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549Y1 -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549Y1
KR200496549Y1 KR2020210001834U KR20210001834U KR200496549Y1 KR 200496549 Y1 KR200496549 Y1 KR 200496549Y1 KR 2020210001834 U KR2020210001834 U KR 2020210001834U KR 20210001834 U KR20210001834 U KR 20210001834U KR 200496549 Y1 KR200496549 Y1 KR 200496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late
work platform
warning device
aerial work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971U (ko
Inventor
백경진
Original Assignee
백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경진 filed Critical 백경진
Priority to KR2020210001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549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9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9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5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04Achieving homogeneous 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작업대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작업 상황임을 경고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WARNING APPARATUS FOR AERIAL WORK PLATFORM}
본 고안은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작업대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작업 상황임을 경고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소작업대는 별도의 장비 없이 건물이나 터널의 고소 작업위치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접근하여 배관 공사, 덕트 공사, 미장 공사, 건물 외벽 공사, 터널의 내벽 공사 등을 진행할 때 사용되는 장비로서, 건설 현장이나 산업 현장에 폭넓게 사용된다.
이러한 고소작업대의 상승 또는 이동 중에 고소작업대 주변의 작업자가 협착되거나 고소작업대와 충돌하여 부상이나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특히, 고소작업대가 터널 내부나 야간 작업시와 같은 어두운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 고소작업대와의 충돌이나 끼임에 의한 부상과 사고가 더욱 빈번히 발생하므로, 공사 작업에서 고소작업대가 사용 중임을 외부로 경고하기 위한 경고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20-0066796호(2020년 06월 11일)
본 고안은 고소작업대에 고정되어, 공사 작업에서 고소작업대가 사용 중임을 외부로 경고하기 위한 경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고소작업대의 이동중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뿐 아니라 배터리 모듈을 구비하여 전원 위치의 제약 없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소작업대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작업중임을 경고하는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로서,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본체 플레이트;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어 빛을 발광하는 LED; 상기 LED와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외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 모듈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를 둘러싸도록 방염 재질의 완충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방열을 위한 방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본체 플레이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는 자성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 케이블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상기 LED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전 라인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 플레이트가 상기 고소작업대에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 플레이트에는 체결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고소작업대에 고정되어, 공사 작업에서 고소작업대가 사용 중임을 외부로 경고하여 협착 사고나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소작업대의 이동중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뿐 아니라 배터리 모듈을 구비하여 전원 위치의 제약 없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가 사용되는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에 포함되는 배터리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의 급전 케이블을 통한 급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100)가 사용되는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100)는 고소작업대(10)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고소작업대(10)에서 작업 중임을 알람하여 경고한다.
고소작업대(10)는 건물이나 터널의 천장 등 높은 위치를 시공 및 공사하기 위해 작업자가 작업대(미도시)에 올라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작된 것으로, 작업자가 작업에 필요한 공구나 자재를 적재한 상태에서 탑승한 후 바퀴 등 이동 수단에 의해 작업할 위치까지 이동하면, 고소작업대(10)의 승강 수단의 작동에 의해 작업대(미도시)가 상승하여 작업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진행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승강 수단의 작동에 의해 작업대(미도시)가 원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100)는 이러한 고소작업대(10)에 장착되어 작업자가 고소작업대(10)에서 작업 중임을 외부로 경고하여, 고소작업대(10) 주변의 다른 작업자와의 충돌 등에 의한 사고를 방지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100)는, 본체 플레이트(110), LED(120), 프레임(130) 및 배터리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플레이트(110)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판상의 플레이트로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알루미늄, SUS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 플레이트(110)의 전면에는 작업자가 현재 작업 상황임을 알리기 위한 '작업 중 접근 금지'와 같은 경고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본체 플레이트(110)의 전면에는 본체 플레이트(110)의 외주를 따라 빛을 발광하기 위한 LED(Light-Emitting Diode, 120)가 구비될 수 있다. LED(120) 일정 간격으로 직사각형의 본체 플레이트(110)의 4개의 변을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LED(120)는 일정 시차를 두고 점멸하여 주위를 환기시키며, 고소작업대(10) 외부의 다른 작업자가 고소작업대(10)가 사용 중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체 플레이트(110)의 측면에는 LED(120)의 ON/OFF를 위한 스위치(1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 플레이트(110)의 후면에는 본체 플레이트(110)의 강도를 보강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본체 플레이트(1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바(113)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바(113)는 본체 플레이트(110) 후면에 이격되어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LED(120)와 인접하도록 본체 플레이트(110)의 외주를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본체 플레이트(110)의 외주에 전면을 향해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인접하게 배치되는 LED(12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50)은 LED(120)에 전원을 공급하여, LED(120)가 주기적으로 점멸되도록하며, 이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100)에 포함되는 배터리 모듈(150)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 3의 a는 배터리 모듈(150)의 일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배터리 모듈(150)의 다른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100)의 배터리 모듈(150)은 하우징(151), 배터리(153) 및 전원 케이블(17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51)은 내부에 중공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51)은 상부가 개구되며, 개구된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커버의 상면에는 손잡이부(152)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배터리 모듈(150)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배터리(153)는 본체의 내부 공간에 구비된다. 이때, 배터리(153)는 리튬 이온 배터리(153) 일 수 있으며, 배터리(153)의 용량은 12V일 수 있다.
전원 케이블(170)은 배터리(153)에 연결되어 LED(12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하우징(151)의 측벽에는 전원 케이블(170)과 배터리(153)의 연결을 위한 연결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 플레이트(110)의 측벽에는 전원 케이블(170)의 고정을 위한 브라켓(117)이 구비될 수 있다. 전원 케이블(170)을 본체 플레이트(110)에 고정시켜, 고소작업대(10)의 이동시 또는 작업자의 고소작업대(10)에서의 작업시 전원 케이블(170)이 이동이나 작업 중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배터리 모듈(150)이 본체 플레이트(110)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우징(151)의 하면에는 자성 결합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50)은 자성 결합부(116)를 이용하여 본체 플레이트(110)의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배터리 모듈(150)이 고소작업대(10) 외부로 노출되면 작업자의 작업에 방해가 되거나 파손의 위험이 있으므로, LED(120)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하고 외부로의 노출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자성 결합부(116)를 이용하여 본체 플레이트(110)의 후면에 자성 결합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은 배터리 모듈(150)을 구비하여 배터리(153)를 충전하여 사용함으로써 외부 전원 공급 없이 자체적으로 LED(120)에 전원 공급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외부 전원 위치의 제약 없이 LED(120)에 전원 공급이 가능하며, 배터리 모듈(150)을 본체 플레이트(110)의 후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시킴으로써 배터리 모듈(150)의 외부 노출로 인한 파손 등의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하우징(151) 내부에는 배터리(153)를 둘러싸도록 완충재(155)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모듈(150)에 사용되는 배터리(153)는 리튬 이온 배터리(153)로서 외부 충격시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배터리(153)를 보호하기 위해 완충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완충재(155)는 방염 재질의 탄소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의 고소작업대(10)에서의 작업이 용접 작업인 경우 용접 과정에서 비산 불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비산 불티가 후술할 하우징(151)의 개구된 방열부(157)를 통해 하우징(151)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배터리(153)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방염 재질의 완충재(155)를 구비하여 비산 불티와 배터리(153)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하우징(151)에는 방열을 위한 방열부(157)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부(157)는 하우징(15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방열을 위한 복수의 개구부일 수 있다. 방열부(157)는 배터리(153)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하우징(151) 외부로 방출시켜 배터리(153)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100)의 급전 케이블을 통한 급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100)의 프레임(130)의 내부에는 전원 케이블(17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LED(12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전 라인(131)이 구비될 수 있다.
배전 라인(131)은 LED(12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으로서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파손이나 합선의 위험이 있으므로, 배전 라인(131)을 프레임(130) 내부에 위치시켜 LED(120)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 외에 배전 라인(131)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배전 라인(131)의 파손이나 합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 6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100)는 체결 후크(190)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 후크(190)는 본체 플레이트(110)에 대략 'U'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본체 플레이트(110)가 고소작업대(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대(10)는 난간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난간에 체결 후크(190)를 체결시킴으로써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100)를 고소작업대(10)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즉,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100)는 고소작업대(10)의 이동 또는 작업자의 작업 과정 중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필요가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본체 플레이트(1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체결 후크(190)를 고소작업대(10)의 난간에 체결함으로써,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100)를 안정적으로 고소작업대(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체 플레이트(110)의 후면에는 댐퍼(Damper, 119)가 구비될 수 있다. 댐퍼(119)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본체 플레이트(110)의 후면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 플레이트(110)의 난간 체결시 본체 플레이트(110)와 난간이 부딪히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100)를 고소작업대(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공사 작업에서 고소작업대(10)가 사용 중임을 외부로 경고하여 협착 사고나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소작업대(10)의 이동중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뿐 아니라 배터리 모듈(150)을 구비하여 외부 전원 공급 없이 자체적으로 LED(120)에 전원 공급이 가능하므로 외부 전원의 위치 제약 없이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100)의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고소작업대
100: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
110: 본체 플레이트
113: 보강바
115: 스위치
116: 자성 결합부
117: 브라켓
119: 댐퍼
120: LED
130: 프레임
131: 배전 라인
150: 배터리 모듈
151: 하우징
152: 손잡이부
153: 배터리
155: 완충재
157: 방열부
170: 전원 케이블
190: 체결 후크

Claims (7)

  1. 고소작업대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작업중임을 경고하는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로서,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본체 플레이트;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어 빛을 발광하는 LED;
    상기 LED와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외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모듈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를 둘러싸도록 방염 재질의 완충재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이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는 자성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플레이트가 상기 고소작업대의 난간에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 플레이트에는 체결 후크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후면에는 상기 본체 플레이트와 상기 난간이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탄성 재질의 댐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방열을 위한 방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 케이블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상기 LED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전 라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
  7. 삭제
KR2020210001834U 2021-06-11 2021-06-11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 KR200496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834U KR200496549Y1 (ko) 2021-06-11 2021-06-11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834U KR200496549Y1 (ko) 2021-06-11 2021-06-11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971U KR20220002971U (ko) 2022-12-20
KR200496549Y1 true KR200496549Y1 (ko) 2023-02-23

Family

ID=84535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834U KR200496549Y1 (ko) 2021-06-11 2021-06-11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54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535Y1 (ko) * 2000-06-08 2000-11-15 주식회사터치아이 발광시이트를 이용한 안전용 간판
KR200435244Y1 (ko) 2006-09-04 2007-01-12 송재열 사고현장 처리를 위한 안내전광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781B1 (ko) 2018-12-03 2020-06-23 유남호 개선된 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535Y1 (ko) * 2000-06-08 2000-11-15 주식회사터치아이 발광시이트를 이용한 안전용 간판
KR200435244Y1 (ko) 2006-09-04 2007-01-12 송재열 사고현장 처리를 위한 안내전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971U (ko)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4474B2 (en) Robot system in which brightness of installation table for robot is changed
KR20180012292A (ko) 공유 영역으로의 출입 관리 시스템
US10557603B2 (en) Embedded platform lights
KR200496549Y1 (ko)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
KR102672339B1 (ko) 스티어링 휠 조립체
KR102501283B1 (ko) 다기능 장착 효율성 향상 공동주택용 배전선 트레이
JP6654995B2 (ja) 高所作業車用安全具
KR20180001423U (ko) 방폭용 엘이디 작업등
KR20230149282A (ko) 현수애자용 취부 확인장치
KR102125781B1 (ko) 개선된 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대
KR102536587B1 (ko) 고소작업대용 경고 장치
JP6000827B2 (ja) エレベータの照明装置
JP6355043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101508150B1 (ko) 건설 기계에 탑재되는 컨트롤러
CN106231886B (zh) 容纳电子感应加速器的屏蔽容器及集装箱/车辆检查设备
CN211712539U (zh) 一种新型agv叉车的货叉防撞装置
KR101805151B1 (ko) 차량용 비상 신호장치
BRPI0412042B1 (pt) Instalação de elevador com sistema elétrico de cabine integrado ao teto da cabine e processo de montagem de uma instalação de elevador
CN105731307A (zh) 一种指示叉车安全通过的照明装置
CN210662378U (zh) 一种电网继电保护设备检修维护照明装置
JP5672036B2 (ja) 車両後部構造
KR101412324B1 (ko) Led 조명장치가 형성된 가반형 용접로봇장치
KR20180111387A (ko) 안전 토우 보드
CN219158384U (zh) 适配插片式高空作业平台的超紧凑型围栏
JP6966267B2 (ja) 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