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683B1 - 액체 탱크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액체 탱크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683B1
KR101461683B1 KR1020090004309A KR20090004309A KR101461683B1 KR 101461683 B1 KR101461683 B1 KR 101461683B1 KR 1020090004309 A KR1020090004309 A KR 1020090004309A KR 20090004309 A KR20090004309 A KR 20090004309A KR 101461683 B1 KR101461683 B1 KR 101461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ocket
liquid
liquid tank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479A (ko
Inventor
토시유키 타카노하시
Original Assignee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0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3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 A41D19/0017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with slits for the fingers or part of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26UV light 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115Gas pressure storage over or displacement of liquid
    • Y10T137/3127With gas maintenance or application
    • Y10T137/314Unitary mounting for gas pressure inlet and liquid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액체 실부의 마찰력에 저항하여 플러그와 소켓의 이간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액체 탱크용 커넥터는 액체가 수용되는 액체 탱크의 마개부의 내주측에 헐겁게 끼워맞춰지는 플러그와, 플러그에 대하여 접속 이간 가능하게 한 소켓을 구비하고 있다. 소켓은 마개부의 외주에 형성된 바깥나사에 대하여 나사 결합 가능하게 함으로써 플러그와의 접속 이간을 행하는 슬리브를 가진다. 소켓에는 플러그와 소켓의 사이에서 액체 유로를 실하는 O 링의 결합력을 이기고, 소켓에 대하여 플러그를 이간시키는 압압력을 부여하는 압압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액체 탱크용 커넥터{CONNECTOR FOR LIQUID STORAGE TANK}
본 발명은 액체 탱크내의 액체를 외부로 공출(供出)하기 위한 액체 탱크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고순도 약품이나 일반 화학 약품 등의 액체는 생산 공장에서 폴리에틸렌 탱크 등의 액체 탱크에 충전되고, 이 액체 탱크에 형성된 충전·취출용 마개부(口栓部: 마개부, 입마개부)에 뚜껑을 설치한 상태로 출하되고 있다. 이러한 액체 탱크 중에 수용된 액체를 취출하는 수법으로서는, 용기 내부에 공기 등의 기체를 도입함으로써, 그 기체 압력에 의하여 액체를 용기 밖으로 송출하는 사이폰관 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 방식에서는, 액체 탱크의 마개부에 설치된 뚜껑을 제거한 후에, 마개부에 액체 유로가 되는 사이폰관 및 기체 공급로를 구비한 플러그를 설치한다. 그리고, 액체를 액체 탱크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튜브와, 기체를 도입하기 위한 튜브를 각각 연결 가능하게 한 소켓을 플러그에 접속함으로써, 액체를 취출하기 위한 액체 유로 및 기체를 도입하기 위한 기체 유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액체 탱크용 커넥터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2-5999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특허 문헌에는, 액체 탱크의 마개부의 내주측에 형성된 안나사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플러그가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마개부에 바깥나사가 형성된 용기, 즉, 마개부를 막는 캡 설치용 나사를 바깥나사의 용기에 사용할 수는 없다.
이에, 마개부가 바깥나사로 된 액체 탱크에 대하여도 플러그 및 소켓을 접속하기 위하여, 플러그를 마개부의 내주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소켓에 형성한 슬리브와 마개부의 바깥나사를 나사 결합시키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로부(爪部)를 형성한 플러그를 마개부에 밀어 넣고, 플러그를 마개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상정하지 않는 고정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는 여러 가지 이유로 플러그를 분리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하여, 플러그를 쉽게 마개부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플러그를 마개부의 내주에 대하여 헐겁게 끼워맞춰지는(遊嵌:유감)되도록 하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액체 유로를 형성할 때에 플러그와 소켓의 사이에 형성되는 액체 실부 (예를 들면, O 링)의 결합력 (마찰력)이 커서, 소켓과 함께 플러그가 마개부에서 뽑힐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액체 실(seal)부의 결합력에 저항하여 플러그와 소켓의 이간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액체 탱크용 커넥터는 액체가 수용되는 액체 탱크의 마개부의 내주측에 배치되는 플러그와, 이 플러그에 대하여 접속 이간 가능한 소켓을 구비하고, 이 소켓은 상기 마개부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 홈에 대하여 나사 결합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플러그와의 접속 이간을 실시하는 슬리브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이 접속된 액체 공출 상태에서, 상기 액체 탱크로부터 액체를 공출하는 액체 유로와, 상기 액체 탱크내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유로가 형성되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과의 사이에서 상기 액체 유로를 실(seal)하는 액체 실부의 결합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를 이간시키는 압압력(押壓力)을 부여하는 압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러그와 소켓의 사이에 형성한 액체 실부의 결합력 (마찰력)이 클 경우에는, 플러그로부터 소켓을 분리할 때에, 플러그가 소켓으로부터 접속 해제되지 않고 소켓과 함께 플러그도 액체 탱크의 마개부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 여,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실부의 결합력에 저항하여 (결합력을 이기고) 플러그를 이간시키는 압압 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였으므로, 플러그로부터 소켓을 분리시킬 때에, 플러그를 액체 탱크측에 접속시킨 채로 소켓을 플러그로부터 확실하게 이간시킬 수 있다.
한편, 압압 수단은 소켓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플러그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액체 탱크용 커넥터에서는 상기 플러그가 상기 마개부에 대하여 헐거운 끼워맞춤(遊嵌:유감)되어 있어도 좋다.
여러 가지 이유로 플러그를 액체 탱크의 마개부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플러그를 마개부에 대하여 헐겁게 끼워맞추는 것(遊嵌:유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플러그를 마개부에 대하여 헐겁게 끼워맞춰져 있더라도(유감시키더라도), 압압 수단에 의하여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확실하게 이간시킬 수 있으므로, 플러그가 소켓에 접속된 채로 액체 탱크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액체 탱크용 커넥터에서는,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의 사이에는 상기 기체 유로를 실하는 기체 실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체 실부가 상기 소켓측에 형성된 교환 가능한 실부 재료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기체 실부로서 교환 가능한 실 부재를 소켓측에 형성하였다. 이 실부 재료를 교환함으로써 기체 실부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소켓은 액체가 공급되는 설비측에 접속 고정되어 있는 것이 많고, 빈번한 교환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교환 가능한 실부 재료를 소켓측에 형성하여 둠으로써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 형태를 대신하여, 소켓측에 볼록부 (에지)를 형성하고, 이 볼록부를 플러그측에 밀어넣어 밀봉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 실부의 결합력을 이기고 플러그를 이간시키는 압압 수단을 설치하도록 하였으므로, 플러그로부터 소켓을 분리할 때에, 플러그를 액체 탱크측에 배치시킨 채로 소켓을 플러그로부터 확실하게 이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액체 탱크용 커넥터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액체 탱크(1)의 마개부(2)에 설치된 액체 탱크용 커넥터(10)가 도시되어 있다. 액체 탱크용 커넥터(10)는 마개부(2) 내에 수용되는 플러그(20)와, 플러그(20)에 대하여 접속 이간 가능하게 되는 소켓(50)을 구비하고 있다. 액체 탱크용 커넥터(10)는 액체 탱크(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를 취출하기 위하여, 액체 탱크(1)의 내부에 공기 등의 기체를 도입하고, 그 기체 압력에 의하여 액체를 액체 탱크(1)의 외부로 송출하는 사이폰관 방식에 사용되는 것이다.
반도체 고순도 약품 등의 약액 (액체)을 충전하는 액체 탱크(1)는, 예를 들면 내약품성의 수지 등의 성형품이다. 액체 탱크(1)의 상부에 설치된 마개부(2)는 액체 탱크(1)의 내부에 약액 등의 액체를 충전하거나, 또는 액체 탱크(1) 내의 약 액을 취출할 때에 사용하는 개구부이다.
마개부(2)는 액체 탱크(1)의 본체(1a)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여 상단을 개구시킨 원통 형상의 노즐로서, 도시하지 않지만, 캡을 설치함으로써 액체 탱크(1)의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캡은 내주면에 안나사가 형성된 형태로 하고, 마개부(2)의 외주면에 형성된 바깥나사(3)와 나사 결합시켜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플러그(20)는 수지 등의 형성 부품이며, 마개부(2)의 개구부에 위쪽으로부터 삽입하여 헐거운 끼워맞춤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즉, 플러그(20)의 하단부는 마개부(2)의 내주에 결합하는 클로나, 나사 결합하는 나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플러그(20)는 대략 원통 형상의 플러그 본체(21)에 형성된 기체 공급로(22) 및 사이폰관(23)을 구비하고 있다.
기체 공급로(22)는 외부에서 도입한 기체를 액체 탱크(1) 내에 공급하기 위한 유로이다. 이 기체 공급로(22)는 플러그 본체(21)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며, 플러그 본체(21)의 축 중심에 배치된 사이폰관(23)을 둘러싸도록 하여 복수개가 설치되어 있다.
사이폰관(23)은 액체 탱크(1) 내의 액체를 기체의 압력으로 밀어내서 취출하기 위한 유로로서, 플러그 본체(21)로부터 액체 탱크(1)의 바닥면 근방까지 뻗어 있다. 도시하는 사이폰관(23)은 플러그 본체(21)와 일체로 성형된 부분에 연장 관(23a)을 연결하여 필요한 길이가 확보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연장관(23a)을 포함한 전체를 사이폰관(23)이라고 한다.
또한, 사이폰관(23)의 상단 입구부에는, 소켓(50)에 설치한 액체 유출용 밸브(55)를 밀어 올려서 여는 밸브 조작부(25) (도5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밸브 조작부(25)는 밸브(55)의 하단부가 접촉하여 밀어 올려지도록, 사이폰관(23)의 액체 유로가 되는 관통부(25a) (도5 참조)를 남기고 상단 입구부를 부분적으로 (특히, 축 중심 위치를) 막은 것이다. 한편, 이 밸브 조작부(25)는 플러그(20)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소켓(50)의 형태 등에 따라서 불필요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술한 플러그(20)는 플러그 본체(21)의 상단부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형성되고 마개부(2)의 상단면에 계지되는 브림부(2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브림부(29)가 마개부(2)의 상단면과 밀착하는 아랫면에는 전주(全周)에 걸친 패킹(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패킹(31)에 의하여, 액체의 취출시에 액체 탱크(1)와 플러그(20)의 사이로부터 기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액체 탱크(1)의 수송시나 전도시에 있어서는, 액체 탱크(1)와 플러그(20)의 사이에서 기체나 액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실부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상술한 브림부(29)는 윗면에도 전주에 걸친 링 형태의 볼록부 (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볼록부는, 플러그(20)를 밀어넣은 상태로 캡을 설치할 때, 액체 탱크(1)의 수송시나 전도시(轉倒時) 등에 있어서, 액면의 흔들림 등에 의하여 기체 공급로(22)를 빠져 나가는 액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실부로서 기능한다.
전술한 구성의 액체 탱크용 커넥터(10)는 액체 탱크(1) 내의 액체를 취출할 때에, 도 1과 같이 소켓(50)을 플러그(20)에 대하여 연결한다.
소켓(50)은 소켓 본체(51)와, 이 소켓 본체(51)를 플러그(20)의 소정 위치에 삽입한 상태로 액체 탱크(1)에 고정하는 슬리브(60)를 구비하고 있다. 소켓 본체(51)는 대략 원주 형태인 부재에 액체 취출 유로(52) 및 기체 유로(53)(도2 참조)을 형성한 것이다. 한편, 기체 유로(53)는 도 1 등의 종단면도에는 나타나 있지 않다.
슬리브(60)는 소켓 본체(51)의 외주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슬리브(60)에는 소켓 본체(51)의 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요철의 계합부(61)가 형성되는 동시에, 마개부(2)의 바깥나사(3)와 나사 결합하는 안나사(62)(도5 참조)가 내주면 하단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소켓(50)을 설치할 때에는, 소켓 본체(51)를 플러그(20)의 소정 위치에 삽입한 후, 슬리브(60)를 회전시켜서 안나사(62)를 바깥나사(3)에 나사 결합시켜서 체결하면, 계합부(61)에 의하여 소켓 본체(51)가 끌어내려져서, 플러그(20)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로써, 마개부(2)에 대하여 헐겁게 끼워맞춰져 있던 플러그(20)도, 소켓(50)과 함께 동시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20)의 브림부(29)가 마개부(2)의 상단면과 슬리브(60)의 사이에서 끼워짐으로써, 플러그(20)가 마개부(2)에 대하여 고정된다.
액체 취출 유로(52)는 소켓 본체(51)의 축 중심 위치에 형성된 축 방향의 관통 구멍으로서, 그 상단부에는 액체를 유출시키는 외부 관로의 접속구(5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액체 취출 유로(52)는 플러그(20)와의 연결 상태에 있어서, 액체 탱크(1) 내에 삽입되어 있는 사이폰관(23)과 연통하여 일체의 액체 유로를 형성한다. 한편, 도시하는 접속구(52a)에는, 액체 유출용 외부 관로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 플 러그(도시하지 않음)를 나사 결합시켜서 연결하는 안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기체 유로(53)는 전술한 액체 취출 유로(52)와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 관통 구멍으로서, 한쪽 단부가 기체 공급원에 접속되는 동시에, 다른 쪽 단부가 플러그(20)의 기체 공급로(22)에 연통되는 유로가 된다. 기체 유로(53)와 기체 공급로(22)에 의하여 일체의 기체 유로가 형성된다. 기체 유로(53)에는, 기체 공급원에 접속되는 상단부에, 기체 공급용 외부 관로의 접속구(53a) (도2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하는 접속구(53a)에는, 기체 공급용 외부 관로의 일단에 설치된 플러그(도시하지 않음)를 나사 결합시켜서 연결하는 안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는 소켓(50)은 액체 취출 유로(52)에 밸브(55)을 구비한 형태이다. 이 밸브(55)는 밸브체(54a)(도3 참조)가 스프링(54b) (도3 참조)에 의하여 상시 아래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받고 있으므로, 도 5와 같이 플러그(20)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밸브체 (54a)가 밸브 시트에 밀착되어 액체 취출 유로(52)를 닫고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전술한 소켓(50)이 플러그(2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면, 플러그(20)측에 설치한 밸브 조작부(25)가 스프링(54b)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밸브체 (54a)를 밀어 올리기 때문에, 밸브체(54a)는 밸브 시트와의 밀착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밸브(55)가 열리게 됨으로써, 사이폰관(23) 및 액체 취출 유로(52)를 통하여 액체 탱크(1)의 외부로 유출되는 액체 유로가 형성된다.
플러그(20)에 소켓(50)을 설치하여 고정한 도 1의 상태에서는, 사이폰관(23)과 액체 취출 유로(52)의 사이를 연통시킨 액체 유로는 플러그(20)의 중심 통 부(24)(도5 참조)가 꽂히는 소켓(50)의 중심 구멍부(59)(도5 참조)의 내주측에 설치한 O 링(58)(액체 실부)에 의하여 실되어 있다. 이 O 링(58)의 탄성력에 의하여, 플러그(20)의 중심 통부(24)에 대한 소켓(50)의 결합력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기체 유로(53)로부터 기체 공급로(22)에 연통시킨 기체 유로는 내주측에서는, 상술한 O 링(58)에 의하여 액체 유로측과의 사이가 실되는 한편, 외주측에서는, 소켓 본체(51)의 단부와 플러그 본체(21)의 단부가 접촉함으로써 형성된 기체 실부(30)(도1 참조)에 의하여 실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본체(51)의 단부(51a)에는 플러그 본체(21)측으로 돌출하여 선단에 모서리부를 가진 볼록부 (에지) (51b)가 전주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51b)의 선단이 플러그 본체(21)의 단부(21a)에 대하여 압입됨으로써 기체 실이 확보되어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켓 본체(51)측에 교환 가능한 패킹(실 부재) (70)을 설치하고, 이 패킹(70)에 대하여 압입되는 볼록부(21b)를 플러그 본체(21)의 단부(21a)에 형성함으로써 기체 실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패킹(70)을 구비한 소켓(50)의 구성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패킹(70)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프론(등록상표) 등의 PTFE, 불소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소켓(50)은 액체가 공급되는 설비측에 접속 고정되어 있는 것이 많아서, 빈번하게 교환할 수 없기 때문에, 이렇게 교환 가능한 패킹(70)을 소켓(50)측에 설치하여 둠으로써,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의 상태는 소켓(50)의 슬리브(60)가 액체 탱크(1)의 마개부(2)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확실하게 유지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켓 본체(51)에는 소켓(50)을 플러그(20)로부터 이간시키기 위한 압압 수단(80)이 설치되어 있다. 압압 수단(80)은, 도 3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20)에 대하여 접근 이간 가능하도록 왕복동 가능하게 된 압압 로드(82)와, 압압 로드(82)를 아래 방향(플러그(20)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압축 스프링(83)을 구비하고 있다. 압축 스프링(83)의 상단은, 소켓 본체(51)의 상단에 고정된 마개체(84)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압압 수단(8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에 설치한 액체 취출 유로(52)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2개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접속 상태에서는, 압압 로드(82)의 선단(도에 있어서 하단)은 플러그(20)의 상단면에 접촉한 상태로 압축 스프링(83)의 작용에 의하여 플러그(20)를 아래쪽으로 누르고 있다. 이 압압 로드(82)에 의한 압압력은 전술한 O 링(58)에 의한 플러그(20)와 소켓(50)의 결합력 (마찰력)보다 크게 한다. 즉, 액체 실부를 구성하는 O 링(58)에 의한 결합력에 저항하여 (결합력을 이기고), 플러그(20)와 소켓(50)을 이간시킬 정도의 압압력이 압압 로드(82)에 부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플러그(20)로부터 소켓(50)을 분리할 때에, 플러그(20)를 마개부(2) 내에 남아 있게 한 상태로 소켓(50)을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액체 탱크용 커넥터(10)의 접속 해제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20)과 소켓(50)이 접속된 상태에서 액체 탱크(1) 내의 약액이 취출된다 (액체 공출 상태). 약액의 취출이 종료되면, 소켓(50)의 슬리브(60)를 회전시켜서, 마개부(2)과 슬리브(60)의 나사 결합 상태를 풀어 간다. 이것에 의하여, 소켓 본체(51)가 플러그(20)에 대하여 이간되어, 도 4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켓 본체(51)가 플러그(20)로부터 이간할 때에, 압압 수단(80)의 압압 로드(82)가 플러그 본체(21)를 아래쪽으로 누르고 있기 때문에, 액체 실부를 구성하는 O 링(58)에 의한 플러그 본체(21)와 소켓 본체(51)의 결합력에 저항하여 (결합력을 이기고), 플러그 본체(21)는 마개부(2)에 남아 있게 한 상태로, 소켓 본체(51)만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슬리브(60)를 회전시켜서 마개부(2)에 대한 나사 결합을 해제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켓(50)이 플러그(20)에 대하여 완전히 분리된다.
도 9에는, 비교예로서, 본 발명과 같은 압압 수단(80)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액체 탱크용 커넥터가 도시되어 있다. 압압 수단(80)을 구비하지 않으면,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O 링(58)에 의한 결합력을 이기고 소켓 본체(51)로부터 플러그 본체(21)을 이간시킬 수 없으므로, 플러그(20)가 소켓(50)과 함께 액체 탱크(1)로부터 분리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20)를 마개부(2)에 대하여 헐겁게 끼워맞추는 구성을 하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20)가 소켓과 함께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O 링(58)에 의한 액체 실부의 결합력을 이기고 플러그(20)를 소켓(50)으로부터 이간시키는 압압 수단(80)을 소켓(50)에 설치하도록 하였으므로, 플러그(20)로부터 소켓(50)을 분리할 때에, 플러그(20)를 액체 탱크(1)측에 접속시킨 상태로 두면서 소켓(50)을 플러그(20)로부터 확실하게 이간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탱크(1) 내로부터 액체를 취출할 경우에, 액체 탱크(1) 내에 기체 압력을 공급하여 액면에 압력을 작용시키고, 이 압력에 의하여 액체를 밀어내도록 하여 취출하고 있는데(사이폰관 방식), 소켓(50)의 액체 취출 유로(52)에 배관을 접속하여 펌프에 의하여 액을 취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기체 유로(53)는 액이 감소한 분만큼 액체 탱크(1) 내에 대기(大氣) 등을 공급하여 치환하기 위한 유로가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액체 탱크용 커넥터를 구비한 액체 탱크의 마개부의 주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체 탱크용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액체 탱크용 커넥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플러그로부터 소켓이 이간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플러그로부터 소켓이 이간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기체 실부로서 패킹을 채용한 변형예를 도시한 액체 탱크용 커넥터의 확대 단면도다.
도 7은 기체 실부를 도시하고, 에지 실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기체 실부를 도시하고, 패킹 실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비교예를 도시하고, 플러그가 소켓과 함께 액체 탱크의 마개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4)

  1. 액체가 수용되는 액체 탱크의 마개부의 내주측에 배치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에 대하여 접속 이간 가능하게 되는 소켓을 구비하고,
    상기 소켓은 상기 마개부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 홈에 대하여 나사 결합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플러그와의 접속 이간을 실시하는 슬리브를 가지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이 접속된 액체 공출 상태에서, 상기 액체 탱크로부터 액체를 공출하는 액체 유로와, 상기 액체 탱크 내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유로가 형성되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의 사이에서 상기 액체 유로를 실(seal)하는 액체 실부의 결합력에 저항하여,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를 이간시키는 압압력을 부여하는 압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마개부에 대하여 헐거운 끼워맞춤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의 사이에는 상기 기체 유로를 실하는 기체 실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체 실부는 상기 소켓측에 설치한 교환 가능한 실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의 사이에는 상기 기체 유로를 실하는 기체 실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체 실부는 상기 소켓측에 설치된 교환 가능한 실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탱크용 커넥터.
KR1020090004309A 2008-01-21 2009-01-19 액체 탱크용 커넥터 KR1014616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10934 2008-01-21
JP2008010934A JP5033002B2 (ja) 2008-01-21 2008-01-21 液体タンク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479A KR20090080479A (ko) 2009-07-24
KR101461683B1 true KR101461683B1 (ko) 2014-11-13

Family

ID=4087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309A KR101461683B1 (ko) 2008-01-21 2009-01-19 액체 탱크용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02270B2 (ko)
JP (1) JP5033002B2 (ko)
KR (1) KR101461683B1 (ko)
TW (1) TWI42391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498B1 (ko) * 2022-09-13 2023-02-07 윤승관 플라스틱 드럼통용 드럼 커플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19964A5 (nl) * 2011-05-02 2013-03-05 Dispack Projects Nv Bevestiging van een fitting op een vat.
JP6001837B2 (ja) * 2011-09-29 2016-10-05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液体タンク用コネクタ、液体タンク用コネクタ取付装置および液体タンク用コネクタの取付方法
DE102013105761A1 (de) * 2013-06-04 2014-12-04 Krones Ag Verschluss für Getränkeflasche mit Zuführmöglichkeit für gasförmiges Medium
WO2015042109A1 (en) 2013-09-20 2015-03-26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sure dispensing of high viscosity liquid-containing materials
JP6388818B2 (ja) * 2014-10-31 2018-09-12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プラグ一体型容器
JP6486666B2 (ja) 2014-11-26 2019-03-20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液体取出システムおよび液体取出装置
JP7004998B2 (ja) * 2017-07-21 2022-02-10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プラグおよびコネクタ
US11118706B2 (en) 2018-10-16 2021-09-14 FSI North America, Inc. Tank retro-fitting collar with square O-rings
EP3792215B1 (de) * 2019-09-12 2021-10-06 AS Strömungstechnik GmbH Entnahme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8693A (ja) * 1991-08-30 1993-03-09 Kao Corp セメント分散剤
JPH0858887A (ja) * 1994-07-11 1996-03-05 State Ind Inc タンクのコネクタ組立体
JP2002059993A (ja) * 2000-08-21 2002-02-26 Surpass Kogyo Kk 接続器具
WO2005119115A1 (ja) * 2004-06-01 2005-12-15 Surpass Industry Co., Ltd. 液体タンク取付用コネクター及びそれを備えた液体タンク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5885A (en) * 1960-02-18 1962-11-27 Anheuser Busch Beer barrel tapping device
US3591058A (en) * 1968-11-05 1971-07-06 Republic Corp Tapping device for beer kegs and the like
USRE27626E (en) * 1970-11-18 1973-04-17 Beer tapping device
US4736926A (en) * 1986-11-07 1988-04-12 Draft Systems, Inc. Valve assembly and coupler therefor
US5108015A (en) * 1990-07-06 1992-04-28 Fluoroware, Inc. Multiple tube to bung coupling
US5957328A (en) * 1992-09-11 1999-09-28 Now Technologies, Inc. Liquid chemical dispensing and recirculating system
US5875921A (en) * 1997-03-12 1999-03-02 Now Technologies, Inc. Liquid chemical dispensing system with sensor
JP3299495B2 (ja) * 1997-12-29 2002-07-08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誤接続防止コネクタ−
JP3929000B2 (ja) * 1998-05-08 2007-06-13 アイセロ化学株式会社 高純度薬品液用容器
US6286730B1 (en) * 1998-06-16 2001-09-11 Vent-Matic Co., Inc. Valve assembly for controlling fluid ingress and egress from a transportable container which stores and distributes liquid under pressure
US6109485A (en) * 1998-06-16 2000-08-29 Vent-Matic Co., Inc. Self regulating valve assembly for controlling fluid ingress and egress from a transportable container which stores and distributes liquid under pressure
US6302148B1 (en) * 1999-10-26 2001-10-16 Surpass Industry Co. Ltd. Coupling device
JP4481446B2 (ja) * 2000-07-11 2010-06-16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複数流路を有するコネクタ
US6378742B1 (en) * 2000-10-10 2002-04-30 Rieke Corporation Fluid dispensing closure
JP4824928B2 (ja) * 2004-12-27 2011-11-30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914559B1 (ja) * 2006-01-31 2007-05-16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流体用容器
JP3914560B1 (ja) * 2006-01-31 2007-05-16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流体容器用の継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8693A (ja) * 1991-08-30 1993-03-09 Kao Corp セメント分散剤
JPH0858887A (ja) * 1994-07-11 1996-03-05 State Ind Inc タンクのコネクタ組立体
JP2002059993A (ja) * 2000-08-21 2002-02-26 Surpass Kogyo Kk 接続器具
WO2005119115A1 (ja) * 2004-06-01 2005-12-15 Surpass Industry Co., Ltd. 液体タンク取付用コネクター及びそれを備えた液体タン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498B1 (ko) * 2022-09-13 2023-02-07 윤승관 플라스틱 드럼통용 드럼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33002B2 (ja) 2012-09-26
TW200936488A (en) 2009-09-01
KR20090080479A (ko) 2009-07-24
TWI423918B (zh) 2014-01-21
JP2009173292A (ja) 2009-08-06
US20090184119A1 (en) 2009-07-23
US8602270B2 (en)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683B1 (ko) 액체 탱크용 커넥터
KR101453122B1 (ko) 플러그 구조
KR100955979B1 (ko) 유체 용기용의 이음매
US8628119B2 (en) Tube connector
US8590566B2 (en) Coupling device
US6568427B2 (en) Connector for fluid container
JP2002114242A (ja) 容器及びそれに用いるプラグ
KR102465685B1 (ko) 밸브 일체형 용기, 이를 구비한 액체 취출장치, 및 밸브 일체형 용기의 제조 방법
KR20080064891A (ko) 유체용 용기
KR101322257B1 (ko) 커넥터 구조
KR101301732B1 (ko) 분사제의 충진장치
US9010352B2 (en) Socket structure
JP5427501B2 (ja) レフィール容器及び吐出容器
WO2007139175A1 (ja) カップラーのプラグ構造
US11858696B2 (en) Dispensing nozzles
JP4916667B2 (ja) 注出容器
KR101714346B1 (ko) 디스펜서 용기의 펌프구조
WO2021002413A1 (ja) 飲料サーバーキャップおよび飲料供給機構
JP2008087769A (ja) 液体貯留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