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8376A - 통합요금징수기 - Google Patents

통합요금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8376A
KR20110128376A KR1020100047770A KR20100047770A KR20110128376A KR 20110128376 A KR20110128376 A KR 20110128376A KR 1020100047770 A KR1020100047770 A KR 1020100047770A KR 20100047770 A KR20100047770 A KR 20100047770A KR 20110128376 A KR20110128376 A KR 20110128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unit
coin
fare
c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화
Original Assignee
이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화 filed Critical 이태화
Priority to KR1020100047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8376A/ko
Publication of KR20110128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통합요금징수기 구조는, 승객의 편리와 운전자의 신뢰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승객이 승차시 요금을 지불할 수 있게 구성된 카드부 및 지폐감별부와 동전감별부에서 감별이 끝난 현금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된 확인창과 확인창에서 현금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된 비움판앗세이와 현금을 보관하는 케쉬박스와 현금징수기가 장애시 현금을 징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비상투입구와 승객의 지불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카드표시부와 현금표시부와 카드부, 지폐투입구 등을 모듈로 구성한 탑커버와 동작 및 제어, 필요전원 공급 등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콘트롤부와 외력 등에 의한 모듈들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와 케이스에 구성된 도어와 케이스 앞면에 구성된 반환구와 차량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징수기와, 상기 징수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감별부에서 파악된 현금 내역에 따라 교통카드를 발권 및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발권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통합요금징수기{INTEGRATION CHARGE COLLECT MACHINE}
본 발명은 교통카드 터치에 의하여 승차요금을 징수할 수 있게 구성된 카드단말기와 현금(지폐, 동전)을 징수할 수 있게 구성된 징수기와 교통카드의 발권 및 충전을 할 수 있는 발권기를 통합하여 승객이 승차시 교통요금을 지불과 교통카드의 구입을 쉽게할 수 있고, 운전자의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된 통합요금징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교통요금의 징수는 교통카드를 터치할 수 있는 카드단말기와 현금(지폐, 동전)을 징수할 수 있는 징수기로 분리되어 승객의 불편함과 운전자의 신뢰에 많은 어려움 있다.
종래기술의 문헌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은 출원번호 10-2001-0002041에 따라, 비접촉식 일회권에 카드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불량이 발생한 상기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를 투출하기 위한 불량카드 반환구,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와 송수신을 위한 제1알에프 안테나,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와 송수신을 위한 제2알에프 안테나, 각 카드의 처리정보를 표시하는 표 시수단, 투입구로 투입된 비접촉식 회권 알에프 카드를 수집하는 수집부, 정상적으로 요금징수가 되지 않았을 경우 승객의 통과를 제한하는 플랩, 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통카드용 시각별요금 징수단말기 및 시각별요금 징수방법의 출원번호 10-2002-0061635에 따라, IC카드로 된 교통카드에 대하여 사용여부를 인증한 후 요금을 징수하고 정산처리하는 교통카드의 징수단말기에 있어서, 현재 시각값을 출력하는 타이머와, 각 운행시간대별 할증률이 기록된 요금테이블과, 상기 타이머에서 얻은 현재 시각에 대한 할증률을 상기 요금테이블 내에 시각별할증율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얻은 할증률을 승객의 기본 운임에 곱하여 시간대별 요금을 징수하는 요금징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 및 그 방법 출원번호 10-2004-0034275에 따라,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RF 통신부는 차로들 전체를 제2통신 영역으로 하는 제2안테나를 통해 제2통신 영역에 진입한 차량에 탑재된 차량 단말기를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출력하고, 각각의 차로에 설치되고 각각의 차로를 제1통신 영역으로 하는 제1안테나를 통해 제1통신 영역에 진입한 차량에 탑재된 차량 단말기와 RF 통신을 수행하고 요금을 징수한다. IR 통신부는 각각의 차로에 설치되고 각각의 차로를 제3통신 영역으로 하는 제3안테나를 통해 제3통신 영역에 진입한 차량에 탑재된 차량 단말기와 IR 통신을 수행하고 요금을 징수한다. 그리고, 차로 제어부는 RF 통신부 및 IR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요금 징수 결과를 기초로 진입한 차량에 대해 정상적인 요금 징수가 이루어졌는지 관리한다. 이로써, IR 통신 및 RF 통신 방식에 의한 요금 징수 시스템을 한 차로에 혼합하여 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버스 단말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출원번호 10-2006-0092383에 따라, 버스 단말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소정의 통신 영역에 지입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 단말기로부터 수집한 거래내역을 취합한 파일을 암호화 및 이진화하여 정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정산 시스템에 저장된 정보의 버전과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의 버전을 비교하여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최신 정보로 갱신한다. 이로써, 담당자의 개입없이 자동으로 버스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버스 단말기의 정보를 최신 정보로 갱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특허 출원번호 10-1996-0067395는 무인 단말기를 설치하여 지하철, 국철, 버스, 택시 및 주차장 등의 각종 사용 요금을 지불하는 요금 지불용 카드에, 무인으로 사용자가 직접 소정의 요금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신용 카드, 현금 카드 및 직불 카드로 요금 지불용 카드의 충전 금액을 납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요금 지불용 카드의 관리 회사와 모뎀으로 연결되는 무인 단말기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직접 무인 단말기를 조작하여 요금 지불용 카드에 충전할 소정의 금액을 납부하게 하고, 상기 소정의 금액은 신용 카드, 현금 카드 및 직불 카드 등으로 납부하며, 상기 무인 단말기는 납부하는 신용 카드, 현금카드 및 직불 카드의 신용 상태를 상기 모뎀을 통해 카드의 관리 회사에 조회하고, 조회 결과 거래 승인이 승인될 경우에 요금 지불용 카드에 상기 납부한 금액을 충전시킴으로써 요금 지불용 카드의 사용자가 일일이 카드의 발행 회사를 방문하지 않고, 무 인 설치된 무인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단히 요금 지불용 카드에 소정의 금액을 충전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한국 특허 출원번호 10-1998-0037895는 교통 요금 자동 충전 및 징수 장치 및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하는 교통 수단에 설치되며, 교통 요금을 지불하기 위한 일정 액수의 금액이 충전된 교통 카드로부터 카드 정보 및 잔액 정보를 인식하여 교통 요금을 징수하고, 상기 교통 요금을 징후한 후 잔액이 사전에 설정된 최소 잔액 이하인 경우 자동으로 상기 카드에 일정 액수의 금액을 재충전하며, 상기 교통 카드에 일정 액수의 금액이 재충전된 경우, 그 교통 카드의 자동 충전 약정시 지정된 은행 계좌에서 그 충전된 금액을 인출하여 교통 카드 발행회사의 은행 계좌로 입금 처리함으로써, 교통 요금 자동 충전 및 징수, 정산을 하나의 장치로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교통카드를 터치할 수 있는 카드단말기와 현금(지폐, 동전)을 징수할 수 있는 요금징수기를 통합하고, 동전감별기를 통과하지 못한 이 물질이나 불량 동전 등의 배출구를 통합요금징수기의 앞면에 설치하여 승객이 용이하게 수거하여 확인할 수 있고, 지폐감별기나 동전감별기의 장애를 감지하여 비상투입구 도어에 구성된 모터 등에 의하여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탑커버, 지폐감별부, 덕트, 동전감별부, 컨트롤부, 비움판앗세이 등을 모듈화하여 볼트나 후크 등에 의하여 조립 및 분해,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승객이 승차시 교통카드 및 지폐, 동전으로 교통요금을 지불하고, 그 지불된 승차 요금내역을 카드표시부와 현금표시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선불카드의 경우 충전된 잔액을 카드표시부에 표시해 충전 시기를 승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했고, 후불카드의 경우는 사용된 교통요금 총액이 카드표시부에 표시되어 승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통합요금징수기는 승차요금의 징수 내역을 내장된 유무선 통신 기능에 의하여 외부서버로 전송하고 발권 및 충전, 징수에 필요한 응용프로그램들을 갱신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감별을 마친 현금(지폐, 동전)을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을 한 개 또는, 한 개이상 구성하며, 케쉬박스는 내구성 및 보안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금속재로 구성하는 통합요금징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버스 등에서 고객이 용이하게 교통카드를 구입을 할 수 있고, 구입하고 남은 잔금이 있을 경우 고객의 선택에 따라 발권기에서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통합요금징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요금징수기는, 승객이 승차시 승차요금을 징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징수기와 교통카드의 발권 및 충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발권기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징수기는 승객이 승차시 요금을 교통카드로 지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카드부(3)와, 승객이 승차시 요금을 지폐로 지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폐투입구(9)와, 상기 지폐투입구(9)로 투입된 지폐를 감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폐감별부(56)와, 승객이 승차시 요금을 동 전으로 지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동전투입구(7)와, 상기 동전투입구(7)로 투입된 동전을 감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동전감별부(51)와, 감별이 끝난 지폐와 동전을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잠시 머물러 있고, 케쉬박스(53)를 징수기(1)에서 빼낼 경우 케쉬박스(53)의 도어(미도시)가 닫혀서 빠질 수 있도록 구성된 비움판앗세이(54)와, 상기 비움판앗세이(54)에 잠시 머물러 있는 지폐와 동전을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확인창(17)과, 승객이 승차시 지불된 지폐와 동전을 보관하기 위한 케쉬박스(53)와, 상기 지폐감별부(56)나 동전감별부(51)에 장애가 발생되어 지폐와 동전을 징수할 수 없을 경우 승차 요금을 징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비상투입구(5)와, 상기 교통카드의 징수내역 및 잔액, 사용된 총액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카드표시부(4)와, 상기 지불된 승차 요금의 현금 징수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현금표시부(6)와, 상기 카드부(3), 지폐투입구(9), 동전투입구(7), 카드표시부(4), 현금표시부(6) 등을 모듈로 구성하는 탑커버(2)와, 상기 탑커버(2)를 케이스(13)에 연결해 용이하게 열고 닫을수 있도록 구성된 힌지(20)와, 카드부(3)와 지폐감별부(55), 동전감별부(51), 카드표시부(4), 현금표시부(6) 등의 동작 및 제어, 필요한 전원, 승차내역의 보관, 외부와 통신 등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컨트롤부(58)와, 운행 중에 외부 카메라의 영상을 기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록장치(52)와, 상기 모듈들의 설치 및 외력에 의한 손상 방지와 보안을 위해 구성된 케이스(13)와, 상기 케이스(13)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구성된 손잡이(16)와, 상기 케이스(13)의 앞면에 조립 및 분해,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10)와, 상기 도어(10)를 케이스(13)에 연결하여 용이하게 열고 닫을수 있 도록 구성된 도어힌지(14)와, 상기 동전감별부(51)에서 감별이 끝난 동전의 위폐 여부에 따라 반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반환구(15)와, 상기 탑커버(2)의 보안을 위하여 구성된 장금장치(8)와, 상기 도어(10)의 보안을 위하여 구성된 도어장금장치(11)와, 상기 통합요금징수기(A)를 차량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정부(12)로 구성되는 징수기(1)로 구성된다. 상기 징수기(1)의 일측에 구성되어 교통카드를 발권 및 충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발권기(40)는, 교통카드를 적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적층부(미도시)와 적층된 교통카드를 감별부에 의하여 파악된 현금 내역에 따라 교통카드를 발권하기 위하여 출구(44)로 이동 시키기 위해 구성된 이송부(미도시)와 상기 교통카드를 외부에서 고객이 용이하게 뺄수 있도록 구성된 출구(44)와 상기 교통카드를 구입하고 남은 잔금을 고객의 선택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충전부(45)와 상기 출구에서 구입자가 일정 시간이 되어도 교통카드를 가져가지 않을 경우와 불량 교통카드를 구별하여 환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환수부(미도시)와 상기 환수부에서 환수된 교통카드를 저장하기 위한 환수통(미도시)과 상기 모듈들을 외력에 의한 손상 방지나 보안을 위한 케이스(41)와 상기 교통카드의 보충 및 수리 등을 목적으로 구성된 도어(42)와, 도어를 쉽게 열고 닫을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힌지(42-1)와, 보안을 위하여 구성된 장금장치(43)로 구성되는 발권기(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요금징수기의 또, 다른 실시예는, 승객이 승차시 지불된 동전의 위폐 여부에 따라 반환되고, 반환된 동전을 승객이 용이하게 수거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반환구(15)를 케이스 앞면에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 구성된 도어의 적당한 곳에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요금징수기의 또, 다른 실시예는, 감별이 끝나 비움판앗세이에서 잠시 머물러 있는 현금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을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요금징수기의 또, 다른 실시예는, 탑커버, 지폐감별부, 덕트, 동전감별부, 컨트롤부, 비움판앗세이 등을 모듈화하여 볼트나 후크 등에 의하여 조립 및 분해,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요금징수기의 또, 다른 실시예는, 승객이 승차시 교통요금을 탑커버(2)에 구성된 카드부 및 지폐투입구(9)나 동전투입구(미도시)에서 징수 및 유입시키고, 유입된 지폐나 동전은 지폐감별기(56)와 동전감별기(51)에서 감별하며, 카드나 현금의 위폐 여부와 현금(지폐, 동전)의 액면을 파악하고 컨트롤부(58)에 전달하여 승차요금의 적절성을 안내방송 또는, 뷰져 등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에서 징수된 교통요금 내역을 카드표시부(4)와 현금표시부(6)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선불카드의 경우 충전된 잔액을 카드표시부(4)에서 확인할 수 있어 충전 시기를 승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했고, 후불카드의 경우는 사용된 교통요금 총액이 카드표시부(4)에 표시되어 승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요금징수기의 또, 다른 실시예는, 징수된 승차요금과 교통카드의 충전 및 발권을 목적으로 입금되는 현금을 지폐감별부(56)나 동전감별부(51)에서 파악하며, 징수 및 발권, 충전 내역을 즉시 또는, 저장공간에 저장하였다가 일정 규모 이상 양이 되면 징수기(1)의 컨트롤부(54)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외부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버스가 외부서버의 통신 영역에 진입하면, 징수기(1)의 컨트롤부(54)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수신된 버전과 자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의 버전을 비교하여 버전이 낮으면 외부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갱신하거나 또는, 외부서버에서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수신된 버전과 자체에 응용 프로그램들의 버전을 비교하여 버전이 낮으면, 외부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갱신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요금징수기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지폐투입구나 동전투입구, 지폐감별기, 동전감별기가 장애 등으로 인한 기능이 상실될 때 승차요금을 징수할 수 있도록 탑커버의 일측에 비상투입구를 구성하고, 평상시에는 닫혀 있다가 장애시에 운전자가 열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내부에는 적당한 곳에 양방향 센서 등을 설치하여 투입되는 현금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비상투입구의 도어는 지폐감별기나 동전감별기 등의 장애를 감지하고 구동장치 등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요금징수기의 실시예의, 케쉬박스는 내구성 및 보안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금속재로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요금징수기의 일 실시예는, 징수기와 발권기는 볼트 등에 의하여 조립 하거나 또는, 일체로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요금징수기의 일 실시예는, 교통카드를 구입하고 남은 잔금을 고객의 선택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를 발권하기 전에 이송부 등의 적당한 곳에 구성된 충전부A(미도시)에서 충전을 하거나 출구에 구성된 충전부(45)에서 충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요금징수기(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요금징수기는, 차량에 승차하는 승객의 편리와 운전자의 신뢰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승객이 승차시 교통카드의 터치와 현금(지폐, 동전)을 투입하여 교통요금을 지불하고, 그 지불된 요금내역을 각각의 표시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선불카드의 경우 요금잔액을 카드표시부에 표시되어 충전 시기를 승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했고, 후불카드의 경우는 사용된 총액을 카드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으며, 케쉬박스는 내구성 및 보안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금속재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징수 및 발권 내역은 내장된 유무선 통신 기능에 의하여 징수 및 발권 내역은 외부서버로 전송하고 발권 및 충전, 징수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갱신 할 수 있도록 구성 함으로써 편리함과 신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작 및 실시예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며,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질 수 있고, 각 도면을 이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도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했다. 그리고, 상기한 기술에 의한 통합요금징수기는 버스나 지하철, 버스정류장 등의 모든 분야에 걸쳐 설치되어 사용이 가능하나, 이하에서는, 편의 상 버스에 설치된 경우 만을 예로 하여 서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은 사용되는 통합요금징수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요금징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대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통합요금징수기(A) 구조는, 승객이 승차시 승차요금을 징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징수기(1)와 교통카드의 발권 및 충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발권기(40)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징수기(1)의 구조를 승객이 승차시 승차요금을 징수하는 종 류 별로 설명하도록 한다. 첫째, 승객이 승차시 승차요금을 지불하는 방법으로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승객이 승차시 교통요금을 지불할 때, 교통카드를 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카드부(3)는 징수기(1)의 탑커버(2) 상면 일측에 구성되어 승객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탑커버(2)의 내부에는 터치된 교통카드의 내용을 파악하여 승차요금을 징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컨트롤부(미도시)에 구성된 유무선 통신기능을 통하여 즉시 또는, 일정 규모 이상의 양이 되면 외부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승객이 승차시 승차요금을 지불하는 방법으로 지폐를 사용하는 경우, 승객이 승차시 승차요금을 지불하는 방법으로 지폐를 탑커버(2) 상부 앞면에 구성된 지폐투입구(10)로 투입된 지폐는 지폐감별기(미도시)에서 감별 후에 정상 지폐일 경우는 비움판앗세이(미도시)에서 잠시 머물러 있다가 주기적 또는, 운전자의 선택에 의하여 작동되는 비움판(미도시)을 통해서 케쉬박스(미도시)로 유입되고, 위폐일 경우는 지폐감별기(미도시)에서 다시 지폐투입구(9)로 토출되도록 구성하고, 승차시 징수되는 징수내역은 컨트롤부(미도시)에 구성된 유무선 통신기능을 통하여 즉시 또는, 일정 규모 이상의 양이 되면 외부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승객이 승차시 승차요금을 지불하는 방법으로 동전을 사용하는 경우, 승객이 승차시 승차요금을 지불하는 방법으로 동전을 탑커버(2) 상부 일측에 구성된 동전투입구(7)로 투입된 동전은 동전감별기(미도시)에서 감별 후에 정상 동전일 경우는 비움판앗세이(미도시)에서 잠시 머물러 있다가 주기적 또는, 운전자의 선택에 의하여 작동되는 비움판(미도시)을 통해서 케쉬박스(미도시)로 유입되고, 위폐일 경우는 통합요금징수기의 앞면에 구성되는 반환구(15)로 배출시켜 승객이 용이하게 수거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승차시 징수되는 징수내역을 컨트롤부(미도시)에 구성된 유무선 통신기능을 통하여 즉시 또는, 일정 규모 이상의 양이 되면 외부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도록 징수기(1)가 구성된다. 상기 징수기(1)의 일측에 구성되어 교통카드를 발권 및 충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발권기(40)는, 일측에 구성되어 교통카드를 적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적층부(미도시)와 적층된 교통카드를 감별부에 의하여 파악된 현금 내역에 따라 교통카드를 발권하기 위하여 출구(44)로 이동 시키기 위해 구성된 이송부(미도시)와 상기 교통카드를 외부에서 고객이 용이하게 뺄수 있도록 구성된 출구(44)와 상기 교통카드를 구입하고 남은 잔금을 고객의 선택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충전부(45)와 상기 출구에서 구입자가 일정 시간이 되어도 교통카드를 가져가지 않을 경우와 불량 교통카드를 구별하여 환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환수부(미도시)와 상기 환수부에서 환수된 교통카드를 저장하기 위한 환수통(미도시)과 상기 모듈들을 외력에 의한 손상 방지나 보안을 위한 케이스(41)와 상기 교통카드의 보충 및 수리 등을 목적으로 구성된 도어(42)와, 도어를 쉽게 열고 닫을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힌지(42-1)와 상기 발권기 보안을 위하여 구성된 장금장치(43)로 구성되는 발권기(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승객이 승차시 교통요금을 탑커버(2)에 구성된 카드부 및 지폐투입구(9)나 동전투입구(미도시)에서 징수 및 유입시키고, 유입된 지폐나 동전은 지폐감별기(미도시)와 동전감별기(미도시)에서 감별하며, 카드나 현금의 위폐 여부와 현금(지폐, 동전)의 액면을 파악하고 컨트롤부(58)에 전달하여 승차요금의 적절성을 안내방송 또는, 뷰져 등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에서 징수된 교통요금 내역을 카드표시부(4)와 현금표시부(6)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선불카드의 경우 충전된 잔액을 카드표시부(4)에서 확인할 수 있어 충전 시기를 승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했고, 후불카드의 경우는 사용된 교통요금 총액이 카드표시부(4)에 표시되어 승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열려 있는 탑커버힌지(미도시)는 탑커버(2)가 중력이나 조그만 외력에 의하여 쉽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르크힌지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지폐투입구(9)나 동전투입구(7), 지폐감별기(미도시), 동전감별기(미도시)가 장애 등으로 인하여 기능이 상실될 때 승차요금을 징수할 수 있도록 탑커버(2)의 일측에 비상투입구(미도시)를 구성하고, 평상시에는 닫혀 있다가 장애시에 운전자가 열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내부에 적당한 곳에 양방향 센서 등을 설치하여 투입되는 현금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상기 비상투입구(5)의 도어는 지폐감별기(미도시)나 동전감별기(미도시) 등의 장애를 감지하고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의 징수기(1)는 탑커버(2)의 내부 모듈들의 조립 및 분해, 점검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탑커버(2)에 구성된 장금장치(8)와 도어(8)에 구성된 도어장금장치(11)가 있으며, 징수기(1)의 조립 및 분해, 정검 등을 위하여 용이하게 열수 있도록 탑커버(2)에 구성된 힌지(미도시)와 도어(10)에 구성된 도어힌지(14)가 있고, 징수기(1)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듈들을 외력에 의한 파손방지와 보안을 위하여 구성되는 케이스(13)가 구성되어 있으며, 케이스(13)에는 통합요금징수기(A)를 용이 하게 필요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16)를 구성할 수 있으며, 승객이 승차시 지불된 동전의 이상 여부에 따라 반환된 동전을 승객이 용이하게 수거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반환구(15)를 케이스 앞면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구성된 도어의 적당한 곳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요금징수기(1)를 외력에 의한 진동과 흔들림으로 인한 지폐감별기와 동전감별기의 장애와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에 고정부(12)를 두고 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하며, 징수기(1)나 발권기(40)를 볼트 등에 의하여 조립되거나, 일체로 구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교통카드를 구입하고 남은 잔금을 고객의 선택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를 발권하기 전에 이송부 등의 적당한 곳에 구성된 충전부A(미도시)에서 충전을 하거나 출구에 구성된 충전부(45)에서 충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징수된 승차요금과 교통카드의 발권 및 충전을 목적으로 입금되는 현금을 지폐감별부(미도시)나 동전감별부(미도시)에서 파악하며, 징수 및 발권, 충전 내역을 즉시 또는, 저장공간에 저장하였다가 일정 규모 이상 양이 되면 징수기(1)의 컨트롤부(미도시)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외부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버스가 외부서버의 통신 영역에 진입하면, 징수기(1)의 컨트롤부(54)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수신된 버전과 자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의 버전을 비교하여 버전이 낮으면 외부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갱신하거나 또는, 외부서버에서 무인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수신된 버전과 자체에 응용 프로그램들의 버전을 비교하여 버전이 낮으면, 외부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갱신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징수기의 대표도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징수기(1)의 내부 구조는, 승객이 승차시 교통요금을 지불하는 종류 별로 내부 구성을 설명 하도록 한다. 첫째, 탑커버(2)의 상부의 일측에서 승객이 승차시 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카드부(미도시)와 그 하부에서 터치된 교통카드의 정보를 파악하여 교통요금을 징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테나(미도시) 등을 구성한다. 둘째, 탑커버(2)의 상부 앞면에 구성된 지폐투입구(9)에서 투입되는 지폐를 감별하기 위하여 구성된 지폐감별기(56)는 위폐 여부에 따라 지폐를 지폐투입구로 토출시키거나, 지폐의 이동 통로인 덕트(55)를 통하여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비움판앗세이(54)에 잠시 머물러 있다가 주기적 또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른 비움판(미도시)의 작동으로 케쉬박스(53)로 유입시킨다. 셋째, 탑커버(2)의 상부 일측면에 구성된 동전투입구(미도시)에서 유입되는 동전를 감별하기 위하여 구성된 동전감별기(51)는 위폐 여부에 따라 동전을 배출구로 배출시키거나, 동전의 이동 통로인 동전덕트(미도시) 등을 통하여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비움판앗세이(54)에 잠시 머물러 있다가 주기적 또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비움판(미도시)의 작동으로 케쉬박스(53)로 동전을 유입시키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교통 요금의 징수 내역들은 내장된 유무선 통신기능에 통하여 즉시 또는, 일정 규모 이상의 양이 되면 외부서버로 전송을 하도록 구성 한다.
상기 덕트(55)는 지폐감별기(56)에서 감별을 마친 지폐가 잘 이동 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지폐감별기(56)를 고정하고 케이스(13)에 견고하게 설치시켜 감별시 진동 등에 의한 에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비움판앗세이(54)에서 잠시 머물러 있는 지폐와 동전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기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움판앗세이(54)는 비움판(미도시)과 후크앗세이(미도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움판은 주기적 또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구동장치에 의하여 개폐되어 케쉬박스(53)로 지폐나 동전이 유입되도록 하고, 후크앗세이(미도시)는 스프링에 의하여 작동되는 후크가 케쉬박스(53)를 징수기(1)에서 뺄 때, 케쉬박스(53)의 도어(미도시)가 닫혀서 빠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내구성 및 보안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케쉬박스는 금속재로 구성할 수 있다.
탑커버(2), 지폐감별부(56), 덕트(55), 동전감별부(51), 컨트롤부(58), 비움판앗세이(54) 등을 모듈화하여 볼트나 후크 등에 의하여 조립 및 분해,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컨트롤부(58)는 카드부(미도시)와 지폐감별부(56), 동전감별부(51), 표시부(미도시) 등의 동작 및 제어, 필요한 전원공급, 징수내역의 저장, 외부와 통신 등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모듈화된 탑커버, 지폐감별부, 덕트, 동전감별부, 비움판앗세이 등의 내부 배선류는 징수기(1)의 내부에서 컨트롤부(58)와 연결되고, 컨트롤부(58)의 외부 배선류는 케이스(13)의 측면, 뒷면, 아래면 등에 출구를 만들어 외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충전 및 발권, 징수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들의 갱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징수기(1)의 외부에 설치되는 카메라는 승객이 승차시 지불되는 승차요금의 지불 상황과 버스 실내의 승객 상황, 주행 중인 버스와 주변의 상황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기록장치(52)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요금징수기의 대표도 측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요금징수기(A)의 측면 구조의 특징은, 감별이 끝나 비움판앗세이(54)에서 잠시 머물러 있는 지폐와 동전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17)이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 구성되어 원활하게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1은 통합요금징수기 외부 구성에 대한 승차요금 징수 방법 및 발권에 대한 설명이며, 도 2는 통합요금징수기 내부 구성에 대한 승차요금 징수 방법에 대한 설명이고, 도 3은 통합요금징수기 측면에 구성된 확인창에 대한 설명으로 참고하기 바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요금징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대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징수기의 대표도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요금징수기의 대표도 측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Claims (10)

  1. 본 발명에 의한 통합요금징수기(A) 구조는, 승객이 승차시 승차요금을 징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징수기와 교통카드의 발권 및 충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발권기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징수기는 승객이 승차시 요금을 교통카드로 지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카드부(3)와, 승객이 승차시 요금을 지폐로 지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폐투입구(9)와, 상기 지폐투입구(9)로 투입된 지폐를 감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폐감별부(56)와, 승객이 승차시 요금을 동전으로 지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동전투입구(7)와, 상기 동전투입구(7)로 투입된 동전을 감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동전감별부(51)와, 감별이 끝난 지폐와 동전을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잠시 머물러 있고, 케쉬박스(53)를 징수기(1)에서 빼낼 경우 케쉬박스(53)의 도어(미도시)가 닫혀서 빠질 수 있도록 구성된 비움판앗세이(54)와, 상기 비움판앗세이(54)에 잠시 머물러 있는 지폐와 동전을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확인창(17)과, 승객이 승차시 지불된 지폐와 동전을 보관하기 위한 케쉬박스(53)와, 상기 지폐감별부(56)나 동전감별부(51)에 장애가 발생되어 지폐와 동전을 징수할 수 없을 경우 승차 요금을 징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비상투입구(5)와, 상기 교통카드의 징수내역 및 잔액, 사용된 총액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카드표시부(4)와, 상기 지불된 승차 요금의 현금 징수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현금표시부(6)와, 상기 카드부(3), 지폐투입구(9), 동전투입구(7), 카드표시부(4), 현금표시부(6) 등을 모듈로 구성하는 탑커버(2)와, 상기 탑커버(2)를 케이스(13)에 연결해 용이하게 열고 닫을수 있도록 구성된 힌지(20)와, 카드부(3)와 지폐감별부(55), 동전감별부(51), 카드표시부(4), 현금표시부(6) 등의 동작 및 제어, 필요한 전원, 승차내역의 보관, 외부와 통신 등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컨트롤부(58)와, 운행 중에 외부 카메라의 영상을 기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록장치(52)와, 상기 모듈들의 설치 및 외력에 의한 손상 방지와 보안을 위해 구성된 케이스(13)와, 상기 케이스(13)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구성된 손잡이(16)와, 상기 케이스(13)의 앞면에 조립 및 분해,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10)와, 상기 도어(10)를 케이스(13)에 연결하여 용이하게 열고 닫을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힌지(14)와, 상기 동전감별부(51)에서 감별이 끝난 동전의 위폐 여부에 따라 반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반환구(15)와, 상기 탑커버(2)의 보안을 위하여 구성된 장금장치(8)와, 상기 도어(10)의 보안을 위하여 구성된 도어장금장치(11)와, 상기 통합요금징수기(A)를 차량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정부(12)로 구성되는 징수기(1)로 구성된다. 상기 징수기(1)의 일측에 구성되어 교통카드를 발권 및 충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발권기(40)는, 교통카드를 적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적층부(미도시)와 적층된 교통카드를 감별부에 의하여 파악된 현금 내역에 따라 교통카드를 발권하기 위하여 출구(44)로 이동 시키기 위해 구성된 이송부(미도시)와 상기 교통카드를 외부에서 고객이 용이하게 뺄수 있도록 구성된 출구(44)와 상기 교통카드를 구입하고 남은 잔금을 고객의 선택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충전부(45)와 상기 출구에서 구입자가 일정 시간이 되어도 교통카드를 가져가지 않을 경우와 불량 교통카드를 구별하여 환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환수부(미도시)와 상기 환수부 에서 환수된 교통카드를 저장하기 위한 환수통(미도시)과 상기 모듈들을 외력에 의한 손상 방지나 보안을 위한 케이스(41)와 상기 교통카드의 보충 및 수리 등을 목적으로 구성된 도어(42)와, 도어를 쉽게 열고 닫을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힌지(42-1)와, 보안을 위하여 구성된 장금장치(43)로 구성되는 발권기(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제 1항에 있어서,
    승객이 승차시 지불된 동전의 이상 여부에 따라 반환된 동전을 승객이 용이하게 수거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반환구(15)를 케이스 앞면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구성된 도어의 적당한 곳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요금징수기(A).
  3. 제 1항에 있어서,
    감별이 끝나 비움판앗세이(54)에서 잠시 머물러 있는 지폐와 동전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17)이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요금징수기(A).
  4. 제 1항에 있어서,
    탑커버(2), 지폐감별부(56), 덕트(55), 동전감별부(51), 컨트롤부(58), 비움판앗세이(54) 등을 모듈화하여 볼트나 후크 등에 의하여 조립 및 분해,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요금징수기(A).
  5. 제 1항에 있어서,
    승객이 승차시 교통요금을 탑커버(2)에 구성된 카드부 및 지폐투입구(9)나 동전투입구(미도시)에서 징수 및 유입시키고, 유입된 지폐나 동전은 지폐감별기(56)와 동전감별기(51)에서 감별하며, 카드나 현금의 위폐 여부와 현금(지폐, 동전)의 액면을 파악하고 컨트롤부(58)에 전달하여 승차요금의 적절성을 안내방송 또는, 뷰져 등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에서 징수된 교통요금 내역을 카드표시부(4)와 현금표시부(6)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선불카드의 경우 충전된 잔액을 카드표시부(4)에서 확인할 수 있어 충전 시기를 승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했고, 후불카드의 경우는 사용된 교통요금 총액이 카드표시부(4)에 표시되어 승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요금징수기(A).
  6. 제 1항에 있어서,
    징수된 승차요금과 교통카드의 충전 및 발권을 목적으로 입금되는 현금을 지폐감별부(56)와 동전감별부(51)에서 파악하며, 징수 및 발권, 충전 내역을 즉시 또는, 저장공간에 저장하였다가 일정 규모 이상 양이 되면 징수기(1)의 컨트롤부(54)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외부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버스가 외부서버의 통신 영역에 진입하면, 징수기(1)의 컨트롤부(54)에 내장된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수신된 버전과 자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의 버전을 비교하여 버전이 낮으면 외부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갱신하거나 또는, 외부서버에서 무선통 신 기능을 이용하여 수신된 버전과 자체에 응용 프로그램들의 버전을 비교하여 버전이 낮으면, 외부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갱신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요금징수기(A).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투입구(9)나 동전투입구(7), 지폐감별기(56), 동전감별기(51)가 장애 등으로 인한 기능이 상실될 때 승차요금을 징수할 수 있도록 탑커버(2)의 일측에 비상투입구(5)를 구성하고, 평상시에는 닫혀 있다가 장애시에 운전자가 열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내부 적당한 곳에 양방향 센서 등을 설치하여 투입되는 현금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비상투입구의 도어는 지폐감별기(56)나 동전감별기(51) 등의 장애를 감지하고 구동장치(미도시) 등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요금징수기(A).
  8.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케쉬박스(53)는 내구성 및 보안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재질을 금속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요금징수기(A).
  9. 제 1항에 있어서,
    징수기(1)나 발권기(40)를 볼트 등에 의하여 조립되거나, 일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요금징수기(A).
  10. 제 1항에 있어서,
    교통카드를 구입하고 남은 잔금을 고객의 선택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를 발권하기 전에 이송부 등의 적당한 곳에 구성된 충전부A(미도시)에서 충전을 하거나 출구에 구성된 충전부(45)에서 충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요금징수기(A).
KR1020100047770A 2010-05-22 2010-05-22 통합요금징수기 KR201101283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770A KR20110128376A (ko) 2010-05-22 2010-05-22 통합요금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770A KR20110128376A (ko) 2010-05-22 2010-05-22 통합요금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376A true KR20110128376A (ko) 2011-11-30

Family

ID=45396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770A KR20110128376A (ko) 2010-05-22 2010-05-22 통합요금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83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4498B2 (en) Control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parking meter
JP720903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473353A (zh) 不需要车种判别装置的自动收费系统
CN204303094U (zh) 停车场自助智能缴费机
CN104794820A (zh) 一种停车场自动收费机及系统
KR101177201B1 (ko)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
CN201876941U (zh) 一种电子货币与实体货币整合的付款设备及系统
KR100364030B1 (ko) 재충전가능한 매체를 사용하는 비접촉 지불 방법 및 장치
CN205680131U (zh) 立体车库自助缴费系统
KR101484960B1 (ko) 통행요금 자동정산기 및 이를 이용한 유료도로 통행요금 무인수납시스템
KR20110128376A (ko) 통합요금징수기
KR20110126196A (ko) 통합요금징수기
JP2003150991A (ja) 路上駐車料金徴収方法及び装置
JP3944417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US7191933B2 (en) Automatic fare paying device for vehicles and method
KR20110126197A (ko) 통합요금징수기
KR20110114830A (ko) 무인충전기
KR20150145273A (ko) 현금 결제가 가능한 발권기능 게이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철 게이트 시스템
JP2004005151A (ja) 料金自動収受装置
KR20110114833A (ko) 무인충전기
JPH08287308A (ja) 有料道路料金収受装置
KR20110114832A (ko) 무인충전기
JP3684006B2 (ja) 貨幣受収機器の受収貨幣回収システム
CN202584232U (zh) 高速公路收费站票卡收贮控管装置
JPS6180385A (ja) 駐車場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