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980A - 다림추 유지기 - Google Patents

다림추 유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980A
KR20110115980A KR1020110035104A KR20110035104A KR20110115980A KR 20110115980 A KR20110115980 A KR 20110115980A KR 1020110035104 A KR1020110035104 A KR 1020110035104A KR 20110035104 A KR20110035104 A KR 20110035104A KR 20110115980 A KR20110115980 A KR 20110115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case
iron weight
ir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유키 타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빠덴도아이란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빠덴도아이란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빠덴도아이란드
Publication of KR20110115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10Plumb l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2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a single pendulum plumb lines G01C15/1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다림추용 실(2)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다림추 유지기(1)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림추 유지기는, 케이스(10)에, 다림추의 추체를 매다는 다림추용 실(2)을 권취하는 실패(20)가 내장되고, 다림추용 실(2)이, 실패(20)에 부착된 리더(22)의 선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리더(22)와 다림추용 실(2)의 결합부가 케이스(10)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다림추용 실(2)이 리더(22)를 통해 실패(20)에 연결부착되어 있으므로, 다림추용 실(2)과 리더(22)와의 결합부를 케이스(10)의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케이스(10)를 분해하지 않더라도 다림추용 실(2)의 교환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다림추 유지기{PLUMB BOB SETTER}
본 발명은, 건축 시공에 있어서 수평면에 대한 시공부의 연직성(鉛直性) 확인이나 그라운드 마크 라인(ground mark line)을 맞추기 위한 다림추를 매달아 지지하는 다림추 유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다림추 유지기로서, 예컨대 하기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은 것들이 공지되어 있다. 즉, 이러한 종류의 다림추 유지기는, 선단에 추체(錘體)를 연결부착시킨 다림추용 실을 권취하는 실패를 수납한 케이스에, 상기 케이스를 건축물에 있어서의 목재부분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설치바늘과, 상기 케이스를 철골기둥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마그넷이 부착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실패로부터 인출되는 다림추용 실은, 케이스 내에 설치된 복수의 핀을 지그재그로 경유함으로써 적당한 마찰저항이 부여되며, 실패에 내장된 태엽(spiral spring)에 의한 권취방향의 가압력과, 추체의 중량과, 상기 마찰저항 간의 밸런스에 의해, 다림추용 실을 원하는 인출길이로 고정하여 추체를 매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5-326254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2-98533호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공보 H9-126779호
이러한 종류의 다림추에 의한 연직측정작업 등에 있어서는, 그 때마다, 상대부재에 고정된 다림추 유지기의 케이스 내의 실패로부터 다림추용 실을 인출하여 추체를 매달고, 작업이 종료되면 다림추용 실을 권취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다림추용 실이 케이스 내에 설치된 복수의 핀을 지그재그로 경유하여 인출되거나 혹은 권취되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이러한 핀과의 마찰로 인해 다림추용 실이 마모된다. 따라서, 다림추용 실은 적당한 시기에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다림추 유지기에 의하면, 다림추용 실을 교환할 때에는, 예컨대 복수의 비스(vis)를 풀어 케이스를 분해하고, 상기 케이스 내의 실패를 권취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태엽의 가압력을 해제하여, 케이스로부터 실패를 꺼내고 이 실패에 감겨진 낡은 다림추용 실을 제거하는 동시에, 새로운 다림추용 실을 연결부착시켜 감고, 다시 실패를 케이스에 내장시킨 후 복수의 비스에 의해 케이스를 재조립하게 되는데, 케이스 내부에는 실패 이외에도, 설치바늘이나 마그넷, 상기 설치바늘을 그 후퇴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 등이 내장되어 있으며, 게다가, 실패에 대한 다림추용 실의 권취방향에 오류가 있으면, 실패로부터 다림추용 실을 인출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다림추용 실은 실패의 외주(外周)로부터 케이스 내의 복수의 핀을 지그재그로 경유하여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기 때문에, 일단 다림추 유지기를 분해하여 다림추용 실을 교환한 뒤 원래대로 재조립하는 작업이 번잡하고, 비스 등의 자잘한 부품을 분실할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기술적인 과제는, 다림추용 실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다림추 유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른 다림추 유지기는, 케이스와, 다림추의 추체를 매다는 다림추용 실을 권취(卷取)하는 실패와, 상기 실패를 권취방향으로 가압하여 인출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힘이 축적되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다림추용 실이, 상기 실패에 부착된 리더의 선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리더와 다림추용 실의 결합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른 다림추 유지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리더가, 다림추용 실과의 결합부를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한 상태에서 케이스의 외부에 걸림고정이 가능한 피(被)걸림고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른 다림추 유지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케이스를 상대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설치바늘과, 상기 설치바늘에 설치된 피간섭부와 간섭함으로써 상기 설치바늘의 첨단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뜻하지 않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피간섭부와 스토퍼의 간섭이, 상기 설치바늘을 상대부재에 박아넣기 위한 소정 이상의 하중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른 다림추 유지기에 의하면, 다림추용 실이 리더를 통해 실패에 연결부착되어 있으므로, 다림추용 실과 리더와의 결합부를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케이스를 분해하지 않고서도 다림추용 실을 교환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른 다림추 유지기에 의하면, 다림추용 실의 교환시에, 리더와 다림추용 실과의 결합부를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한 상태에서 리더의 피걸림고정부를 케이스의 외부에 걸림고정시켜 두면, 리더가 스프링에 의해 권취방향으로 가압된 실패에 의해 뜻하지 않게 케이스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른 효과에 더하여, 다림추용 실의 교환이 한층 더 용이해진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른 다림추 유지기에 의하면,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른 효과에 더하여, 피간섭부와 스토퍼의 간섭에 의해, 설치바늘의 첨단이 케이스로부터 뜻하지 않게 튀어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설치바늘에 해당 설치바늘을 상대부재에 박아넣기 위한 소정 이상의 하중을 가하면, 상기 피간섭부와 스토퍼의 간섭상태가 해제되어, 설치바늘을 상대부재에 박아넣을 수 있으므로, 타격에 의해 상기 피간섭부와 스토퍼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림추 유지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의 내부 구조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림추 유지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리더와 다림추용 실의 결합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림추 유지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림추용 실의 인출경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림추 유지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고정부 및 그 근방부분을 나타낸 외관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림추 유지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설치바늘에 설치된 피간섭부가 스토퍼와 간섭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림추 유지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토퍼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림추 유지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림추용 실을 교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림추 유지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에서 참조부호 10은, 복수의 비스 구멍(11)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비스(도시 생략)에 의해 도시된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칭되게 조합되는 케이스로, 즉 도 1은, 한쪽의 케이스를 제거하여 내부를 노출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참조부호 20은, 케이스(10)에 내장되며 해당 케이스(10)에 형성된 축(12)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다림추용 실(2)을 권취하는 실패이며, 상기 실패(20)에 내장된 태엽(21)에 의해 상기 다림추용 실(2)의 권취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즉, 태엽(21)은 일단이 축(12)에 결합되는 동시에 타단이 실패(20)에 결합되며, 다림추용 실(2)의 인출방향으로 실패(20)가 회전함에 따라 축(12)에 감겨, 권취방향의 가압력이 축적되게 되어 있다.
다림추용 실(2)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더(22)를 통해 실패(20)에 연결부착되어 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리더(22)는, 실, 끈 또는 리본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일단(22a)이 실패(20)에 연결부착되어 있고, 그 반대측 단부를 되접어 결합하여 제 1 매듭(22b)을 형성함으로써, 이중으로 되어 있는 부분이 적당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중으로 되어 있는 부분의 중간에 제 2 매듭(22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의 되접혀진 폴딩부가 다림추용 실(2)과의 결합부(22d)로 되어 있어, 제 1 매듭(22b)과 제 2 매듭(22c)에 의해 고리를 이루는 부분이, 후술하는 외부 실걸이 핀(15)에 의한 피걸림고정부(22e)로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림추용 실(2)은, 그 일단을 리더(22) 선단의 결합부(22d)에 통과시킨 후 되접어 매듭(2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리더(2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결합부(2b))되어 있다. 환언하자면, 다림추용 실(2)은 리더(22)를 통해 실패(20)에 연결부착되어, 상기 실패(20)의 외주에 감기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 내에 가설된 복수의 실걸이 핀(13; 131∼133)에 접촉하여 구부러지도록 경유하면서, 케이스(10)의 하단에 개구된 실 출구(10a)를 통해 외부로 도출되고, 그 도출 단부(도 2에 나타낸 리더(22)와의 결합부(2b)와 반대되는 측의 단부)에, 추체(3)가 연결부착되어 있다.
실걸이 핀(131, 132) 사이에는, 마찰 조정 손잡이(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스(10)에 소정의 각도씩(도시된 예에서는 45°씩) 단계적으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마찰 조정 손잡이(14)에는 실걸이 핀(131, 132) 사이에서 다림추용 실(2)에 접촉가능한 복수의 가동(可動) 실걸이 핀(14a, 14b)이 부착되어 있어, 즉 마찰 조정 손잡이(14)를 케이스(10)의 외부로부터 임의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가동 실걸이 핀(14a, 14b)도 함께 회전하므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걸이 핀(131, 132) 사이에서의 다림추용 실(2)의 사행 각도를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다림추용 실(2)에 대한 마찰 저항을 증감시킬 수 있다.
케이스(10)의 하단에는, 실 출구(10a)로부터 케이스(10)의 전면(부착면(10b))측을 향해 연장되는 홈(10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10c) 내에는, 도 3 또는 도 4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면(10b)에 가까운 위치에, 다림추용 실(2)을 걸 수 있는 외부 실걸이 핀(15)이 외팔보형상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더(22)는, 그 피걸림고정부(22e)를 실 출구(10a)로부터 케이스(10)의 외부까지 인출하여, 외부 실걸이 핀(15)이나, 혹은 수중에 가지고 있는 못 등과 같은 적당한 봉형상물을 이용하여 케이스(10)의 외부에 걸림고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부착면(10b)에는, 상기 케이스(10)를 건축물에 있어서의 철골기둥 등의 자성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마그넷(30)이 부착되어 있으며, 케이스(10) 내의 상부에는, 상기 케이스(10)를 건축물에 있어서의 목재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한 설치바늘(40)이 케이스(10)의 부착면(10b)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마그넷(30)은, 마그넷 본체(31) 및 그 두께방향 양측의 자극에 흡착되어 일단 가장자리가 케이스(10)의 부착면(10b)에 노출된 강자성체로 제작된 한 쌍의 자기 프레임(32)으로 이루어진다(도면에서는, 한쪽의 자기 프레임(32)만을 나타내고 있다).
설치바늘(40)은, 부착면(10b)의 상부에 형성된 바늘출몰구멍(10d)으로부터 첨단(41a)을 돌출시킬 수 있는 바늘 본체(41)와, 그 후부의 홀더(42)와, 바늘 본체(41)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홀더(42) 후단의 머리부(42a)에 반(半) 매몰상태로 설치된 금속제의 물미(43)로 이루어진다. 도 5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42)의 전방에는 리턴 스프링(44; 코일 스프링)이 적당한 압축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설치바늘(40)은, 상기 리턴 스프링(44)의 신장방향의 가압력에 의해, 통상은 바늘 본체(41)가 상기 바늘출몰구멍(10d)으로부터 케이스(10)의 내부로 진입되는 동시에, 홀더(42)의 머리부(42a)가 케이스의 배면구멍(10e)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 있다.
케이스(10)의 상면에는, 슬라이더(16)가 설치바늘(4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 즉, 도 1 또는 도 5에 나타낸 단면(斷面)과 직교하는 방향에 가역변위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케이스(10) 내측에 위치하는 스토퍼(17)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설치바늘(40)의 홀더(42)에 있어서의 내측단 부근의 상면에는 상기 스토퍼(17)와 간섭가능한 피(被)간섭돌기(4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간섭돌기(42b)는 청구항 3에 기재된 피간섭부에 상당하는 것이다.
스토퍼(17)는, 슬라이더(16)를 가동방향 일측으로 변위시켜 둠으로써, 리턴 스프링(44)의 가압력에 의해 후퇴위치에 있는 설치바늘(40)의 피간섭돌기(42b)와 간섭가능한 위치에 유지되므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바늘(40)을 상기 후퇴위치에 록킹하여 케이스(10)의 바늘출몰구멍(10d)으로부터의 뜻하지 않은 바늘 본체(41)의 돌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슬라이더(16)를 가동방향 타측으로 변위시켜 둠으로써, 스토퍼(17)가 설치바늘(40)의 피간섭돌기(42b)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유지되므로, 설치바늘(40)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도 6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17)의 배면부(17a; 설치바늘(40)의 피간섭돌기(42b)와의 간섭부)는 사면(斜面)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도 5에 나타낸 록킹상태에서도, 설치바늘(40)에 박아넣는 방향(도면에서의 좌측방향)으로의 소정 이상의 하중을 가함으로써 서로 간섭하던 상기 배면부(17a)와 피간섭돌기(42b)가 슬라이딩하여 박아넣는 방향으로의 설치바늘(40)의 이동을 허용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17)의 하면(17b)은, 배면부(17a)측으로부터 정면측을 향해 높아지는 구배(句配)를 가지기 때문에, 도 1에 나타낸 설치바늘(40)의 진출(돌출)상태로부터 리턴 스프링(44)의 가압력에 의해 설치바늘(40)이 후퇴이동하는 과정에서, 설치바늘(40)의 피간섭돌기(42b)가 스토퍼(17)의 하면(17b)과 간섭하더라도, 서로 타고 오르듯이 미끄럼 이동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설치바늘(40)의 후퇴동작이 방해받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외면에는 배면측에서 폭이 커지도록 단차(10f, 10f)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케이스(10)를 배면측으로부터 손으로 쥐었을 때 쉽게 미끄러지지 않고, 잡기 쉽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다림추 유지기(1)는, 통상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턴 스프링(44)의 가압력에 의해 설치바늘(40)이 후퇴위치에 있어 그 바늘 본체(41)가 케이스(10)내로 진입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16)의 조작에 의해, 스토퍼(17)를 설치바늘(40)의 피간섭돌기(42b)와 간섭가능한 위치에 유지시켜 두면, 설치바늘(40)이 상기 후퇴위치에 록킹되므로, 잘못하여 설치바늘(40)의 홀더(42)의 머리부(42a)를 누르더라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간섭돌기(42b)가 스토퍼(17)의 배면부(17a)와 간섭하여, 타격방향으로의 설치바늘(40)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케이스(10)의 바늘출몰구멍(10d)으로부터 바늘 본체(41)가 뜻하지 않게 튀어나와 사용자가 다치는 일이 없어 안전하다.
다림추에 의한 시공부의 연직성 확인이나 그라운드 마크 라인을 맞추는 등의 연직측정작업에 있어서는, 상술한 다림추 유지기(1)를 적당한 높이에 부착시키고, 그 다림추 유지기(1)로부터 인출된 다림추용 실(2)에 의해 추체(3)를 매단다.
여기서, 다림추 유지기(1)를 부착시키는 부착상대면이 철골 등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마그넷(30)의 자기흡착력에 의해 해당 다림추 유지기(1)를 부착상대면에 부착시키고, 부착상대면이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슬라이더(16)의 조작에 의해 설치바늘(40)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고 나서, 케이스(10)의 배면구멍(10e)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설치바늘(40)의 홀더(42)의 머리부(42a)에 설치된 금속제의 물미(43)를 망치 등으로 타격함으로써, 바늘 본체(41)의 첨단(41a)을 바늘출몰구멍(10d)으로부터 돌출시켜 상기 목재 등에 박아 넣고, 이에 따라 다림추 유지기(1)를 부착상대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때, 망치 등에 의해 물미(43)에 부여된 타격력은, 바늘 본체(41)에 직접 전달되므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홀더(42)에 의해 타격력이 흡수되어버리는 일 없이, 효율적으로 상기 목재부분 등에 박아넣을 수 있고, 타격으로 인한 홀더(42)에 대한 부하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잘못하여 설치바늘(40)의 록킹상태를 해제하지 않은 채, 즉, 스토퍼(17)를 설치바늘(40)의 피간섭돌기(42b)와 간섭가능한 위치에 유지시킨 상태에서, 설치바늘(40)의 물미(43)를 망치 등으로 타격한 경우는, 이때의 타격력으로 인해, 서로 간섭하던 스토퍼(17)의 배면부(17a)와 설치바늘(40)의 피간섭돌기(42b)가 슬라이딩하여, 설치바늘(40)의 박아넣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허용하기 때문에, 설치바늘(40)을 박아넣을 수 있다. 게다가, 록킹상태인 채로 타격력을 받았을 때 스토퍼(17)의 배면부(17a)와 설치바늘(40)의 피간섭돌기(42b)가 슬라이딩함으로써, 스토퍼(17)나 피간섭돌기(42b)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설치바늘(40)의 록킹상태를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설치바늘(40)에 어느 정도의 타격력을 부여했을 때 설치바늘(40)을 박아넣는 것이 가능한지는, 스토퍼(17)와 피간섭돌기(42b)가 맞닿는 면의 경사각도나 형상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다림추용 실(2)에, 실걸이 핀(131, 14a, 14b, 132, 133)에 의한 마찰저항을 부여하지 않는 경우는, 추체(3)의 높이, 환언하자면 실패(20)로부터 인출되는 다림추용 실(2)의 하방으로 늘어뜨려지는 길이는, 추체(3)의 중량과, 다림추용 실(2)의 인출에 따라 축(12)에 감아 축적되는 태엽(21)의 가압력이 서로 균형을 이루는 길이가 되어, 즉 추체(3)가 무거울수록 다림추용 실(2)이 하방으로 늘어뜨려지는 길이가 길어지는데,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마찰 조정 손잡이(14)를 회전조작함으로써, 상기 마찰 조정 손잡이(14)에 설치된 가동 실걸이 핀(14a, 14b)의 위치가 변화하여, 실걸이 핀(131, 132) 사이에서의 다림추용 실(2)의 사행각도를 변화시켜, 다림추용 실(2)에 대한 마찰저항이 증감되므로, 하방으로 늘어뜨려지는 길이를 원하는 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다림추용 실(2)에 추체(3)를 매달았으면, 추체(3)가 정지되기를 기다렸다가, 추체(3)의 뾰족하고 예리한 하단부가 지시하는 위치에 마킹(그라운드 마크 라인 맞춤)을 하거나, 혹은 다림추용 실(2)과의 비교를 통해 벽면의 연직도를 확인하는 등의, 연직측정작업을 할 수가 있다.
또한, 다림추용 실(2)은 상술한 바와 같은 연직측정작업을 하는데 충분한 길이를 가질 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다림추용 실(2)의 매듭(2a)이나, 다림추용 실(2)과 리더(22)의 상호 결합부(2b, 22d) 등이 실걸이 핀(131, 14a, 14b, 132, 133)을 경유할 때에는, 이들과의 간섭에 의한 저항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통상의 연직측정작업에서는 다림추용 실(2)만이 케이스(10)의 실 출구(10a)로부터 인출되고, 리더(22)가 케이스(10)의 외부로 인출되는 일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연직측정작업을 반복함으로써, 다림추용 실(2)은 마모되거나 손상을 입거나 하여 열화(劣化)되므로, 다림추용 실(2)은 적절한 시기에 교환해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다림추용 실(2)의 교환 시에는, 우선 실패(20)에 감겨진 다림추용 실(2)을, 태엽(2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케이스(10)의 실 출구(10a)로부터 강제적으로 인출해가면, 마침내 도 2에 도시된 다림추용 실(2)과 리더(22)가 서로 연결된 결합부(2b, 22d)가 케이스(10)의 외부로 인출되고, 또한 제 2 매듭(22c)에 의한 피걸림고정부(22e)가 케이스(10)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찰 조정 손잡이(14)를 가동 실걸이 핀(14a, 14b)이 실과 간섭하지 않거나, 혹은 가볍게 간섭할 정도의 각도로 유지시켜두면, 도 2에 나타낸 다림추용 실(2)의 매듭(2a)이나, 다림추용 실(2)과 리더(22)가 서로 연결된 결합부(2b, 22d)나, 리더(22)의 제 2 매듭(22c) 및 제 1 매듭(22b) 등이 실걸이 핀(131, 132, 133)을 경유할 때의 저항이 작아지므로, 피걸림고정부(22e)를 케이스(10)의 외부로 인출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외부로 인출한 피걸림고정부(22e)를, 외부 실걸이 핀(15)이나, 혹은 수중에 가지고 있는 못 등의 적당한 봉형상물을 이용하여 케이스(10)의 외부에 걸어 고정시키면, 태엽(21)의 가압력에 의해 리더(22)(및 다림추용 실(2))가 케이스(10) 내의 실패(20)에 권취되어 버리는 일이 없으므로, 리더(22)의 결합부(22d)를 케이스(10)의 외부로 인출한 상태를 유지시켜 둘 수 있고, 이 때문에 리더(22)의 결합부(22d)로부터 다림추용 실(2)을 풀어 제거하고, 새로운 다림추용 실(2)을 결합시키는 실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다림추용 실(2)의 교환은, 케이스(10)를 분해하지 않고도 가능하므로, 실패(20), 마그넷(30), 설치바늘(40)이나 리턴 스프링(44) 등의 분리 및 재조립 등의 작업도 불필요하며, 케이스(10)의 분해시에 복수의 비스 구멍(11)의 각각으로부터 분리해낸 비스를 분실하거나, 실패(20)에 대해 실을 잘못된 방향으로 감는 등의 일도 일어날 수 없다.
새로운 다림추용 실(2)을 리더(22)의 결합부(22d)에 결합한 후, 피걸림고정부(22e)를 외부 실걸이 핀(15) 등에 의한 케이스(10)의 외부로의 걸림고정상태로부터 해제하면, 다림추용 실(2)은, 실패(20)를 권취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태엽(21)의 가압력에 의해, 리더(22)를 통해 케이스(10)로 인입되어, 실패(20)에 권취된다.
그런데, 실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리더(22)의 결합부(22d)를 케이스(10)의 외부로 인출한 상태를 유지하는 수단으로서는, 예컨대 실패(20)에 록킹기구를 설치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실패(20)나 케이스(10)의 구성부품이 많아져 비용 상승을 피할 수 없다. 게다가, 연직성 확인작업 등을 위한 사용시에, 잘못하여 실패(20)를 록킹해 버리거나 한 경우에는, 추체(3)를 매달았을 때의 충격으로, 다림추 유지기(1)가 부착장소로부터 낙하하여 버릴 우려도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시된 형태에서는, 리더(22)의 피걸림고정부(22e)를 매듭(제 2 매듭(22c))에 의해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실걸이 핀(15) 등에 의해, 케이스(10)의 외부에 걸림고정이 가능하면 된다.
또한, 설치바늘에, 상대부재에 박아넣기 위한 소정 이상의 하중을 가했을 때, 스토퍼(17)와 피간섭돌기(42b) 중 어느 하나가 스프링 등과 같이 탄성 변형을 생기게 하여 슬라이딩을 발생시키도록 해도 된다.
1 : 다림추 유지기
10 : 케이스
10a : 실 출구
15 : 외부 실걸이 핀
17 : 스토퍼
2 : 다림추용 실
2b : 결합부
20 : 실패
21 : 태엽
22 : 리더
22b : 제 1 매듭
22c : 제 2 매듭
22d : 결합부
22e : 피걸림고정부
30 : 마그넷
40 : 설치바늘
42b : 피간섭돌기(피간섭부)

Claims (3)

  1. 케이스와, 다림추의 추체를 매다는 다림추용 실을 권취(卷取)하는 실패와, 상기 실패를 권취방향으로 가압하여 인출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힘이 축적되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다림추용 실이, 상기 실패에 부착된 리더의 선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리더와 다림추용 실의 결합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림추 유지기.
  2. 제 1항에 있어서,
    리더가, 다림추용 실과의 결합부를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한 상태에서 케이스의 외부에 걸림고정이 가능한 피(被)걸림고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림추 유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케이스를 상대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설치바늘과, 상기 설치바늘에 설치된 피간섭부와 간섭함으로써 상기 설치바늘의 첨단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뜻하지 않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피간섭부와 스토퍼의 간섭이, 상기 설치바늘을 상대부재에 박아넣기 위한 소정 이상의 타격력(打擊力)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림추 유지기.
KR1020110035104A 2010-04-16 2011-04-15 다림추 유지기 KR201101159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94886A JP5448996B2 (ja) 2010-04-16 2010-04-16 下げ振り保持器
JPJP-P-2010-094886 2010-04-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980A true KR20110115980A (ko) 2011-10-24

Family

ID=4503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104A KR20110115980A (ko) 2010-04-16 2011-04-15 다림추 유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448996B2 (ko)
KR (1) KR201101159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16476A (zh) * 2023-11-23 2024-02-06 山西清泰恒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节能工程质量检测器垂直度检测仪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32479B (zh) * 2023-11-15 2024-03-22 中铁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墩柱垂直度的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7217U (ko) * 1980-12-06 1982-06-15
JPH07318349A (ja) * 1994-05-27 1995-12-08 Ootaka Densetsu Kk 電動下げ振り機
JPH10199201A (ja) * 1996-12-27 1998-07-31 Sony Corp テープ体、及びこのテープ体を備える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2002098533A (ja) * 2000-09-25 2002-04-05 Hara Doki Kk 下げ振り
JP4972333B2 (ja) * 2006-04-11 2012-07-11 株式会社ケイディエス 巻尺
JP5153547B2 (ja) * 2008-09-30 2013-02-27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け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16476A (zh) * 2023-11-23 2024-02-06 山西清泰恒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节能工程质量检测器垂直度检测仪
CN117516476B (zh) * 2023-11-23 2024-03-22 山西清泰恒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节能工程质量检测器垂直度检测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226841A (ja) 2011-11-10
JP5448996B2 (ja)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5980A (ko) 다림추 유지기
US20120073093A1 (en) Linear clip mount comprising an open track in a tongue mounting an immovable guide in a buckle that locks by a levered and sprung projection.
TWM310166U (en) Rear container assembly structure of motorbike
EP2500066B1 (en) Exercise barbell
KR20130092551A (ko) 재봉틀
CN105937102B (zh) 用于平缝缝纫机的包括具有由多个部件构成的滑片的梭壳的钩梭
WO2015169170A1 (zh) 电磁钉枪
CN106246003A (zh) 一种用于锁定装置的电动机构
WO2018170613A1 (zh) 一种用于卷尺的划线装置及应用有该装置的卷尺
JP6783066B2 (ja) 操作具支持装置およびロールスクリーン
WO2021077617A1 (zh) 一种恒力存油筒黄油枪
JPS60232039A (ja) 魚釣りリール
KR200372097Y1 (ko) 목수용 수직측정기
KR200443954Y1 (ko) 소화기용 안전핀의 체결레버
TWI608817B (zh) 清掃具
CN206994618U (zh) 一种鞋带锁紧和收纳装置
KR200469343Y1 (ko) 잠금 리브 구조 케이스 분해 지그
KR20130003848U (ko) 인출이 용이한 넥타이 걸이블럭
CN219562967U (zh) 钉枪及其推进机构
CN214222470U (zh) 一种支架
WO2016157488A1 (ja) 垂直全回転かま
SE1530083A1 (sv) Kassett för trycksättning av påse i förpackning
CN101927487A (zh) 自动绕线式墨斗
CN206368876U (zh) 设备免螺丝快速固定机构
KR20160003823U (ko) 롤 타입 방충망의 손잡이 고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