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854A -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854A
KR20110107854A KR1020117019010A KR20117019010A KR20110107854A KR 20110107854 A KR20110107854 A KR 20110107854A KR 1020117019010 A KR1020117019010 A KR 1020117019010A KR 20117019010 A KR20117019010 A KR 20117019010A KR 20110107854 A KR20110107854 A KR 20110107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signal
voltage
operating
detecto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르겐 클리어
리카르트 프팔러
Original Assignee
오스람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람 아게 filed Critical 오스람 아게
Publication of KR20110107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 H05B41/298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05B41/2981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otecting the circuit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05B41/2985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otecting the circuit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against abnormal lamp operat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 H05B41/298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광 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검출기 회로에 관한 것으로, 시동 단계 이후 검출 인터벌에서 제1 신호가 제1 입력부에 존재하고 및/또는 제2 신호가 제2 입력부에 존재한다면 비활성 형광 램프가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안정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및 방법{DETECTOR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LUORESCENT LAMP}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전자 안정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형광 램프들이 왜 고장이 나는지에 관한 가능한 이유는 전극들의 일부분 상에서의 감소되는 방출 전력이다(수명의 종료점 효과(end-of-life effect)로 불림). 상기 효과는 두 개의 전극들 중 하나에서 형광 램프의 유효 수명의 마지막에서 발생한다. 결과는, 방전 전류가 반대 방향으로 보다는 한 방향으로 더욱 쉽게 램프를 통과해 흐르는 것이다. 이 경우에 형광 램프는 정류기로서 기능한다. 전극에서 방출할 수 없는 상기 전극은 너무 뜨거워져서 램프의 표면 상에 고온들이 발생할 수 있다. 극단적인 경우에, 작은-지름 형광 램프들의 유리 벌브는 녹을 수 있다.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자 안정기(EB)는 상기 하나의 이러한 결함 사건을 즉각적으로 검출하고, 출력 전류와 출력 전압 중 어느 하나를 각각의 경우에 비-결정적 값으로 제한하거나 형광 램프를 스위치 오프 해야 한다.
EB는 램프를 실제로 동작시키는 것을 넘어서 다양한 제어 및 모니터링 기능들을 수행해야 한다. 특히 어떻게 EB가 연결되는지에 따라, 이러한 종류의 제어 및 모니터링 기능들은 별도의 회로 컴포넌트들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단점들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특히 효율적이고 유연성 있는 전자 안정기에 대한 접근법을 제공하기 위해 또는 경우에 따라서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다기능 검출기 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로는 예컨대 연결 모드의 종류에 따라 제어 및/또는 모니터링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독립항들의 특징들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개선예들은 또한 종속항들로부터 나올 것이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재되는 것은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이며, 여기서 시동 단계 이후에 검출 인터벌 동안에 제1 신호가 제1 입력부에 존재하고 및/또는 제2 신호가 제2 입력부에 존재한다면 비활성 형광 램프가 검출될 수 있다.
형광 램프는 특히, 아직 점화되지 않았거나 또는 소화되었다면 비활성 상태일 것이다.
검출기 회로에 대한 상기 접근법은, 예컨대 상이하게 연결되고 및/또는 상이한 개수의 형광 램프들을 갖는 전자 안정기들 내에서의 유연성 있는 사용을 허용할 것이다.
검출 인터벌은 예컨대 대략 2V 내지 대략 3V의 범위에 있는 전압 인터벌에 대응한다.
개선예는, 시동 단계 동안에 하나의 형광 램프 또는 두 개의 형광 램프들이 검출기 회로의 입력부들에서의 전압들의 비교를 통해 연결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점에서, 시동 단계가 코일 모니터링을 위해 요구되는 지속기간을 갖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예열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속기간을 갖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예비 측정 및 모니터링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가 점화되기 이전에 상기 시동 단계 동안에 수행될 수 있다.
추가적인 개선예에서는,
- 시동 단계 동안에 입력부들에서 비교할 때 두 개의 전압들이 그 크기가 대략 동일하다면 두 개의 형광 램프들이 연결되는지,
- 이때, 그렇지 않으면 단 하나의 형광 램프가 연결되는지
가 결정될 수 있도록 검출기 회로가 셋업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검출기 회로는 자신이 하나의 인스턴스에서 사용되었는지 또는 다른 인스턴스에서 사용되었는지의 여부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들에서의 전압들이 대략 2 팩터 정도(by a factor of two) 상이할 때 단 하나의 형광 램프만이 사용되고 있다고 추론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측정치들 중 양쪽 비교들(입력부들에서의 전압들이 그 크기가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입력부들에서의 전압들이 상당히 상이함(대략 2 팩터 정도)) 또는 단 하나가 따라서 하나의 형광 램프가 연결되었는지의 여부 또는 두 개의 형광 램프들이 연결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개선예는,
- 하나의 형광 램프가 연결된다면, 시동 단계 이후에 작동시키는 것이 제1 입력부에서의 제1 신호의 함수로서 및 제2 입력부에서의 제2 신호의 함수로서 아래의 기준들 중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고,
-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가 제1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한다면, 출력 전압이 감소되거나 또는 작동 주파수가 증가될 것이고;
-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가 제2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하고 각각의 다른 신호가 제2 또는 제3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한다면, 형광 램프는 점화 전압으로 작동될 것이고;
- 제1 신호 및 제2 신호가 제3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한다면, 형광 램프는 작동될 것이고, 특히 형광 램프 상의 출력 전압이 모니터링될 것이고;
-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가 제4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한다면, 출력 전압은 감소되거나 또는 작동 주파수는 증가될 것이다.
전술된 기준들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실시예에서는,
- 두 개의 형광 램프들이 연결된다면, 시동 단계 이후에 작동시키는 것은 제1 입력부에서의 제1 신호의 함수로서 및 제2 입력부에서의 제2 신호의 함수로서 아래의 기준들 중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가 제1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한다면, 출력 전압이 감소되거나 또는 작동 주파수가 증가될 것이고;
- 제1 신호 및 제2 신호가 제2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한다면, 형광 램프는 점화 전압으로 작동될 것이고;
- 배타적으로 제1 신호 또는 배타적으로 제2 신호가 제2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하고, 각각의 다른 신호가 제3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한다면, 형광 램프는 감소된 점화 전압으로 작동될 것이고;
- 제1 신호 및 제2 신호가 제3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한다면, 형광 램프는 작동될 것이고, 특히 형광 램프 상의 출력 전압이 모니터링될 것이고;
-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가 제4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한다면, 출력 전압은 감소되거나 또는 작동 주파수는 증가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진술 "배타적으로 제1 신호 또는 배타적으로 제2 신호"가 제1 및 제2 신호 상에서 수행되는 논리적 EXOR 연산에 대응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출력 전압에서의 전술된 감소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가 작동되지 않거나 또는 검출기 회로 및/또는 전자 안정기가 스위치 오프 될 가능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기준들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전압 인터벌들은 특히 서로 인접하게(mutually adjoining) 배열된다. 예컨대, 하기의 전압 인터벌들은:
- 제1 전압 인터벌: 전압은 3V보다 더 크다;
- 제2 전압 인터벌: 전압은 2V 내지 3V의 범위에 있다(각각의 경우에 2V와 3V를 포함);
- 제3 전압 인터벌: 전압은 2V를 포함하여 0.5V 내지 최대 2V의 범위에 있다;
- 제4 전압 인터벌: 전압은 0.5V보다 더 낮다.
추가로, 개선예에서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가 시동 단계 동안에 각각 제1 특정 전압보다 더 크고 제2 특정 전압보다 더 낮다면,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가 제1 입력부에서의 제1 신호의 함수로서 및 제2 입력부에서의 제2 신호의 함수로서 적어도 하나의 하프-브릿지 인버터를 통해 작동될 것이다.
시동 단계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가 작동되기 이전의 시간의 기간이다. 따라서, 상기 형광 램프는 예컨대 하프-브릿지 회로(또는 하프-브릿지 인버터)를 통해, 풀-브릿지 회로를 통해, 또는 푸쉬-풀 회로를 통해 작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특정 전압이 바람직하게도 제2 특정 전압보다 더 낮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다시 말해, 제1 신호 및 제2 신호 각각이 제1 특정 전압 내지 제2 특정 전압 사이의 인터벌에서 발생한다면,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가 ―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하프-브릿지 인버터를 통해) ― 작동될 것이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의 적어도 하나의 코일은 유리하게도 검출될 수 있고, 이때 검출기 회로는 상이한 EB 토폴로지들(램프-대-접지 또는 커패시터-대-접지 연결 모드들)에서 그리고 특히 하나의 형광 램프 또는 두 개의 형광 램프들과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두 개의 입력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 상의 고전압(예컨대 제2 특정 전압보다 더 큼)에 대응하는 상위 임계치가 검출기 회로 내의 고전류 흐름에 대등(equivalent)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검출기 회로는, 이러한 종류의 고전압과 일치하여,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가 더 이상 작동될 수 없는 검출기 회로의 공급 전압 상에서 이러한 부하를 부과하는 전류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하여, 두 개의 입력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 상의 고전압은, 공급 전압으로부터 전류원에 의해 변환되는 고전류에 대응하고,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가 작동되는 것을 중지시킨다.
본 접근법의 다른 장점은, 필요하지 않을 때 제어 및 모니터링 기능들을 위한 다수의 회로 컴포넌트들이 생략될 수 있도록 검출기 회로가 유연성 있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개선예에서는, 제2 특정 전압이 전류원에 의해 미리정의된다.
특히, 개선예에서는, 입력부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전류원에 연결되고, 전류원은 입력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전압의 함수로서 공급 전압 상에 부하를 부과한다.
전류원은 예컨대 제어 가능한 전류원으로서 구현된다.
개선예에서는, 전자 안정기가 시동하기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 안정기가 시동하기 이전에 또는 경우에 따라 형광 램프가 점화되기 이전에 코일 검출이 바람직하게도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개선예에서는, 시동 단계 동안에,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가 제2 특정 전압보다 더 크다면 또는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가 제1 특정 전압보다 더 작다면, 특히 적어도 하나의 하프-브릿지 인버터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가 작동되지 않는다.
그 경우 코일들이 (아직) 정확하게 검출되지 않아,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는 여전히 작동되지 않을 것이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코일들이 정확하게 접촉될 때까지 EB가 특히 대기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장점은, 한쪽에서만 홀더에 삽입된다면 형광 램프가 점화되지 않아서, 예컨대 형광 램프가 바뀔 때 사용자가 감전될 수 없다는 것이다.
특히, 개선예에서는,
- 하나의 형광 램프를 갖는 연결 모드의 경우에, 분압기를 통과하는 제1 신호는 형광 램프 상의 전압에 대응하고, 분압기를 통과하는 제2 신호는 기준 전압에 대응하고;
- 두 개의 형광 램프들을 갖는 연결 모드의 경우에, 분압기를 통과하는 제1 신호는 제1 형광 램프 상의 전압에 대응하고, 분압기를 통과하는 제2 신호는 제2 형광 램프 상의 전압에 대응한다.
따라서, 검출기 회로는 유리하게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갖는 연결 모드에서 또는 두 개의 형광 램프들을 갖는 연결 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개선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가 커패시터-대-접지 토폴로지로 또는 램프-대-접지 토폴로지로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의 상이한 토폴로지들, 말하자면 연결 모드들에서 검출기 회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검출기 회로는 필수 동작 또는 경우에 따라 양쪽 종류들의 연결 모드에서 필수 제어 및 모니터링 기능들을 정확하게 추론할 것이다.
대안적인 실시예 변형예는 전압 인터벌들을 결정하기 위해 비교기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 차례의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제어기를 통해 입력들의 신호들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비교기들은 임계치들을 검출하기 위한 연관된 스위칭 로직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제어기는, 어쩌면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대-디지털 컨버터(A/D 컨버터)와 조합으로,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하여, 입력부들에서의 신호들을 로그하고 적절히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하프-브릿지에 의해 전압-제어된 오실레이터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하프-브릿지 또는 전압-제어된 오실레이터는 예컨대 검출기 회로의 일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자 안정기의 일부일 수 있다. 검출기 회로는 특히 전자 안정기의 일부일 수 있거나 또는 전자 안정기에 링크될 수 있다.
개선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가 제어 가능한 전류원에 연결되고, 이때 제어 가능한 전류원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전압의 함수로서 공급 전압 상에 부하를 부과한다.
전류원이 입력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 상의 전압의 함수라는 점에서 적절하게 높은 전류의 형태로 공급 전압 상에 부하를 부과할 수 있어서,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가 관련 입력부 상의 고전압 때문에 작동되지 않을 것이다(또는, 경우에 따라, 더 이상 작동될 수 없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검출기 회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화된 회로의 형태로 구현된다.
전술된 목적은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검출기 회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자 안정기를 통해 달성된다.
EB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디밍하기 위한 및 수명의 종료점 검출을 위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형광 램프가 동작중일 동안에 발생하는 결함 사건은 검출기 회로에 의해 즉각적으로 검출될 수 있고 상기 램프 중단(lamp cease)이 작동된다(형광 램프가 비활성 상태로 스위치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는, 수명의 종료점 검출을 위한 및 형광 램프를 스위칭 오프 하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전술된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통해 달성되며,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트림 부하 회로를 갖는 하프-브릿지 인버터,
- 상기 부하 회로 및 하프-브릿지 인버터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커패시터
를 포함하고,
- 부하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위한 단자들을 갖고,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 상기 하프-브릿지 인버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검출기 회로
를 포함한다.
전술된 목적은 또한 본 명세서에 제시된 설명들에 따라 검출기 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을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들의 도움으로 아래에서 제시되고 설명된다.
도 1은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회로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커패시터-대-접지 토폴로지로 하나의 형광 램프를 갖는 EB를 나타낸다.
도 3은 커패시터-대-접지 토폴로지로 두 개의 형광 램프들을 갖는 EB를 나타낸다.
도 4는 램프-대-접지 토폴로지로 하나의 형광 램프를 갖는 EB를 나타낸다.
도 5는 램프-대-접지 토폴로지로 두 개의 형광 램프들을 갖는 EB를 나타낸다.
도 1은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회로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은 다수의 비교기들(Comp11, Comp12, Comp13, Comp21, Comp22, Comp23, Comp31, 및 Comp32)을 포함하고, 상기 비교기들의 출력부들은 논리 유닛(101)에 연결된다. 논리 유닛(101)은 전압-제어된 오실레이터(VCO)(102)를 구동하고, 예컨대 하프-브릿지 회로 또는 하프-브릿지 인버터의 전자 스위치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두 개의 구동 신호들(LSG, HSG)이 상기 논리 유닛(101)의 출력부에서 제공된다.
제어 회로는 수명의 종료점 회로, 특히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동작시키고 및/또는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명의 종료점 검출기 회로의 일부일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전자 안정기(EB)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하프-브릿지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일체화된 회로의 일부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 회로는 두 개의 입력부들(EOL1, EOL2) 그리고 공급 전압(VCC)을 위한 입력부를 갖는다. 입력부들(EOL1 및 EOL2) 모두는 형광 램프 상의 전압 또는 상기 입력부들(EOL1 및 EOL2) 사이의 연결부에서의 전압을 검출하기에 적절하다. 각각의 경우에 입력부(EOL1) 및/또는 입력부(EOL2)에서 검출될 수 있는 전압은 제어 회로를 통해 적절히 평가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 회로는 예컨대 아래와 같이 구현되는 목적을 위한 것이다: 입력부(EOL1)는 비교기(Comp31)의 입력부에 연결되고, 비교기(Comp31)의 다른 입력부는 노드(108)에 연결된다. 노드(108)는 레지스터(106)를 통해 입력부(EOL2)에 연결된다. 노드(108)는 또한 레지스터(105)를 통해 접지에 연결된다. 입력부(EOL2)는 추가로 비교기(Comp32)의 입력부에 연결되고, 상기 비교기(Comp32)의 다른 입력부는 노드(109)에 연결된다. 노드(109)는 레지스터(104)를 통해 접지에 연결되고, 레지스터를 통해 입력부(EOL1)에 연결된다.
입력부(EOL1)는 각각의 경우에 비교기들(Comp11, Comp12, 및 Comp13)의 입력부에 연결된다. 비교기(Comp11)의 다른 입력부는 3V의 전위에 인가(apply)되고, 비교기(Comp12)의 다른 입력부는 2V의 전위에 인가되며, 비교기(Comp13)의 다른 입력부는 0.5V의 전위에 인가된다.
입력부(EOL2)는 각각의 경우에 비교기들(Comp21, Comp22, 및 Comp23)의 입력부에 연결된다. 비교기(Comp21)의 다른 입력부는 3V의 전위에 인가되고, 비교기(Comp22)의 다른 입력부는 2V의 전위에 인가되며, 비교기(Comp23)의 다른 입력부는 0.5V의 전위에 인가된다.
비교기들을 통해,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네 개의 전압 범위들 중에서 입력부들(EOL1 및 EOL2)에서의 입력 전압들이 어디에 위치되는지가 결정될 수 있다.
입력부(EOL1)는 전류원(107)의 입력부에 연결되고, 입력부(EOL2)는 전류원(107)의 다른 입력부에 연결된다. 전류원은 게다가 공급 전압(VCC)에 연결된다. 공급 전압(VCC)은 Z 다이오드(D1)를 통해 논리 유닛(101)에 연결되고, Z 다이오드(D2)는 공급 전압(VCC)과 접지 사이에 배열된다.
따라서, 입력부들(EOL1 및 EOL2) 둘 다 또는 상기 두 개의 입력부들 중 단 하나의 입력부는 제어 가능한 전류원(107)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어 가능한 전류원(107)은 입력부들(EOL1 및 EOL2)에서의 전압들의 함수로서 공급 전압(VCC) 상에 부하를 부과한다. 논리 유닛(101)은 공급 전압(VCC)이 특정 값을 초과한다면 VCO(102)를 작동시키기 위해 Z 다이오드(D1)를 통해 인에이블링될 것이다. Z 다이오드(D2)는 상기 공급 전압(VCC)이 더 이상 추가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상이한 연결 모드들로 하나 또는 두 개의 형광 램프들을 갖는 전자 안정기들(EB)의 예시적 회로 어레인지먼트들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회로 어레인지먼트들 각각은 도 1에서 도시되고 위에서 설명된 제어 회로를 갖는다.
회로 어레인지먼트들에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도시된 형광 램프들이 EB의 일부일 필요는 없으나 상기 형광 램프들과 접촉될 수 있는 단자들(홀더들, 예컨대)이 바람직하게도 제공된다는 것이다.
형광 램프 및 커패시터-대-접지 연결 모드를 갖는 EB
도 2는 커패시터-대-접지 토폴로지로 하나의 형광 램프를 갖는 EB를 나타낸다.
도 2는 이어지는 회로 어레인지먼트들에서 또한 발견될 회로 블록(201)을 나타내며, 여기서 회로 블록(201)으로서 또한 지시된다. 회로 블록(201)은 예컨대 아래에서 설명된다.
접지와 노드(202) 사이에는 공급 전압 또는 중간-회로 전압(VBus)이 존재한다. 노드(202)는 n-채널(MOS-FET Q1)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n-채널(MOS-FET Q1)의 소스 단자는 노드(HB) 및 n-채널(MOS-FET Q2)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된다. MOS-FET Q2의 소스 단자는 접지에 연결된다. MOS-FET Q1의 게이트 단자는 제어 회로(204)의 출력부(LSG)에 연결되고, MOS-FET Q2의 게이트 단자는 제어 회로(204)의 출력부(HSG)에 연결된다. 노드(HB)는 코일(L1)을 통해 노드(203)에 연결되고, 노드(203)는 커패시터(C1)를 통해 접지에 연결된다.
따라서, 회로 블록(201)은 한편으로 제어 회로(204)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 노드들(202 및 203)을 통해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나머지에 연결된다.
도 2에 따라, 노드(202)는 레지스터(R11)를 통해 제어 회로(204)의 공급 전압(VCC)을 위한 입력부에 연결된다. 노드(202)는 레지스터(R21)를 통해 램프(Lamp1)의 코일의 단자(205)에 연결된다. 코일의 다른 단자(206)는 레지스터(R22)를 통해 입력부(EOL1)에 연결되고, 입력부(EOL1)는 레지스터(R23)를 통해 접지에 연결된다. 단자(206)는 또한 커패시터(C2)를 통해 접지에 연결된다. 노드(202)는 레지스터(R31)를 통해 입력부(EOL2)에 연결되고, 입력부(EOL2)는 레지스터(R32)를 통해 접지에 연결된다. 노드(203)는 램프(Lamp1)의 코일의 단자(207)에 연결된다.
두 개의 형광 램프들 및 커패시터-대-접지 연결 모드를 갖는 EB
도 3은 커패시터-대-접지 토폴로지로 두 개의 형광 램프들을 갖는 EB를 나타낸다.
도 2와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된 것과 일치하여, 회로 블록(201)에는 두 개의 노드들(202 및 203)이 제공되었다.
예컨대 두 개의 형광 램프들(Lamp1 및 Lamp2)을 갖는 EB가 도시된다. 상기 형광 램프들은 홀더들 안에 있을 수 있고, 상기 홀더들 안으로 상기 형광 램프들이 삽입된다. 형광 램프들 각각은 두 개의 코일들을 갖고, 상기 두 개의 코일들은 각각 두 개의 단자들을 갖는다. 따라서, 형광 램프(Lamp1)는 제1 코일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들(301 및 302)과 제2 코일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들(303 및 304)을 갖는다. 형광 램프(Lamp2)는 대응하게도 제1 코일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들(305 및 306)과 제2 코일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들(307 및 308)을 갖는다.
노드(202)는 레지스터(R11)를 통해 단자(306)에, 레지스터(R12)를 통해 단자(301)에, 레지스터(R21)를 통해 단자(307)에, 그리고 레지스터(R31)를 통해 단자(303)에 연결된다.
노드(203)는 단자(302)에, 단자(305)에 연결되고, 제어 회로(204)의 공급 전압(VCC)을 위한 입력부에 레지스터(R13)를 통해 연결된다.
단자(304)는 변압기(T1)의 제1 코일을 통해 노드(309)에 연결되고, 단자(308)는 변압기(T1)의 제2 코일을 통해 노드(310)에 연결된다.
노드(309)는 커패시터(C3)를 통해 접지에 연결된다. 노드(309)는 게다가 레지스터(R32)를 통해 입력부(EOL1)에 연결되고, 이때 입력부(EOL1)는 레지스터(R33)를 통해 접지에 연결된다.
노드(310)는 커패시터(C2)를 통해 접지에 연결된다. 노드(310)는 게다가 레지스터(R22)를 통해 입력부(EOL2)에 연결되고, 이때 입력부(EOL2)는 레지스터(R23)를 통해 접지에 연결된다.
형광 램프 및 램프-대-접지 연결 모드를 갖는 EB
도 4는 램프-대-접지 토폴로지로 하나의 형광 램프를 갖는 EB를 나타낸다.
도 2와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된 것과 일치하여, 회로 블록(201)에는 두 개의 노드들(202 및 203)이 제공되었다.
노드(202)는 레지스터(R11)를 통해 제어 회로(204)의 공급 전압(VCC)을 위한 입력부에 연결된다.
공급 전압(VCC)의 입력부는 레지스터(R23)를 통해 노드(401)에 연결되고, 레지스터(R33)를 통해 입력부(EOL2)에 연결된다. 입력부(EOL2)는 레지스터(R34)를 통해 접지에 연결된다.
노드(203)는 레지스터(R21) 및 커패시터(C2)로 구성되는 병렬 회로를 통해 형광 램프(Lamp1)의 제1 코일을 위한 단자(402)에 연결되고, 레지스터(R22)를 통해 노드(401)에 연결된다. 노드(401)는 입력부(EOL1)에 연결되고, 레지스터(R24)를 통해 형광 램프(Lamp2)의 제2 코일을 위한 단자(404)에 연결된다. 형광 램프의 제2 코일을 위한 단자(403)가 접지에 연결된다.
두 개의 형광 램프들 및 램프-대-접지 연결 모드를 갖는 EB
도 5는 램프-대-접지 토폴로지로 두 개의 형광 램프들을 갖는 EB를 나타낸다.
도 2와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된 것과 일치하여, 회로 블록(201)에는 두 개의 노드들(202 및 203)이 제공되었다.
예컨대 두 개의 형광 램프들(Lamp1 및 Lamp2)을 갖는 EB가 도시된다. 상기 형광 램프들은 홀더들 안에 있을 수 있고, 상기 홀더들 안으로 상기 형광 램프들이 삽입된다. 형광 램프들 각각은 두 개의 코일들을 갖고, 상기 두 개의 코일들은 각각 두 개의 단자들을 갖는다. 따라서, 형광 램프(Lamp1)는 제1 코일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들(501 및 502)과 제2 코일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들(503 및 504)을 갖는다. 형광 램프(Lamp2)는 대응하게도 제1 코일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들(505 및 506)과 제2 코일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들(507 및 508)을 갖는다.
노드(202)는 레지스터(R11)를 통해 제어 회로(204)의 공급 전압(VCC)을 위한 입력부에 연결된다.
제어 회로(204)의 공급 전압(VCC)을 위한 입력부는 레지스터(R23)를 통해 입력부(EOL1)에 연결되고, 레지스터(R33)를 통해 입력부(EOL2)에 연결된다.
노드(203)는 레지스터(R31) 및 커패시터(C3)로 구성되는 병렬 회로를 통해 노드(510)에 연결되고, 레지스터(R21) 및 커패시터(C2)로 구성되는 병렬 회로를 통해 노드(509)에 연결된다.
노드(509)는 레지스터(R22)를 통해 입력부(EOL1)에 연결된다. 노드(510)는 레지스터(R32)를 통해 입력부(EOL2)에 연결된다.
노드(509)는 추가로 변압기(T1)의 제1 코일을 통해 단자(502)에 연결된다. 노드(510)는 변압기(T1)의 제2 코일을 통해 단자(506)에 연결된다.
입력부(EOL1)는 레지스터(R24)를 통해 단자(503)에 연결되고, 입력부(EOL2)는 레지스터(R34)를 통해 단자(508)에 연결된다. 두 개의 단자들(504 및 507)이 접지에 연결된다.
분압기들의 디멘셔닝
형광 램프의 코일과 커플링 커패시터(C2, C3)에 연결된 분압기들(R21, R22 또는 R31, R32)은, 램프가 버닝하지 않는 시간 동안에, 전자 안정기가 동작하는 동안에(VBus = 400V, 하프-브릿지 변압기들이 작동됨, 시간에 따라 평균화된 노드(HB)에서의 전위는 약 200V), 상기 코일의 전위가 예컨대 약 360V인 노드(HB)의 전위보다 상당히 더 높도록 셋팅된다.
상기 코일의 전위는 추가로 아래로(down) 분할되고 EOL 입력부로 공급(duct)되며, 그 결과로 상기 EOL 입력부에서의 전압이 2V를 초과할 것이며, 동시에 EB는 램프가 버닝하지 않은 시간 동안에 동작하고(그 경우 램프의 저항은 대단히 크다) 램프가 점화된 이후에 2V 아래로 떨어질 것이다(램프의 저항은 예컨대, 100Ω 내지 100㏀의 범위에 있다).
단 하나의 형광 램프를 갖는 회로 어레인지먼트들에서(도 2, 도 4), 입력부(EOL2)는 분압기에 연결되고, 상기 분압기는 입력부들(EOL1 및 EOL2) 모두가 (대략) 동일한 입력 전압을 가지고 동시에 램프가 고전력 출력으로 동작하도록(램프의 저항은 예컨대 100Ω 내지 1㏀의 범위에 있다) 고정 전압을 분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 어레인지먼트에서, 중간-회로 전압(VBus)이 그를 위해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입력부(EOL1)에서의 전압이 또한 중간-회로 전압(VBus)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급 전압(VCC)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 어레인지먼트에서 분할되는데, 그 이유는 EOL1에서의 전압이 여기서 상기 공급 전압(VCC)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이다.
코일 인터로게이팅( interrogating )
램프 결함 때문에 스위치 오프 된 EB는 램프가 바뀌었을 때 자동으로 재시동해야 한다.
두 개의 램프 코일들의 전기 연속성 중 적어도 하나가 그 목적으로 체크된다: 스위치-오프 기능은, 코일이 인터로게이팅 되었다면 그리고 연속성이 재설정되었을 때 EB가 재시동할 수 있다면 리셋될 수 있다.
안전을 위해, 램프가 한쪽에서만 홀더에 삽입되었다면 ― 이때, 점화 전압이 공급됨 ― EB가 시동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램프의 다른 한쪽에 있는 단자들이 터치될 경우, 램프를 그렇지 않으면 점화되고 감전을 유발할 수 있다.
점화 전압은 공진 회로(L1, C1)에 연결되는 홀더에 공급된다. EB가 두 개의 형광 램프들을 갖는 경우에(도 3, 도 5), 상기 전압은 변압기(T1)(밸런싱 변압기)에 연결되는 홀더에 추가로 공급된다. 상기 홀더들 반대편에 각각 있는 램프 코일들은 바람직하게도 전기 연속성에 대해 체크된다.
코일 인터로게이팅은 바람직하게도 EB가 시동하기 이전에 또는 경우에 따라서 EB가 시동할 때 이루어진다. 하프-브릿지 트랜지스터들(Q1, Q2)은 그 경우에 아직 작동되지 않을 것이고, 중간-회로 전압(VBus)은 시스템 전압에 따라 예컨대 176V 내지 375V의 범위에 있을 것이다. 램프들(Lamp1, Lamp2)은 아직 버닝하지 않는다(각각의 램프의 저항이 대단히 크다는 의미이다).
입력부들(EOL1 및 EOL2)에서의 전압은, 코일들이 삽입되고, 상기 코일들이 적절하다(in order)면, 대략 0.5V 내지 대략 3V의 범위에 있다.
대조적으로, 코일이 빠진다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들에서 입력부들(EOL1 및 EOL2)에서의 관련 전압은 각각의 경우에 0V가 될 것이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들에서 입력부들(EOL1 및 EOL2)에서의 전압은 3V보다 더 클 것이다. EB는 어느 경우이든지(0V의 경우와 3V보다 큰 경우) 시동해서는 안된다. EB는 입력부들(EOL1 및 EOL2)에서의 전압이 0.5V 내지 3V의 범위에 있지 않는 한 시동하지 않을 것이다.
아래의 표는 EB가 시동하기 이전에 코일 인터로게이팅을 요약한다:
입력들 조건 원인 반응
EOL1 또는 EOL2 > 3V 코일 빠짐 대기
EOL1 및 EOL2 0.5V - 3V 코일들 ok 시동
EOL1 또는 EOL2 < 0.5V 코일 빠짐 대기
위의 표의 제1 열은 어느 입력부(들)(EOL1 및/또는 EOL2)가 제2 전압에 따른 조건들을 충족시키는지를 나타낸다. 입력부(들)(EOL1 및/또는 EOL2)에서의 전압들의 상태에 따라, 제3 열은 원인을 나타내고, 제4열은 EB의 반응 또는 검출기 회로의 반응을 제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는 특별 경우를 포함한다: 여기서, 램프들 모두의 네 개의 코일들 전부의 모니터링은 적절하게 요구된다. 그를 위해, 제어 회로의 공급 전류는 레지스터들(R11 및 R12)을 통해 그리고 공진 회로의 램프 측의 코일들 모두(단자들(301, 302 및 305, 306))를 통해 공급된다. 레지스터들(R11 및 R12)은 손실을 작게 유지하기 위하여 레지스터(R13)와 동일 사이즈 그리고 상기 레지스터(R13)의 사이즈의 두 배로 구현될 수 있다. 공급 전류는 두 개의 코일들 중 하나가 빠진다면 그 정상 값의 2/3으로 떨어질 것이다. 176V 내지 375V 사이의 큰 시스템-전압 범위의 경우에 이러한 작은 변화가 평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스템 전압과 무관하게 제어 회로의 공급 전류가 만들어진다. 이는, 전류원(107)을 통해 달성되며, 상기 전류원(107)은 시스템 전압의 함수로서 공급 상에 부가적인 부하를 부과한다(도 1 및 연관된 설명을 참조). 제어 회로의 나머지 공급 전류가 특정 최소 값(예컨대, 150㎂) 아래로 떨어지지 않을 때에만 EB는 시동할 것이다.
전류원(107)은, 중간-회로 전압(VBus)에 각각 비례하는 입력부들(EOL1 및 EOL2)에서의 전압들 중 더 큰 전압에 의해 또는 입력부(EOL1)에서의 전압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형광 램프의 적어도 하나의 빠진 코일이 더 낮은 내지 더 높은 전압 범위에서 검출될 수 있어서, 제어 회로가 상이한 EB 토폴로지들(램프-대-접지 연결 모드, 커패시터-대-접지 연결 모드)의 경우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유리하다.
점화 제어
램프가 아직 버닝하지 않는다면 또는 램프가 동작중일 동안에 어떠한 이유로 빠진다면, 램프는 점화되어야 한다.
필요한 점화 전압 ― 램프에 따라 750V까지 ― 이 그를 위해 EB에 의해 제공되어야 한다. 관련 입력부(EOL1 및/또는 EOL2)에서의 전압이 2V보다 크지만 3V보다 작다는 사실로부터 버닝하지 않은 램프가 검출된다.
특히 두 개의 램프들을 갖는 디밍 가능한 EB의 경우에, 하나의 램프의 점화 전압은 다른 램프가 이미 버닝하고 있다면 밸런싱 변압기(T1)에 의해 거의 두 배가 될 것이다. 그 조건에서 고전압과 코어의 집중적인 구동 때문에 밸런싱 변압기(T1) 상에 무거운 부하가 존재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조건이 지속되는 동안에 점화 전압을 감소시키는 것이 적절하다.
그 경우에 입력 부들(EOL1 또는 EOL2) 중 하나의 입력부에서의 전압은 0.5V 내지 2V의 범위에 있을 것이다; 다른 입력부(EOL2 또는 EOL1)에서의 전압은 2V 내지 3V 사이의 범위에 있을 것이다(EB가 단 하나의 램프를 갖는 경우에 단독 램프가 버닝하지 않을 때와 비교하여).
정확한 반응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도, 제어 회로가 하나의 램프로 또는 두 개의 램프들로 동작되고 있는지의 여부가 설정되어야 한다. 특히 램프(들)가 아직 버닝하지 않은 상태인 동안에, 즉 예열 단계 동안에 결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하나의 램프를 갖는 EB의 경우에 입력부들(EOL1 및 EOL2)에서의 전압이 대략 2 팩터 정도 상이할 것이다; 두 개의 램프들을 갖는 EB의 경우에, 입력부들(EOL1 및 EOL2)에서의 전압이 예열 단계 동안에 그 크기가 대략 동일해질 것이다. 전압들 및 서로에 대한 상기 전압들의 관계는 예컨대 비교기들(Comp31 및 Comp32)을 이용하여 제어 회로를 통해 결정될 것이다(도 1을 참조).
출력 전압 U out 모니터링
EB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동안에(램프가 버닝하는 동안에), EB의 출력 전압은 특정 값, 예컨대 300V 또는 430V를 영구적으로 초과해서는 안된다.
그를 보장하기 위하여, 민감도가 따라서 증가될 수 있더라도, 점화 제어를 위한 것과 동일한 제어된 변수가 사용될 수 있다.
"정상 동작" 조건은 입력부들(EOL1 및 EOL2)에서의 전압들을 통해 검출될 수 있다; 둘 모두 그런 다음에 0.5V 내지 2V의 범위에 있을 것이다.
EN 61000-3-2에 따라 체크되고 있는 바와 같은 하드(hard) 정류기 동작은 EB에 대한 특정한 부하를 구성한다. 여기서 다이오드는 램프와 직렬로 연결되고, 이로써 커플링 커패시터(C2, C3) 상의 전하는 확실히 역전(reverse)된다. 그 동작 모드에서, EB 상의 부하는 동작 주파수의 증가가 출력-공진 회로(L1, C1)의 공진 주파수를 (훨씬) 초과하는 것을 통해 감소될 수 있다.
아래의 표들은 점화 제어 및 EB가 시동되었을 때 EB의 출력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가능한 방식을 나타낸다.
EB가 하나의 램프를 갖는 경우:
입력부들 조건 원인 반응
1 OR 2 > 3V 하드 정류하기 주파수 증가
1 OR 2 2V - 3V 램프 버닝하지 않음 완전한 점화 전압
1 AND 2 0.5V - 2V 정상 동작 Uout 모니터링
1 OR 2 < 0.5V 하드 정류하기 주파수 증가
EB가 두 개의 램프들을 갖는 경우:
입력부들 조건 원인 반응
1 OR 2 > 3V 하드 정류하기 주파수 증가
1 AND 2 2V - 3V 어느 램프도 버닝하지 않음 완전한 점화 전압
1 EXOR 2 2V - 3V 하나의 램프가 버닝하지 않음 감소된 점화 전압
1 AND 2 0.5V - 2V 정상 동작 Uout 모니터링
1 OR 2 < 0.5V 하드 정류하기 주파수 증가
동일한 비교기 임계치들이 기능들 코일 인터로게이팅, 점화 제어, 및 출력 전압의 모니터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회로의 구조는 이로써 단순화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기능(또는 각각의 기능의 일부분들)에 대하여 별도의 비교기 임계치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교기들 및 스위칭 논리 대신에, 입력부들(EOL1 및 EOL2)에서의 신호들을 적절히 평가하고 적어도 하나의 하프-브릿지 또는 경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따라서 작동시키는 A/D 컨버터를 갖는 마이크로제어기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Lamp1, Lamp2)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로서,
    시동 단계 이후 검출 인터벌에서, 제1 신호가 제1 입력부(EOL1)에 존재하고 및/또는 제2 신호가 제2 입력부(EOL2)에 존재한다면, 비활성 형광 램프가 검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2. 인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단계 동안에, 상기 입력부들에서 전압들을 비교하는 상기 검출기 회로를 통해 하나의 형광 램프가 연결되는지 또는 두 개의 형광 램프가 연결되는지의 여부가 결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단계 동안의 상기 입력부들에서 비교된 상기 두 개의 전압들이 그 크기가 대략 동일하다면, 두 개의 형광 램프들이 연결되는 것으로,
    그렇지 않으면, 단 하나의 형광 램프가 연결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상기 검출기 회로가 셋업된,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형광 램프가 연결된다면, 아래의 기준들 중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게, 상기 제1 입력부(EOL1)에서의 상기 제1 신호의 함수로서 그리고 상기 제2 입력부(EOL2)에서의 상기 제2 신호의 함수로서, 상기 시동 단계 이후의 작동시키는 것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가 제1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한다면, 출력 전압이 감소될 것이거나 또는 작동 주파수가 증가될 것이고;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가 제2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하고, 각각의 다른 신호가 제2 또는 제3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한다면, 상기 형광 램프는 점화 전압으로 작동될 것이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제3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한다면, 상기 형광 램프는 작동될 것이고, 상기 형광 램프 상의 출력 전압이 모니터링될 것이고;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가 제4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한다면, 상기 출력 전압은 감소될 것이거나 또는 작동 주파수는 증가될 것인,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형광 램프들이 연결된다면, 아래의 기준들 중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게, 상기 제1 입력부(EOL1)에서의 상기 제1 신호의 함수로서 그리고 상기 제2 입력부(EOL2)에서의 상기 제2 신호의 함수로서, 상기 시동 단계 이후의 작동시키는 것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가 제1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한다면, 출력 전압이 감소될 것이거나 또는 작동 주파수가 증가될 것이고;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가 제2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한다면, 상기 형광 램프는 점화 전압으로 작동될 것이고;
    배타적으로 상기 제1 신호 또는 배타적으로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제2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하고, 각각의 다른 신호가 제3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한다면, 상기 형광 램프는 감소된 점화 전압으로 작동될 것이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가 제3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한다면, 상기 형광 램프는 작동될 것이고, 상기 형광 램프 상의 출력 전압이 모니터링될 것이고;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가 제4 전압 인터벌에서 발생한다면, 상기 출력 전압은 감소될 것이거나 또는 작동 주파수는 증가될 것인,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는,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가 각각 시동 단계 동안에 제1 특정 전압보다 더 크고 제2 특정 전압보다 더 작으면, 상기 제1 입력부(EOL1)에서의 상기 제1 신호의 함수로서 그리고 상기 제2 입력부(EOL2)에서의 상기 제2 신호의 함수로서 작동될 것인,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특정 전압은 전류원(107)에 의해 미리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들(EOL1, EOL2)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는 상기 전류원(107)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원(107)은 상기 입력부들(EOL1, EOL2)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전압의 함수로서 공급 전압 상에 부하를 부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 회로는 전자 안정기가 시동하기 이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인,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단계 동안에,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제2 특정 전압보다 더 크거나 또는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제1 특정 전압보다 더 작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는 작동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11. 제 6 항에 있어서,
    하나의 형광 램프를 갖는 연결 모드의 경우, 분압기를 통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형광 램프 상의 전압에 대응하고, 분압기를 통한 상기 제2 신호는 기준 전압에 대응하고;
    두 개의 형광 램프들을 갖는 연결 모드의 경우, 분압기를 통한 상기 제1 신호는 제1 형광 램프 상의 전압에 대응하고, 분압기를 통한 상기 제2 신호는 제2 형광 램프 상의 전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는 커패시터-대-접지 토폴로지로 또는 램프-대-접지 토폴로지로 동작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EOL1, EOL2)는 제어 가능한 전류원(107)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가능한 전류원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전압의 함수로서 공급 전압 상에 부하를 부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14.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로서,
    적어도 하나의 다운스트림 부하 회로를 갖는 하프-브릿지 인버터, 및
    상기 부하 회로 및 상기 하프-브릿지 인버터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커패시터
    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 회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위한 단자들을 갖고,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상기 하프-브릿지 인버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검출기 회로
    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따른 검출기 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는 적어도 하나의 하프-브릿지 인버터(Q1, Q2)를 통해 작동될 것인,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단계 동안에,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제2 특정 전압보다 더 크거나 또는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제1 특정 전압보다 더 작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프-브릿지 인버터를 통해 작동되지 않을 것인,
    적어도 하나의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KR1020117019010A 2009-01-16 2009-11-13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및 방법 KR201101078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04851A DE102009004851A1 (de) 2009-01-16 2009-01-16 Detektorschaltung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Leuchtstofflampe
DE102009004851.0 2009-01-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854A true KR20110107854A (ko) 2011-10-04

Family

ID=4150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010A KR20110107854A (ko) 2009-01-16 2009-11-13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36188B2 (ko)
EP (1) EP2380408B1 (ko)
KR (1) KR20110107854A (ko)
CN (1) CN102282914B (ko)
DE (1) DE102009004851A1 (ko)
WO (1) WO20100815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04858A1 (de) * 2013-03-20 2014-10-09 Osram Gmbh Elektronisches Vorschalt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mindestens eines Leuchtmittels
CN104768314B (zh) * 2014-01-03 2017-10-31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荧光灯电子安定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7728A1 (de) * 1998-08-20 2000-02-24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Schaltungsanordnung zum Betrieb mindestens einer Entladungslampe
JP3797079B2 (ja) * 2000-09-06 2006-07-12 松下電工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
EP1442632A1 (en) * 2001-10-18 2004-08-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hort-circuit ballast protection
JP2003257688A (ja) * 2001-12-28 2003-09-12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放電ランプ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4415686B2 (ja) * 2004-01-30 2010-02-1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負荷駆動制御装置
KR100872897B1 (ko) * 2004-04-08 2008-12-10 인터내쇼널 렉티파이어 코포레이션 Pfc 및 안정기 제어 ic
EP1878321B1 (en) * 2005-05-04 2010-04-07 STMicroelectronics Srl Control device for a discharge lamp
WO2009158334A2 (en) * 2008-06-26 2009-12-30 Osram Sylvania, Inc. Ballast with lamp-diagnostic filament heating, and method therefor
DE102009004852A1 (de) * 2009-01-16 2010-07-29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Detektorschaltung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Leuchtstofflampe
US9101037B2 (en) * 2011-02-15 2015-08-04 Koniklijke Philips N.V. Emergency lighting ballast device with a plurality of ballast outputs for flexible lamp connection configurations
US9835691B2 (en) * 2011-12-12 2017-12-05 Cree, Inc. Emergency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for solid state ligh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80408B1 (de) 2013-02-27
CN102282914B (zh) 2015-04-15
US20120019146A1 (en) 2012-01-26
DE102009004851A1 (de) 2010-07-29
WO2010081570A1 (de) 2010-07-22
CN102282914A (zh) 2011-12-14
US8736188B2 (en) 2014-05-27
EP2380408A1 (de)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253B1 (ko) 고압 방전 램프 안정기 회로
EP1286574B1 (en) Ballast with efficient filament preheating and lamp fault detection
JPH0845687A (ja) アーク放電ランプのための保護回路
US8247997B2 (en) Ballast with lamp filament detection
JP2007521615A (ja) 多機能フィードバック検知付きバラスト制御ic
US10314134B1 (en) Retrofit LED lamp
JP4145795B2 (ja) 短絡安定器の保護
US6867553B2 (en) Continuous mode voltage fed inverter
US6819063B2 (en) Sensing voltage for fluorescent lamp protection
KR20100122463A (ko) 저압 가스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 대응 방법
KR20110107854A (ko) 형광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및 방법
CA2429430C (en) Ballast with lamp-to-earth-ground fault protection circuit
US69369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unidirectional switching, current limited cutoff circuit for an electronic ballast
US8754582B2 (en) Detector circuit and method for actuating a fluorescent lamp
JP4376996B2 (ja) 蛍光灯の直流点灯装置
JP2008527630A (ja) 低いランプアーク電流を有する陰極電圧を制御する方法
JP2003347084A (ja) 蛍光ランプ点灯装置
JP4925286B2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H1126177A (ja) 放電灯点灯装置
JP5703442B2 (ja) 放電灯点灯装置および放電灯点灯装置を用いた照明器具
JP5845471B2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2005158364A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2004039596A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865746B1 (ko) 램프의 안정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7573204B2 (en) Standby lighting for lamp balla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