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098A - 캐리어를 갖는 기계 프레임, 캐리어 정렬 방법, 및 캐리어 - Google Patents

캐리어를 갖는 기계 프레임, 캐리어 정렬 방법, 및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098A
KR20110115098A KR1020110034529A KR20110034529A KR20110115098A KR 20110115098 A KR20110115098 A KR 20110115098A KR 1020110034529 A KR1020110034529 A KR 1020110034529A KR 20110034529 A KR20110034529 A KR 20110034529A KR 20110115098 A KR20110115098 A KR 20110115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s
carrier
machine frame
bolt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9892B1 (ko
Inventor
프란쯔 레써
Original Assignee
레써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써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레써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10115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3/00General types of embroidering machines
    • D05C3/04General types of embroidering machines with horizontal need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5/00Frames, stands, tables, or other furniture adapted to carry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3/00General types of embroidering machines
    • D05C3/02General types of embroidering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5/00Engine beds, i.e. means for supporting engines or machines on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자수기를 위한 기계 프레임이 2개의 말단 지지대들을 가지며, 그 사이에 캐리어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열된다. 캐리어는 다수의 선형 세그먼트들(19a, 19b)로 구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그 말단들은, 제1 및 제2 접속 수단(27, 33, 35; 29, 33, 35)에 의해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접속 플레이트(27, 29) 형태의 접속 수단은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 즉, 상부와 하부에, 2개의 인접하는 세그먼트들(19a, 19b)의 접속 포인트들에, 배열되며, 상기 세그먼트들(19a, 19b) 사이에 간격(39)이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접속 수단은, 제2 접속 플레이트(29)의 측면의 간격 폭을 변경하도록 클램핑 수단(45, 51)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캐리어를 갖는 기계 프레임, 캐리어 정렬 방법, 및 캐리어{MACHINE FRAME WITH CARRIER, METHOD FOR ALIGNING THE CARRIER, AND CARRIER}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기계 프레임, 청구항 제13항의 전제부에 따른 캐리어 정렬 방법 및 청구항 제14항의 전제부에 따른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다중-헤드, 다중-바늘 자수기들은, 기계 프레임 상에서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며 공통의 드라이브 샤프트에 의해 구동하도록 설정된 다수의 싱어(Singer) 자수기 헤드들을 포함한다. 헤드들의 결과적인 동시 구동은 모든 바늘들이 동시에 자수 직물을 관통하거나 자수 직물로부터 빠져나올 것이 요구된다. 공지된 다중-헤드, 다중-바늘 자수기들의 바늘땀-형성 부재들과 바늘땀-형성 공정은 실질적으로 싱어 자수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특히 앞서 언급된 다중-헤드, 다중-바늘 자수기들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자수 헤드는 다수의 바늘 위치들과 함께 제공된다. 상기 다중-헤드 자수기들의 자수 헤드들은 캐리어 암 상에서 측면으로 이동하도록 장착된다. 각각의 자수 헤드의 하부는, 핀홀(pinhole)이 바늘을 위해 제공되고 국소적으로 자수 위치를 형성하는 바늘 플레이트이다. 자수 헤드의 각각의 바늘은 상기 자수 위치로 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공정 동안, 자수 직물은 x-방향 및 y-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는 프레임 내에 팽팽하게 놓여진다. 자수 위치에 위치한 바늘은, 바늘 이동 과정에서, 자수 직물과 핀홀을 관통한다. 상부 쓰레드(thread)가 자수 직물을 통해 제공되며, 대응하는 바늘 이동의 결과, 루프(loop)가 자수 직물의 후면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하부 쓰레드는 이 루프를 통해 제공된다. 바늘이 회귀함에 따라, 상부 쓰레드는 팽팽해지며, 소위 바늘땀이 자수 직물에 형성된다. 자수 공정 동안, 각각의 경우에 바늘 위치들 중 하나만, 즉, 자수 위치에 위치한 하나만 활성화된다. 상기 언급된 다중-헤드 자수기들의 자수 헤드들은 지지암을 따라 특정한 라포르(rapport) 배열의 공지된 방법으로 배열된다.
종래의 다중-헤드, 다중-바늘 자수기가 도 1 및 도 2에서 예시로 도시된다. 이는 프레임(201), 프레임(201) 상에 배열된 자수 테이블(203) 및 자수 테이블 상에서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자수 헤드들(205)을 포함한다. 도 2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각각의 자수 헤드(205)는, 각각 바늘(215)을 구비한 복수의 바늘 위치들을 갖는다. 각각의 바늘 위치는 고정 쓰레드 가이드 부재(207) 또는 쓰레드 브레이크, 쓰레드 캐리어 레버 또는 상하로 이동가능한 쓰레드 가이드(209), 쓰레드 굴절 부품(211), 및 태핏(214)을 갖는 바늘 캐리어(213) 상에 배열된 바늘(215)을 포함한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각각의 바늘 태핏(214)은 압축기 풋(foot)(217)과 함께 설치된다. 자수 헤드들(205) 하부에는, 자수되는 직물을 고정할 수 있는 자수 프레임들(219)이 제공된다. 자수 프레임들(219)은 자수 테이블(203)의 폭을 따라 연장하는 대형 클램핑 프레임(221)에 삽입될 수 있다. 클램핑 프레임(221)은 공지된 방법으로 x 및 y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수 헤드들은 선형 가이드(223) 상에 배열되며, 이를 따라 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완벽한 자수 결과를 위해, 바늘들은 동시에 구동될 뿐만 아니라 모든 활성화된 바늘들이 자수 직물로부터 정확히 동일한 거리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한편, 직물이 이동할 때, 바늘들이 여전히 직물 내에 있거나, 직물이 여전히 이동함에도 바늘들이 직물을 관통할 수 있다. 실제로, 각 바늘들의 위치가 수 mm의 10분의 1과 연관되어야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자수기를 위한 기계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며, 서로 고정된 복수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긴 횡단 캐리어가 간단한 수단으로 정렬될 수 있어서, 캐리어가 완전히 직선이며 쳐지지 않는다. 다른 목적은 캐리어의 각 세그먼트들이 서로 정렬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적어도 제1 및 제2 접속 수단이 캐리어의 반대 측면들 상에 배열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2개의 인접하는 세그먼트들을 연결하고, 제1 및 제2 접속 구단이 2개의 인접하는 세그먼트들의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세그먼트들 사이에 간격(gap)이 존재하는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기계 프레임으로 달성된다. 적어도 제2 접속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되어, 상기 제2 접속 부재의 측면 상의 간격 폭은 대응하는 조정 수단에 의해 목표하는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접속 수단은 비대칭적으로 간격 폭에 영향을 미치는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수평 캐리어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세그먼트들은 클램핑 수단에 의해 하부에서 잡아당겨질 수 있다. 일정한 상부 간격 폭을 위해, 2개의 인접하는 세그먼트들이 그 하면에서 함께 잡아당겨질 때, 연결된 세그먼트 말단들을 들어올리는 상방을 향하는 힘 성분이 발생한다. 2개의 연결된 세그먼트들을 정렬하도록, 세그먼트들은 세그먼트들의 중앙 길이방향 축들이 동축이 될 때까지 하부에서 함께 잡아당겨진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 프레임은, 5 내지 15 미터 또는 20 미터의 매우 긴 캐리어라도 정렬될 수 있어서 캐리어가 완벽히 직선이며 처짐을 갖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 캐리어들은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배열되거나, 2개의 측면 지지대들 사이에서 수평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접속 수단은 제1 접속 부재 및 제1 고정 수단에 의해 형성되며, 제2 접속 수단은 제2 접속 부재, 제2 고정 수단 및 클램핑 수단에 의해 형성된다. 제2 고정 수단에 의해, 일단을 갖는 제2 접속 부재는 제1 세그먼트에 견고히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수단은, 간격 폭을 변경시키기 위해, 제2 세그먼트의 고정 부분, 예를 들어, 볼트, 스톱 또는 돌출부와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된다. 설명되는 실시예는 상기 클램핑 수단이 저가의 다른 방법으로 생산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클램핑 수단의 다양한 모든 디자인을 포함한다. 세그먼트들 사이의 거리가 목표하는 방법으로 일방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핑 수단은, 제2 세그먼트 상에 배열되는 볼트, 제2 접속 부재 상에 배열되거나 제공되며 간격 폭을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볼트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클램핑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를 사용하여, 인접하는 세그먼트들은 서로 정렬하도록 일방적으로(unilaterally) 서로 잡아당겨질 수 있다. 그러나, 세그먼트들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조정 수단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클램핑 장치는 캐리어의 길이 방향으로 볼트에 작용할 수 있는 클램핑 핀을 포함한다. 클램핑 핀을 갖는 접속 부재는 제1 세그먼트에 견고히 연결되며, 클램핑 핀이 볼트에 작용하여, 캐리어의 길이방향으로 제2 세그먼트 상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볼트는 그 헤드가 제2 접속 부재의 보어(bore)에 수용되어 고정되며, 상기 보어는 클램핑 핀을 위한 나사산 있는 보어와 연결되고, 나사산 있는 보어는 캐리어의 길이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한다. 이는 간단하며 공간-절약 구조이다.
바람직하게, 제1 고정 수단과 제1 접속 부재가 형성되어 제1 접속 부재의 측면 상의 세그먼트들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이는 나사산 있는 스크류 및/또는 중앙 볼트들로 달성될 수 있다. 편의상, 제1 및 제2 고정 수단은 세그먼트들에 제공된 개구들 또는 보어들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제1 세그먼트 상의 중앙 볼트는 제2 세그먼트 상의 각각의 볼트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상기 볼트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 중앙 볼트는 카운터 베어링으로 작용한다. 중앙 볼트들은 바람직하게 접속 부재 상에 또는 세그먼트들 내에 대응하는 보어들에 최소 수용되어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서로 소정 거리로 배열된 2 이상의 클램핑 수단이 각각의 제2 접속 부재를 위해 제공되는 것을 제안한다. 이 클램핑 수단은 각각 측면 에지로부터 단거리(short distance)에 제공될 수 있다. 클램핑 수단의 다른 조임(tightening)에 의한, 서로 독립적으로 조정가능한 2개의 클램핑 수단에 의해, 세그먼트들은 가로 방향으로도 정렬될 수 있다.
클램핑 수단은 접속 부재에 제공되거나, 부분적으로 그 안에 통합될 수 있다. 접속 부재는, 보어들이 고정 스크류들과 선택적으로 중앙 볼트들을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접속 플레이트로서 형성될 수 있다. 클램핑 핀을 위해, 나사산 있는 보어가 단면(short side)에 제공될 수 있다.
캐리어의 세그먼트들은 1m 내지 4m, 바람직하게, 1.5m 내지 3.5m, 더 바람직하게, 2m 내지 3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길이들은 요구되는 정밀도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여전히 쉽게 변경가능하다. 상기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캐리어들은 자수기 프레임, 특히 다중-헤드, 다중-바늘 자수기의 프레임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세그먼트들은, 다각형, 바람직하게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중공의 프로파일로부터 형성된다.
적합한 고정 수단은 너트와 선택적 볼트를 갖는 고정 스크류가 될 수 있다. 볼트는, 접속 부재와 세그먼트들 내의 대응하는 보어들 내에 정확히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제는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 있는 선형 캐리어를 정렬하는 방법이며, 이는, 2개의 인접하는 세그먼트들의 대향하는 말단들이, 세그먼트들의 반대 측면들 상에 고정될 수 있는 2개의 접속 플레이트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인접하는 세그먼트들의 표면들 사이에 간격이 있으며, 세그먼트들, 즉, 길이방향 축들이, 클램핑 수단에 의해 일방적으로 간격 폭이 변경되어 서로 상대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청구항 제14항의 전제부에 따른 캐리어이며, 이는, 2개의 인접하는 세그먼트들을 연결하도록, 캐리어의 반대 측면들 상에 배열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접속 수단이 제공되며, 제1 및 제2 접속 수단이 2개의 인접하는 세그먼트들의 말단들에 연결될 수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들 사이에 간격이 있으며, 적어도 제2 접속 수단이 상기 제2 접속 부재의 측면에서 간격 폭을 변경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캐리어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기계 프레임에 대한 설명에서 이미 상술하였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종래의 복수의 자수 헤드들을 갖는 다중-바늘 다중-헤드 자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복수의 바늘 위치를 갖는 공지의 다중-헤드 다중-바늘 자수기의 각각의 자수 헤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크로스 부재들이 각각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되는, 측면 풋(foot)에 배열된 2개의 크로스 부재들을 갖는 자수기를 위한 기계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기계 프레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기계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6은 2개의 세그먼트들 사이의 연결을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며, 여기서, 명확성을 위해 세그먼트들의 일부분은 생략되었다.
도 7은 2개의 세그먼트들의 연결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자수기, 특히 측면 지지대(13)와, 말단 지지대들(13)을 서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캐리어(15, 17)를 갖는 다중-헤드, 다중 바늘 자수기를 위한 프레임(11)의 예시를 도시한다. 각각의 캐리어(15, 17)는 각각의 세그먼트들(19, 21),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인접하는 세그먼트들(19, 21)로 구성된다. 세그먼트들(19, 21)은 바람직하게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중공의 프로파일(hollow profile)이다. 연결부들(13)은,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스탠드 풋(25)에 의해 수평으로 정렬될 수 있는 풋(23) 상에 안착한다. 다중-헤드, 다중-바늘 자수기에서, 서로 소정 거리로 배열되며 각각 복수의 바늘 위치들을 갖는 다수의 자수 헤드들은 상부 캐리어(19) 상에 배열된다. 하부 쓰레드 유닛들은 하부 캐리어(21) 상에 배열된다.
세그먼트들(19, 21)은 제1 접속 플레이트들(27)과 제2 접속 플레이트들(29)에 의해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6 및 도 7은 2개의 예시적인 세그먼트들(19a, 19b)의 연결을 더 상세히 도시한다. 상기 도면들에 분명하듯이, 접속 플레이트들(27, 29)은 세그먼트들(19a, 19b)의 대향하는 평평한 측면들을 연결한다. 접속 플레이트들(27, 29)은, 길이방향 측면들로부터 단거리에서, 고정 스크류(33)와 중앙 볼트(35)를 수용하도록 작용하는, 서로에 대해 소정 거리로 배열된 다수의 제1 홀들(31)을 가진다. 제1 홀들(31)은 세그먼트들(19a, 19b) 내의 대응하는 보어들(37)에 대응한다. 제1 홀들(31)의 열들(rows)은 서로에 대해 소정 거리로 접속 플레이트들(27, 28) 상에 제공되어, 연결되는 세그먼트들(19a, 19b)과 함께, 간격(39)이 세그먼트들(19a, 19b)의 표면들(61) 사이에 생긴다. 이 간격(39)은 1 내지 수 mm 가 될 수 있다.
홀들(31)이 동일 또는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하다. 또한, 홀들(31)이 연속하여 일렬로 배열될 필요가 없으며, 어떠한 홀 패턴도 취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중앙 볼트(35)의 사용도 생략될 수 있다.
2개의 연결된 세그먼트들(19)의 정렬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어의 일측면 상에, 즉, 비대칭적으로, 간격(39)의 간격 폭을 변경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본 경우에, 이 말단에, 클램핑 수단이 제공되어, 일측면 상의 세그먼트들(19a, 19b)의 상호 축 거리를 변경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홀들(41)이 하부 접속 플레이트(29)에 제공되어, 클램핑 볼트(43)를 수용하도록 작용한다. 홀들(41)은, 바람직하게 평평한 측면(47)에 평행하도록 연장하며, 접속 플레이트(27)의 단면(49)에 수직한 나사산 있는 보어(45)에 연결된다. 클램핑 핀(51)이 나사산 있는 보어(45)에 나사결합 할 수 있다. 볼트(43)는 홀(41)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헤드(53)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평평한 측면(55)이 헤드(53) 상에 형성된다. 볼트(43)가 세그먼트(19) 상에 배열되어, 평평한 측면(55)이 나사산 있는 보어(45)를 향한다. 클램핑 볼트(43)를 고정하도록, 바람직하게 나사산 있는 팁(tip)(57)이 사용되어, 나사산 있는 너트(59)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만약 클램핑 핀(51)이 나사산 있는 보어(45)에 나사결합되면, 그 팁은 클램핑 볼트(43)의 평평한 측면(55)과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홀(41) 내의 클램핑 볼트(43)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접속 플레이트(29)와 세그먼트(19b)의 상대적인 위치가 영향받을 수 있다. 만약 접속 플레이트(29)가 세그먼트(19a)에 견고히 고정되면, 상기 방식으로 표면들(61) 사이의 상호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세그먼트들(19a, 19b) 사이의 상호 거리가 접속 플레이트(27)에 의해 대향하는 측면 상에서 고정되므로, 세그먼트들의 처짐이 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클램핑 핀(51)의 후방 말단에, 6각형의 소켓(65) 형태로 고정 수단이 제공된다. 클램핑 핀(51)을 고정하도록, 잠금 너트(67)가 클램핑 핀에 나사결합 될 수 있다.
도 7은 세그먼트들(19a, 19b)의 연결을 더 상세히 도시한다. 볼트들(43)이 홀(41) 내에 간격을 갖고 고정되는 것이 명확하다. 만약 나사산 있는 핀(51)이 접속 플레이트(29)를 좌측으로 잡아당기면, 하면의 세그먼트들(19a, 19b) 사이의 거리는 감소되며, 상방의 힘 성분이 발생한다. 볼트(35)는 클램핑 볼트(43)를 위한 카운터 베어링으로 기능한다. 클램핑 핀(51)을 나사산 있는 보어(45)에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해, 볼트(35)와 클램핑 볼트(43) 사이의 축 거리가 감소된다. 상호 이격된 클램핑 핀들(51)을 불균일하게 조이는 것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연결된 세그먼트들의 정렬도 달성될 수 있다.
하부와 상부에서 조정 수단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캐리어가 2개의 상호 직교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한다.
세그먼트들(19a, 19b) 내의 볼트들(35)과 스크류들(33)의 견고한 고정 및 보장을 위해, 강화 플레이트(63)가 세그먼트들(19a, 19b)의 에지(edge)에 배열된다. 이는 프로파일들의 벽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유지시킨다.
2개의 세그먼트들(19a, 19b)은 다음과 같이 연결된다. 우선, 상부 접속 플레이트(27)가 중앙 볼트(35)에 핀 결합되며, 고정 스크류들(33)에 의해 세그먼트들(19a, 19b)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하부 접속 플레이트(29)가 중앙 볼트(35)에 핀 결합되며, 클램핑 볼트들(43)이 세그먼트(19b) 상에 배열되어, 클램핑 볼트(43)의 평평한 측면들(55)이 세그먼트들의 길이 방향에 맞춰진다. 다음으로, 접속 플레이트(29)가 부착되며, 세그먼트(19a)의 측면에 견고히 나사결합 될 수 있다. 이제, 세그먼트들(19a, 19b)이 서로 정확히 정렬될 때까지 나사산 있는 핀들(51)이 나사산 있는 보어(45)에 나사결합된다. 세그먼트들(19a, 19b)의 상대적인 정렬이 완벽할 때, 세그먼트(19b)의 측면의 스크류들(33)이 조여질 수 있다.
자수기를 위한 기계 프레임은 2개의 말단 지지대들을 가지며, 그 사이에 캐리어가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배열된다. 캐리어는 다수의 선형 세그먼트들로 구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그 말단들은, 제1 및 제2 접속 수단에 의해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접속 플레이트 형태의 접속 수단은 반대 측면들 상에, 즉, 상부와 하부에, 2개의 인접하는 세그먼트들의 접속 포인트들에, 배열되며, 상기 세그먼트들 사이에 간격이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접속 수단은, 제2 접속 플레이트의 측면의 간격 폭을 변경하도록 클램핑 수단을 포함한다.
11: 프레임
13: 프레임 지지대
15: 제1 캐리어
17: 제2 캐리어
19: 제1 캐리어의 세그먼트들
21: 제2 캐리어의 세그먼트들
23: 지지대의 풋
25: 스탠드 풋
27: 제1 접속 플레이트
29: 제2 접속 플레이트
31; 접속 플레이트들 내의 홀들
33: 고정 볼트들
35: 중앙 볼트
37: 세그먼트들 내의 보어들
39: 간격
41: 접속 플레이트(29)의 제2 홀들
43: 볼트
45: 나사산이 있는 보어
47: 평평한 측면
49: 단면
51: 클램핑 핀
53: 볼트(43)의 헤드
55: 헤드(53) 상의 평평한 측면
57: 나사산 있는 팁
59: 나사산 있는 팁을 위한 나사산 있는 너트
61: 세그먼트의 표면
63: 강화 플레이트들
65: 6각형의 소켓
67: 잠금 너트

Claims (15)

  1. 접속 수단(27, 29, 33)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말단들에서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선형 세그먼트들(19, 21)로 구성가능한 캐리어(15, 17)를 갖는, 특히 자수기를 위한 기계 프레임(11)으로서, 2개의 인접하는 세그먼트들(19a, 19b) 을 연결하도록, 제1 및 제2 접속 수단(27, 29, 33)이, 캐리어(15, 17)의 반대 측면들 상에 배열되어 제공되며, 제1 및 제2 접속 수단(27, 29, 33)이 2개의 인접하는 세그먼트들(19a, 19b)의 말단들에 연결가능하여, 상기 세그먼트들(19a, 19b) 사이에 간격(39)이 있으며, 적어도 제2 접속 수단이 상기 제2 접속 수단(29)의 측면의 간격 폭을 변경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접속 수단(27, 33a)은 제1 접속 부재(27) 및 제1 고정 수단(33a)에 의해 형성되며, 제2 접속 수단(29, 33)은 제2 접속 부재(29), 제2 고정 수단(33b) 및 클램핑 수단(45, 51)에 의해 형성되고, 제2 고정 수단(33b)에 의해, 제2 접속 부재(29)가 제1 세그먼트(19a)에 견고히 연결될 수 있으며, 클램핑 수단(45, 51)은, 간격 폭을 변경시키기 위해, 제2 세그먼트(19b)의 고정 부분(43)과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프레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클램핑 수단(45, 51)은, 제2 세그먼트(19b) 상에 배열가능한 볼트(43), 제2 접속 부재(29) 상에 배열되거나 제공되며 간격 폭을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볼트(43)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클램핑 장치(45, 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프레임.
  4. 제 3 항에 있어서, 클램핑 장치(45, 51)는 캐리어(15, 17)의 길이 방향으로 볼트(43)에 작용할 수 있는 클램핑 핀(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프레임.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볼트(43)는 그 헤드(53)가 제2 접속 부재(29)의 보어(bore)(41)에 수용되어 고정되며, 상기 보어(41)는 클램핑 핀(51)을 위한 나사산 있는 보어(45)와 연결되고, 나사산 있는 보어(45)는 캐리어(15, 17)의 길이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프레임.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고정 수단(33a)과 제1 접속 부재(27)가 형성되어, 제1 접속 부재(27)의 측면의 세그먼트들(19a, 19b) 사이의 상호 거리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프레임.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고정 수단(33a, 33b)은 세그먼트들(19a, 19b)에 제공된 개구들 또는 보어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프레임.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수단(33a, 33b)은 나사산 있는 스크류이며, 중앙 볼트(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프레임.
  9.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세그먼트 상의 중앙 볼트(35)는 제2 세그먼트(19b) 상의 각각의 볼트(43)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프레임.
  10.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소정 거리에 배열된 2 이상의 클램핑 수단(45, 51)이 각각의 제2 접속 부재(29)를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프레임.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계 프레임(11)은 자수기 프레임이며, 세그먼트들(19, 21)은 1m 내지 4m, 바람직하게, 1.5m 내지 3.5m, 더 바람직하게, 2m 내지 3m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프레임.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그먼트들(19, 21)은, 다각형, 바람직하게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중공의 프로파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프레임.
  13. 복수의 세그먼트들(19, 21)로 구성가능하며, 특히 선형 캐리어에서 가능한 처짐을 보상하는, 선형 캐리어(19, 21)를 정렬하는 방법으로서,
    2개의 인접하는 세그먼트들(19a, 19b)의 서로를 향하는 말단들이, 세그먼트들(19a, 19b)의 반대 측면들 상에 고정될 수 있는 2개의 접속 플레이트들(27, 29)에 의해 연결되어, 인접하는 세그먼트들(19a, 19b)의 표면들(61) 사이에 간격(39)이 있으며, 세그먼트들(19a, 19b)이, 클램핑 수단(45, 51)에 의해 일방적으로(unilaterally) 간격 폭이 변경되어 서로 상대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정렬 방법.
  14. 서로 대향하는 말단들에서 접속 수단에 의해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가능한 다수의 선형 세그먼트들(27, 29)로 구성가능한 캐리어로서,
    2개의 인접하는 세그먼트들(19a, 19b)을 연결하도록, 캐리어의 반대 측면들 상에 배열가능한 제1 및 제2 접속 수단(27, 29, 33)이 제공되며, 제1 및 제2 접속 수단(27, 29, 33)이 2개의 인접하는 세그먼트들의 말단들에 연결되어, 상기 세그먼트들(19a, 19b) 사이에 간격(39)이 있으며, 적어도 제2 접속 수단이 상기 제2 접속 부재(29)의 측면에서 간격 폭을 변경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15.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특징을 갖는 제 15 항에 따른 캐리어.
KR1020110034529A 2010-04-14 2011-04-14 캐리어를 갖는 기계 프레임, 캐리어 정렬 방법, 및 캐리어 KR101799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0543/10 2010-04-14
CH00543/10A CH702939A1 (de) 2010-04-14 2010-04-14 Maschinengestell mit Träger, Verfahren zum Ausrichten des Trägers und Trä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098A true KR20110115098A (ko) 2011-10-20
KR101799892B1 KR101799892B1 (ko) 2017-11-22

Family

ID=4279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529A KR101799892B1 (ko) 2010-04-14 2011-04-14 캐리어를 갖는 기계 프레임, 캐리어 정렬 방법, 및 캐리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77981B1 (ko)
KR (1) KR101799892B1 (ko)
CN (1) CN102220677A (ko)
CH (1) CH702939A1 (ko)
TW (1) TWI5252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1854B4 (de) 2015-03-13 2021-10-14 Sew-Eurodrive Gmbh & Co Kg Antriebspake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ntriebspaket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9586C (ko) * 1909-11-05
AT360320B (de) * 1979-04-18 1980-01-12 Laesser Franz Ing Bausatz zum umbau von alten stickmaschinen
DE4239746C2 (de) * 1992-11-26 2000-06-29 Saurer Sticksysteme Ag Arbon Stickmaschinen-Gestell
JP2885020B2 (ja) * 1993-09-29 1999-04-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多頭ミシンのテーブル機構
TW503284B (en) 2000-05-31 2002-09-21 Franz Lasser Ag Embroidery machine
ATE342390T1 (de) * 2004-08-04 2006-11-15 Laesser Ag Gestell für eine stickmaschine und verwendung derselben mit einem gestellfundament
CN2828084Y (zh) * 2005-10-17 2006-10-18 杭州经纬电子机械制造有限公司 绣花机机架
CN201395708Y (zh) * 2009-06-03 2010-02-03 陈学生 拼接式超长绣花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77981B1 (de) 2012-11-07
TWI525233B (zh) 2016-03-11
TW201200663A (en) 2012-01-01
CH702939A1 (de) 2011-10-14
CN102220677A (zh) 2011-10-19
EP2377981A1 (de) 2011-10-19
KR101799892B1 (ko)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3847B (zh) 多頭刺繡機
US9260806B2 (en) Method for homogenizing the stitching pattern in a needled fleece
US8826837B2 (en) Drive device for sewing machine sewing frame
CN101230525B (zh) 多头刺绣机
EP2330242B1 (de) Mehrkopf- Stickmaschine und Unterfadeneinheit für Mehrkopf- Stickmaschine
CN101008130B (zh) 编织针以及用于该针的杆
KR101799892B1 (ko) 캐리어를 갖는 기계 프레임, 캐리어 정렬 방법, 및 캐리어
JP2008261083A (ja) 綜絖軸のための綜絖引き込み装置
CN211446190U (zh) 绗绣机头针杆传动固定组件、绗绣机头针杆传动固定架以及绗绣机
JPH0646676U (ja) 多針式刺繍ミシン
KR101229270B1 (ko) 자수기용 피자수물 클램핑 장치
JP5525204B2 (ja) ミシン
CN217078005U (zh) 一种可调节的刺绣机的绣框
CN109822337A (zh) 一种用于针织横机的导轨装调装置及装调方法
KR200252885Y1 (ko) 루프 및 컷팅의 고저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캠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환편기의 니들 캠홀더 및 캠홀더 고정판
CN219886339U (zh) 一种刺绣面料固定基座
CN217104161U (zh) 一种熔喷纤维束分散装置
CN218989549U (zh) 全幅整经机用的伸缩装置
CN217078004U (zh) 一种绣框滑动机构以及刺绣机的绣框
CN220812908U (zh) 一种用于刺绣品生产的定位机构
CN212051853U (zh) 一种多针缝纫机
CN110524211B (zh) 一种散热器芯体装配机的宽度可调装配平台
CN220795321U (zh) 一种41°awg芯片测试用一体式吸气夹具
CN216074175U (zh) 一种提升分线效率的整经机分线装置
KR20000052282A (ko) 누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