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413B1 - 하천용 어도 - Google Patents

하천용 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413B1
KR100910413B1 KR1020090001574A KR20090001574A KR100910413B1 KR 100910413 B1 KR100910413 B1 KR 100910413B1 KR 1020090001574 A KR1020090001574 A KR 1020090001574A KR 20090001574 A KR20090001574 A KR 20090001574A KR 100910413 B1 KR100910413 B1 KR 100910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river
block
space
fish 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재
Original Assignee
(주)한국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건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국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001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용 어도에 관한 것으로서, 하천에 설치되는 어도용 블록에 물의 흐름을 다수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수단을 두어 하천의 하류에서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는 물고기들이 용이하게 도약하여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하천의 상류와 하류를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천용 어도에 의하면, 양측에 각각 출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출입구가 서로 내통하는 통로부를 형성하고, 상측에 제 1단턱부와 이 단턱부 아래에 물고기가 은신하거나 휴식할 수 있는 제 1공간부를 형성한 어도 블럭 및,
상기 어도 블럭이 안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 단부 하측에 형성되는 암 걸림턱과, 상기 지지부의 타측 단부 상측에 형성되는 수 걸림턱을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어도, 블록, 하천, 어류

Description

하천용 어도{RIVER FOR FISH WAY}
본 발명은 하천에서 어류의 이동 통로로 제공되는 하천용 어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천에 흐르는 물의 흐름을 분산시킴에 따라 어류가 하천의 상류와 하류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이동도중 필요에 따라 은신 및 휴식을 할 수 있도록 한 하천용 어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강이나 호수, 해안 등의 수변은 수중식물이나 어류 등의 서식처로 다양하고 복잡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었지만, 현대화된 삶에 의해 도심지 내에서는 생활하수 및 공업용폐수가 수질을 오염시켰고, 하천에는 콘크리트 블록 등이 설치되어 생태계의 파괴가 극에 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에 따라 하천이나 개울 등은 직선화 되었고, 수심이 얕고 유속이 빨라지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작은 어류들이나 산란을 위해 회귀하는 어류 등이 하천에서 생존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블럭을 하천 저면 바닥에 설치하므로써 유속을 저감시키고, 수심을 깊게 하며,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는 어류가 일시적으로 쉴 수 있는 공간을 갖게 하는 풀 타입의 어도기능 또는 도약력이 없는 어류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수로식 어도기능을 갖게 하는 어도용 블럭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어도에 대한 종래기술의 한 일례로 실용신안 제20-0340951호가 선 등록된바 있다. 이 선행기술은 둘레를 따라 다수의 고리가 형성되고 네 모서리 부분에 서로 마주보도록 제1돌부 및 제2돌부가 각각 형성되며 사각틀형상을 가지는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과, 상기 제1돌부 및 제2돌부에 결합되도록 상하단에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의 네 모서리 부분에 결합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내에 다수 설치되고 측면 둘레에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형성되는 기부와, 상기 기부 상면에 물의 흐름을 방해하도록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다수의 블럭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어도 블럭과, 상기 어도 블럭 상의 하부프레임 상에 다수 배열설치되는 하부끈상접촉재와,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다수 배열설치되는 상부끈상접촉재와, 상기 수직프레임 상에 다수 배열설치되는 측면끈상접촉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기술에 의하면, 어도 블럭 상에 서로 엇갈리도록 구비된 다수의 블럭에 의해 유속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으나,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설치 및 제작 공정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며, 그 구조가 견고하지 못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수반되며, 그 쓰임이 작은 어류나 회귀성 어류들에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천에 다단 설치되는 각 어도용 블록에 물의 흐름을 다수 방향으로 분산 및 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두어 하천의 하류에서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는 어류들이 용이하게 도약하여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하천의 상류와 하류를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하천용 어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더한 다른 목적은 하천의 상류와 하류를 이동도중 어류가 필요에 따라 은신 및 휴식 취할 수 있는 하천용 어도를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상기한 목적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양쪽에 각각 출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출입구가 서로 내통하는 통로부를 형성하고, 상측에 제 1단턱부와 이 단턱부 아래에 어류가 은신하거나 휴식할 수 있는 제 1공간부를 형성한 어도 블럭 및,
상기 어도 블럭이 안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 단부 하측에 형성되는 암 걸림턱과, 상기 지지부의 타측 단부 상측에 형성되는 수 걸림턱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어도 블럭의 통로부에는 제 2단턱부와 상기 제 2단턱부의 하부에 어류가 은신하거나 휴식할 수 있는 제 2공간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암 걸림턱과 수 결합턱이 서로 결합되어 다단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천용 어도에 의하면, 하천바닥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어도 블럭은 블럭의 상측과 통로부를 통해 물의 흐름을 다수 방향으로 분산시켜 유속을 저감토록 하므로서 어류들이 받는 물의 저항을 최소화함에 따라 하천의 상류와 하류를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도약력이 약하거나 비교적 작은 어류에게도 이동이 용이한 이동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천의 상류와 하류를 이동 중 어류가 어도 블럭의 내,외에 설치된 공간부를 통해 은신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어 어류의 안전과 이동이 더욱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용 어도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용 어도에 적용된 어도 블럭 및 연결부재의 상세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천용 어도는 어도 블럭(10) 및, 연결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어도 블럭(10)은 물의 흐름 방향으로 양측에 출입구(11)를 형성하되, 이 출입구(11)는 서로 관통되어 어류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부(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어도 블럭(10)의 상측에는 제 1단턱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단턱부(13)의 하부로 제 1공간부(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도 블럭(10)의 통로부(12)에는 제 2단턱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턱부(15)의 하부로 제 2공간부(16)가 더 형성되며, 상기 어도 블럭(1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결부재(20)의 지지부(21)에 공지의 나사/볼트 등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 1,2단턱부(13,15)는 제 1,2공간부(14,16)에서 휴식하는 어류를 은폐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내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지니고 있어, 어류가 지나갈 때마다 안전한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공간부(14,16)는 하천의 물이 담수되어 물의 유속과 전혀 관계없이 어류가 이동중 은신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곳이며, 보다 자연적인 은신 및 휴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초를 심을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어류가 더욱 수월하게 도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도 블럭(10)의 모서리부분은 만곡되게 처리하여 어류의 상류와 하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어도 블럭(10)의 재질은 콘크리트 및 경질 합성수지재 등으로 내구성이 강하고, 하천수를 오염시키지 않는 안전적인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어도 블럭(10)이 안착됨과 아울러, 상호 다단으로 결합되어 하천에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20)에 어도 블럭(10)이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어 어류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지지부(21)와 암,수 걸림턱(22,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21)는 밑면이 평평한 어도 블럭(1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면이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져 안착된 어도 블럭(10)을 지지한다.
상기 암,수 걸림턱(22,23)은 다수개의 연결부재(20)가 상호간에 다단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상기 암 걸림턱(22)은 대략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21)의 일측 단부 하측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암 걸림턱(22)과 대응되는 수 걸림턱(23)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21)의 타측 단부 상측에 연장형성된다.
상기 암,수 걸림턱(22,23)은 지지부(21)의 전,후에서 상호 체결됨에 따라 다수개의 연결부재(20)가 다단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하천 바닥에 다단 설치된 어도 블럭(10)에 의하여 하천에 흐르는 물이 어도 블럭(10)과 이 블럭의 통로부(12)를 통해 분산되어 흐르게 되므로 물의 유속을 현저하게 격감할 수 있음에 따라 어류는 물의 저항을 받지 않고 하천의 상류와 하류를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도약력이 약하거나 비교적 작은 어류에게도 이동이 용이한 이동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용 어도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용 어도에 적용된 어도 블럭 및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용 어도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결합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
10 : 어도 블럭 11 : 출입구
12 : 통로부 13 : 제 1은신턱
14 : 제 1공간부 15 : 제 2은신턱
16 : 제 2공간부 20 : 연결부재
21 : 지지부 22 : 암 걸림턱
23 : 수 걸림턱

Claims (3)

  1. 양쪽에 각각 출입구(11)를 형성하되, 상기 출입구(11)가 서로 내통하는 통로부(12)를 형성하고, 상측에 제 1단턱부(13)와 이 단턱부(13) 아래에 어류가 은신하거나 휴식할 수 있는 제 1공간부(14)를 형성한 어도 블럭(10) 및,
    상기 어도 블럭(10)이 안착되는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21)의 일측 단부 하측에 형성되는 암 걸림턱(22)과, 상기 지지부(21)의 타측 단부 상측에 형성되는 수 걸림턱(23)이 형성된 연결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어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 블럭(10)의 통로부(12)에는 제 2단턱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단턱부(15)의 하부로 제 2공간부(16)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어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는 암 걸림턱(22)과 수 결합턱이 서로 결합되어 다단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어도.
KR1020090001574A 2009-01-08 2009-01-08 하천용 어도 KR100910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574A KR100910413B1 (ko) 2009-01-08 2009-01-08 하천용 어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574A KR100910413B1 (ko) 2009-01-08 2009-01-08 하천용 어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0413B1 true KR100910413B1 (ko) 2009-08-04

Family

ID=41209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574A KR100910413B1 (ko) 2009-01-08 2009-01-08 하천용 어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4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730B1 (ko) * 2010-04-16 2015-03-03 김명길 어초 겸용 수중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032A (ja) * 1993-12-07 1995-06-20 Hokuetsu:Kk 多自然型魚巣付き低水位用護岸
JP2000257052A (ja) 1999-03-08 2000-09-19 Shimizu:Kk 魚道ブロック
JP2005146682A (ja) 2003-11-17 2005-06-09 Yukio Hamada 波消し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032A (ja) * 1993-12-07 1995-06-20 Hokuetsu:Kk 多自然型魚巣付き低水位用護岸
JP2000257052A (ja) 1999-03-08 2000-09-19 Shimizu:Kk 魚道ブロック
JP2005146682A (ja) 2003-11-17 2005-06-09 Yukio Hamada 波消しブロッ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730B1 (ko) * 2010-04-16 2015-03-03 김명길 어초 겸용 수중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94404B (zh) 一种在顺直河道中构建深潭浅滩的方法
CN106277572B (zh) 一种生态与景观相结合的城市河道水体净化系统
CN207392163U (zh) 一种类自然竖缝式鱼道
AU2011200222B1 (en) Artificial Reef
KR100910413B1 (ko) 하천용 어도
KR100479351B1 (ko) 기능성 세라믹 수질정화 방틀
CN102182160A (zh) 鱼巢生态丁坝
KR100553456B1 (ko) 유속 감소용 하천 저면 바닥 블록 설치 구조
CN205501774U (zh) 跨河汀步结构
KR20140048170A (ko) 양서류를 비롯하여 모든 동물들이 수로에 빠지거나 갖혔을 때에 탈출이 용이하도록 도와 주는 친환경 생태통로를 구성하는 친환경 공법
JP2005282287A (ja) 水路式魚道ブロック
CN205821063U (zh) 静态水体污染治理装置
CN204626328U (zh) 一种透水型河流人工丁字坝
KR200432326Y1 (ko) 어도용 블럭
CN204626329U (zh) 一种用于增强河流自净能力的透水型人工丁字坝
KR200470853Y1 (ko) 수산물의 양식장치
KR200318234Y1 (ko) 어도 블럭
KR100900835B1 (ko) 집수정식 어도를 구비한 자연형 보
CN106045129A (zh) 静态水体污染治理装置
KR200352876Y1 (ko) 기능성 세라믹 수질정화 방틀
JPH0427334Y2 (ko)
JP2006009247A (ja) 水路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376248Y1 (ko) 하천 수중 바닥면 수초 걸이대 설치구조
JP2006037641A (ja) 水中生態系復元ブロック及びその設置構造
KR100619559B1 (ko) 하천 수중 바닥면 수초 걸이대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