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873B1 - 어도블록 - Google Patents

어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873B1
KR100751873B1 KR1020050086271A KR20050086271A KR100751873B1 KR 100751873 B1 KR100751873 B1 KR 100751873B1 KR 1020050086271 A KR1020050086271 A KR 1020050086271A KR 20050086271 A KR20050086271 A KR 20050086271A KR 100751873 B1 KR100751873 B1 KR 100751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sh
partition
partition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1625A (ko
Inventor
강남
Original Assignee
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 filed Critical 강남
Priority to KR1020050086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873B1/ko
Publication of KR20070031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어도블록의 측면부에 동영상 카메라를 설치하여 어도블록을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상태를 촬영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문제점 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일반 관광객들이 어도블록을 따라 이동하는 물고기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한 어도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어도블록의 측벽부들 중, 측벽부들 중, 어느 하나의 측벽부에는 일정간격마다 연통구가 형성되고, 이 연통구에는 동영상 카메라가 내설된 육면체 형상의 영상박스가 밀폐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어도블록 내를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상황을 상기 동영상 카메라가 촬영하여 관리실이나 관람실의 모니터로 실시간 송출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어도, 어도블록, 댐, 보, 저수지, 어류

Description

어도블록{Block for pass of fis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칸막이가 분리된 상태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의 사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어도블록에 적용되는 카메라박스의 부분절개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에 적용되는 칸막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저면부 14 측벽부
16 ; 가이드레일 20,22,24,26 : 칸막이
20a,24a : 상측수로 22a,26a : 하측수로
30 : 영상박스 34 : 동영상 카메라
36 : 와이퍼 50 : 열선
본 발명은 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댐, 하구 둑이나 저수지 등의 보 경사면에 마련되어 어류가 상류와 하류로 물을 따라 내려가거나 물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어도블록에 있어서, 상기 어도블록의 측면마다 동영상 카메라를 설치하여 어도블록 내에서의 어류 이동상황을 촬영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관리실에서는 이상유무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관광객들은 어도블록을 따라 이동하는 어류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한 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 또는 하천에 설치하는 댐이나 보와 같은 시설물에는 어도블록을 설치하게 된다.
즉, 수자원보호령 등의 관련법규에 의하면, 하천을 가로막는 수리 구조물을 설치할 때는 생태계 보존과 어류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어도를 의무적으로 설치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 댐이나 보 등은 단순히 물을 흘려보내는 정도로서, 단순방류이고 특히 낙차가 크기 때문에 어류 스스로가 상류로 이동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댐의 경우 어도블록의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설치한다 하더라도 큰 낙차에 의해 댐의 상류로 이동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댐에 어도블록을 설치하지 않고 그 하류에 인공 산란장 등 어류서실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데, 이는 우기(장마철)의 경우 댐의 안전을 일정 저수량이 초과되지 않도록 방류하여 왔고 이와 같이 시간당 수만 톤의 물을 방류하면 무용지물이 되므로 아직까지 기술적인 문제 때문에 효과적으로 댐에 어도를 설치하기 위한 대책이 없었다.
이에, 본원발명 출원인은 어도블록 내의 유속을 느리게 하여 유영력이 떨어지는 어종의 어류라 하더라도 물을 따라 내려가거나 물을 거슬러 올라감이 용이하도록 한 어도블록 및 그 시공방법(특허출원 제 2005-19232호)을 선출원한 바 있다.
상기한 어도블록 및 그 시공방법에서 어도블록은, 댐, 보 등의 하류경사면이나 하류경사면 및 상류경사면에 마련되는 저면; 상기 저면의 양쪽에 마련되는 측벽; 상기 측벽을 막도록 저면으로부터 마련되는 칸막이; 상기 칸막이에 물이 흐르도록 형성된 수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여기서 적용되는 어도블록은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것인 바, 그 내부의 칸막이 및 이 칸막이의 수로를 통한 어류의 이동을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문제점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엇다.
또한, 칸막이가 저면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그 손상시 보수공사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또, 기온은 낮은 겨울철에는 어도블록에서 정체된 물이 얼어 시설물이 동파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어도블록의 측면부에 동영상 카메라를 설치하여 어도블록을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상태 를 촬영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문제점 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일반 관광객들이 어도블록을 따라 이동하는 물고기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한 어도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칸막이를 저면 및 측벽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칸막이의 이상시 이를 교체하는 것으로 간단히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상기 칸막이에 열선을 내장하여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 시설물이 동파되지 않는 어도블록을 제공하는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댐, 보 등의 경사면과 바닥면에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양쪽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사이마다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서 물의 유동을 막아 담수하는 칸막이들과; 상기 칸막이들에 상하의 위치를 두고 지그재그로 형성된 수로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어도블록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들 중, 어느 하나의 측벽부에는 일정간격마다 연통구가 형성되고, 이 연통구에는 동영상 카메라가 내설된 육면체 형상의 영상박스가 밀폐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어도블록 내를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상황을 상기 동영상 카메라가 촬영하여 관리실이나 관람실의 모니터로 실시간 송출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영상박스에서 어도블록의 물쪽에 위치하는 면은 투명유리로 구성되고, 상기 투명유리의 외면에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와이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통구가 형성된 측벽부에는 상기 동영상 카메라와 와이퍼로 전기적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연결되도록 전선관이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측벽부들의 내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칸막이들이 수납식으로 착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칸막이들의 상단 일측에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이 연장부를 통해 전기적신호에 의해 발열되는 열선이 연결되어 매설되는 것과, 상기 칸막이들 중, 하측수로가 형성되어 그 상단으로 물이 넘치는 칸막이들의 상단에는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과, 상기 칸막이들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그 상단에는 걸고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칸막이가 분리된 상태의 분리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의 사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어도블록에 적용되는 영상박스의 부분절개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에 적용되는 칸막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10)은, 댐이나 보 등의 경사면 길이와 바닥의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된 저면부(12)와, 이 저면부(12)의 양쪽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측벽부(14)와, 상기 저면부(12) 및 측벽부(14)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착탈되는 복수의 칸막이(20,22,24,26)가 마련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 칸막이(20,22,24,26)들은 양쪽의 측벽부(14) 내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16)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착탈되는 것으로서, 일정간격마다 설치되어 담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보에서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제 1칸막이(20)로부터 직경이 큰 상측수로(20a,24a)와, 직경이 작은 하측수로(22a,26a)가 교차로 형성되어 있다.
즉, 댐이나 보에서 제일 가까운 제 1칸막이(20)에는 직경이 큰 수로(20a)가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그 다음에 위치하는 제 2칸막이(22)에는 직경이 작은 수로(22a)가 하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 그 다음에 위치되는 제 3칸막이(24)에는 직경이 큰 수로(24a)가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또 그 다음에 위치되는 제 4칸막이(26)에는 직경이 작은 수로(26a)가 하측에 형성되는 등, 각각의 칸막이(20,22,24,26)들에 형성된 수로(20a,22a,24a,26a)가 상하높이차를 갖고 지그재그로 마련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댐이나 보에서 유입되는 물이 최초의 칸막이 상단으로 넘침 없이 흐르도록 제 1칸막이(20) 상단에는 직경이 큰 상측수로(20a)가 형성되고, 다음의 제 2칸막이(22)에는 상기 제 1칸막이(20)의 상측수로(20a)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일시적으로 고이고 그 상단으로 일부가 넘침과 아울러 잠긴 상태에서 물이 흐르도 록 직경이 작은 하측수로(2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음의 제 3칸막이(24)에는 상기 제 2칸막이(22)의 하측수로(22a)와 그 상단으로 넘쳐서 유입되는 물이 넘침 없이 흐르도록 직경이 큰 상측수로(24a)가 형성되고, 제 4칸막이(26)에는 상기 제 3칸막이(24)의 상측수로(24a)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일시적으로 고이고 그 상단으로 일부가 넘침과 아울러 잠긴 상태에서 물이 흐르도록 직경이 작은 하측수로(26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칸막이(20,22,24,26)들에 수로(20a,22a,24a,26a)를 상측수로(20a,24a)와 하측수로(22a,26a)가 교차되게 상하 지그재그로 마련하는 이유는, 어도블록을 시공하였을 때 각 칸막이(20,22,24,26)들의 상측수로와 하측수로가 연속하여 물에 잠겨있는 상태로 되어야만 어류가 상기 상측수로(20a,24a)와 하측수로(22a,26a)를 통과하는 어도가 마련되기 때문이며, 또한 물의 흐름 즉 유속을 느리게 하여 하류에서 상류로 어류가 유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원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댐이나 보로부터 유입되는 상류의 물은 제 1칸막이(20)에 의해 담수되다가, 이 제 1칸막이(20)의 상측수로(20a)를 통해서만 제 2칸막이(22)로 흘러내려가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칸막이(20)의 상측수로(20a)는 잠긴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상측수로(20a)를 통과하는 물의 유속은 저속이 되는 바, 이 상측수로(20a)를 통한 어류의 이동은 큰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칸막이(20)의 상측수로(20a)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제 2칸막 이(22)에 의해 다시 담수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상기 제 1칸막이(20)의 상측수로(20a)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양이 제 2칸막이(22)의 하측수로(22a)를 통해 제 3칸막이(24)쪽으로 배출되는 물의 양보다 많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 2칸막이(22)에 의해 담수되는 물이 계속적으로 차오르게 되면, 계속해서 넘처나는 물은 제 2칸막이(22)의 상단을 타고 제 3칸막이(24)쪽으로 넘어가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칸막이(22)의 하측수로(22a)를 통해 제 3칸막이(24)쪽으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제 3칸막이(24)의 상측수로(24a)까지 물이 차오르기전에는 계속해서 담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바, 상기 제 2칸막이(22)의 하측수로(22a)를 막는 기능을 하게 됨으로써, 역시 제 2칸막이(22)의 하측수로(22a)를 통과하는 물의 유속은 매우 느리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 2칸막이(22)에 담수되는 물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그 하류 측의 제 3칸막이(24)에 담수된 물이 높이차이 만큼 수압이 작용하므로 제 2칸막이(22)의 하측수로(22a)를 통과하는 물의 유속은 느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제 2칸막이(22)의 하측수로(22a) 및 그 상단을 넘쳐서 유입되는 물이 제 3칸막이(24)에 의해 담수되다가, 이 제 3칸막이(24)의 상측수로(24a)를 통해서만 제 4칸막이(26)로 흘러내려가게 된다.
이때, 상기 제 3칸막이(24)의 상측수로(24a)는 잠긴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상측수로(24a)를 통과하는 물의 유속은 저속이 되는 바, 이 상측수로(24a)를 통한 어류의 이동은 큰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 3칸막이(24)의 상측수로(24a)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제 4칸막이(26)에 의해 다시 담수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상기 제 3칸막이(24)의 상측수로(24a)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양이 제 4칸막이(26)의 하측수로(26a)를 통해 하류로 배출되는 물의 양보다 많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 4칸막이(26)에 의해 담수되는 물이 계속적으로 차오르게 되면, 계속해서 넘처나는 물은 제 4칸막이(26)의 상단을 타고 하류로 넘어가게 된다.
한편, 상기 제 4칸막이(26)의 하측수로(26a)를 통해 하류쪽으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하류의 수심에 의해 제 4칸막이(26)의 하측수로(26a)를 막는 기능을 하게 됨으로써, 역시 제 4칸막이(26)의 하측수로(26a)를 통과하는 물의 유속은 매우 느리게 된다.
따라서, 유영력이 떨어지는 어류라 할지라도 물을 따라 하류로 내려가거나 상류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측수로(22a,26a)가 형성된 칸막이(22,26)들은 그 상단을 통해 물이 넘치게 되는 바, 물이 넘치는 방향으로 경사부(22c,26c)를 형성시켜서 낙하되는 물이 담수된 물위로 직접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그 마찰에 따른 공기방울 생성을 증가시켜 산소의 공급을 보다 원활히 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단 일측으로는 상향 연장부(22b,26b)를 형성시켜 후술되는 열선 등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칸막이들의 상측수로(20a,24a)와 하측수로(22a,26a)는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확개되게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사각홈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속을 보다 더 느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칸막이(20,22,24,26)들은 측벽부(14)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16)을 따라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기는 하지만 그 중량이 매우 크므로 인력으로 서 착탈하기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중장비를 이용하여 칸막이를 상하방향으로 수납시키듯이 착탈시켜야 하는 바, 상기 칸막이(20,22,24,26)들의 상단에는 걸고리(20d,22d,24d,26d)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양쪽의 측벽부(14)들 중, 어느 한쪽의 측벽부에는 일정간격마다 연통구(1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통구(14a)에는 동영상 카메라(34)가 내설된 영상박스(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영상박스(30)는 도 1 및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의 밀폐된 사각박스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육면 중 어느 한면은 강도가 큰 투명유리(32)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투명유리(32)가 내부 즉 물쪽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영상박스(30)에서 투명유리(32)쪽을 바라보게 동영상 카메라(34)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투명유리(32)의 외면에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왕복운동하게 되는 와이퍼(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와이퍼(36)는 투명유리(32)의 외면에 묻게 되는 이물질이나 또는 외면과 내면의 온도차에 의해 생기는 성에 등을 닦아내어 동영상 카메라(34)가 물속을 보다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통구(14a)가 형성된 측벽부에는 전선이 연결되기 위한 전선관(40)이 내설되어 있는 바, 상기 전선관(40)을 통해 각각의 연통구(14a)로 전선이 연결됨으로써, 동영상 카메라(34)와 와이퍼(36)로의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동영상 카메라(34)에서 찍힌 영상은 관리실의 모니터(미도시됨) 에 송출되어 어도블록 내부의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여 문제점 발생시 이를 즉각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또한 관람실 등의 대형 모니터(미도시됨) 등으로 송출되어 관광객들로 하여금 어도블록 내부를 이동하는 어류의 상태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영상박스(30)의 투명유리(32)에는 열선(미도시됨)을 내설하여 필요에 따라 투명유리(32)에 성에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예컨대, 수온이 높고, 영상박스(30) 내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투명유리(32) 내면에 성에가 발생하게 되고, 반대로 수온이 낮고 영상박스(30) 내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투명유리(32) 외면에 성에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동영상 카메라(34)를 통한 어도블록(10) 내부의 촬영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게 되는 바, 상기 투명유리(30)에 열선(미도시됨)을 내설함으로써, 이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영상박스(30) 내의 동영상 카메라(34)와 와이퍼(36) 및 투명유리(32)에 내설된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고자 측벽부(14)에 전선이 통과되는 전선관(40)을 설치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전선관을 측벽부가 아닌 지하에 매설하여 측벽부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칸막이(20,22,24,26)들에도 열선(50)을 내설하여 어도블록(10) 내부의 물이 얼게 됨에 따라 동파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어도블록 내부의 물은 연속적으로 흐르기는 하지만 그 유속이 작아 흐름량이 많지 않고 오히려 저수의 효과가 있는 바, 기온이 낮은 겨울철의 경우 쉽 게 얼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의 경우, 칸막이(20,22,24,26) 등이 동파되어 제 기능을 상실할 우려가 있게 되는 바, 상기 칸막이(20,22,24,26)를 콘크리트와 PVC의 혼합재질로 하고, 그 내부에 전기적 신호에 의해 발열되는 열선(50)을 내설함으로써, 동파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칸막이들 중 제 1칸막이(20), 제 3칸막이(24)와 같이 상측수로(20a,24a)가 형성되어서 그 상단으로 물이 넘치지 않는 경우, 상단 일측을 통해 열선(50)을 연결할 수 있으나, 제 2칸막이(22), 제 4칸막이(26)와 같이 하측수로(22a,26a)가 형성되어 그 상단으로 물이 넘치는 경우에는 상단 일측을 통해 열선을 연결하게 되면 이 열선이 물에 접촉되어 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는 바, 도 3에서와 같이 칸막이의 일측에 연장부를 형성하여 열선(50)을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칸막이에 열선(50)을 내설하게 되면, 기온이 낮은 겨울철 등에 어도블록을 지나는 물의 온도를 다소 낮추어 줌으로써, 물이 얼게 되는 것을 예방하여 동파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 열선(50)은 전력소비가 적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탄소섬유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칸막이(20,22,24,26)들 외에 측벽부(14)에서 내설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상단으로 물이 넘치는 제 2칸막이와 제 4칸막이에만 연장부를 형성하여도 되나, 본 발명에서는 제품 생산의 편의상 도 7에서와 같이 상측수로가 형성되어 그 상단으로 물이 넘치지 않는 제 1칸막이(20)와 제 3칸막이에도 연장부(20b)를 형성한 것으로 적용하였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도블록에 의하면, 어도블록의 측면마다 동영상 카메라가 설치되어서 어도블록 내의 어류 이동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어도블록의 어류 이동상태를 실시간 확인하여 문제점 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일반 관광객들이 어도블록을 따라 유동하는 어류를 감상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칸막이를 저면 및 측벽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칸막이의 이상시 이를 교체하는 것으로 간단히 유지보수가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칸막이에 열선이 내장되어 기온이 낮은 겨울철 등에 담수된 물이 얼지 않아 시설물의 동파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댐, 보 등의 경사면과 바닥면에 일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양쪽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사이마다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서 물의 유동을 막아 담수하는 칸막이들과; 상기 칸막이들에 상하의 위치를 두고 지그재그로 형성된 수로들; 및 상기 댐, 보에 설치되어 관리실이나 관람실의 모니터로 실시간 송출하는 동영상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어도블록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들 중, 어느 하나의 측벽부에는 일정간격마다 연통구가 형성되고, 이 연통구에는 상기 동영상 카메라가 내설된 육면체 형상의 영상박스가 밀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영상박스에서 어도블록의 물쪽에 위치하는 면은 투명유리로 구성되고, 상기 영통구가 형성된 측벽부에는 상기 동영상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송출하기 위한 전선관이 구비되어서, 상기 어도블록 내를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상황을 상기 동영상 카메라가 촬영하여 관리실이나 관람실의 모니터로 실시간 송출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들의 내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칸막이들이 수납식으로 착탈되고,
    상기 칸막이들 중, 하측수로가 형성되어 그 상단으로 물이 넘치는 칸막이들의 상단에는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들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그 상단에는 걸고리가 설치되고,
    상기 수로들은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확개되게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들의 상단 일측에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이 연장부를 통해 전기적신호에 의해 발열되는 열선이 연결되어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6. 삭제
  7. 삭제
KR1020050086271A 2005-09-15 2005-09-15 어도블록 KR100751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271A KR100751873B1 (ko) 2005-09-15 2005-09-15 어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271A KR100751873B1 (ko) 2005-09-15 2005-09-15 어도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625A KR20070031625A (ko) 2007-03-20
KR100751873B1 true KR100751873B1 (ko) 2007-08-23

Family

ID=4163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271A KR100751873B1 (ko) 2005-09-15 2005-09-15 어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730B1 (ko) * 2010-04-16 2015-03-03 김명길 어초 겸용 수중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0239A (ja) * 1993-03-25 1994-10-04 Showa Concrete Ind Co Ltd 組立式魚道
KR200224489Y1 (ko) 2000-11-23 2001-05-15 주식회사유일기연 고무댐의 원격제어 장치
KR200381909Y1 (ko) 2005-01-07 2005-04-20 강남 어도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0239A (ja) * 1993-03-25 1994-10-04 Showa Concrete Ind Co Ltd 組立式魚道
KR200224489Y1 (ko) 2000-11-23 2001-05-15 주식회사유일기연 고무댐의 원격제어 장치
KR200381909Y1 (ko) 2005-01-07 2005-04-20 강남 어도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730B1 (ko) * 2010-04-16 2015-03-03 김명길 어초 겸용 수중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625A (ko) 200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432B1 (ko) 어도블록
KR100977173B1 (ko)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
CN105603943B (zh) 隧洞式仿自然鱼道的拦鱼提升设备及方法
US4629361A (en) Integrated tubal by-pass fishway
CN105735210A (zh) 隧洞式仿自然鱼道结合鱼闸的综合布置及其使用方法
KR101660462B1 (ko) 지그재그형 월류식 어도보 및 그 시공 방법
CN108343038A (zh) 水电站鱼道系统
KR20120066802A (ko) 수질정화를 갖는 하천유지용수 저류시스템
KR100592975B1 (ko) 어도블록
KR100751873B1 (ko) 어도블록
KR20150078694A (ko) 생태 어도 시설물
KR100541631B1 (ko) 유속 안내판과 어도 덮게의 저항 작용에 의해 물고기의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어도의 구성방법
IT201800005132A1 (it) Sistema di intercettamento e raccolta di rifiuti e detriti in acqua
KR101898671B1 (ko) 횡방향 어도를 구비한 하천시설물
KR100955709B1 (ko) 집수조를 구비하는 어도
KR200436112Y1 (ko) 해양생물 유입방지용 어망
KR100779545B1 (ko)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CN103469885B (zh) 不收固体污染物的污水收集井
KR101943861B1 (ko) 후방형 어도를 갖는 사방댐
KR101288089B1 (ko)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KR100979662B1 (ko) 다기능 세굴방지 어도블록
KR200426248Y1 (ko)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KR101309381B1 (ko) 침수 및 동결 피해를 줄여 주는 케이블 트로프용 pc 블록의 구조
KR100684632B1 (ko) 어도시설물
KR100688895B1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도를 구성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