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418B1 -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418B1
KR101208418B1 KR1020110025612A KR20110025612A KR101208418B1 KR 101208418 B1 KR101208418 B1 KR 101208418B1 KR 1020110025612 A KR1020110025612 A KR 1020110025612A KR 20110025612 A KR20110025612 A KR 20110025612A KR 101208418 B1 KR101208418 B1 KR 101208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handle
moving space
rod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077A (ko
Inventor
박시환
Original Assignee
박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시환 filed Critical 박시환
Priority to KR1020110025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418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는, 철근이 수용되도록 수용부(110)가 구비되고, 바닥면에 직립되도록 다수개의 직립부재(120)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이동공간(130)이 형성되는 받침대(100);와, 상기 이동공간(130)의 내벽에 형성되는 고정홈(131);과, 상기 이동공간(130)과 연통되도록 받침대(100)에 관통형성되되, 상기 고정홈(131)과 대향된 위치에 수평한 높이로 관통형성되는 통공(132);와, 상기 이동공간(130)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렉기어(211)가 구비되는 하부브라켓(210):과, 이 하부브라켓(210)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단에는 안착부(221)가 구비되는 상부브라켓(220):이 포함되는 길이조절봉(200);과, 하부가 상기 안착부(221)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300);과, 상기 받침대(100)에 설치되되, 일측 단부에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손잡이(410):와, 일측이 상기 손잡이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공으로 삽입되는 기어봉(420):과, 상기 기어봉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410)의 전후진에 의해 상기 고정홈(131)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430):와, 상기 기어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렉기어(211)와 치합되어 상기 손잡이(410)의 조작에 의해 상기 길이조절봉(200)이 승하강되도록 외주면에 톱니기어(421):가 구비되는 길이조절부(400);와, 하부에는 상기 스프링(300)의 상부와 결합되는 결합부(510)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결합홈(520)이 구비되되, 외주면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5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를 돌리는 동작만으로 길이조절봉이 승하강되므로 승하강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어 노동력의 절감을 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돌리는 동작만으로 길이조절봉이 승하강되므로 승하강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어 노동력의 절감을 꾀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바닥이나 층간 슬라브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 시에는 먼저 거푸집을 구성하기 위해 철근 구조물이나 데크 플레이트를 바닥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거푸집을 구성하는 철근이나 데크 플레이트에 끈을 묶어서 타설될 콘크리트의 두께를 표시하거나, 막대나 블록 형태의 표시기구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표시방법은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콘크리트 타설작업중인 콘크리트호스와 부딪혀 넘어져 표시된 위치가 없어지거나 다시 수정해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428284호(공고일자 2004년 04월 27일)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한 높이조절구가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구의 높이를 조절하고, 셋팅위치를 제어하는 위치제어구와 상기 높이조절구의 위치를 복원하기 위한 탄성부재 및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확인할 수 있는 캡부재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기술은 높이조절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필요한 높이를 일정하게 형성하고, 필요한 경우 상기 캡부재를 이용하여 미세조절을 하는 것으로, 필요한 높이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높이조절구의 하부에 결합된 위치제어구를 회동시켜 조절한 후 미세한 높이를 캡부재를 회동시켜 조절하게 된다.
이때, 높이조절구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위치제어구를 회전시켜야 하는데, 콘크리트 타설 높이가 높게 설정되는 경우 작업자가 위치제어구를 회전시키는 작업 시간이 많이 필요한 것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닥에 다수개 설치되는 경우 이를 동일한 높이로 설정하기 위해 설치된 모든 높이조절구의 위치를 동일한 높이로 설정하는데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높이조절구의 구조가 복잡하게 제작되어 생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를 돌리는 동작만으로 길이조절봉이 승하강되므로 승하강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어 노동력의 절감을 꾀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높이조절에 필요한 구조가 간단하게 제작되어 종래기술에 비해 생산단가를 절약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는, 철근(1)이 수용되도록 수용부(110)가 구비되고, 바닥면(2)에 직립되도록 다수개의 직립부재(120)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이동공간(130)이 형성되는 받침대(100);와, 상기 이동공간(130)의 내벽에 형성되는 고정홈(131);과, 상기 이동공간(130)과 연통되도록 받침대(100)에 관통형성되되, 상기 고정홈(131)과 대향된 위치에 수평한 높이로 관통형성되는 통공(132);와, 상기 이동공간(130)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렉기어(211)가 구비되는 하부브라켓(210):과, 이 하부브라켓(210)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단에는 안착부(221)가 구비되는 상부브라켓(220):이 포함되는 길이조절봉(200);과, 하부가 상기 안착부(221)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300);과, 상기 받침대(100)에 설치되되, 일측 단부에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손잡이(410):와, 일측이 상기 손잡이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공으로 삽입되는 기어봉(420):과, 상기 기어봉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410)의 전후진에 의해 상기 고정홈(131)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430):와, 상기 기어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렉기어(211)와 치합되어 상기 손잡이(410)의 조작에 의해 상기 길이조절봉(200)이 승하강되도록 외주면에 톱니기어(421):가 구비되는 길이조절부(400);와, 하부에는 상기 스프링(300)의 상부와 결합되는 결합부(510)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결합홈(520)이 구비되되, 외주면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5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립부재(120)에는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고정홀(121);과, 상기 고정홀(121)을 관통하여 지면(2)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대(10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핀(14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520)에 결합되되,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후 탈거되는 탈거부(6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를 돌리는 동작만으로 길이조절봉이 승하강되므로 승하강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어 노동력의 절감을 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높이조절에 필요한 구조가 간단하게 제작되어 종래기술에 비해 생산단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의 높이가 조절되는 모습을 보인 정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의 높이가 조절되는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의 높이가 조절되는 모습을 보인 정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의 높이가 조절되는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는 받침대(100), 고정홈(131), 통공(132), 길이조절봉(200), 스프링(300), 길이조절부(400) 및 노출부(500)가 포함되며, 수용부(110), 직립부재(120), 고정홀(121), 이동공간(130), 고정핀(140), 하부브라켓(210), 렉기어(211), 상부브라켓(220), 안착부(221), 분할플랜지(230), 손잡이(410), 기어봉(420), 톱니기어(421), 결합돌기(430), 결합부(510), 결합홈(520) 및 탈거부(6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100)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닥면의 상면에 안착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받침대(1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이 수용되는 수용부(1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바닥면과 맞닿아 받침대(100)가 바닥면에 직립되도록 직립부재(1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직립부재(120)에 의해 받침대(100)가 지면에 직립된 상태에서 지면에 고정되도록 고정홀(121)과 고정핀(14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고정홀(121)은 직립부재(120)에 상하로 관통되는 통공이며, 상기 고정핀(140)은 고정홀(121)을 관통하여 지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핀(140)은 못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받침대(100)의 내부에는 이동공간(13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이동공간(130)은 받침대(100)의 상면에서부터 함몰된 홈의 형상 또는 상면에서부터 하면까지 관통된 홀의 형상 모두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이동공간(130)에는 후술할 길이조절봉(200)이 삽입되되, 이렇게 삽입된 길이조절봉(200)은 후술할 길이조절부(400)에 의해 상하로 작동된다.
또한, 상기 이동공간(130)의 일측 내벽에는 고정홈(131)이 형성되고, 이 고정홈(131)과 수평한 높이로 통공(132)이 형성되는데, 이 통공(132)으로 후술할 길이조절부(400)의 기어봉(420)이 삽입되며, 상기 고정홈(131)은 기어봉(420)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돌기(430)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통공(132)은 받침대(100)에 형성되며, 고정홈(131)과 대향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길이조절봉(2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브라켓(210)과 상부브라켓(220)으로 구성되는데, 하부브라켓(210)은 상술한 이동공간(130)에 삽입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렉기어(211)가 구비된다.
또한, 상부브라켓(220)은 상기 하부브라켓(210)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단에는 후술할 스프링(300)이 안착되는 안착부(22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하부브라켓(210)과 상부브라켓(220)은 상술한 이동공간(130)의 횡단면보다 큰 횡단면을 갖는 분할플랜지(230)에 의해 구분될 수 있는데, 상기 분할플랜지(230)의 횡단면이 이동공간(130)의 횡단면보다 큰 이유는 길이조절부(400)의 하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의 역할을 하기 위함이다.
상기 길이조절부(4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받침대(100)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길이조절부(400)는 손잡이(410), 기어봉(420), 결합돌기(430) 및 톱니기어(421)로 구성되는데, 상기 기어봉(420)은 손잡이(410)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손잡이(41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손잡이(410)는 길이조절부(4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그립감이 유지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되,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면적이 증대되도록 테두리에 홈이 형성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또한, 상기 기어봉(420)은 일측이 상기 손잡이(410)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봉형상의 부재로서, 이러한 기어봉(420)의 외주면에는 톱니기어(421)가 형성되는데, 상기 톱니기어(421)는 상술한 길이조절봉(200)의 렉기어(211)와 치합되며, 손잡이(410)의 회전에 따라 길이조절봉(200)은 상승 또는 하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400)의 타측 단부, 즉 상기 기어봉(420)의 타측 단부에는 결합돌기(43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결합돌기(430)는 이동공간으로 삽입되되, 상기 손잡이(410)의 전후진 조작에 의해 이동공간(130)의 내부에서 전후진되면서 고정홈(131)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길이조절봉(200)의 높이조절이 완료된 후 길이조절부(400)의 회전을 방지하여 높이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노출부(5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시 외부로 노출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노출부(500)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노출부(500)의 하부에는 스프링(300)의 상부와 결합되는 결합부(510)가 구비되되, 이러한 결합부(510)는 상술한 안착부(221)의 형상과 동일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부에는 결합홈(52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결합홈(520)에는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후 탈거되는 탈거부(60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탈거부(600)는 탈거가 용이하게 되도록 원추형으로 제작되는 것도 좋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스프링의 역할은 공지된 종래기술(등록특허 제10-428284호)에 기재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의 높이가 조절되는 방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초기상태는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이러한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는 도 2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초기상태는 하부브라켓(210)이 하사점에 위치되며,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부(400)의 결합돌기(430)는 받침대(100)의 고정홈(131)에 고정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초기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잡이(410)를 잡아당긴 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도 4와 도 6의 상태로 진행되는데, 이때, 결합돌기(430)는 고정홈(131)과의 결합이 해체되며, 이에 따라, 렉기어(211)와 톱니기어(421)는 서로 맞물려 회전되면서 길이조절봉(200)을 원하는 높이만큼 상승시킨다.
상기와 같은 도 6의 상태에서 길이조절봉(200)을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시킨 후, 사용자는 손잡이(410)를 밀어 결합돌기(430)와 고정홈(131)을 결합시켜 길이조절봉(200)을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길이조절봉(200)의 높이를 다시 조정하려면 손잡이(410)를 잡아당겨 도 5의 상태로 전환시키면 될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받침대 110-수용부
120-직립부재 121-고정홀
130-이동공간 131-고정홈
132-통공 140-고정핀
200-길이조절봉 210-하부브라켓
211-렉기어 220-상부브라켓
221-안착부 230-분할플랜지
300-스프링
400-길이조절부 410-손잡이
420-기어봉 421-톱니기어
430-결합돌기
500-노출부 510-결합부
600-탈거부

Claims (3)

  1. 철근이 수용되도록 수용부(110)가 구비되고, 바닥면에 직립되도록 다수개의 직립부재(120)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이동공간(130)이 형성되는 받침대(100);와
    상기 이동공간(130)의 내벽에 형성되는 고정홈(131);과
    상기 이동공간(130)과 연통되도록 받침대(100)에 관통형성되되, 상기 고정홈(131)과 대향된 위치에 수평한 높이로 관통형성되는 통공(132);와
    상기 이동공간(130)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렉기어(211)가 구비되는 하부브라켓(210):과, 이 하부브라켓(210)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단에는 안착부(221)가 구비되는 상부브라켓(220):이 포함되는 길이조절봉(200);과
    하부가 상기 안착부(221)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300);과
    상기 받침대(100)에 설치되되, 일측 단부에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손잡이(410):와, 일측이 상기 손잡이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공으로 삽입되는 기어봉(420):과, 상기 기어봉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410)의 전후진에 의해 상기 고정홈(131)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430):와, 상기 기어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렉기어(211)와 치합되어 상기 손잡이(410)의 조작에 의해 상기 길이조절봉(200)이 승하강되도록 외주면에 톱니기어(421):가 구비되는 길이조절부(400);와
    하부에는 상기 스프링(300)의 상부와 결합되는 결합부(510)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결합홈(520)이 구비되되, 외주면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5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립부재(120)에는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고정홀(121);과
    상기 고정홀(121)을 관통하여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대(10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핀(14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리트 타설용 레벌 스페이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520)에 결합되되,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후 탈거되는 탈거부(6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KR1020110025612A 2011-03-23 2011-03-23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KR101208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612A KR101208418B1 (ko) 2011-03-23 2011-03-23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612A KR101208418B1 (ko) 2011-03-23 2011-03-23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077A KR20120108077A (ko) 2012-10-05
KR101208418B1 true KR101208418B1 (ko) 2012-12-05

Family

ID=4727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612A KR101208418B1 (ko) 2011-03-23 2011-03-23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4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751B1 (ko) * 2014-04-18 2014-08-12 세연전력기술단주식회사 배전용 피뢰기 설치장치
KR101630707B1 (ko) * 2014-07-11 2016-06-15 윤장섭 지능형 임베디드형 물관리 원격 계측제어 시스템
US9677276B2 (en) * 2015-07-26 2017-06-13 Gilman Construction Solutions, Llc Support for embedding object in concrete
US20170233999A1 (en) 2015-07-26 2017-08-17 Gilman Construction Solutions, Llc Support for embedding object in concrete
CN106522570A (zh) * 2016-11-16 2017-03-22 成都佳美嘉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瓦刀
CN109898394A (zh) * 2019-03-08 2019-06-18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高精度冰面基层平整度控制的装置
KR20210000749U (ko) 2019-09-26 2021-04-05 김형철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KR20210000937U (ko) 2019-10-23 2021-05-03 박서연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KR20210001188U (ko) 2019-11-21 2021-05-31 김형철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027Y1 (ko) 2001-06-12 2001-10-29 김진술 미장용 레벨봉
KR200246028Y1 (ko) 2001-06-12 2001-10-29 김진술 콘크리트용 레벨봉
KR200309573Y1 (ko) 2003-01-06 2003-04-21 손경섭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업용 책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027Y1 (ko) 2001-06-12 2001-10-29 김진술 미장용 레벨봉
KR200246028Y1 (ko) 2001-06-12 2001-10-29 김진술 콘크리트용 레벨봉
KR200309573Y1 (ko) 2003-01-06 2003-04-21 손경섭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업용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077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418B1 (ko)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CN111456330B (zh) 一种用于预埋钢筋的定位模具
KR200446941Y1 (ko) 마루판 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받침대
JP5991009B2 (ja) コンクリートバイブレータ支持装置
CN206736864U (zh) 液压自升悬臂重型拱坝模板工作平台
KR101710536B1 (ko) 건축물 슬라브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KR101513993B1 (ko) 거푸집이송장치
CN208533356U (zh) 套箱式支座垫石模板
CN211313391U (zh) 一种建筑模板支撑用可调节型支撑结构
CN211691452U (zh) 混凝土结构建筑支模体系
KR200436819Y1 (ko) 보 시스템 거푸집
CN107780653A (zh) 一种用于钢结构楼面体系的模板支撑工具及施工方法
KR102186470B1 (ko) 다웰바 스틸폼
KR100660740B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속성시공방법
KR101262317B1 (ko) 시스템 동바리 이동장치
PH12015500124B1 (en) Device for producing a monolithic room module
KR20080101581A (ko) 건축용 동바리
KR101177072B1 (ko) 갱폼 탈착 장치와 이를 갖춘 갱폼 탈착 시스템
CN210086768U (zh) 可移动的台模
KR200397231Y1 (ko) 건물 벽체 형성용 거푸집판의 수평 조절 장치
CN205382607U (zh) 一种空心板模方盒固定支架
CN217518001U (zh) 一种钢结构建筑楼梯
CN211473513U (zh) 一种用于混凝土护栏浇筑的便携式剪刀撑
CN113006070B (zh) 一种多功能全悬臂模板及其浇筑混凝土的方法
KR200378145Y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