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334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334A
KR20110107334A KR1020117015687A KR20117015687A KR20110107334A KR 20110107334 A KR20110107334 A KR 20110107334A KR 1020117015687 A KR1020117015687 A KR 1020117015687A KR 20117015687 A KR20117015687 A KR 20117015687A KR 20110107334 A KR20110107334 A KR 20110107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ping
groove
absorbent article
compression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8099B1 (ko
Inventor
겐이치로 구로다
유키 노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7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압착 줄홈에 접촉한 체액이 압착 줄홈의 단부까지 확산되는 것을 저지하고, 또 체액의 접촉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변형을 방지한다.
적어도 액 투과성 시트, 액 불투과성 시트, 및 상기 액 투과성 시트와 상기 액 불투과성 시트 사이에 끼워진 흡수체를 가지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 측에는, 액 투과성 시트로부터 흡수체까지를 일체화하는 길이 방향을 따른 한 쌍의 압착 줄홈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압착 줄홈은 고압착부와 저압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압착부는, 압착 줄홈을 폭 방향으로 대략 횡단하도록 형성되며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대략 횡단 고압착부와, 압착 줄홈을 횡단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대략 횡단 고압착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비횡단 고압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횡단 고압착부의 배치에 의해, 상기 저압착부는, 상기 대략 횡단 고압착부 사이에 있어서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기 흡수성 물품.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체액의 확산이 없고, 습윤 시의 흡수성 물품의 변형 안정성을 구비한 생리대, 팬티 라이너, 실금 패드 등에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21393호 공보에는, 피부 접촉면 측에, 고압착부와 저압착부로 이루어지는 줄홈이며, 상기 고압착부가 줄홈의 측가장자리를 따라, 줄홈의 길이 방향의 위치를 서로 어긋나게 하여 형성되고, 또한 저압착부가 줄홈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 있는, 상기 줄홈을 갖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6551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8555호 공보 등에도, 동일한 구조의 줄홈을 갖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줄홈에서는, 저압착부를 줄홈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시킴으로써, 체액을 길이 방향으로 적절하게 확산시켜, 가로 방향으로의 누설을 경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저압착부가 압착 줄홈의 거의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줄홈에 접촉한 체액은 줄홈의 전후 단부로까지 확산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체액에 접촉한 고압착부 및 저압착부는 젖어 버리고, 흡수성 물품의 구성층 간의 접합력이 약해져, 움직임에 의한 비틀림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흡수체 구성 재료인 펄프 사이의 결합이 떨어져 흡수성 물품의 강성이 낮아진다. 한편, 체액과 접촉하지 않는 부위에서는,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장착 중에 몸을 따르지 않아, 위화감을 느낀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압착 줄홈에 접촉한 체액이, 압착 줄홈의 단부로까지 확산되는 것을 저지하여, 체액의 접촉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으로, 압착 줄홈을 폭 방향으로 대략 횡단하는 횡단 고압착부를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또한, 상기 횡단 고압착부 사이에, 압착 줄홈을 횡단하지 않는 비횡단 고압착부를 간격을 두고 배치함으로써, 상기 횡단 고압착부 사이에,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한 저압착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1) 본 발명은, 적어도 액 투과성 시트, 액 불투과성 시트, 및 상기 액 투과성 시트와 상기 액 불투과성 시트 사이에 끼워진 흡수체를 가지며, 이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 측에는, 액 투과성 시트로부터 흡수체까지를 일체화하는 길이 방향을 따른 한 쌍의 압착 줄홈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압착 줄홈은 고압착부와 저압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압착부는, 압착 줄홈을 폭 방향으로 대략 횡단하도록 형성되며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대략 횡단 고압착부와, 압착 줄홈을 횡단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대략 횡단 고압착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비횡단 고압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횡단 고압착부의 배치에 의해, 상기 저압착부는, 상기 대략 횡단 고압착부 사이에 있어서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기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2) 본 발명은, 상기 비횡단 고압착부의 적어도 일부가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횡단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3) 본 발명은, 상기 대략 횡단 고압착부 중 적어도 하나가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1) 또는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4) 본 발명은, 상기 대략 횡단 고압착부 사이의 거리가 10 ㎜∼50 ㎜의 범위에 있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5) 본 발명은, 상기 대략 횡단 고압착부가 배치되어 있는 압착 줄홈의 폭이, 상기 대략 횡단 고압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압착 줄홈의 폭에 비하여 넓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6) 본 발명은, 상기 대략 횡단 고압착부와, 상기 대략 횡단 고압착부의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비횡단 고압착부와의 간격이, 대략 횡단 고압착부 사이에 위치하는 비횡단 고압착부끼리의 간격보다 긴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길이 방향으로 연속된 저압착부 영역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체액이 확산되지만, 대략 횡단 압착부에 의해 이러한 체액의 확산이 소정의 부위에서 막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전후 단부까지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체액의 확산이 소정의 부위에서 막히기 때문에, 체액에 접촉하지 않는 압착 줄홈 영역은,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사각으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흡수성 물품의 A-A' 단면도, 및 우측 압착 줄홈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사각으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압착 줄홈의 바리에이션, 및 사각으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사각으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후방부 압착 줄홈의 전단부의 확대도, 및 사각으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액 투과성 시트(2), 액 불투과성 시트(3), 및 액 투과성 시트와 액 불투과성 시트 사이에 끼워진 흡수체(4)를 포함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 측에는, 흡수체 중앙 영역(5)의 길이 방향 측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좌우 압착 줄홈(7a, 7b)과, 상기 측가장자리부의 길이 방향 전방부에 위치하는 전방부 압착 줄홈(7c)과, 상기 측가장자리부의 길이 방향 후방부에 위치하는 후방부 압착 줄홈(7d)이 형성된다. 또한, 흡수체 중앙 영역(5)을 둘러싸도록, 길이 방향 중심선(X-X')을 횡단하는 횡단 압착 줄홈(7e, 7f)이 형성된다. 압착 줄홈은, 액 투과성 시트와 흡수체를 일체화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체액의 옆으로의 확산을 막아, 체액을 흡수체 하방으로 효율적으로 이행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도 1의 확대도(사각으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착 줄홈은, 고압착부(8)와, 고압착부와 교대로 배치한 저압착부(9)를 포함한다. 고압착부는 압착홈 근방부의 흡수체의 두께에 대하여 90% 이상이 압착되고, 저압착부는 20% 이상 90% 미만이 압착되어 있다. 고압착부와 저압착부를 마련함으로써, 액 투과성 시트와 흡수체와의 접합력을 높이고, 배설물을 고압착부에 모아 배설물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압착부는, 또한, 압착 줄홈을 폭 방향으로 대략 횡단하도록 형성되며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대략 횡단 고압착부(8a)와, 압착 줄홈을 횡단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대략 횡단 고압착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비횡단 고압착부(8b)를 포함한다. 이러한 비횡단 고압착부의 배치에 의해, 저압착부는, 상기 대략 횡단 고압착부 사이에 있어서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되게 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체액의 흡수 속도를 유지하고, 또한 확산 범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연속하는 저압착부를 대략 횡단 고압착부에 의해 분단함으로써, 압착 줄홈 내의 대략 횡단 압착부의 경계 부근에서 강성차가 생기기 때문에, 접힘 기점이 되기 쉬워, 흡수성 물품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압착 줄홈의 폭은 균일하며, 1 ㎜∼5 ㎜의 범위이면 된다. 1 ㎜ 미만에서는, 흡수성 물품 전체의 강성이 지나치게 낮아져 비틀림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고, 5 ㎜를 초과하면, 강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흡수성 물품이 몸에 피트되기 어렵다.
「대략 횡단 고압착부」란, 압착 줄홈을 폭 방향으로 대략 횡단하도록 형성된 줄홈이며, 본 명세서에 있어서 「대략」이란, 압착 줄홈을 적어도 8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횡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80% 미만에서는, 저압착부가 연속해서 형성되는 영역을 충분히 분단할(막을) 수 없다. 또한, 80% 미만에서는, 저압착부가 압착 줄홈 전체에 걸쳐 연속하게 되어 버리고, 강성 영역이 존재해 버려, 몸에 대한 밀착도가 낮아진다. 대략 횡단 고압착부는, 그 적어도 하나가,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물품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대략 횡단 고압착부의 형상은, 압착 줄홈을 폭 방향으로 대략 횡단하며, 체액의 흐름을 완전히 그 위치에서 막을 수 있는 형상, 또한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저압착부의 강성을 변화시키는 형상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평면에서 보아, 하트형(도 4), 사각형, 다이아형, 삼각형, 도트형 등이면 된다. 압착 줄홈에 대략 횡단 고압착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지만, 그 형상은 서로 달라도 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횡단 고압착부의 형상은 대략 평행 사변형이다.
대략 횡단 고압착부의 형상에 따라 다르지만, 압착 줄홈 길이 방향에서의 대략 횡단 고압착부의 길이(T1)는, 바람직하게는, 그 형상의 길이 방향의 최대 길이로 0.5 ㎜∼5 ㎜의 범위에 있다.
압착 줄홈 폭 방향에서의 비횡단 고압착부(8b)의 길이(S)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0.5 ㎜∼4 ㎜의 범위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길이(S)는, 외측 압착선(비도시)으로부터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 중심선(13)을 넘기까지의 길이이다. 또한, 압착 줄홈 길이 방향에서의 비횡단 고압착부의 길이(T2)는, T1보다 짧으며, 예컨대, 0.5 ㎜∼4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이용하여, 고압착부 및 저압착부의 흡수체의 밀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A-A'에서의 단면도 및, 우측 압착 줄홈(7b)의 확대 사시도이다.
대략 횡단 고압착부 및 비횡단 고압착부의 밀도는 모두 0.7 g/㎤ 이상이면 된다. 0.7 g/㎤ 이상이면, 체액에 접촉했을 때에도 용이하게 압축된 펄프가 회복되는 일이 없어, 대략 횡단 고압착부의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저압착부의 밀도는, 고압착부의 밀도보다 낮으며, 예컨대, 0.2 g/㎤∼0.6 g/㎤의 범위이다. 0.2 g/㎤ 미만에서는 체액의 확산성이 낮아, 체액이 홈을 넘어 옆으로 누설되는 원인이 된다. 0.6 g/㎤를 초과하면, 펄프의 확산성이 극단적으로 나빠질 뿐만 아니라, 강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버리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이 몸을 따르기 어렵다. 또, 밀도는, 이하의 방법으로 구해진다. 20 ㎜×10 ㎜ 치수의 압착 줄홈의 영역을 절단하고, 평량, 및 30배의 배율로 두께(H)를 측정하며, 계속해서 두께의 값을 평량의 값으로 나눈다.
대략 횡단 고압착부의 밀도와 비횡단 고압착부의 밀도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예컨대, 비횡단 고압착부의 밀도 쪽이 낮아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는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의 설명이 적절하게 적용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압착 줄홈(7a, 7b)의 폭 방향 외측에 각각, 측가장자리부 압착 줄홈(7g)이 배치되어 있다. 측가장자리부 압착 줄홈을 더 마련함으로써, 가로 방향으로의 누설에 대해서 길이 방향으로 확산되는 홈이 증가하기 때문에 누설 저감으로 이어진다.
대략 횡단 고압착부 사이의 길이(V1)는, 저압착부의 강성을 분단하여, 흡수성 물품 전체의 강성을 저감시키면서, 저압착부에 접촉한 체액을 옆으로 누설하지 않고 전후로 확산시킬 수 있는 점에서, 10 ㎜∼50 ㎜의 범위에 있으면 된다. 10 ㎜ 미만에서는, 대략 횡단 고압착부 사이의 길이가 지나치게 짧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체액을 확산시킬 수 없어 가로 누설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50 ㎜를 초과하면, 강성 영역이 지나치게 길기 때문에 몸의 만곡을 따르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측가장자리부 압착 줄홈(7g)의 대략 횡단 고압착부 사이의 길이(V2)는 V1보다 짧으며, 예컨대, V1과 비교하여 10 ㎜ 전후 짧은 범위에 있다. 통상, 복수의 압착홈을 마련함으로써 길이 방향에 대하여 과잉의 강성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추가한 홈부의 강성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상기한 바와 같은 치수로 배치하고 있다. 단, 흡수체 자체의 강성을 미리 낮게 설계함으로써 복수의 압착홈을 마련한 경우라도 강성이 과잉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측가장자리부 압착 줄홈 외측(7g)의 대략 횡단 고압착부의 길이(V2)가 V1과 동일해도 된다.
도 4에, 압착 줄홈의 형태의 예를 도시한다. 이하의 압착 줄홈의 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예 A)에서는, 비횡단 고압착부는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횡단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저압착부는, 제1 실시형태의 압착 줄홈과 마찬가지로, 압착 줄홈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기 때문에, 대략 횡단 고압착부 사이에 있어서 체액이 확산된다. 예 D)에서도, 비횡단 고압착부는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횡단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예 D)에서는, 대략 횡단 고압착부의 길이(T1)는, 제1 실시형태의 압착 줄홈의 T1이나, 도 4에 도시하는 예 A)∼C) 및 E)의 T1에 비하여 길다. 그 때문에, 저압착부의 표면을 흐르는 체액이 다량이어도, 대략 횡단 고압착부에서 막을 수 있다. 단, 지나치게 길면 강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위화감을 느끼기 때문에, 예컨대, 대략 횡단 고압착부 중에 일부 제거 부분을 마련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길이 방향의 강성을 경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 A) 및 D)에서는,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 중심선 상에 저압착부가 연속해서 형성되게 되기 때문에, 이하의 예 B), C) 및 E)와 비교하여 길이 방향의 강성이 높아져, 흡수성 물품의 유연성이 약간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제1 실시형태나 예 B)에서는, 비횡단 고압착부는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횡단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 방향의 강성이 억제되어, 흡수성 물품의 유연성이 향상된다. 또한, 비횡단 고압착부의 형상이 삼각형이기 때문에, 압착 줄홈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으로부터 힘이 가해졌을 때에도 유연하게 변형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예 C) 및 E)에서는, 비횡단 고압착부가 천조격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체액은 저압착부 영역을 사행(蛇行)해서 확산하여(확산 속도가 늦어짐), 누설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체액에 접촉한 경우에도 흡수성 물품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횡단 고압착부가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 중심선 상에 존재함으로써, 저압착부 영역의 강성의 방향성이 한정되지 않아, 유연성이 향상된다. 다량의 체액이 접촉했을 때에도, 저압착부 영역의 액 투과성 시트와 흡수체가 떨어진 결과, 흡수성 물품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의 압착 줄홈의 예는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예컨대, 좌우 압착 줄홈에는, 예 C) 또는 E)를, 전방부 압착 줄홈 및 후방부 압착 줄홈에는, 예 B)를 사용한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좌우 압착 줄홈(7a, 7b)과 전방부 압착 줄홈(7c)이 분리되고, 좌우 압착 줄홈(7a, 7b)과 후방부 압착 줄홈(7d)이 분리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길이 방향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유연성이 향상된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장착 중에 좌우 압착 줄홈에 가랑이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그 힘이 길이 방향 중심선에 가까운 방향으로 전해져, 길이 방향 중심선 상의 흡수체가 피부 접촉면 측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와 좌우 압착 줄홈 전단부 또는 후단부가 연결되어 돌기부가 형성되지만, 압착 줄홈이 분리되어 있으면, 돌기부가 아니라, 완만한 볼록 형상의 융기부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좌우 압착 줄홈은, 장착 중에 가랑이로부터 힘이 가해지는 배설부 해당 위치에 걸치도록 위치하고 있다. 중심부(중심선(A-A') 근방)에서는, 폭 방향 내측으로 볼록 형상이며, 또한 전후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측가장자리부 방향으로 좌우 압착 줄홈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면서, 전후 단부 부근에서는 길이 방향 중심선을 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단, 가장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좌우 압착 줄홈(7a, 7b)의 전단부(12b), 후단부(12c)는, 상기한 융기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또는 길이 방향 중심선과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기부는, 피부와 스치는 것에 의한 위화감을 저감시키고, 길이 방향 중심선 상에 부착되는 체액이 융기부의 사면(斜面)을 굴러가서 확산되어 체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전단부(12b) 및 후단부(12c)가 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한다.
좌우 압착 줄홈의 전단부 사이의 거리 및 후단부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며, 중심부에서의 좌우 압착 줄홈 사이의 거리와 비교하여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가랑이의 힘이 우선 중심부에 전해지고, 거기로부터, 압착 줄홈 사이의 거리가 짧아져 가는 전후 단부로 힘이 전해져 가서, 전후 단부 방향으로 가랑이의 힘을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흡수성 물품 중심부보다 중심부를 사이에 둔 전후부에 의해 높은 융기부를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심부에서 받아낸 체액을 전후 방향으로 확산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전방부 압착 줄홈(7c)과 후방부 압착 줄홈(7d)은, 전방부 압착 줄홈(7c)의 후단부(12a)와 좌우 압착 줄홈(7a, 7b)의 전단부(12b), 및 후방부 압착 줄홈(7d)의 전단부(12d)와 좌우 압착 줄홈(7a, 7b)의 후단부(12c)가, 각각, 폭 방향에 있어서 포개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부 압착 줄홈의 후단부 부근과 후방부 압착 줄홈의 전단부 부근에서 체액을 흡수한 경우라도, 또한 폭 방향으로 체액이 확산된 경우에도, 폭 방향 외측에 또한 압착 줄홈이 있기 때문에 누설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중심부에서의 좌우 압착 줄홈 사이의 거리는, 20 ㎜∼5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20 ㎜ 미만에서는, 흡수면이 좁아져 버려 누설될 가능성이 있고, 50 ㎜를 초과하면, 고간 폭보다 커져 버리기 때문에 고간의 힘을 전달할 수 없다. 중심부에서의 좌우 압착 줄홈 사이의 거리와, 좌우 압착 줄홈의 전단부 사이의 거리(또는 후단부 사이의 거리)의 차는, 5 ㎜∼3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5 ㎜ 미만에서는, 중심부로부터의 힘을 전후 단부에 충분히 전달할 수 없어, 중심부에서 받아낸 체액을 전후 방향으로 확산하기 어렵게 하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기 어렵다. 30 ㎜를 초과하면, 전단부 사이의 거리(또는 후단부 사이의 거리)가 작아져, 중심부의 전후에 원하는 융기부를 만들 수 없다.
압착 줄홈의 폭은,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거의 동일하다. 한편, 제3 실시형태에서는, 도 5의 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횡단 고압착부 영역과 대략 횡단 고압착부 영역 사이의 압착 줄홈의 폭(W1)은, 대략 횡단 고압착부 영역이 위치하는 압착 줄홈의 폭(W2)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실시형태에서도 마찬가지이다(도 6의 확대도에서는 비도시). 대략 횡단 고압착부 영역과 대략 횡단 고압착부 영역 사이의 압착 줄홈부의 강성을 낮춰, 보다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1에서의 좌우 압착 줄홈(7a, 7b)이 각각, 또한 2개로 분리되어 있다(7a'와 7a'', 7b'와 7b''). 2개로 분리된 압착 줄홈 중, 좌우 압착 줄홈(7a', 7b')은 각각, 그 전단부(12b) 및 후단부(12c)가, 폭 방향 외측을 향하고 있거나 또는 길이 방향 중심선과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서는, 횡단 압착 줄홈(7e, 7f)의 형상이 달라도 된다. 전방의 횡단 압착 줄홈(7e)은 폭 방향으로 신장된 형상이고, 후방의 횡단 압착 줄홈(7f)은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보다 예각의 형상을 취한다. 이들 형상의 차이는 다른 횡단 압착 줄홈부의 강성을 발생시킨다. 즉, 전방의 횡단 압착 줄홈부는 후방의 횡단 압착 줄홈부에 비하여 강성이 높아진다. 다른 강성을 갖는 횡단 압착 줄홈을 마련함으로써, 좌우 압착 줄홈에 힘이 가해지면 그 힘은 좌우 압착 줄홈의 전후 단부로 전해지고, 계속해서 강성이 낮은 후방의 횡단 압착 줄홈에 힘이 전해지기 때문에, 좌우 압착 줄홈의 후단부 사이에는, 좌우 압착 줄홈의 전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융기부보다 높은 융기부가 형성된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전후의 횡단 압착 줄홈의 형상에 의해 강성차를 발생시키고 있으나, 상기 제1∼3 실시형태에서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전후의 횡단 압착 줄홈을 마련할 때에, 엠보스 가공의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강성차를 발생시켜도 된다. 전후의 횡단 압착 줄홈의 강성차는, (걸리 유연도 측정기((주)야스다 세이키 세이사쿠쇼)에 의한 측정)으로 2 mN∼10 mN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2 mN 미만에서는 후방으로 효율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없고, 10 mN을 초과하면 한쪽으로 힘이 지나치게 치우쳐 버려, 흡수성 물품이 과도하게 변형한다.
제4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은, 체액이 취침 시에 둔부의 홈을 타고 둔부 후방으로 누설되었다고 해도, 후방의 횡단 압착 줄홈에 의해 누설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야간 사용에 적합하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서는, 저압착부가 연속함에 의한 강성의 증가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대략 횡단 고압착부와, 상기 대략 횡단 고압착부의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비횡단 고압착부 사이에 간헐부(14)가 마련되고, 간헐부의 폭(Z)은, 대략 횡단 고압착부 사이에 위치하는 비횡단 고압착부끼리의 간격보다 길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다음으로, 점형 압착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 측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과성 시트와 흡수체를 일체화하는, 복수의 점형 압착부(1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도 된다. 점형 압착부의 배치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융기부를 형성했을 때에 그 융기부의 사면에 피부 접촉면 측을 향하여 오목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융기부의 정상부에 부착된 배설물은 사면을 미끄러져 옆으로 누설되지 않고서, 홈에 흡수된다.
점형 압착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사각형, 삼각형, 마름모형, 환형, 별형 등의 어떠한 것이어도 되지만, 길이 방향으로 긴 마름모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긴 마름모형이면, 좌우 압착 줄홈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 피부 접촉면 측으로 점형 압착부가 들려 올라가기 쉬워, 흡수성 물품이 절곡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점형 압착부의 상면 개구의 폭은, 압착 줄홈의 상면 개구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0.3 ㎜∼5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5 ㎜∼3 ㎜의 범위이며, 통상 약 1.2 ㎜이다.
압착 줄홈과 점형 압착부와의 간격, 및 점형 압착부 사이의 간격은, 2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점형 압착부의 깊이는, 압착 줄홈의 저압착부의 깊이보다 깊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재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흡수체는 체액의 흡수 유지가 가능하면 되고, 부피가 크며, 형이 붕괴되기 어렵고, 화학적 자극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 레이온, 피브릴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입자형 폴리머; 섬유형 폴리머;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케미컬 본드 처리된 에어레이드 펄프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친수성이 양호하게 유지되는 점에서, 셀룰로오스 섬유가 바람직하다.
이들 재료를 흡수체로 성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후기 실시예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쇄한 펄프를 성형하는 방법 이외에, 예컨대 에어레이드법, 멜트블로운법, 스펀레이스법, 초지법(抄紙法) 등에 의해 시트화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로서 셀룰로오스 발포체, 합성 수지의 연속 발포체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포체 또는 상기 시트화한 재료를 분쇄한 후에 흡수체로 성형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펄프를 80%∼100%의 범위, 입자형 폴리머를 20%∼0%의 범위에서 혼합하고, 티슈 등의 대지(臺紙)로 피복한 후, 엠보스 가공에 의해 시트화한 평량 100 g/㎡∼2000 g/㎡, 1 ㎜∼50 ㎜의 부피를 갖는 흡수체를 들 수 있다.
엠보스 가공은 흡수체의 형 붕괴를 방지하기 위함이며, 엠보스 면적률은 10%∼10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0%∼80%의 범위이다.
나아가서는, 박형 흡수체의 재료의 예로서는, 흡수 시트 및 폴리머 시트를 들 수 있고, 그 두께는, 0.3 ㎜∼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흡수 시트 및 폴리머 시트로서는, 통상,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흡수 시트로서는, 흡수지나 부직포, 섬유를 바인더 등으로 시트화한 펄프 시트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폴리머 시트로서는, 분쇄 펄프, 및 섬유에 입자형 폴리머를 혼합하여 시트형으로 형성한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섬유에 입자형 폴리머를 혼합하여 시트형으로 형성한 시트로서는, 입자형 폴리머가 층상으로 분산되어 있는 것, 삼차원 형상으로 분산되어 있는 것의 어느 것이나 이용할 수 있다. 폴리머 시트에 이용되는 입자형 폴리머로서는, 자중의 20배 이상의 액체를 흡수·유지할 수 있고 또한 겔화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와 같은 예로서는, 전분이나 가교 카르복시메틸화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 및 그의 염 및 폴리아크릴산염 그래프트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엠보스부와의 접합 강도를 충분히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한 열가소성 화학 섬유로서, 열융착성이 높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쇄상 PE, 저밀도 PE, 고밀도 PE 등을 시스(sheath) 구조에 갖는 섬유나, PP나 PET에 PE를 끼워 넣어 시트형으로 형성한 것을 단책(短冊)형으로 나눈 것 등을 더함으로써, 엠보스의 열에 의한 접합을 보다 강고한 것으로 유지할 수 있다.
액 투과성 시트로서는, 액체를 투과시키는 구조의 시트형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직포, 부직포의 소재로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천연 섬유의 예로서는,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화학 섬유의 예로서는, 레이온, 피브릴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 또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단섬유, PE와 PP를 그래프트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섬유, 코어 시스 구조 등의 복합 섬유를 예로서 들 수 있다.
액 불투과성의 시트는, PE, PP 등을 주체로 한 필름, 통기성의 수지 필름, 스펀본드 또는 스펀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통기성의 수지 필름이 접합된 것, 삼층 구조 등의 복수 층 구조 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착용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유연성을 고려하면,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체로 한 평량 15 g/㎡∼30 g/㎡의 범위에서 얻어지는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 투과성 시트와 흡수체 사이에는 제2 시트를 배치해도 된다. 소재, 제법에 대해서는 상기한 투과성 시트로 채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액 투과성 시트로부터 체액을 흡수하기 쉽도록, 액 투과성 시트보다 제2 시트의 밀도를 높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 불투과성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에는, 쇼츠 등의 속옷에 고정하기 위한 어긋남 방지 부재(11)가 액 불투과성 시트의 피부 비접촉면 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긋남 방지 부재는, 선형이나 띠형과 같이 연속해서 도공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단속적으로 도공되어 있어도 된다. 어긋남 방지 부재로서는, 예컨대 핫멜트형 접착제를 들 수 있다. 핫멜트형 접착제로서는, 상온 시에 택성(점착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감압형 접착제를 들 수 있다. 평량은 10 gsm∼200 gsm이고 코터 도공, 비드 도공 등에 의해, 균일, 줄무늬형, 도트형의 패턴으로 도공된다. 또한, 아크릴계의 접착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는, 테이프부와 테이프부 표면에 기립하는 복수의 후크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대, 팬티 라이너, 실금 패드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액 투과성 시트(2)와 흡수체(4)를 포개고, 두께 방향으로 압착하는 엠보스 가공 공정을 포함한다.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측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되는 압착 줄홈(좌우 압착 줄홈, 전방부 압착 줄홈, 후방부 압착 줄홈)과, 횡단 압착 줄홈과, 점형 압착부는, 엠보스 가공에 의해 동시에 형성해도 되고, 또는 어느 하나의 순서로 별개로 형성해도 된다. 예컨대, 동시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롤러면에 이들 압착 줄홈의 전체 형상에 대응하는 볼록조 및 점형 압착부의 전체 형상에 대응하는 볼록부가 형성된 롤(제 1롤)과, 평활한 롤(제2 롤) 사이에, 액 투과성 시트와 흡수체를 포갠 흡수성 재료를, 액 투과성 시트가 제1 롤에 접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흡수성 재료를 압착한다.
마지막으로, 엠보스 가공된 흡수성 재료의 흡수체(4)의 피부 비접촉면 측에 액 불투과성 시트(3)를 공급하여, 흡수체(4)와 액 불투과성 시트(3)를 접합한다. 흡수체와 액 불투과성 시트의 접합에는,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생리대의 제조 방법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 방법은, 다른 흡수성 물품, 예컨대 팬티 라이너, 실금 패드 등의 제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흡수성 물품
2: 액 투과성 시트
3: 액 불투과성 시트
4: 흡수체
5: 흡수체 중앙 영역
6: 사이드 시트
7a: 좌측 압착 줄홈
7b: 우측 압착 줄홈
7a', 7a'': 좌측 압착 줄홈
7b', 7b'': 우측 압착 줄홈
7c: 전방부 압착 줄홈
7d: 후방부 압착 줄홈
7e, 7f: 횡단 압착 줄홈
7g: 측가장자리부 압착 줄홈
8: 고압착부
8a: 대략 횡단 고압착부
8b: 비횡단 고압착부
9: 저압착부
10: 점형 압착부
11: 어긋남 방지 부재
12a: 전방부 압착 줄홈의 후단부
12b: 좌측 압착 줄홈의 전단부, 우측 압착 줄홈의 전단부
12c: 좌측 압착 줄홈의 후단부, 우측 압착 줄홈의 후단부
12d: 후방부 압착 줄홈의 전단부
13: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 중심선
14: 간헐부
S: 압착 줄홈 폭 방향에서의 비횡단 고압착부의 길이
T1: 압착 줄홈 길이 방향에서의 대략 횡단 고압착부의 길이
T2: 압착 줄홈 길이 방향에서의 비횡단 고압착부의 길이
Y: 대략 횡단 고압착부가 위치하는 압착 줄홈의 폭
V1, V2: 대략 횡단 고압착부와 대략 횡단 고압착부 사이의 압착 줄홈의 길이
W1: 대략 횡단 고압착부와 대략 횡단 고압착부 사이의 압착 줄홈의 폭
W2: 대략 횡단 고압착부가 위치하는 압착 줄홈의 폭
Z: 간헐부의 길이

Claims (6)

  1. 액 투과성 시트, 액 불투과성 시트, 및 상기 액 투과성 시트와 상기 액 불투과성 시트 사이에 끼워진 흡수체를 포함하며,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 측에는, 액 투과성 시트로부터 흡수체까지를 일체화하는 길이 방향을 따른 한 쌍의 압착 줄홈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압착 줄홈은 고압착부와 저압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압착부는, 압착 줄홈을 폭 방향으로 대략 횡단하도록 형성되며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대략 횡단 고압착부와, 압착 줄홈을 횡단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대략 횡단 고압착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비횡단 고압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횡단 고압착부의 배치에 의해, 상기 저압착부는, 상기 대략 횡단 고압착부 사이에 있어서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횡단 고압착부의 적어도 일부가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횡단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횡단 고압착부 중 하나 이상이 압착 줄홈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횡단 고압착부 사이의 거리가 10 ㎜∼50 ㎜의 범위에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횡단 고압착부가 배치되어 있는 압착 줄홈의 폭이, 상기 대략 횡단 고압착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압착 줄홈의 폭에 비하여 넓은 것인 흡수성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횡단 고압착부와, 상기 대략 횡단 고압착부의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비횡단 고압착부와의 간격이, 대략 횡단 고압착부 사이에 위치하는 비횡단 고압착부끼리의 간격보다 긴 것인 흡수성 물품.
KR1020117015687A 2008-12-25 2009-12-24 흡수성 물품 KR1015180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31022A JP5294837B2 (ja) 2008-12-25 2008-12-25 吸収性物品
JPJP-P-2008-331022 2008-12-25
PCT/JP2009/071859 WO2010074319A1 (ja) 2008-12-25 2009-12-24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334A true KR20110107334A (ko) 2011-09-30
KR101518099B1 KR101518099B1 (ko) 2015-05-06

Family

ID=42287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687A KR101518099B1 (ko) 2008-12-25 2009-12-24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10251575A1 (ko)
EP (1) EP2380542A4 (ko)
JP (1) JP5294837B2 (ko)
KR (1) KR101518099B1 (ko)
CN (1) CN102264326B (ko)
AU (1) AU2009331049A1 (ko)
BR (1) BRPI0918372A2 (ko)
EA (1) EA201100819A1 (ko)
WO (1) WO20100743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09447T1 (de) 2003-02-12 2008-10-15 Procter & Gamble Bequem windel
ES2452317T3 (es) 2003-02-12 2014-03-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 absorbente para un artículo absorbente
ES2580953T3 (es) 2007-06-18 2016-08-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ículo absorbente desechable con material polimérico absorbente en forma de partículas distribuido de forma sustancialmente continua y método
JP5259705B2 (ja) 2007-06-18 2013-08-0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ほぼ連続的に分布した吸収性粒子状ポリマー材料を含む封止された吸収性コアを備える使い捨て吸収性物品
WO2009134780A1 (en) 2008-04-29 2009-1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an absorbent core with strain resistant core cover
JP5317685B2 (ja) * 2008-12-25 2013-10-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DE102009029194A1 (de) 2009-09-04 2011-04-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eenah Abtrennung gefärbter Stoffe aus wasserhaltigen Flüssigkeiten
EP2329803B1 (en) 2009-12-02 2019-06-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material
JP5755856B2 (ja) 2010-09-01 2015-07-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27246B2 (ja) * 2011-01-31 2015-06-0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3561703B (zh) * 2011-05-27 2016-08-17 花王株式会社 吸收性物品
JP2013009946A (ja) * 2011-05-27 2013-01-17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4515983A (ja) 2011-06-10 2014-07-0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使い捨ておむつ
BR112013030599A2 (pt) 2011-06-10 2016-09-27 Procter & Gamble núcleo absorvente para artigos absorventes descartáveis
PL2532328T3 (pl) 2011-06-10 2014-07-31 Procter & Gamble Sposób i urządzenie do wytworzenia struktur chłonnych z materiałem chłonnym
EP3287109B1 (en) 2011-06-10 2023-1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ent articles
PL2532332T5 (pl) 2011-06-10 2018-07-3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ieluszka jednorazowego użytku o zredukowanym połączeniu pomiędzy wkładem chłonnym a warstwą spodnią
EP2532329B1 (en) 2011-06-10 2018-09-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US9468566B2 (en) 2011-06-10 2016-10-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ent articles
US9283127B2 (en) 2012-03-30 2016-03-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decolorizing structures
FR2997842B1 (fr) 2012-11-13 2021-06-11 Procter & Gamble Articles absorbants avec canaux et signaux
EP2740449B1 (en) 2012-12-10 2019-0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US9216118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US9216116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PL2740452T3 (pl) 2012-12-10 2022-01-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o wysokiej zawartości materiału chłonnego
US10639215B2 (en) 2012-12-1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EP2740450A1 (en) 2012-12-10 2014-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US8979815B2 (en) 2012-12-10 2015-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9394637B2 (en) 2012-12-13 2016-07-19 Jacob Holm & Sons Ag Method for production of a hydroentangled airlaid web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MX361272B (es) * 2012-12-21 2018-12-03 Essity Hygiene & Health Ab Accesorio de prueba de fluido corporal para un articulo absorbente.
PL3254656T3 (pl) 2013-06-14 2022-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i wkład chłonny tworzący kanały w stanie mokrym
JP6334705B2 (ja) 2013-08-27 2018-05-3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チャネルを有する吸収性物品
US9987176B2 (en) 2013-08-27 2018-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MX2016003391A (es) 2013-09-16 2016-06-24 Procter & Gamble Articulos absorbentes con canales y señales.
US11207220B2 (en) 2013-09-16 2021-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EP3351225B1 (en) 2013-09-19 2021-12-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US9237975B2 (en) 2013-09-27 2016-01-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side barriers and decolorizing agents
JP6021779B2 (ja) * 2013-10-04 2016-11-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66254B2 (ja) * 2013-11-14 2015-08-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5072502A1 (ja) * 2013-11-14 2015-05-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66253B2 (ja) * 2013-11-14 2015-08-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2886092B1 (en) 2013-12-19 2016-09-1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c-wrap seals
US9789009B2 (en) 2013-12-19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JP5938439B2 (ja) * 2014-01-10 2016-06-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2905001B1 (en) 2014-02-11 2017-0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channels
EP2949300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JP5938438B2 (ja) * 2014-06-13 2016-06-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156017B1 (en) * 2014-06-13 2021-08-18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ent product
JP5944952B2 (ja) * 2014-06-13 2016-07-0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38440B2 (ja) * 2014-06-13 2016-06-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0583050B2 (en) * 2014-11-06 2020-03-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tterned apertured web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GB2555016B (en) 2015-03-16 2021-05-12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s
CN107405223B (zh) 2015-03-16 2021-03-02 宝洁公司 具有改善的强度的吸收制品
MX2017014428A (es) 2015-05-12 2018-04-10 Procter & Gamble Articulo absorbente con adhesivo mejorado del nucleo al lienzo inferior.
CN107683126A (zh) 2015-05-29 2018-02-09 宝洁公司 具有槽和润湿指示标记的吸收制品
JP6333223B2 (ja) * 2015-09-07 2018-05-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167859B1 (en) 2015-11-16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EP3238678B1 (en) 2016-04-29 2019-02-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EP3238676B1 (en) 2016-04-29 2019-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JP6404269B2 (ja) * 2016-06-09 2018-10-1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03906B1 (ja) 2016-06-14 2017-09-2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07675B1 (ja) * 2016-06-14 2017-10-0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573588B1 (en) 2017-01-24 2022-01-05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Disposable hygiene article
JP6605064B2 (ja) * 2018-03-23 2019-11-1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272830B2 (ja) * 2019-03-11 2023-05-12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折り畳まれた吸収性物品および吸収性物品個包装体
EP3968924A1 (en) * 2019-05-15 2022-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JP2021041042A (ja) * 2019-09-13 2021-03-1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254045B2 (ja) * 2020-03-31 2023-04-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955A (ja) * 1997-10-20 1999-04-27 Shiseido Co Ltd 体液吸収性物品
EP1135089B1 (en) * 1998-11-30 2003-08-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channel
US6563013B1 (en) * 1998-11-30 2003-05-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channel
JP4620299B2 (ja) 2001-07-30 2011-01-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058281B2 (ja) * 2002-03-12 2008-03-0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495405B2 (ja) * 2002-06-14 2010-07-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180865B2 (ja) * 2002-09-09 2008-11-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可撓軸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3877702B2 (ja) 2003-04-23 2007-02-07 ピジョン株式会社 吸収性製品
US20040267220A1 (en) * 2003-06-30 2004-12-30 Hull Raymond J. Embossed absorbent article
JP4554276B2 (ja) * 2004-05-27 2010-09-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481325B2 (ja) * 2007-09-06 2010-06-16 花王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801035B2 (ja) * 2007-11-30 2011-10-2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331049A1 (en) 2011-07-14
WO2010074319A1 (ja) 2010-07-01
EA201100819A1 (ru) 2011-12-30
US20110251575A1 (en) 2011-10-13
CN102264326A (zh) 2011-11-30
KR101518099B1 (ko) 2015-05-06
JP2010148706A (ja) 2010-07-08
BRPI0918372A2 (pt) 2019-09-24
EP2380542A1 (en) 2011-10-26
JP5294837B2 (ja) 2013-09-18
CN102264326B (zh) 2014-06-25
EP2380542A4 (en)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7334A (ko) 흡수성 물품
KR101498333B1 (ko) 흡수성 물품
JP5328273B2 (ja) 体液吸収性物品
KR101608560B1 (ko) 흡수성 물품
CN102026603B (zh) 吸收性物品
JP4058281B2 (ja) 吸収性物品
KR101605583B1 (ko)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JP5546441B2 (ja) 吸収性物品
CN102026604A (zh) 吸收性物品
JP5232553B2 (ja) 吸収性物品
EP3470036B1 (en) Absorbent article
KR102592392B1 (ko) 흡수성 물품
KR20160065125A (ko) 흡수성 물품
JP2008018048A (ja) 吸収性物品
JP6605064B2 (ja) 吸収性物品
JP5766254B2 (ja) 吸収性物品
JP2017153768A5 (ko)
WO2015072502A1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