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934B1 -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934B1
KR100952934B1 KR1020090119892A KR20090119892A KR100952934B1 KR 100952934 B1 KR100952934 B1 KR 100952934B1 KR 1020090119892 A KR1020090119892 A KR 1020090119892A KR 20090119892 A KR20090119892 A KR 20090119892A KR 100952934 B1 KR100952934 B1 KR 100952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axis
stage device
uni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현
Original Assignee
대아공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아공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아공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9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Abstract

통신망(인터넷, 기타 등)을 통해 원격에 설치된 무대 기기의 제어가 가능토록 하고, 일축 제어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기존 다축 제어 방식에서 축 제어 컨트롤러의 문제발생시 무대 기기의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은, 입력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 축 제어명령을 이더넷 통신을 통해 직접 전송하는 메인 서버와; 상기 메인 서버와 이더넷으로 연결되고, 각각 할당된 이더넷 IP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메인 서버에서 전송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연결된 단일의 축만 제어하는 축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축 제어장치는, 연결된 하나의 축만을 제어하는 일축 제어모듈이 복수 구비되어, 일부 축 제어 컨트롤러의 장해발생시에도 무대 기기의 제어가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무대 기기 제어, 일축 제어모듈, 축 제어장치, 원격 제어, 인터넷

Description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STAGE DEVIC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무대 기기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망(인터넷, 기타 등)을 통해 원격에 설치된 무대 기기의 제어가 가능토록 하고, 일축 제어 방식(1:1 제어)을 이용하여 기존 다축 제어 방식(1: 다 제어)에서 축 제어 컨트롤러의 문제발생시 무대 기기의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대 기기 제어 장치는 공연시설의 무대에 설치된 상부무대의 각종 바튼(batten)이나 하부무대의 리프트, 웨곤 등의 무대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무대 기기 제어 장치는 특정 무대 공연장을 대상으로 이미 확정 및 고정되어 있는 수량의 무대 기기들을 맞춤식으로 배열하고, 공연시마다 공연장에 맞추어 프로그램된 기능에 따라 제어가 이루어진다.
주지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종래의 무대 기기 제어장치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91210호(발명의 명칭: 무대 기기 제어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대 기기 제어장치는,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제어장치,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다축 제어 방식으로 제어하는 다축 제어모듈, 상기 다축 제어모듈과 연결되어 전송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여 무대 기기를 구동시키는 인크리멘탈 엔코더(incremental encoder), 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을 상기 다축 제어모듈에 전송하기 위한 스위칭 허브 등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무대 기기 제어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장치에서 이를 수신하고, 제어 데이터로 만들어 다축 제어모듈에 전송하게 되고, 다축 제어모듈에서는 수신한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할 인크리멘탈 엔코더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인크리멘탈 엔코더에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여 해당 무대 기기가 사용자의 요청에 부응하여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종래의 무대 기기 제어장치는, 하나의 다축 제어모듈에 복수의 무대 기기를 접속하고, 상기 다축 제어모듈에서 전송되는 제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IP 어드레스 등을 통해 제어할 무대 기기를 선택하고, 이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무대 기기 제어장치는 다축 제어모듈의 내부에 구현된 컨트롤러의 장애시 그에 연동하는 무대 기기를 전부 제어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무대 기기 제어장치는, 위치 호이스트(POINT HOIST)를 제어하는 엔코더(encoder)가 인크리멘탈 엔코더를 사용함으로써, 동작이 일시 정지되거나 전원 오프 후 다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현재 위치를 알 수 없어, 처음부터 다시 동작을 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인크리멘탈 엔코더는 일반적으로 출력 선이 A상, B상, Z상이 있으며, 사양에 따라서 분해능 및 출력방식(라인드라이브 출력방식, 오픈 컬렉터 출력방식, 기타 등) 등이 달라진다. 인크리멘탈은 말 그대로 증가형이므로, 출력신호 그 차제로 엔코더의 회전 위치를 알 수가 없다. 예를 들어, 400 펄스 분해능의 인크리멘탈 엔코더를 사용시 로터리 엔코더 1회전 동안 A상 B상에서 400펄스가 출력되는 것이므로, 말 그대로 1회전에 400펄스가 출력되는 것이다. 단 A상과 B상은 90°위상 차를 갖고 출력된다, 정회전시 A상이 먼저 출력되고 A상의 1/2위치에서 B상이 출력된다. Z상은 로터리 엔코더가 1 회전시 딱 한 번의 신호만 출력된다, Z상은 기구적인 원점을 찾을 때 기준이 되는 신호로 주로 사용된다.
결론적으로 인크리멘탈 엔코더는 그냥 A와 B상이 위상 차를 갖고 펄스만을 출력하기 때문에 절대 위치를 알 수 없어, 동작이 일시 정지되거나 전원 오프 후 다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현재 위치를 알 수 없어, 처음부터 다시 동작을 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은, 제어 장치와 다축 제어모듈 사이에 제어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스위칭 허브를 부가함으로써,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하고, 스위칭 허브의 적용으로 제작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무대 제어 기기장치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축 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호이스트를 제어함으로써, 일부 축 제어 컨트롤러의 장해발생시에도 무대 기기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통신망(인터넷, 기타 등)을 통해 원격에 설치된 무대 기기의 제어가 가능토록 한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절대 위치 엔코더의 사용으로 동작이 일시정지되거나 전원 오프 후 재기동시키는 경우에도 절대 위치(현재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한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메인 서버에서 축 제어장치를 이더넷 통신을 통해 직접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에 필수적으로 구현된 스위칭 허브 등을 제거하여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을 간소화하고, 원가 절감이 가능토록 한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은,
입력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 축 제어명령을 이더넷 통신을 통해 직접 전송하는 메인 서버와;
상기 메인 서버와 이더넷으로 연결되고, 각각 할당된 이더넷 IP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메인 서버에서 전송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연결된 단일의 축만 제어하는 축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은,
상기 메인 서버와 인터넷을 통해 원격 접속하거나 이더넷을 통해 직접 접속하고, 저장된 공연 순서에 따라 원격에서 무대 기기 제어 데이터를 상기 메인 서버에 전송하는 복수의 콘솔(console)을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콘솔과 상기 메인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허브(hu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서버는,
제어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해 메인 제어장치와 서브 제어장치의 이중화로 구현하고, 상기 메인 제어장치 및 서브 제어장치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제어명령을 축 제어장치에 직접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은,
상기 축 제어장치의 축 제어에 따라 연결된 위치 호이스트의 속도 및 위치를 제어하는 엔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는,
동작이 일시정지되거나 전원 오프 후 재기동시키는 경우에도 절대 위치(현재 위치)를 인지할 수 있는 절대 위치 엔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은,
상기 일축 제어모듈과 일 대 일로 접속되어 엔코더에 연결된 모터를 동작시키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축 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호이스트를 제어함으로써, 일부 축 제어 컨트롤러의 장해발생시에도 무대 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망(인터넷, 기타 등)을 통해 원격에 설치된 무대 기기의 제어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무대 기기가 설치된 현장에서 직접 제어하는 것에 비하여 무대 기기 제어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절대 위치 엔코더의 사용으로 동작이 일시정지되거나 전원 오프 후 재기동시키는 경우에도 절대 위치(현재 위치)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서버에서 축 제어장치를 이더넷 통신을 통해 직접 제어함으로써, 기존 무대 기기 제어 시스템에서 스위칭 허브 등을 이용하는 구성에 비하여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스위칭 허브와 같은 통신 장비의 제거로 시스템 구현을 위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메인 콘솔(110), 무빙 콘솔(120), 휴대용 콘솔(130), 복수의 허브(141)(142), 메인 서버(150), 축 제어장치(160), 인버터부(170), 모터부(180), 엔코더부(190)로 구성된다.
메인 콘솔(110)은 상기 메인 서버(150)와 통신망을 통해 원격 접속하거나 이더넷을 통해 직접 접속하고, 저장된 공연 순서에 따라 원격에서 무대 기기 제어 데이터를 상기 메인 서버(15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망은 원격 제어일 경우 인터넷 망일 수 있으며, 근접 제어일 경우 이더넷(ETHERNET) 통신일 수 있다.
메인 콘솔(1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연 순서 등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11), 조이스틱, 비상정지 푸시버튼, 전원 스위치, 속도 조절용 슬라이딩 볼륨 저항, 입력 장치인 터치스크린 등이 구비된 입력부(112), 디스플레이인 표시부(114), 상기 메인 서버(150)의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거나 인터넷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15), 그리고 콘솔 전체 동작을 컨트롤하며 무대 기기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콘솔 제어부(113)를 포함한다.
무빙 콘솔(120)은 상기 메인 콘솔(11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되, 이동장치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콘솔장치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허브(HUB)(141)(142)는 상기 복수의 콘솔(110)(120)(130)과 메인 서버(150) 간의 송수신 데이터를 상호 인터페이스 해주는 역할을 한다. 2개의 허브를 이용하 는 것도 시스템의 안정화를 위해 이중화로 구현한 것이다.
메인 서버(150)는 무대 기기가 설치된 곳에 위치하며, 축 제어장치(160) 내의 일축 제어모듈(161)에 직접 축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제로 축 제어장치(160) 내에는 많은 수의 일축 제어모듈이 구비되지만,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일축 제어모듈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메인 서버(150)는 메인 제어장치(151)와 서브 제어장치(152)와 같이 이중화로 구현되어, 어느 일 측의 동작 중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축 제어모듈 간의 통신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정상 동작이 가능한 측이 무대 기기 제어 시스템을 제어한다.
메인 제어장치(15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무대 기기 제어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이 프로그램 동작 중 작성된 공연 파일 및 하드웨어 등록 정보(예를 들어, 일축 제어모듈 개수, 네트워크 IP, 송수신 데이터 어드레스 매핑)를 저장하는 메모리(151a),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각종 키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무대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터치 스크린 입력장치, 키보드, 조이스틱, 마우스, 볼륨 저항기 등을 구비한 입력부(151b), 무대 기기의 감시 결과를 표시하거나 제어 상황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51c)를 포함한다. 표시부(151C)는 구체적으로 공연 중 무대 기기의 동작 상태 표시를 위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며, 공연 파일과 무대 기기 에러 정보 및 각종 통계나 기록 장치, 무대 기기 등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게 된다.
아울러 메인 제어장치(151)는 메인 제어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무대 기기 동작을 위한 각종 키 신호가 입력되면, 이 키 신호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더넷 통신부(151f)를 통해 축 제어장치(160)로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151d), 서브 제어장치(152)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RS-485 통신부(151e), 이더넷 통신을 통해 축 제어장치(160)에 직접적으로 무대 기기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이더넷 통신부(151f)를 포함한다. 여기서 RS-485 통신부(151e)를 통해 무대 기기 제어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이 프로그램이 동작중에 작성된 공연 파일 및 하드웨어 등록 정보를 서브 제어장치(152)로 전송하게 된다.
서브 제어장치(15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무대 기기 제어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이 프로그램 동작 중 작성된 공연 파일 및 하드웨어 등록 정보(예를 들어, 일축 제어모듈 개수, 네트워크 IP, 송수신 데이터 어드레스 매핑)를 저장하는 메모리(152a),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각종 키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무대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터치 스크린 입력장치, 키보드, 조이스틱, 마우스, 볼륨 저항기 등을 구비한 입력부(152b), 무대 기기의 감시 결과를 표시하거나 제어 상황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52c)를 포함한다. 표시부(152C)는 구체적으로 공연 중 무대 기기의 동작 상태 표시를 위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며, 공연 파일과 무대 기기 에러 정보 및 각종 통계나 기록 장치, 무대 기기 등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게 된다.
아울러 서브 제어장치(152)는 메인 제어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무대 기기 동작을 위한 각종 키 신호가 입력되면, 이 키 신호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더넷 통신부(152f)를 통해 축 제어장치(160)로 전송하는 서브 제어부(152d), 메인 제어장치(151)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RS-485 통신부(152e), 이더넷 통신을 통해 축 제어장치(160)에 직접적으로 무대 기기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이더넷 통신부(152f)를 포함한다. 여기서 RS-485 통신부(152e)를 통해 무대 기기 제어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이 프로그램이 동작중에 작성된 공연 파일 및 하드웨어 등록 정보를 메인 제어장치(151)로 전송하게 된다.
축 제어장치(160)는 상기 메인 서버(150)와 이더넷으로 연결되고, 각각 할당된 이더넷 IP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메인 서버(150)에서 전송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연결된 축을 제어하게 되는 데, 이러한 축 제어장치(160)의 내부에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일축 제어모듈(161)이 복수로 구비되어, 하나의 일축 제어모듈(161)이 하나의 축만을 제어하도록 구현된다.
인버터부(170)는 상기 축 제어장치(160) 내의 일축 제어모듈과 일 대 일로 접속되어 연결된 모터(181)를 동작시키는 복수의 인버터(171)가 구비된다.
엔코더부(190)는 상기 축 제어장치(160)의 축 제어에 따라 연결된 위치 호이스트(POINT HOIST)의 속도 및 위치를 제어하는 엔코더(encoder)(191)를 구비한다. 여기서 엔코더부(190) 내에는 상기 엔코더(191)와 동일한 구성 및 동일한 작용을 하는 복수의 엔코더가 구비되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엔코더(191)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엔코더(191)는 동작이 일시정지되거나 전원 오프 후 재기동시키는 경우에도 절대 위치(현재 위치)를 인지할 수 있는 절대 위치 엔코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이 설치된 현장에서 무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메인 서버(150)와 다수의 콘솔(110)(120)(130)을 이더넷 통신으로 연결하고, 이와는 달리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이 설치된 현장이 아닌 다른 지역(원격)에서 무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콘솔(110)(120)(130)을 인터넷으로 상기 메인 서버(150)에 연결하면 된다.
이렇게 인터넷으로 메인 콘솔(110)을 메인 서버(150)에 연결하여 제어를 하게 되면, 예를 들어 무대 기기 시스템이 특정 지역(예를 들어, 지방)에 설치된 상태에서 현재 위치(예를 들어, 서울)에서 무대 기기가 설치된 지역까지 이동할 필요없이 현재 위치에서 편리하게 지방에 설치된 무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특히, 무대 기기 운영 프로그램이 변경된 경우에, 기존에는 메인 서버(150)에 직접 통신을 연결하여 변경된 운영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상기와 같이 원격 제어가 가능하면 인터넷을 통해 운영 프로그램을 원격에서 메인 서버(150)에 업그레이드 가능한 장점이 있다.
메인 콘솔(110)에 구비된 입력부(112)에는 무대 기기에 구비된 구동부의 인버터를 통한 모터의 속도 제어용 속도 조절 레버, 조그 스틱, 비상 정지 버튼 등이 구비되어, 편리하게 사용자의 조작을 도모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있어 화면상에서 편리하게 무대 기기의 제어가 가능하다.
메인 콘솔(110)의 표시부(114)는 현재 제어하고 있는 무대 기기의 상태라든지 제어 현황 등을 화면에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가 무대 기기 제어시 현장에서 무대 기기의 상태를 확인하지 않고서도 마치 현장에서 무대 기기를 육안으로 보면서 제어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메인 콘솔(110)에서 출력되는 제어 데이터는 허브(141)를 통해 메인 서버(150)에 제공되며, 메인 서버(150)의 메인 제어장치(151)는 메인 콘솔(110)에서 제공된 공연 파일 및 하드웨어 등록 정보에 따라 공연 중 동작 제어하고자 하는 무대 기기의 노드 어드레스와 이 무대 기기와 연결된 일축 제어모듈의 이더넷 어드레스를 읽어 이더넷 통신부(151f)를 이용하여 제어명령과 함께 축 제어장치(160)에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메인 제어장치(151) 자체에 장애가 발생하면, 서브 제어장치(152)가 RS-485 통신부(151e)(152e)를 통해 상기 공연 파일 및 하드웨어 등록 정보를 메인 제어장치(151)로부터 전송받거나 메인 콘솔(110)로부터 직접 받아 무대 기기를 직접 제어하게 된다.
즉, 메인 제어장치(151) 자체에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또는 축 제어장치(160)와 메인 제어장치(151) 간의 통신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서브 제어장치(152)는 메인 제어장치(151) 또는 메인 콘솔(110)로부터 무대 기기 제어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이 프로그램 동작 중 작성된 공연 파일(QUE) 및 하드웨어 등록 정보 예를 들어, 일축 제어모듈의 개수, 네트워크 IP, 송수신 데이터 어드레스 매핑을 서브 제어장치(152)로 전송한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 제어장치(151) 자체에 또는 일축 제어모듈 간 통신 선로 상에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뿐만 아니라 공연 개시 전이나 공연 중에도 상기한 각종 데이터를 서로 공유하여 장애 발생시 즉각적으로 대응한다.
축 제어장치(160)는 내부의 이더넷 통신부(161a)를 통해 제어 데이터가 입력되면, 내부의 인터페이스기(161b)를 통해 이더넷 통신에 적합한 포맷으로 제어 데이터를 변환한다.
일축 제어모듈(161)의 제어 위치 산출기(161c)는 변환된 제어 데이터의 노드 어드레스를 통해 기 할당된 노드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여, 이때 노드 어드레스가 일치하면 제어 데이터의 제어명령에 따라 모터 등을 구동시킨다.
여기서 제어위치 산출기(161c)는 모터 등을 구동시키기 이전에 연결된 절대 위치 엔코더(191)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위치 정보에 따라 모터 등의 구동을 위한 회전속도 및 회전시간 정보 등을 산출한 후, 모터 구동기(161d)를 통해 모터 등을 구동시키게 된다. 기존의 무대 기기 제어 시스템에 적용된 엔코더는 증가형 엔코더이므로, 동작이 완료되거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 위치를 초기화시키고 제어를 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은 절대 위치 엔코더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소한의 모터 동작으로 항상 최적화된 제어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현재 위치 정보를 알고 있다면, 전체 제어량에서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제어량을 감산하고, 나머지 이동량에 대해 서만 모터 회전속도 및 시간 등을 제어함으로써, 더욱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무대 기기(예를 들어, 포인트 호이스트)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포인트 호이스트는 무대 시스템에서 배경 화면 등을 올리거나 내리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무대 기기이다.
주지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축 제어모듈(161)을 통해서 하나의 축에 대해서만 제어가 가능하므로, 연결된 하나의 포인트 호이스트만을 구동시키게 되고, 따라서 일부의 일축 제어모듈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나머지 일축 제어모듈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일부 일축 제어모듈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무대 기기를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무대 기기의 제어는, 기존과 같이 인버터(171)가 구동을 하고, 그에 연결된 모터(181)가 동작을 하며, 절대 위치 엔코더(191)가 동작을 하여 포인트 호이스트를 구동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서버(150)에서 축 제어장치(160)를 이더넷 통신을 통해 직접 제어하는 방식이므로, 기존 무대 기기 제어 시스템에서 스위칭 허브 등을 이용하는 구성에 비하여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과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스위칭 허브와 같은 통신 장비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한번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어 속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제어 데이터의 전송 오류 등을 제거할 수 있어, 정확한 제어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 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메인 콘솔의 실시 예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메인 서버의 실시 예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메인 콘솔
150… 메인 서버
151… 메인 제어장치
152… 서브 제어장치
160… 축 제어장치
161… 일축 제어모듈
190… 엔코더부
191… 절대 위치 엔코더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무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 축 제어명령을 이더넷 통신을 통해 직접 전송하는 메인 서버와;
    상기 메인 서버와 이더넷으로 연결되고, 각각 할당된 이더넷 IP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메인 서버에서 전송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연결된 단일의 축만 제어하는 축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서버는,
    무대 기기 제어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해 메인 제어장치와 서브 제어장치의 이중화로 구현하고, 상기 메인 제어장치 및 서브 제어장치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제어명령을 상기 축 제어장치에 직접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기기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 제어장치는,
    연결된 하나의 축만을 제어하는 일축 제어모듈이 복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기기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 제어장치의 축 제어에 따라 연결된 포인트 호이스트의 속도 및 위치를 제어하는 엔코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부는,
    동작이 일시정지되거나 전원 오프 후 재기동시키는 경우에도 절대 위치(현재 위치)를 인지할 수 있는 절대 위치 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축 제어모듈은,
    이더넷 통신을 통해 제어 데이터를 메인 서버로부터 직접 입력받기 위한 이더넷 통신부;
    상기 이더넷 통신부로 입력받은 제어 데이터를 이더넷 통신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기;
    상기 변환한 제어 데이터의 노드 어드레스를 통해 기 할당된 노드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여, 노드 어드레스가 일치하면 연결된 절대 위치 엔코더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위치 정보에 따라 모터의 구동을 위한 회전속도 및 회전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 위치 산출기;
    상기 제어 위치 산출기에서 산출된 모터 제어 값으로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
KR1020090119892A 2009-12-04 2009-12-04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 KR100952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892A KR100952934B1 (ko) 2009-12-04 2009-12-04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892A KR100952934B1 (ko) 2009-12-04 2009-12-04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2934B1 true KR100952934B1 (ko) 2010-04-16

Family

ID=4221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892A KR100952934B1 (ko) 2009-12-04 2009-12-04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9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851B1 (ko) * 2010-08-17 2011-02-22 주식회사 석화디자인 보조 다축 제어장치가 구비된 무대시설 제어시스템
KR101372528B1 (ko) * 2013-07-24 2014-03-11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무대전용 축제어시스템
KR101704480B1 (ko) * 2016-07-22 2017-02-10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 기기 제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527A (ko) * 1991-11-25 1993-06-22 와다 요시히로 조사를 이용한 표면상태 검사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00538A (ko) * 2001-12-05 2002-01-05 이정욱 이더넷을 이용한 무선로봇의 원격제어 시스템
KR20040011591A (ko) * 2004-01-17 2004-02-05 김권영 양방향 텔레비전 방송을 위한 무대장치 시스템 및 그를이용한 방송 프로그램 진행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527A (ko) * 1991-11-25 1993-06-22 와다 요시히로 조사를 이용한 표면상태 검사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00538A (ko) * 2001-12-05 2002-01-05 이정욱 이더넷을 이용한 무선로봇의 원격제어 시스템
KR20040011591A (ko) * 2004-01-17 2004-02-05 김권영 양방향 텔레비전 방송을 위한 무대장치 시스템 및 그를이용한 방송 프로그램 진행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851B1 (ko) * 2010-08-17 2011-02-22 주식회사 석화디자인 보조 다축 제어장치가 구비된 무대시설 제어시스템
KR101372528B1 (ko) * 2013-07-24 2014-03-11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무대전용 축제어시스템
KR101704480B1 (ko) * 2016-07-22 2017-02-10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 기기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2623B2 (en) Remotely operated mobile robot and robot control system
KR101047175B1 (ko) 무대장치 제어시스템
KR100891210B1 (ko) 무대 기기 제어 시스템
JP6477319B2 (ja) プラント制御システム
KR100952934B1 (ko) 무대 기기 제어시스템
KR100964070B1 (ko) 제어기의 이중화 장치
CN104965466A (zh) 一种直流电机控制教学实验系统
KR101272464B1 (ko) 무대장치 제어시스템
KR101372528B1 (ko) 무대전용 축제어시스템
US8452495B2 (en) Emergency engine RPM control apparatus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KR101016851B1 (ko) 보조 다축 제어장치가 구비된 무대시설 제어시스템
JP5223971B2 (ja) プラント制御システム
KR100505692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고장 진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8959252B2 (en) Method for configuring a field device and corresponding system for parameterization
CN104535303A (zh) 一种执行机构部分行程与寿命的测试装置及方法
CN116893341A (zh) 步进电机驱动器与步进电机测试方法、系统、设备及介质
KR100954158B1 (ko) 무대 연출용 콘솔의 무대 기기 제어방법
KR20100001414A (ko) 개방형 원격 제어 구동 방식을 적용한 개방형 모션 제어방법 및 시스템
JP2018167924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調整システム、携帯端末機器
RU91998U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оприводами грузоподъемного механизма
WO2020248160A1 (zh) 可移动平台的编码器的故障检测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101489531B1 (ko) Cpp 추진 제어 시스템의 메인 엔진 rpm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9260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securing the operation of a robot system controlled by a mobile operating device
KR20160096398A (ko) 티칭 펜던트를 이용한 이종 로봇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H033295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