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931A -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931A
KR20110106931A KR1020117019027A KR20117019027A KR20110106931A KR 20110106931 A KR20110106931 A KR 20110106931A KR 1020117019027 A KR1020117019027 A KR 1020117019027A KR 20117019027 A KR20117019027 A KR 20117019027A KR 20110106931 A KR20110106931 A KR 20110106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isochronous
camera
streaming
streaming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쥰지 기시
Original Assignee
도시바 테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테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테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6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58Isochrono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17Interconnection of audio or video/imag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3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ersonal Computer [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복수의 카메라(5A, 5B)로 촬영한 영상 신호를 IEEE1394 버스(3)를 거쳐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공유하여, 영상 프레임 단위로, 호스트 PC(1)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5a, 5B)는 IEEE1394 버스(3)에 송출된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을 수신하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와, IEEE1394 버스(3)에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을 송출하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53)와,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에 의해 제어되며, 카메라의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에 의해 IEEE1394 버스(3)로 송출하는 영상 출력 스위치(54)를 구비하고,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는,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하는 자신 앞으로의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을 수신했을 때,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53)로부터 수령 패킷을 송신시켜서, 영상 출력 스위치(54)를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의 송출이 가능한 스위치 온 상태로 제어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시스템{CAMERA SYSTEM}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신호를 IEEE1394 버스를 통해서 아이소크로너스(isochronous) 대역을 공유하여 호스트측의 기기에 전송하는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신호를 IEEE1394 버스를 통해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공유하여 호스트측의 기기로 전송하는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에는,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복수의 카메라가 분할하여(각 사이클(125㎲)마다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복수의 카메라에 할당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전송 수단은, 각 사이클마다, 각 카메라의 영상 프레임의 일부의 영상 신호가 차례로 전송되는 전송 수단이기 때문에, 어느 한 대의 카메라의 영상 프레임을 선행해서 받는, 영상 프레임마다의 수주 동작은 행할 수 없다. 따라서 1대의 화상 처리 장치에서 프레임 단위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경우, 전체 처리 시간이 증대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복수의 카메라에 대해 영상 프레임마다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할당을 변경하는 전송 수단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전송 수단은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동작율이 호스트측의 기기(호스트 PC)의 즉시 응답성에 의존하여, 또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재할당(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해방(release) 및 재할당의 각각의 처리)에 복수의 패킷의 송수신 처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호스트 PC에 걸리는 처리 부하가 커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고속 동작 전환이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종류의, 복수의 카메라를 접속한 카메라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제어기술로서, 종래에는, 카메라 컨트롤러에 복수의 카메라 유닛이 차례로 접속되는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 컨트롤러가 복수의 카메라 유닛에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는 경우에, 카메라 컨트롤러가 채널 ch2의 사용권의 개방을 지정하는 패킷을, 채널 ch1을 경유해서 각 카메라 유닛에 송신하는 기술이 존재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 2008-79142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신호를, IEEE1394 버스를 통해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공유하여 호스트측의 기기에 전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에는,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카메라마다 분할하여 사용하는 시스템 구성이라는 점에서, 어떤 영상 프레임을 선행해서 받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영상 프레임마다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할당을 변경하는 시스템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호스트측의 기기에 걸리는 처리 부하가 커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고속 동작 전환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신호를 IEEE1394 버스를 통해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공유하여 영상 프레임 단위로 호스트측의 기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여, 호스트측의 기기에 걸리는 처리 부하를 경감해서 IEEE1394 버스 상에 있어서의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고속 동작 전환을 가능하게 한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신호를 IEEE1394 버스를 통해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공유하여 영상 프레임 단위로 호스트측의 기기에 전송하는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IEEE1394 버스로 송출된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을 수신하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와, 상기 IEEE1394 버스로,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을 송출하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와, 상기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신호를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에 의해 상기 IEEE1394 버스로 송출하는 영상 출력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는,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하는 자신 앞으로의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을 수신했을 때, 상기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로부터 수령 패킷을 송신시켜서, 상기 영상 출력 스위치를 상기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의 송출이 가능한 인에이블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신호를 IEEE1394 버스를 통해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공유하여 영상 프레임 단위로 호스트측의 기기에 전송하는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카메라에,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수신 회로를 마련하고, 이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수신 회로를 통해서, 상기 카메라 상호간 및 카메라와 호스트측의 기기 사이에서,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에 의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양도 및 수령을 행하는 기능을 실현함으로써, 상기 호스트측의 기기에 걸리는 처리 부하를 경감하여(최소한으로 하여) IEEE1394 버스 상에 있어서의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고속 동작 전환을 가능하게 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에 의해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양도 및 수령을 행하는 기능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호스트측의 기기에 상기 IEEE1394 버스로 송출된 상기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의 내용을 로그(log) 데이터로서 채취하여 저장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호스트측의 기기가 노드간의 패킷 전송에 대한 타임 아웃의 인식 처리를 행하는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복수 노드의 각 카메라측에 각각 타임 아웃 처리 기능을 마련하지 않고 카메라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서, 각 카메라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으로 유익한 구성의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신호를 IEEE1394 버스를 통해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공유하여 영상 프레임 단위로 호스트측의 기기에 전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측의 기기에 걸리는 처리 부하를 경감하여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고속 동작 전환을 가능하게 한 시스템이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시스템 전체의 구성 및 어싱크로너스 패킷(ASP)에 의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 양도의 처리 순서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시스템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시스템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시스템의 통신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카메라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도 1에 나타내고, 같은 카메라 시스템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 2에 나타내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에 마련되는 카메라의 대수를, 설명을 간소하게 하기 위해서 최소의 2대로 한 구성을 예에 나타내고 있지만, 3대 이상의 복수의 카메라(허브를 포함해서 최대 63의 노드)를 접속 대상으로 구성 가능하다. 또한, 도 1에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ASP)에 의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양도하는 아이소크로너스 대역 양도 커맨드(RUS·T-ASP)의 플로우 (1)~(3)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카메라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5A, 5B)로 촬영한 영상 신호(카메라의 촬상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IEEE1394 버스(3)를 거쳐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공유하여, 영상 프레임 단위로, 호스트측의 기기(이하, 호스트 PC라 함)(1)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카메라(5a, 5B)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IEEE1394 버스(3)로 송출된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ASP)을 수신하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ASP 수신부)(52)와, 상기 IEEE1394 버스(3)로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ASP)을 송출하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ASP 송신부)(53)와, 상기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에 의해 제어되며, 카메라의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에 의해 상기 IEEE1394 버스(3)로 송출하는 영상 출력 스위치(54)를 구비하며, 상기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는,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하는 자신 앞으로의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RUS·T-ASP)을 수신했을 때, 상기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53)로부터 수령 패킷을 송신시켜서, 상기 영상 출력 스위치(54)를 상기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의 송출이 가능한 인에이블(스위치 온) 상태로 제어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호스트 PC(1)는, IEEE1394 버스(3)의 리소스를 관리하는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IRM)(2)를 구비하고, 이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2) 및 IEEE1394 버스(3)에 대해 통신을 행하는 처리 수단을 갖는다. 호스트 PC(1)는 상기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2)에 대해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요구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요구에 의해 확보한 채널을 「 공유 모드」로 상기 각 카메라(5A, 5B)에 할당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각 카메라(5A, 5B)에 대해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사용한 후의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양도처를 지정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각 카메라(5A, 5B)에 대해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ASP)을 송신하며, 상기 각 카메라(5A, 5B)로부터 송출된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ASP)을 수신하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의 통신 수단과, IEEE1394 버스(3)로 송출된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ASP)의 데이터를 로그 데이터로서 채취하는 처리 수단과, 백 로그를 저장하는 로그 관리 기억 수단(11)과, 로그 관리 기억 수단(11)에 기억된 로그 데이터의 내용(양도/수령)을 바탕으로 노드간의 패킷 전송에 관한 타임 아웃의 인식 처리를 행하는 타임 아웃 처리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의 통신 수단은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하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RUS·T-ASP)의 송수신 기능을 갖는다. 이들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카메라(5A, 5B)는, 각각 개체 촬상 소자(도시 생략)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IEEE1394 버스(3)에 접속 가능한 노드의 버스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IEEE1394 인터페이스 제어 회로(I/F 제어부)(51)와, 상기 IEEE1394 버스(3)로 송출된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ASP)을 수신하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ASP 수신부)(52)와, 상기 IEEE1394 버스(3)에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ASP)을 송출하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ASP 송신부)(53)와, 상기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에 의해 제어되며 카메라의 촬상부(57)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에 의해 상기 IEEE1394 버스(3)로 송출하는 영상 출력 스위치(54)와, 촬상 처리의 개시, 종료를 포함하는 카메라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카메라 제어 회로(카메라 제어부)(56)와, 카메라 제어 회로(56)의 제어 하에서 카메라의 촬상부(57)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패킷화한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영상 출력 스위치(54)로 송출하는 영상 데이터 처리 회로(영상 데이터 처리부)(55)와, CCD 이미지 센서(Charge Coupled Device Image Sensor) 또는 CMOS 이미지 센서(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등의 고체 촬상 소자(에어리어 이미지 센서)와 광학계를 구비한 촬상부(57)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는 IEEE1394 버스(3)로 송출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하는(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개방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사용권 양도 패킷(RUS·T-ASP)의 수신 및 커맨드 해석 기능(패킷 해석 기능)을 구비한다. 이 사용권 양도 패킷(RUS·T-ASP)은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양도처에 대해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하는 취지를 통지한다. 또한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는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하는 자신 앞으로의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RUS·T-ASP)을 수신했을 때,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53)로부터 수령 패킷을 송신시킨 후, 영상 출력 스위치(54)를 디스에이블(스위치 오프) 상태로부터 인에이블(스위치 온) 상태로 전환 제어하고, 영상 데이터를 패킷화한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의 IEEE1394 버스(3)로의 송출을 가능하게 한다.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53)는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수령했다는 취지를 통지하는 수령 패킷 및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사용권 양도 패킷(RUS·T-ASP)의 송신 기능을 구비한다.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53)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가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하는 자신 앞으로의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RUS·T-ASP)을 수신했을 때,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로부터 상기 수신 통지를 받아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수령했다는 취지를 통지하는 수령 패킷을 IEEE1394 인터페이스 제어 회로(51)를 거쳐서 IEEE1394 버스(3)로 송출한다. 또한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53)는, 영상 1 프레임의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이 영상 출력 스위치(54)를 거쳐서 IEEE1394 버스(3)로 송출된 후,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로부터 전송 종료 통지를 받아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사용권 양도 패킷(RUS·T-ASP)을 IEEE1394 인터페이스 제어 회로(51)를 거쳐서 IEEE1394 버스(3)로 송출한다. 이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53)로부터 송출된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은, IEEE1394 버스(3) 상의 각 노드에 배신된다. 상기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 및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53)에서 취급하는 패킷은 공지된 브로드캐스트 전송 데이터로, IEEE1394 버스(3)에 접속된 모든 노드로 전송(배신)된다.
영상 출력 스위치(54)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에 의해 디스에이블(스위치 오프)/인에이블(스위치 온)되고, 영상 데이터 처리 회로(55)로부터 받은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을 IEEE1394 인터페이스 제어 회로(51)를 거쳐서 IEEE1394 버스(3)로 송출하는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에 의한 영상 데이터의 출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다. 영상 출력 스위치(54)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가 자신 앞으로의(자신 노드 앞으로의) 사용권 양도 패킷(RUS·T-ASP)을 수신하고,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53)로부터 수령 패킷을 송신시킨 후,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에 의해, 디스에이블(스위치 오프) 상태로부터 인에이블(스위치 온) 상태로 전환 제어된다. 이 영상 출력 스위치(54)가 인에이블(스위치 온) 상태로 전환 제어됨으로써, 카메라의 촬상부(57)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패킷화한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이 IEEE1394 인터페이스 제어 회로(51)를 통해서 IEEE1394 버스(3)로 송출된다.
영상 데이터 처리 회로(55)는, 카메라 제어 회로(56)의 제어하에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사용해서, 영상 데이터를 패킷화한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을 생성하여 영상 출력 스위치(5)에 출력 제어 대상 데이터로서 송출한다. 이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에 의한 1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 송신 종료 후, 영상 출력 스위치(54)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의 제어하에서,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의 송출이 가능한 인에이블(스위치 온) 상태로부터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의 송출이 저지되는 디스에이블(스위치 오프) 상태로 전환 제어된다.
카메라 제어 회로(56)는 촬상부(57)를 동작 제어하여, IEEE1394 인터페이스 제어 회로(51)에서 받은 지시 커맨드에 따라서, 촬상부(57)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처리 회로(55)로 송출 제어한다.
여기서, 도 3에 나타내는 카메라 시스템의 동작 타이밍과, 도 4에 나타내는 카메라 시스템의 통신 플로우를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시스템의 통신 처리 동작을 설명한다.
복수의 카메라(5A, 5B)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IEEE1394 버스(3)를 거쳐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공유하여 영상 프레임 단위로 호스트 PC(1)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때, 호스트 PC(1)는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IRM)(2)에 대해,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요구를 행한다. 이 때의 아이소크로너스 대역량은 카메라(5A, 5B) 중 전송 데이터량이 가장 큰 카메라를 대상으로 결정된다.
호스트 PC(1)는,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확보한 후, 확보한 채널(채널 0)을 공유 모드로 각 노드의 카메라(5A, 5B)에 할당한다. 이 할당 통지는 어싱크로너스 패킷을 사용해서 행해진다.
카메라(5A, 5B)는 채널(채널 0)이 공유 모드로 할당되기 때문에, 서로 영상 데이터(아이소크로너스 패킷)를 IEEE1394 버스(3)로 송출하지 않는 상태로 남아있다. 각 카메라(5A, 5B)의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는, 상기 공유 모드를 지정하는 커맨드를 수신해서 해석하여 영상 출력 스위치(54)를 디스에이블(스위치 오프) 상태로 한다.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는, 상기 채널 0의 공유 모드 할당 통지를 받으면 영상 출력 스위치(54)를 디스에이블(스위치 오프) 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호스트 PC(1)는, 상기 각 카메라(5A, 5B)에 대해 어싱크로너스 패킷을 사용하여,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사용한 후의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양도처를 지정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동작예에서는, 호스트 PC(1)→카메라(5A)→카메라(5B)→호스트 PC(1)의 순서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양도처를 주고받음으로써, 카메라(5A)의 양도처를 카메라(5B)로, 카메라(5B)의 양도처를 호스트 PC(1)로 각각 지정한다.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는 양도처의 통지(양도처를 나타내는 노드 지정 정보)를 받으면, 이 양도처를 나타내는 노드 지정 정보를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53)에 통지한다.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53)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로부터 통지된 양도처를 나타내는 노드 지정 정보를 유지하고, 그 후 영상 데이터 처리부(55)로부터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를 통해서 영상 1 프레임의 전송 종료 통지를 받으면, 유지한 노드 지정 정보를 바탕으로 양도처를 지정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하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RUS·T-ASP)을 IEEE1394 인터페이스 제어 회로(51)를 통해서 IEEE1394 버스(3)로 송출한다(IEEE1394 버스(3) 상의 각 노드에 배신한다). 이와 함께,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는, 영상 1 프레임의 전송 종료 통지를 받으면, 영상 출력 스위치(54)를 디스에이블(스위치 오프) 상태로 한다. 상술한 호스트 PC(1)에 의한, 채널의 할당 및 양도처의 지정은 어싱크로너스 패킷을 이용해서 실시된다.
여기까지의 호스트 PC(1)에 의한 처리(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2)로부터 채널을 획득하여, IEEE1394 버스(3)에 접속된 각 카메라(5A, 5B)에 대해 공유 모드를 지시하고,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양도처를 지정하기까지의 처리)를 도 3 및 도 4에 각각 부호 Pa로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 후,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을 사용한, 노드 사이의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의 양도, 수령의 처리와, 이에 따른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을 사용한 영상 프레임 단위의 영상 데이터의 전송 처리가 실행된다.
호스트 PC(1)는,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양도처를 지정한 후, 먼저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양도를 받은 카메라(5A)에 대해, 아이소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을 사용하여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한다. 여기서는, 호스트 PC(1)가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사용권 양도 패킷(RUS·T-ASP)를 IEEE1394 버스(3)로 송출한다. 이 사용권 양도 패킷(RUS·T-ASP)은 IEEE1394 버스(3) 상의 카메라(5A, 5B)를 접속한 각 노드에 배신(브로드캐스트 전송)된다. 호스트 PC(1)는 IEEE1394 버스(3) 상의 상기 사용권 양도 패킷(RUS·T-ASP)의 데이터를 백 로그로서 채취하여, 로그 관리 기억 수단(11)에 저장한다. 이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사용권 양도 패킷(RUS·T-ASP)을 도 1에 RUS·T-ASP(1)로서 나타내고 있다.
카메라(5A)는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노드 자신 앞으로의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RUS·T-ASP)을 받으면,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에 의해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이 양도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수령 패킷을 송신한다. 카메라(5A)의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는, 상기 노드 앞으로의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RUS·T-ASP)을 받으면,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53)에 대해 수령 패킷의 송신을 재촉하는 지시를 행한다.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53)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이 양도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수령 패킷을 IEEE1394 버스(3)로 송출한다. 이 수령 패킷은 IEEE1394 버스(3) 상의 카메라(5A, 5B)를 접속한 각 노드에 배신(브로드캐스트 전송)된다. 호스트 PC(1)는 IEEE1394 버스(3) 상의 상기 수령 패킷의 데이터를 백 로그로서 채취하여, 로그 관리 기억 수단(11)에 저장한다.
카메라(5A)는 수령 패킷을 송신한 후,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사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에 의해 송신한다. 카메라(5A)의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는 수령 패킷의 송신을 확인하여, 영상 출력 스위치(54)를 디스에이블(스위치 오프) 상태로부터 인에이블(스위치 온) 상태로 전환하고, 영상 데이터 처리 회로(55)에 대해 영상 데이터의 패킷 처리를 지시한다. 영상 데이터 처리 회로(55)는 카메라의 촬상부(57)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패킷화한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을 생성하여, 영상 출력 스위치(54)에 출력 제어 대상 데이터로서 송출한다. 영상 출력 스위치(54)는 인에이블(스위치 온) 상태로 전환 제어되고 있고, 영상 데이터 처리 회로(55)로부터 받은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을 IEEE1394 인터페이스 제어 회로(51)를 통해서 IEEE1394 버스(3)로 송출한다. 이 IEEE1394 버스(3) 상으로 송출된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은 호스트 PC(1)에서 수신된다.
카메라(5A)는 영상 1 프레임분의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을 전송하면, 카메라(5B)에 대해, 아이소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을 사용하여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한다. 카메라(5A)의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는 영상 1 프레임분의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의 전송이 종료되면, 영상 출력 스위치(54)를 인에이블(스위치 온) 상태로부터 디스에이블(스위치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53)에 대해 사용권 양도 패킷(RUS·T-ASP)의 송출을 재촉하는 지시를 행한다.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53)는 이 지시에 따라, 카메라(5B)를 양도처로 하는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사용권 양도 패킷(RUS·T-ASP)을 IEEE1394 인터페이스 제어 회로(51)를 통해서 IEEE1394 버스(3)로 송출한다. 이 사용권 양도 패킷(RUS·T-ASP)은 IEEE1394 버스(3) 상의 각 노드에 배신(브로드캐스트 전송)된다. 호스트 PC(1)는 IEEE1394 버스(3) 상의 상기 사용권 양도 패킷(RUS·T-ASP)의 데이터를 백 로그로서 채취하여 로그 관리 기억 수단(11)에 저장한다. 이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사용권 양도 패킷(RUS·T-ASP)을 도 1에 RUS·T-ASP(2)로서 나타내고 있다.
카메라(5B)는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노드 자신 앞으로의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RUS·T-ASP)을 받으면,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에 의해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이 양도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수령 패킷을 송신한다. 카메라(5B)의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는, 상기 노드 자신 앞으로의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RUS·T-ASP)을 받으면,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53)에 대해 수령 패킷의 송신을 재촉하는 지시를 행한다.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53)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이 양도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수령 패킷을 IEEE1394 버스(3)로 송출한다. 이 수령 패킷은 IEEE1394 버스(3) 상의 각 노드(카메라(5A) 및 호스트 PC(1))에 배신(브로드캐스트 전송)된다. 호스트 PC(1)는 IEEE1394 버스(3) 상의 상기 수령 패킷의 데이터를 백 로그로서 채취하여, 로그 관리 기억 수단(11)에 저장한다.
카메라(5B)는 수령 패킷을 송신한 후,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사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에 의해 송신한다. 카메라(5B)의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는 수령 패킷의 송신을 확인하여, 영상 출력 스위치(54)를 디스에이블(스위치 오프) 상태로부터 인에이블(스위치 온) 상태로 전환하고, 영상 데이터 처리 회로(55)에 대해 영상 데이터의 패킷 처리를 지시한다. 영상 데이터 처리 회로(55)는 카메라의 촬상부(57)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패킷화한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을 생성하여, 영상 출력 스위치(5)에 출력 제어 대상 데이터로서 송출한다. 영상 출력 스위치(54)는 인에이블(스위치 온) 상태로 전환 제어되어 있고, 영상 데이터 처리 회로(55)로부터 받은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을 IEEE1394 인터페이스 제어 회로(51)를 통해서 IEEE1394 버스(3)로 송출한다. 이 IEEE1394 버스(3) 상에서 송출된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은 호스트 PC(1)에서 수신된다.
카메라(5B)는 영상 1 프레임분의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을 전송하면, 호스트 PC(1)에 대해, 아이소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을 사용하여,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한다. 카메라(5B)의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52)는, 영상 1 프레임분의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의 전송이 종료되면, 영상 출력 스위치(54)를 인에이블(스위치 온) 상태로부터 디스에이블(스위치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53)에 대해 사용권 양도 패킷(RUS·T-ASP)의 송출을 재촉하는 지시를 행한다.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53)는 이 지시에 따라, 카메라(5B)를 양도처로 하는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사용권 양도 패킷(RUS·T-ASP)를 IEEE1394 인터페이스 제어 회로(51)를 통해서 IEEE1394 버스(3)로 송출한다. 이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하는 취지를 통지하는 사용권 양도 패킷(RUS·T-ASP)을 도 1에 RUS·T-ASP(3)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을 사용한, 노드 사이의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의 양도, 수령의 처리 기능에 의해, 복수의 카메라를 접속한 IEEE1394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각 카메라의 영상 프레임 전송에 대해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공유가 행해질 수 있다.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양도는, 첫번째 호스트 PC(1)로부터 카메라(5A)로의 양도를 제외하면 호스트 PC(1)에 관계없이 카메라끼리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양도, 수령 패킷은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으로 실시되기 때문에, 호스트 PC(1)에서 채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호스트 PC(1)는 현재 어떤 카메라가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카메라에 문의하지 않고 알 수 있다. 또한, 가령 양도에 실패한 경우에도, 호스트 PC(1)는 로그 관리 기억 수단(11)에 저장한 양도 패킷 및 수령 패킷을 바탕으로 어디에서 양도에 실패했는지를 사후 조사할 수 있다. 이로써, 호스트 PC(1)에 따른 아이소크로너스 대역 양도의 처리 부하를 최소한으로 해서 복수의 카메라에 대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공유를 실현할 수 있다. 이로써, 카메라의 영상을 생성되는 순서로 처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처리 속도를 대폭 향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신호를 IEEE1394 버스를 통해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공유하여 영상 프레임 단위로 호스트측의 기기에 전송하는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카메라에,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수신 회로를 마련하고, 이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수신 회로를 통해서, 상기 카메라 상호간 및 카메라와 호스트측의 기기 사이에서,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에 의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양도 및 수령을 행하는 기능을 실현함으로써, 상기 호스트측의 기기에 걸리는 처리 부하를 최소한으로 해서 IEEE1394 버스 상에 있어서의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고속 동작 전환을 가능하게 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에 의한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양도 및 수령을 행하는 기능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호스트측의 기기에 상기 IEEE1394 버스로 송출된 상기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의 내용을 로그 데이터로서 채취하여 저장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호스트측의 기기가 노드간의 패킷 전송에 관한 타임 아웃의 인식 처리를 행하는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복수 노드의 각 카메라측에 각각 타임 아웃 처리 기능을 마련하지 않고 카메라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서, 각 카메라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유리한 구성의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의 형태 그대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를 변형해서 구체화할 수 있는 것이다.
1 : 호스트측의 기기(호스트 PC)
2 :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IRM) 3 : IEEE1394 버스
5A, 5B : 카메라 11 : 로그 관리 기억 수단
51 : IEEE1394 인터페이스 제어 회로(I/F 제어부)
52 :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ASP 수신부)
53 :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ASP 송신부)
54 : 영상 출력 스위치
55 : 영상 데이터 처리 회로(영상 데이터 처리부)
56 : 카메라 제어 회로(카메라 제어부) 57 : 촬상부
RUS·T-ASP :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하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Claims (5)

  1. 복수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신호를 IEEE1394 버스를 통해서 아이소크로너스(isochronous) 대역을 공유하여 호스트측의 기기에 영상 프레임 단위로 전송하는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IEEE1394 버스로 송출된 어싱크로너스(asynchronous) 스트리밍 패킷을 수신하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와,
    상기 IEEE1394 버스로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을 송출하는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와,
    상기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신호를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에 의해 상기 IEEE1394 버스로 송출하는 영상 출력 스위치
    를 구비하고,
    상기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수신 회로는,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사용권을 양도하는 자신 앞으로의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을 수신했을 때, 상기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 송신 회로로부터 수령 패킷을 송신시켜서, 상기 영상 출력 스위치를 상기 아이소크로너스 패킷의 송출이 가능한 인에이블 상태로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측의 기기는,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와의 통신 수단을 갖고, 상기 아이소크로너스 리소스 매니저에 대해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요구를 행하는 수단과, 상기 요구에 의해 확보한 채널을 공유 모드로 상기 각 카메라에 할 당하는 수단과, 상기 각 카메라에 대하여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을 사용한 후의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양도처를 지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측의 기기는, 상기 IEEE1394 버스에 송출된 상기 어싱크로너스 스트리밍 패킷의 내용을 로그(log) 데이터로서 채취하여 저장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측의 기기는, 상기 아이소크로너스 대역의 요구에 의해 확보한 채널을 공유 모드로 상기 각 카메라에 할당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각 카메라에 대해 상기 양도처를 지정하는 통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측의 기기는, 상기 각 카메라에 대해 상기 공유 모드에 의한 채널의 할당 및 상기 양도처의 지정을 어싱크로너스 패킷에 의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KR1020117019027A 2009-02-16 2010-02-09 카메라 시스템 KR201101069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33042A JP4564093B2 (ja) 2009-02-16 2009-02-16 カメラシステム
JPJP-P-2009-033042 2009-0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931A true KR20110106931A (ko) 2011-09-29

Family

ID=4256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027A KR20110106931A (ko) 2009-02-16 2010-02-09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267472A1 (ko)
EP (1) EP2398222A1 (ko)
JP (1) JP4564093B2 (ko)
KR (1) KR20110106931A (ko)
CN (1) CN102318332A (ko)
CA (1) CA2749699A1 (ko)
WO (1) WO20100929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1690B (en) * 2014-03-27 2016-09-21 Canon Kk TDMA data exchange
KR102596485B1 (ko) * 2016-12-15 2023-11-01 한화비전 주식회사 카메라 등록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5587A (ja) * 1998-06-04 1999-12-24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3814428B2 (ja) * 1998-10-30 2006-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端末装置のカメラ制御方法
WO2003098623A1 (fr) * 2002-05-17 2003-11-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ositif et procede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JP2004063053A (ja) * 2002-07-31 2004-02-26 Sony Corp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及び装置管理方法
DE102004045118A1 (de) * 2004-09-17 2006-03-2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atenübertragung
JP4217727B2 (ja) * 2006-04-21 2009-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ィジタル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4940030B2 (ja) * 2007-06-26 2012-05-30 富士通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98222A1 (en) 2011-12-21
US20110267472A1 (en) 2011-11-03
JP4564093B2 (ja) 2010-10-20
CA2749699A1 (en) 2010-08-19
JP2010193005A (ja) 2010-09-02
WO2010092957A1 (ja) 2010-08-19
CN102318332A (zh)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141B1 (ko) 이더넷과 can 통신 간의 신호 변환을 제공하는 차량용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822037B2 (en) Apparatus for the reduction of uplink request processing latenc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70133404A1 (en) Interface link layer device to build a distributed network
JP2006262478A (ja) 光ネットワーク及びノード
JP2007142764A (ja) 局側装置における帯域割当装置、帯域割当方法および帯域割当プログラム
WO2011132911A2 (ko) 스케줄링 지연을 수행하기 m2m 기기와 기지국 및 그 수행 방법
JP2010011351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2097001A (zh) 视频监控数据传输系统
KR20090068138A (ko) 1차 네트워크와 2차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WO2022250352A1 (ko) 초저지연 영상 인코딩 장치 및 방법
KR20110106931A (ko) 카메라 시스템
US200702426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optical data in optical switching system
US839128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5593078B2 (ja) カメラ装置
EP12107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duction of upstream request processing latency in a 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JP2009194509A (ja) 衛星通信地球局
EP4113932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EP2608557A2 (en) Communication method, control end apparatus and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440537B1 (ko) 네트워크 연결 기능을 구비한 아이피 카메라 장치 및 동작 방법
JP2008294851A (ja) Ponシステム
KR102544747B1 (ko) 복수개의 독립된 Ethernet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카메라
EP4109870A1 (en) Camera system, communication method,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camera
JP2005124059A (ja) Pon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局側回線終端装置及び未登録加入者装置の検出方法
JP2003143095A (ja) 伝送制御装置
JP2006217387A (ja) 放送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