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7085A -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7085A
KR20110117085A KR1020117016516A KR20117016516A KR20110117085A KR 20110117085 A KR20110117085 A KR 20110117085A KR 1020117016516 A KR1020117016516 A KR 1020117016516A KR 20117016516 A KR20117016516 A KR 20117016516A KR 20110117085 A KR20110117085 A KR 20110117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ontroller
instrument panel
engine speed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6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7006B1 (ko
Inventor
박덕우
윤홍철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117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46Control of prime movers, e.g. depending on the hydraulic load of work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와 같은 건설중장비의 제어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엔진의 속도를 비상 제어할 수 있는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어 장치는, 조작 다이얼로부터 인가받은 조작값을 엔진 콘트롤러로 전달하여 엔진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비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엔진 회전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엔진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엔진 회전수에 대한 제어 알고리즘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어 작업자가 원하는 엔진 회전수를 선택 조작할 수 있는 계기판; 및 조작 다이얼이나 장비 콘트롤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계기판과 엔진 콘트롤러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스위칭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INGENCY CONTROLLING ENGINE ROTATIONAL SPEED OF HEAVY MACHINERY}
본 발명은 엔진 회전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기와 같은 건설중장비의 제어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엔진의 속도를 비상 제어할 수 있는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와 같은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종래 엔진 회전수 제어 장치에 대하여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 엔진 회전수 제어 장치에 따르면, 작업자는 엔진(4)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하여 수동으로 조작 다이얼(1)을 조작한다.
조작 다이얼(1)은 내부의 장비 콘트롤러(2) 및 엔진 콘트롤러(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된 값을 엔진(4) 측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종래 장비 콘트롤러(2)는 장비의 구동에 필요한 여러 구동 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엔진 콘트롤러(3)는 장비의 여러 구동 장치 중 엔진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조작 다이얼(1)은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값을 전압값으로 환산하여 장비 콘트롤러(2)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엔진 회전수 제어 장치는 작업자가 조작 다이얼(1)을 조작하면 장비 콘트롤러(2)에서는 해당 전압값을 인가받아 엔진 콘트롤러(3)에 지령을 내리고 조작 다이얼(1)을 조작한 값만큼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여 엔진(4)을 구동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엔진 회전수 제어 장치는 조작 다이얼(1)이나 장비 콘트롤러(2)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엔진 회전수에 대한 동작을 정상적으로 제어하지 못하게 되므로, 조작 다이얼(1)이나 장비 콘트롤러(2)를 변경하기 전까지 작업자가 조작을 하지 못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건설중장비에서 장비 콘트롤러나 다이얼 등의 제어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엔진의 속도를 비상 제어할 수 있는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는, 엔진의 회전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다이얼과, 상기 조작 다이얼로부터 인가받은 조작값을 엔진 콘트롤러로 전달하여 엔진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비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엔진 회전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엔진 회전수에 대한 제어 알고리즘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어 작업자가 원하는 엔진 회전수를 선택 조작할 수 있는 계기판; 및 상기 조작 다이얼이나 상기 장비 콘트롤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상기 계기판과 상기 엔진 콘트롤러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스위칭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계기판은, 상기 엔진 회전수에 대한 제어 알고리즘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상기 작업자가 원하는 엔진 회전수를 선택 조작할 수 있는 입력조작부; 및 상기 입력조작부를 통해 소정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소정 조작 신호에 해당하는 값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리드하여 상기 엔진 콘트롤러 측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그 외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장비 컨트롤러는,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조작 다이얼과 상기 계기판을 통한 엔진 회전수를 제어 가능하게 하되 상기 조작 다이얼과 상기 계기판 중 최종적으로 조작된 조작신호에 의해 엔진 회전수가 조절되도록 제어하고, 비정상에 의해 상기 연결 스위칭 수단이 조작된 경우에는 상기 계기판에서만 엔진 회전수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연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장비 콘트롤러 및 상기 다이얼 중 어느 하나가 이상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계기판과 상기 엔진 콘트롤러를 자동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연결 스위칭 수단은, 상기 계기판 또는 운전실에 별도로 마련되어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스위칭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계기판은 상기 장비 콘트롤러에도 추가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장비 컨트롤러와 상기 엔진 콘트롤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장비 컨트롤러와 상기 다이얼의 이상시 선택적으로 상기 장비 콘트롤러와 상기 엔진 콘트롤러의 연결을 끊어 상기 계기판과 상기 엔진 콘트롤러만 연결시키고, 상기 엔진 콘트롤러는 상기 장비 콘트롤러와 상기 계기판 모두와 연결된 경우 상기 장비 콘트롤러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준으로 구동하고, 상기 계기판과만 연결된 경우 상기 계기판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준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장비 콘트롤러 및 상기 다이얼 중 어느 하나가 이상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계기판과 상기 엔진 콘트롤러를 자동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스위칭 수단은, 상기 계기판 또는 운전실에 별도로 마련되어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스위칭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중장비의 제어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작업자가 전자식의 계기판을 이용하여 엔진을 비상 작동할 수 있으므로 건설중장비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계기판의 일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제어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계기판의 일 예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제어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본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제어 장치는 장비 콘트롤러가 외부의 조작 다이얼로부터 입력된 값을 인가받아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구성을 기본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제어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한 조작 다이얼(10)과 장비 콘트롤러(20), 엔진 콘트롤러(30), 계기판(40), 연결 스위칭 수단(50), 엔진(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작 다이얼(10)은 작업자가 원하는 엔진 회전수를 조작할 수 있도록 건설중장비의 운전실에 별도로 마련된다. 이러한 조작 다이얼(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식 레버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 각도에 따라 해당 엔진 회전수를 1000rpm, 1500rpm, 2000rpm, 2500rpm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값은 전압값으로 환산되어 장비 콘트롤러(20)에 인가된다.
이때, 조작 다이얼(10)을 통해 설정 가능한 엔진 회전수는 기설정된 일정 단위로 증가 및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테면, 1000rpm에서 1500rpm으로 500rpm씩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작게는 1rpm 단위로 그 설정 단위를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
장비 콘트롤러(20)는 건설중장비를 구동시키기 위한 여러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각종 콘트롤러를 모두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콘트롤러(20)는 조작 다이얼(10)을 통해 설정된 값을 인가받아 엔진 콘트롤러(30)로 전달하는데, 이때 조작 다이얼(10)로부터 인가받은 값은 조작 다이얼(10)에서 설정된 값을 환산한 전압값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전압값으로 엔진(60)을 구동시키기 위해 해당 엔진 콘트롤러(30)를 제어한다.
엔진 콘트롤러(30)는 장비 콘트롤러(20) 또는 계기판(40)으로부터 인가받은 설정값에 기초하여 엔진(6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연결 스위칭 수단(50)은 조작 다이얼(10)이나 장비 콘트롤러(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스위칭 동작에 따라 계기판(40)과 엔진 콘트롤러(3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결 스위칭 수단(50)은 운전자의 선택 조작에 의해 동작될 수 있고, 장비 콘트롤러(20) 및 조작 다이얼(10)의 오류시 동작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전자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기판(40)에 버튼 형태로 구비되거나 운전실에 별도로 마련되어 작업자의 선택 유무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연결 스위칭 수단(50)은 별도의 장비 콘트롤러(20) 및 조작 다이얼(10)의 오류를 탐지할 수 있는 구성요소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판(40)은 조작 다이얼(10)과 마찬가지로 건설중장비의 외부에 구비되어 엔진 회전수를 정상 동작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계기판(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스위칭 수단(50)의 동작에 따라 엔진 콘트롤러(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엔진 회전수에 대한 제어 알고리즘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어 작업자가 원하는 엔진 회전수를 선택 조작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계기판(40)은 작업자가 원하는 엔진 회전수를 선택 조작할 수 있는 조작 버튼(도 3의 41a, 41b)이 구비된 입력조작부(41)와, 엔진 회전수에 대한 제어 알고리즘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44), 입력조작부(41)를 통해 소정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소정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엔진 회전수 값을 저장부(44)로부터 리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42), 작업자가 입력조작부(41)를 통해 설정한 엔진회전수의 값, 현재 설정되어 있는 엔진 회전수의 값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엔진 회전수에 대한 제어 알고리즘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선 그래프에 기초하여 구축되어 있다.
직선 그래프는 분율에 따른 엔진 회전수의 값을 도시한 것으로, 엔진 작동에 있어 제어 가능한 최저 및 최고 엔진 회전수(A, B)가 존재하고, 이 최저 및 최고 엔진 회전수(A, B) 사이의 범위내에서 일정 분율 단위로 분류한 단계별 엔진 회전수 값들(A1 내지 A7)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입력조작부(41)를 통해 조작하게 되면 해당 조작값에 상응하는 단계별 엔진 회전수 값(A1 내지 A7)을 매칭시키는 알고리즘 방식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조절 가능한 엔진의 회전수가 500rpm 에서 1500rpm이라 가정하자. 그러면, 최저 엔진 회전수(A)는 500rpm이 되고, 최고 엔진 회전수(B)는 1500rpm이 된다. 이 사이의 범위를 0에서 100%로 매칭시키고, 분율을 10%로 분류하면 최저 엔진 회전수(A)의 다음 값들(A1, A2, A3,...)은 600rpm, 700rpm, 800rpm, ...(생략)..., 1300rpm, 1400rpm인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업/다운 버튼(41a, 41b)으로 구비된 입력조작부(41)를 이용하여 조작하게 되면, 제어부(42)에서 업/다운 버튼(41a, 41b)을 한번 조작할 때마다 정해진 분율만큼 증가 또는 감소시킨 엔진 회전수의 값을 저장부(44)로부터 리드하여 출력하게 된다. 출력된 엔진 회전수의 값은 엔진 콘트롤러(30)로 직접 전달되어 엔진의 구동을 정상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 작업자가 조작 다이얼(10)을 이용하여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였다가, 조작 다이얼(10)이나 장비 콘트롤러(20)와 같이 건설중장비의 제어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게 되면, 작업자가 연결 스위칭 수단(50)을 동작시켜 계기판(40)과 엔진 콘트롤러(3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계기판(40)에는 엔진 회전수에 대한 제어 알고리즘이 미리 구축되어 있어, 작업자가 입력조작부(41)를 통해 조작하면, 계기판(40)에서는 입력조작부(41)의 조작 버튼을 한번 동작할 때마다 해당하는 엔진 회전수의 값을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출력된 엔진 회전수의 값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엔진 콘트롤러(30)로 인가되어, 비상시 계기판(40)을 이용함으로써 엔진(60)을 정상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반드시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기판(40)이 장비 컨트롤러(20)와 엔진 컨트롤러(30)에 병렬로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스위칭 수단(5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연결 스위칭 수단(50)이 장비 콘트롤러(20)와 엔진 콘트롤러(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장비 콘트롤러(20)의 이상시 장비 콘트롤러(20)와 엔진 콘트롤러(30)의 연결을 끊어주는 기능을 한다. 이 경우, 엔진 콘트롤러(30)는 장비 콘트롤러(20)와 계기판(40) 모두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을 수 있게 되며, 두 구성요소에서 모두 신호가 들어올 경우 우선적으로 장비 콘트롤러(20)에 반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비 콘트롤러(20)도 계기판(40)과 조작 다이얼(10) 모두로부터 신호가 입력이 되며, 운전자가 계기판(40)과 조작 다이얼(10)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더라도 엔진 콘트롤러(30)로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장비 컨트롤러(20) 및 엔진 콘트롤러(30)는, 정상상태에서 조작 다이얼(10) 또는 계기판(40) 중 운전자가 선호하는 조작 장치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되 가장 최근에 조작된 장치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반으로 엔진 콘트롤러(30)가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비상시인 경우라면 계기판(40)에서만 엔진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해야 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장비 컨트롤러(20)는 비상시 계기판(40)을 통해 이상을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기능이 더 추가되어, 운전자에게 계기판(40)을 통해서만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안내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5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계기판(40)의 신호가 엔진 콘트롤러(30)로만 입력되는 점에 있다. 이 경우, 장비 콘트롤러(20)는 조작 다이얼(10) 및 계기판(4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중 어느 것을 우선으로 할 것인지를 판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장비 콘트롤러(20)의 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엔진 콘트롤러(30)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이며, 앞선 실시예들과는 달리 계기판(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연결스위칭 수단(50)을 이용하여 장비 콘트롤러(20)로 출력하거나, 엔진 콘트롤러(30)로 출력한다. 이 경우, 연결 스위칭 수단(50)은 앞선 실시예들과 같이 자동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해 스위칭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앞선 실시예들에 비해 장비 콘트롤러(20) 및 엔진 콘트롤러(30)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비상시 건설장비의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8)

  1. 엔진의 회전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다이얼과, 상기 조작 다이얼로부터 인가받은 조작값을 엔진 콘트롤러로 전달하여 엔진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비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엔진 회전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엔진 회전수에 대한 제어 알고리즘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어 작업자가 원하는 엔진 회전수를 선택 조작할 수 있는 계기판; 및
    상기 조작 다이얼이나 상기 장비 콘트롤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상기 계기판과 상기 엔진 콘트롤러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기판은, 상기 엔진 회전수에 대한 제어 알고리즘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상기 작업자가 원하는 엔진 회전수를 선택 조작할 수 있는 입력조작부; 및
    상기 입력조작부를 통해 소정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소정 조작 신호에 해당하는 값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리드하여 상기 엔진 콘트롤러 측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콘트롤러는,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조작 다이얼과 상기 계기판을 통한 엔진 회전수를 제어 가능하게 하되 상기 조작 다이얼과 상기 계기판 중 최종적으로 조작된 조작신호에 의해 엔진 회전수가 조절되도록 제어하고, 비정상에 의해 상기 연결 스위칭 수단이 조작된 경우에는 상기 계기판에서만 엔진 회전수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장비 콘트롤러 및 상기 다이얼 중 어느 하나가 이상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계기판과 상기 엔진 콘트롤러를 자동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위칭 수단은, 상기 계기판 또는 운전실에 별도로 마련되어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스위칭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기판은 상기 장비 콘트롤러에도 추가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장비 컨트롤러와 상기 엔진 콘트롤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장비 컨트롤러와 상기 다이얼의 이상시 상기 장비 콘트롤러와 상기 엔진 콘트롤러의 연결을 끊어 상기 계기판과 상기 엔진 콘트롤러만 연결시키고,
    상기 엔진 콘트롤러는 상기 장비 콘트롤러와 상기 계기판 모두와 연결된 경우 상기 장비 콘트롤러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준으로 구동하고, 상기 계기판과만 연결된 경우 상기 계기판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준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장비 콘트롤러 및 상기 다이얼 중 어느 하나가 이상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계기판과 상기 엔진 콘트롤러를 자동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스위칭 수단은, 상기 계기판 또는 운전실에 별도로 마련되어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스위칭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
KR1020117016516A 2008-12-24 2009-12-22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 KR101627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33589 2008-12-24
KR1020080133589 2008-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085A true KR20110117085A (ko) 2011-10-26
KR101627006B1 KR101627006B1 (ko) 2016-06-03

Family

ID=4228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6516A KR101627006B1 (ko) 2008-12-24 2009-12-22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52495B2 (ko)
EP (1) EP2390425B1 (ko)
KR (1) KR101627006B1 (ko)
CN (1) CN102264983B (ko)
BR (1) BRPI0918303B1 (ko)
WO (1) WO201007449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5516A1 (ko) * 2012-01-30 2013-08-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KR20150033031A (ko) * 2013-09-23 2015-04-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엔진회전수 비상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116B1 (ko) * 2011-01-24 2017-05-1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중장비의 운행정보 기록장치
US9551284B2 (en) * 2013-04-04 2017-01-24 Doosan Infracore Co., Lt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struction equipment eng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6949483B2 (ja) * 2016-12-22 2021-10-1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1884A (ja) * 1997-08-22 1999-03-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ワイパ駆動装置
JP2000354080A (ja) * 1999-04-09 2000-12-19 Komatsu Ltd 電子装置間の通信制御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建設機械、建設機械の電子回路
KR20010071427A (ko) * 1999-04-19 2001-07-28 세구치 류이치 건설기계용 캐브
KR20030004695A (ko) * 2001-07-06 2003-01-15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굴삭기의 유압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26132A1 (fr) * 1996-12-12 1998-06-18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Dispositif de commande d'engin de construction
KR101258721B1 (ko) * 2006-12-09 2013-04-2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디지털 가버너 제어장치
JP5074086B2 (ja) * 2007-04-26 2012-11-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車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1884A (ja) * 1997-08-22 1999-03-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ワイパ駆動装置
JP2000354080A (ja) * 1999-04-09 2000-12-19 Komatsu Ltd 電子装置間の通信制御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建設機械、建設機械の電子回路
KR20010071427A (ko) * 1999-04-19 2001-07-28 세구치 류이치 건설기계용 캐브
KR20030004695A (ko) * 2001-07-06 2003-01-15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굴삭기의 유압제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5516A1 (ko) * 2012-01-30 2013-08-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US9581090B2 (en) 2012-01-30 2017-02-28 Doosan Infracore Co., Ltd. Engine control unit for construction machinery
KR101879874B1 (ko) * 2012-01-30 2018-07-1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KR20150033031A (ko) * 2013-09-23 2015-04-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엔진회전수 비상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4494A2 (ko) 2010-07-01
EP2390425A4 (en) 2014-05-07
BRPI0918303B1 (pt) 2019-04-09
CN102264983A (zh) 2011-11-30
CN102264983B (zh) 2013-11-13
EP2390425A2 (en) 2011-11-30
WO2010074494A3 (ko) 2010-09-23
US20110264338A1 (en) 2011-10-27
BRPI0918303A2 (pt) 2016-09-06
EP2390425B1 (en) 2016-09-07
US8452495B2 (en) 2013-05-28
KR101627006B1 (ko) 2016-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0469B2 (en) Display controller for display device of vehicle
KR20110117085A (ko)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
US9165459B2 (en) Radio control transmitter
KR101879874B1 (ko)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US20070156280A1 (en) Crane
JPH09296482A (ja) 油圧式建設機械の操作方式選択装置及び方法
JP3053942B2 (ja) クレーンモータの制御方法
EP2949819A1 (en) Driving control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
KR100952934B1 (ko)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
JP5109198B2 (ja) 産業車両用データ通信システムの動作切替装置
US6614196B1 (en) Vehicle with running mechanism and lifting mechanism
CN102866724B (zh) 电子设备及其调节方法
KR20070079457A (ko) 토크모터 구동장치
JP4700596B2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3254137A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4201730B2 (ja) バルブポジショナ及びこれを備えたバルブ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
JP4466435B2 (ja) 自走式作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4000873B2 (ja) サーボ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239590B2 (ja) 作業車両の変速装置
JP5775431B2 (ja) 産業車両用データ通信システムのモード切替装置
JPH11280701A (ja) 油圧制御装置
JP4484916B2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2285970A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2128499A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KR20060068128A (ko) 크롤라 굴삭기의 주행속도제어장치 및 주행속도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