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993B1 - 거푸집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993B1
KR101513993B1 KR1020140099620A KR20140099620A KR101513993B1 KR 101513993 B1 KR101513993 B1 KR 101513993B1 KR 1020140099620 A KR1020140099620 A KR 1020140099620A KR 20140099620 A KR20140099620 A KR 20140099620A KR 101513993 B1 KR101513993 B1 KR 101513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lifting
moving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폼
Priority to KR102014009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Abstract

거푸집이송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는, 지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 다수 개로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 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고, 각각의 하단에 바퀴가 형성되는 이동부; 베이스프레임 일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승강프레임; 및 승강프레임 일측에 결합되고, 거푸집에 체결되도록 이루어지는 연결부가 구비되는 체인블록을 포함하고, 체인블록은 승강프레임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체인블록의 연결부를 통하여 거푸집에 체결되도록 하여 거푸집과 거푸집이송장치 간의 결합 및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거푸집이 베이스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안정되고 신속한 이동이 이루어짐은 물론, 베이스프레임 및 승강프레임이 가변형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이동이 매우 용이한 거푸집이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푸집이송장치{TRANSFER APPARATUS FOR FORM}
본 발명은 거푸집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평한 형태의 거푸집 또는 조립된 형태의 거푸집을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벽체 및 기둥 등의 두께를 기준으로 거푸집을 먼저 설치하고,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다.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설치하는 구조물로, 합판, 경질섬유 판, 합성수지, 알루미늄 패널, 강판 등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콘크리트의 타설 전, 거푸집은 설계도면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개개의 거푸집을 시공현장으로 운반하고 배치한 후, 소정의 체결요소, 예컨대 웨지핀(Wedge Pin)이나 플랫타이(Flat Tie) 등을 통해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거푸집을 상호 체결하는 방법에 의하여 전체 거푸집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공기단축 및 비용절감 등을 이유로 벽체를 구성하기 위한 월 폼(Wall Form) 또는 기둥을 구성하기 위한 기둥 폼(Post Form) 등을 시공현장에서 조립하여 전체 거푸집을 구성하고, 이를 크레인으로 양중한 후 벽체 또는 기둥이 축조되어야 할 위치로 옮기는 선 조립 공법이 활성화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선 조립 공법은 거푸집의 조립과정 중에 크레인을 대기시켜야하므로 크레인의 대기 시간 및 대기 비용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전문적 기술을 지닌 인력을 요구하는 크레인의 특성상 전체 시공비용이 늘어나는 문제점을 지닌다.
또한, 종래의 선 조립 공법은, 월 폼 또는 기둥 폼 등으로 선 조립된 전체 거푸집을 반드시 크레인으로 양중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4523호는 "거푸집 이송장치"를 개시하며, 구체적으로 거푸집의 일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유닛; 거푸집과 지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결합유닛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유닛; 및 높이조절유닛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높이조절유닛에 의하여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거푸집을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도록 하고 있으며, 단독 또는 선 조립된 거푸집을 이러한 장치를 통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만,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4523호에서 게시되는 이송장치에 의할 경우, 거푸집의 모서리에 개별적인 이송장치를 결합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거푸집과의 체결 및 분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되고, 또한 이송장치의 결합유닛과 거푸집간의 이격이 없는 형태로 고정시켜야 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역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0001)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4523호(공고일: 2009.05.18)
본 발명의 목적은, 편평한 형태의 거푸집 또는 조립된 형태의 거푸집을 이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거푸집과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고, 거푸집을 안정되게 지지하여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거푸집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지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 다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고, 각각의 하단에 바퀴가 형성되는 이동부; 상기 베이스프레임 일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승강프레임; 및 상기 승강프레임 일측에 결합되고, 거푸집에 체결되도록 이루어지는 연결부가 구비되는 체인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체인블록은 상기 승강프레임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이송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지면 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이동부가 결합되는 제1 프레임; 및 지면 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이동부가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상에 형성되는 제1 승강프레임; 상기 제1 승강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제2 프레임상에 형성되는 제2 승강프레임; 상기 제1 승강프레임 및 제2 승강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연결지점상에 형성되는 제3 승강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평행하고, 상기 제1 승강프레임 및 제3 승강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이동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과 평행하고, 상기 제2 승강프레임 및 제3 승강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이동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체인블록은 상기 제1 이동프레임과 제2 이동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상기 제1 프레임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상기 제2 프레임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승강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연결아암; 및 상기 제3 승강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연결아암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에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제3 승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제1 프레임과 밀착되거나 근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이동프레임은 상기 제3 승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제1 이동프레임과 밀착되거나 근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동프레임은 상기 제3 승강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지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지면에서 이격된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조절지지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조절지지기구는 상기 제1 프레임상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지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지면에서 이격된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 조절지지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조절지지기구의 이동방향은 상기 제1 조절지지기구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지면과 접촉하여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체인블록의 연결부를 통하여 거푸집에 체결되도록 하여 거푸집과 거푸집이송장치 간의 결합 및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거푸집이 베이스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안정되고 신속한 이동이 이루어짐은 물론, 베이스프레임 및 승강프레임이 가변형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이동이 매우 용이한 거푸집이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거푸집이송장치에서 승강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거푸집이송장치(1)에서 승강프레임(2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1)는 베이스프레임(10), 이동부(60), 승강프레임(20) 및 체인블록(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프레임(10)은 지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지면상에 놓이는 부분이며,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1)의 베이스를 이룬다. 베이스프레임(10)은 지면 상에서 일정한 면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베이스프레임(10)에 이동부(60)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된 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0)은,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제3 프레임(13) 및 제4 프레임(1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프레임(11)은 대체로 긴 로드(rod) 형태로 형성되고,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놓인다. 제1 프레임(11)은 원형기둥 또는 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은 제1 프레임(11)과 같이, 대체로 긴 로드(rod) 형태로 형성되고,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놓인다. 제2 프레임(12) 또한 원형기둥 또는 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1)에서, 제2 프레임(12)은 제1 프레임(11)과 동일한 형태(대칭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프레임(12)은 제1 프레임(11)의 단부에 결합되고, 특히 제1 프레임(11)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12)은 제1 프레임(11)과 이루는 각이 80 ~ 100°범위를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1)에서,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은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프레임(13) 또한 대체로 긴 로드(rod) 형태로 형성되고,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놓이며, 원형기둥 또는 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프레임(13)은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의 단부에서 결합된다. 즉, 제3 프레임(13)은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이 서로 결합되는 지점에서 함께 결합된다. 그리고 제3 프레임(13)은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제1 프레임(11)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룬다.
제4 프레임(14) 또한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의 단부에서 결합된다. 즉, 제4 프레임(14)은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이 서로 결합되는 지점에서 함께 결합된다. 그리고 제4 프레임(14)은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제2 프레임(12)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제1 프레임(11), 제2 프레임(12), 제3 프레임(13) 및 제4 프레임(14)의 바깥쪽 단부를 서로 연결하면 전체적으로 사각형 모양을 이루며, 지면상에서 안정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2)이 제1 프레임(11) 또는 제3 승강프레임(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프레임(1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제3 프레임(13) 및 제4 프레임(14)에 의하여 안정된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동부(60)는 다수 개로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10) 상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결합되며, 특히 제1 프레임(11), 제2 프레임(12), 제3 프레임(13) 및 제4 프레임(14)의 바깥쪽 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제1 프레임(11), 제2 프레임(12), 제3 프레임(13) 및 제4 프레임(14)에 결합되는 이동부(60)는 모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제1 프레임(11)에 결합되는 이동부(60)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동부(60)는 제1 손잡이(61), 제1 승강로드(62), 브라켓(63) 및 바퀴(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승강로드(62)는 제1 프레임(11)에 결합되며, 특히 제1 프레임(11)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승강로드(62)의 상하방향 이동 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조 및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승강로드(62)와 제1 프레임(11)이 나사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승강로드(62)와의 결합을 위하여 제1 프레임(11)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11a)이 구비된다.
제1 손잡이(61)는 제1 승강로드(62)의 상단에 형성되며, 제1 승강로드(62)를 회전시킬 수 있는 형태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63)은 제1 승강로드(62)의 하단에 형성되고, 바퀴(64)가 브라켓(6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1)에서는, 제1 프레임(11), 제2 프레임(12), 제3 프레임(13) 및 제4 프레임(14) 각각에 결합된 이동부(60)를 조정하여 높이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송이 요구되는 거푸집(100)의 크기, 모양, 그리고 시공현장 조건 등에 따라 제1 프레임(11), 제2 프레임(12), 제3 프레임(13) 및 제4 프레임(14)의 각각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제1 프레임(11), 제2 프레임(12), 제3 프레임(13) 및 제3 프레임(13)이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1)에는 스토퍼(7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토퍼(7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지면과 접촉하여 거푸집이송장치(1)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1)에서 스토퍼(70)는 이동부(60)와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70)는 제2 손잡이(71), 제2 승강로드(72) 및 마찰부재(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마찰부재(73)는 접시를 엎어놓은 형상을 지니며, 내부에 제2 승강로드(72) 하측 단부가 삽입되어 회전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고, 그 상측(볼록한 쪽)에는 제2 승강로드(72) 일측이 삽입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다.
마찰부재(73)는 소위 '종발이'라 불리는 도구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측에 형성된 구멍을 따라 제2 승강로드(72) 일측이 삽입되며, 그 내측에 형성된 여유공간을 통해 제2 승강로드(72)의 회전운동이 가능해진다.
제2 승강로드(72)는 제1 프레임(11)에 결합되며, 특히 제1 프레임(11)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승강로드(72)의 상하방향 이동 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조 및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승강로드(72)와 제1 프레임(11)이 나사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승강로드(72)와의 결합을 위하여 제1 프레임(11)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11b)이 구비된다.
제2 손잡이(71)는 제2 승강로드(72)의 상단에 형성되며, 제2 승강로드(72)를 회전시킬 수 있는 형태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스토퍼(70)의 승강에 의하여 마찰부재(73)의 하단이 지면과 안정되게 접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거푸집이송장치(1)의 안정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승강프레임(20)은 베이스프레임(10) 일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특히, 이러한 승강프레임(20)은 제1 승강프레임(21), 제2 승강프레임(22), 제3 승강프레임(23), 제1 이동프레임(24) 및 제2 이동프레임(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승강프레임(21)은 제1 프레임(11)상에 형성되며, 제3 프레임(13)에서 먼 쪽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제1 승강프레임(21)은 제1 프레임(11)상에 고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승강프레임(22)은 제1 승강프레임(21)과 이격되어 제2 프레임(12)상에 형성되며, 제4 프레임(14)에서 먼 쪽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제2 승강프레임(22)은 제2 프레임(12)상에 고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승강프레임(23)은 제1 승강프레임(21) 및 제2 승강프레임(22)과 이격되어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의 연결지점 상에 형성된다.
제1 이동프레임(24)은 제1 프레임(11)과 평행하고, 제1 프레임(11)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제1 이동프레임(24)은 제1 승강프레임(21) 및 제3 승강프레임(23)과 결합되되 제1 승강프레임(21) 및 제3 승강프레임(23)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제1 승강프레임(21) 및 제3 승강프레임(23)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21a, 23a)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형성되고, 제1 이동프레임(24)에는 제1 승강프레임(21) 및 제3 승강프레임(23) 각각에 밀착되는 브라켓(24a)이 형성되며, 제1 이동프레임(24)의 브라켓을 관통하는 체결수단(26)(예컨대, 볼트와 같은 수단)이 제1 승강프레임(21) 및 제3 승강프레임(23)의 관통공(21a, 23a)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아울러 그 체결되는 위치가 상하 조정되면서 제1 이동프레임(24)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제2 이동프레임(25)은 제2 프레임(12)과 평행하고, 제2 프레임(12)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제2 이동프레임(25)은 제2 승강프레임(22) 및 제3 승강프레임(23)과 결합되되 제2 승강프레임(22) 및 제3 승강프레임(23)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제2 승강프레임(22) 및 제3 승강프레임(23)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22a, 23b)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형성되고, 제2 이동프레임(25)에는 제2 승강프레임(22) 및 제3 승강프레임(23) 각각에 밀착되는 브라켓(25a)이 형성되며, 제2 이동프레임(25)의 브라켓(25a)을 관통하는 체결수단(예컨대, 볼트와 같은 수단)이 제2 승강프레임(22) 및 제3 승강프레임(23)의 관통공(22a, 23b)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아울러 그 체결되는 위치가 상하 조정되면서 제2 이동프레임(25)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승강프레임(20)의 일측에는 체인블록(50)이 결합되는 지지브라켓(54)이 형성된다. 지지브라켓(54)은 특히 제1 이동프레임(24) 및 제2 이동프레임(25)의 각각의 중앙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블록(50)은 통상의 체인 블록(chain block)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52)(후크, hook)에 걸린 하중(거푸집(100)의 하중)을 도르래와 감속 기어 장치에 의해 체인(51)을 통해 감아 올려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블록(50)은 웜 기어형 또는 평 기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웜 기어형의 경우 체인(53)을 끌어당겨 체인 풀리 및 이와 동축의 웜을 돌리면 웜 기어와 맞물려 이 기어와 동축으로 부착되어 있는 체인(51)을 돌려 물체를 승강시키도록 이루어지고, 평 기어형의 경우 체인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힘을 평 기어에 의해 체인 풀리에 전달하여 감아 올리거나 감아 내리도록 이루어진다.
거푸집(100)은, 패널 및 패널의 일측면에 결합된 보강빔(110)으로 이루어지는데, 거푸집(100)과 체인블록(50)의 체결을 위하여, 거푸집(100)의 보강빔(110)에 체인블록(50)과 결합될 수 있는 연결고리(120) 등을 우선 결합시키고, 이러한 연결고리(120)에 체인블록(50)의 연결부(52)를 체결한다. 이와 달리, 보강빔(110)에 체인블록(50)의 연결부(52)와 결합될 수 있는 연결홀 등을 형성하여 거푸집(100)과 체인블록(50)을 체결할 수 있다.
이후, 체인블록(50)의 체인을 당겨 거푸집(10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거푸집(100)이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원하는 장소로 거푸집(100)을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1)에서는, 승강프레임(20) 상단에서 체인블록(50)이 결합됨에 있어서, 체인블록(50)은 제1 이동프레임(24)과 제2 이동프레임(25)이 각각 결합되며, 이에 의하여 체인블록(50)에 의해 거푸집(100)이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거푸집(100)의 면이 승강프레임(20)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체결된 거푸집(100)이 거푸집이송장치(1) 내부에 위치하여 거푸집(100)의 무게중심이 거푸집이송장치(1) 안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체결된 거푸집(100)의 이송시 거푸집이송장치(1)의 안정된 균형 유지가 이루어지며, 더욱 용이한 거푸집(100)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1)는, 제1 연결아암(80) 및 제2 연결아암(9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결아암(80)은 삼각형을 이루도록 제3 승강프레임(23)과 제3 프레임(13)을 연결하며, 제3 승강프레임(23)과 제3 프레임(13)의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2 연결아암(90)은 삼각형을 이루도록 제3 승강프레임(23)과 제4 프레임(14)을 연결하며, 제3 승강프레임(23)과 제4 프레임(14)의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 연결아암(90)은 제1 연결아암(80)과 동일하되 대칭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1)는, 베이스프레임(10)과 승강프레임(20)은 가변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프레임(12)은 제1 프레임(11) 또는 제3 승강프레임(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시 제2 프레임(12)은 제1 프레임(11)과 밀착되거나 근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3 승강프레임(23)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2 프레임(12)이 제1 프레임(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도 3 참조), 또는 제2 프레임(12)이 제3 승강프레임(23)에 직접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한 형태로, 제3 승강프레임(23)에 제1 프레임(1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시 제1 프레임(11)이 제2 프레임(12)과 밀착되거나 근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프레임(12)의 회전을 위하여, 제2 프레임(12)과 제1 프레임(11) 사이에는 경첩(27)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이 제1 프레임(11) 또는 제3 승강프레임(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제2 이동프레임(25) 또한 제3 승강프레임(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제2 이동프레임(25)은 제1 이동프레임(24)과 밀착되거나 근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2 이동프레임(25)의 회전을 위하여, 제2 이동프레임(25)과 제3 승강프레임(23) 사이에는 경첩(28)이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2 프레임(12)이 제3 승강프레임(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제2 이동프레임(25)은 제3 승강프레임(2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프레임(12)이 제3 승강프레임(23)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있어서 제2 프레임(12)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이 이루는 각도 및 제1 이동프레임(24)과 제2 이동프레임(25)이 이루는 각도는 가변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시공되는 건축물의 구조상, 조립된 거푸집(100)의 패널이 이루는 각도가 수직이 아닌 경우에도 거푸집(100)의 안정된 지지를 보장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거푸집(100)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이 이루는 각도의 변경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이송장치의 전체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이러현 가변형 구조는 장치의 보관 및 이동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1)에 의하면, 체인블록(50)의 연결부(52)를 통하여 거푸집(100)에 체결되도록 하여 거푸집(100)과 거푸집이송장치(1) 간의 결합 및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거푸집(100)이 베이스프레임(1)에 지지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안정되고 신속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 간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하여 다양한 형태의 거푸집(100)에 적합한 이송장치를 형성할 수 있고, 보관 및 이동에 편의를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1)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1)에서 베이스프레임(10)은, 제1 조절지지기구(30) 및 제2 조절지지기구(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제1 조절지지기구(30)와 제2 조절지지기구(40)는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 있다.)
제1 조절지지기구(30)는 베이스프레임(10) 상에서 지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지면에서 이격된 거푸집(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조절지지기구(30)는 제1 프레임(11) 상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조절지지기구(30)와의 결합을 위하여 제1 프레임(11)에는 나사산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절지지기구(30)는 핸들(30a), 샤프트(30b) 및 밀착부재(30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밀착부재(30c)는 접시를 엎어놓은 형상을 지니며, 내부에 샤프트(30b)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회전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고, 그 상측(볼록한 쪽)에는 샤프트(30b) 일측이 삽입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다.
밀착부재(30c)는 소위 '종발이'라 불리는 도구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볼록한 쪽에 형성된 구멍을 따라 샤프트(30b) 일측이 삽입되며, 그 내측에 형성된 여유공간을 통해 샤프트(30b)의 회전운동이 가능해진다.
샤프트(30b)는 원 기둥형 축 부재로서, 뒤쪽에 샤프트(30b)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핸들(30a)이 마련되고, 샤프트(30b) 외주면 일부를 따라 일정 피치를 갖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샤프트(30b)는 제1 프레임(11)과 나사결합된다.
핸들(30a)은 상기 샤프트(30b)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며, 제1 조절지지기구(30)에서 핸들(30a)은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1 조절지지기구(30)는 베이스프레임(10) 상에서 지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특히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밀착부재(30c)의 단부가 거푸집(100)의 일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제2 조절지지기구(40) 또한 베이스프레임(10) 상에서 지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거푸집(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조절지지기구(40)는 제2 프레임(12) 상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조절지지기구(40)와의 결합을 위하여 제2 프레임(12)에는 나사산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 조절지지기구(40)는 핸들(40a), 샤프트(40b) 및 밀착부재(40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 조절지지기구(3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제2 조절지지기구(40)에 대한 설명은 제1 조절지지기구(3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제1 조절지지기구(30)와 제2 조절지지기구(40)가 각각 이동하는 방향이 이루는 각은 80 ~ 100°범위의 각도를 이루며, 특히 제1 조절지지기구(30)와 제2 조절지지기구(40)가 이동하는 방향 서로 직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수직한 형태로 조립된 거푸집(100)(조립된 거푸집을 이루는 각 패널(100a, 100b)의 조립이 수직한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의 어느 한쪽 면(100a)은 제1 조절지지기구(30)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한쪽 면(100b)은 제2 조절지지기구(4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거푸집(100)의 지지가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도 3(a) 참조)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이 이루는 각도는 가변적으로 이루어는 경우에는, 제1 조절지지기구(30)와 제2 조절지지기구(40)를 사용하여, 시공되는 건축물의 구조상, 조립된 거푸집(100)의 패널이 이루는 각도가 수직이 아닌 경우에도 거푸집(100)의 안정된 지지를 보장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거푸집(100)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조립된 거푸집(100)을 이루는 각 패널이 이루는 (평면도상) 각도가 120°인 경우, 제1 조절지지기구(30)와 제2 조절지지기구(40)가 향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 또한 120°가 되도록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이 이루는 각도(θ1)를 조정하여, 거푸집(100)의 어느 한쪽 패널이 제1 조절지지기구(30)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한쪽 패널은 제2 조절지지기구(4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거푸집(100)의 지지가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이송장치(1)에서는 제1 조절지지기구(30)만이 조립된 거푸집(100)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거푸집(100)의 다른 쪽이 제2 프레임(12)쪽에 밀착되어 안정된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거푸집이송장치 10 : 베이스프레임
11 : 제1 프레임 12 : 제2 프레임
13 : 제3 프레임 14 : 제4 프레임
20 : 승강프레임 21 : 제1 승강프레임
22 : 제2 승강프레임 23 : 제3 승강프레임
24 : 제1 이동프레임 25 : 제2 이동프레임
30 : 제1 조절지지기구 40 : 제2 조절지지기구
50 : 체인블록 51 : 체인
52 : 연결부 54 : 지지브라켓
60 : 이동부 61 : 제1 손잡이
62 : 제1 승강로드 63 : 브라켓
64 : 바퀴 70 : 스토퍼
71 : 제2 손잡이 72 : 제2 승강로드
73 : 마찰부재 80 : 제1 연결아암
90 : 제3 연결아암
100 : 거푸집 110 : 보강빔
120 : 연결고리

Claims (10)

  1. 지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
    다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고, 각각의 하단에 바퀴가 형성되는 이동부;
    상기 베이스프레임 일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승강프레임; 및
    상기 승강프레임 일측에 결합되고, 거푸집에 체결되도록 이루어지는 연결부가 구비되는 체인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체인블록은 상기 승강프레임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지면 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이동부가 결합되는 제1 프레임; 및
    지면 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이동부가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상에 형성되는 제1 승강프레임;
    상기 제1 승강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제2 프레임상에 형성되는 제2 승강프레임;
    상기 제1 승강프레임 및 제2 승강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연결지점상에 형성되는 제3 승강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평행하고, 상기 제1 승강프레임 및 제3 승강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이동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평행하고, 상기 제2 승강프레임 및 제3 승강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이동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체인블록은 상기 제1 이동프레임과 제2 이동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상기 제1 프레임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상기 제2 프레임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승강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연결아암; 및
    상기 제3 승강프레임과 상기 제4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연결아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제3 승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제1 프레임과 밀착되거나 근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프레임은 상기 제3 승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제1 이동프레임과 밀착되거나 근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이송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프레임은 상기 제3 승강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이송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지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지면에서 이격된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조절지지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이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지지기구는 상기 제1 프레임상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지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지면에서 이격된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 조절지지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조절지지기구의 이동방향은 상기 제1 조절지지기구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이송장치.
  10.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지면과 접촉하여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이송장치.
KR1020140099620A 2014-08-04 2014-08-04 거푸집이송장치 KR101513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620A KR101513993B1 (ko) 2014-08-04 2014-08-04 거푸집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620A KR101513993B1 (ko) 2014-08-04 2014-08-04 거푸집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3993B1 true KR101513993B1 (ko) 2015-04-23

Family

ID=53053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620A KR101513993B1 (ko) 2014-08-04 2014-08-04 거푸집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9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261Y1 (ko) 2015-11-13 2016-04-29 전제연 휴대형 거푸집 운반장치
KR20190051713A (ko) 2017-11-07 2019-05-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
KR20190109674A (ko) 2018-03-15 2019-09-26 주식회사 블루폼 합벽이송장치
KR20210022316A (ko) 2019-08-20 2021-03-03 김재성 테이블 폼 운반용 대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401B1 (ko) * 2008-05-26 2011-01-10 권종규 갱폼 인양장치
US8002510B2 (en) * 2005-07-19 2011-08-23 Williams David L Panel dolly apparatus
KR20110107952A (ko) * 2010-03-26 2011-10-05 서보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의 운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2510B2 (en) * 2005-07-19 2011-08-23 Williams David L Panel dolly apparatus
KR101006401B1 (ko) * 2008-05-26 2011-01-10 권종규 갱폼 인양장치
KR20110107952A (ko) * 2010-03-26 2011-10-05 서보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의 운반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261Y1 (ko) 2015-11-13 2016-04-29 전제연 휴대형 거푸집 운반장치
KR20190051713A (ko) 2017-11-07 2019-05-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조립식 테이블 폼 어셈블리 시스템
KR20190109674A (ko) 2018-03-15 2019-09-26 주식회사 블루폼 합벽이송장치
KR102099312B1 (ko) * 2018-03-15 2020-04-10 주식회사블루폼 합벽이송장치
KR20210022316A (ko) 2019-08-20 2021-03-03 김재성 테이블 폼 운반용 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993B1 (ko) 거푸집이송장치
KR101514395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장치
KR101208418B1 (ko)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KR101712189B1 (ko) 지게차를 이용한 거푸집 운반 지그
US2684824A (en) Adjustable brace
CN110039641A (zh) 预制楼梯成型模及使用方法
CN106005893A (zh) 输送机支架
KR101719961B1 (ko) 조적용 시공장치
KR102144434B1 (ko)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 및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의 설치방법
KR20100089645A (ko) 링너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서포트
CN203582015U (zh) 一种小型叠砖机
KR20150052381A (ko) 거푸집이송장치
CN210288117U (zh) 一种角度可调节支架顶托
CN208792760U (zh) 模板支架
CN211114063U (zh) 斜立杆用限位式转动托座
KR101181493B1 (ko) 개선된 시스템 서포터
KR101393726B1 (ko) 운반 및 설치가 가능한 시스템 서포트
KR20180107404A (ko) 2중 프롭헤드가 구비된 서포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TWM608124U (zh) 用於華夫筒之捲圓機
CN208072218U (zh) 桥梁高墩翻爬模模板的精确安装装置
KR100745024B1 (ko)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CN202193311U (zh) 固定圆柱或圆锥形工件的夹具
CN104139930A (zh) 一种超薄玻璃托架
CN208344908U (zh) 用于装配式剪力墙的可调节运输架
CN218365524U (zh) 一种用于成型带有密封槽混凝土人防门的浇筑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