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6771A -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6771A
KR20050096771A KR1020040022443A KR20040022443A KR20050096771A KR 20050096771 A KR20050096771 A KR 20050096771A KR 1020040022443 A KR1020040022443 A KR 1020040022443A KR 20040022443 A KR20040022443 A KR 20040022443A KR 20050096771 A KR20050096771 A KR 20050096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anel
horizontal
panel
formwork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구해
Original Assignee
김구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구해 filed Critical 김구해
Priority to KR1020040022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6771A/ko
Publication of KR20050096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77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의 높낮이, 틈새, 수평상태 등 바닥 및 천정부와의 마감상태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해주는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거푸집 패널과 바닥 사이에 간편한 레버조작방식으로 거푸집 패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거푸집 패널의 수평상태 뿐만 아니라 천정부와의 마감상태를 정확하게 또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과 관련한 시공의 정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기존의 수평조절목 등을 이용하는 방법을 배제하여 거푸집 패널의 설치 및 해제작업과 관련한 시공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조작이 간편하여 공구없이도 현장에서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Height adjustable device for prefabricated form panel}
본 발명은 건축물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의 높낮이, 틈새, 수평상태 등 바닥 및 천정부와의 마감상태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해주는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 패널의 하단과 바닥 사이에 설치되어 간편한 레버조작방식으로 거푸집 패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푸집 패널과 바닥 및 천정부 사이에 생기는 틈새 등을 완벽하게 마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콘트리트 타설압에 밀려 큰크리트가 누출되는 등의 문제없이 콘크리트 타설의 정확성을 도모할 수 있는 한편, 기존의 수평조절목 등을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 설치 및 해체작업 또한 용이하여 거푸집 패널의 설치 및 해제작업과 관련한 시공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별도의 조작용 공구없이도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작이 가능하여 작업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시공시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기 위해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패널폼(100)을 구비하는 동시에 패널폼(100)의 하단에는 바닥과의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못으로 고정시킨 수평조절목(110)을 설치하고, 패널폼(100)의 상단에는 천정과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팀버(120)를 수용하는 팀버 브라켓(130)을 설치하며, 패널폼(100)의 보강과 수평 및 수직상태를 위하여 그 후면에는 훅(140)의 함께 엮어지는 다수의 수평보강대(150) 및 수직보강대(160)를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존의 거푸집 시공방법은 패널폼의 변형이나 규격미달, 바닥의 시공불량, 수평조절목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거푸집 패널의 수평잡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거푸집 패널의 자체 수평상태 뿐만 아니라 천정부(실질적으로는 천정 시공을 위한 거푸집 패널)와의 수평 균형을 맞추기가 곤란하여 콘크리트 누출, 벽체의 허용수직공차 초과 등 시공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거푸집 패널의 해체시 수평조절목이 무거운 중량의 패널폼에 의해 눌려있을 뿐만 아니라 못으로 박혀있기 때문에 해체시의 어려움이 있고, 이에 따른 인력 및 시간의 낭비 뿐만 아니라 수평조절목의 전용도 저하, 패널폼의 훼손 등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한편, 설치 및 해체시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어조작기구를 이용한 높낮이 조절방식의 높이조절수단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높이조절수단은 기어조작시 특수공구를 반드시 비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 힘이 많이 드는 불편함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기어조작기구가 차지하는 기본적인 높이때문에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보통 4㎝) 이상부터 조작이 가능하여 일반 아파트에 비해 층고가 낮은 주공 아파트 규격(보통 2㎝) 에 맞게 시공을 해야하는 현장에서는 현실적으로 적용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거푸집 패널과 바닥 사이에 간편한 레버조작방식으로 거푸집 패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거푸집 패널의 수평상태 뿐만 아니라 천정부와의 마감상태를 정확하게 또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과 관련한 시공의 정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기존의 수평조절목 등을 이용하는 방법을 배제하여 거푸집 패널의 설치 및 해제작업과 관련한 시공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조작이 간편하여 공구없이도 현장에서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거푸집의 패널폼을 받쳐주면서 상하 이동가능한 수평부재와,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각도조절판을 갖고 있으며 상기 수평부재의 저부를 지지하면서 후단의 축으로 회전하여 선단을 통해 수평부재를 올려주거나 내려주는 회동부재 및 이것의 축 한쪽 끝에 일체 형성되어 일정각도를 유지하면서 세워져 있으며 작업자가 직접 조작하는 부분인 레버부재와, 바닥에 놓여져 전체를 받쳐주며 상기 회동부재 및 레버부재의 축을 관통 지지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각도조절판의 슬롯을 관통하는 볼트부재 및 각도조절판을 사이에 두고 볼트부재에 체결되어 회동부재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는 베이스부재의 측벽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홀을 관통하는 가이드바를 이용하여 상하이동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에는 패널폼과의 체결을 위하여 쐐기홀과 통하는 다수의 쐐기체결용 홀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는 패널폼(100)의 하단과 바닥 사이에 배치되어 패널폼(100)의 하중을 받아내면서 받쳐주는 상태로 설치되며, 수평으로 길게 놓여지는 수평부재(10)를 통해 연이어서 배치되는 여러 패널폼(100)을 직접 지지하게 되고, 수평부재(10)의 아래 길이방향을 따라 적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베이스부재(15)와 각 베이스부재(15)에 한개씩 배속되는 회동부재(13) 및 레버부재(14)와 높이조절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록킹부재(17)를 이용하여 패널폼(100)의 높이, 즉 수평상태를 맞출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는 1개의 단위 패널폼(100)에 대해 각 1개씩의 수평부재, 베이스부재, 회동부재, 레버부재 및 록킹부재를 1세트로 하여 배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평부재를 길게 하고 베이스부재, 회동부재, 레버부재 및 록킹부재를 더 구비하여 여러 개의 패널폼(100)을 동시에 수용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여기서는 실질적으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회동부재(13) 및 레버부재(14)와, 회동부재(13)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록킹부재(17)와, 이것들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재(15)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5)는 수평부재(10)의 바닥 아래쪽으로 배치되면서 구성부품 전체를 지지하고 또 높이조절시 기준이 되는 수단이며, 대략 "ㄴ"자 형태의 절곡형 판체로 되어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재(15)에는 바닥측과의 체결을 위한 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측벽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회동부재(13)의 축과 록킹부재(17)의 체결을 위한 볼트부재(16)를 관통하기 위한 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한쪽 옆으로는 후술하는 가이드수단을 위한 가이드홀(18)이 위아래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재(15)의 안쪽으로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벽체가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바깥쪽으로 누출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13)는 수평부재(10)를 위로 올려주는 부분으로서 "ㄷ"자형 단면을 갖고 있으며, 수평부재(10)의 저부에 나란한 자세로 위치되면서 후단부 축을 통해 베이스부재(15)의 측벽에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단부는 자유단으로서 수평부재(10)의 밑면과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13)가 갖는 축의 끝에는 베이스부재(15)의 바깥쪽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일정길이의 레버부재(14)가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레버부재(14)를 앞뒤로 젖히게 되면 축을 회전중심점으로 하여 회동부재(13)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수평부재(10)를 위로 올려주거나 내려줄 수 있게 된다.
이때의 레버부재(14)는 작업자가 조작할 때 힘을 덜 들게 하기 위하여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회동부재(13)와는 일정한 각도, 예를 들면 120∼140°정도의 각도를 유지하고 있어서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13)의 축에는 부채꼴 모양을 하는 각도조절판(12)이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각도조절판(12)은 축에 대해 수직자세를 취하면서 베이스부재(15)의 벽면과 나란하게 위치되어 회동부재(13) 및 레버부재(14)와 함께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각도조절판(12)에는 호의 곡률을 따라 나란한 만곡형태의 슬롯(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곳이 후술하는 볼트부재(16)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부재(13), 레버부재(14) 및 각도조절판(12)이 함께 회전되므로 불트부재(16)에 체결되면서 각도조절판(13)을 가압할 수 있는 록킹부재(17)에 의해 그 움직임이 구속되거나 또는 해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평부재(10)의 높이조절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구속시키거나 높이조작을 위해 구속상태를 해제시키거나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단으로 볼트부재(16)와 록킹부재(17)가 제공된다.
상기 볼트부재(16)는 헤드부를 안쪽으로 하여 베이스부재(15)를 수평으로 관통하면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고정되고, 바형태의 록킹부재(17)는 세워진 상태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나사부분에 체결된다.
이때, 회동부재(13)가 갖는 각도조절판(12)은 록킹부재(17)의 체결부위 안쪽으로 위치되고, 이곳에는 와셔 등이 함께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록킹부재(17)를 조임방향으로 젖혀서 체결상태를 조이면 각도조절판(12)은 그 사이에서 압착 고정될 수 있고, 반대방향으로 젖혀서 체결상태를 풀면 각도조절판(12)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면서 회동부재(13) 및 레버부재(14)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패널폼(100)의 하단과 직접 접촉하는 수평부재(10)는 안쪽이 수직으로 꺽인 대략 "ㄱ"자 형태의 단면을 갖고 있으며, 특히 바깥쪽으로 수평 연장되는 가이드바(19)를 구비하고 있어서 이것을 이용하여 상하이동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바(19)는 베이스부재(15)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홀(18)에 끼워지면서 풀림 및 조임가능한 볼트 및 너트 체결구조 등으로 지지되므로서 수평부재(10)는 상하이동시 앞뒤 또는 좌우로 밀리는 등의 문제없이 정확히 움직이면서 패널폼(100)을 수직으로 올려줄 수 있게 된다.
이때의 볼트 및 너트 체결구조는 수평부재(10)의 원활한 상하이동을 위해 약간 덜 체결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미설명 부호 30은 베이스부재(15)에 연결되어 바닥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받침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의 설치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先) 타설한 콘크리트 바닥 위에 수평부재(10) 및 이것에 배속되는 회동부재(13), 레버부재(14), 록킹부재(17), 베이스부재(15)의 어셈블리를 고정시켜 위치를 잡은 후, 그 위에 패널폼(100)의 하단이 놓여지게 배치한다.
상기 수평부재(10)와 그 위의 패널폼(100)의 체결은 종전의 쐐기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법도 있지만 본 발명의 장치는 그 높이를 현저히 줄인 것인 기 때문에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패널폼(100)에 있는 쐐기홀(180)과 수평부재(10)에 있는 쐐기체결용 홀(20)을 맞춘 다음, 각 홀에 "ㄷ"자 형태의 쐐기(170)를 위에서 아래로 삽입하여 일체식으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쐐기(170)를 이용한 고정구조는 기존과 같이 수평조절목에 못을 박아 고정시키는 구조에 비해 패널폼(100)의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수평부재(10)와 패널폼(100) 간에 쐐기(170)를 체결하거나 해제하는 작업만으로 패널폼(100)의 설치 및 해체를 손쉽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수고를 덜 수 있고 작업시간도 단축할 수 있으며, 종전과 같이 패널폼(100)의 파손이나 손상 등의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으므로 패널폼이나 높이조절장치를 전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 위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높이조절장치를 이용하여 패널폼(100)을 가(假) 설치한 상태에서 패널폼(100)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져 있다거나 천정부와의 틈새가 생기는 등 그 수평상태가 맞지 않으면 이때에는 베이스부재(15)에 있는 회동부재(13) 및 레버부재(14)를 조작하여 패널폼(100)의 수평상태를 바로 잡을 수 있다.
예를 들면, 1개의 패널폼(100)의 경우 보통 양쪽 2곳 정도에 회동부재(13) 및 레버부재(14)와 록킹부재(17)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재(15)를 배치하게 되는데, 양쪽의 레버부재를 모두 조작하거나 또는 수평이 맞지 않는 쪽에 배치되어 있는 레버부재를 조작하여 패널폼(100)의 수평상태를 맞출 수 있다.
즉, 록킹부재(17)의 잠금상태를 푼 다음, 레버부재(14)를 손으로 잡고 젖히면 이와 동시에 회동부재(13)가 후단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계속해서 그 선단부가 위로 올라가면서 수평부재(10) 및 그 위의 패널폼(100)을 밀게 되므로 패널폼(100)의 수평상태를 바로 맞출 수 있게 된다.
패널폼(100)의 수평상태를 맞춘 다음 재차 록킹부재(17)를 조이면 이때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의 경우 회동부재(13)의 높이조절 시작위치를 바닥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게 되므로 수평패널(10)의 초기 높이를 바닥쪽에 실제 2㎝정도까지 근접 설정할 수 있고, 따라서 일반 아파트에 비해 층고가 낮은 주공 아파트 규격에 맞게 시공을 할 수 있는 유리한 점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부재(10)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고 이에 따른 회동부재의 길이를 늘리게 되면 일반 아파트의 거푸집 패널 높이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변형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당연한 것이라 하겠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설치시 거푸집 패널과 바닥 사이에 간편한 레버조작방식으로 거푸집 패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거푸집 패널의 수평상태나 천정부와의 마감상태를 정확하게 또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이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과 관련한 시공의 정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과, 거푸집 패널의 설치 및 해제작업과 관련한 시공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간편한 레버조작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누구나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는 등 궁극적으로 거푸집 시공과 관련한 작업공정의 단순화, 노동력의 감소, 시공품질의 균일화 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 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일반적인 거푸집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평부재 11 : 슬롯
12 : 각도조절판 13 : 회동부재
14 : 레버부재 15 : 베이스부재
16 : 볼트부재 17 : 록킹부재
18 : 가이드홀 19 : 가이드바
20 : 쐐기체결용 홀

Claims (3)

  1. 거푸집의 패널폼을 받쳐주면서 상하 이동가능한 수평부재(10);
    슬롯(11)이 형성되어 있는 각도조절판(12)을 갖고 있으며 상기 수평부재(10)의 저부를 지지하면서 후단의 축으로 회전하여 선단을 통해 수평부재(10)를 올려주거나 내려주는 회동부재(13) 및 이것의 축 한쪽 끝에 일체 형성되어 일정각도를 유지하면서 세워져 있으며 작업자가 직접 조작하는 부분인 레버부재(14);
    바닥에 놓여져 전체를 받쳐주며 상기 회동부재(13) 및 레버부재(14)의 축을 관통 지지하는 베이스부재(15);
    상기 베이스부재(15)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각도조절판(12)의 슬롯(11)을 관통하는 볼트부재(16) 및 각도조절판(12)을 사이에 두고 볼트부재(16)에 체결되어 회동부재(13)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록킹부재(1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10)는 베이스부재(15)의 측벽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홀(18)을 관통하는 가이드바(19)를 이용하여 상하이동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10)에는 패널폼과의 체결을 위하여 쐐기홀과 통하는 다수의 쐐기체결용 홀(2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
KR1020040022443A 2004-03-31 2004-03-31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 KR20050096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443A KR20050096771A (ko) 2004-03-31 2004-03-31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443A KR20050096771A (ko) 2004-03-31 2004-03-31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156U Division KR200354073Y1 (ko) 2004-04-02 2004-04-02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771A true KR20050096771A (ko) 2005-10-06

Family

ID=37276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443A KR20050096771A (ko) 2004-03-31 2004-03-31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67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798B1 (ko) * 2006-11-14 2007-05-25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터널용 진입제한장치
CN106639301A (zh) * 2017-02-17 2017-05-10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铝模板混凝土墙底烂根防护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798B1 (ko) * 2006-11-14 2007-05-25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터널용 진입제한장치
CN106639301A (zh) * 2017-02-17 2017-05-10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铝模板混凝土墙底烂根防护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3513C (en) Scaffolding
US20060207215A1 (en) Retractable brace
WO2009009898A1 (en) Concrete slab depth varying system
CA2988166A1 (en)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beams of formwork for floor slabs
KR20050075266A (ko)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
KR101812230B1 (ko)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 및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의 설치방법
KR102144434B1 (ko)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 및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의 설치방법
US20160076262A1 (en) Concrete formwork brace and method of bracing concrete formwork
KR100697555B1 (ko) 벽체 거푸집 사선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거푸집 설치 구조
KR200354073Y1 (ko)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
KR100777400B1 (ko) 거푸집 지지장치
KR20050096771A (ko)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
KR200347316Y1 (ko) 거푸집 패널 높이조절장치
US20060107543A1 (en) Column placement template
KR101142879B1 (ko) 슬라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KR20010099532A (ko) 철근콘크리트 벽체 구축용 시스템 거푸집 및 시공방법
KR200156465Y1 (ko) 레벨링 거푸집
KR20000059066A (ko)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
JPH0738310U (ja) アンカーボルト支持装置
KR20090026501A (ko) 토목 및 건축용 지지장치
CN215905762U (zh) 一种组合式塔身及其基座结构
KR200285372Y1 (ko) 벽체용 폼패널의 수평조절 받침대
KR0138377Y1 (ko) 시멘트 콘크리트 건축물의 거푸집설치를 위한 하부기초장치
JPH1046840A (ja) 鋼製型枠用支持金具
CN216809464U (zh) 一种路面混凝土侧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