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621A -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 소자 - Google Patents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621A
KR20110113621A KR1020117017409A KR20117017409A KR20110113621A KR 20110113621 A KR20110113621 A KR 20110113621A KR 1020117017409 A KR1020117017409 A KR 1020117017409A KR 20117017409 A KR20117017409 A KR 20117017409A KR 20110113621 A KR20110113621 A KR 20110113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aligning
formula
solvent
align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7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0188B1 (ko
Inventor
가즈키 에구치
겐이치 모토야마
Original Assignee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3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iquid Crystal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잉크젯 도포법을 사용하여 막형성하는 규소계의 액정 배향제, 막의 면내 균일성, 및 막 단부의 에지 직진성이 우수한 액정 배향막을 제공한다.
불소 원자가 치환된 또는 비치환인, 탄소수가 8 ∼ 30 인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측사슬을 갖는 폴리실록산 (A), 탄소수 2 ∼ 7 의 글리콜 용매 (B) 및 하기 용매 (C)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용매 (C): 식 (T1), 식 (T2) 및 식 (T3)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 탄소수 3 ∼ 6 의 케톤, 및 탄소수 5 ∼ 12 의 알킬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용매.
(화학식 1)
Figure pct00004

〔식 중, X1, X3 및 X5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이고, X2 및 X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이고, X4 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이고, P 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이고, m, n, j, k 는 각각 독립적으로 1 ∼ 3 의 정수이다. h 는 2 또는 3 의 정수이다.〕

Description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 소자{LIQUID CRYSTAL ALIGNING AGENT FOR INKJET COATING,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본 발명은 알콕시실란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실록산을 주로 함유하고, 잉크젯 도포에 의해 균일한 막을 막형성할 수 있는 액정 배향제, 상기 액정 배향제로부터 얻어지는 액정 배향막, 및 그 액정 배향막을 갖는 액정 표시 소자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소자는 투명 전극 상에 액정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는 2 매의 기판을 대향 배치하고, 그 간극 내에 액정 물질을 충전시킨 구조인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비지니스 용도 및 홈시어터용 액정 프로젝터 (제 3 의 박형 텔레비젼이라 불리는 리어 프로젝션 TV) 용 광원으로서, 조사 강도가 강한 메탈 할라이드 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액정 배향막의 특성으로서 고내열성뿐만이 아니라 고내광성도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액정 배향막 재료는 폴리아믹산이나 폴리이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인데, 무기계의 액정 배향막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증착에 의해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 도포형 무기계의 액정 배향막으로서, 테트라알콕시실란과 트리알콕시실란과 알코올과 옥살산의 반응 생성물을 함유하는 배향제 조성물이 제안되고, 액정 표시 소자의 전극 기판 상에서 수직 배향성, 내열성 및 균일성이 우수한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테트라알콕시실란, 트리알콕시실란 및 물의 반응 생성물과, 글리콜에테르계 용매를 함유하는 액정 배향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표시 불량을 방지하고, 장시간 구동 후에도 잔상 특성이 양호한, 액정을 배향시키는 능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또한 광 및 열에 대한 전압 유지율의 저하가 적은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일반적으로, 액정 배향막의 막형성법으로는, 스핀 코트, 딥 코트, 플렉소 인쇄 등을 들 수 있고, 실제로는 플렉소 인쇄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플렉소 인쇄에서는,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기 위한 기판의 크기에 따라 인쇄판을 교환해야 한다는 것, 막형성 공정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가성막(假成膜)을 해야 한다는 것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그 때문에, 인쇄판을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도포 방법으로서 잉크젯 도포법이 주목받고 있다. 잉크젯 도포법은 기판에 미세한 액적을 적하하고, 액이 젖어 퍼지는 것에 의해 막형성하는 방법으로, 인쇄판을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유롭게 인쇄 패턴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가성막이 불필요해짐으로써 도포액의 낭비가 적다는 이점이 있다. 그 때문에, 액정 패널의 비용 절감, 생산 효율의 향상이 기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 있어서, 내열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무기계의 액정 배향막 에 대한 요망과 함께 잉크젯 도포에 의해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는 프로세스의 도입이 요망되고 있고, 이와 같은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무기계 액정 배향제가 요구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5039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9-28150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5024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젯 도포법을 사용하여 막형성할 수 있는 규소계의 액정 배향제를 제공하는 것, 및 잉크젯 도포에 의해 막의 면내 균일성 및 막 단부의 에지 직진성이 우수한 액정 배향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요지를 갖는다.
(1) 불소 원자가 치환된 또는 비치환인, 탄소수가 8 ∼ 30 인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측사슬을 갖는 폴리실록산 (A), 탄소수 2 ∼ 7 의 글리콜 용매 (B) 및 하기 용매 (C)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용매 (C): 식 (T1), 식 (T2) 및 식 (T3)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 탄소수 3 ∼ 6 의 케톤, 및 탄소수 5 ∼ 12 의 알킬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용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X1, X3 및 X5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이고, X2 및 X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이고, X4 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이고, P 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이고, m, n, j, k 는 각각 독립적으로 1 ∼ 3 의 정수이다. h 는 2 또는 3 의 정수이다.〕
(2) 용매 (C) 가 식 (T1), 식 (T2) 혹은 식 (T3) 의 화합물, 탄소수 3 ∼ 6 의 케톤, 및 탄소수 5 ∼ 12 의 알킬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용매인 상기 (1) 에 기재된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3) 폴리실록산 (A) 가 식 (1) 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을 함유하는 알콕시실란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실록산인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R1Si(OR2)3 (1)
(R1 은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수 8 ∼ 30 의 탄화수소기이고, R2 는 탄소수 1 ∼ 5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4) 폴리실록산 (A) 가 식 (1) 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과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을 함유하는 알콕시실란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실록산인 상기 (3) 에 기재된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R3)nSi(OR4)4-n (2)
(R3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7 의 탄화수소기이고, R4 는 탄소수 1 ∼ 5 의 탄화수소기이고, n 은 0 ∼ 3 의 정수를 나타낸다)
(5) 폴리실록산 (A) 가 식 (1) 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과 하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을 함유하는 알콕시실란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실록산인 상기 (3) 또는 (4) 에 기재된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Si(OR4)4 (3)
(R4 는 탄소수 1 ∼ 5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6) 글리콜 용매 (B) 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2-메틸-2,4-펜탄디올,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2,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2-펜탄디올, 1,3-펜탄디올, 1,4-펜탄디올, 1,5-펜탄디올, 2,3-펜탄디올, 2,4-펜탄디올, 1,2-헥산디올, 1,3-헥산디올, 1,4-헥산디올, 1,5-헥산디올, 1,6-헥산디올, 2,3-헥산디올, 2,4-헥산디올, 2,5-헥산디올, 3,4-헥산디올, 1,2-헵탄디올, 2,3-헵탄디올, 3,4-헵탄디올, 1,3-헵탄디올, 2,4-헵탄디올, 3,5-헵탄디올, 1,4-헵탄디올, 2,5-헵탄디올, 1,5-헵탄디올들, 2,6-헵탄디올, 1,6-헵탄디올 및 1,7-헵탄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용매인 상기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7) 상기 식 (T1) 에 있어서의 X2 가 수소 원자인 상기 (1) ∼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8) 폴리실록산 (A) 가 갖는 규소 원자를 SiO2 로 환산한 값의 합계량의 100 질량부에 대해, 글리콜 용매 (B) 가 20 ∼ 18,000 질량부, 용매 (C) 가 20 ∼ 18,000 질량부인 상기 (1) ∼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9) 폴리실록산 (A) 가 갖는 규소 원자를 SiO2 로 환산한 값의 합계량의 100 질량부에 대해, 글리콜 용매 (B) 가 120 ∼ 17,000 질량부, 용매 (C) 가 120 ∼ 17,000 질량부인 상기 (1) ∼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10) 상기 액정 배향제의 점도가 1.8 ∼ 18 mPa·s 인 상기 (1) ∼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11) 상기 액정 배향제의 표면 장력이 20 ∼ 40 mN/m 인 상기 (1) ∼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12) 상기 (1) ∼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를, 잉크젯 장치를 사용하여 기판에 도포하고, 소성하여 얻어지는 액정 배향막.
(13) 상기 (1) ∼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를, 잉크젯 장치를 사용하여 기판에 도포하고, 소성하여 얻어지는 액정 배향막의 형성 방법.
(14) 상기 (12) 에 기재된 액정 배향막을 갖는 액정 표시 소자.
본 발명의 액정 배향제는 잉크젯 도포에 의해 막의 면내 균일성 및 막 단부의 에지 직진성이 우수한 액정 배향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폴리실록산 A>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실록산 (A) 는, 불소 원자가 치환된 또는 비치환인, 탄소수가 8 ∼ 30, 바람직하게는 8 ∼ 22 의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측사슬 (이하, 특정 유기기라고도 한다) 를 갖는다.
상기 특정 유기기는 액정을 1 방향에 배향시키는 효과를 갖는데, 이 효과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것들의 예로는, 알킬기, 플루오로알킬기, 알케닐기, 페네틸기, 플루오로페닐알킬기, 스티릴알킬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알킬기는 입수가 용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실록산 (A) 는 특정 유기기를 복수 종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실록산 (A) 는 기판과의 밀착성이나 액정 분자와의 친화성 개선 등을 목적으로 하고,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한에 있어서, 특정 유기기와는 상이한 측사슬 (이하, 제 2 의 유기기라고도 한다) 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 2 의 유기기는, 탄소수가 바람직하게는 1 ∼ 7,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5 의 유기기이다. 제 2 의 유기기는 지방족 탄화수소 ; 지방족 고리, 방향족 고리, 헤테로 고리와 같은 고리 구조 ; 불포화 결합 ; 산소 원자, 질소 원자나 황 원자 등의 헤테로 원자 ; 분기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 2 의 유기기는 비닐기 또는 탄소수 1 ∼ 7 의 탄화수소기이고, 그 탄화수소기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글리시독시기, 메르캅토기, 메타크릴옥시기, 아크릴옥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아미노기 혹은 우레이도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또, 헤테로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실록산 (A) 는 제 2 의 유기기를 1 종 또는 복수 종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실록산 (A)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알콕시실란을 중축합하여 얻어진다.
즉,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알콕시실란을 중축합함으로써 폴리실록산 (A) 를 얻을 수 있다.
R1Si(OR2)3 (1)
식 (1) 중, R1 은 특정 유기기이고, R2 는 탄소수 1 ∼ 5 의 탄화수소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 ∼ 3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1 의 예는 상기 특정 유기기로서 기재한 것과 동일하고, 그 중에서도, R1 이 알킬기인 알콕시실란은 비교적 저렴하고 시판품으로서 입수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R2 는 탄화수소기로는 탄소수 1 ∼ 4 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의 구체예를 드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옥틸트리메톡시실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데실트리메톡시실란, 데실트리에톡시실란, 도데실트리메톡시실란, 도데실트리에톡시실란, 헥사데실트리메톡시실란, 헥사데실트리에톡시실란, 헵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 헵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옥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 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노나데실트리메톡시실란, 노나데실트리에톡시실란, 운데실트리에톡시실란, 운데실트리메톡시실란, 21-도코세닐트리에톡시실란, 트리데카플루오로옥틸트리메톡시실란, 트리데카플루오로옥틸트리에톡시실란,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트리메톡시실란,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트리에톡시실란, 이소옥틸트리에톡시실란, 페네틸트리에톡시실란, 펜타플루오로페닐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m-비닐페닐에틸트리메톡시실란, p-비닐페닐에틸트리메톡시실란, (1-나프틸)트리에톡시실란, (1-나프틸)트리메톡시실란, 알릴옥시운데실트리에톡시실란, 벤조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4-메톡시페녹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2-트리에톡시실릴)에틸]시클로헥산-3,4-에폭사이드, 2-(디페닐포스피노)에틸트리에톡시실란, 디에톡시메틸옥타데실실란, 디메톡시메틸옥타데실실란, 디에톡시도데실메틸실란, 디메톡시도데실메틸실란, 디에톡시데실메틸실란, 디메톡시데실메틸실란, 디에톡시옥틸메틸실란, 디메톡시옥틸메틸실란, 에톡시디메틸옥타데실실란, 메톡시디메틸옥타데실실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옥틸트리메톡시실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데실트리메톡시실란, 데실트리에톡시실란, 도데실트리메톡시실란, 도데실트리에톡시실란, 헥사데실트리메톡시실란, 헥사데실트리에톡시실란, 헵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 헵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옥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 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노나데실트리메톡시실란, 노나데실트리에톡시실란, 운데실트리에톡시실란, 또는 운데실트리메톡시실란, 디에톡시메틸옥타데실실란, 디에톡시도데실메틸실란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식 (1) 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을 복수 종 병용할 수도 있다.
식 (1) 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의 사용 비율은, 폴리실록산 (A) 를 얻기 위해서 사용하는 전체 알콕시실란 중에 있어서, 0.1 몰% 미만의 경우에는, 양호한 액정 배향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0.1 몰% 이상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몰% 이상이다. 또, 30 몰%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형성되는 액정 배향막이 충분히 경화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30 몰%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2 몰% 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몰%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실록산 (A) 는 식 (1) 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과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을 함유하는 알콕시실란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R3)nSi(OR4)4-n (2)
식 (2) 중, R3 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비닐기 또는 탄소수 1 ∼ 7 의 탄화수소기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7 의 탄화수소기이다. 상기 탄화수소기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글리시독시기, 메르캅토기, 메타크릴옥시기, 아크릴옥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아미노기 혹은 우레이도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또, 헤테로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R4 는 탄소수 1 ∼ 5, 바람직하게는 1 ∼ 4,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3 의 탄화수소기이고, n 은 0 ∼ 3, 바람직하게는 0 ∼ 2 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 식 (2) 의 R3 이 비닐기 또는 탄화수소기인 경우, 상기 서술한 제 2 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경우, R3 의 예는 상기 제 2 의 유기기로서 기재한 것과 동일하다.
식 (2) 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으로는,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프로폭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부틸트리메톡시실란, 부틸트리에톡시실란, 펜틸트리메톡시실란, 펜틸트리에톡시실란, 헥실트리메톡시실란, 헥실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트리메톡시실란, 2-(2-아미노에틸티오에틸)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메르캅토메틸트리메톡시실란, 3-우레이도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알릴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클로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브로모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식 (2) 의 알콕시실란에 있어서, R3 이 수소 원자인 경우의 알콕시실란의 구체예로는, 트리메톡시실란, 트리에톡시실란, 트리프로폭시실란, 트리부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식 (2) 의 알콕시실란에 있어서, n 이 0 인 알콕시실란은 식 (3) 의 테트라알콕시실란을 나타낸다.
Si(OR4)4 (3)
식 (3) 중, R4 는 n 은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다.
식 (3) 으로 나타내는 테트라알콕시실란은 식 (1) 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과 축합되기 쉽기 때문에, 폴리실록산 (A) 를 얻기 위해서는 바람직하다.
식 (3) 의 테트라알콕시실란의 구체예로는,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프로폭시실란, 테트라부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식 (2) 또는 식 (3) 으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을 사용하는 경우, 1 종이든, 복수 종이든 적절히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식 (2) 또는 식 (3) 으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을 병용하는 경우, 폴리실록산 (A) 를 얻기 위해서 사용하는 전체 알콕시실란 중에서, 식 (2) 또는 식 (3) 으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의 합계 사용량이 70 ∼ 99.7 몰%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8 ∼ 99.7 몰% 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 (2) 또는 식 (3) 으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이 85 ∼ 99.7 몰% 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실록산 (A) 는 상기한 식 (1) 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을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알콕시실란을, 유기 용매 중에서 축합시켜 얻어진다. 그 때, 식 (1), 식 (2) 및 식 (3) 으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을 함유하는 알콕시실란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폴리실록산 (A) 는 이와 같은 알콕시실란을 중축합하여, 유기 용매에 균일하게 용해시킨 용액으로서 얻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실록산 (A) 를 축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알콕시실란을 알코올이나 글리콜 용매 중에서 가수 분해·축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때, 가수 분해·축합 반응은 부분 가수 분해 및 완전 가수 분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완전 가수 분해의 경우에는, 이론상, 알콕시실란 중의 전체 알콕시기의 0.5 배 몰의 물을 첨가하면 되는데, 통상은 0.5 배 몰보다 과잉량의 물을 첨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반응에 사용하는 물의 양은 원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알콕시실란 중의 전체 알콕시기의 0.5 ∼ 2.5 배 몰이 바람직하다.
또, 통상적으로 가수 분해·축합 반응을 촉진시킬 목적으로, 염산, 황산, 질산, 아세트산, 포름산, 옥살산, 말레산, 푸마르산 등의 산, 암모니아, 메틸아민, 에틸아민, 에탄올아민, 트리에틸아민 등의 알칼리 및 염산, 황산, 질산 등의 금속염 등의 촉매가 사용된다. 또한 알콕시실란이 용해시킨 용액을 가열함으로써, 더욱, 가수 분해·축합 반응을 촉진시키는 것도 일반적이다. 그 때,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은 원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50 ℃ 에서 24 시간 가열·교반하거나 환류하에서 1 시간 가열·교반하는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알콕시실란, 용매 및 옥살산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중축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알코올에 옥살산을 첨가하여 옥살산의 알코올 용액으로 한 후, 당해 용액을 가열한 상태에서, 알콕시실란을 혼합하는 방법이다. 그 때, 사용하는 옥살산의 양은 알콕시실란이 갖는 전체 알콕시기의 1 몰에 대해 0.2 ∼ 2 몰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있어서의 가열은, 액온이 50 ∼ 180 ℃ 에서 실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액의 증발, 휘산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를 들어, 환류관을 구비한 용기 중의 환류하에서 수십 분 내지 수십 시간 행해진다.
폴리실록산 (A) 를 얻을 때에, 알콕시실란을 복수 종 사용하는 경우에는, 알콕시실란을 미리 혼합물로서 혼합해도 되고, 복수 종의 알콕시실란을 순차 혼합해도 된다.
알콕시실란을 중축합할 때에 사용되는 용매 (이하, 중합 용매라고도 한다) 는 알콕시실란을 용해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알콕시실란이 용해되지 않는 경우에도, 알콕시실란의 중축합 반응의 진행과 함께 용해되는 것이면 된다. 일반적으로는, 알콕시실란의 중축합 반응에 의해 알코올이 생성되기 때문에, 알코올류, 글리콜류, 글리콜에테르류나 알코올류와 상용성이 양호한 유기 용매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중합 용매의 구체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2-메틸-2,4-펜탄디올,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γ-부티로락톤, 디메틸술폭사이드, 테트라메틸우레아, 헥사메틸포스포트리아미드, m-크레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중합 용매를 복수 종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방법 후에 얻어지는 용액은 원료로서 주입한 전체 알콕시실란의 규소 원자를 SiO2 로 환산한 농도 (이하, SiO2 환산 농도라고 한다) 를 20 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이다. 이 농도 범위에 있어서 임의의 농도를 선택함으로써, 겔의 생성을 억제하여 균질한 용액을 얻을 수 있다.
<폴리실록산 (A) 의 용액>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용액을 그대로 폴리실록산 (A) 의 용액으로 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용액을, 농축하거나, 용매를 첨가하여 희석하거나, 또는 다른 용매로 치환하여, 폴리실록산 (A) 의 용액이라고 해도 된다.
그 때, 사용하는 용매 (이하, 첨가 용매라고도 한다) 는 중축합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용매이어도 되고, 다른 용매이어도 된다. 이 용매는 폴리실록산 (A) 이 균일하게 용해되어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 종이든 복수 종이든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첨가 용매의 구체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디아세톤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2-메틸-2,4-펜탄디올 등의 글리콜류 ;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 ; 아세트산메틸에스테르, 아세트산에틸에스테르, 락트산에틸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γ-부티로락톤, 디메틸술폭사이드, 테트라메틸우레아, 헥사메틸포스포트리아미드, m-크레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폴리실록산 (A) 의 용액을, 1 종 사용해도 되고, 복수 종을 사용해도 된다.
<글리콜 용매 (B)>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글리콜 용매 (B) 는 탄소수 2 ∼ 7, 바람직하게는 2 ∼ 5 의 글리콜 화합물이고, 그 구체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2-메틸-2,4-펜탄디올,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2,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2-펜탄디올, 1,3-펜탄디올, 1,4-펜탄디올, 1,5-펜탄디올, 2,3-펜탄디올, 2,4-펜탄디올, 1,2-헥산디올, 1,3-헥산디올, 1,4-헥산디올, 1,5-헥산디올, 1,6-헥산디올, 2,3-헥산디올, 2,4-헥산디올, 2,5-헥산디올, 3,4-헥산디올, 1,2-헵탄디올, 2,3-헵탄디올, 3,4-헵탄디올, 1,3-헵탄디올, 2,4-헵탄디올, 3,5-헵탄디올, 1,4-헵탄디올, 2,5-헵탄디올, 1,5-헵탄디올들, 2,6-헵탄디올, 1,6-헵탄디올, 1,7-헵탄디올 등이다.
글리콜 용매 (B) 는 복수 종을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2-메틸-2,4-펜탄디올,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2,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2-펜탄디올, 1,3-펜탄디올, 1,4-펜탄디올, 1,5-펜탄디올, 2,3-펜탄디올, 2,4-펜탄디올, 1,2-헥산디올, 1,3-헥산디올, 1,4-헥산디올, 1,5-헥산디올, 1,6-헥산디올, 2,3-헥산디올, 2,4-헥산디올, 2,5-헥산디올, 3,4-헥산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글리콜 화합물 (B) 는 통상적으로 액상이기 때문에, 용매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폴리실록산 (A) 를 중축합할 때의 중합 용매나 첨가 용매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사용해도 되고, 다른 용매로 합성한 폴리실록산 (A) 에 나중에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글리콜 화합물 (B) 의 함유량은, 액정 배향제 중에서, 폴리실록산 (A) 가 갖는 규소 원자를 SiO2 로 환산한 값의 합계량의 100 질량부에 대해, 글리콜 용매 (B) 가 20 ∼ 18,00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20 ∼ 17,00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 16,000 질량부이다. 20 질량부 보다 적은 경우에는 양호한 도포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글리콜 화합물 (B) 는 특히 도포했을 때의 액의 퍼짐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특히 에지 직진성이 우수한 액정 배향막을 얻을 수 있다.
<용매 (C)>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매 (C) 는 하기 식 (T1), 식 (T2) 및 식 (T3)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 탄소수 3 ∼ 6 의 케톤, 및 탄소수 5 ∼ 12 의 알킬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용매이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중, X1, X3 및 X5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이고, X2 및 X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이고, X4 는 탄소수 1 ∼ 4 인 알킬기이고, P 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이고, m, n, j, k 는 각각 독립적으로 1 ∼ 3 의 정수이다. h 는 2 또는 3 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매 (C) 는 상기 식 (T1), 식 (T2) 혹은 식 (T3) 의 화합물, 탄소수 3 ∼ 6 의 케톤, 및 탄소수 5 ∼ 12 의 알킬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매 (C) 는, 예를 들어, 상기 식 (T1)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탄소수 3 ∼ 6 의 케톤의 단독 용매이어도 되고, 식 (T1)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식 (T2)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의 혼합 용매이어도 되고, 식 (T1)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식 (T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과의 혼합 용매이어도 되고, 나아가서는, 식 (T1)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탄소수 5 ∼ 12 의 알킬알코올의 혼합 용매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식 (T1) 및 식 (T3) 에 있어서의 X2 및 X6 이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T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 1-메톡시-2-프로판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에톡시-2-프로판올(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1-프로폭시-2-프로판올(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1-부톡시-2-프로판올(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1,2-디메톡시프로판(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1,2-디에톡시프로판(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1,2-디프로폭시프로판(프로필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1,2-디부톡시프로판(프로필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1-메톡시-2-프로판올, 1-에톡시-2-프로판올, 1-프로폭시-2-프로판올, 또는 1-부톡시-2-프로판올이 바람직하다.
식 (T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또는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식 (T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디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또는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용매 (C) 의 탄소수 3 ∼ 6 의 케톤류의 구체예로서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용매 (C) 의 탄소수 5 ∼ 12 의 알킬알코올류의 구체예로서 헥산올, 헵탄올, 옥탄올, 노난올, 데칸올, 운데칸올, 도데칸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헥산올, 헵탄올, 옥탄올, 노난올, 또는 데칸올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매 (C) 는 폴리실록산 (A) 를 중축합할 때의 중합 용매나 첨가 용매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사용해도 되고, 다른 용매로 합성한 폴리실록산 (A) 에 나중에 첨가해도 된다.
용매 (C) 의 함유량은, 폴리실록산 (A) 가 갖는 규소 원자를 SiO2 로 환산한 값의 합계량의 100 질량부에 대해, 용매 (C) 가 20 ∼ 18,00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20 ∼ 17,00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 16,000 질량부이다. 20 질량부보다 적은 경우에는 양호한 도포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들 용매 (C) 는 도포했을 때의 액을 퍼지게 하는 효과가 있어, 특히 면내 균일성의 우수한 액정 배향막을 얻을 수 있다.
<그 밖의 용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한 글리콜 화합물 (B) 및 용매 (C) 이외의 용매를 사용하여도 된다. 그 밖의 용매의 구체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디아세톤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 아세톤, 에틸카르비톨, 부틸카르비톨, 아세트산메틸에스테르, 아세트산에틸에스테르, 락트산에틸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γ-부티로락톤, 디메틸술폭사이드, 테트라메틸우레아, 헥사메틸포스포트리아미드, m-크레졸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한에 있어서, 폴리실록산 (A), 글리콜 화합물 (B) 및 용매 (C) 이외의 그 밖의 성분, 예를 들어, 무기 미립자, 메탈록산 올리고머, 메탈록산 폴리머, 레벨링제, 계면활성제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무기 미립자로는, 실리카 미립자, 알루미나 미립자, 티타니아 미립자, 불화 마그네슘 미립자 등의 미립자가 바람직하고, 이들 무기 미립자의 콜로이드 용액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콜로이드 용액은 무기 미립자 가루를 분산매에 분산시킨 것이어도 되고, 시판품의 콜로이드 용액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무기 미립자를 함유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경화 피막의 표면 형상이나 그 밖의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무기 미립자로는, 그 평균 입자직경이 0.001 ∼ 0.2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 0.1 ㎛ 이다. 무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직경이 0.2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제되는 도포액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경화 피막의 투명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무기 미립자의 분산매로는, 물 및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콜로이드 용액으로는, 피막 형성용 도포액의 안정성 관점에서, pH 또는 pKa 가 1 ∼ 10 으로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7 이다.
콜로이드 용액의 분산매에 사용하는 유기 용제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펜탄디올, 2-메틸-2,4-펜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등의 알코올류 ;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 ;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γ-부티로락톤 등의 에스테르류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 4-디옥산 등의 에테르류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알코올류 또는 케톤류가 바람직하다. 이들 유기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분산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메탈록산 올리고머, 혹은 메탈록산 폴리머로는, 규소, 티탄, 지르코늄, 알루미늄, 탄탈, 안티몬, 비스무트, 주석, 인듐, 아연 등의 단독 또는 복합 산화물 전구체가 사용된다. 메탈록산 올리고머, 혹은 메탈록산 폴리머로는, 시판품이어도 되고, 금속 알콕사이드, 질산염, 염산염, 카르복실산 염 등의 모노머로부터 가수 분해 등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탈록산 올리고머, 혹은 메탈록산 폴리머를 함유함으로써, 경화 피막의 굴절률을 향상시키거나 감광성을 부여할 수 있다. 메탈록산 올리고머, 혹은 메탈록산 폴리머를 사용할 때는, 폴리실록산 (A) 를 합성할 때에 동시에 사용하여도 되고, 폴리실록산 (A) 에 나중에 첨가해도 된다.
시판품의 메탈록산 올리고머, 혹은 메탈록산 폴리머의 구체예로는, 콜코트사 제조의 메틸실리케이트 51, 메틸실리케이트 53A, 에틸실리케이트 40, 에틸실리케이트 48, EMS-485, SS-101 등의 실록산 올리고머 또는 실록산 폴리머 ; 칸토 화학사 제조의 티타늄-n-부톡사이드 테트라머 등의 티타녹산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레벨링제 및 계면활성제 등은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시판품은 입수가 용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폴리실록산 (A) 에, 상기한 그 밖의 성분을 혼합하는 방법은, 폴리실록산 (A) 의 용액 및 글리콜 화합물 (B) 와 동시이어도 되고, 그것들의 혼합 후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액정 배향제의 조제>
본 발명의 액정 배향제를 조제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실록산 (A) 및 글리콜 화합물 (B) 용매 (C) 나 그 밖의 성분이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이면 된다.
통상적으로 폴리실록산 (A) 는 용매 중에서 중축합되므로, 용액 상태로 얻어진다.
그 때문에, 상기에서 서술한 폴리실록산 (A) 의 중합 용액을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이 간편하다. 폴리실록산 (A) 의 중합 용매가, 글리콜 화합물 (B) 혹은 용매 (C) 인 경우는, 글리콜 화합물 (B) 혹은 용매 (C) 를 이후에 첨가하지 않아도 된다. 또, 폴리실록산 (A) 의 용액이 글리콜 화합물 (B) 혹은 용매 (C) 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액정 배향제를 조제할 때에, 글리콜 화합물 (B) 혹은 용매 (C) 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액정 배향제를 조제할 때에는, 액정 배향제 중의 SiO2 환산 농도는 0.5 ∼ 15 질량% 가 바람직하고, 1 ∼ 6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SiO2 환산 농도의 범위이면, 1 회의 도포로 원하는 막두께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충분한 용액의 포트 라이프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그 때, SiO2 환산 농도의 조정에 사용하는 용매는 폴리실록산 (A) 의 중합 용매, 첨가 용매 및 글리콜 화합물 (B)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액정 배향제의 점도가 E 형 점도계 (예를 들어, 토키 산업사 제조 점도계 TV-20) 로 1.8 ∼ 18 mPa·s 인 것, 혹은 표면 장력이 현적법 (懸滴法) (예를 들어, 쿄와 계면 과학사 제조 AUTO DISPENCER AD―3) 으로, 20 ∼ 40 mN/m 인 것이 잉크젯 도포로 양호한 도포막을 형성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도와 상기 표면 장력을 겸비하는 액정 배향제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액정 배향제를 사용함으로써, 잉크젯 도포에 의해 액정 배향막의 면내 균일성 및 막 단부의 에지 직진성이 우수한 액정 배향막을 형성할 수 있다.
<액정 배향막 및 그 형성 방법>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기 위한 액정 배향제의 도포 방법으로는, 스핀 코트법, 인쇄법, 잉크젯 도포법, 스프레이법, 롤 코트법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생산성의 향상이 기대되는 잉크젯 도포법이 주목받고 있다.
잉크젯 도포법은 기판에 미세한 액적을 적하하고, 액이 젖어 퍼지는 것에 의해 막형성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액정 배향제는 양호한 도포성을 갖고, 잉크젯 도포법을 사용한 경우, 안정적으로 도포할 수 있고, 그 도포법에 의해 액정 배향막을 얻을 수 있다. 또, 도포 후에 소성을 실시함으로써, 경화막으로 할 수 있다.
잉크젯 도포법을 사용하여, 보다 균일하게 막형성하기 위해서는, 잉크젯의 노즐로부터 안정적으로 액을 토출할 필요가 있다. 안정적으로 액을 토출하는 요인 중 하나로 액 점도의 관여가 있다. 액정 배향제의 바람직한 액 점도는 사용하는 잉크젯 도포 장치에 따라 상이한데, E 형 점도계 (예를 들어, 토키 산업사 제조 점도계 TV-20) 로 1.8 ∼ 18 mPa·s (측정 온도 25 ℃)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15 mPa·s 이다.
또, 적하된 액적의 확대 요인 중 하나로서, 액의 표면 장력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액정 배향제의 액의 표면 장력은 사용하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서도 상이한데, 현적법 (예를 들어, 쿄와 계면 과학사 제조 AUTO DISPENCER AD-3) 으로, 20 ∼ 40 mN/m (측정 온도 25 ℃)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정 배향제는 점도가 1.8 ∼ 18 mPa·s (측정 온도 25 ℃) 또한 표면 장력이 20 ∼ 40 mN/m (측정 온도 25 ℃)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액정 배향제를 도포한 후의 건조 공정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지만, 도포 후부터 소성까지의 시간이 기판마다 일정하지 않은 경우나, 도포 후 즉시 소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건조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건조는 기판의 반송 등에 의해 도포막 형상이 변형되지 않은 정도로 용매가 제거되어 있으면 되고, 그 건조 수단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온도 40 ∼ 150 ℃, 바람직하게는 60 ∼ 100 ℃ 의 핫 플레이트 상에서, 0.5 ∼ 30 분, 바람직하게는 1 ∼ 5 분 건조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액정 배향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도포막은 소성하여 경화막으로 할 수 있다. 그 때, 소성 온도는 100 ∼ 350 ℃ 의 임의의 온도에서 실시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140 ∼ 3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 2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 220 ℃ 이다.
액정 배향막 중의 폴리실록산 (A) 는, 소성 공정에 있어서, 중축합이 진행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이상 완전히 중축합시킬 필요는 없다. 단, 액정 셀 제조 공정에서 필요한, 시일제 경화 등의 열처리 온도보다 10 ℃ 이상 높은 온도에서 소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화막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경화막의 두께가 5 ㎚ 이상인 경우, 액정 표시 소자의 신뢰성을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다. 또, 300 ㎚ 이하의 경우에는, 액정 표시 소자의 소비 전력이 극단적으로 커지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이다.
이와 같은 경화막은 그대로 액정 배향막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화막을 러빙하거나 편광이나 특정 파장의 광 등을 조사하거나 이온 빔 등의 처리 등을 실시하여, 액정 배향막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액정 배향막은 높은 발수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양호한 액정 수직 배향성을 얻을 수 있다.
<액정 표시 소자>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소자는 상기한 방법에 의해 기판에 액정 배향막을 형성한 후, 공지된 방법으로 액정 셀을 제작하여 얻을 수 있다. 액정 셀 제작의 일례를 들면, 액정 배향막이 형성된 1 쌍의 기판을, 스페이서를 사이에 두고 시일제로 고정시키고, 액정을 주입하여 밀봉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 때, 사용하는 스페이서의 크기는 1 ∼ 30 ㎛ 이지만, 바람직하게는 2 ∼ 10 ㎛ 이다. 액정을 주입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제작한 액정 셀 내를 감압으로 한 후, 액정을 주입하는 진공법이나, 액정을 적하한 후에 밀봉을 실시하는 적하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소자에 사용하는 기판으로는, 투명성이 높은 기판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는 기판 상에 액정을 구동시키기 위한 투명 전극이 형성된 기판이다.
구체예로는, 유리판 ;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알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폴리에테르케톤, 트리메틸펜텐,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메트)아크릴로니트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셀룰로오스 등의 플라스틱판 등에 투명 전극이 형성된 기판을 들 수 있다.
또, TFT 형의 액정 표시 소자와 같은 고기능 소자에 있어서는, 액정 구동을 위한 전극과 기판 사이에 트랜지스터와 같은 소자가 형성된 것이 사용된다. 투과형 액정 표시 소자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반사형 액정 표시 소자에서는, 편측의 기판만이라면 실리콘 웨이퍼 등의 불투명한 기판도 사용할 수 있다. 그 때, 기판에 형성된 전극에는, 광을 반사하는 알루미늄과 같은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화합물에 있어서의 약어는 이하와 같다.
TEOS:테트라에톡시실란
C18: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UPS:3-우레이도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HG:2-메틸-2,4-펜탄디올
BCS:2-부톡시에탄올
PB:1-부톡시-2-프로판올
1,3-BDO:1,3-부탄디올
MIBK:메틸이소부틸케톤
DEDE: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EDM: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C8OH:1-옥탄올
<합성예 1>
온도계, 환류관을 구비한 1 리터 (ℓ) 4 구 반응 플라스크에 HG 30.2 g, TEOS 39.6 g 및 C18 을 4.2 g 투입하고, 교반하여, 알콕시실란 모노머의 용액을 조제하였다. 이 용액에, 미리 HG 15.1 g, 물 10.8 g 및 촉매로서 옥살산 0.2 g 을 혼합한 옥살산 용액을, 실온하에서 30 분에 걸쳐 적하하고, 적하 종료 후 30 분 실온하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환류하에서 1 시간 가열 후, 방랭시켜 SiO2 환산 고형분 농도가 12 질량% 인 폴리실록산 용액 (K1) 을 얻었다.
<합성예 2>
온도계, 환류관을 구비한 1 ℓ 4 구 반응 플라스크에 BCS 30.2 g, TEOS 39.6 g 및 C18 을 4.2 g 투입하고, 교반하여, 알콕시실란 모노머의 용액을 조제하였다. 이 용액에, 미리 BCS 15.1 g, 물 10.8 g 및 촉매로서 옥살산 0.2 g 을 혼합한 옥살산 용액을, 실온하에서 30 분에 걸쳐 적하하고, 적하 종료 후 30 분 실온하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환류하에서 1 시간 가열 후, 방랭시켜 SiO2 환산 고형분 농도가 12 질량% 인 폴리실록산 용액 (K2) 을 얻었다.
<합성예 3>
온도계, 환류관을 구비한 1 ℓ 4 구 반응 플라스크에 HG 22.6 g, BCS 7.5 g, TEOS 39.6 g 및 C18 을 4.2 g 투입하고, 교반하여, 알콕시실란 모노머의 용액을 조제하였다. 이 용액에, 미리 HG 11.3 g, BCS 3.8 g, 물 10.8 g 및 촉매로서 옥살산 0.2 g 을 혼합한 옥살산 용액을, 실온하에서 30 분에 걸쳐 적하하고, 적하 종료 후 30 분 실온하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환류하에서 1 시간 가열 후, 방랭시켜 SiO2 환산 고형분 농도가 12 질량% 인 폴리실록산 용액 (K3) 을 얻었다.
<합성예 4>
온도계, 환류관을 구비한 1 ℓ 4 구 반응 플라스크에 HG 29.9 g, TEOS 39.2 g 및 C18 을 4.2 g 투입하고, 교반하여, 알콕시실란 모노머의 용액을 조제하였다. 이 용액에, 미리 HG 14.9 g, 물 10.8 g 및 촉매로서 옥살산 0.2 g 을 혼합한 옥살산 용액을, 실온하에서 30 분에 걸쳐 적하하고, 적하 종료 후 30 분 실온하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환류하에서 30 분 가열 후, UPS 의 92 질량% 메탄올 용액 0.57 g, HG 0.32 g 의 혼합 용액을 투입하고, 추가로 환류하에서 30 분 과열 후, 방랭시켜 SiO2 환산 고형분 농도가 12 질량% 의 폴리실록산 용액 (K4) 을 얻었다.
각 합성예에서 사용한 알콕시실란 및 용매를 정리하여 표 1 에 나타냈다.

합성예
폴리실록산
용액
알콕시실란 (mol) 중합 용매
(g)
식(1) 식(2) 식(3)
1 K1 C18
(0.005)
TEOS
(0.095)
HG(30.2)
2 K2 C18
(0.005)
TEOS
(0.095)
BCS(30.2)
3 K3 C18
(0.005)
TEOS
(0.095)
HG(22.6)
BCS(7.5)
4 K4 C18
(0.005)
UPS
(0.001)
TEOS
(0.094)
HG(30.2)
<실시예 1 ∼ 5, 비교예 1>
합성예 1 에서 얻어진 폴리실록산 용액 (K1) 50 g 과 각 용제를, 표 2 에 나타내는 용제 조성이 되도록 혼합하고, SiO2 환산 고형분 농도가 3 질량% 인 액정 배향제 (KL1 ∼ KL5, KM1) 를 얻었다.
<실시예 6>
합성예 4 에서 얻어진 폴리실록산 용액 (K4) 50 g 과 각 용제를, 표 2 에 나타내는 용제 조성이 되도록 혼합하여, 표 2 에 나타내는 용제 조성이 되도록 하고, SiO2 환산 고형분 농도가 3 질량% 인 액정 배향제 (KL6) 를 얻었다.
<비교예 2>
합성예 2 에서 얻어진 폴리실록산 용액 (K2) 50 g 과 BCS 150g 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SiO2 환산 고형분 농도가 3 질량% 인 액정 배향제 (KM2) 를 얻었다.
<비교예 3>
합성예 3 에서 얻어진 폴리실록산 용액 (K2) 50 g 과 HG 34.8 g, BCS 115.2 g 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용매 조성이 질량비로, HG:BCS = 30:70 이 되도록 조정하고, SiO2 환산 고형분 농도가 3 질량% 인 액정 배향제 (KM3) 를 얻었다.
표 2 에는,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3 의 액정 배향제에 대하여, 그 내용을 표 2 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폴리실록산
용액
액정 배향제
종류 농도*
(wt%)
글리콜 용매
(B)(wt%)
용매 (C)
(wt%)
기타 용매
(wt%)
실시예 1 K1 KL1 3 HG(26) PB(60)
실시예 2 K1 KL2 3 HG(43) MIBK(43)
실시예 3 K1 KL3 3 HG(43) PB(9)
DEDE(34)
실시예 4 K1 KL4 3 HG(43) PB(34)
EDM(9)
실시예 5 K1 KL5 3 HG(43) PB(34)
C8OH(9)
실시예 6 K4 KL6 3 HG(43)
1,3-BDO(4)
PB(39)
비교예 1 K1 KM1 3 HG(86)
비교예 2 K2 KM2 3 BCS(86)
비교예 3 K3 KM3 3 HG(26) BCS(60)
실시예 1 ∼ 6, 비교예 1 ∼ 3 에서 얻어진 액정 배향제의 용액 점도 및 표면 장력을 표 3 에 나타냈다. 또한, 액정 배향제의 용액 점도 및 표면 장력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용액 점도〕
E 형 점도계 (토키 산업사 제조, TV-20) 를 사용하여 온도 25 ℃ 에서 측정하였다.
〔표면 장력〕
쿄와 계면 화학사 제조의 AUTO DISPENCER AD-3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액정 배향제 점도
(mPa·s)
표면장력
(mN/m)
실시예 1 KL1 5.5 25.9
실시예 2 KL2 2.3 24.8
실시예 3 KL3 4.2 26.5
실시예 4 KL4 6.2 26.5
실시예 5 KL5 7.1 27.2
실시예 6 KL6 7.8 27.3
비교예 1 KM1 21.3 27.7
비교예 2 KM2 3.3 26.7
비교예 3 KM3 6.1 26.8
[잉크젯 도포]
하기 잉크젯 장치와 도포 조건을 사용하여, 상기 액정 배향제를 기판에 도포하고, 이어서 건조시켜 액정 배향막을 제작하였다.
장치명: 미세 패턴 도포 장치 HIS200-1H (히타치 플랜트 테크놀로지사 제조)
도포 기판:100 × 100 ㎜ ITO 기판
도포 면적:30 × 40 ㎜
도포 조건: 분해능 25 ㎛, 스테이지 속도 50 ㎜/sec, 주파수 1000 Hz, 펄스폭 9.6 μsec, 액적량 42 pl, 피치 폭 70.5 ㎛ , 피치 길이 125 ㎛, 인가 전압 14 V ∼ 19 V (막두께 100 ㎚ 가 되도록 조정), 노즐 갭 0.5 ㎜, 레벨링 시간 30 sec, 건조 온도 60 ℃, 건조 시간 2 min (핫 플레이트)
[도포성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액정 배향막을 육안 및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도포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막형성 가부: 결함이 없는 막으로 된 것을 ○, 그렇지 않은 것을 × 로 하였다.
면내 균일성: 막의 면내가 균일한 것을 ○, 울퉁불퉁한 표면 불균일이나 선 형상 불균일이 발생한 것을 × 로 하였다.
에지 직진성: 직진성이 매우 양호한 것을 ○, 직진성이 부족한 것을 × 로 하였다.
액정배향제 막형성 가부 도포성
면내 균일성 에지 직진성
실시예1 KL1
실시예2 KL2
실시예3 KL3
실시예4 KL4
실시예5 KL5
실시예6 KL6
비교예1 KM1 × - -
비교예2 KM2 × ×
비교예3 KM3 ×
표 4 로부터, 비교예 1 에서는 막형성이 불가능하고, 또, 실시예 1 ∼ 6 은, 비교예 2, 3 과 비교하여, 액정 배향막의 면내 균일성 및 에지 직진성이 양호하고, 도포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액정셀의 제작]
액정 배향막을 형성한 투명 전극 부착 유리판을 2 매씩 준비하고, 다른 한쪽 기판의 액정 배향막면에 입자직경 6 ㎛ 의 스페이서를 산포한 후, 기판의 외연부에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에폭시계 접착제를 도포한 후, 액정 배향막이 마주보도록 붙여 압착 후에 경화시켜 공 (空) 셀을 제작하였다. 이 공 셀에 머크사 제조 MLC-6608 (상품명) 을 진공 주입법에 의해 주입 후, 주입공을 UV 경화 수지에 의해 밀봉하여 액정 셀 (소자) 을 제작하였다.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잉크젯 도포〕에 기재한 방법으로 도포막을 형성하고, 온도 80 ℃ 의 핫 플레이트 상에서 5 분간 건조시킨 후, 온도 200 ℃ 의 열풍 순환식 클린 오븐에서 60 분간 소성하여 얻어진, 막두께 80 ㎚ 의 액정 배향막을 사용하였다. 또, 비교예에 있어서는, 잉크젯 도포 대신에 스핀 코트법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막두께 80 ㎚ 의 액정 배향막을 사용하였다.
[액정 배향성]
전술한 [액정 셀의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한 액정 셀을,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액정의 배향 상태를 확인하였다. 액정 셀 전체에서 결함이 없는 균일한 배향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 액정 셀의 일부에 배향 결함이 보이는 경우 및 수직 배향되지 않는 경우에는 × 로 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접촉각〕
액정 배향막에, 순수 3 ㎕ 를 적하하고, 자동 접촉각계 (쿄와 계면 화학사 제조, CA-Z 형) 를 사용하여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잉크젯 도포〕에서 기재한 방법으로 도포막을 형성하고, 온도 80 ℃ 의 핫 플레이트 상에서 5 분간 건조시킨 후, 온도 200 ℃ 의 열풍 순환식 클린 오븐에서 60 분간 소성하여 얻어진, 막두께 80 ㎚ 의 액정 배향막을 사용하였다. 또, 참고예에 있어서는, 잉크젯 도포 대신에 스핀 코트법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막두께 80 ㎚ 의 액정 배향막을 사용하였다.
액정 배향제 도포 방법 액정 배향성 물의 접촉각/°
실시예 KL1 잉크젯 도포법 89
참고예 KL1 스핀 코트법 89
표 5 로부터, 잉크젯 도포법에 의해 얻어진 액정 배향막이어도, 다른 도포 방법에 의해 얻어진 액정 배향막과 동등한 수직 배향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에 의해 얻어진 액정 배향막은 막의 면내 균일성 및 막 단부의 에지 직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것을 사용한 액정 표시 소자는 신뢰성이 높은 액정 표시 디바이스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2008년 12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08-334176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고,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받아들이는 것이다.

Claims (14)

  1. 불소 원자가 치환된 또는 비치환인, 탄소수가 8 ∼ 30 인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측사슬을 갖는 폴리실록산 (A), 탄소수 2 ∼ 7 의 글리콜 용매 (B) 및 하기 용매 (C)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용매 (C): 식 (T1), 식 (T2) 및 식 (T3)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 탄소수 3 ∼ 6 의 케톤, 및 탄소수 5 ∼ 12 의 알킬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용매.
    [화학식 1]
    Figure pct00003

    〔식 중, X1, X3 및 X5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이고, X2 및 X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이고, X4 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이고, P 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이고, m, n, j, k 는 각각 독립적으로 1 ∼ 3 의 정수이다. h 는 2 또는 3 의 정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용매 (C) 가 식 (T1), 식 (T2) 혹은 식 (T3) 의 화합물, 탄소수 3 ∼ 6 의 케톤, 및 탄소수 5 ∼ 12 의 알킬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용매인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실록산 (A) 가 식 (1) 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을 함유하는 알콕시실란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실록산인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R1Si(OR2)3 (1)
    (R1 은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수 8 ∼ 30 의 탄화수소기이고, R2 는 탄소수 1 ∼ 5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4. 제 3 항에 있어서,
    폴리실록산 (A) 가 식 (1) 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과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을 함유하는 알콕시실란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실록산인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R3)nSi(OR4)4-n (2)
    (R3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7 의 탄화수소기이고, R4 는 탄소수 1 ∼ 5 의 탄화수소기이고, n 은 0 ∼ 3 의 정수를 나타낸다)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폴리실록산 (A) 가 식 (1) 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과 하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알콕시실란을 함유하는 알콕시실란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실록산인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Si(OR4)4 (3)
    (R4 는 탄소수 1 ∼ 5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리콜 용매 (B) 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2-메틸-2,4-펜탄디올,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2,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2-펜탄디올, 1,3-펜탄디올, 1,4-펜탄디올, 1,5-펜탄디올, 2,3-펜탄디올, 2,4-펜탄디올, 1,2-헥산디올, 1,3-헥산디올, 1,4-헥산디올, 1,5-헥산디올, 1,6-헥산디올, 2,3-헥산디올, 2,4-헥산디올, 2,5-헥산디올, 3,4-헥산디올, 1,2-헵탄디올, 2,3-헵탄디올, 3,4-헵탄디올, 1,3-헵탄디올, 2,4-헵탄디올, 3,5-헵탄디올, 1,4-헵탄디올, 2,5-헵탄디올, 1,5-헵탄디올들, 2,6-헵탄디올, 1,6-헵탄디올 및 1,7-헵탄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용매인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 (T1) 에 있어서의 X2 가 수소 원자인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실록산 (A) 가 갖는 규소 원자를 SiO2 로 환산한 값의 합계량의 100 질량부에 대해, 글리콜 용매 (B) 가 20 ∼ 18,000 질량부, 용매 (C) 가 20 ∼ 18,000 질량부인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실록산 (A) 가 갖는 규소 원자를 SiO2 로 환산한 값의 합계량의 100 질량부에 대해, 글리콜 용매 (B) 가 120 ∼ 17,000 질량부, 용매 (C) 가 120 ∼ 17,000 질량부인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배향제의 점도가 1.8 ∼ 18 mPa·s 인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배향제의 표면 장력이 20 ∼ 40 mN/m 인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를, 잉크젯 장치를 사용하여 기판에 도포하고, 소성하여 얻어지는 액정 배향막.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를, 잉크젯 장치를 사용하여 기판에 도포하고, 소성하여 얻어지는 액정 배향막의 형성 방법.
  14. 제 12 항에 기재된 액정 배향막을 갖는 액정 표시 소자.
KR1020117017409A 2008-12-26 2009-12-25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 소자 KR101730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34176 2008-12-26
JPJP-P-2008-334176 2008-12-26
PCT/JP2009/071676 WO2010074264A1 (ja) 2008-12-26 2009-12-25 インクジェット塗布用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及び液晶表示素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621A true KR20110113621A (ko) 2011-10-17
KR101730188B1 KR101730188B1 (ko) 2017-04-25

Family

ID=4228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409A KR101730188B1 (ko) 2008-12-26 2009-12-25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 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459229B2 (ko)
KR (1) KR101730188B1 (ko)
CN (1) CN102308250B (ko)
TW (1) TWI458758B (ko)
WO (1) WO201007426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6840A1 (ko) * 2014-07-08 2016-01-14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투명 전극 복합체
US9507209B2 (en) 2014-06-11 2016-11-29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078718A (ko) * 2014-10-31 2017-07-0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발수 발유 코팅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6135B2 (ja) * 2012-08-30 2017-06-14 Jsr株式会社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液晶配向膜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素子
CN105899615B (zh) * 2013-10-10 2020-12-01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组合物、液晶取向处理剂、液晶取向膜和液晶表示元件
JP6248784B2 (ja) * 2014-04-25 2017-12-20 Jsr株式会社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及び液晶表示素子
US10472378B2 (en) 2014-10-31 2019-11-1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Transparent film
US11203674B2 (en) 2014-10-31 2021-12-2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Transparent film
CN107109128B (zh) 2014-11-12 2021-05-25 住友化学株式会社 疏水疏油涂敷组合物及透明被膜
WO2016076274A1 (ja) 2014-11-12 2016-05-19 住友化学株式会社 透明皮膜
JP2016138236A (ja) * 2014-12-26 2016-08-04 Jsr株式会社 組成物、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及び液晶表示素子
US10975203B2 (en) 2015-12-28 2021-04-13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Coating composition
JP2018172646A (ja) * 2017-03-31 2018-11-08 住友化学株式会社 組成物
JP7135328B2 (ja) * 2018-01-31 2022-09-13 Jsr株式会社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及び液晶素子
CN110109293A (zh) * 2019-04-04 2019-08-0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无机配向薄膜的制造方法
JP2022027233A (ja) * 2020-07-31 2022-02-10 Jsr株式会社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及び液晶素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7347B2 (ja) * 1992-10-27 2002-03-18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液晶配向剤
JPH0743726A (ja) * 1993-05-28 1995-02-14 Hoechst Japan Ltd 液晶表示素子
JPH0792472A (ja) * 1993-09-27 1995-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配向膜溶液及びそれを用いた配向膜形成方法
JP3757514B2 (ja) * 1996-02-16 2006-03-22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液晶垂直配向膜の形成方法
JPH10274772A (ja) * 1997-03-31 1998-10-13 Hitachi Chem Co Ltd 液晶配向膜用組成物、液晶配向膜の製造法、液晶配向膜、液晶挟持基板およぴ液晶表示素子
US6019828A (en) * 1999-01-28 2000-02-01 Hewlett-Packard Company Ink compositions having superior smearfastness and reduced smudging and blot dry time
JP3924779B2 (ja) * 2002-07-30 2007-06-06 Jsr株式会社 液晶配向剤および液晶配向膜の形成法
JP2005105227A (ja) * 2003-10-02 2005-04-21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インクジェット用水性インク
JP4513950B2 (ja) * 2004-03-05 2010-07-28 Jsr株式会社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および液晶表示素子
JP2006010995A (ja) * 2004-06-25 2006-01-12 Hitachi Displays Ltd 配向膜形成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54158A (ja) * 2004-11-29 2006-06-15 Hitachi Displays Ltd 液晶配向膜の形成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
KR101364921B1 (ko) * 2006-03-07 2014-02-19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규소계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그리고 그들의 제조 방법
JP5206413B2 (ja) * 2006-10-06 2013-06-12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ケイ素系液晶配向剤及び液晶配向膜
WO2008066205A1 (fr) * 2006-12-01 2008-06-05 Jsr Corporation Agent d'alignement de cristaux liquides et élément d'affichage à cristaux liquides
JP2008216866A (ja) * 2007-03-07 2008-09-18 Seiko Epson Corp 液晶配向膜形成用組成物及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7209B2 (en) 2014-06-11 2016-11-29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6006840A1 (ko) * 2014-07-08 2016-01-14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투명 전극 복합체
KR20170078718A (ko) * 2014-10-31 2017-07-0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발수 발유 코팅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4264A1 (ja) 2010-07-01
CN102308250B (zh) 2014-06-04
KR101730188B1 (ko) 2017-04-25
JPWO2010074264A1 (ja) 2012-06-21
TWI458758B (zh) 2014-11-01
JP5459229B2 (ja) 2014-04-02
CN102308250A (zh) 2012-01-04
TW201038627A (en) 201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3621A (ko)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 소자
KR101708949B1 (ko) 잉크젯 도포용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 소자
JP5206413B2 (ja) ケイ素系液晶配向剤及び液晶配向膜
JP5578074B2 (ja) ケイ素系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及び液晶表示素子
JP5605359B2 (ja) ケイ素系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及び液晶表示素子
KR101883521B1 (ko) 규소계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 소자
KR101768240B1 (ko) 규소계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 소자
KR102082525B1 (ko) 규소계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 소자
JP5761180B2 (ja)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及び液晶表示素子
TWI671333B (zh) 液晶配向處理劑、液晶配向膜及液晶顯示元件
JP5999084B2 (ja) ケイ素系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及び液晶表示素子
JP5459228B2 (ja) インクジェット塗布用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及び液晶表示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