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4830A - 무인충전기 - Google Patents

무인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4830A
KR20110114830A KR1020100034177A KR20100034177A KR20110114830A KR 20110114830 A KR20110114830 A KR 20110114830A KR 1020100034177 A KR1020100034177 A KR 1020100034177A KR 20100034177 A KR20100034177 A KR 20100034177A KR 20110114830 A KR20110114830 A KR 20110114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cash
unmanned
unit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황재
Original Assignee
안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황재 filed Critical 안황재
Priority to KR1020100034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4830A/ko
Publication of KR20110114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1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vending, access and use of specific services not covered anywhere else in G07F17/0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교통카드의 무인충전기 구조는, 승객의 접근성을 쉽게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 등에 탑재되어 충전 및 발권시 현금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와 투입된 현금을 감별하기 위한 감별부와 감별부의 뒷단에서 감별을 마친 현금을 보관하는 스텍커와 전원 및 동작·제어·유무선 통신모듈·충전내역을 저장·충전 및 발권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들이나 데이터 갱신을 위해 구성된 컨트롤부와 모듈들의 파손이나 보안을 위한 케이스와 케이스에 설치되는 도어와 도어 등의 적당한 곳에 설치되어 감별부에서 파악된 내역에 따라 교통카드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무인충전기를 외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로 구성된 충전기와 상기 충전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감별부에서 파악된 현금 내역에 따라 교통카드를 발권하는 발권기로 구성되며, 상기 무인충전기는 교통카드를 충전 및 발권하고 내역을 즉시 또는, 일정 규모 이상의 양이 되면 운행기나 무인충전기의 컨트롤부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또한, 충전 및 발권에 필요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고 버전을 비교하여 갱신을 한다.

Description

무인충전기{Unmanned Card Recharge}
본 발명은 교통카드의 무인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 등에 탑재되어 고객이 용이하게 교통카드의 충전과 구입을 할 수 있으며, 충전 및 발권 내역을 운행기나 무인충전기 컨트롤부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서버에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무인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교통카드의 충전 및 판매는 한정된 장소에서만 할 수 있으므로, 교통카드의 충전 및 구입을 위해서는 충전과 판매를 하는 장소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특허 출원번호 10-2008-0029624은 교통요금 선 지급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교통요금 선 지급처리 방법은, 충전형 교통요금 지불용 비접촉 IC카드 정보와 교통요금 부족금액에 대한 선 지급 신청정보와 선 지급 금액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유료도로(또는 고속도로)의 톨게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형 교통요금 지불용 비접촉 IC카드와 무선 통신하여 교통요금을 지불결제 처리하는 교통요금 결제장치에서 상기 톨게이트 통과 차량에 구비된 상기 충전형 교통요금 지불용 비접촉 IC카드에 충전된 금액을 통해 상기 교통요금을 지불결제 처리한 후, 상기 교통요금에 대비하여 충전된 금액이 부족한 충전형 교통요금 지불용 비접촉 IC카드 정보를 주기적(또는 실시간)으로 전송하면, 상기 충전형 교통요금 지불용 비접촉 IC카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매체와 연계하여 상기 충전형 교통요금 지불용 비접촉 IC카드 정보와 연계된 선 지급신청 정보와 선 지급 금액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선 지급 신청 정보에 대응하는 선 지급 계정을 생성(또는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선 지급 계정을 통해 상기 선 지급 금액을 상기 충전형 교통요금 지불용 비접촉 IC카드의 충전계좌로 입금하는 단계와, 상기 교통요금을 징수하는 교통요금 징수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충전형 교통요금 지불용 비접촉 IC카드에 대한 교통요금 부족금액의 후 정산 유예기간이 해제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형 교통요금 지불용 비접촉 IC카드에 충전금액을 충전시, 상기 선 지급 금액을 정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문헌1] 한국 특허 출원번호 10-1996-0067395은 무인 단말기를 설치하여 지하철, 국철, 버스, 택시 및 주차장 등의 각종 사용 요금을 지불하는 요금 지불용 카드에, 무인으로 사용자가 직접 소정의 요금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신용 카드, 현금 카드 및 직불 카드로 요금 지불용 카드의 충전 금액을 납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요금 지불용 카드의 관리 회사와 모뎀으로 연결되는 무인 단말기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직접 무인 단말기를 조작하여 요금 지불용 카드에 충전할 소정의 금액을 납부하게 하고, 상기 소정의 금액은 신용 카드, 현금 카드 및 직불 카드 등으로 납부하며, 상기 무인 단말기는 납부하는 신용 카드, 현금 카드 및 직불 카드의 신용 상태를 상기 모뎀을 통해 카드의 관리 회사에 조회하고, 조회 결과 거래 승인이 승인될 경우에 요금 지불용 카드에 상기 납부한 금액을 충전시킴으로써 요금 지불용 카드의 사용자가 일일이 카드의 발행 회사를 방문하지 않고, 무인 설치된 무인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단히 요금 지불용 카드에 소정의 금액을 충전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문헌1] 한국 특허 출원번호 10-1998-0037895은 교통 요금 자동 충전 및 징수 장치 및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하는 교통 수단에 설치되며, 교통 요금을 지불하기 위한 일정 액수의 금액이 충전된 교통 카드로부터 카드 정보 및 잔액 정보를 인식하여 교통 요금을 징수하고, 상기 교통 요금을 징후한 후 잔액이 사전에 설정된 최소 잔액 이하인 경우 자동으로 상기 카드에 일정 액수의 금액을 재충전하며, 상기 교통 카드에 일정 액수의 금액이 재충전된 경우, 그 교통 카드의 자동 충전 약정시 지정된 은행 계좌에서 그 충전된 금액을 인출하여 교통 카드 발행회사의 은행 계좌로 입금 처리함으로써, 교통 요금 자동 충전 및 징수, 정산을 하나의 장치로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버스 등에서 고객이 용이하게 교통카드를 충전 및 구입을 할 수 있고, 구입하고 남은 잔금이 있을 경우 고객의 선택에 따라 발권기에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과 발권을 위해 투입된 현금을 감별하기 위한 감별부와 감별을 마친 현금을 적층하여 보관하는 스텍커의 설치 각도를 직선(평행, 180°) 또는, 일정한 각도 범위(최소 상하 90°) 안에서 구성되며, 충전시 투입되는 지폐를 가이드 등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등이나 야광체에 의하여 쉽게 현금을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운행기나 무인충전기의 컨트롤부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교통카드의 충전 및 발권 내역 등을 용이하게 외부서버로 전송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응용 프로그램의 갱신도 용이하도록 구성된 무인충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카드의 무인충전기의 일 실시예는, 버스 등에 탑재되어 충전 및 발권시 현금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와 현금 투입을 쉽게하기 위한 가이드와 충전시 투입된 현금을 감별하기 위한 감별부와 감별부의 뒷단에서 감별을 마친 현금을 적층하여 보관하기 위해 구성된 스텍커와 전원 및 동작·제어·유무선 통신모듈·충전내역을 저장·충전을 위한 응용프로그램들이나 데이터의 저장 및 갱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컨트롤부와 모듈들의 외력에 의한 파손 방지와 보안을 위한 케이스와 케이스에 설치 구성되는 도어와 도어 등의 적당한 곳에 설치되어 감별부에서 파악된 현금 내역에 따라 충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충전부와 케이스의 도어를 원활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힌지와 충전기 보안을 위하여 구성된 장금장치와 외부에 무인충전기를 고정하기 위하여 구성된 고정부로 구성되는 충전기와, 교통카드를 적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적층부와 적층된 교통카드를 감별부에 의하여 파악된 현금 내역에 따라 교통카드의 출구로 이동 시키기 위해 구성된 이송부와 상기 교통카드를 고객이 외부에서 뺄수 있도록 구성된 출구와 상기 교통카드를 구입하고 남은 잔금의 일부나 전부를 고객의 선택에 따라 이송부 등에 적절하게 설치되어 충전후 발권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충전부A와 상기 출구에서 고객이 일정 시간이 되어도 가져가지 않을 경우와 불량 교통카드를 구별하여 환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환수부와 상기 환수부에서 환수된 교통카드를 저장하기 위한 환수통과 상기 모듈들을 외력에 의한 손상 방지와 보안을 위한 케이스A와 상기 교통카드의 보충 및 수리 등을 목적으로 구성된 도어A와 도어를 쉽게 열고 닫을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힌지A와 상기 발권기의 보안을 위하여 구성된 장금장치A로 구성되는 발권기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카드의 무인충전기의 일 실시예는, 볼트 등에 의하여 조립 하가나 또는, 일체로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카드의 무인충전기의 일 실시예는, 충전 및 발권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들의 갱신을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카드의 무인충전기의 일 실시예는, 충전시 가이드 등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등이나 야광체에 의하여 쉽게 현금을 투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무인충전기는 입금되는 현금을 파악하여 교통카드의 충전 및 발권을 하고 충전 및 발권 내역을 즉시 또는, 일정 규모 이상의 양이 되면 운행기나 무인충전기의 컨트롤부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충전 및 발권 내역을 외부서버로 전송하고, 충전 및 발권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송신 및 수신으로 버전을 비교하여 갱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충전기는 버스 등의 탑재되어 있으므로 고객이 교통 카드의 충전과 발권을 위해 지정된 장소로 이동하지 않아도 되고, 버스 이용시간이나 기타 용이할 때 교통카드를 충전이나 구입할 수 있으며, 또한, 충전이나 발권을 목적으로 현금이 투입구를 통해 감별부에서 감별을 마치고 스텍커에 적층이 되어 보관이 될 때, 현금이 유입시 꺽이지 않고 용이하게 적층이 될 수 있으며, 충전시 가이드 등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등이나 야광체에 의하여 쉽게 현금을 투입할 수 있고, 운행기나 무인충전기의 컨트롤부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으로 충전 및 발권 내역을 즉시 또는, 일정 규모 이상의 양이 되면 외부서버로 전송하고, 충전 및 발권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송신 및 수신하고 버전을 비교하여 갱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충전기가 적용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충전기의 충전기에 대한 상세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충전기의 충전기와 발권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대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통카드의 무인충전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기술에 의한 무인충전기는 버스나 지하철, 버스 정류장 등의 모든 분야에 걸쳐 설치되어 사용이 가능하나, 이하에서는, 편의 상 버스의 내부에 탑재된 경우 만을 예로 하여 서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충전기가 적용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설명하면, 무인충전기(110)는 운행기(120)와 연결되어 버스(100) 내에 탑재된다. 이 때, 운행기(120)나 무인충전기(110)는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과 수신하고, 운행기(120)의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서버(130)와 통신을 하거나 또는, 무선충전기(110)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서버(130)와 통신을 한다. 무선통신으로는 IRDA, RF, 무선랜, 블루투스 등 이용 가능한 각종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통신으로는 유선랜, RS232C 등 이용 가능한 각종 유선통신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서버(130)는 무인충전기(110)의 교통카드 충전과 발권 내역을 운행기(120)나 무인충전기(110)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수신하며, 무인충전기(110)의 충전 및 발권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운행기(120)나 무인충전기(110)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갱신을 할 수 있다.
차고지의 외부서버(140)는 버스가 차고지의 무선 통신 영역 내에 진입하면, 무인충전기(110)의 교통카드 충전 및 발권 내역을 운행기(120)나 무인충전기(110)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수신하고, 충전 및 발권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운행기(120)나 무인충전기(110)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갱신을 한다. 또한, 차고지의 외부서버(140)는 운행기(120)나 무인충전기(110)의 컨트롤부를 통해 전달받은 교통카드의 충전과 발권 내역과 외부서버에 저장된 충전과 발권 내역을 비교하며, 무선(예 : RF, 무선랜 등)과 유선(예 : ADSL 등)을 통해 외부서버(130)와 차고지의 외부서버(140)를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충전기의 충전기에 대한 상세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교통카드의 무인충전기의 충전기(10) 구성으로는, 충전 및 발권시 현금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4)와; 상기 현금 투입시 현금 투입을 쉽게하기 위한 가이드(14-1)와; 상기 가이드 등에 구성되어 현금을 쉽게 투입구에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내등(미도시)이나 야광체(미도시)와; 상기 충전시 투입된 현금을 감별하기 위한 감별부(13)와; 상기 감별부의 뒷단에서 감별을 마친 현금을 적층하여 보관하기 위해 구성된 스텍커(17)와; 무인충전기의 전원 및 동작·제어·통신모듈·충전내역을 저장·충전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들이나 데이터의 저장 및 갱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컨트롤부(18)와; 상기 모듈을 외부의 충격과 보안을 위해 구성된 케이스(16)와; 상기 케이스에 구성되는 도어(11)와; 도어 등의 적당한 곳에 설치되어 감별부에서 파악된 현금 내역에 따라 충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충전부(15)와; 상기 케이스의 도어를 원활하게 열고 닫을 수 있게 구성된 도어힌지(12)와; 상기 충전기 보안을 위하여 구성된 장금장치(19)와; 외부에 무인충전기를 고정하기 위하여 구성된 고정(20)부로 구성되어 있다.
교통카드의 충전 내역은 충전기(10)의 컨트롤부(18)에 저장하거나 운행기(미도시)의 저장공간에 저장하며, 충전 및 발권 내역 정보는 교통카드의 충전금액, 충전시간, 발권내용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무인충전기(미도시)는 충전기(10)의 감별부에서 파악된 현금 내역에 따라 교통카드를 충전 및 발권하고 충전 및 발권 내역을 즉시 또는, 저장공간에 저장하였다가 일정 규모 이상의 양이 되면 운행기(미도시)나 충전기의 컨트롤부(18)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충전 내역을 외부서버(미도시)로 전송한다. 상기 충전기(10)는 운행기(미도시)의 저장공간을 이용하는 경우는 별도의 컨트롤부(18)에 저장부가 필요 없어 구성이 간단해 질 수 있으며, 운행기(미도시)와 충전기의 커트롤부(18) 연결방법은 유선과 무선통신 방법 중 어떠한 것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18)나 운행기(미도시)는 버스가 차고지의 외부서버(미도시)의 통신 영역에 도달하면, 저장된 충전 및 발권 내역을 컨트롤부(18)나 운행기(미도시)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차고지의 외부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이 때 무인충전기(미도시)의 응용 프로그램들도 운행기나 컨트롤부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차고지의 외부서버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어, 지폐 인식 프로그램, 충전 프로그램, 충전 내역 전송 프로그램 등)과 버전을 비교하여 버전이 낮으면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인충전기(미도시)는 차고지의 외부서버(미도시)의 통신 영역에서 운행기(미도시)나 충전기의 컨트롤부(18)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으로 응용 프로그램들을 차고지의 외부서버로 전송하고, 차고지의 외부서버는 수신된 버전과 자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의 버전을 비교하여 수신된 버전이 낮으면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전송하여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무인충전기(10)는 차고지의 외부서버(미도시)로 부터 각종 응용 프로그램들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응용 프로그램들의 버전과 무인충전기의 컨트롤부(18)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들의 버전을 비교하여 버전이 낮을 경우 차고지의 외부서버(미도시)의 응용 프로그램들을 수신하여 갱신을 한다.
상기 도어힌지(12)는 도어(11)가 중력이나 조그만 외력에 의하여 쉽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르크힌지를 적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충전기의 충전기와 발권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대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교통카드의 무인충전기(30) 구성으로는 충전 및 발권시 투입된 현금을 감별부(미도시)에서 감별을 마치고, 이때 파악된 현금 내역에 따라 교통카드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충전기(30-1)로써, 구성 내용은 전술한 본 발명의 도 2를 동일하게 적용한다. 그리고, 무인충전기의 충전기(30-1) 일측에 구성된 발권기(30-2)는 교통카드를 적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적층부(미도시)와; 적층된 교통카드를 감별부(미도시)에 의하여 파악된 현금에 따라 교통카드를 발권하기 위하여 출구로 이동 시키기 위해 구성된 이송부(미도시)와; 상기 교통카드를 구입하고 남은 잔금을 고객의 선택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를 발권하기 전에 이송부 등의 적절한 위치에서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충전부A(미도시)와; 상기 교통카드를 외부로 빼기 위한 출구(44)와; 상기 출구에서 구입자가 일정 시간이 되어도 가져가지 않을 경우와 불량 교통카드를 구별하여 환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환수부(미도시)와; 상기 환수부에서 환수된 교통카드를 저장하기 위한 환수통(미도시)과; 상기 모듈들을 외력에 의한 파손 방지와 보안을 위한 케이스A(41)와; 상기 교통카드의 보충 및 수리 등을 목적으로 구성된 도어A(42); 도어를 쉽게 열고 닫을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힌지A(42-1)와; 상기 무인충전기의 발권기(30-2) 보안을 위하여 구성된 장금장치A(43)로 구성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본 발명에 의한 교통카드의 무인충전기는, 버스 등의 탑재되어 충전 및 발권시 현금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와 현금 투입시 투입을 쉽게하기 위한 가이드와 투입된 현금을 감별하기 위한 감별부와 감별부의 뒷단에서 감별을 마친 현금을 보관하기 위해 구성된 스텍커와 전원 및 동작·제어·유무선 통신모듈·충전내역을 저장·충전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들이나 데이터의 저장 및 갱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컨트롤부와 모듈들을 외력에 의한 파손 방지와 보안을 위해 구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에 구성되는 도어와 도어 등의 적당한 곳에 설치되어 감별부에서 파악된 현금 내역에 따라 충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충전부와 케이스의 도어를 원활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힌지와 무인충전기의 충전기 보안을 위하여 구성된 장금장치와 외부에 무인충전기를 고정하기 위하여 구성된 고정부로 구성되는 충전기와, 교통카드를 적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적층부와 적층된 교통카드를 감별부에 의하여 파악된 현금에 따라 출구로 이동 시키기 위해 구성된 이송부와 상기 교통카드를 구입하고 남은 잔금을 고객의 선택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를 발권하기 전에 이송부 등의 적절한 위치에서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충전부A와 상기 교통카드를 외부로 뺄수 있도록 구성한 출구와 상기 출구에서 구입자가 일정 시간이 되어도 교통카드를 가져가지 않을 경우와 불량 교통카드를 구별하여 환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환수부와 상기 환수부에서 환수된 교통카드를 저장하기 위한 환수통과 상기 모듈들을 외력에 의한 손상 방지와 보안을 위한 케이스A와 상기 교통카드의 보충 및 수리 등을 목적으로 구성된 도어A와 도어를 쉽게 열고 닫을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힌지A와 상기 무인충전기의 발권기의 보안을 위하여 구성된 장금장치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제 1항에 있어서,
    교통카드의 충전과 발권을 목적으로 입금되는 현금을 감별부에서 파악하여 충전기에서 충전하거나, 발권기에서 발권 및 충전을 하며, 충전 및 발권 내역을 즉시 또는, 저장공간에 저장하였다가 일정 규모 이상 양이 되면 운행기나 무인충전기의 컨트롤부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충전기.
  3. 제 1항에 있어서,
    버스가 외부서버의 통신 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운행기나 무인충전기의 컨트롤부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수신된 버전과 자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의 버전을 비교하여 버전이 낮으면 외부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갱신하거나 또는, 외부서버에서 무인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수신된 버전과 자체에 응용 프로그램들의 버전을 비교하여 버전이 낮으면, 외부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갱신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충전기.
  4. 제 1항에 있어서,
    무인충전기의 컨트롤부는 유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운행기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충전기.
  5. 제 1항에 있어서,
    충전과 발권을 위해 투입된 현금을 감별하기 위한 감별부와 감별을 마친 현금을 적층하여 보관하기 위한 스텍커의 설치 각도를 직선(평행, 180°) 또는, 일정한 각도 범위(최소 상하 90°) 안에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충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충전기나 발권기를 볼트 등에 의하여 조립되거나, 일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충전기.
  7.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드 등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등이나 야광체 의해 사용자가 쉽게 현금을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충전기.
KR1020100034177A 2010-04-14 2010-04-14 무인충전기 KR20110114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177A KR20110114830A (ko) 2010-04-14 2010-04-14 무인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177A KR20110114830A (ko) 2010-04-14 2010-04-14 무인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830A true KR20110114830A (ko) 2011-10-20

Family

ID=45029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177A KR20110114830A (ko) 2010-04-14 2010-04-14 무인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48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167A (ko) * 2017-06-12 2018-12-20 대구도시철도공사 터치스크린 입력방식 발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167A (ko) * 2017-06-12 2018-12-20 대구도시철도공사 터치스크린 입력방식 발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6885C (zh) 收费系统、车载单元及收费方法
JPH0648184A (ja) 電気自動車へのエネルギー供給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の供給に適した自動車
KR101177201B1 (ko)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20230A (ko) 교통요금 자동 정산 시스템 및 교통기관용 기억 장치
KR100338483B1 (ko) 전자지갑 자동 충전 및 징수장치와 그 처리방법
KR100364030B1 (ko) 재충전가능한 매체를 사용하는 비접촉 지불 방법 및 장치
KR101484960B1 (ko) 통행요금 자동정산기 및 이를 이용한 유료도로 통행요금 무인수납시스템
KR20000019684A (ko) 교통 요금 자동 충전 및 징수 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20110114830A (ko) 무인충전기
KR20110114833A (ko) 무인충전기
KR101103954B1 (ko) 접이식 자전거의 보관 시스템
KR20110114832A (ko) 무인충전기
KR20110114831A (ko) 무인충전기
JP4225034B2 (ja) 駐車料金課金システム
JP3944417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CN100533489C (zh) 收费公路上的卡处理系统与卡处理方法
KR100963050B1 (ko) 하이패스 미납요금의 정산시스템
KR200419227Y1 (ko) 주화계수기를 탑재한 주화수거차량
CN104637160A (zh) 用于大运量公共交通工具的多级票值计费及结算系统
KR20070037144A (ko) 선불 카드 충전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28376A (ko) 통합요금징수기
KR20110126196A (ko) 통합요금징수기
JPH08287308A (ja) 有料道路料金収受装置
JP3699945B2 (ja) カード処理システム、カード処理方法
KR101709373B1 (ko) 결제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