강바;
상기 경유 터널부가 위치하는 상판에 마련되며, 상기 이동식 보강바의 단부가 삽입되면서 파킹되는 파킹부;
상기 이동식 보강바의 단부가 상기 파킹부에 파킹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식 보강바의 일측 단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결합하는 손잡이; 및
상기 경유 터널부의 입구 영역에 조임 가능하게 결합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이동식 보강바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보강바 구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부재의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다리부재는 상기 푸트에서 상기 상판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태를 취하며,
상기 상판에 올라선 작업자가 상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안전 보강부가 동작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에는 하부 관찰창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 또는 그 주변에 마련되는 스위치와 알림부;
상기 고정 터널부에 마련되되 상기 이동식 보강바가 상기 고정 터널부 내에 배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바 센서; 및
상기 이동식 보강바가 상기 고정 터널부 내에 배치되지 않으면 상기 알림부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바 센서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의 상면은 평평한 평판 플레이트를 이루는 반면, 상기 상판의 하면은 골부와 정부가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요철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안전 보강부는 상기 상판의 정부 내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안전 보강부는 상기 접철 연결부를 기준으로 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작 가능하게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우마 사다리.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5558A KR102313673B1 (ko) | 2020-09-28 | 2020-09-28 | 기능성 우마 사다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5558A KR102313673B1 (ko) | 2020-09-28 | 2020-09-28 | 기능성 우마 사다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3673B1 true KR102313673B1 (ko) | 2021-10-18 |
Family
ID=7827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5558A KR102313673B1 (ko) | 2020-09-28 | 2020-09-28 | 기능성 우마 사다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3673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5918Y1 (ko) * | 2003-10-06 | 2004-03-22 | 이광범 | 도배용 작업대 |
KR200420369Y1 (ko) * | 2006-04-06 | 2006-07-03 | 홍헌기 | 작업사다리 |
KR100714992B1 (ko) * | 2004-12-22 | 2007-05-09 | 임정환 | 절첩식 작업대 |
KR20080003443U (ko) | 2007-02-16 | 2008-08-20 | 정인교 | 위생 숟가락 |
KR200458372Y1 (ko) * | 2011-07-11 | 2012-02-15 | 안성식 | 우마형 사다리 |
KR20200066796A (ko) * | 2018-12-03 | 2020-06-11 | 유남호 | 개선된 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대 |
-
2020
- 2020-09-28 KR KR1020200125558A patent/KR1023136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5918Y1 (ko) * | 2003-10-06 | 2004-03-22 | 이광범 | 도배용 작업대 |
KR100714992B1 (ko) * | 2004-12-22 | 2007-05-09 | 임정환 | 절첩식 작업대 |
KR200420369Y1 (ko) * | 2006-04-06 | 2006-07-03 | 홍헌기 | 작업사다리 |
KR20080003443U (ko) | 2007-02-16 | 2008-08-20 | 정인교 | 위생 숟가락 |
KR200458372Y1 (ko) * | 2011-07-11 | 2012-02-15 | 안성식 | 우마형 사다리 |
KR20200066796A (ko) * | 2018-12-03 | 2020-06-11 | 유남호 | 개선된 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494634A (en) | Retractable step assembly | |
US2729499A (en) | Auxiliary frame for truck boxes | |
US5040936A (en) | Barrier for lift platform | |
US4795304A (en) | Pickup truck loading ramp | |
US3012291A (en) | Collapsible portable building | |
US5209540A (en) | Foldable carrier system for transport of frangible sheet material | |
US3825095A (en) | Aerial scaffold for vehicle | |
US4930797A (en) | Safety step system | |
JP2009517265A (ja) | 接近用装置 | |
US3410036A (en) | Multipurpose roof structures | |
RU2554915C2 (ru) | Убирающаяся боковая надставка, примыкающа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к одной грузонесущей поверхности груз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
US3472337A (en) | Portable collapsible scaffold | |
KR102313673B1 (ko) | 기능성 우마 사다리 | |
US2786710A (en) | House trailer porch assembly | |
US3512828A (en) | Pickup bed cap | |
US3160434A (en) | Collapsible cabin and accommodating support structure for automobiles | |
JP5019950B2 (ja) | タンクローリー | |
US10358304B2 (en) | Portable loading ramp | |
KR102256672B1 (ko) | 가변 경사로가 구비된 적재함을 갖는 트럭 | |
US2993727A (en) | Combination rack for pick-up truck | |
CN209684027U (zh) | 新型车厢对接平台 | |
US3897084A (en) | Stand-out | |
KR20210040292A (ko) | 가변 경사로가 구비된 적재함을 갖는 트럭 | |
US3379280A (en) | Folding ladder | |
CN211967970U (zh) | 搅拌车及其爬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