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324A - 분사제의 충진장치 - Google Patents

분사제의 충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324A
KR20110112324A KR1020117015705A KR20117015705A KR20110112324A KR 20110112324 A KR20110112324 A KR 20110112324A KR 1020117015705 A KR1020117015705 A KR 1020117015705A KR 20117015705 A KR20117015705 A KR 20117015705A KR 20110112324 A KR20110112324 A KR 20110112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container
pressure
propellant
valve
val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1732B1 (ko
Inventor
다카후미 호소다
요시카즈 이우치
노부유키 하나이
다쿠오 시바타
Original Assignee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2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03Adding propellants in fluid form to aeroso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10Adding propellants in solid form to aeroso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규정량의 분사제를 확실하게 충진하고, 분사제의 충진량에 불균형이 생기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도 에어졸용기 내의 압력이 높은 경우라도 에어졸용기 측으로부터 공급부 측으로의 분사제의 역류를 저지가능하게 하는 분사제의 충진장치를 얻는다.
원액 및 분사제를 미리 충진한 에어졸용기(2) 내에 분사제를 충진하는 분사제의 충진장치에 있어서, 밸브부재(44)를 상시 누르고 개변함과 동시에 연통공(8)을 형성한 밸브개방부재(4)를 배치한다. 그리고, 이 밸브개방부재(4)의 상단 측에 유통관(11)을 배치하고, 이 유통관(11)의 유통로(14)를 폐지가능하도록 하는 밸브부재(16)를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밸브기구를 개변상태로 유지하고 에어졸용기(2) 측의 압력이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에어졸내용물의 역류를 저지가능하도록 하고 공급부 측의 압력이 에어졸용기(2) 측의 압력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에어졸용기(2) 내에 분사제를 유입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분사제의 충진장치{PROPELLANT FILLING DEVICE}
본 발명은 에어졸용기의 밸브기구를 통해 에어졸용기 내에 분사제를 충진하는 충진작업에 사용하기 위한 분사제의 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부터 에어졸용기에 분사제를 가압충진할 때에는 특허문헌1에 나타난 바와 같은 분사제의 충진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1에서는 에어졸용기의 스템 측에 접속하고 스템의 분사공을 통해 에어졸용기 내의 백에 분사제를 충진하기 위한 분사제의 충진장치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충진장치 중에서도 분사제의 충진방식으로써 일반적인 스루밸브방식에 사용하는 충진장치의 하나로써 도8과 같은 충진장치가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다. 이 충진장치는 도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리 에어졸용기(50)의 밸브기구(55)의 하우징 내에 스템(51)의 하단을 조립한 일반적인 에어졸용기(50)에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원액 및 분사제로 이루어지는 에어졸내용물을 미리 충진한 에어졸용기(50)의 스템(51)돌출 측에 접속함과 동시에, 공급부(미도시)와 연통하는 공급로(52)로부터 에어졸용기(50) 측에 가압한 분사제를 보낸다. 이것에 의해 이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서 스템(51)을 누름과 동시에 스템개스킷(54)을 안쪽으로 탄성변형시켜, 스템(51)의 분사공(53) 및 스템개스킷(54)을 통해 분사제를 에어졸용기(50) 내에 충진하는 것이다. 이러한 충진장치에서는 에어졸용기(50) 내의 압력보다도 공급부 측의 압력이 일정압 이상 높은 경우에는 공급부 측의 분사제의 압력이 스템(51)을 누르고, 에어졸용기(50)의 밸브기구(55)를 개변하고 공급부 측으로부터 에어졸용기(50) 측으로의 분사제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에어졸용기(50) 내의 압력이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도 높아진 경우에는 공급부 측의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스템(51)을 누르는 것은 곤란해지기 때문에 에어졸용기(50)의 밸브기구(55)가 폐변하고, 에어졸용기(50) 측으로부터 공급부 측으로의 분사제의 역류를 저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때문에 이러한 종래의 충진장치는 미리 분사제 및 원액을 예압충진한 에어졸용기(50) 내에 분사제를 충진하는 경우에 미리 충진해 둔 에어졸용기(50) 내의 에어졸내용물이 역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주로 물 또는 알콜베이스의 비교적 점도가 낮은 원액을 에어졸용기(50) 내에 수납한 경우에는 원액의 유동성이 양호하므로 에어졸용기(50)를 흔드는 것에 의해 분사제와 원액의 접촉면적이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분사제가 원액에 용해하기 쉬워지며 상기 충진장치에 의해 효율적으로 분사제를 충진할 수 있다.
특허문헌1: 특표 2007-530368호 공보
그러나, 폼제 등 비교적 점도가 높은 원액을 미리 에어졸용기(50) 내에 수납한 경우에는 원액의 유동성이 나쁘기 때문에 에어졸용기(50) 내에 분사제를 충진할 때, 에어졸용기(50)를 흔들어도 원액을 유동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이 흔드는 작업을 해도 분사제와 원액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없으며 분사제의 충진시에 있어서 분사제의 원액으로의 용해를 촉진하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이러한 유동성이 나쁜 원액을 수납한 에어졸용기에 특허문헌1과 같이 충진장치를 사용하여 분사제를 충진하는 경우에는 공급부에서의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에어졸용기(50)의 스템(51)을 스프링(57)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누르는 것이므로, 유입한 분사제의 압력은 이 스프링(57)이나 스템개스킷(54)의 저항에 의해 에어졸용기(50) 내의 원액의 액면에 도달하는데 크게 저하된다. 그 때문에 상기 흔드는 작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공급부 측으로부터의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서도 원액으로의 분사제의 용해를 촉진하는 것이 곤란했다.
따라서 미리 비교적 점도가 높은 원액을 수납한 에어졸용기(50) 내에 상기 종래의 분사 장치를 이용하여 분사제를 충진한 경우에는 비교적 점도가 낮은 원액을 수납한 것과 비교하여, 분사제가 원액에 용해되기 어렵고, 분사제의 충진시에는 원액에 용해되지 않는 분사제가 그대로 에어졸용기(50)의 헤드스페이스(56)에 충만하여 에어졸용기(50) 내의 압력이 점도가 낮은 원액을 수납한 경우에 비해 높은 것이 된다.
또한, 스템(51)을 누르는데 필요한 압력은 에어졸용기(50)마다 다르지만 평균 약 0.6MPa이상이다. 그 때문에 공급부 측의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스템(51)을 누르기 위해서는 공급부 측의 분사제의 압력이 에어졸용기(50) 내의 압력보다 적어도 약 0.6MPa이상 높은 압력을 요한다. 따라서, 공급부 측의 압력이 에어졸용기(50) 내의 압력+약 0.6MPa보다 낮은 것인 경우에는 공급부 측면으로부터의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스템(51)을 누르는 것이 곤란해져서 밸브기구(55)가 폐변(밸브폐쇄)하고 에어졸용기(50) 내로 분사제의 충진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특허문헌1에 기재된 것과 같이 기존 충진장치에서는 분사제를 충진하기 위해 공급부 측의 분사제의 압력이 에어졸용기(50) 내의 높은 압력+스템(51)을 누르는데 필요한 압력보다도 높아야 한다. 그 때문에 미리 규정량의 분사제를 공급부에 수납하여 행하는 임펙트 충진의 경우, 공급부에 수납한 분사제의 수납량이 에어졸용기(50)로의 충진 작업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감소하고, 충진 작업의 최종 단계에 있어서는 공급부 측의 분사제의 압력이 상기 에어졸용기(50) 내의 높은 압력+스템(51)을 누르는데 필요한 압력보다도 낮은 것이 된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에어졸용기(50)의 밸브기구(55)가 폐변하기 위해, 상기 에어졸용기(50) 내의 높은 압력+스템(51)을 누르는데 필요한 압력보다도 약간 낮은 압력의 분사제가 공급부 측에 남은 상태에서 충진 작업이 종료하게 된다. 따라서 규정량의 분사제를 에어졸용기(50) 내에 확실하게 충진하는 것이 곤란해졌다.
또한, 에어졸용기(50)를 흔들어서 내부의 원액에 분사제를 용해시키면서 평형압으로 에어졸용기(50) 내에 분사제를 충진하는 평형압 충진에 있어서도 상기의 임펙트 충진과 마찬가지로 분사제를 충진하기 위해 공급부 측의 분사제 압력이 에어졸용기(50) 내의 높은 압력+스템(51)을 누르는데 필요한 압력보다 높아야 하기 때문에 규정량의 분사제를 에어졸용기(50) 내에 확실하게 충진하는 것이 곤란해졌다.
또한, 기존보다 스템(51)을 위쪽으로 부세하고 있는 스프링(57)의 부세력의 차이와 조립 상태의 차이 등이 원인이 되어 에어졸용기(50)마다 스템(51)을 누르는데 필요한 압력이 달랐다. 그 때문에 분사제의 충진시에 공급부 측의 분사제가 밸브기구(55)를 개변(밸브개방)하는데 필요로 하는 압력, 즉 에어졸용기(50) 내의 압력+스템(51)을 누르는데 필요한 압력이 에어졸용기(50)마다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밸브기구(55)를 개변하는데 필요로 하는 압력이 다른 에어졸용기(50)에 분사제를 각각 충진한 경우, 충진 작업 종료시에 있어서 밸브기구(55)의 폐변시의 공급부 측의 압력이 에어졸용기(50)마다 다르게 되므로 충진 작업 전에 공급부에 같은 양의 분사제를 수납한 경우에도 밸브기구(55)의 폐변시에 있어서 공급부 측의 분사제의 잔량이 에어졸용기(50)마다 달라지는 사태가 발생했다. 따라서 에어졸용기(50) 내에 충진된 분사제의 충진량에 불균형이 생겨 분사제의 충진량이 각 에어졸용기(50)에 있어서 10%이상이나 달랐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것으로써 비교적 점도가 낮은 원액뿐만 아니라 점도가 높은 원액을 사용한 경우에도 규정량의 분사제를 확실하게 충진하고 분사제의 충진량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게 함과 동시에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 에어졸용기 내의 압력이 높아진 경우에도 에어졸용기 측에서 공급부 측으로의 분사제의 역류를 방지 가능하게 하는 분사제의 충진장치를 얻으려고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액 및 분사제를 미리 충진한 에어졸용기 내에, 이 에어졸용기에 설치된 밸브기구를 통해 분사제를 충진하는 분사제의 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에어졸용기의 분사제의 일반적인 충진 방법으로써는 에어졸용기 내에 미리 원액만을 충진해 두고, 나중에 분사제를 한번에 충진하는 방법과, 에어졸용기 내에 원액 및 규정량 이하의 분사제를 미리 충진한 후, 에어졸용기 내의 분사제가 규정량에 도달할 때까지 다시 분사제만을 충진하는 방법을 들 수 있지만 본원 발명은 후자의 충진 방법을 전제로 한 것이다.
또한, 하단 측에 에어졸용기의 밸브기구에 임하고, 이 밸브기구의 밸브부재를 상시 눌러서 개변하는 밸브개방부재를 배치하고, 이 밸브개방부재에 상기 밸브기구의 개변시에 에어졸용기 내부와 연통가능하게 하는 연통공을 형성한 것이다. 이처럼 밸브기구의 밸브부재를 상시 눌러서 개변하는 밸브개방부재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사용시에는 이 밸브개방부재에 의해 스템을 기계적으로 눌러서 에어졸용기의 밸브기구를 개변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충진장치에서는 공급부로부터의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밸브기구를 개변하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기계적으로 밸브기구를 개변하는 것이므로, 에어졸용기에 미리 분사제의 통로를 기계적 작용에 의해 확보한 상태에서 분사제의 가압 충진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때문에 스템에 장착한 스프링과 스템개스킷의 저항을 거의 받지 않고, 공급부에서 공급된 규정량의 분사제를 에어졸용기 내에 확실히 가압 충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공급부에서 분사제는 상기 분사제의 통로를 저항 없이 유통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공급시의 압력을 현저히 저하시키지 않고 양호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분사제를 에어졸용기 내에 유입하고 에어졸용기 내의 원액에 충돌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공급부로부터의 분사제의 압력이 원액에 직접 전해져 원액으로의 분사제 용해를 촉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밸브개방부재의 상단 측에 공급로를 통해 분사제 공급부와 연통하는 유통관을 배치하고, 이 유통관에 공급부에서 에어졸용기로의 분사제의 가압 유통시에는, 이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상기 유통관의 유통로를 개구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에어졸용기에서 공급부 측으로의 가압유통시에는 에어졸용기 내의 압력에 의해 유통관의 유통로를 폐지 가능하도록 하는 밸브부재를 배치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밸브개방부재의 누름에 의해 에어졸용기의 밸브기구를 기계적으로 개변했을 때,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이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에어졸용기 내에 미리 충진한 분사제 및 원액 공급부 측에 역류하게 되며, 이 역류에 의해 원액이 공급로 내에 부착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급로 내에 부착한 원액은 에어졸용기를 충진장치에서 분리할 때에 비산하여 에어졸용기의 뚜껑체 등에 부착하거나 주위에 부착하는 등의 불편함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밸브부재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밸브기구의 개변직후 등에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이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 높아진 경우에는 에어졸용기 측의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밸브부재가 유통관에 형성된 유통로를 밀폐하게 되므로, 밸브부재에 의해 공급부 측으로 분사제의 역류를 확실하게 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에어졸내용물의 역류에 의해 공급로 내에 원액이 부착하고 원액이 비산하는 등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개방부재에 의해 에어졸용기의 밸브부재를 상시 누르는 것에 의해 에어졸용기의 밸브기구를 개변 상태로 유지하고, 이 개변상태에 있어서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이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밸브부재에 의해 에어졸용기 내에서 공급부 측으로의 에어졸 내용물의 역류를 방지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공급부 측의 압력이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공급부에서 밸브부재, 밸브기구를 통해 에어졸용기 내에 분사제를 유입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액 및 분사제를 미리 충진한 에어졸용기 내에, 이 에어졸용기에 설치한 밸브기구를 통해 분사제를 충진하는 분사제의 충진장치에 있어서, 에어졸용기의 뚜껑체에 개구 형성한 스템삽통구의 외주에 배치함과 동시에, 이 에어졸용기로부터 밖으로 돌출한 스템돌출부의 외주를 배치 간격을 통해 피복 가능하게 한 환상(環狀)의 밀폐부재를 설치하여, 이 밀폐부재의 상단측에 본 발명의 밸브부재인 스템을 누름가능하게 한 밸브개방부재를 배치함과 동시에, 이 밸브개방부재에 에어졸용기 내와 연통하는 연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개방부재의 상단측에 공급로를 통해 분사제 공급부와 연통함과 동시에 내주면에 밸브좌를 마련한 유통관을 배치하고, 이 유통관 내에 공급부로부터 에어졸용기로의 분사제의 가압유통시에는 이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유통관의 밸브좌와는 이간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통관의 유통로를 개구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에어졸용기에서 공급부 측에 가압유통시에는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유통관의 밸브좌에 밀착하여 유통관의 유통로를 폐지 가능하게 하는 밸브부재를 배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폐부재를 스템삽통구의 외주에 배치함에 의해, 이 밀폐부재에 의해 상기 밸브개방부재와 스템삽통구 사이를 기밀적으로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밸브개방부재가 스템을 눌러서 에어졸용기 내의 밸브기구를 개변상태로 유지하고, 이 개변상태에 있어서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이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밸브부재에 의해 에어졸용기 내에서 공급부 측으로의 에어졸내용물의 역류를 방지 가능함과 동시에, 공급부 측의 압력이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공급부로부터 밸브부재, 밸브기구를 통해 에어졸용기 내에 분사제를 유입 가능하게 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원액 및 분사제를 미리 충진하는 동시에 분사제의 도출통을 스템개스킷으로부터 밖으로 돌출 배치하지 않는 암형밸브식의 에어졸용기 내에, 이 에어졸용기에 설치한 밸브기구를 통해 분사제를 충진하는 분사제의 충진장치에 있어서, 에어졸용기의 뚜껑체에 개구형성한 스템삽통구의 외주에 배치 가능하게 하는 환상의 밀폐부재를 설치하여, 이 밀폐부재의 배치 간격을 통해 안쪽에 봉상으로 형성한 밸브개방부재를 삽통 배치하고, 이 밸브개방부재에 의해 스템삽통구를 통해 상기 밸브기구의 밸브부재를 누름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 밸브개방부재에 상기 밸브기구의 개변시에는 에어졸용기 내부와 연통가능하도록 하는 연통공을 형성하고, 이 밸브개방부재의 상단 측에 공급로를 통해 분사제의 공급부와 연통함과 동시에 내주면에 밸브좌를 설치한 유통관을 배치하고, 이 유통관 내에 공급부분으로부터 에어졸용기로의 분사제의 가압유통시에는 이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유통관의 밸브좌와는 이간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통관의 유통로를 개구함과 동시에, 에어졸용기로부터 공급부 측으로의 가압유통시에는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유통로의 밸브좌에 밀착하여 유통관의 유통로를 폐지하는 밸브부재를 배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폐부재를 에어졸용기의 스템삽통구의 외주에 배치함으로써, 이 밀폐부재에 의해 상기 밸브개방부재와 스템삽통구 사이를 기밀적으로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밸브개방부재가 밸브부재를 눌러서 에어졸용기 내의 밸브기구를 개변 상태로 유지하고, 이 개변 상태에 있어서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이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밸브부재에 의해 에어졸용기 내로부터 공급부 측으로의 에어졸내용물의 역류를 방지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공급부 측의 압력이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공급부에서 밸브부재, 밸브개방부재의 연통공 및 밸브기구를 통해 에어졸용기 내에 분사제를 유입 가능하게 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유통관은 내주면과는 간격을 통해 안쪽으로 유통소관을 배치하고, 이 유통소관을 통해 유통관의 유통로와 밸브개방부재의 연통공을 연통 가능하게하며 이 유통소관의 측벽에 상기 유통로와 연통하는 연통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유통소관의 선단개구부를 밸브부재로 피복함에 의해 공급부에서 에어졸용기 내에 분사제 내로의 충진시에 있어서,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이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에 의해 밸브부재가 유통관 내면에 설치한 밸브좌에 밀착하여 유통관의 유통로를 폐지하고 분사제 및 에어졸내용물의 공급부 측으로의 역류를 저지가능하게 하는 한편, 공급부 측의 압력이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공급부 측으로부터의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밸브부재가 유통소관 측으로 이동하여 유통관 내주면과 밸브부재 사이에 분사제의 연통로를 형성하고, 공급부로부터의 분사제를 상기 밸브부재 및 연통구를 통해 에어졸용기 측에 유통 가능하게 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밸브부재는 사발형으로 형성한 탄성 부재로 구성되고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이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유통관의 밸브좌에 밀착하여 유통관의 유통로를 폐지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공급부 측의 압력이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유통소관 측에 탄성 변형하여 유통관의 내주면과 밸브부재의 사이에 분사제의 연통로를 형성 가능하게 한 것이어도 좋다.
이처럼 밸브부재를 탄성 부재로 형성하고 에어졸밸브의 스템기구와 같이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므로 공급부 측의 압력이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보다 약간 높은 것만으로도 밸브부재를 개변하여 에어졸용기 내에 분사제를 유입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템을 누르기 위해 적어도 약 0.6Mpa의 압력을 필요로 하는 상기 기존 충진장치의 경우와 비교하여 충진시에 공급부 측의 분사제가 최소한 필요로 하는 압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높은 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공급부 측의 압력이 약간 높은 것만으로도 밸브기구의 개변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공급부 측의 분사제에 높은 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밸브부재를 개변 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급부 측의 규정량의 분사제를 에어졸용기 내에 확실히 충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분사제의 충진시에 있어서 밸브부재의 저항이 매우 낮아지게 되므로 공급시에 스템을 통해 에어졸용기 측의 분사제의 가압력을 현저히 저하시키지 않고 양호하게 유지한 상태로 공급부 측으로부터 분사제를 에어졸용기 내에 충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분사제를 효율적으로 충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템에 장착한 스프링과 스템개스킷에 의해 충진 압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공급시의 압력을 양호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분사제가 에어졸용기 내의 원액에 도달하기 때문에 이 분사제의 충진 압력에 의해 원액으로의 분사제의 용해를 촉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밸브부재는 평판상으로 형성하고,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이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유통관의 밸브좌에 밀착하여 유통관의 유통로를 폐지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공급부 측의 압력이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유통소관 측으로 이동하고 유통관의 내주면과 밸브부재의 외주 사이에 분사제의 연통로를 형성가능하게 한 것이어도 좋다.
본원 발명은 상술과 같이 구성한 것으로써 밸브개방부재에서 스템을 누르는 것에 의해 에어졸용기 내의 밸브기구를 개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므로, 에어졸용기에 미리 분사제의 통로를 확보한 상태에서 분사제의 가압 충진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때문에 기존의 충진장치와 같이 스템에 장착한 스프링과 스템개스킷의 저항을 거의 받지 않고 공급부로부터 가압하여 공급된 규정량의 분사제를 에어졸용기 내에 확실하게 충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공급부로부터 분사제는 공급시의 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에어졸용기 내에 유입하여 에어졸용기 내의 원액에 충돌하는 것이므로, 이 분사제의 압력이 원액에 직접 전해져서 원액으로의 분사제의 용해를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급부로부터의 분사제를 원액에 효율적으로 충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공급부분으로부터 에어졸용기로의 분사제의 가압유통시에는 상기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밸브부재를 이동시켜서 유통로를 개구하고 에어졸용기로부터 공급부측으로의 가압유통시에는 유통로를 폐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에어졸용기 내의 에어졸내용물이 역류하는 경우에도 역류한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밸브부재가 유통로를 밀폐하는 것이 되어, 이 밸브부재에 의해 공급부 측으로의 에어졸내용물의 역류를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역류한 원액이 공급로 내에 부착하는 사태가 발생하기 어려워지며 에어졸용기를 충진장치에서 분리할 때에 공급로 내에 부착한 원액이 에어졸용기의 뚜껑체 등에 부착하거나 충진장치의 주위에 비산하는 불편함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이 높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2는 실시예 1, 2 및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밸브개방부재의 저면도;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 공급부 측의 압력이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보다 높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 공급부 측의 압력이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보다 높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5는 실시예 3에 있어서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이 높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6은 실시예 3의 밸브개방부재의 누름체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이 높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및
도 8은 기존 충진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 1~3에 있어서 설명하면 도 1과 같이 (1)은 원통상으로 형성한 밀폐부재이며, 이 밀폐부재(1) 내에 에어졸용기(2)의 뚜껑체(25) 중앙에 형성한 스템삽통구(35)로부터 밖으로 돌출한 스템돌출부(3)를 삽통배치함에 의해 스템돌출부(3)의 외주를 피복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한, 밀폐부재(1)는 스템돌출부(3)를 삽통배치한 때, 스템돌출부(3)의 사이에 일정한 배치간격(9)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밀폐부재(1)를 배치함에 의해 밸브개방부재(4)와 에어졸용기(2)의 뚜껑체(25) 중앙에 형성한 평탄면(26) 사이를 밀폐 가능한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밀폐부재(1)의 상단에는 단면을 コ자형으로 형성한 밸브개방부재(4)의 하단을 접속하고, 이 밸브개방부재(4)의 천면(19)을 누름면(5)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밸브개방부재(4)의 중앙부에는 본 발명의 밸브부재인 스템(6)의 분사공(7)과 연통하는 연통공(8)을 관통 형성함과 동시에, 이 연통공(8)에 연속하여 밸브개방부재(4)의 천면(19)에 도 2(a)와 같은 연통요부(10)를 천면(19)의 직경 방향으로 2개, 십자형으로 교차 요설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연통요부(10)는 도 2(a)와 같이 천면(19)의 직경 방향으로 2개 형성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2(b) 와 같이 천면(19)의 직경 방향으로 1개 형성하거나 도 2(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천면(19)에 4개소 형성한 원형의 누름면(5) 이외의 부분을 요설해서 연통요부(10)로 한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이 밸브개방부재(4)의 상면에는 통상의 유통관(11)을 접속배치함과 동시에, 이 유통관(11) 내에는 이 유통관(11)과 동축 방향으로 유통소관(12)을 배치하고 있다. 이 유통소관(12)은 기단측을 유통관(11)의 내주면과 일체로 형성하고 유통소관(12) 내를 밸브개방부재(4)의 연통공(8)과 연통 가능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유통소관(12)의 선단측을 유통관(11)의 내주면과는 간격을 통해 유통관(11) 내의 축방향으로 돌출 배치하고, 이 돌출 부분에는 연통구(13)를 두개소 형성하고, 이 연통구(13)를 통해 유통관(11)의 상단 측에 형성한 유통로(14)와 밸브개방부재(4)의 연통공(8)을 연통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유통소관(12)의 선단개구부(15)에는 탄성 재료인 고무재로 형성한 밸브부재(16)를 피복하고 있다. 이 밸브부재(16)는 저벽(17) 및 이 저벽(17)으로부터 테이퍼상으로 확개한 테이퍼부(18)로 형성한 사발형이며, 상기 저벽(17)의 내면 중앙에는 역원추상의 계합돌기(20)를 돌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계합돌기(20)를 상기 유통소관(12)의 선단개구부(15) 내에 삽입 배치한 상태에서 유통소관(12)의 선단개구부(15)에 밸브부재(16)를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밸브부재(16)의 테이퍼부(18)가 유통소관(12)의 선단개구부(15)의 외주에 위치하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밸브부재(16)의 계합돌기(20)를 유통소관(12)의 선단개구부(15) 내에 배치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이 계합돌기(20)에 의해 밸브부재(16)의 중앙부가 항상 선단개구부(15)에 위치하도록 위치를 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밸브부재(16)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밸브부재(16)의 기능을 항상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밸브부재(16)를 고무재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분사제의 약간의 압력에 의해서도 밸브부재(16)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유통관(11)의 내주면에는 상기 유통소관(12)의 위쪽에 밸브부재(16)의 밸브좌(21)를 환상으로 돌출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에어졸용기(2) 측의 압력이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 높아진 경우에는 밸브부재(16)가 분사제의 공급부 측의 압력에 의해 밸브좌(21) 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탄성 변형하고, 도 1처럼 밸브좌(21)에 밀착하는 것이 된다. 그 때문에 이 밸브부재(16)에 의해 유통관(11)의 유통로(14)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1), 밸브개방부재(4) 및 유통관(11)의 외주에는 통상(筒狀)의 공급관(22)을 배치하고 있다. 즉, 이 공급관(22)의 하단에는 각각 밀폐부재(1), 밸브개방부재(4) 및 유통관(11)을 삽입 배치함과 동시에, 유통관(11)의 위쪽에는 공급부와 연통한 공급로(23)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이 형성한 공급관(22)의 외주에는 통상의 커버부재(28)를 피복 배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충진장치에 있어서 규정량의 분사제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기구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스템돌출부(3)를 밀폐부재(1)에 삽통하여 에어졸용기(2)를 본 발명의 충진장치에 접속하고, 밀폐부재(1)의 하단면(24)을 스템돌출부(3)의 외주에 위치한 뚜껑체(25)의 평탄면(26)에 당접배치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에어졸용기(2) 내에는 이미 일정량의 분사제 및 원액이 충진되어 있다. 또한, 공급부(미도시)에는 미리 상기 에어졸용기(2) 내에 충진하기 위한 규정량의 충진제를 수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임펙트 충진에 의해 에어졸용기(2) 내에 분사제를 충진하는 것이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에어졸용기(2)를 흔들면서 평형압으로 에어졸용기(2) 내에 분사제를 충진하는 이른바 평형압 충진에 의해 분사제를 충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에어졸용기(2)를 충진장치에 접속함에 의해 밀폐부재(1)의 상단 측에 설치한 밸브개방부재(4)가 에어졸용기(2)의 스템(6)을 누르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에어졸용기(2)의 평탄면(26)을 밀폐부재(1)의 하단면(24)에 당접시키는 것에 의해 밸브개방부재(4)의 누름면(5)에 의해 스템(6)이 눌리도록 미리 밀폐부재(1)의 축 방향의 길이를 조절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밸브개방부재(4)의 누름면(5)이 스템(6)을 누르는 것에 의해 도 1처럼 에어졸용기(2)의 스템개스킷(31)에 의해 폐지하고 있던 스템(6)의 오리피스(30)가 스템개스킷(31)의 탄성 변형에 의해 개방되고 에어졸용기(2)의 밸브기구가 개변하는 것이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충진장치에 에어졸용기(2)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서 밸브개방부재(4)에 의해 스템(6)을 기계적 작용에 의해 누름가능하기 때문에 공급부로부터의 분사제의 압력만으로 스템(6)을 눌러서 밸브기구를 개변하는 기존의 충진장치와는 달리, 에어졸용기(2) 내에 유동성이 나쁜 원액을 충진하는 경우에도 공급부 측의 분사제의 압력이나 에어졸용기(2)마다 다른 스템(6)의 누름에 필요한 압력에 관계없이 밸브기구의 개변상태를 기계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공급부로부터의 규정량의 분사제를 에어졸용기(2) 내에 확실하게 가압 충진할 수 있다. 따라서 분사제의 충진 후에 있어서 에어졸용기(2) 내의 분사제의 충진량의 불균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밸브기구를 기계적 작용에 의해 개변하기 위해 공급부로부터의 분사제를 스프링(32)이나 스템개스킷(31)의 저항을 거의 받지 않고 에어졸용기(2) 내에 충진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부 측에서 분사제의 압력을 현저히 저하시키지 않고 분사제를 에어졸용기(2) 내의 원액에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원액으로의 분사제의 용해를 촉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에어졸용기(2) 내에는 미리 일정량의 분사제 및 원액이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이 밸브기구의 개변직후에는 일시적으로 에어졸용기(2) 내의 압력이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 높은 것이 되며 에어졸용기(2) 내의 분사제 및 원액이 공급부 측으로 역류하는 것이 된다. 그러나, 이 역류시에 있어서 도 1처럼 유통관(11) 내에 설치한 밸브부재(16)가 에어졸용기(2) 측으로부터의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밸브좌(21) 측에 눌러지고 밸브부재(16)의 테이퍼부(18)가 탄성 변형하여 밸브좌(21)에 밀착하는 것이 된다. 그 때문에 유통로(14)가 밸브부재(16)에 의해 밀폐되기 때문에 유통로(14)로부터 공급부 측으로 분사제 및 원액의 역류를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밸브부재(16)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분사제 및 원액의 역류에 의해 공급로(23)나 유통로(14) 내에 원액이 부착하게 되며, 공급로(23) 내에 부착한 원액이 에어졸용기(2)를 충진장치로부터 분리할 때 비산하고 뚜껑체(25) 등에 부착하거나 주위를 오염하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하기 쉬운 것이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부재(16)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단점은 생기기 어렵다.
그리고, 공급부에서 공급로(23)를 통해 분사제를 에어졸용기(2) 측에 공급한 경우에는 공급부 측의 분사제가 유통로(14)를 통과하여 밸브부재(16)에 당접한다. 이때 에어졸용기(2) 내의 압력보다 공급부 측의 압력이 적어도 0.02MPa이상 높은 경우는 도 3처럼 밸브부재(16)의 테이퍼부(18)가 공급부 측의 압력에 의해 유통소(12) 측에 탄성 변형하고, 이 탄성 변형에 의해 유통관(11)과 밸브부재(16) 사이에 연통로(27)가 형성되는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 유통로(14)를 통과한 공급부 측에서의 분사제는 밸브부재(16)를 통해 연통로(27)를 통과하고 유통소관(12)의 연통구(13)로부터 유통소관(12) 내에 유입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유통소관(12) 내에 유입한 분사제는 밸브개방부재(4)의 연통공(8) 및 연통요부(10)를 통과하여 스템(6)의 분사공(7) 내에 유입한다. 그리고, 스템(6)의 분사공(7) 내에 유입한 분사제는 스템(6)의 오리피스(30)를 통해 에어졸용기(2) 내에 충진되는 것이 된다. 또한, 밸브개방부재(4)의 연통요부(10)에 유입한 분사제는 연통요부(10)로부터 스템(6)과 밀폐부재(1) 사이에 형성된 배치 간격(9) 및 스템(6)과 스템삽통구(35) 사이에 형성된 연통간격(40)을 통해 스템개스킷(31)을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눌러서 확장하여, 이 스템개스킷(31)과 스템(6)의 간격을 통과하여 에어졸용기(2) 내에 충진되는 것이 된다.
상기와 같이 에어졸용기(2) 내에 분사제를 공급부 측의 압력이 에어졸용기(2) 측의 압력보다도 0.02MPa이상 높은 경우에 유입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분사제의 충진시에는 스템(51)을 누르기 위해 공급부 측의 압력을 에어졸용기(50) 측의 압력보다 적어도 약 0.6MPa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는 기존 충진장치 경우와 비교하여 충진시에 공급부 측 분사제가 최소한 필요로 하는 압력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분사제의 충진시에 있어서 밸브부재(16)의 저항이 매우 낮아지게 되므로 밸브부재(16)를 통과한 공급부 측의 분사제의 압력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일 없이 분사제의 압력을 양호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분사제를 에어졸용기(2) 내에 충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규정량의 분사제를 효율적으로 에어졸용기(2) 내에 충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에어졸용기(2) 내의 원액에 분사제를 높은 압력으로 충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동성이 나쁜 원액을 사용한 경우에도 상기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원액에 분사제의 용해를 촉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분사제의 용해부족에 의한 에어졸용기(2) 내의 압력의 현저한 상승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에어졸용기(2) 내의 압력을 적당한 압력으로 유지하면서 분사제를 충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2
또한, 상기 실시예 1의 밸브부재(16)는 저벽(17) 및 이 저벽(17)으로부터 테이퍼상으로 확개한 테이퍼부(18)에서 사발형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 2에서는 도 4처럼 밸브부재(16)를 평판상의 평판벽(33)에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평판벽(33)의 저면 중앙부에 계합돌부(34)를 돌출 형성하고, 이 계합돌부(34)를 유통소관(12)의 선단개구부(15)에 계합가능한 것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계합돌부(34)에 의해 밸브부재(16)의 중앙부가 항상 선단개구부(15)에 위치하도록 위치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공급부로부터 공급로(23)를 통해 분사제를 에어졸용기(2) 측에 공급한 경우에는 공급부 측의 분사제가 유통로(14)를 통해 밸브부재(16)에 당접한다. 이때 에어졸용기(2) 내의 압력보다 공급부 측의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도 4처럼 밸브부재(16)가 공급부 측의 압력에 의해 유통소관(12) 측으로 이동하고 유통관(11)과 밸브부재(16) 사이에 연통로(27)가 형성되는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 유통로(14)를 통과한 공급부 측에서의 분사제는 밸브부재(16)를 통해 연통로(27)을 통과하고 유통소관(12)의 연통구(13)로부터 유통소관(12) 내에 유입되는 것이 된다. 그 때문에 공급부 측의 압력이 에어졸용기(2) 측의 압력보다 조금이라도 높아지면 실시예 1과 같이 밸브부재(16)를 탄성 변형시키지 않고 밸브부재(16)의 이동에 의해 유통관(11)과 밸브부재(16) 사이에 연통로(27)가 형성되는 것이며, 에어졸용기(2) 내에 분사제를 유입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부재(16)를 탄성 변형시키기 위하여 여분의 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분사제의 충진에 필요한 압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사제의 충진시에 있어서 밸브부재(16)의 저항이 거의 없기 때문에 밸브부재(16)를 통과한 공급부 측의 분사제의 압력을 현저히 저하시키지 않고 분사제의 압력을 양호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분사제를 에어졸용기(2) 내에 충진하는 것이 가능하며, 규정량의 분사제를 효율적으로 에어졸용기(2) 내에 충진 할 수 있다. 또한, 에어졸용기(2) 내의 원액에 분사제를 높은 압력으로 충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동성 나쁜 원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원액으로의 분사제 용해를 촉진하는 것이 가능해져, 에어졸용기(2) 내의 압력을 필요 이상으로 높이지 않고 적당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분사제를 충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에어졸용기(2) 측의 압력이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 높아진 경우에는 밸브부재(16)가 에어졸용기(2) 측으로부터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밸브좌(21) 측에 눌러지게 되고 밸브부재(16)의 평판벽(33)의 외주가 밸브좌(21)에 밀착하는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 유통로(14)가 밸브부재(16)에 의해 밀폐되므로 유통로(14)로부터 공급부 측으로 분사제 및 원액의 역류를 막을 수 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2에 있어서 분사제의 충진장치는 어느 것도 에어졸용기(2) 내에 설치한 하우징에 스템(6)의 하단 측을 삽입 배치함과 동시에 스템(6)의 상단측을 스템삽통구(35)로부터 밖으로 돌출 배치한 에어졸용기(2)에 사용하는 것이지만, 본 실시예 3 및 하기 실시예 4에 있어서 분사제의 충진장치는 에어졸용기(2)에 미리 스템(6)를 조립하지 않고 원액 및 분사제의 충진 완료 후에 버튼과 일체로 형성한 스템(6)을 에어졸용기(2)의 스템삽통구(35)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즉, 암형밸브를 설치한 에어졸용기(2)에 사용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 3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와 같이 (1)은 원통상으로 형성한 밀폐부재(1)이며, 이 밀폐부재(1)를 에어졸용기(2)의 뚜껑체(25)의 중앙에 형성한 스템삽통구(35)의 외주에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밀폐부재(1)의 상단에는 단면이 약T자형의 밸브개방부재(4)를 접속하고 있다. 이 밸브개방부재(4)는 봉상으로 형성한 누름체(36)와 이 누름체(36)의 상단에 환상으로 형성한 환상턱(37)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이 밸브개방부재(4)의 누름체(36)를 밀폐부재(1)의 안쪽에 배치간격(9)을 통해 삽통한 상태에서 상기 환상턱(37)의 하단면을 밀폐부재(1)의 상단면에 둘레방향으로 밀착 배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밀폐부재(1)와 밸브개방부재(4)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밀폐부재(1)에 의해 밸브개방부재(4)의 환상턱(37)과 에어졸용기(2)의 스템삽통구(35) 사이를 밀폐 가능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밸브개방부재(4)에는 상단 중앙부로부터 하단에 걸쳐 밸브개방부재(4)의 축방향으로 1개의 연통공(8)을 관통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밸브개방부재(4)의 누름체(36)의 선단면(38)에는 도 5,6과 같이 이 연통공(8)과 연통 가능하게 하는 연통요부(10)를 연통공(8)과는 수직 방향으로 요설하고 있다.
또한, 이 밸브개방부재(4)의 상면에는 통상의 유통관(11)을 접속 배치함과 동시에, 이 유통관(11)내에는 이 유통관(11)과 동축방향으로 유통소관(12)을 배치하고 있다. 이 유통소관(12)은 기단측을 유통관(11)과 일체로 형성하고 유통소관(12) 내를 밸브개방부재(4)의 연통공(8)과 연통 가능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유통소관(12)의 선단측을 유통관(11)의 내주면과는 간격을 통해 유통관(11) 내의 축방향으로 돌출 배치하고, 이 돌출 부분에는 연통구(13)를 두개소 형성하고, 이 연통구(13)를 통해 유통관(11)의 상단 측에 형성한 유통로(14)와 밸브개방부재(4)의 연통공(8)을 연통가능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유통소관(12)의 선단개구부(15)에는 탄성 재료인 고무재로 형성한 밸브부재(16)를 피복하고 있다. 이 밸브부재(16)는 저벽(17) 및 이 저벽(17)으로부터 테이퍼상으로 확개한 테이퍼부(18)로 형성한 사발형에 있어서 상기 저벽(17)의 내면에는 역원추상의 계합돌기(20)를 돌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계합돌기(20)를 상기 유통소관(12)의 선단개구부(15) 내에 삽입 배치한 상태에서 유통소관(12)의 선단개구부(15)에 밸브부재(16)를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밸브부재(16)의 테이퍼부(18)가 유통소관(12)의 선단개구부(15)의 외주에 위치하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밸브부재(16)의 계합돌기(20)를 유통소관(12)의 선단개구부(15) 내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계합돌기(20)에 의해 밸브부재(16)의 중앙부가 항상 선단개구부(15)에 위치하도록 위치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밸브부재(16)의 위치 오차를 막을 수 있고 밸브부재(16)의 기능을 항상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밸브부재(16)를 고무재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공급부 측의 압력이 약간 높은 것만으로도 밸브부재(16)의 개변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통관(11)의 내주면에는 상기 유통소관(12)의 위쪽에 밸브부재(16)의 밸브좌(21)를 환상으로 돌출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에어졸용기(2) 측의 압력이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 높아진 경우에는 밸브부재(16)가 공급부 측으로의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밸브좌(21) 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탄성 변형하고 도 5처럼 밸브좌(21)에 밀착하는 것이 된다. 그 때문에 이 밸브부재(16)에 의해 유통관(11)의 유통로(14)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1), 밸브개방부재(4) 및 유통관(11)의 외주에는 통상의 공급관(22)을 배치하고 있다. 즉, 이 공급관(22)의 하단에는 각각 밀폐부재(1), 밸브개방부재(4) 및 유통관(11)을 삽입배치함과 동시에 유통관(11)의 위쪽에는 공급부와 연통한 공급로(23)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한 공급관(22)의 외주에는 통상의 커버부재(28)를 피복 배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의 충진장치에 있어서 규정량의 분사제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기구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충진장치에 설치된 밀폐부재(1)의 하단면(24)을 스템삽통구(35)의 외주에 형성한 뚜껑체(25)의 평탄면(26)에 당접 배치한 상태로 에어졸용기(2)를 충진장치에 접속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에어졸용기(2) 내에는 이미 일정량의 분사제 및 원액이 충진되어 있다. 또한, 공급부(미도시)에는 미리 상기 에어졸용기(2) 내에 충진하기 위한 규정량의 충진제를 수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임펙트 충진에 의해 에어졸용기(2) 내에 분사제를 충진하는 것이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에어졸용기(2)를 흔들면서 평형압에 의해 에어졸용기(2) 내에 분사제를 충진하는 이른바 평형압 충진에 의해 분사제를 충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에어졸용기(2)를 충진장치에 접속함에 의해 도 5와 같이 충진장치에 설치한 밸브개방부재(4)의 누름체(36)의 선단측이 스템삽통구(35)로부터 에어졸용기(2)의 안쪽으로 진입한다. 그 때문에 밸브개방부재(4)의 누름체(36)의 선단면(38)에 의해 에어졸용기(2)의 밸브기구를 구성하는 밸브부재(44)가 아래쪽으로 눌러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밸브개방부재(4)의 누름체(36)가 스템삽통구(35)에 삽통 가능하도록 누름체(36)의 외경을 스템삽통구(35)의 내경보다 소경인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에어졸용기(2)의 평탄면(26)에 밀폐부재(1)의 하단면(24)을 당접시킨 시점에서 밸브개방부재(4)의 선단면(38)에 의해 밸브부재(44)가 눌리도록 미리 밸브개방부재(4)의 누름체(36)의 형성 길이를 조절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밸브개방부재(4)의 선단면(38)에 의해 밸브부재(44)를 누르는 것에 의해 밸브부재(44)의 하향으로의 이동 및 스템개스킷(31)의 탄성 변형에 의해 에어졸용기(2)의 스템개스킷(31) 및 밸브부재(44)에 의해 폐지하고 있던 스템삽통구(35)가 개방된다. 이것에 의해 도 5처럼 에어졸용기(2)의 밸브기구가 개변됨과 동시에 유통로(14)와 에어졸용기(2) 내가 밸브개방부재(4)의 연통공(8) 및 연통요부(10)를 통해 연통하는 것이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충진장치에 에어졸용기(2)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밸브개방부재(4)의 기계적인 작용에 의해 밸브기구를 개변 가능하기 때문에 공급부로부터의 분사제 압력만에 의해 밸브기구를 개변하는 기존의 충진장치와는 달리 공급부 측의 분사제의 압력이나 에어졸용기(2)마다 다른 스템(6)의 누름에 필요한 압력에 관계없이 밸브기구의 개변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공급부로부터 규정량의 분사제를 에어졸용기(2) 내에 확실하게 가압 충진 할 수 있다. 따라서 분사제의 충진 후에 있어서 에어졸용기(2) 내의 분사제의 충진량의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밸브기구를 기계적 작용에 의해 개변하기 위해 공급부에서 분사제를 스프링(32)과 스템개스킷(31)의 저항을 거의 받지 않고 에어졸용기(2) 내에 충진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부 측으로부터의 분사제 압력을 현저히 저하시키지 않고 에어졸용기(2) 내의 원액에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에어졸용기(2) 내에 유동성 나쁜 원액을 충진한 경우라도 이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원액으로의 분사제의 용해를 촉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에어졸용기(2) 내에는 미리 일정량의 분사제 및 원액이 충진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이 밸브기구의 개변직후에는 일시적으로 에어졸용기(2) 내의 압력이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 높은 것이며, 에어졸용기(2) 내의 분사제 및 원액이 공급부 측에 역류하는 것이 된다. 그러나, 이 역류시에 있어서 도 5처럼 유통관(11) 내에 설치한 밸브부재(16)가 에어졸용기(2) 측으로부터의 분사제 압력에 의해 밸브좌(21) 측에 눌러져, 밸브부재(16)의 테이퍼부(18)가 탄성 변형하여 밸브좌(21)에 밀착하는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 유통로(14)가 밸브부재(16)에 의해 밀폐되므로 유통로(14)로부터 공급부 측으로의 분사제 및 원액의 역류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밸브부재(16)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분사제 및 원액의 역류에 의해 공급로(23)나 유통로(14) 내에 원액이 부착하게 되어 공급로(23) 내에 부착한 원액이 에어졸용기(2)를 충진장치에서 분리할 때 비산하고 뚜껑체(25) 등에 부착하거나 주위를 오염하는 등의 불편함이 쉽게 발생하게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부재(16)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불편함은 쉽게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공급부에서 공급로(23)를 통해 분사제를 에어졸용기(2) 측에 공급한 경우에는 공급부 측의 분사제가 유통로(14)를 통해 밸브부재(16)에 당접한다. 이때 에어졸용기(2) 내의 압력보다 공급부 측의 압력이 적어도 0.02MPa이상 높은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밸브부재(16)의 테이퍼부(18)가 공급부 측의 압력에 의해 유통소관(12) 측에 탄성 변형하고, 이 탄성 변형에 의해, 유통관(11)과 밸브부재(16)의 사이에 연통로(27)가 형성되는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 유통로(14)를 통과한 공급부 측에서의 분사제는 밸브부재(16)를 통해 연통로(27)를 통과하고 유통소관(12)의 연통구(13)로부터 유통소관(12) 내에 유입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유통소관(12) 내에 유입한 분사제는 밸브개방부재(4)의 연통공(8) 및 연통요부(10)를 통과하여 에어졸용기(2) 내에 충진 되는 것이 된다.
상기와 같이 에어졸용기(2) 내에 분사제를 공급부 측의 압력이 에어졸용기(2) 측의 압력보다 0.02MPa이상 높은 경우에 유입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분사제의 충진시에는 스템(41)을 누르기 위해 공급부 측의 압력을 에어졸용기(40) 측의 압력보다 적어도 약 0.6MPa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는 기존 충진장치의 경우와 비교하여 충진시에 공급부 측의 분사제가 최소한 필요로 하는 압력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분사제의 충진시에 있어서 밸브부재(16)의 저항이 매우 낮으므로 밸브부재(16)를 통과한 공급부 측의 분사제의 압력을 현저히 저하시키지 않고 분사제의 압력을 양호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분사제를 에어졸용기(2) 내에 충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규정량의 분사제를 효율적 에어졸용기(2) 내에 충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에어졸용기(2) 내의 원액에 분사제를 높은 압력으로 충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동성이 나쁜 원액을 사용한 경우에도 상기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원액으로의 분사제 용해를 촉진하는 것이 가능해져 에어졸용기(2) 내의 압력을 필요 이상으로 높이지 않고 적당한 압력으로 유지하면서 분사제를 충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4
또한, 상기 실시예 3에서는 밸브개방부재(4)의 외주에 밀폐부재(1)를 배치하고 있지만 상기와 같이 실시예 3의 밸브개방부재(4)를 이용한 경우, 에어졸용기(2) 내와 유통로(14)의 연통을 밸브개방부재(4)의 연통공(8) 및 연통요부(10)에서만 행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상기 실시예 1,2에서는 밸브개방부재(4)의 연통공(8) 및 연통요부(10) 외에 밸브개방부재(4)와 스템삽통구(35) 사이에 형성되는 연통간격(40)에 있어서도 에어졸용기(2) 내와 유통로(14) 사이의 에어졸내용물의 유통이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 3에서는 연통간격(40)에 있어서 에어졸내용물의 유통은 행해지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 때문에 상기 실시예 3의 밸브개방부재(4)를 조립한 경우에는 반드시 밸브개방부재(4)와 에어졸용기(2)의 스템삽통구(35) 사이를 밀폐 가능하게 하는 밀폐부재(1)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거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밀폐부재(1)을 마련하지 않고 도 7처럼 밸브개방부재(4)의 환상턱(37)의 저면에는 환상의 고정부재(45)를 공급관(22)의 하단측에 고정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환상턱(37)을 통해 고정부재(45)를 공급관(22)에 고정 배치하는 것에 의해 유통관(11)과 고정부재(45) 사이에 있어서 밸브개방부재(4)의 환상턱(37)을 공급관(22)의 내주에 접속 고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5)의 저부에는, 이 고정부재(45)의 저부와 에어졸용기(2)의 뚜껑체(25) 중앙에 형성한 입상부(41)와 당접을 회피하기 위해 내경을 입상부(41)의 외경보다 크게 한 저측요부(42)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에어졸용기(2)를 본 실시예의 충진장치에 접속하고 커버부재(28)의 하단측에 있어서 테이퍼상으로 확개 형성한 확개부(43)의 내주면에 에어졸용기(2)의 뚜껑체(25) 외주를 당접시킨 시점에서 충진장치에 설치된 밸브개방부재(4)의 누름체(36)의 선단측이 스템삽통구(35)로부터 에어졸용기(2)의 안쪽으로 진입한다. 그 때문에 도 7과 같이 밸브개방부재(4)의 누름체(36)의 선단면(38)에 의해 에어졸용기(2)의 밸브기구를 구성하는 밸브부재(44)가 아래쪽으로 눌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밸브개방부재(4)의 선단면(38)에 의해 밸브부재(44)를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에어졸용기(2)의 스템개스킷(31) 및 밸브부재(44)에 의해 폐지하고 있던 스템삽통구(35)가 밸브부재(44)의 아래쪽으로의 이동 및 스템개스킷(31)의 탄성 변형에 의해 개방되고 에어졸용기(2)의 밸브기구가 개변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밸브기구를 개변하는 것에 의해 에어졸용기(2) 내부 와 유통관(11)의 유통로(14)가 밸브개방부재(4)의 연통공(8) 및 연통요부(10)를 통해 연통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유통로(14)로부터 에어졸용기(2) 내로 또는 에어졸용기(2) 내에서 유통로(14)로 에어졸내용물의 유통이 가능해져 분사제의 충진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2: 에어졸용기 4: 밸브개방부재
8: 연통공 11: 유통관
12: 유통소관 13: 연통구
14: 유통로 15: 선단개구부
16: 밸브부재 21: 밸브좌
23: 공급로 27: 연통로

Claims (4)

  1. 원액 및 분사제를 미리 충진한 에어졸용기 내에, 이 에어졸용기에 설치한 밸브기구를 통해 분사제를 충진하는 분사제의 충진장치에 있어서, 하단측에 에어졸용기의 밸브기구에 임하여, 이 밸브기구의 밸브부재를 상시 누르고 개변하는 밸브개방부재를 배치하고, 이 밸브개방부재에 상기 밸브기구의 개변시에 에어졸용기 내부와 연통 가능하게 하는 연통공을 형성하고, 이 밸브개방부재의 상단 측에 공급로를 통해 분사제의 공급부와 연통하는 유통관을 배치하고, 이 유통관에 공급부로부터 에어졸용기로의 분사제의 가압유통시에는 이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상기 유통관의 유통로를 개구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에어졸용기로부터 공급부 측으로의 가압유통시에는 에어졸용기 내의 압력에 의해 유통관의 유통로를 폐지 가능하게 하는 밸브부재를 배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밸브개방부재에 의해 에어졸용기의 밸브부재를 상시 누르는 것에 의해 에어졸용기의 밸브기구를 개변 상태로 유지하고, 이 개변 상태에 있어서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이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밸브부재에 의해 에어졸용기 내에서 공급부 측으로의 에어졸내용물의 역류를 방지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공급부 측의 압력이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공급부에서 밸브부재, 밸브기구를 통해 에어졸용기 내에 분사제를 유입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제의 충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유통관은 내주면과 간격을 통해 안쪽으로 유통소관을 배치하고, 이 유통소관을 통해 유통관의 유통로와 밸브개방부재의 연통공을 연통가능하게 하고, 이 유통소관의 측벽에 상기 유통로와 연통하는 연통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유통소관의 선단개구부를 밸브부재로 피복하는 것에 의해 공급부에서 에어졸용기 내로의 분사제의 충진시에 있어서,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이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에 의해 밸브부재가 유통관 내면에 설치한 밸브좌에 밀착하여 유통관의 유통로를 폐지하고 분사제 및 에어졸내용물의 공급부 측으로의 역류를 저지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공급부 측의 압력이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공급부 측으로부터의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밸브부재가 유통소관 측으로 이동하여 유통관의 내주면과 밸브부재 사이에 분사제의 연통로를 형성하고, 공급부로부터 분사제를 상기 밸브부재 및 연통구를 통해 에어졸용기 측에 유통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제의 충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밸브부재는 사발형으로 형성한 탄성 부재로 구성되며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이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유통관의 밸브좌에 밀착하여 유통관의 유통로를 폐지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공급부 측의 압력이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유통소관 측에 탄성 변형하여 유통관의 내주면과 밸브부재 사이에 분사제의 연통로를 형성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제의 충진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밸브부재는 평판상으로 형성하고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이 공급부 측의 압력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유통관의 밸브좌에 밀착하여 유통관의 유통로를 폐지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공급부 측의 압력이 에어졸용기 측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유통소관 측으로 이동하고 유통관의 내주면과 밸브부재의 외주 사이에 분사제의 연통로를 형성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제의 충진장치.
KR1020117015705A 2009-12-09 2010-03-10 분사제의 충진장치 KR101301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9057 2009-12-09
JP2009279057 2009-12-09
PCT/JP2010/001688 WO2011070690A1 (ja) 2009-12-09 2010-03-10 噴射剤の充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324A true KR20110112324A (ko) 2011-10-12
KR101301732B1 KR101301732B1 (ko) 2013-08-28

Family

ID=44145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705A KR101301732B1 (ko) 2009-12-09 2010-03-10 분사제의 충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63786B2 (ko)
EP (1) EP2511184B1 (ko)
JP (1) JP5314766B2 (ko)
KR (1) KR101301732B1 (ko)
CN (1) CN102470938B (ko)
WO (1) WO20110706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3786B2 (en) * 2009-12-09 2014-10-21 Toyo Aerosol Industry Co., Ltd. Propellant filling device
US8844584B1 (en) * 2010-02-05 2014-09-30 Bissell Homecar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 pressurized dispenser refill system
US8392650B2 (en) 2010-04-01 2013-03-05 Intel Corporation Fast exit from self-refresh state of a memory device
BE1026905B1 (nl) * 2018-12-20 2020-07-22 Soudal Verbeterde vulling van vloeistoffen in polyurethaan spuitbussen
DE102019106315A1 (de) * 2019-03-12 2020-09-17 Jens Kühn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s Überdruckes in einer Spraydose
US20200360875A1 (en) 2019-05-14 2020-11-19 Sodastream Industries Ltd. Carbonation machine and a gas canister for a carbonation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7511A (en) * 1956-02-10 1960-08-02 Power Gas Ltd Valves
US3013591A (en) * 1959-12-04 1961-12-19 Kartridg Pak Co Pressure filler head of pressure-dispensed products and method
US3219069A (en) * 1962-09-12 1965-11-23 Aerosol Res Company Aerosol valve
DE1924386U (de) * 1963-05-29 1965-09-23 Robert Henry Abplanalp Aerosolspender.
US3310078A (en) * 1964-05-05 1967-03-21 Gen Tire & Rubber Co Semi-automatic filling device
FR1453313A (fr) * 1965-06-02 1966-06-03 Dupont S T Système de jonction amovible étanche de deux réservoirs
US3550649A (en) * 1968-02-08 1970-12-29 Philip Meshberg Method of filling two compartment container
US3556171A (en) * 1968-11-18 1971-01-19 Colgate Palmolive Co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of aerosol type containers
US3812645A (en) * 1968-12-18 1974-05-28 Applic Gaz Sa Method of filling containers with pressurized fluid and closing by means of a discharge valve assembly
DE1961486A1 (de) * 1969-12-08 1971-06-09 Grothoff Geb Zweifel Nachfuellbarer Behaelter zur Herstellung und Entnahme eines verspruehbaren Treibgas-Fluessigkeits-Gemisches
US3642035A (en) * 1970-07-17 1972-02-15 Ciba Geigy Corp Device for the filling of dispersers of the aerosol type having a separate self-contained propulsion unit
US3783576A (en) * 1972-02-07 1974-01-08 Pelorex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and sealing containers
US3825374A (en) * 1972-03-09 1974-07-23 R Kondo Air supply device
FR2313192A1 (fr) * 1975-03-13 1976-12-31 Pont A Mous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de remplissage d'un recipient pulverisateur
US4442875A (en) * 1981-12-09 1984-04-17 Robertshaw Controls Company Propellant charging head for filling a storage chamber of a propellant storage construction
US4727914A (en) * 1984-06-13 1988-03-01 The Gillette Company Apparatus for forming and packaging a delayed forming gel
US4651503A (en) * 1984-06-13 1987-03-24 The Gillett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d packaging unstable products
FR2633915B1 (fr) * 1988-07-05 1990-12-14 Valois Sa Dispositif pour introduire dans un recipient au travers d'une valve sertie sur ce recipient un tres petit volume de fluide avec une tres grande precision
US4919564A (en) * 1988-12-15 1990-04-24 David L. Neathery Manhole insert
US5112027A (en) * 1989-06-21 1992-05-12 Benkan Corporation Metal diaphragm valve
US5037001A (en) * 1989-06-23 1991-08-06 Fred Presant Means and method for metered single-drop dispensing of water solutions from aerosol container
DE3925211A1 (de) * 1989-06-24 1991-01-17 Miczka Franz Lothar Geneckte druckdose mit einem im dosenzylinder untergebrachten substratfolienbeutel
US5345980A (en) * 1989-09-21 1994-09-13 Glaxo Group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an aerosol container
GB8921337D0 (en) 1989-09-21 1989-11-08 Glaxo Group Ltd Method and apparatus
CH685454A5 (de) 1992-03-11 1995-07-14 Inventa Ag Rückschlagventil.
US5400920A (en) * 1993-07-29 1995-03-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ne-time fill aerosol valve
US5647408A (en) * 1996-03-12 1997-07-15 The Sherwin-Williams Company Aerosol can filling head
US5878798A (en) * 1997-02-28 1999-03-09 Eastman Kodak Company Valve system
JP3865485B2 (ja) * 1997-11-07 2007-01-10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用の流量調整装置
FR2777967B1 (fr) * 1998-04-28 2000-06-16 Oreal Organe d'activation d'une valve,valve equipee de cet organe et ensemble de distribution muni de cette valve
JP4090579B2 (ja) * 1998-07-14 2008-05-28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二重エアゾール容器の製造方法及びこの製造方法により形成した二重エアゾール容器
JP3992256B2 (ja) * 1998-10-01 2007-10-17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二重エアゾール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1089956A2 (en) * 2000-05-19 2001-11-29 The Gillette Company System for dispensing multi-component products
AU2002353790A1 (en) * 2001-10-03 2003-04-14 Medical Instill Technologies, Inc. Syringe and reconstitution syringe
CA2422244A1 (en) * 2002-03-14 2003-09-14 Homax Products, Inc. Aerosol systems and methods for mixing and dispensing two-part materials
US7063236B2 (en) * 2002-03-14 2006-06-20 Homax Products, Inc. Aerosol systems and methods for mixing and dispensing two-part materials
US20040003864A1 (en) * 2002-07-03 2004-01-08 Bloome James A. Aerosol filling adapter
US20080206161A1 (en) * 2002-10-25 2008-08-28 Dov Tamarkin Quiescent foamable compositions, steroids, kits and uses thereof
FR2854131B1 (fr) * 2003-04-28 2005-07-08 Valois Sas Procede de remplissage de reservoir de produit fluide, ensemble de remplissage de produit fluide et source de remplissage
US7124788B2 (en) * 2003-07-10 2006-10-24 Precision Valve Corporation Means and method for filling bag-on-valve aerosol barrier packs
EP1760385B1 (en) * 2004-06-01 2015-05-06 Surpass Industry Co., Ltd. Connector to be attached to liquid tank and liquid tank provided with the connector
US7438090B2 (en) * 2005-01-06 2008-10-21 Dynamic Air Inc. Booster valve
FR2884225B1 (fr) * 2005-04-12 2007-06-22 Airlessystems Soc Par Actions Procede de remplissage et dispositif de remplissage d'un reservoir de volume utile variable
JP2009119012A (ja) * 2007-11-14 2009-06-04 Advanex Inc カフ付医療具用インジケータ
JP2009123575A (ja) * 2007-11-16 2009-06-04 Toshiba Corp 燃料電池用カップラーおよび燃料電池
DE102008056813B4 (de) * 2008-11-11 2013-05-29 Khs Gmbh Behälter und Verfahren zum Füllen eines Behälters
US8863786B2 (en) * 2009-12-09 2014-10-21 Toyo Aerosol Industry Co., Ltd. Propellant filling device
US8550425B1 (en) * 2011-09-09 2013-10-08 Dennis W. Gilstad Impulse tolerant valve assembly
DE102012101635A1 (de) * 2012-02-29 2013-08-29 Oeco-Tech Entwicklung U. Vertrieb Von Verpackungssystemen Gmbh Wiederbefüllbarer Ausgabebehä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68027A1 (en) 2012-07-05
US8863786B2 (en) 2014-10-21
JPWO2011070690A1 (ja) 2013-04-22
EP2511184A1 (en) 2012-10-17
WO2011070690A1 (ja) 2011-06-16
JP5314766B2 (ja) 2013-10-16
KR101301732B1 (ko) 2013-08-28
CN102470938A (zh) 2012-05-23
CN102470938B (zh) 2013-06-05
EP2511184A4 (en) 2014-12-03
EP2511184B1 (en)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732B1 (ko) 분사제의 충진장치
US9156569B2 (en) Pediatric dosing dispenser
KR100955979B1 (ko) 유체 용기용의 이음매
JP4558209B2 (ja) 圧力制御装置を有する流体分与容器
US6568427B2 (en) Connector for fluid container
BRPI0815844B1 (pt) dispensador, e, método para prender uma válvula em um recipiente
KR101461683B1 (ko) 액체 탱크용 커넥터
US10639236B2 (en) Pediatric dosing dispenser
KR20080064891A (ko) 유체용 용기
KR20100022986A (ko) 플러그 구조
JP2008545931A (ja) Co2圧縮ガス源を有する容器
CN105822801A (zh) 一种单向阀及应用该单向阀的料理机
JP2011046438A (ja) 計量注出器及びそれを備える計量注出容器
US11858696B2 (en) Dispensing nozzles
US5722635A (en) Container valve coupling
US8196786B2 (en) Dispensing closure comprising a safety system
JP6929092B2 (ja) 炭酸飲料サーバ
JPH0536444Y2 (ko)
JPH1191843A (ja) 注入と取出しを可能にしたエアゾール充填弁
JP2010155639A (ja) 2液混合容器
JP2017197285A (ja) ネジ連結式の容器
JPWO2014129559A1 (ja) 医療用コネクタ、医療用コネクタアセンブリ及びコネクタ付き医療用容器
KR20230012729A (ko) 개선된 압축기체 공급장치
JP2000288112A (ja) 消火器
WO2008066211A1 (en) A structure of the cosmetics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