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400B1 - 거푸집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400B1
KR100777400B1 KR1020070058520A KR20070058520A KR100777400B1 KR 100777400 B1 KR100777400 B1 KR 100777400B1 KR 1020070058520 A KR1020070058520 A KR 1020070058520A KR 20070058520 A KR20070058520 A KR 20070058520A KR 100777400 B1 KR100777400 B1 KR 100777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ormwork
main frame
suppor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용욱
Original Assignee
손용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용욱 filed Critical 손용욱
Priority to KR1020070058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8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relatively to each other by friction or gri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6Heads therefor, e.g. pivo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거푸집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해체시 거푸집을 콘크리트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거푸집 지지장치에 있어서, 거푸집의 하부에 직립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에 제1 및 제2위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거푸집을 지지한 상태에서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 거푸집이 상기 콘크리트로부터 이격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이 제1위치에 고정되게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지지프레임이 제2위치로 이동되도록 허용하는 허용위치 사이에서 이동되게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유닛과; 지지유닛을 선택적으로 간섭 및 해제하여 지지유닛이 지지위치와 허용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지지위치로 이동된 지지유닛을 자세 고정시키는 연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장치가 개시된다.
거푸집, 지지장치, 슬라브, 해체

Description

거푸집 지지장치{A supporting apparatus for a form}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거푸집 지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거푸집을 콘크리트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a는 도 3의 상태에서 지지유닛 및 연동유닛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b는 도 4의 상태에서 지지유닛 및 연동유닛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지지유닛을 발췌하어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3의 상태에서 연동유닛의 상태를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4의 상태에서 연동유닛의 상태를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콘크리트 60..거푸집
100..메인프레임 130..스토퍼
200..지지프레임 210..지지프레임 몸체
220..지지부 300..지지유닛
310..회동축 320,330..회동부재
400..연동유닛 410..간섭부재
420..연결핀 430..캠부재
440..회전손잡이 450..안전핀
본 발명은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브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을 지지 및 해체시킬 수 있는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철근 구조의 다층 건축물은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로부터 시작된다. 내부 공간이 벽체의 형상을 하는 주형과 같은 틀을 먼저 만들고, 그 틀의 상단에 천정 슬라브 시공용 판재를 지면에 수평하게 설치한 후, 상기 틀의 내부와 판재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되며, '거푸집'이라 불리는 상기 '틀'과 '판재'는 일반적으로 거푸집 판넬이라고 불리는 사각 판상의 판넬들을 다수 연결하여 만들어진다.
따라서 벽체와 슬라브의 시공은 상기 다수의 거푸집 판넬들을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채울 수 있는 내부 공간과 상면을 갖는 형틀인 거푸집을 설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즉, 하나의 벽체는, 벽체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각 전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두 벽체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그리고 천정이 되는 슬라브 거푸집은 다수의 거푸집 판넬들을 상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고, 대향하는 두 벽체 거푸집 사이의 간격이 막히지 않도록 벽체 거푸 집 상단부에 바닥과 평행하도록 결합되고, 두 벽체 거푸집 사이와 상기 슬라브 거푸집의 상면에 콘크리트가 함께 타설된다.
상기와 같은 거푸집을 구성하는 거푸집 판넬의 경우, 종래에는 목재로 만들어진 것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목재 판넬을 이용할 경우에는, 판넬들 간의 연결조립이 못질 또는 와이어의 조립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로 되며, 또한 콘크리트의 양생 후, 거푸집의 철거 작업에도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목재와 함께 알루미늄 합금(이하 알루미늄이라 함)과 같은 금속을 사용한 목재-금속판넬이 개발되어 각종 건축물 시공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범위 및 규모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여러 종류의 거푸집을 이용하여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슬라브를 시공할 부분의 하부에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하게 되는데, 그 시공과정에서 장선과 멍에와 같은 가설빔들에 의해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고, 가설빔들의 하부를 파이프 서포트들이 지지하게 된다. 상기 가설빔들의 지지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파이프 서포트는 일반적으로 높이 조절 가능한 구조로 조립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건축용 지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하단에 받침판(11)이 설치되고, 양쪽에 장공(13)이 각각 형성된 조절나사관(12)이 상단에 설치된 하부파이프(10)와, 상부파이프(20)와, 고정핀(30) 및 높이조절노트(40)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파이프(20)는 그 하단이 하부파이프(10)에 하단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단에 받이판(21)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파이프(20)는 외주면 양쪽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핀구멍(2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30)은 상기 장공(13)들과 핀구멍(22)들을 통하여 상부 및 하부파이프(10,20)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높이조절너트(40)는 조절나사관(12)에 체결되어 고정핀(30)의 양단을 지지한다.
상기 높이조절너트(40)의 회전에 따라서 높이조절너트(40)가 조절나사관(12)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고정핀(30)의 양단을 지지함으로써, 조절나사관(12)의 장공(13)의 길이만큼 상부파이프(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거푸집을 지지하는 가설빔의 하부에 거푸집 지지장치를 재치한 상태에서, 그 높이를 조절하여 가설빔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거나, 거푸집 지지장치를 해체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건축용 거푸집 지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고정핀(30)이 파이프들(10,20)에서 빠지기 쉽다. 이러한 점 때문에 고정핀(30)에 결속끈을 연결하여 결속끈을 파이프(10,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결속끈의 절단시 고정핀(30)의 분실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높이조절너트(40)의 외주면에 다수의 핸들(41)이 있어서, 시공현장에서 해체하기 위해서 높이조절너트(40)를 풀고자 할 경우에, 상부파이프(20)를 통한 하중이 고정핀(30)을 통해 높이조절너트(40)에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손으로 핸들(41)을 잡고 높이조절너트(40)를 푸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높이조절너 트(40)를 풀 경우에, 망치나 해머, 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핸들(41)을 타격하여 높이조절너트(40)를 푸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공구의 타격으로 인한 충격이 가설빔과 거푸집 쪽으로 전달되어 가설빔이나 거푸집이 작업자 쪽으로 낙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슬라브용 거푸집을 떠받치고 있는 다수의 거푸집 지지장치 모두의 높이조절너트(40)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해체하여야 하므로, 그 해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해체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거푸집 지지장치는, 거푸집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해체시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거푸집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하부에 직립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제1 및 제2위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거푸집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 상기 거푸집이 상기 콘크리트로부터 이격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제1위치에 고정되게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도록 허용하는 허용위치 사이에서 이동되게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유닛을 선택적으로 간섭 및 해제하여 상기 지지유닛이 상기 지지위치와 상기 허용위 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지지위치로 이동된 지지유닛을 자세고정시키는 연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측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형의 지지프레임 몸체와; 상기 지지프레임 몸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거푸집을 걸어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회동축과; 서로 교차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각각은 회동방향에 따라서 각각의 하단이 벌어져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위치로 이동되고, 반대방향으로 회동시 각각의 하단이 좁혀져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허용위치로 이동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승시 그 상단이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의 상단들 사이로 진입되면서 상기 회동부재들의 하단들이 벌어지게 연동시키고, 하강시 상기 회동부재들의 상단들 사이에서 벗어나서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허용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간섭부재와; 상기 간섭부재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핀과; 상기 연결핀이 편심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캠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캠부재의 회전상태에 따라서 상기 연결핀이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간섭부재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측에는 상기 캠부재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이 상하로 한 쌍이 마련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간섭부재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캠부재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안전핀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은 비원형의 파이프형상을 가지며,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지지유닛의 출몰을 위한 출몰구멍과, 상기 연동유닛의 상하 연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하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지지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용 거푸집(50)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거푸집 지지장치의 지지상태를 해제하여 거푸집(50)이 굳어서 양생된 콘크리트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지지장치는, 콘크리트(50)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거푸집(60)의 하부에 직립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0)과, 메인프레임(10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00)과, 상기 지지프레임(200)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유닛(300)과, 상기 지지유닛(300)을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 연동유닛(400)을 구비한다.
상기 거푸집(60)은 콘크리트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목재일 수도 있고, 알루미늄 폼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푸집(60)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알루미늄 폼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거푸집(60)의 하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지지될 수 있는 걸림브라켓(61)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대략 4각단면 형상의 파이프 구조를 갖는다. 메인프레임(100)은 내부가 상하로 관통된 구조로서, 하단부에는 미도시된 지지빔 등과 같은 서포트가 결합되는 체결부(101)가 마련된다. 이 메인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출몰구멍(11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가이드공(120)이 형성된다. 상기 출몰구멍(110)으로는 상기 지지유닛(300)이 메인프레임(100) 내외로 출몰된다. 상기 가이드공(120)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연동유닛(40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메인프레임(100)의 외측에서 소정 거리 상하로 승강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지지프레임(200)도 메인프레임(100)과 동일한 사각단면의 구조를 가지는 파이프형상을 가지며, 상기 메인프레임(100)보다는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 지지프레임(200)은 지지프레임 몸체(210)와, 상기 거푸집(60)의 걸림브라켓(61)을 걸어서 지지하는 지지부(220)를 가진다. 상기 지지프레임(210) 몸체의 외측에 상기 지지부(220)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를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하여 마련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메인프레임(100)과 동일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지지프레임(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60)이 콘크리트(50)의 하부를 접촉하여 지지하고 있는 거푸집(60)을 지지하는 제1위치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50)에서 소정 거리 하강되어 이격된 거푸집(60)을 지지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된다.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거푸집(60)이 이동됨으로써, 거푸집(60)을 쉽게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유닛(300)은, 지지프레임(200)이 상기 제1위치에서 자세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위치(도 3에 도시된 상태)와, 지지프레임(200)이 제2위치로 이동되도록 허용하는 허용위치(도 4에 도시된 상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유닛(300)은, 도 5a, 도 5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310)과, 상기 회동축(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320, 330)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320, 330)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축(310)을 공통의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도록 회동축(310)에 연결된다. 상기 회동부재(320, 330)는 회동축(310)을 중심으로 회동되되, 도 5a와 같이 그 각각의 하단(321, 331)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면, 그 각각의 하단(321, 331)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의 출몰구멍(11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된 회동부재(320, 330)의 하단(321, 331)에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하단이 걸려서 제1위치에 위치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320, 330) 각각의 하단(321, 331)에는 걸림턱(322, 332)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0)이 안정되게 안착되어 걸리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동부재(320, 330)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각 회동부재(320, 330)의 하단(321, 331)이 좁혀져서 도 4에 도 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의 출몰구멍(11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따라서 상기 하단(321, 331)의 걸림턱(322, 332)에 걸려서 지지되던 지지프레임(20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로 하강하게 되고, 결국 거푸집(60)이 하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동유닛(400)은 지지유닛(300)을 선택적으로 간섭 및 해제하여 지지유닛(400)이 상기 지지위치(도3 및 도 5a에 도시된 상태)와, 상기 허용위치(도 4 및 도 5b에 도시된 상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지지위치로 이동된 지지유닛(300)을 자세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동유닛(400)은, 메인프레임(100)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간섭부재(410)와, 상기 간섭부재(410)의 하단에 설치되는 연결핀(420)과, 연결핀(420)이 장폭길이 방향으로 편심되게 결합되는 캠부재(430)를 구비한다.
상기 간섭부재(410)는 상단부에 상기 지지유닛(300)의 회동축(310)이 결합되는 장공(411)을 가진다. 상기 장공의 길이만큼 간섭부재(410)의 상하 이동유격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간섭부재(410)는 그 상단부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폭이 감소하도록 복수의 단부(412, 413, 41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복수의 단부(412, 413, 414) 중에서 폭이 큰 하측의 단부(412)에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320,330)의 상단(324, 334)이 벌려진 상태로 걸리게 되면, 회동부재(320, 330)는 도 3 및 도 5a와 같이, 벌려진 상태에서 좁혀지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부재(410)가 하강하여 폭이 작은 상단의 단부(414)가 간섭부재(410)의 상단(324, 334) 사이에 위치되어 회동부재(320, 430)가 도 4 및 도 5b과 같이 접히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이때, 간섭부재(410)가 하강하더라도 그 최상단의 단부(414)는 회동부재(320, 330)의 상단(324, 334)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다시 간섭부재(410)를 상승시킬 때, 그 간섭부재(410)가 쉽게 회동부재들(320, 330) 사이로 진입되어 회동부재들(320, 330)을 벌어지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핀(420)은 간섭부재(41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간섭부재(4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된다. 이 연결핀(420)은 상기 거푸집(6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충분히 큰 외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핀(420)의 양단은 메인프레임(100)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공(120)에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핀(420)의 양단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부재(430)가 결합된다.
상기 캠부재(430)는 장폭과 단폭을 가지는 구성을 가지며, 장폭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핀(420)이 상부쪽에 치우치게(편심되게) 결합된다. 따라서 도 5a 및 도 7에 도시되 바와 같이, 캠부재(430)를 직립된 상태로 위치시키면, 연결핀(420)이 상단 쪽으로 치우치면서 가이드공(120)의 상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그러면, 연결핀(420)에 연결된 간섭부재(410)가 상승하게 되어 도 5a의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지지유닛(300)을 지지위치에 위치 고정시키고, 지지프레임(200)을 제1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도 5b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재(430)를 회동시켜서 캠부재(430)의 단폭이 상하로 위치되도록 하면, 연결핀(420)은 가이드공(120)의 하측으 로 이동하게 되고, 간섭부재(410)도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들(320, 330)은 지지프레임(200)의 하중에 의해서 좁혀지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메인프레임(100) 내부로 인입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00)이 소정 거리 하강함으로써, 그 지지프레임(200)에 지지되어 있는 거푸집(60)도 함께 소정 거리 하강됨으로써, 콘크리트로부터 이격되어 해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외측에는 캠부재(430)의 회동된 자세를 지지하기위한 걸림턱(130, 140)이 상하로 배치된다. 상기 걸림턱(130)은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메인프레임(100)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의 걸림턱(140)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고, 앞서 설명한 체결부(10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캠부재(430)는 그 상단 및 하단 각각에 경사부(431)와 직진부(432)를 가진다. 상기 경사부(431)는 캠부재(430)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경사부(431)가 형성된 방향으로만 캠부재(430)가 회전될 수 있게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직진부(432)는 캠부재(43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걸림턱(130, 140)에 걸려서 회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접촉부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캠부재(430)에는 회전손잡이(440)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손잡이(430)는 회전시 상기 걸림턱(130)에 간섭되지 않게 소정 부분에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캠부재(430)가 도 3, 도 5a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안전핀(450)이 더 설치된 다. 상기 안전핀(4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측면에 형성된 핀홀(131)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재(430)가 장폭이 상하방향으로 위치되게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핀홀(131)에 안전핀(450)을 끼워 넣게 되면, 안전핀(450)이 상기 캠부재(430)를 간섭하여 캠부재(43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캠부재(430)의 회전을 근본적으로 방지함으로써, 결국 상기 지지프레임(200)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거푸집(60)을 초기 콘크리트 타설시의 위치에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지지장치는,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0)을 제1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로 거푸집(60)의 걸림브라켓(61)이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걸려서 지지되도록 설치한다. 이 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단에는 통상의 서포트빔이 연결되어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시공되는 거푸집(6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재(430)의 장폭이 상하로 위치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안전핀(450)에 의해 캠부재(430)가 자세 고정됨으로써, 작업자의 실수나 타 건설장비의 간섭으로 인하여 캠부재(43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지유닛(300)은 메인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프레임(200)을 제1위치에서 위치 고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거푸집(60)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거푸집(60)을 제거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상기 안전핀(450)을 위로 빼내서 제거한다. 그리고 회전손잡이(440)를 잡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90도 각도 회전시킨다. 그러면 소위 원터치 식으로 상기 간섭부재(410)가 하강하고, 지지유닛(300)의 회동부재들(320, 330)의 단부들이 좁혀지면서 메인프레임(100) 내부로 인입되고, 이와 동시에 지지프레임(200)은 거푸집(60)의 하중에 의해 소정 거리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거푸집(60)은 콘크리트(5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해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하강거리는 적절히 설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마련된 걸림턱(130)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거푸집(60)을 콘크리트(50)에서 이격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상기 걸림턱(130)의 상부에 다른 걸림턱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지지프레임(200)의 하강거리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지지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콘크리트 시공을 위해 설치한 거푸집(60)을 설치위치에서 소위 원터치 식에 의해 콘크리트(5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거푸집(60)의 해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감되며, 적은 인력으로도 쉽게 해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비용을 줄이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거푸집 지지장치에 따르면, 거푸집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소위 원터치식의 동작 제어에 의해서 거푸집을 콘크리트로부터 소 정 거리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거푸집을 해체시키는 작업이 종래의 기술에 비해서 간단하기 때문에, 적은 인력으로도 쉽게 해체할 수 있으며, 해체작업시간 또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거푸집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해체시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거푸집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하부에 직립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제1 및 제2위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거푸집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 상기 거푸집이 상기 콘크리트로부터 이격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제1위치에 고정되게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도록 허용하는 허용위치 사이에서 이동되게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유닛을 선택적으로 간섭 및 해제하여 상기 지지유닛이 상기 지지위치와 상기 허용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지지위치로 이동된 지지유닛을 자세 고정시키는 연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측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형의 지지프레임 몸체와;
    상기 지지프레임 몸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거푸집을 걸어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회동축과;
    서로 교차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각각은 회동방향에 따라서 각각의 하단이 벌어져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위치로 이동되고, 반대방향으로 회동시 각각의 하단이 좁혀져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허용위치로 이동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승시 그 상단이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의 상단들 사이로 진입되면서 상기 회동부재들의 하단들이 벌어지게 연동시키고, 하강시 상기 회동부재들의 상단들 사이에서 벗어나서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허용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간섭부재와;
    상기 간섭부재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핀과;
    상기 연결핀이 편심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캠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캠부재의 회전상태에 따라서 상기 연결핀이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간섭부재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측에는 상기 캠부재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이 상하로 한 쌍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재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캠부재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안전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은 비원형의 파이프형상을 가지며,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지지유닛의 출몰을 위한 출몰구멍과, 상기 연동유닛의 상하 연동을 가이드하도록 상하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장치.
KR1020070058520A 2007-06-14 2007-06-14 거푸집 지지장치 KR100777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520A KR100777400B1 (ko) 2007-06-14 2007-06-14 거푸집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520A KR100777400B1 (ko) 2007-06-14 2007-06-14 거푸집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400B1 true KR100777400B1 (ko) 2007-11-19

Family

ID=3908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520A KR100777400B1 (ko) 2007-06-14 2007-06-14 거푸집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4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00240A (zh) * 2012-10-18 2013-01-30 东南大学 一种用于建筑中结构柱的卸载方法
KR101255047B1 (ko) * 2011-05-09 2013-04-16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토압전달용 조립식 거푸집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암반구간에서 지하역타시 토압지지방법
KR20140064759A (ko) * 2011-06-22 2014-05-28 폼 700 피티와이 리미티드 거푸집 지지 개선물
CN115045532A (zh) * 2022-07-25 2022-09-13 中建二局第二建筑工程有限公司中原分公司 一种房建施工用沉降后浇带支撑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7964U (ko) 1986-02-26 1987-08-31
KR20060064137A (ko) * 2004-12-08 2006-06-13 김중삼 슬래브 거푸집용 가설빔 지지장치
KR20190000810A (ko) * 2017-06-23 2019-01-03 김영찬 다중안전기능을 갖춘 빨래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7964U (ko) 1986-02-26 1987-08-31
KR20060064137A (ko) * 2004-12-08 2006-06-13 김중삼 슬래브 거푸집용 가설빔 지지장치
KR20190000810A (ko) * 2017-06-23 2019-01-03 김영찬 다중안전기능을 갖춘 빨래건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047B1 (ko) * 2011-05-09 2013-04-16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토압전달용 조립식 거푸집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암반구간에서 지하역타시 토압지지방법
KR20140064759A (ko) * 2011-06-22 2014-05-28 폼 700 피티와이 리미티드 거푸집 지지 개선물
US9540830B2 (en) 2011-06-22 2017-01-10 Form 700 Pty Ltd Bracket assembly for securement to a formwork support for forming an elevated concrete slab
KR101713842B1 (ko) * 2011-06-22 2017-03-09 폼 700 피티와이 리미티드 거푸집 지지 개선물
CN102900240A (zh) * 2012-10-18 2013-01-30 东南大学 一种用于建筑中结构柱的卸载方法
CN102900240B (zh) * 2012-10-18 2014-11-05 东南大学 一种用于建筑中结构柱的卸载方法
CN115045532A (zh) * 2022-07-25 2022-09-13 中建二局第二建筑工程有限公司中原分公司 一种房建施工用沉降后浇带支撑结构
CN115045532B (zh) * 2022-07-25 2023-11-28 中建二局第二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房建施工用沉降后浇带支撑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3513C (en) Scaffolding
KR100777400B1 (ko) 거푸집 지지장치
US6340070B1 (en) Adjustable cantilever scaffolding
KR100697555B1 (ko) 벽체 거푸집 사선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거푸집 설치 구조
KR100887366B1 (ko) 지붕슬래브 형성을 위한 거푸집 받침 장치
KR101013148B1 (ko) 테이블폼용 회전 동바리
KR200420504Y1 (ko) 거푸집 지지장치
JP4764191B2 (ja) 支保工用パイプサポートの荷重解放装置
KR20060091016A (ko) 슬래브 거푸집용 가설빔 지지장치
KR20050075266A (ko)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
JP3692433B2 (ja) Pc基礎部材位置調整治具
KR20060064137A (ko) 슬래브 거푸집용 가설빔 지지장치
KR101177072B1 (ko) 갱폼 탈착 장치와 이를 갖춘 갱폼 탈착 시스템
KR20110058051A (ko) 콘크리트 레벨 규준틀 겸용 타설용 발판
KR200354073Y1 (ko)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
KR102098645B1 (ko) 수직벽용 지지 장치
KR20050096771A (ko)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
JP2004052522A (ja) 補強筋設置器および設置器具有補強筋
CN211993462U (zh) 一种水平定位柱箍
KR200342708Y1 (ko) 거푸집공사용 수평조절대
KR20130118515A (ko)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폼 지지장치
KR102303104B1 (ko)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지지용 각재 거치장치
CN113006070B (zh) 一种多功能全悬臂模板及其浇筑混凝土的方法
CN212388961U (zh) 一种便携式外脚手架衔接定位装置
KR200167489Y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거푸집 수평 받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