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652A - 어초 겸용 수중보 - Google Patents

어초 겸용 수중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652A
KR20110115652A KR1020100035087A KR20100035087A KR20110115652A KR 20110115652 A KR20110115652 A KR 20110115652A KR 1020100035087 A KR1020100035087 A KR 1020100035087A KR 20100035087 A KR20100035087 A KR 20100035087A KR 20110115652 A KR20110115652 A KR 20110115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horizontal
forming
unit blocks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7730B1 (ko
Inventor
김명길
Original Assignee
김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길 filed Critical 김명길
Priority to KR1020100035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730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16Fixed weirs; Superstructures or flash-boar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초 겸용의 수중보를 개시한 것이다. 상기 어초 겸용의 수중보는 계단형의 어초(魚礁)공간을 형성하고, 어초공간들이 어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수중보를 구성함으로써, 수량이 많은 상태에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의 유속이 빠르게 발생하여도 수중보의 상류와 하류 사이를 물속에서 물공기가 자유로이 오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갈수기인 경우에는 어초공간에서 물고기들의 체류가 가능하도록 하여 수중보의 상하류 생태계를 균형있게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물고기가 수중보의 상류와 하류 사이를 오갈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포획의 위험이나 조류의 먹이감이 되는 것을 방지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어초 겸용 수중보{A FLOODGATE OF DAM WITH FISHWAY}
본 발명은 하천의 수중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고기들이 포획이나 조류로부터 안전한 상태에서 수량에 상관없이 수중보의 상하류 사이를 자유로이 오가도록 하여 생태계를 원활히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어초 겸용 수중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로에는 홍수조절기능과 농업용수의 확보 또는 수로 상류측의 미관 등을 고려하여 수로 상류측의 저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중보가 설치되는데, 수중보를 통해 수로가 가로 막히게 되면 수중보를 기준으로 상류와 하류 사이로 물고기가 이동할 수 없어 생태계가 수중보로 인해 단절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수로를 가로질러 축조되는 수중보(1)에는 상류와 하류 사이로 물고기가 오가도록 어도홈(2)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수중보(1)는 경사진 구조를 가지며, 그 중간중간에는 유속감소용으로서 어도홈(2)이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종래 수중보(1)에 설치되는 어도홈(2)은 수량이 충분할 때에는 지속적으로 물이 흐르게 되면서 하류측의 유속(V2)이 상류측의 유속(V1)보다 그 흐름이 빠를 수 밖에 없으며, 이에따라 하류측의 어도홈(2)을 통해 상류측의 어도홈(2)으로 물고기의 이동이 실패하는 경우가 많아지는 등 하류에서 상류로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갈수기의 경우에는 어도홈(2)을 통해 물이 흘러 내려갈 수 있을 정도의 수량을 확보하지 못하여 물고기가 수중보(1)의 상류와 하류 사이를 자유로이 오고가지 못하는 단점이 있게 되며, 수중보(1)의 하류측 어도홈(2)에 분포되어 있던 물고기들은 물이 고갈되어 폐사하기도 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어도홈(2)을 통해 물고기가 이동할 때에는 불가분 물고기가 수위가 낮은 곳에 노출될 수 밖에 없어 물고기가 어도홈(2)을 통해 상류로 이동하다가 손쉽게 포획되거나, 조류의 먹이감이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계단형의 어초(魚礁)공간을 형성하고, 어초공간들이 어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수중보를 구성함으로써, 수량이 많은 상태에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의 유속이 빠르게 발생하여도 수중보의 상류와 하류 사이를 물속에서 물고기가 자유로이 오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갈수기인 경우에는 어초공간에서 물고기들의 체류가 가능하도록 하여 수중보의 상하류 생태계를 균형있게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물고기가 수중보의 상류와 하류 사이를 오갈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포획의 위험이나 조류의 먹이감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어초 겸용의 수중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어초 겸용 수중보는, 하천 폭을 가로지르도록 수중보를 구성함에 있어서, 물고기가 하류측에서 상류측으로 이동 가능함은 물론 체류가 가능하도록 계단형으로서 다단의 어초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류측에서 상류측으로 올라갈수록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지는 계단형으로서 하천폭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는 다단의 가로벽체; 및, 하류측에서 상류측으로 올라갈수록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지는 계단형으로서 상기 가로벽체와 직교되게 설치되는 다단의 세로벽체;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다단을 이루는 가로벽체와 세로벽체에는 상기 다단을 이루는 어초공간으로 물고기의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어로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로벽체는, 결합홈을 형성하는 1단의 가로단위블럭들;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1단의 가로단위블럭들 중 어느 하나에 적층 결합되며, 상기 1단의 가로단위블럭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되는 2단의 가로단위블럭; 상기 1단의 가로단위블럭들과 동일한 높이로서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1단의 가로단위블럭 위에 적층 결합되는 3단의 가로단위블럭; 및, 상기 3단의 가로단위블럭과 동일한 높이로서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3단의 가로단위블럭과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1단의 가로단위블럭 위에 적층 결합되는 4단의 가로단위블럭;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로벽체는, 다단을 이루는 1단의 가로단위블럭들이 직교되는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을 형성하는 1단의 세로단위블럭들; 상기 1단의 세로단위블럭들 위에 적층되고, 상기 1단의 가로단위블럭들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을 가지는 제 1 블럭과, 상기 제 1 블럭과 서로 다른 높이로서 상기 2,3,4단의 가로단위블럭이 직교되는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을 가지는 제 2 블럭으로 분할되는 2단의 세로단위블럭들; 및, 상기 2단의 세로단위블럭들에서 제 2 블럭 위에 적층되고, 상기 3,4단의 가로단위블럭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을 가지는 3단의 세로단위블럭들;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로는 서로 다른 높이를 이루는 ㄷ자형의 제 1,2 어로와 사각홀 형상의 제 3 어로를 포함한다.
또한, 다단을 이루는 1단의 가로단위블럭들 중에서 선단측의 가로단위블럭에는 일측방향으로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1 어로가 형성되고, 2단 가로단위블럭의 타측방향에는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2 어로가 형성되며, 3단 가로단위블럭의 일측방향으로는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어로의 높이는 상기 제 2 어로의 높이보다 높게 구성된다.
또한, 1단의 세로단위블럭들에서 선단측에 위치하는 하나의 1단 세로단위블럭에는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1 어로가 형성된다.
또한, 2단의 세로단위블럭들에서 선,후단측을 제외한 제 1 블럭들에는 각각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그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되도록,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들과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1,2 어로가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2단의 세로단위블럭들에서 선,후단측을 제외한 제 2 블럭들에는 각각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그 높이가 순차적으로 낮아지도록,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1 어로와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들이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3단의 세로단위블럭들에서 선,후단측을 제외한 상기 3단의 세로단위블럭들에는 각각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그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지도록,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들과 상기 ㄷ자 형상을 이루는 제 1,2 어로가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3,4단 가로단위블럭의 위로는 보행도로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계단형의 어초(魚礁)공간을 형성하고, 어초공간들이 어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수중보를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수량이 많은 상태에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의 유속이 빠르게 발생하여도 수중보의 상류와 하류 사이를 물속에서 물공기가 자유로이 오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갈수기인 경우에는 어초공간에서 물고기들의 체류가 가능하도록 하여 수중보의 상하류 생태계를 균형있게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물고기가 수중보의 상류와 하류 사이를 오갈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포획의 위험이나 조류의 먹이감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수중보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위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어초 겸용 수중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초 겸용 수중보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어초 겸용 수중보의 유속 방향을 보인 측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철근콘크리트로 타설 및 양생된 어초 겸용 수중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초 겸용 수중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초 겸용 수중보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어초 겸용 수중보의 유속 방향을 보인 측면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초 겸용 수중보는 하천 폭을 가로지르도록 시공되는 것으로, 가로벽체(10)와 세로벽체(20) 및 어로(30), 그리고 보행도로(40)를 포함한다.
상기 가로벽체(10)와 세로벽체(20)는 물고기가 하류측에서 상류측으로 이동 가능함은 물론 체류가 가능하도록 계단형의 어초공간(A1)(A2)(A3)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가로벽체(10)는 하류측에서 상류측으로 올라갈수록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지는 계단형으로서 하천폭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로 다단 설치되는 것으로, 결합홈(미도시)을 형성하는 1단의 가로단위블럭들(11)과,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1단의 가로단위블럭들(11) 중 어느 하나에 적층 결합되며 상기 1단의 가로단위블럭(11)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되는 2단의 가로단위블럭(12) 및, 상기 1단의 가로단위블럭들(11)과 동일한 높이로서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1단의 가로단위블럭(11) 위에 적층 결합되는 3단의 가로단위블럭(13), 그리고 상기 3단의 가로단위블럭(13)과 동일한 높이로서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3단의 가로단위블럭(13)과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1단의 가로단위블럭(11) 위에 적층 결합되는 4단의 가로단위블럭(14)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세로벽체(20)는 하류측에서 상류측으로 올라갈수록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지는 계단형으로서 상기 가로벽체(10)와 직교되게 다단 설치되는 것으로, 다단을 이루는 1단의 가로단위블럭들(11)이 직교되는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을 형성하는 1단의 세로단위블럭들(21)과, 상기 1단의 세로단위블럭들(21) 위에 적층되고 상기 1단의 가로단위블럭들(11)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을 가지는 제 1 블럭(22a)과 상기 제 1 블럭(22a)과 서로 다른 높이로서 상기 2,3,4단의 가로단위블럭(12)(13)(14)이 직교되는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을 가지는 제 2 블럭(22b)으로 분할 구성되는 2단의 세로단위블럭들(22) 및, 상기 2단의 세로단위블럭들(22)에서 제 2 블럭(22b) 위에 적층되고 상기 3,4단의 가로단위블럭(13)(14)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을 가지는 3단의 세로단위블럭들(23)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어로(30)는 상기 다단을 이루는 어초공간(A1)(A2)(A3)으로 물고기의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다단을 이루는 가로벽체(10)와 세로벽체(20)에 각각 적용되는 것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이루는 ㄷ자형의 제 1,2 어로(31)(32)와 사각홀 형상의 제 3 어로(33)로 구성된다.
즉, 상기 다단을 이루는 1단의 가로단위블럭들(11) 중에서 선단측의 가로단위블럭에는 일측방향으로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1 어로(31)가 형성되고, 2단 가로단위블럭(12)의 타측방향에는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2 어로(32)가 형성되며, 3단 가로단위블럭(13)의 일측방향으로는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32)가 형성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제 1 어로(31)의 높이는 상기 제 2 어로(32)의 높이보다 높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1단의 세로단위블럭들(21)에서 선단측에 위치하는 하나의 1단 세로단위블럭(21)에는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1 어로(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2단의 세로단위블럭들(22)에서 선,후단측을 제외한 제 1 블럭들(22a)에는 각각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그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되도록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들(33)과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1,2 어로(31)(32)가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2단의 세로단위블럭들(22)에서 선,후단측을 제외한 제 2 블럭들(22b)에는 각각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그 높이가 순차적으로 낮아지도록,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1 어로(31)와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들(33)이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3단의 세로단위블럭들(22)에서 선,후단측을 제외한 상기 3단의 세로단위블럭들(22)에는 각각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그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지도록,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들(33)과 상기 ㄷ자 형상을 이루는 제 1,2 어로(31)(32)가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행도로(40)는 상기 3,4단 가로단위블럭(13)(14)의 위에 시공되어 설치되는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차량 통행이 가능한 도로가 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초 겸용 수중보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계단형을 이루는 어초공간(A1)(A2)(A3)이 서로 다른 높이로서 ㄷ자 형상을 이루는 제 1,2 어로들(31)(32)과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들(33)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바,
수중보의 상측류측에서 하류측으로 물 흐름의 수량이 충분하여 상기 계단형을 이루는 어초공간(A1)(A2)(A3)을 덮을 경우, 물고기들은 상기 계단형을 이루는 어초공간(A1)(A2)(A3)의 어로(31)(32)(33)를 따라 물의 유속에 관계없이 하류측에서 상류측으로 그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의 물 흐름에 따른 수량이 부족할 경우, 즉 수중보의 상측류측에서 하류측으로 물 흐름의 수량이 부족하면서 상기 계단형을 이루는 어초공간(A1)(A2)(A3)으로만 물 흐름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계단형을 이루는 어초공간(A1)(A2)(A3)에는 물이 고이게 되고, 이에따라 물고기들은 상기 계단형을 이루는 어초공간(A1)(A2)(A3)내의 어로(31)(32)(33)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어초공간(A1)(A2) (A3)내에서의 체류가 가능하게 되면서 친환경적인 생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갈수기로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의 물 흐름에 따른 수량이 아주 부족할 경우에는, 상기 계단형을 이루는 어초공간(A1)(A2)(A3) 중에서 최하층의 어초공간(A1)에만 물이 고이게 되더라도, 물고기들은 상기 어초공간(A1)내에서 체류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갈수기 해소시 바로 상류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이는 가로벽체와 세로벽체를 철근콘크리트의 타설과 양생으로부터 1,2,3 단의 가로벽체(10)(10')(10")와 세로벽체(20)(20')(20")로 시공하는 한편, 상기 1,2,3 단의 가로벽체(10)(10')(10")와 세로벽체(20)(20')(20")에 각각 서로 다른 높이를 이루는 ㄷ자형의 제 1,2 어로(31)(32)와 사각홀 형상의 제 3 어로(33)를 포함하는 어로(30)를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1단의 가로벽체(10)에는 일측방향으로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1 어로(31)를 형성하고, 상기 2단 가로벽체(10')의 타측방향에는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33)를 형성하며, 상기 3단 가로벽체(10")의 일측방향으로는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33)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1단의 세로벽체(20)에는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1 어로(31)를 시작으로 하여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그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되도록,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들(33)과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1,2 어로(31)(32)를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2단의 세로벽체(20')에는 각각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그 높이가 순차적으로 낮아지도록,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1 어로(31)와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들(33)을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3단의 세로벽체(20")에는 각각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그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지도록,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들(33)과 상기 ㄷ자 형상을 이루는 제 1,2 어로(31)(32)를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그 작용효과는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10',10"; 가로벽체 11; 1단 가로단위블럭들
12; 2단 가로단위블럭 13; 3단 가로단위블럭
14; 4단 가로단위블럭 20,20',20"; 세로벽체
21; 1단 세로단위블럭들 22; 2단 세로단위블럭들
22a,22b; 제 1,2 블럭들 23; 3단 세로단위블럭들
30; 어로 31,32,33; 제 1,2,3 어로
40; 보행도로

Claims (12)

  1. 하천 폭을 가로지르도록 수중보를 구성함에 있어서,
    물고기가 하류측에서 상류측으로 이동 가능함은 물론 체류가 가능하도록 계단형으로서 다단의 어초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류측에서 상류측으로 올라갈수록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지는 계단형으로서 하천폭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는 다단의 가로벽체; 및, 하류측에서 상류측으로 올라갈수록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지는 계단형으로서 상기 가로벽체와 직교되게 설치되는 다단의 세로벽체;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다단을 이루는 가로벽체와 세로벽체에는 상기 다단을 이루는 어초공간으로 물고기의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어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초 겸용 수중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벽체는,
    결합홈을 형성하는 1단의 가로단위블럭들;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1단의 가로단위블럭들 중 어느 하나에 적층 결합되며, 상기 1단의 가로단위블럭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되는 2단의 가로단위블럭;
    상기 1단의 가로단위블럭들과 동일한 높이로서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1단의 가로단위블럭 위에 적층 결합되는 3단의 가로단위블럭; 및,
    상기 3단의 가로단위블럭과 동일한 높이로서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3단의 가로단위블럭과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1단의 가로단위블럭 위에 적층 결합되는 4단의 가로단위블럭; 의 조합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초 겸용 수중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벽체는,
    다단을 이루는 1단의 가로단위블럭들이 직교되는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을 형성하는 1단의 세로단위블럭들;
    상기 1단의 세로단위블럭들 위에 적층되고, 상기 1단의 가로단위블럭들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을 가지는 제 1 블럭과, 상기 제 1 블럭과 서로 다른 높이로서 상기 2,3,4단의 가로단위블럭이 직교되는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을 가지는 제 2 블럭으로 분할되는 2단의 세로단위블럭들; 및,
    상기 2단의 세로단위블럭들에서 제 2 블럭 위에 적층되고, 상기 3,4단의 가로단위블럭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을 가지는 3단의 세로단위블럭들; 의 조합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초 겸용 수중보.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어로는 서로 다른 높이를 이루는 ㄷ자형의 제 1,2 어로와 사각홀 형상의 제 3 어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어초 겸용 수중보.
  5. 제 4 항에 있어서,
    다단을 이루는 1단의 가로단위블럭들 중에서 선단측의 가로단위블럭에는 일측방향으로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1 어로를 형성하고, 2단 가로단위블럭의 타측방향에는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2 어로를 형성하며, 3단 가로단위블럭의 일측방향으로는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어로의 높이는 상기 제 2 어로의 높이보다 높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초 겸용 수중보.
  6. 제 4 항에 있어서,
    1단의 세로단위블럭들에서 선단측에 위치하는 하나의 1단 세로단위블럭에는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1 어로를 형성하고,
    2단의 세로단위블럭들에서 선,후단측을 제외한 제 1 블럭들에는 각각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그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되도록,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들과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1,2 어로를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하며,
    2단의 세로단위블럭들에서 선,후단측을 제외한 제 2 블럭들에는 각각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그 높이가 순차적으로 낮아지도록,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1 어로와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들을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3단의 세로단위블럭들에서 선,후단측을 제외한 상기 3단의 세로단위블럭들에는 각각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그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지도록,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들과 상기 ㄷ자 형상을 이루는 제 1,2 어로를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초 겸용 수중보.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4단 가로단위블럭의 위로는 보행도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초 겸용 수중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벽체와 세로벽체는 철근콘크리트의 타설과 양생으로부터 1,2,3 단으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초 겸용 수중보.
  9. 제 8 항에 있어서,
    어로는 서로 다른 높이를 이루는 ㄷ자형의 제 1,2 어로와 사각홀 형상의 제 3 어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초 겸용 수중보.
  10. 제 9 항에 있어서,
    1단의 가로벽체에는 일측방향으로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1 어로를 형성하고, 2단 가로벽체의 타측방향에는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를 형성하며, 3단 가로벽체의 일측방향으로는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초 겸용 수중보.
  11. 제 9 항에 있어서,
    1단의 세로벽체에는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1 어로를 시작으로 하여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그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되도록,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들과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1,2 어로를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2단의 세로벽체에는 각각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그 높이가 순차적으로 낮아지도록, 상기 ㄷ자형을 이루는 제 1 어로와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들을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하며,
    3단의 세로벽체에는 각각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그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지도록, 상기 사각홀 형상을 이루는 제 3 어로들과 상기 ㄷ자 형상을 이루는 제 1,2 어로를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초 겸용 수중보.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3단 가로벽체와 3단 세로벽체의 위로는 보행도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초 겸용 수중보.
KR1020100035087A 2010-04-16 2010-04-16 어초 겸용 수중보 KR101497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087A KR101497730B1 (ko) 2010-04-16 2010-04-16 어초 겸용 수중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087A KR101497730B1 (ko) 2010-04-16 2010-04-16 어초 겸용 수중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652A true KR20110115652A (ko) 2011-10-24
KR101497730B1 KR101497730B1 (ko) 2015-03-03

Family

ID=45030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087A KR101497730B1 (ko) 2010-04-16 2010-04-16 어초 겸용 수중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7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002A (ko) * 2013-09-13 2015-03-23 이문기 어류 서식처가 구비된 사방댐
CN111910587A (zh) * 2020-08-19 2020-11-10 河南省水利第二工程局 一种异形溢流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1263B2 (ja) * 1996-03-21 1999-09-20 和 熊谷 魚道用ブロック
KR100751873B1 (ko) * 2005-09-15 2007-08-23 강남 어도블록
KR100684072B1 (ko) * 2005-11-05 2007-02-16 김명길 적층 조립식 방파제
KR100910413B1 (ko) * 2009-01-08 2009-08-04 (주)한국건설엔지니어링 하천용 어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002A (ko) * 2013-09-13 2015-03-23 이문기 어류 서식처가 구비된 사방댐
CN111910587A (zh) * 2020-08-19 2020-11-10 河南省水利第二工程局 一种异形溢流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730B1 (ko) 201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9191A (en) Marine habitat systems
KR101995633B1 (ko) 사각 튜브형 삼발이 인공어초
KR101238225B1 (ko) 복합형 친환경 인공어초
KR101369456B1 (ko) 하천용 어도블럭
JP4481251B2 (ja) クラゲ捕捉防止方法及びクラゲ捕捉防止魚網
KR101381901B1 (ko) 잠수식 어도
JP2012092625A (ja) 垂直魚道
KR20110115652A (ko) 어초 겸용 수중보
KR101198069B1 (ko) 콘크리트 인공어초
JP5726475B2 (ja) 垂直魚道ブロック
KR200413723Y1 (ko) 어도 구조물
KR101210491B1 (ko) 어도블럭
CN100361902C (zh) 水质污浊防止方法及水流隔断墙
KR20170067624A (ko) 실뱀장어 포획장치
JP6429198B2 (ja) 魚道構造体
KR101624469B1 (ko) 밸러스트 콘크리트와 일체화된 쉘터구조물을 가지는 침선어초
KR200418683Y1 (ko) 생태블록
KR20050042091A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도를 구성하는 방법
JP6649835B2 (ja) ホタル幼虫育成システム及びホタル幼虫育成方法
KR101137630B1 (ko) 조립식 하천 보
KR102224578B1 (ko) 뱀장어를 비롯한 저서성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어도시스템
KR100680154B1 (ko) S형 계단식 어도시설
KR101062477B1 (ko) 다기능 어도블록
KR100671500B1 (ko) 인공어초
KR101106065B1 (ko) 환경친화형 어도블록 겸 어소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