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948A - 갱폼 탈착 장치와 이를 갖춘 갱폼 탈착 시스템 - Google Patents

갱폼 탈착 장치와 이를 갖춘 갱폼 탈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948A
KR20110115948A KR1020100119765A KR20100119765A KR20110115948A KR 20110115948 A KR20110115948 A KR 20110115948A KR 1020100119765 A KR1020100119765 A KR 1020100119765A KR 20100119765 A KR20100119765 A KR 20100119765A KR 20110115948 A KR20110115948 A KR 20110115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angform
shaft
arm
ratch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7072B1 (ko
Inventor
김용상
춘 수 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폼코리아
Publication of KR20110115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외벽 타설용 갱폼 탈착 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외벽(W)으로 연결 부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2)의 측방으로 연결되는 아암(4)의 자유 단으로 힌지판(8)이 고정 축(6)에 의해 축 지지되어서 상기 아암(4)의 상방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힌지판(8)의 자유 단에는 요동판(12)이 가동 축(10)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서 갱폼(G)을 들어올리는 것으로 해체되게 한 구조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와 아암(4) 사이로 피벗 축(16)에 의해 축 연결되는 축수 브래킷(14)과 축 지지부(15)가 개재되어서 상기 아암(8)을 마운팅 플레이트(2)에 대하여 임의 각도 꺾인 자세로 배치할 수 있게 한 구조, 그리고 상기 아암(4)과 힌지판(8) 사이에서 래칫돌기(74)와 래칫기어(68)가 맞물려 나타나는 래칫작용으로 상기 힌지판(8)을 끌어 올려진 위치로 보전하는 래칫판(62)이 설치된 구조의 갱폼 탈착 장치, 그리고 건물의 외벽(W)에 설치되는 가이드박스(B)를 타고 상하 안내되는 가이드레일(R)에 부착된 갱폼 탈착 장치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갱폼(G)의 상변에 상측이 연결 고정되고 하측은 상기 갱폼 탈착 장치의 주변에서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안전 케이지(SC)와, 상기 가이드레일(R)에 고정 설치되어서 건물 외벽의 마감작업용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지(C)를 갖춘 갱폼 탈착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갱폼 탈착 장치와 이를 갖춘 갱폼 탈착 시스템{apparatus for building and removing a gang form and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갱폼 탈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물 축조 현장에 구비되는 타워 크레인 등의 인양수단을 이용하여 운반되는 갱폼을 소수의 인력으로 거푸집 조립위치에 설비하거나 조립위치에서 철거하는 갱폼 탈착 장치와 이를 갖춘 갱폼 탈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빌딩 등의 고층 건물 외벽을 시공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에 필요한 거푸집은 층 높이에 맞춰 설치하고 철거하는 것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나, 갱폼은 조립과 분해를 반복하지 않고 어느 일개 층의 외벽 타설과 양생 후에 완전히 분해하지 않고 타설 면에서 떼어낸 그대로 타워 크레인으로 들어올려서 다음 층으로 이전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소수의 작업자로 운용할 수 있어서 최근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갱폼에 의한 건물 축조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물의 외벽 측에 갱폼을 시설하고 내벽 측은 유로 폼으로 시설했을 때 거푸집 설치작업이 간단하게 되어 공기 단축 효과는 지대하게 된다.
공지된 갱폼의 주요구조는 콘크리트 타설 면을 제공하는 철제 패널과 이를 지지하여 주는 프레임, 그리고 건물의 외벽 측으로 작업공간을 제공하도록 안전난간과 작업발판을 갖춘 케이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크기와 중량이 대단히 커지는 관계로 축조되는 건물의 외벽 면에는 레일을 수직으로 부설하여 갱폼과 케이지를 동시에 타워 크레인으로 승강시킬 수 있게 하고 있다.
상술한 갱폼을 현장에 설치하고 철거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문제점은 갱폼을 외벽 타설 위치로 들어올려서 거푸집 위치로 조립하는 작업, 연속하여 배치된 갱폼 사이의 수평 레벨을 맞추기 위한 높낮이 조정, 그리고 콘크리트 타설 후에 갱폼을 다음 층으로 들어올리기 위하여 분리하는 작업 등은 인력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대단히 번거롭고 작업 위험도가 높다.
다음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갱폼 레벨 및 수직 조절장치”는 볼트를 죄거나 풀어주는 것으로 갱폼의 높낮이 조정을 가능케 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또,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갱폼과 레일의 연결구조”는 갱폼을 타워 크레인으로 인상하면 외벽 타설 위치로 자동 세팅되고, 반대로 하강 위치시키면 갱폼이 타설 면에서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함으로써 다음 층으로 인양될 수 있는 상태로 놓이게 하는 장치를 보여 주고 있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갱폼 장치용 이격/회전유니트”도 타워 크레인으로 갱폼을 일정 높이 끌어올리면 갱폼은 하측을 축으로 상측이 선회하면서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 위치하도록 작동되는 장치를 보여 주고 있다.
한국특허 등록 제10-0767645호, 한국특허 등록 제10-0840847호, 한국실용신안 등록 제20-0439099호,
상술한 종래 기술은 어느 것이나 갱폼은 인양되고나서 다시 하강 되어야만 타설 면으로 세팅되는 구조이고, 게다가 타워 크레인으로 들어 올려지고 뒤로 물러나 하강 되는 갱폼의 분리위치가 임의로 높낮이를 변경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갱폼의 분리공정에서 공용장비인 타워 크레인의 사용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다른 작업에 지장을 초래한다.
그리고 갱폼을 지지하는 수단이 건물 외벽과 마주보게 설치되는 것이므로 건물 코너부분을 타설하려면 2회의 공정을 반복해야 한다.
또, 공지된 갱폼 탈착 장치에서는 갱폼의 상변 기울기 조절기능을 갖추지 않고 있어서 갱폼의 설치 시에 그 수평도 조절은 별도의 수단에 의존하고 있다.
갱폼을 인양하였을 때 타설 면에서 분리되게 하면 타워 크레인에 의한 갱폼의 인양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 갱폼을 지지하는 갱폼지주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면 건물 코너부분의 타설작업을 1회의 공정으로 마무리할 수 있다.
그리고 갱폼지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겸비하면 갱폼의 상변 기울기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갱폼을 들어올리는 것으로 타설 면에서 떨어져 분리되게 한 갱폼 탈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 코너부분의 외벽 타설을 1회 공정으로 마무리할 수 있는 갱폼 탈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갱폼지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갱폼 탈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이점과 장점을 모두 갖춘 갱폼 탈착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는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부착 연결되는 마운팅 플레이트의 측방으로 아암을 부착 연결하고, 이 아암의 자유 단으로 힌지판을 축 지지하여 수직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힌지판의 자유 단에는 갱폼 지주를 지지하기 위한 요동판을 가동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되, 상기 힌지판과 요동판의 선회 방향이 상호 반대로 되게 설정하고, 또한 상기 갱폼지주는 회동축으로 축 지지하여 요동판의 상면에서 수평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부착 연결되는 마운팅 플레이트의 측방으로 아암을 부착 연결하고, 이 아암의 자유 단에는 고정 축으로 힌지판을 수직 선회 가능하도록 축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힌지판의 자유 단에는 가동축으로 요동판을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되, 상기 힌지판과 요동판의 선회 방향이 상호 반대로 되게 배치하고, 갱폼지주는 어져스터의 내부 중심에 고정된 너트로 추진 연동되는 스크루 봉에 부착 고정하고, 상기 어져스터는 요동판에서 수평 회동 되도록 축 지지한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는, 아암의 측면에 래칫공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힌지판의 밑면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래칫판이 고정축으로 축 지지하여 상기 아암 사이로 수용될 수 있게 배치하고, 상기 래칫판은 밑면에 래칫기어와 그 양끝의 푸시돌기 및 리셋돌기를 원호상으로 배열하는 한편, 상기 아암의 래칫공에는 상기 래칫기어와 맞물리는 래칫돌기를 구비한 래칫축을 축 지지하여 스토퍼로 회동범위가 부분적으로 제한되는 구성을 더 갖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마운팅 플레이트와 아암 사이로 피벗축에 의해 축 연결되는 축수 브래킷과 축 지지부를 마련하여 상기 아암이 마운팅 플레이트에 대하여 꺾인 자세로 배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건물의 코너부분 외벽으로 교차 배치되는 갱폼까지 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가동축을 통해 상기 아암의 한쪽으로 축 연결되는 요동판의 자유 단에 회동판을 축으로 수평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회동판에 어져스터를 연결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구성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시스템은, 마운팅 플레이트가 부착 고정되는 가이드레일을 건물 벽면의 소정위치마다 부착 고정되는 가이드박스를 따라 상향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갱폼의 주위로 배치되는 안전 케이지의 상측을 상기 갱폼의 상변으로 연결 고정하는 한편, 하측은 상기 아암의 하부 주변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외벽 마감작업용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용 케이지가 일체로 부착된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는 아암의 상방에서 힌지판과 요동판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갱폼을 탈착함에 있어서, 상기 갱폼의 상승이동 시에 힌지판이 수직방향으로 선회하여 뒤로 물러나면서 갱폼지주를 콘크리트 타설된 외벽에서 일정거리 이동 위치시키게 되고, 반대로 타워크레인에 의한 갱폼의 하강 시에는 힌지판이 아암의 상면으로 접히면서 갱폼을 외벽 형성위치로 세팅하여 주는 것이므로 상기 갱폼의 조립과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는, 마운팅 플레이트와 아암 사이가 피벗축을 지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 되어 있고, 또한 요동판의 상면에 갱폼지주가 수평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아암을 건물의 코너부분 외벽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배치하고 외벽용 갱폼을 조립 및 해체할 때, 상기 갱폼지주가 수평 회전되는 것에 의해 교차 형성된 코너용 갱폼을 무리 없이 1회 공정으로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예는, 갱폼지주가 수평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어져스터의 스크루 봉에 의해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 면에서 갱폼 상단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갱폼 탈착 시스템은 가이드박스를 타고 승강 안내되는 가이드레일의 상단에 부착된 갱폼 탈착 장치의 주변으로 안전 케이지를 설치하고 상기 갱폼 탈착 장치의 하측에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의 위치로 작업용 케이지(C)를 구분되게 배치한 것이므로 갱폼의 탈착공정에서 타워 크레인에 의해 상하 및 수평으로 이동하는 안전 케이지는 하측의 작업용 케이지와는 별개로 이동되기 때문에 갱폼의 조립 및 해체과정을 케이지의 간섭 없이 원만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관련된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도시에서 힌지판과 요크 사이의 축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관련된 장치를 갖춘 갱폼 탈착 시스템의 예로서 갱폼(G)이 조립위치에 놓인 상태로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갱폼 탈착 시스템에서 갱폼(G)을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가이드박스(B)와 가이드레일(R)의 주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갱폼의 조립 및 해체위치로의 이송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관련된 장치로 건물의 코너 벽면 타설을 위한 갱폼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관련된 장치로 건물의 코너 벽면으로부터 갱폼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관련된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아암(4)의 래칫공(60)에 설치되는 래칫축(58)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관련된 장치를 끌어올린 상태의 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래칫판(62)의 래칫기어(68)와 래칫축(58)의 래칫돌기(74) 사이의 연계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측면도.
도 11b는 도 11a의 상태에서 래칫돌기(74)가 래칫기어(68)에서 벗어난 위치로 놓이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 측면도.
도 11c는 도 11b의 상태에서 래칫돌기(74)가 래칫기어(68)로 맞물리는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축수 브래킷(14)과 축 지지부(15) 사이에 마련된 회동각도 조절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관련된 갱폼 탈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갱폼 탈착 장치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 예의 장치는 마운팅 플레이트(2)와, 이것에 직교배치되는 아암(4), 그리고 한쪽 끝단이 고정 축(6)에 의해 상기 아암(4)의 자유 단으로 축 연결되는 힌지판(8)과, 이 힌지판(8)의 자유 단에 가동축(10)을 개재하여 축 연결되는 요동판(12)으로 구성된다.
마운팅 플레이트(2)에는 축수 브래킷(14)이 마련되어 있고, 또 아암(4)은 이 축수 브래킷(14)에 대응하는 축 지지부(15)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축수 브래킷(14)과 축 지지부(15) 사이는 피벗축(16)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에 대하여 아암(4)을 임의 각도로 회동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아암(4)과 힌지판(8)은 각각 고정축수(18)와 가동축수(20)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사이는 고정축(6)을 통해 축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아암(4)과 힌지판(8) 사이의 축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힌지판(8)이 회동할 때 한쪽 끝단은 고정축수(18)와 간섭을 일으킬 염려가 있으므로 해당 부분에 노치(22)를 형성하여 간섭되지 않게 하고 있다.
상기 요동판(12)도 가동축(10)을 통하여 힌지판(8)과 축 연결되기 위하여 축 연결부(24)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힌지판(8)의 하측에는 접힌 위치에서 아암(4)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회동 프레임(26)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것은 힌지판(8)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켜주기 위한 보강요소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힌지판(8)은 아암(4)에 대하여 고정축(6)을 지점으로 정역 회동할 수 있고, 또 요동판(12)은 상기 힌지판(8)에 대하여 가동축(10)을 지점으로 정역 회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힌지판(8)과 요동판(12)의 회동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또, 아암(4)에서 자유 단을 형성하고 있는 1쌍의 수직부(28)는 힌지판(8)의 끝단 측 밑면(30)이 상향 회동하여 수직으로 세워질 때 접촉되면서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도록 막아 주게 된다.
상기 요동판(12)의 상면에는 요크(32)가 부착되어서 갱폼 지주(34)를 수직방향으로 연결시켜 놓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요크(32)는 갱폼지주(34)를 요동판(12)에 지지시켜 놓기 위하여 채용한 것일 뿐이므로 상기 갱폼지주(34)는 요동판(12)의 상면에 직접 지지 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마운팅 플레이트(2)에 고정된 축수 브래킷(14)과 이것에 대응하는 아암(4)의 축 지지부(15)에는 원주 방향으로 핀공(36)이 등 간격으로 뚫려 있어서 상기 아암(4)을 회동시킨 위치로 고정시켜 놓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작업자가 고정된 축수 브래킷(14)에 대하여 아암(4)을 수평 회동시켜 소정각도로 꺾였을 때, 상하로 일치하는 핀공(36)에 통상의 앵커 핀을 끼워서 아암(4)이 꺾인 자세로 고정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실시 예에서, 상기 갱폼지주(34)는 요동판(12)에 대하여 수평 회동할 수 있게 배치된다.
도 2는 상기 갱폼지주(34)의 수평 회동을 위하여 일체로 연결된 요크(34)의 바닥에 요동판(12)을 관통하는 회동축(38)을 설치하여 상기 갱폼지주(34)가 상기 요동판(12)의 상면에서 수평 회동할 수 있게 지지 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갱폼 탈착 장치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갱폼 탈착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갱폼 탈착 시스템은, 상술한 갱폼 탈착 장치의 마운팅 플레이트(2)가 부착 고정되는 가이드레일(R)과, 건물 벽면(W)의 소정위치마다 부착 고정되어서 상기 가이드레일(R)을 안내하는 가이드박스(B), 그리고 상측이 갱폼(G)의 상변에 일체로 연결되고 하측은 상기 아암(4)의 하부 주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상기 갱폼 탈착 장치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안전 케이지(SC)와, 상기 가이드레일(R)에 부착 고정되어서 외벽 마감작업용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용 케이지(C)를 포함하며, 필요한 경우 상기 작업용 케이지(C)의 바깥쪽으로 낙하방지용 안전망(S)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R)은 H빔 형태의 것이 채용된다.
본 발명의 갱폼 탈착 시스템은 상측의 안전 케이지(SC)와 하측의 작업용 케이지(C)를 별개로 구분하여 현수 설치한 구성에 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의 갱폼 탈착 시스템에 적합한 가이드박스(B)는 가이드레일(R)의 상향 이동을 허용하고 하향 이동은 제동하는 래칫(rachat)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갱폼 탈착 시스템에 적합한 가이드박스(B)를 도시하고 있다.
가이드박스(B)는 앵커에 의해 건물로 부착되는 고정판(40)의 측면으로 1쌍의 중심축(42))과 스토퍼 봉(44)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중심축(42)에는 수평 배치되는 1쌍의 제동판(46)에서 일체로 수직 연장되는 요동편(48)이 축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중심축(42)과 스토퍼 봉(44)의 끝단 사이는 마감편(50)에 의해 상호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박스(B)의 구성에 대하여 가이드레일(R)은 양 측면의 오목한 부분에 일정 간격마다 수평봉(52)이 부착 고정되어 있고, 이 수평봉(52)은 사용 시에 상기 제동판(46)의 상면으로 놓여져 걸려짐으로써 단계적으로 상승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이드박스(B)의 양 제동판(18) 보다 하측에 놓여있는 가이드레일(R)의 수평봉(52)은, 상기 가이드레일(R)이 끌어 올려질 때 양 제동판(18)을 상방으로 밀어 열면서 통과하고, 이 수평봉(52)이 통과하면 양 제동판(18)은 다시 닫히게 되며, 그 결과로 상기 수평봉(52)은 제동판(18)의 상면에 놓이고 가이드레일(R)은 끌어 올려진 위치로 보전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1 실시 예에 의한 갱폼의 설치 및 해체 작동을 나타내고 있다.
갱폼(G)이 타워 크레인으로 들어 올려질 때 힌지판(8)과 요동판(12)이 선회하게 되는 것에 의해 갱폼 지주(34)는 수직자세를 유지한 채로 상향 이동하여 상기 갱폼(G)과 함께 도면의 1점 쇄선 도시와 같이 펼쳐진다.
이렇게 펼쳐진 상태로 갱폼(G)을 더 끌어올려 설치위치까지 상향 이송하면 그 위치에서 가이드레일(R)의 수평봉(52)이 가이드박스(B)의 제동판(46)에 걸림으로써 위치 고정된다.
다음에 다시 타워 크레인을 작동하여 갱폼(G)을 하강시키면 도면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 타설 위치로 세팅되고, 이어서 작업자는 앵커 등으로 가이드레일(R)의 위치고정을 보강하여 불의의 사고가 생기지 않게 조치한다.
타설 위치로 세팅된 갱폼(G)을 거푸집으로 하여 벽면(W)을 타설하고 양생 되면 다시 갱폼(G)은 타워 크레인으로 끌어올려 분리한다.
갱폼(G)의 분리과정에서도 힌지판(8)과 요동판(12)이 선회하여 갱폼지주(34)가 수직자세로 상향 이동되도록 작동한다. 즉, 갱폼 지주(34)가 상향 이동될 때 힌지판(8)은 고정축(6)을 지점으로, 또 요동판(12)은 가동축(10)을 지점으로 하여 상호 반대방향으로 선회하면서 끌어 올려짐으로써 상기 갱폼 지주(34)는 수직자세를 유지한 채로 상향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향 이동은 상기 힌지판(8)의 끝단 측 밑면(30)이 아암(4)의 수직부(28)에 닿아 제지 될 때까지 계속된다.
갱폼(G)은 상기 힌지판(8)의 상승 이동이 멈추었을 때 외벽(W)으로부터 상당한 거리를 떨어져 위치함으로써 갱폼(G)의 분리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관련된 갱폼 탈착 장치는 갱폼(G)을 설치위치에 세팅하면 타워 크레인과의 연결을 해제하여도 무방하고, 또 해체 시에는 갱폼(G)을 들어올리는 것으로 벽면(W)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갱폼(G)의 조립과 해체과정에서 타워 크레인과 연결되고 있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관련된 갱폼 탈착 장치는 아암(4)이 피벗축(16)을 개재하여 마운팅 플레이트(2)에 축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건물 외벽(W)에 대한 아암(4)의 배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각도 조정을 통해 갱폼(G)이 타설 면과 정확하게 평행으로 배치되도록 자세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갱폼(G)의 자세 조정 후에는 핀공(36)에 통상의 앵커 핀을 꽂아 마운팅 플레이트(2)와 아암(4) 사이를 고정한다.
다음에 상술한 제1 실시 예의 갱폼 탈착 장치로 건물의 코너부분 외벽(W)을 타설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건물의 외벽(W)이 직교하는 코너부분인 경우에는 마운팅 플레이트(2)의 축수 브래킷(14)에서 아암(4)을 회동하여 대략 45도 배치로 되게 조정하고, 또한 요동판(12) 상의 갱폼지주(34)도 회동 조작하여 갱폼(G)이 외벽(W)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조정하면, 건물의 코너부분에서 교차하는 벽면(W)을 일거에 타설할 수 있도록 교차 배치된 갱폼(G)을 세팅할 수 있다.
이렇게 교차하도록 세팅된 갱폼(G)으로 건물의 코너부분을 콘크리트 타설하여 외벽(W)을 양생한 후에 갱폼(G)을 분리할 때도, 타워 크레인으로 상기 갱폼(G)을 들어올리면, 수직 벽의 타설 때와 동일하게 힌지판(8)과 요동판(12)이 세워지면서 갱폼지주(34)가 외벽(W)에서 뒤로 물러나게 되므로 도 6b의 도시와 같이, 교차 배치된 갱폼(G)은 건물의 코너부분 외벽(W)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분리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갱폼 탈착 장치는 상술한 실시 예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 갱폼 탈착 장치에 관련된 제2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 예에 있어서, 힌지판(8)은 고정축(6)에 의해 아암(4)의 끝단에 축 연결되고 요동판(12)은 가동축(10)에 의해 상기 힌지판(8)과 축 연결된 구조, 그리고 마운팅 플레이트(2)의 축수 브래킷(14)과 아암(4)의 축 지지부(15) 사이가 피벗축(16)으로 연결된 구조 등은 상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되어 있고, 차이점으로는 갱폼 지주(34)는 손잡이(54)로 회동 조작되는 어져스터(56)의 조절봉(58)과 연결판(59)을 통해 부착 고정된 구조와, 특히 래칫축(58)을 아암(4)의 측면으로 형성된 래칫공(60)을 통하여 축 지지시킨 구조, 및 상기 힌지판(8)의 하부에 아암(4)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래칫판(62)이 부착되어서 상기 래칫축(58)과 연계되어 있고, 또 요동판(12)의 끝 부분에 축(64)으로 지지된 회동판(66)이 더 배치되고, 이 회동판(66)에 요크(32)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어져스터(56)를 지지하고 있는 구조에 있다.
상기 힌지판(8)의 하측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아암(4)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래칫판(62)은 도 8에 상세히 묘사된 바와 같이, 한쪽 끝 부분이 고정축(6)에 그리고 반대쪽 끝 부분은 가동축(10)에 축 지지 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 따라 상기 힌지판(8)과 함께 고정축(6)을 지점으로 선회 요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래칫판(62)은 밑부분에 원호상으로 배열된 래칫기어(68)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래칫기어(68)의 최상단에는 리셋돌기(70)가, 그리고 반대쪽 최하단에는 푸시돌기(7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예에서 고정축(6)을 중심으로 한 리셋돌기(70)의 반경은 후술하는 작용을 얻기 위하여 상기 푸시돌기(72)의 반경보다 더 크게, 또 푸시돌기(72)의 반경은 래칫기어(68)의 반경보다 더 크게 설정하고 있다.
래칫기어(68)에는 상술한 래칫공(60)에 축 지지된 래칫축(58)의 래칫돌기(74)가 맞물려서 상기 래칫판(62)의 상향 이동은 허용하되, 반대방향의 하향이동은 제동시키게 된다. 또 상기 래칫돌기(74)의 반대방향에는 스테이 홈(7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 홈(76)의 측방에는 아암(4)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된 스프링 시트(78)에서 스프링(80)으로 탄압된 롤러(82)가 배치되어 있고, 이 롤러(82)는 래칫돌기(74)가 회동하여 스테이 홈(76)이 특정의 위치에 왔을 때 끼워져서 상기 래칫돌기(74)를 일시 구속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래칫돌기(74)는 도 9로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칫축(58)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다. 또 래칫축(58)은 원주 한쪽이 평면(61)을 이루고 있음에 따라 “
Figure pat00001
”상의 단면을 이루고 있고, 이에 대하여 아암(4)의 래칫공(60)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주면 한쪽에는 상기 평면(61)과 접촉하여 제동 작용을 나타내는 스토퍼(6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축 구조에 의해 래칫공(60)의 내부에서 래칫축(58)이 회전할 수 있는 범위는 스토퍼(63)에 제한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요동판(12)의 상방에서 축(66)에 의해 수평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어져스터(56)는 스크루 봉(58)과 나사연결되는 너트(80)를 내부에 구비함과 아울러 그 밑면은 요크(32)와 함께 연결축(86)을 개재하여 회동판(66)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어져스터(56)의 배치구조에 의해 작업자는 손잡이(54)를 쥐고 어져스터(56)를 회동 조작할 수 있고, 이 경우 너트(80)에 의한 나선운동으로 스크루 봉(82)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추진 연동 되어서 갱폼 지주(34)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작용을 낳는다.
이러한 갱폼 지주(34)의 높낮이 조절로 인하여, 갱폼(G)을 외벽(W)의 타설 위치로 세팅할 때 그 상변의 기울기를 수평으로 조절함으로써 정밀 세팅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갱폼(G)이 타워 크레인으로 들어 올려지면 도 1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판(8)과 요동판(12)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펼쳐져 들어 올려지는 작용은 상술한 제1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게 나타나지만, 이 실시 예에서는 래칫판(62)에서 래칫작용이 나타나 힌지판(8)은 일단 상향 선회하면 그 위치로 보전되고 하향할 수 없게 되는 특징이 있다.
즉, 힌지판(8)이 상향 선회할 때 래칫판(62)도 선회하게 되고, 이때의 선회작용은 아암(4)의 내측에 설치된 래칫돌기(74)에 래칫기어(68)가 맞물려져 하향 선회할 수 없게 제동됨으로써 힌지판(8)은 상향 선회한 위치 그대로 정지하고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타워 크레인으로 갱폼(G)을 들어올릴 때에 어떤 이유로 상기 타워 크레인과의 연결이 해제되어 견인력이 소멸 되더라도 상기 힌지판(8)은 낙하하지 않고 상향 선회한 위치 그대로 멈추어 보전되기 때문에 안전한 작업이 보장된다.
다음에 타워 크레인으로 갱폼(G)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힌지판(8)의 상향 이동과 하향 복귀 작동을 도 11a ~ 도 11c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힌지판(8)을 상향 이동시킬 때는 도 11a로 도시한 바와 같이, 푸시돌기(72)가 래칫돌기(74)의 하측에 놓이는 범위까지 조절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래칫기어(68)가 래칫돌기(74)를 밀어 올리면서 통과하는 것으로 1피치씩 이동하게 되고, 1피치 넘어간 래칫기어(68)가 래칫돌기(74)를 내리누르면 도 9에 도시한 래칫축(58)의 평면(61)이 래칫공(60)의 스토퍼(63)에 걸려 정지될 때까지 회전하여 멈추게 되고, 이러한 작용을 통해 상기 래칫기어(68)의 하향 이동이 억제됨과 동시에 힌지판(8)은 상향 이동한 위치로 보전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향 이동한 힌지판(8)을 수직위치(상사점)로 더 끌어올리면 도 11b로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칫기어(68)의 맨 끝에 형성된 푸시돌기(72)가 반경 “R1”으로 선회하여 래칫돌기(74)를 바깥쪽으로 밀어내면서 통과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래칫돌기(74)가 뒤로 선회할 때 그 반대쪽의 스테이 홈(76)으로 롤러(82)가 끼워져서 구속하게 됨으로써 상기 래칫돌기(74)는 그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힌지판(8)을 하향 이동시키더라도 래칫돌기(74)가 푸시돌기(72)의 반경 “R1”의 밖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래칫기어(68)는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래칫기어(68)의 복귀가 완료되는 지점에서는 도 11c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큰 반경 “R2”로 설치된 리셋돌기(70)가 래칫돌기(70)와 접촉하게 되어 이를 누르면서 선회시키게 되고, 그 결과로 상기 래칫돌기(70)의 반대쪽 스테이 홈(76)은 강제로 롤러(82)에서 해방되면서 원래의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있어서, 마운팅 플레이트(2)에 대한 아암(4)의 회동각도 제어 구조는 도 12의 도시와 같이 되어 있다.
상술한 제1 실시 예에서 핀공(36)은 피벗 축(16)의 주위로 1열 배치되어 있으나, 이 실시 예에서는 바깥쪽 핀공(36)과 안쪽 핀공(36)이 상호 어긋나는 위치로 2열 배치되어 있고, 축 지지부(15)의 중심에는 안쪽과 바깥쪽 핀공을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장타원공(88)으로 형성한 특징이 있다.
장타원공(88)에는 통상의 앵커 핀이 안쪽 또는 바깥쪽 핀공(36)으로 관통되어서 축수 브래킷(14)과 축 지지부(15) 사이를 고정하게 된다.
핀공(36)의 2열 배치는 예를 들면, 상술한 제1 실시 예는 180도 반경을 15도, 30도(+45도), 30도(+75도), 30도(-75도), 30도(-45도), 30도(-15도) 간격으로 핀공(36)을 형성하였을 때 마운팅 플레이트(2)에 대하여 아암(4)을 좌우로 15도, 45도, 75도의 6단계로 꺾어 배치할 수 있으나, 제2 실시 예와 같이 안쪽과 바깥쪽의 핀공(36)을 어긋나게 배열하면 15도, 30도, 45도, 60도 등으로 15도씩 세분화하여 배치할 수 있으면서도 이웃하는 핀공(36) 사이의 간격을 넓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축수 브래킷(14)과 축 지지부(15)의 기계적 강도도 확보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갱폼(G)의 조립과 해체과정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행하지만, 아암(4)에 내장된 래칫판(62)의 래칫 작용을 통한 작업 안전성의 보장, 그리고 어져스터(56)를 통한 갱폼지주(34)의 인양높이 조정으로 갱폼(G)의 정밀 세팅이 구현된다.
또, 상기 제1 실시 예에서는 건물의 코너부분에 설치된 갱폼(G)을 해체할 때 한쪽 면이 콘크리트 타설 면에 강하게 접합 되어 잘 떨어지지 않음으로써 갱폼(G)에 비틀림이 생기면 이를 지지하는 갱폼지주(34), 어져스터(56)를 통해 요동판(12)과 힌지판(8)으로 무리한 힘이 가해질 염려가 있으나, 제2 실시 예에서는 어져스터(56)가 요동판(12)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비틀림이 갱폼지주(34)를 통해 가해지면, 상기 어져스터(56)의 자체 회전과, 요동판(12)에 대한 회동판(66)의 회동으로 이를 완충 소멸시키게 되어, 갱폼지주(34)나 어져스터(56) 등이 무리한 힘을 받아 손상되는 일이 없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련된 갱폼 탈착 장치의 제3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 예의 갱폼 탈착 장치는 상술한 제2 실시 예와 비교하여 마운팅 플레이트(2)와 아암(4) 사이가 상호 회동할 수 없도록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점과, 어져스터(56)를 지지하는 요크(32)가 회동판(12)에 직접 축 연결되어 있는 점에 차이가 있고, 그 외에 아암(4)의 측면으로 래칫축(58)의 끝 부분이 래칫공(60)을 통하여 축 지지되고, 상기 아암(4)의 내측에 래칫판(62)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 등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제3 실시 예의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가 손잡이(54)를 쥐고 어져스터(56)를 회동 조작하여 갱폼 지주(34)의 높이를 승강 조절할 수 있고, 또 갱폼(G)을 인양할 때 힌지판(8)과 함께 래칫판(62)의 회동에 의한 래칫 작동으로 갱폼(G)이 끌어 올려진 위치에 보전되는 작용은 동일하게 나타내는 것이나, 이 실시 예는 마운팅 플레이트(2)와 아암(4)이 상대 회전할 수 없게 일체로 연결된 구조이므로 건물의 코너부분 벽면에는 적합하지 않은 구조이다.
그렇지만, 상술한 제3 실시 예도 종래의 갱폼 탈착 장치에서는 기대할 수 없는 작용, 즉 어져스터(56)를 통한 갱폼(G)의 정밀 세팅과, 래칫판(68)에 의한 갱폼(G)의 인양위치 보전작용으로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2: 마운팅 플레이트 4: 아암
6: 고정축 8: 힌지판
10: 가동축 12: 요동판
14: 축수 브래킷 15: 축 지지부
16: 피벗축 18: 고정축수
20: 가동축수 22: 노치
24: 축 연결부 26: 회동프레임
28: 수직부 30: 끝단 측 밑면
32: 요크 34: 갱폼 지주
36: 핀공 38: 회동축
40: 고정판 42: 중심축
44: 스토퍼 봉 46: 제동판
48: 요동편 50: 마감편
52: 수평봉 54: 손잡이
56: 어져스터 58: 래칫축
59: 연결판 60: 래칫공
61: 평면 62: 래칫판
63: 스토퍼 64: 축
66: 회동판 68: 래칫기어
70: 리셋돌기 72: 푸시돌기
74: 래칫돌기 76: 스테이 홈
78: 스프링시트 80: 스프링
82: 롤러 84: 너트
86: 연결축 88: 장타원공

Claims (6)

  1. 건물의 외벽(W)에 부착 연결되는 마운팅 플레이트(2)의 측방으로 아암(4)이 설치되고, 이 아암(4)의 자유 단에는 고정 축(6)에 의해 힌지판(8)이 수직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축 지지 됨과 아울러, 상기 힌지판(8)의 자유 단에는 갱폼 지주(34)를 지지하기 위한 요동판(12)을 가동축(10)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되, 상기 힌지판(8)과 요동판(12)의 선회 방향이 상호 반대로 되게 설정하고 있고, 상기 갱폼지주(34)는 회동축(38)에 의해 요동판(12)의 상면에서 수평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갱폼 탈착 장치.
  2. 건물의 외벽(W)에 부착 연결되는 마운팅 플레이트(2)의 측방으로 아암(4)이 설치되고, 이 아암(4)의 자유 단에는 고정 축(6)에 의해 힌지판(8)이 수직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축 지지 됨과 아울러, 상기 힌지판(8)의 자유 단에는 요동판(12)을 가동축(10)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되, 상기 힌지판(8)과 요동판(12)의 선회 방향이 상호 반대로 되게 배치하고, 내부 중심에 고정된 너트(84)로 스크루 봉(58)을 추진 연동시키는 어져스터(56)가 상기 요동판(12)에서 연결축(86)으로 수평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스크루 봉(58)에는 연결판(59)을 개재하여 갱폼지주(34)가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갱폼 탈착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아암(4)은 측면에 래칫공(60)을 구비함과 아울러 내부에는 힌지판(8)의 밑면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래칫판(62)이 수용되어서 상기 힌지판(8)과 함께 고정축(6)으로 축 지지되어 있고, 상기 래칫판(62)의 밑면에는 래칫기어(68)와 그 양끝의 푸시돌기(72) 및 리셋돌기(70)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암(4)의 래칫공(60)에는 상기 래칫기어(68)와 맞물리는 래칫돌기(74)를 구비한 래칫축(58)이 축 지지된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탈착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와 아암(4) 사이에는 피벗축(16)으로 연결되는 축수 브래킷(14)과 축 지지부(15)가 설치되어서 상기 아암(8)을 마운팅 플레이트(2)에 대하여 꺾인 자세로 배치하여 건물의 코너부분 외벽(W)으로 교차 배치되는 갱폼(G)을 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탈착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가동축(10)을 통해 상기 아암(4)의 한쪽으로 축 연결되는 요동판(12)의 자유 단에 회동판(66)을 축(64)으로 수평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회동판(66)에 어져스터(56)를 연결축(86)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탈착 장치.
  6. 마운팅 플레이트(2)가 부착 고정되는 가이드레일(R)을 건물 벽면(W)의 소정위치마다 부착 고정되는 가이드박스(B)에 따라 상향 이동하도록 배치하고, 갱폼(G)의 주위로 배치되는 안전 케이지(SC)의 상측은 상기 갱폼(G)의 상변으로 연결하고 하측은 상기 아암(4)의 하부 주변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R)에는 외벽 마감작업용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용 케이지(C)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구성의 갱폼 탈착 시스템.
KR1020100119765A 2010-04-16 2010-11-29 갱폼 탈착 장치와 이를 갖춘 갱폼 탈착 시스템 KR1011770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5159 2010-04-16
KR1020100035159 2010-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948A true KR20110115948A (ko) 2011-10-24
KR101177072B1 KR101177072B1 (ko) 2012-08-24

Family

ID=4503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765A KR101177072B1 (ko) 2010-04-16 2010-11-29 갱폼 탈착 장치와 이를 갖춘 갱폼 탈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0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9194A (zh) * 2017-12-11 2018-04-17 浙江三信智能机械科技有限公司 线缆机钢绞线弯圆器
CN117385766A (zh) * 2023-12-07 2024-01-12 山西建筑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道路的墩柱系梁模板快速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7303Y2 (ko) 1986-03-13 1992-11-09
KR100840847B1 (ko) * 2007-05-31 2008-06-23 삼목정공주식회사 갱폼과 레일의 연결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9194A (zh) * 2017-12-11 2018-04-17 浙江三信智能机械科技有限公司 线缆机钢绞线弯圆器
CN117385766A (zh) * 2023-12-07 2024-01-12 山西建筑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道路的墩柱系梁模板快速固定装置
CN117385766B (zh) * 2023-12-07 2024-03-22 山西建筑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道路的墩柱系梁模板快速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072B1 (ko) 201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5487B2 (en) Self-climbing perimetric protection system for construction works in buildings
KR101223614B1 (ko)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JP5503032B2 (ja) 仮設構造体用架設部材
KR100774883B1 (ko) 반자동 상승장치
KR101208418B1 (ko)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US20190106899A1 (en) Columnic Actuated Spring Loader System
JP5384092B2 (ja) 仮設構造体用架設部材
KR101177072B1 (ko) 갱폼 탈착 장치와 이를 갖춘 갱폼 탈착 시스템
JP4511657B2 (ja) 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の支持方法及び装置
WO2008126999A1 (en) Vertical transferring device for heavy load
KR100653229B1 (ko) 슬래브 거푸집용 가설빔 지지장치
KR200436819Y1 (ko) 보 시스템 거푸집
JP2012254836A (ja) タワークレーンのマスト支持構造、および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方法
KR101213276B1 (ko) 외단열 시공 겸용 시스템 거푸집, 외벽 및 외단열 시공 방법
KR100777400B1 (ko) 거푸집 지지장치
KR20060037137A (ko) 건축용 서포트의 간격유지장치
KR101101115B1 (ko)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KR20060064137A (ko) 슬래브 거푸집용 가설빔 지지장치
JP3265401B2 (ja) スリップフォーム装置
CN219316396U (zh) 一种无梁楼板柱帽模板加固装置
JP6084558B2 (ja) 壁体建て起こし装置および壁体の建て起こし工法
KR102348253B1 (ko) 동바리용 고정유격제
CN215168227U (zh) 预制柱定位装置
KR200442897Y1 (ko)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JP5301508B2 (ja) 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の支持方法および支持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