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428A - 페로몬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페로몬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428A
KR20110106428A KR1020117017855A KR20117017855A KR20110106428A KR 20110106428 A KR20110106428 A KR 20110106428A KR 1020117017855 A KR1020117017855 A KR 1020117017855A KR 20117017855 A KR20117017855 A KR 20117017855A KR 20110106428 A KR20110106428 A KR 20110106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etate
plastic film
pheromone
dispenser
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7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벤 하르므센
베르너 헤크
클라우스 레너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10106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44Holders or dispensers for liquid insecticide, e.g. using wicks
    • A01M1/205Holders or dispensers for liquid insecticide, e.g. using wicks using vibrations, e.g. ultrasonic or piezoelectric atomiz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4Oxygen or sulfur attached to an aliphatic side-chain of a carbocyclic ring syste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열가소성 필름 물질로 이루어지고, 페로몬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쉬형 영역 (4)을 갖는 심교(deep-drawn) 플라스틱 필름 (1); (b) 열가소성 필름 물질로 제조되고, 심교 플라스틱 필름과 연결되고, 심교 플라스틱 필름의 디쉬형 영역 또는 영역들과 함께 페로몬 또는 페로몬을 함유하는 액체를 함유하는 영구적으로 밀봉된 챔버를 형성하는 평면 플라스틱 필름 (9); 및 (c) 상호연결된 플라스틱 필름의 영역 내 오목부를 포함하는, 페로몬 또는 페로몬을 함유하는 액체로 충전된 페로몬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평면 플라스틱 필름은 페로몬에 대해 투과성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유형의 페로몬 디스펜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페로몬 디스펜서 {PHEROMONE DISPENSER}
본 발명은 2개의 상호연결된 플라스틱 필름의 페로몬-충전된 페로몬 디스펜서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페로몬은 농업 및 임업에서 곤충 방제제로서 중요성이 증가되어 왔다. 농업에서, 특히 원예 및 포도재배에서 해충을 방제하는 현재 방법은 페로몬을 사용하며, 이는 혼란 방법 (또한 교미 교란 기술 또는 혼란 기술이라고도 지칭됨)이라고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은 각각의 교미 파트너를 유인하기 위해 교미 시간 동안 페로몬을 방출하는 일부 곤충 (일반적으로 수컷임)의 습성을 이용한다. 인공적으로 제조된 페로몬의 더 높은 물질 농도를 밭에 도입하는 경우, 유인되는 곤충이 방향감각을 잃어버리고 그의 교미 파트너를 더이상 찾지 않는다. 해충 방제에서 페로몬을 사용하는 또 다른 현재 방법은 유인제로서 작용하는 페로몬에 의한 포획 시스템에서의 대량 포획이다. 다수의 페로몬이 공지되어 있다. 개요는 예를 들어 문헌 [J. Vitae, Biologie in unserer Zeit 8, 112 (1978)] 및 ["The Pherobase" (http://www.pherobase.com)]에서 찾을 수 있다.
페로몬의 사용은 가능한 한 장기간 보호 및/또는 높은 균일한 포획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활성 물질의 연장된 균일한 방출을 확실하게 하는 적합한 활성 물질 디스펜서를 필요로 한다.
공지된 디스펜서 유형은 아래와 같다.
- 페로몬-투과성 플라스틱 필름 물질,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제조된 필름 라미네이트로 제조된 필름 백, 일반적으로 페로몬으로 함침된 셀룰로스-유사 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필름 백 (예를 들어, 제DE-A 2832248호, 제DE-A 2945655호, 제EP-A 342126호 참조);
- 페로몬이 혼입된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된 디스펜서 (장벽-비함유 디스펜서 (또한 매트릭스 디스펜서라고도 지칭됨)라고 지칭됨, 예를 들어 제DE 2356155호 참조);
- 모세관의 개방 단부를 통해 환경으로 페로몬을 분배하는 모세관 형태의 디스펜서 (모세관 디스펜서) (예를 들어, 제US 4017030호 참조);
- 1개 또는 2개의 페로몬-충전된 챔버가 장착된, 페로몬에 대해 투과성인 것으로 선택된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된 앰플 (제EP-A 243263호, 제EP-A 236188호 및 제EP-A 413 325호 참조). 이들 디스펜서는 또한 중공-챔버 디스펜서라고도 지칭된다.
처음 언급된 디스펜서 유형 세 가지의 단점은 페로몬이 기상 조건에 따라 거의 조절되지 않는 방법으로 방출된다는 것이다. 초기에 높은 페로몬-포화 물질 (흡수성 물질 또는 플라스틱) 중 페로몬 농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더 신속하게 하락하며; 유인제의 방출이 종료되는 시점이 구체적으로 기록될 수 없다. 자주, 감소하는 활성에 대한 실제 원인은 무엇에 의해 유발되었던 간에 디스펜서에 의한 활성 물질의 배출 또는 페로몬의 불충분한 방출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유인제의 방출이 종료될 수 있기 전에 통상적인 디스펜서를 대체해야 하는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 그의 경험을 이용하도록 강요된다. 맞지 않는 사용, 또는 가능하고 (예를 들어 기상의 결과로서) 너무 일찍 유인제의 방출을 너무 낮게 초래하거나 또는 전혀 초래하지 않는 다른 인자가 오직 간신히 인식될 수 있다. 특히 임업 적용에서, 활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여전히 작동가능한 디스펜서가 순전히 예방책으로서 대체된다. 활성 물질의 방출에서 이들 불확실성을 경계하기 위해, 이 경우에 2개 이상, 가끔 또한 3개의 전통적 디스펜서가 적용 동안 반드시 필요하며, 이는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비용 인자를 구성한다.
앰플 디스펜서의 단점은 첫째로 블로우 성형 방법에 의한 복잡한 제조이다. 앰플을 위한 물질 요건은 페로몬 양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다. 더욱이, 방출 특징이 자주 만족스럽지 않다. 특히, 종결을 향한 방출, 즉, 낮은 충전 수준에서의 방출은 제조로 인한 물질의 구조 및 두께의 변동 및 디스펜서의 기하학으로 인해 더이상 최적이 아니다.
앞선 독일 특허 출원 제DE 102008026602.7호에는 필름 물질에 의해 둘러싸이고 매질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챔버를 갖는, 고도로 휘발성 매질을 위한 디스펜서가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챔버는 페로몬을 포함하는 밀봉된 깨지기 쉬운 앰플, 예를 들어 유리 앰플의 형태를 취한다. 디스펜서는 앰플의 파괴에 의해 활성화된다.
그러므로, 연장된 기간에 걸친 페로몬 또는 페로몬 부케의 제어된 방출에 적합하고 제조하기 간단한 디스펜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그러므로 특히 방출 특징이 앰플 디스펜서의 방출 특징과 적어도 비교가능하거나 이보다 훨씬 더 양호하며, 즉 페로몬의 신뢰성 있는 방출, 및 그러므로 심지어 알맞지 않은 기후 조건, 예컨대 변화하는 온도 및 광 조건 또는 고온 하에 및 마찬가지로 연장된 기간에 걸쳐 사실상 신뢰성 있는 활성을 확실하게 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이러한 목적이 하기 본원에 기재된 디스펜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열가소성 필름 물질로 제조되고, 페로몬 또는 페로몬-포함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대역을 특징으로 하는 심교(deep-drawn) 플라스틱 필름, 및 (b) 열가소성 필름 물질로 제조되고, 심교 플라스틱 필름과 연결되고, 심교 플라스틱 필름의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대역과 함께 페로몬 또는 페로몬-포함 액체를 포함하는 내구성 있게 밀봉된 챔버를 형성하는 평면 플라스틱 필름, 및 (c) 상호연결된 플라스틱 필름의 대역 내 오목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평면 플라스틱 필름은 페로몬에 대해 투과성인, 페로몬 또는 페로몬-포함 액체로 충전된 페로몬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는 일련의 장점들을 수반한다. 통상적인 중공-챔버 디스펜서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는 필름의 사용 때문에 매우 정밀한 물질 구조 및 두께를 특징으로 하고, 그러므로 디스펜서의 충전 수준과 독립적으로 일정한 방출 조건을 확실하게 한다. 더욱이, 물질 요건이 전통적 중공-챔버 디스펜서의 경우보다 현저하게 적다. 게다가, 블로우-성형된 또는 압출-성형된 앰플 디스펜서와 대조적으로 페로몬은 통상적으로 제조 동안 임의의 승온에 노출되지 않으며, 이는 필름이 이미 예비형성되고 오직 서로 결합하는 것만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는 필름 백, 모세관 디스펜서 및 장벽-비함유 디스펜서와 비교하여 현저히 개선된 방출 특징을 갖는다.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필름 물질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는 상대적으로 경량이고 작고 낮으며, 이는 수송 및 포장 수고를 덜어준다. 디스펜서에 제공된 오목부는 디스펜서를 보호될 식물의 가지 또는 묘조에 간단히 고정할 수 있게 한다. 페로몬 또는 페로몬 부케를 수용하기 위한 깨지기 쉬운 앰플, 예컨대 유리 앰플의 사용이 여전히 요구된다. 그러므로, 독일 특허 출원 제DE 102008026602.7호에 기재된 디스펜서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는 전형적으로 챔버(들)에 임의의 깨지기 쉬운 앰플 구성성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양태가 하위청구항 및 도면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는 페로몬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내구성 있게 밀봉된 챔버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수의 내구성 있게 밀봉된 챔버를 갖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챔버를 동일한 페로몬 또는 상이한 페로몬으로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챔버(들)는 심교 필름의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들) 및 이에 결합된 평면 플라스틱 필름에 의해 형성된다. 내구성 있게 결합된은 디스펜서의 파괴 없이는 분리될 수 없는 방식으로 심교 필름이 평면 필름에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평면 필름으로의 심교 필름의 결합은 일반적으로 평면 필름이 심교 필름의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대역의 가장자리 상에 또는 연부의 대역에 놓여있고, 연부 또는 가장자리를 따라 내구성 있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내구력이 있는 고정은 전형적으로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대역의 연부를 따라 용접되거나 밀봉된 이음매에 의해 수행된다.
가능한 한 균일한 방출 특징을 달성하기 위해,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대역의 바닥은 평면 필름과 대체로 평행하다. 대체로 평행한은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의 바닥 구역의 70% 이상이 평면 필름과 평행하게 배열되거나 평면 필름과 10° 미만의 각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의 깊이가 0.2 mm 이상, 특히 0.4 mm 이상에 달하고, 바람직하게는 5 mm, 특히 3 mm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이로운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문맥에서, 깊이는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면-평행한 디쉬의 연부에 의해 미리 결정된 디쉬의 바닥 구역과 평면의 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추가로,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이 1개 이상, 예를 들어 1 또는 2개의 침하 대역을 특징으로 하는 경우 이로운 것으로 증명되었다. 이 경우에, 침하 대역은 디쉬의 나머지 대역보다 0.2 mm 이상, 특히 0.5 mm 이상, 예를 들어 0.2 내지 3 mm, 특히 0.5 내지 1.5 mm 더 깊다. 침하 대역의 깊이는 전형적으로 1 내지 5 mm의 범위 및 특히 1.2 내지 3 mm의 범위일 것인 반면, 디쉬의 나머지 대역의 깊이는 전형적으로 0.2 내지 2 mm의 범위 및 특히 0.4 내지 1.5 mm의 범위일 것이다.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은 일반적으로 2.5 내지 25 ㎠의 범위, 특히 4 내지 20 ㎠의 범위의 면적을 가질 것이다.
디스펜서의 기본 형상은 전형적으로 직사각형일 것이며, 모서리는 둥글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타원형, 원형, 삼각형, 사다리꼴, 마름모형 또는 4면 초과의 다각형 실시양태가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펜서의 기본 형상은 1 내지 20 cm의 범위, 특히 1.5 내지 10 cm의 범위의 특징적 치수 (예를 들어, 측면의 길이, 직경 등)를 갖는다. 직사각형 기본 형상을 갖는 디스펜서의 경우, 직사각형의 한 측면의 치수는 전형적으로 2 내지 20 cm의 범위, 특히 2.5 내지 10 cm의 범위일 것이고, 이에 대해 직각인 측면의 치수는 1 내지 10 cm의 범위, 특히 1.5 내지 8 cm의 범위일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디스펜서는 서로 결합된 필름의 대역 내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오목부는 전형적으로 연부가 심교 필름 및 평면 필름의 필름 물질에 의해 형성된,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구역을 특징으로 할 것이다. 오목부에는 또한 더 양호한 체결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압입부 또는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다. 오목부 구역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을 따른 오목부의 정도는 일반적으로 3 mm 미만이 아니고 바람직하게는 2 cm를 초과하지 않을 것이다. 오목부는 전형적으로 1 내지 3 ㎠ 범위의 면적을 가질 것이다. 이러한 오목부는 디스펜서를 예를 들어 식물의 가지 또는 묘조에 부착하거나 거는 역할을 한다. 오목부는 바람직하게는 타원형이거나 둥글고, 더 양호한 체결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압입부 또는 돌출부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디스펜서가 오목부를 디스펜서의 연부에 연결시키는 노치를 특징으로 하는 경우 이로운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노치는 하기 본원에서 또한 확장 절단부라고 지칭되고, 디스펜서를 예를 들어 식물의 가지 또는 묘조에 체결하는 것을 촉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은 서로 연결되고 오목부의 어느 한 측면 및 그 사이 연결부 (하기 본원에서 또한 채널이라고도 지칭됨) 상에 배열된 2개 이상의 부분-대역을 특징으로 한다. 부분-대역은 그 사이 연결부와 함께 오목부 주변에 U형 또는 편자형 배열을 형성한다.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이 2개의 부분-대역을 포함하면, 이들을 연결시키는 채널은 일반적으로 2개의 부분-대역보다 더 좁을 것이고, 전자와 비교하여 더 작은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디스펜서는 바람직하게는 확장 절단부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확장 절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챔버의 2개의 부분-대역, 또는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 사이에 배열되도록 배열되며, 즉 2개의 부분-대역은 각각의 경우에 노치의 한 측면 상에 완전히 위치되고, 2개의 부분-대역을 연결시키는 더 좁은 채널과 함께 오목부를 둘러싼다.
임의로, 이들 부분-대역 중 하나는 오목부 대역에 바람직하게는 손가락을 형성하도록 설계된 돌출부를 특징으로 하며, 돌출부는 서로 연결된 2개 이상의 부분-대역과 함께 오목부를 대체로 둘러싼다. 이러한 돌출부는 특히 디스펜서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확장 절단부를 특징으로 하는 경우 디스펜서의 더 양호한 걸림 안정성에 이르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평면 플라스틱 필름의 필름 물질은 디스펜서에 존재하는 페로몬에 대해 투과성이며, 즉 평면 플라스틱 필름의 물질은 페로몬이 평면 플라스틱 필름을 가로질러 확산될 수 있고 환경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페로몬에 대해 투과성인 적합한 플라스틱 필름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물론, 플라스틱 물질의 유형은 페로몬의 확산 속도 및 이에 따라 방출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해당 페로몬에 최적인 평면 플라스틱 필름의 플라스틱 물질은 공지된 방식으로 페로몬의 성질에 좌우된다.
대부분의 페로몬의 경우, 평면 필름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물질이 C2-C6-올레핀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특히 에틸렌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경우 이로운 것으로 증명되었다. 적합한 공단량체는 원칙적으로 C2-C6-올레핀 또는 에틸렌과 공중합가능한 모든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이며, 중성 단량체, 예컨대 비닐 방향족, 예를 들어 스티렌, 지방족 C1-C10-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 예컨대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및 비닐 부티레이트,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C1-C10-알킬 에스테르, 특히 아크릴산의 C1-C10-알킬 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의 C1-C10-알킬 에스테르,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니트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C3-C6-올레핀 및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공단량체는 지방족 C1-C10-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 특히 비닐 아세테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C2-C6-올레핀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내 C2-C6-올레핀 함량은 50 중량% 이상, 특히 70 중량%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내 에틸렌 함량은 50 중량% 이상, 특히 70 중량% 이상이고, 에틸렌 공중합체 내 공단량체 함량은 1 내지 50 중량%의 범위, 특히 2 내지 30 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평면 플라스틱 필름의 플라스틱 물질은 폴리에틸렌, 특히 HDPE이다.
평면 필름에 적합한 플라스틱 필름 물질의 예는 특히 바스프 에스이(BASF SE)로부터 상표명 유틸렌(Euthylen)®, 예를 들어 유틸렌® 3020D (비착색), 루폴렌(Lupolen)®, 예를 들어 루폴렌® 2420 H, 및 루필렌(Lufilen)®, 예를 들어 루필렌® 2420 H (브라운) 하에 시판되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메리 에스에이 (Polimeri SA, 이탈리아)로부터 상표명 그린플렉스(Greenflex) ML, 특히 그린플렉스® ML 30 및 그린플렉스® ML 40 하에 시판되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이다.
임의로, 평면 플라스틱 필름은 하기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밀봉가능한 층을 특징으로 한다.
평면 필름의 필름 물질은 본질적으로 비착색일 수 있다. 이는 필름 물질이 0.05 중량% 미만 및 특히 0.01 중량% 미만의 착색-부여 구성요소, 예컨대 무기 또는 유기 안료 또는 다른 염료를 포함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평면 필름의 필름 물질은 착색되고, 20 중량% 이하, 통상적으로 0.05 내지 20 중량%, 특히 0.1 내지 1 중량%의 착색제, 예를 들어 안료, 특히 레드 및/또는 브라운 안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적합한 착색-부여 구성요소 (하기 본원에서 또한 착색제라고도 지칭됨)는 염료 뿐만 아니라 안료를 포함한다. 착색제는 바람직하게는 안료이다. 안료는 무기 또는 유기 안료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적합한 무기 착색-부여 안료의 예는 화이트 안료, 예컨대 이산화티타늄, 그의 3종의 변형인 금홍석, 예추석 또는 판티탄석, 납 화이트, 아연 화이트, 황화아연 또는 리토폰; 블랙 안료, 예컨대 탄소 블랙, 산화철 블랙, 철 망간 블랙 또는 첨정석 블랙; 크로매틱 안료, 예컨대 산화크로뮴, 산화크로뮴 수소화물 그린, 코발트 그린 또는 울트라마린 그린, 코발트 블루, 철 블루, 페릭 페로시아나이드, 울트라마린 블루 또는 망간 블루, 울트라마린 바이올렛 또는 코발트 바이올렛 및 망간 바이올렛, 산화철 레드, 카드뮴 술포셀레나이드, 몰리브데이트 레드 또는 울트라마린 레드; 산화철 브라운, 혼합 브라운, 첨정석 및 강옥 상 또는 크로뮴 오렌지; 산화철 옐로우, 니켈 티타늄 옐로우, 크로뮴 티타늄 옐로우, 카드뮴 황화물, 카드뮴 아연 황화물, 크로뮴 옐로우, 아연 옐로우, 알칼리성 토금속 크로메이트, 네이플즈 옐로우; 비스무스 바나데이트, 착색 효과 안료, 예컨대 간섭 안료 및 광택 안료이다. 적합한 무기 안료는 특히, 피그먼트 화이트 6, 피그먼트 화이트 7, 피그먼트 블랙 7, 피그먼트 블랙 11, 피그먼트 블랙 22, 피그먼트 블랙 27/30, 피그먼트 옐로우 34, 피그먼트 옐로우 35 / 37, 피그먼트 옐로우 42, 피그먼트 옐로우 53, 피그먼트 브라운 24, 피그먼트 옐로우 119, 피그먼트 옐로우 184, 피그먼트 오렌지 20, 피그먼트 오렌지 75, 피그먼트 브라운 6, 피그먼트 브라운 29, 피그먼트 브라운 31, 피그먼트 옐로우 164, 피그먼트 레드 101, 피그먼트 레드 104, 피그먼트 레드 108, 피그먼트 레드 265, 피그먼트 바이올렛 15, 피그먼트 블루 28 / 36, 피그먼트 블루 29, 피그먼트 그린 17 및 피그먼트 그린 26 / 50이다.
적합한 무기 안료의 예는 아닐린 블랙, 안트라피리미딘 안료, 아조메틴 안료, 안트라퀴논 안료, 모노아조 안료, 비스아조 안료, 벤지미다졸론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퀴노프탈론 안료, 디케토피롤로피롤 안료, 디옥사진 안료, 플라반트론 안료, 인단트론 안료, 인돌리논 안료, 이소인돌린 안료, 이소인돌리논 안료, 티오인디고 안료, 금속 착물 안료, 페리논 안료, 페릴렌 안료, 피란트론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티오인디고 안료, 트리아릴카르보늄 안료 또는 금속 착물 안료이다. 적합한 유기 안료는 특히 C.I. (색지수) 피그먼트 옐로우 93, C.I. 피그먼트 옐로우 95, C.I. 피그먼트 옐로우 138, C.I. 피그먼트 옐로우 139, C.I. 피그먼트 옐로우 155, C.I. 피그먼트 옐로우 162, C.I. 피그먼트 옐로우 168, C.I. 피그먼트 옐로우 180, C.I. 피그먼트 옐로우 183, C.I. 피그먼트 레드 44, C.I. 피그먼트 레드 170, C.I. 피그먼트 레드 202, C.I. 피그먼트 레드 214, C.I. 피그먼트 레드 254, C.I. 피그먼트 레드 264, C.I. 피그먼트 레드 272, C.I. 피그먼트 레드 48:2, C.I. 피그먼트 레드 48:3, C.I. 피그먼트 레드 53:1, C.I. 피그먼트 레드 57:1, C.I. 피그먼트 그린 7, C.I. 피그먼트 블루 15:1, C.I. 피그먼트 블루 15:3 및 C.I. 피그먼트 바이올렛 19이다.
일반적으로, 평면 플라스틱 필름은 0.02 내지 0.5 mm의 범위, 특히 0.05 내지 0.3 mm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는 일측으로 방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거나 또는 양측으로 방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디스펜서가 일측으로 방출하도록 설계되면, 오직 평면 필름만이 디스펜서에 존재하는 페로몬에 대해 투과성이거나, 또는 적어도 심교 필름보다 10배만큼 더 투과성이다. 이 경우에, 심교 필름은 임의의 열가소성으로 가공가능한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펜서가 양측으로 방출하도록 설계되면, 평면 필름 및 심교 필름 둘 모두가 디스펜서에 존재하는 페로몬에 대해 투과성이다. 양측으로 방출하는 디스펜서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이다.
심교 필름에 적합한 플라스틱 물질의 예는 상기 언급된 C2-C6-올레핀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특히 에틸렌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추가로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스티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상기 언급된 중합체의 공압출물, 및 상기 언급된 중합체의 라미네이트이다.
심교 필름에 바람직한 플라스틱 물질은 상기 언급된 C2-C6-올레핀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특히 에틸렌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이 경우에, 심교 필름은 일반적으로 페로몬에 대해 투과성이며, 따라서 디스펜서는 양측으로 방출하도록 설계된다.
심교 필름의 필름 물질은 본질적으로 비착색일 수 있다. 이는 필름 물질이 0.05 중량% 미만 및 특히 0.01 중량% 미만의 착색-부여 구성요소, 예컨대 무기 또는 유기 안료 또는 다른 염료를 포함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심교 필름의 필름 물질은 착색되고, 2 중량% 이하, 통상적으로 0.05 내지 20 중량%, 특히 0.1 내지 1 중량%의 착색제, 예를 들어 안료, 특히 레드 및/또는 브라운 안료를 포함한다. 착색제의 성질에 대하여 상기 언급된 것이 유사하게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심교 플라스틱 필름은 0.05 내지 0.5 mm의 범위, 특히 0.1 내지 0.4 mm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중합체 필름, 즉 평면 필름 및 심교 필름은 플라스틱 물질의 노화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이러한 중합체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량의 안정화제, 예를 들어 항산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정화제는 중합체에 1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게다가, 필름 물질은 또한 통상적인 양의 가공 보조제, 예컨대 블로킹 방지제 및 윤활제, 예를 들어 에루카미드 또는 올레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물질은 디스펜서의 특성에 대해 어떠한 유해 효과도 갖지 않는다.
용어 페로몬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광범위한 의미로 이해되고, 정의된 화학 물질 뿐만 아니라, 곤충 습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공지된 물질 혼합물 (또한 페로몬 부케라고도 지칭됨)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화합물은 6 내지 30개 및 특히 8 내지 20개의 C 원자, 및 임의로, 1, 2, 3, 4, 5 또는 6개의 산소 원자 (히드록실, 카르복실레이트, 에테르, 케토 및/또는 알데히드 기 형태), 및 임의로, 5개 이하의 할로겐 원자, 특히 불소 및/또는 염소 원자를 갖는다. 그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400 달톤을 초과하지 않을 것이고, 전형적으로 100 내지 400 달톤의 범위이다. 페로몬의 유형은 그 자체 공지된 방식으로 표적 곤충 종에 좌우된다. 적합한 페로몬 및 각각의 표적 곤충은 문헌, 예를 들어 ["The Pherobase" (http://www.pherobase.com)]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한 페로몬의 예는 아래와 같다:
- 6 내지 30개의 C 원자, 특히 8 내지 20개의 C 원자를 갖는 방향족, 지방족 및 시클로지방족 알데히드 (이는 단일불포화 또는 다중불포화, 예를 들어 1가, 2가, 3가, 4가 또는 5가 불포화일 수 있고, 1 내지 5개의 할로겐 원자, 특히 불소 또는 염소 원자, 1 또는 2개의 히드록실 기, 아세테이트 기 또는 케토 기의 임의의 조합을 특징으로 할 수 있음), 예를 들어 (E)-2-헥세날, (E)-4-옥소-2-헥세날, (E,E)-2,4-디메틸-2,4-헥사디에날, (E,E)-2,4-헥사디에날, (Z)-3-헥세날, (Z)-4-옥소-2-헥세날, 1-헥세날, 2-헥세날, 3-((E)-2-헥세녹시)헥사날, 3,5-디메틸헥사날, 3-에톡시헥사날, 3-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 3-히드록시헥사날, 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즈알데히드, 4-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 헥사날, (1R,5S)-6,6-디메틸바이시클로[3.1.1]헵트-2-엔-2-카르브알데히드, (E)-2-(2-히드록시에틸)-6-메틸-2,5-헵타디에날, (E)-2-(2-히드록시에틸리덴)-6-메틸-5-헵테날, (E)-2-헵테날, (E)-2-이소프로필-5-메틸-2-헥세날, (E,Z)-2,4-헵타디에날, (R)-2-((1R,2R,3S)-3-메틸-2-비닐시클로펜틸)프로파날, (R)-2-((1S,2S,3S)-3-메틸-2-비닐시클로펜틸)프로파날, (R)-7-히드록시-6,7-디히드로-5H-피롤리지딘-1-카르복스알데히드, (S)-4-(프로프-1-엔-2-일)시클로헥스-1-엔카르브알데히드, (S)-7-히드록시-6,7-디히드로-5H-피롤리지딘-1-카르복스알데히드, (Z)-2-이소프로필-5-메틸-2-헥세날, 1-포르밀-6,7-디히드로-5H-피롤리진, 1-포르밀-7-히드록시-6,7-디히드로-5H-피롤리진, 2-(2-포르밀-3-메틸-2-시클로펜테닐)-프로파날, 2-(3-메틸시클로펜틸)프로파날, 2,6-디메틸-5-헵테날, 2-아세틸-5-메틸시클로펜탄카르브알데히드, 2-메톡시벤즈알데히드, 2-메틸-1-시클로펜텐카르복스알데히드, 3,3-디메틸-5-옥소-7-옥사바이시클로[4.1.0]헵탄-1-카르브알데히드, 3-히드록시벤젠-1,2-디카르브알데히드, 3-메틸벤즈알데히드, 4-(헵틸옥시)부타날, 4-메톡시벤즈알데히드, 4S-4-이소프로페닐-3-옥소-1-시클로헥센-1-카르복시알데히드, 6,7-디히드로-5H-피롤리진-1-카르복스알데히드, 6,7-디히드로-7-옥소-5H-피롤리진-1-카르브알데히드, 7-히드록시-6,7-디히드로-5H-피롤리진-1-카르복스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시클로헥산디알, 헵타날, 플라지오디알, (1R,2S)-시스-2-이소프로페닐-1-메틸시클로부탄에타날, (1R,2S,5R,8R)-이리도디알, (4S)-(3-옥소프로프-1-엔-2-일)시클로헥스-1-엔카르브알데히드, (E)-(3,3-디메틸)시클로헥실리덴아세트알데히드, (E)-2-(4-메틸-3-펜테닐)부텐디알, (E)-2-(4-메틸-3-펜테닐리덴)부탄디알, (E)-2,7-옥타디에날, (E)-2-메틸-5-(3-푸릴)-2-펜테날, (E)-2-옥테날, (E)-3,7-디메틸-2,6-옥타디에날, (E)-3,7-디메틸-2,6-옥타디에날, (E)-4-옥소-2-옥테날, (E,E)-2,4-옥타디에날, (E,E)-2,6-디메틸-8-히드록시-2,6-옥타디에날, (E,E)-2,6-옥타디에날, (E,E)-2,6-옥타디엔디알, (E,Z)-2,4-옥타디에날, (E,Z)-2,6-옥타디에날, (Z)-(3,3-디메틸)시클로헥실리덴아세트알데히드, (Z)-3,7-디메틸-2,6-옥타디에날, (Z,E)-3,7-디메틸-2,6-옥타디에날, 1-옥테날, 2-(1-포르밀비닐)-5-메틸시클로펜탄카르브알데히드, 2-에틸옥타날, 2-히드록시-6-메틸벤즈알데히드, 2-메틸벤즈알데히드, 2-옥테날, 2-페닐아세트알데히드, 2-페닐프로페날, 3,7-디메틸-6-옥테날, 3-에톡시-4-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 3-에틸벤즈알데히드, 3-이소프로필-6-메틸벤즈알데히드, 3-옥테날, 4-히드록시-2-메틸벤즈알데히드, 4-히드록시-3-메톡시벤즈알데히드, 4-옥소옥테날, 6,6-디메틸바이시클로[3.1.1]헵트-2-엔-2-카르브알데히드, 아니소모르팔, 시스-2-이소프로페닐-1-메틸시클로부탄에타날, 옥타날, 페루파스말, (E)-2-노네날, (E)-3-페닐-2-프로페날, (E)-4,8-노나디에날, (E,E)-2,4-노나디에날, (E,E,E)-2,4,6-노나트리에날, (E,E,Z)-2,4,6-노나트리에날, (E,Z)-2,6-노나디에날, (E,Z,Z)-2,4,6-노나트리에날, (Z)-4,8-노나디에날, (Z)-4-노네날, 2-페닐-2-부테날, 3-(4-메톡시페닐)-2-프로페날, 3-페닐프로파날, 6-에틸벤즈알데히드, 9-아세틸옥시노나날, 노나날, (4R,8R)-4,8-디메틸데카날, (4R,8S)-4,8-디메틸데카날, (E)-2,9-데카디에날, (E)-2-데세날, (E)-4-옥소-2-데세날, (E)-8-히드록시-4,8-디메틸-4,9-데카디에날, (E,E)-2,4-데카디에날, (E,Z)-2,4-데카디에날, (Z)-4-데세날, (Z)-5-데세날, 1-데세날, 2-데세날, 2-에틸데카날, 4,5-디메틸데카날, 4,8-디메틸데카날, 데카날, (E)-2-운데세날, 10-운데세날, 2-부틸-2-옥테날, 5-메틸-2-페닐-2-헥세날, 운데카날, (E)-6-도데세날, (E)-7-도데세날, (E)-9,11-도데카디에날, (E)-9-도데세날, (E,E)-3,7,11-트리메틸-2,6,10-도데카트리에날, (E,E)-7-에틸-3,11-디메틸-2,6,10-도데카트리에날, (E,E)-8,10-도데카디에날, (E,E,E)-3,7-디메틸-8,11-디옥소-2,6,9-도데카트리에날, (E,E,Z)-3,7-디메틸-8,11-디옥소-2,6,9-도데카트리에날, (E,Z)-5,7-도데카디에날, (E,Z)-7,9-도데카디에날, (E,Z)-8,10-도데카디에날, (S,E)-3,7,11-트리메틸-6,10-도데카디에날, (Z)-2-메틸-5-((1R,5R,6S)-2,6-디메틸바이시클로[3.1.1]헵트-2-엔-6-일)펜트-2-에날, (Z)-5-도데세날, (Z)-7-도데세날, (Z)-9,11-도데카디에날, (Z)-9-도데세날, (Z,E)-3,7,11-트리메틸-2,6,10-도데카트리에날, (Z,E)-5,7-도데카디에날, (Z,E)-7-에틸-3,11-디메틸-2,6,10-도데카트리에날, (Z,E)-8,10-도데카디에날, (Z,Z)-5,7-도데카디에날, 2-에틸도데카날, 3,7,11-트리메틸-(E)-6,10-도데카디에날, 도데카날, (E,Z)-3,4,7,11-테트라메틸-6,10-트리데카디에날, (Z)-4-트리데세날, 13-아세틸옥시트리데카날, (E)-11,13-테트라데카디에날, (E)-11-테트라데세날, (E,E)-8,10-테트라데카디에날, (E,Z)-4,9-테트라데카디에날, (E,Z)-8,10-테트라데카디에날, (Z)-11,13-테트라데카디에날, (Z)-11-테트라데세날, (Z)-5-테트라데세날, (Z)-7-테트라데세날, (Z)-9,13-테트라데카디엔-11-이날, (Z)-9-테트라데세날, (Z,E)-9,11,13-테트라데카트리에날, (Z,E)-9,11-테트라데카디에날, (Z,E)-9,12-테트라데카디에날, (Z,Z)-8,10-테트라데카디에날, (Z,Z)-9,11-테트라데카디에날, 10,12-테트라데카디에날, 2-에틸테트라데카날, 3-옥소-13-테트라데세날, 3-옥소테트라데카날, 5,8-테트라데카디에날, 5-테트라데세날, 테트라데카날, (E,Z)-9,11-펜타데카디에날, (Z)-10-펜타데세날, 2-헥실-2-데세날, 펜타데카날, (1R)-피마랄 (= C20H30O), (E)-10-헥사데세날, (E)-11-헥사데세날, (E)-14-메틸-8-헥사데세날, (E,E)-10,12-헥사데카디에날, (E,E)-11,13-헥사데카디에날, (E,E)-9,11-헥사데카디에날, (E,E,E)-10,12,14-헥사데카트리에날, (E,E,E)-3,7,11,15-테트라메틸-2,6,10,14-헥사데카테트라에날, (E,E,Z)-10,12,14-헥사데카트리에날, (E,E,Z)-4,6,11-헥사데카트리에날, (E,Z)-10,12-헥사데카디에날, (E,Z)-11,13-헥사데카디에날, (E,Z)-4,6-헥사데카디에날, (E,Z)-6,11-헥사데카디에날, (E,Z)-8,11-헥사데카디에날, (E,Z)-9,11-헥사데카디에날, (R)-(E)-14-메틸-8-헥사데세날, (R)-(Z)-14-메틸-8-헥사데세날, (S)-(E)-14-메틸-8-헥사데세날, (S)-(Z)-14-메틸-8-헥사데세날, (Z)-10-헥사데세날, (Z)-11-헥사데세날, (Z)-12-헥사데세날, (Z)-13-헥사데센-11-이날, (Z)-14-메틸-8-헥사데세날, (Z)-3-옥소-9-헥사데세날, (Z)-7-헥사데세날, (Z)-9-헥사데세날, (Z,E)-10,12-헥사데카디에날, (Z,E)-11,13-헥사데카디에날, (Z,E)-7,11-헥사데카디에날, (Z,E)-9,11-헥사데카디에날, (Z,Z)-10,12-헥사데카디에날, (Z,Z)-11,13-헥사데카디에날, (Z,Z)-7,11-헥사데카디에날, (Z,Z)-9,11-헥사데카디에날, (Z,Z,E)-7,11,13-헥사데카트리에날, 11-헥사데시날, 헥사데카날, (Z)-9-헵타데세날, 1-헵타데세날, 헵타데카날, (E)-11-옥타데세날, (E)-13-옥타데세날, (E)-14-옥타데세날, (E)-2-옥타데세날, (E,E)-11,14-옥타데카디에날, (E,Z)-2,13-옥타데카디에날, (E,Z)-3,13-옥타데카디에날, (Z)-11-옥타데세날, (Z)-13-옥타데세날, (Z)-9-옥타데세날, (Z,Z)-11,13-옥타데카디에날, (Z,Z)-13,15-옥타데카디에날, (Z,Z)-3,13-옥타데카디에날, (Z,Z)-9,12-옥타데카디에날, (Z,Z,Z)-9,12,15-옥타데카트리에날, 1-옥타데세날, 옥타데카날, (Z)-10-노나데세날, (Z)-9-노나데세날, 노나데카날, (Z)-11-에이코세날, 1-에이코세날, 에이코사날 또는 옥타코사날;
- 6 내지 30개의 C 원자, 특히 8 내지 20개의 C 원자를 갖는 방향족, 지방족 및 시클로지방족 알콜 (이는 단일불포화 또는 다중불포화, 예를 들어 1가, 2가, 3가, 4가 또는 5가 불포화일 수 있고, 1 또는 2개의 히드록실 기를 특징으로 하고, 1 내지 5개의 할로겐 원자, 특히 불소 또는 염소 원자, 아세테이트 기 및/또는 케토 기의 임의의 조합을 특징으로 할 수 있음), 예를 들어 ((1R,3S)-2,2,3,4-테트라메틸시클로펜틸)메탄올, ((1R,4S)-3,4,5,5-테트라메틸시클로펜테닐)-메탄올, (E)-2-에틸-2-헥센-1-올, (E)-2-헥센-1-올, (E)-3-헥센-1-올, (E,E)-2,4-디메틸-2,4-헥사디엔-1-올, (Z)-2-헥센-1-올, (Z)-3-헥센-1-올, 1-헥센-1-올, 2-시클로헥센올, 2-에틸헥산-1-올, 2-헥센-1-올, 2-페녹시에탄올, 3-헥센-1-올, 헥산-1-올, (4-이소프로필페닐)메탄올, (E,E)-2,4-디메틸-2,4-헵타디엔-1-올, (E,Z)-2,4-헵타디엔-1-올, (R)-5-메틸-2-(프로프-1-엔-2-일)헥스-4-엔-1-올, (S)-5-메틸-2-(프로프-1-엔-2-일)헥스-4-엔-1-올, 1-메틸-2-시클로헥센-1-올, 2,6-디메틸-5-헵텐-1-올, 2,4-디메틸-5-헵텐-1-올, 2,6-디메틸-5-헵텐-1-올, 2-이소프로페닐-5-메틸-4-헥센-1-올, 3-시클로헥센-1-메탄올, 3-메틸-2-시클로헥센-1-올, 4-(헵틸옥시)부탄-1-올, 4-메톡시페닐메탄올, 4-메틸시클로헥산올, 7-카르브메톡시-1,2-디히드로-(3H)-피롤리진-1-올, 헵탄-1-올, o-히드록시벤즈알콜, 벤즈알콜, (1R)-1-페닐에탄올, (1R,2S)-시스-2-이소프로페닐-1-메틸시클로부탄에탄올, (1R,4aR,7S,7aS)-헥사히드로-4,7-디메틸시클로펜타[c]피란-1-올, (1R,4aS,7S,7aR)-헥사히드로-4,7-디메틸시클로펜타[c]피란-1-올, (1R,4R,4aR,7S,7aR)-옥타히드로-4,7-디메틸시클로펜타[c]피란-1-올, (1R,4S,4aR,7S,7aR)-옥타히드로-4,7-디메틸시클로펜타[c]피란-1-올, (1S,2R)-시스-2-이소프로페닐-1-메틸시클로부탄에탄올, (1S,4aR,7S,7aS)-헥사히드로-4,7-디메틸시클로펜타[c]피란-1-올, (1S,4R)-4-이소프로필-1-메틸-2-시클로헥센-1-올, (E)-2-(3,3-디메틸시클로헥실리덴)에탄올, (E)-2-메틸-6-메틸렌-2,7-옥타디엔-1-올, (E)-2-옥텐-1-올, (E)-3,4,7-트리메틸-2,6-옥타디엔-1-올, (E)-3,7-디메틸-2,6-옥타디엔-1-올, (S)-3,7-디메틸-6-옥텐-1-올, (Z)-2-(3,3-디메틸)-시클로헥실리덴에탄올, (Z)-2-옥텐-1-올, (Z)-3,7-디메틸-2,6-옥타디엔-1-올, (Z)-3,7-디메틸-3,6-옥타디엔-1-올, (Z)-3-옥텐-1-올, 1-페닐에탄올, 2-이소프로필-5-메틸시클로헥산올, 2-페닐에탄올, 3,7-디메틸-6-옥텐-1-올, 4-(프로프-1-엔-2-일)시클로헥스-1-에닐)메탄올, 4-메틸옥탄-1-올, 6,6-디메틸바이시클로[3.1.1]헵트-2-엔-2-일메탄올, 시스-2-이소프로페닐-1-메틸시클로부탄에탄올, 시스-6-이소프로필-3-메틸-2-시클로헥센-1-올, 옥탄-1-올, 옥텐-1-올, (E)-2-노넨-1-올, (E)-3,4,7-트리메틸-2,6-노나디엔-1-올, (E)-6-노넨-1-올, (Z)-3,4-디메톡시신나밀 알콜, (Z)-3-노넨-1-올, (Z)-6-노넨-1-올, (Z,Z)-3,6-노나디엔-1-올, 3-에틸-7-메틸-6-옥텐-1-올, 3-페닐-2-프로펜-1-올, 3-페닐프로판-1-올, 4-히드록시-3-메톡시페닐에탄올, 4-메틸노난-1-올, 6-이소프로페닐-2-메틸-1-시클로헥센올, 6-옥소노난-1-올, 노난-1-올, (3R,4S,1E)-3,4-비스(1-부테닐)테트라히드로-2-푸란올, (6R)-(Z)-3,9-디메틸-6-이소프로페닐-3,9-데카디엔-1-올, (E)-5-데센-1-올, (Z)-5-데센-1-올, (Z)-7,9-데카디엔-1-올, (Z,E)-7-메틸-3-프로필-2,6-데카디엔-1-올, 2-데센-1-올, 4-페닐-시스-3-부텐-1-올, 데칸-1-올, 11-클로로-(E,E)-8,10-운데카디엔-1-올, 운데칸-1-올, 운데센-1-올, (2Z,6R,1S,5S)-2-메틸-6-(4-메틸렌바이시클로[3.1.0]헥실)헵트-2-엔-1-올, (E)-10-도데센-1-올, (E)-3,7,11-트리메틸-6,10-도데카디엔-1-올, (E)-5-도데센-1-올, (E)-6-도데센-1-올, (E)-7-도데센-1-올, (E)-8-도데센-1-올, (E)-9,11-도데카디엔-1-올, (E)-9-도데센-1-올, (E,E)-3,7,11-트리메틸-2,6,10-도데카트리엔-1-올, (E,E)-5,7-도데카디엔-1-올, (E,E)-8,10-도데카디엔-1-올, (E,Z)-3,7,11-트리메틸-2,6,10-도데카트리엔-1-올, (E,Z)-5,7-도데카디엔-1-올, (E,Z)-7,9-도데카디엔-1-올, (E,Z)-8,10-도데카디엔-1-올, (S,E)-3,7,11-트리메틸-6,10-도데카디엔-1-올, (Z)-10-도데센-1-올, (Z)-2-메틸-6-(4-메틸렌바이시클로[3.1.0]헥산-1-일)헵트-2-엔-1-올, (Z)-3-도데센-1-올, (Z)-5-도데센-1-올, (Z)-7-도데센-1-올, (Z)-8-도데센-1-올, (Z)-9,11-도데카디엔-1-올, (Z)-9-도데센-1-올, (Z,E)-3,7,11-트리메틸-2,6,10-도데카트리엔-1-올, (Z,E)-5,7-도데카디엔-1-올, (Z,E)-7,9-도데카디엔-1-올, (Z,E)-8,10-도데카디엔-1-올, (Z,E,E)-3,6,8-도데카트리엔-1-올, (Z,Z)-3,6-도데카디엔-1-올, (Z,Z)-7,9-도데카디엔-1-올, (Z,Z)-8,10-도데카디엔-1-올, (Z,Z,E)-3,6,8-도데카트리엔-1-올, 10,11-디플루오로-(E,E)-8,10-도데카디엔-1-올, 11-도데센-1-올, 8,9,10,11-테트라플루오로-(E,E)-8,10-도데카디엔-1-올, 8,9-디플루오로-(E,E)-8,10-도데카디엔-1-올, 도데칸-1-올, 도데센-1-올, 네오-인터메데올, 2,6,8,12-테트라메틸-2,4-트리데카디엔-1-올, 트리데칸-1-올, (E)-11,13-테트라데카디엔-1-올, (E)-11-테트라데센-1-올, (E)-3-테트라데센-1-올, (E)-5-테트라데센-1-올, (E)-7-테트라데센-1-올, (E)-9-테트라데센-1-올, (E,E)-10,12-테트라데카디엔-1-올, (E,E)-8,10-테트라데카디엔-1-올, (Z)-11-테트라데센-1-올, (Z)-3-테트라데센-1-올, (Z)-5-테트라데센-1-올, (Z)-7-테트라데센-1-올, (Z)-8-테트라데센-1-올, (Z)-9-테트라데센-1-올, (Z,E)-8,10-테트라데카디엔-1-올, (Z,E)-9,11-테트라데카디엔-1-올, (Z,E)-9,12-테트라데카디엔-1-올, (Z,Z)-10,12-테트라데카디엔-1-올, (Z,Z)-9,11-테트라데카디엔-1-올, (Z,Z)-9,12-테트라데카디엔-1-올, 6,10,13-트리메틸테트라데칸-1-올, 테트라데칸-1-올, (E,Z)-8,10-펜타데카디엔-1-올, 펜타데칸-1-올, (E)-11-헥사데센-1-올, (E)-14-메틸-8-헥사데센-1-올, (E)-3,7,11,15-테트라메틸-2-헥사데센-1-올, (E,E)-10,12-헥사데카디엔-1-올, (E,E)-11,13-헥사데카디엔-1-올, (E,E,E)-3,7,11,15-테트라메틸-2,6,10,14-헥사데카테트라엔-1-올, (E,E,Z)-4,6,10-헥사데카트리엔-1-올, (E,Z)-10,12-헥사데카디엔-1-올, (E,Z)-11,13-헥사데카디엔-1-올, (E,Z)-4,6-헥사데카디엔-1-올, (E,Z,Z)-4,6,10-헥사데카트리엔-1-올, (Z)-11-헥사데센-1-올, (Z)-13-헥사데센-11-인-1-올, (Z)-14-메틸-8-헥사데센-1-올, (Z)-7-10-아세톡시-7-헥사데센-1-올, (Z)-7-헥사데센-1-올, (Z)-9-헥사데센-1-올, (Z,E)-11,13-헥사데카디엔-1-올, (Z,E)-7,11-헥사데카디엔-1-올, (Z,Z)-11,13-헥사데카디엔-1-올, (Z,Z)-7,11-헥사데카디엔-1-올, 1,3-헥사데카디엔-1-올, 14-메틸-8-헥사데센-1-올, 3,7,11,15-테트라메틸-6,10,14-헥사데카트리엔-1-올, 7-헥사데센-1-올, 9-헥사데센-1-올, 헥사데칸-1-올, 헥사데센-1-올, (Z)-11-헵타데센-1-올, (E,Z)-2,13-옥타데카디엔-1-올, (E,Z)-3,13-옥타데카디엔-1-올, (Z)-11-옥타데센-1-올, (Z)-13-옥타데센-1-올, (Z)-2-(9-옥타데세닐옥시)에탄올, (Z)-9-옥타데센-1-올, (Z,Z)-2,13-옥타데카디엔-1-올, (Z,Z)-3,13-옥타데카디엔-1-올, 11-옥타데센-1-올, 9,12,15-옥타데카트리엔-1-올, 9,12-옥타데카디엔-1-올, 옥타데칸-1-올, (2E,6E,10E,14E)-3,7,11,15,19-펜타메틸에이코사-2,6,10,14,18-펜타엔-1-올, (E)-11-에이코센-1-올, (Z)-11-에이코센-1-올, (Z)-15-에이코센-1-올, 1-에이코센-1-올, 에이코산-1-올, 도코산-1-올, 테트라코산-1-올, 23-헥사코센-1-올, 트리아콘텐-1-올, (2R,3R)-2,3-헥산디올, (2R,3S)-2,3-헥산디올, (2S,3R)-2,3-헥산디올, (2S,3S)-2,3-헥산디올, (2S,3S)-2,3-옥탄디올, (3S)-3,7-디메틸-2-옥소-6-옥텐-1,3-디올, (E)-2,6-디메틸-3,7-옥타디엔-2,6-디올, (E)-2,6-디메틸-5-옥텐-1,8-디올, (E)-2,6-디메틸-6-옥텐-1,8-디올, (E)-3,7-디메틸-2-옥텐-1,8-디올, (E,E)-2,6-디메틸-2,6-옥타디엔-1,8-디올, (Z)-2,6-디메틸-5-옥텐-1,8-디올, (Z)-2,6-디메틸-6-옥텐-1,8-디올, 2,3-옥탄디올, 2,6-디메틸-1,7-옥타디엔-3,6-디올, 3,7-디메틸-1,6-옥타디엔-3,4-디올, (R)-노난-1,3-디올, 4,6-디메틸노난-3,7-디올, 노난-1,3-디올, (E)-4,8-디메틸-4,9-데카디엔-1,8-디올, (E,E)-3,7-디메틸-2,6-데카디엔-1,10-디올, 드리만-8알파,11-디올, (E)-3,7,11-트리메틸-2,10-도데카디엔-1,7-디올, 플라탐빈, 이소트리네르비-2베타,3알파-디올, 트리네르비-2베타,3알파-디올 또는 21-히드록시프레그엔-4-엔-3,20-디온;
- 알콜 잔기 내에 6 내지 30개의 C 원자, 특히 8 내지 20개의 C 원자를 갖는 방향족, 지방족 및 시클로지방족 알콜의 아세테이트 에스테르 (이는 단일불포화 또는 다중불포화, 예를 들어 1가, 2가, 3가, 4가 또는 5가 불포화일 수 있고, 1 또는 2개의 아세틸옥시 기를 특징으로 하고, 여기서 아세테이트 에스테르가 1 내지 5개의 할로겐 원자, 특히 불소 또는 염소 원자 및/또는 1 또는 2 케토 기의 임의의 조합을 특징으로 할 수 있음), 예를 들어 (1R,3R)-시스-2,2-디메틸-3-이소프로페닐시클로부탄메탄올 아세테이트, (E)-2,5-헥사디에닐 아세테이트, (E)-2-헥세닐 아세테이트, (E)-2-이소프로필-5-메틸-2,4-헥사디에닐 아세테이트, (E)-3-헥세닐 아세테이트, (E,E)-2,4-헥사디에닐 아세테이트, (R)-5-메틸-2-(프로프-1-엔-2-일)헥스-4-에닐 아세테이트, (Z)-3-헥세닐 아세테이트, 1'-O-아세틸리토미올리드 A, 3-헥세닐 아세테이트, 3-메틸렌헥실 아세테이트, 헥세닐 아세테이트, 헥실 아세테이트, (E)-2-헵테닐 아세테이트, 1,7,7-트리메틸바이시클로[2.2.1]헵탄-2-일 아세테이트, 2-(4-메틸-3-시클로헥세닐)-2-프로필 아세테이트, 2,6-디메틸-1,5-헵타디엔-3-일 아세테이트, 4-메톡시벤질 아세테이트, 6-메틸-5-헵텐-2-일 아세테이트, 시클로헥실 2-페닐 아세테이트, 헵탄-2-일 아세테이트, 헵틸 아세테이트, (1R,2R,3S)-(2,3,4,4-테트라메틸시클로펜틸)메틸 아세테이트, (4-(프로프-1-엔-2-일)시클로헥스-1-에닐)메틸 아세테이트, (E)-2,7-옥타디에닐 아세테이트, (E)-2-옥테닐 아세테이트, (E)-3,7-디메틸-2,6-옥타디에닐 아세테이트, (E)-8-옥소-3,7-디메틸-6-옥테닐 아세테이트, (E,E)-2,4-옥타디에닐 아세테이트, (E,E)-2,6-옥타디에닐 아세테이트, (E,Z)-2,6-옥타디에닐 아세테이트, (Z)-3,7-디메틸-2,6-옥타디에닐 아세테이트, (Z)-3-옥테닐 아세테이트, 1-에틸-4-메틸헵틸 아세테이트, 1-이소프로필-4-메틸헵틸 아세테이트, 2,6-디메틸-(E,E)-2,6-옥타디엔-1,8-디올 디아세테이트, 2-아세톡시-6-메틸아세토페논, 2-옥테닐 아세테이트, 3,7-디메틸-1,6-옥타디엔-3-일 아세테이트, 3,7-디메틸-6-옥테닐 아세테이트, 4-메틸옥틸 아세테이트, 엔도-1,7,7-트리메틸바이시클로[2.2.1]헵트-2-일 아세테이트, 에틸 2-페닐 아세테이트, 메틸 2-페닐 아세테이트, 옥틸 아세테이트, (E)-6-노네닐 아세테이트, (R)-(E)-7-메틸-6-노넨-3-일 아세테이트, 1-프로필-4-메틸헵틸 아세테이트, 2-노네닐 아세테이트, 노난-2-일 아세테이트, 노닐 아세테이트, (3S)-(E)-6-이소프로필-3,9-디메틸-5,8-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2-데세닐 아세테이트, (E)-3,9-디메틸-6-이소프로필-5,8-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4-데세닐 아세테이트, (E)-5-데세닐 아세테이트, (E)-7-데세닐 아세테이트, (E,E)-3,5-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3-데세닐 아세테이트, (Z)-3-메틸-6-이소프로페닐-3,9-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4-데세닐 아세테이트, (Z)-5-데세닐 아세테이트, (Z)-7,9-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7-데세닐 아세테이트, (Z,E)-3,5-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2-데세닐 아세테이트, 3-메틸-6-이소프로페닐-9-데세닐 아세테이트, 4-(p-아세톡시페닐)부탄-2-온, 데실 아세테이트, (1R,2S)-시스-2-이소프로페닐-1-(4-메틸-4-펜텐-1-일)시클로부탄에탄올 아세테이트, (2S,10S)-2,10-디아세톡시운데칸, (2S,9S)-2,9-디아세톡시운데칸, (E)-6,10-디메틸-5,9-운데카디엔-2-일 아세테이트, (E)-8-운데세닐 아세테이트, (E)-9-운데세닐 아세테이트, (Z)-5-운데세닐 아세테이트, (Z)-6,10-디메틸-5,9-운데카디엔-2-일 아세테이트, (Z)-7-운데세닐 아세테이트, (Z)-8-운데세닐 아세테이트, (Z)-9-운데세닐 아세테이트, 1-펜틸-4-메틸헵틸 아세테이트, 2-운데세닐 아세테이트, 메틸 2-((1R,2R)-2-헥실시클로프로필)아세테이트, 운데칸-2-일 아세테이트, 운데세닐 아세테이트, 운데실 아세테이트, (10R)-10-메틸도데실 아세테이트, (10S)-10-메틸도데실 아세테이트, (E)-10-도데세닐 아세테이트, (E)-3-도데세닐 아세테이트, (E)-4-도데세닐 아세테이트, (E)-5-도데세닐 아세테이트, (E)-7-도데세닐 아세테이트, (E)-8-도데세닐 아세테이트, (E)-9,11-도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9-도데세닐 아세테이트, (E,E)-3,7,11-트리메틸-2,6,10-도데카트리에닐 아세테이트, (E,E)-4,10-도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E)-5,7-도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E)-7,9,11-도데카트리에닐 아세테이트, (E,E)-7,9-도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E)-8,10-도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3,5-도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5,7-도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7,9,11-도데카트리에닐 아세테이트, (E,Z)-7,9-도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8,10-도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10-도데세닐 아세테이트, (Z)-3-도데세닐 아세테이트, (Z)-5-도데세닐 아세테이트, (Z)-7-도데세닐 아세테이트, (Z)-8-도데세닐 아세테이트, (Z)-9,11-도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9-도데센-7-인-1-올 아세테이트, (Z)-9-도데세닐 아세테이트, (Z,E)-3,5-도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E)-5,7-도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E)-7,9,11-도데카트리에닐 아세테이트, (Z,E)-7,9-도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E)-8,10-도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Z)-3,7,11-트리메틸-2,6,10-도데카트리에닐 아세테이트, (Z,Z)-5,7-도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Z)-7,9-도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Z)-8,10-도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10-메틸도데실 아세테이트, 11,11,11,12,12-펜타플루오로-(Z)-9-도데세닐 아세테이트, 11,11-디플루오로-(Z)-9-도데세닐 아세테이트, 11-도데세닐 아세테이트, 7,7-디플루오로-(Z)-8-도데세닐 아세테이트, 9,11-도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9-도데세닐 아세테이트, 도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도데세닐 아세테이트, 도데실 아세테이트, 메틸 2-((1R,2S)-3-옥소-2-((Z)-펜트-2-에닐)시클로펜틸)아세테이트, 메틸 2-(3-옥소-2-((Z)-펜트-2-에닐)시클로펜틸) 아세테이트, (2R,7S)-2,7-디아세톡시트리데칸, (2S)-2-트리데카닐 아세테이트, (2S,11S)-2,11-디아세톡시트리데칸, (2S,12S)-2,12-디아세톡시트리데칸, (2S,3R,7R)-3,7-디메틸트리데칸-2-일 아세테이트, (2S,3R,7R,9S)-3,7,9-트리메틸-2-트리데실 아세테이트, (E)-11-트리데세닐 아세테이트, (E)-3,7,11-트리메틸-4-(3-메틸부트-2-에닐)도데카-1,6,10-트리엔-3-일 아세테이트, (E)-3-트리데세닐 아세테이트, (E)-4-트리데세닐 아세테이트, (E)-6-트리데세닐 아세테이트, (E)-8-트리데세닐 아세테이트, (E)-9-트리데세닐 아세테이트, (E,Z)-4,7-트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5,9-트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Z)-4,7,10-트리데카트리에닐 아세테이트, (Z)-10-트리데세닐 아세테이트, (Z)-11-트리데세닐 아세테이트, (Z)-4-트리데세닐 아세테이트, (Z)-8-트리데세닐 아세테이트, (Z)-9-트리데세닐 아세테이트, (Z,E)-5,9-트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Z)-4,7-트리데카디엔-(2S)-2-일 아세테이트, (Z,Z)-5,9-트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Z)-7,11-트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1-(3-메틸헥실)-4-메틸헵틸 아세테이트, 10-프로필-(E)-5,9-트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11-메틸-(Z)-9,12-트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2-아세톡시트리데칸, 2S-(E)-2,10-트리데세닐 아세테이트, 2-트리데세닐 아세테이트, 1-켐펜 (= C24H34O4) 2-켐펜 (= C22H30O3), 트리데칸-2-일 아세테이트, 트리데세닐 아세테이트, 트리데실 아세테이트, (E)-10-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E)-11,13-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11-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E)-12-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E)-3-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E)-5-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E)-6-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E)-7-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E)-8-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E)-9,11-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9-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E,E)-10,12-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E)-3,5-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E)-8,10-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E)-9,11-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E)-9,12-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10,12-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3,5-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3,7-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3,8-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4,10-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4,9-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8,10-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9,11-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Z)-3,8,11-테트라데카트리에닐 아세테이트, (Z)-10-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11,13-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11-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12-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3-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5-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6-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7-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8-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9-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Z,E)-10,12-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E)-3,5-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E)-8,10-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E)-9,11,13-테트라데카트리에닐 아세테이트, (Z,E)-9,11-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E)-9,12-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Z)-10,12-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Z)-9,11-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Z)-9,12-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1-(3-메틸헥실)옥틸 아세테이트, 1,3-테트라데칸디올 디아세테이트, 10-테트라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10-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12-메틸테트라데실 아세테이트, 14,14,14-트리플루오로-(E)-11-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14,14,14-트리플루오로-(Z)-11-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14-플루오로-(E)-11-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14-플루오로-(Z)-11-테트라데세닐 아세테이트, 3-알파,10-알파-디아세톡시-7,16-세코트리네르비타-7,11,15(17)-트리엔, 테트라데실 아세테이트, (2S)-2-펜타데실 아세테이트, (2S,3R,7R)-3,7-디메틸펜타데칸-2-일 아세테이트, (2S,3S)-3,7-디메틸펜타데칸-2-일 아세테이트, (2S,3S,7S)-3,7-디메틸펜타데칸-2-일 아세테이트, (E)-12-펜타데세닐 아세테이트, (E)-9-펜타데세닐 아세테이트, (E,E)-8,10-펜타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8,10-펜타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10-펜타데세닐 아세테이트, (Z)-12-펜타데세닐 아세테이트, (Z)-8-펜타데세닐 아세테이트, (Z)-9-펜타데세닐 아세테이트, (Z,E)-8,10-펜타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Z)-8,10-펜타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1-헵틸옥틸 아세테이트, 3,7-디메틸펜타데칸-2-일 아세테이트, 펜타데칸-2-일 아세테이트, 펜타데세닐 아세테이트, 펜타데실 아세테이트, 트리네르비-2-베타,3-알파,17-트리올 17-O-아세테이트, 트리네르비-2-베타,3-알파,9-알파-트리올 2,3-O-디아세테이트, 트리네르비-2-베타,3-알파,9-알파-트리올 9-O-아세테이트, (5R,6S)-6-아세톡시-5-헥사데카놀리드, (E)-11-헥사데세닐 아세테이트, (E)-2,6,11,15-테트라메틸-2,10,14-헥사데카트리엔-8-일 아세테이트, (E)-5-헥사데세닐 아세테이트, (E)-6-헥사데세닐 아세테이트, (E)-8-헥사데세닐 아세테이트, (E)-9-헥사데세닐 아세테이트, (E,E)-10,12-헥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E)-11,13-헥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E,E)-10,12,14-헥사데카트리에닐 아세테이트, (E,E,E)-3,7,11,15-테트라메틸-2,6,10,14-헥사데카테트라에닐 아세테이트, (E,E,Z)-10,12,14-헥사데카트리에닐 아세테이트, (E,E,Z)-4,6,10-헥사데카트리에닐 아세테이트, (E,E,Z)-4,6,11-헥사데카트리에닐 아세테이트, (E,Z)-10,12-헥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11,13-헥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4,6-헥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6,11-헥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9,11-헥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Z)-4,6,10-헥사데카트리에닐 아세테이트, (Z)-10-헥사데세닐 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세닐 아세테이트, (Z)-12-헥사데세닐 아세테이트, (Z)-13-헥사데센-11-인-1-올 아세테이트, (Z)-3-헥사데세닐 아세테이트, (Z)-5-헥사데세닐 아세테이트, (Z)-7-헥사데세닐 아세테이트, (Z)-9-헥사데세닐 아세테이트, (Z,E)-10,12-헥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E)-11,13,15-헥사데카트리에닐 아세테이트, (Z,E)-11,13-헥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E)-11,14-헥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E)-7,11-헥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Z)-11,13-헥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Z)-7,11-헥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Z)-8,10-헥사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1-(3-메틸헥실)-데실 아세테이트, 11-헥사데세닐 아세테이트, 11-헥사데시닐 아세테이트, 13-옥소트리네르비타-1(15),8(19)-디엔-2-베타,3-알파-디올 2,3-O-디아세테이트, 3-옥소켐파-6,8-디엔-14알파-올 14-O-아세테이트, 7-헥사데세닐 아세테이트, 에리트로-6-아세톡시-5-헥사데카놀리드, 헥사데세닐 아세테이트, 헥사데실 아세테이트 켐파-6,8-디엔-3알파,14알파-디올 3,14-O-디아세테이트, 켐파-6,8-디엔-3베타,14알파-디올 3,14-O-디아세테이트, 트리네르비타-1(15),8(19)-디엔-2베타,3알파,9알파-트리올 2,3-O-디아세테이트, 트리네르비타-1(15),8(19)-디엔-2베타,3알파,9알파-트리올 9-O-아세테이트, 트리네르비타-1(15),8(19)-디엔-2베타,3알파,9-트리올 2,3,9-O-트리아세테이트, 트리네르비타-1(15),8(19)-디엔-2베타,3알파-디올 2-O-아세테이트, 트리네르비타-11(12),15(17)-디엔-3알파,13알파-디올 3,13-O-디아세테이트, (2S,12S)-2,12-디아세톡시헵타데칸, (2S,12Z)-2-아세톡시-12-헵타데센, (2S,13S)-2,13-디아세톡시헵타데칸, (2S,14S)-2,14-디아세톡시헵타데칸, (Z)-11-헵타데세닐 아세테이트, 헵타데세닐 아세테이트, 헵타데실 아세테이트, (E)-13-옥타데세닐 아세테이트, (E)-2-옥타데세닐 아세테이트, (E,E)-3,13-옥타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2,13-옥타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Z)-3,13-옥타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11-옥타데세닐 아세테이트, (Z)-13-옥타데세닐 아세테이트, (Z)-9-옥타데세닐 아세테이트, (Z,E)-2,13-옥타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E)-3,13-옥타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Z)-2,13-옥타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Z)-3,13-옥타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Z)-9,12-옥타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Z,Z,Z)-3,6,9-옥타데카트리에닐 아세테이트, (Z,Z,Z)-9,12,15-옥타데카트리에닐 아세테이트, 9-옥타데세닐 아세테이트, 옥타데세닐 아세테이트, 옥타데실 아세테이트, (Z)-11,19-에이코사디에닐 아세테이트, (Z)-11-에이코세닐 아세테이트, (Z,Z)-11,14-에이코사디에닐 아세테이트, (Z,Z,Z)-11,14,17-에이코사트리에닐 아세테이트, 에이코실 아세테이트, 11-도코세닐 아세테이트, 도코실 아세테이트, 테트라코세닐 아세테이트, 테트라코실 아세테이트, (E,E,Z,Z)-1-히드록시-13,15,18,20-펜타코사테트라엔-11-이닐 아세테이트, 헥사코세닐 아세테이트, 15-메틸노나코산-7-일 아세테이트, 19-메틸노나코산-6-일 아세테이트, 19-메틸노나코산-7-일 아세테이트 및 19-메틸노나코산-8-일 아세테이트;
-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환족 탄화수소, 지환족 알콜 및 지환족 케톤 및 히드록시케톤, 예컨대 알파-피넨 = (2,6,6-트리메틸바이시클로[3.1.1]헵트-2-엔),
시스-베르베놀 = (1S,2S,5S)-4,6,6-트리메틸바이시클로[3.1.1]헵트-3-엔-2-올),
라니에론 = 2-히드록시-4,4,6-트리메틸-2,5-시클로헥사디엔-1-온;
- 옥사스피로 화합물, 예컨대
리네아틴 = (3,3,7-트리메틸-2,9-디옥사트리시클로[3.3.1.04,7]노난),
프론탈린 = 1,5-디메틸-6,8-디옥사바이시클로[3.2.1]옥탄
칼코그란 = 2-에틸-1,6-디옥사스피로[4,4]노난 또는
비칼라린 = (1S,2R,5R)-2-에틸-1,5-디메틸-6,8-디옥사바이시클로(3.2.1)옥탄;
- 및 상기 언급된 페로몬들의 혼합물.
페로몬은 그 자체로서, 페로몬 혼합물로서 또는 페로몬-포함 액체로서 디스펜서에 존재할 수 있다. 마지막에 언급된 경우, 디스펜서는 또한 상기 언급된 페로몬 또는 페로몬 혼합물 이외에, 1종 이상의 불활성 액체를 페로몬 또는 페로몬 혼합물과의 혼합물로 포함한다. 본 문맥에서, 불활성은 액체가 그 자체로 비활성이나, 페로몬의 활성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또한 액체가 페로몬의 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는 일반적으로 6개 이하의 C 원자를 갖는 저분자량 알콜 및 케톤, 예컨대 메틸부텐올, 메틸부틴올, 6 내지 10개의 C 원자를 갖는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 및 포화 C1-C6-카르복실산과 C1-C6-알칸올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그의 아세테이트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디스펜서에 존재하는 페로몬은 6 내지 30개의 C 원자, 특히 8 내지 20개의 C 원자를 갖는 단일불포화 또는 다중불포화, 예를 들어 1가, 2가, 3가 또는 4가 불포화 지방족 알콜 및 그의 아세테이트, 특히 그의 모노아세테이트 및 디아세테이트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 물질을 포함한다. 불포화는 지방족 알콜 또는 아세테이트의 알콜 잔기가 1개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이중 결합 (C=C 이중 결합) 및/또는 1개 이상의 아세틸렌계 불포화 삼중 결합 (C≡C 삼중 결합)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지방족 알콜 또는 아세테이트의 알콜 잔기는 적어도 1개 이상, 예를 들어 1, 2, 3 또는 4개의 에틸렌계 C=C 이중 결합(들) 및/또는 1개 이상, 예를 들어 1 또는 2개의 C≡C 삼중 결합(들)을 가지며, C=C 이중 결합 및 C≡C 삼중 결합의 총량은 1, 2, 3 또는 4이다. 알콜은 또한 케토 기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아세테이트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추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디스펜서에 존재하는 페로몬은 소위 SCLP (직쇄 레피돕테란 페로몬)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 물질을 포함한다. 이들은 9 내지 18개의 C 원자를 갖고 임의로, 1, 2 또는 3개의 이중 결합 및 OH, CHO (알데히드) 및 O-C(OCH3)에서 선택된 말단 관능기를 갖는 비분지형 지방족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디스펜서에 존재하는 페로몬은 Z9-도데세닐 아세테이트, E7,Z9-도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8,E10-도데카디에놀 및 Z8-도데세닐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 물질을 포함한다.
추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디스펜서에 존재하는 페로몬은
-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환족 탄화수소, 지환족 알콜 및 지환족 케톤 및 히드록시케톤, 예컨대
알파-피넨 = (2,6,6-트리메틸바이시클로[3.1.1]헵트-2-엔),
시스-베르베놀 = (1S,2S,5S)-4,6,6-트리메틸바이시클로[3.1.1]헵트-3-엔-2-올),
라니에론 = 2-히드록시-4,4,6-트리메틸-2,5-시클로헥사디엔-1-온;
- 옥사스피로 화합물, 예컨대
리네아틴 = (3,3,7-트리메틸-2,9-디옥사트리시클로[3.3.1.04,7]노난),
프론탈린 = 1,5-디메틸-6,8-디옥사바이시클로[3.2.1]옥탄
칼코그란 = 2-에틸-1,6-디옥사스피로[4,4]노난 또는
비칼라린 = (1S,2R,5R)-2-에틸-1,5-디메틸-6,8-디옥사바이시클로(3.2.1)옥탄; 및
- 상기 언급된 페로몬들의 혼합물
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 물질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 및 매우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활성 물질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6 내지 30개의 C 원자, 특히 8 내지 20개의 C 원자를 갖는 포화 알콜과의 혼합물, 또는 바람직하게는 6 내지 30개의 C 원자, 특히 8 내지 20개의 C 원자를 갖는 아세테이트-포화 알콜과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포화 알콜의 예는 특히 1-옥탄올, 1-노난올, 1-데칸올, 1-운데칸올, 1-도데칸올, 1-트리데칸올, 1-테트라데칸올, 1-펜타데칸올, 1-헥사데칸올, 스테아릴 알콜 등 및 그의 아세테이트, 예컨대 1-옥틸 아세테이트, 1-노닐 아세테이트, 1-데실 아세테이트, 1-운데실 아세테이트, 1-도데실아세테이트, 1-트리데실 아세테이트, 1-테트라데실 아세테이트, 1-펜타데실 아세테이트, 1-헥사데실 아세테이트, 스테아릴 아세테이트 등이며, 포화 알콜 및 그의 아세테이트는 일반적으로 활성 물질 및 포화 알콜 및/또는 포화 알콜의 아세테이트의 총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하에 달한다.
디스펜서에 존재하는 페로몬은 또한 화학적 안정화를 위한 작용제, 예를 들어, 항산화제 및/또는 UV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항산화제의 예는 토코페롤, 예컨대 α-토코페롤, α-토코페롤 팔미테이트, α-토코페롤 아세테이트 및 알킬-치환된 히드록시벤젠, 히드로퀴논 및 히드록시아니솔, 예컨대 tert-부틸히드록시톨루엔, tert-부틸히드로퀴논 또는 tert-부틸히드록시아니솔이다. UV 흡수제의 예는 4,4-디아릴부타디엔, 신남산 에스테르, 벤조트리아졸, 특히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예를 들어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히드록시벤조페논, 디페닐시안아크릴레이트, 옥사미드 (옥살산 디아미드) 및 2-페닐-1,3,5-트리아진이다.
페로몬 또는 페로몬-포함 액체 (페로몬 및 불활성 액체)의 양은 일반적으로 원하는 사용 기간에 걸쳐 페로몬의 충분한 방출이 달성되도록 하는 양일 것이다. 전형적으로, 페로몬 또는 페로몬-포함 액체의 총량은 0.2 내지 5 ml, 특히 0.3 내지 3 ml이다.
본 발명은 또한
i) 페로몬을 수용하기 위한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대역 (4)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필름 물질로 제조된 심교 플라스틱 필름을 제공하고,
ii)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들)을 페로몬 또는 페로몬-포함 액체로 충전하고,
iii) 평면 플라스틱 필름을 심교 플라스틱 필름과 연결시킴으로써,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충전된 대역(들)을 열가소성 필름 물질로 제조된 평면 플라스틱 필름으로 밀봉하고,
iv) 서로 연결된 플라스틱 필름의 대역 내 오목부를 갖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
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첫번째 단계 i)에서 가열, 및 임의로, 과압 또는 부압의 적용에 의한 통상적인 디프-드로잉 방법에 의한 디프-드로잉에 적합한 열가소성으로 가공가능한 플라스틱 필름 (심교 필름)에서 디스펜서를 위한 원하는 형상의 하나 이상의 디쉬형 대역 (함몰부)을 형성할 것이다. 그렇게 하면서, 일반적으로 심교 필름에 다수의, 예를 들어 2 내지 100개, 특히 4 내지 20개의 디스펜서를 필요로 하는 디쉬형 대역을 형성할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당업자에게, 예를 들어 문헌 [Saechtling, Kunststoff-Taschenbuch, 26th edition, Carl Hanser Verlag, Munich Vienna 1995, pp. 297-305] 및 [G. Kuehne in Kunststoff Maschinenfuehrer (Johannaber, ed.), 3rd edition, Carl Hanser Verlag, Munich Vienna 1992, pp. 618-634]에 공지되어 있다.
그 후, 이렇게 형성된 디쉬형 대역(들)은 단계 ii)에서 페로몬 또는 페로몬-포함 액체로 충전되며, 페로몬 또는 페로몬-포함 액체의 양은 일반적으로 원하는 충전 수준에 상응하도록 선택된다.
단계 iii)에서, 충전된 대역(들)은 열가소성 필름 물질로 제조된 평면 플라스틱 필름으로 밀봉된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평면 플라스틱 필름이 충전된 대역을 덮는 방식으로 평면 플라스틱 필름을 심교 필름에 적용하고, 후속적으로 충전된 대역이 내구성 있게 밀봉되도록 이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킬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은 용접 방법 또는 밀봉 방법에 의해 수행되며, 여기서 심교 필름 상의 평면 플라스틱 필름은 심교 필름에 내구성 있게 결합되거나 밀봉된다. 원칙적으로, 심교 필름과 함께 평면 플라스틱 필름을 결합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은 당업자에게, 예를 들어 문헌 [Saechtling, Kunststoff-Taschenbuch, 26th edition, Carl Hanser Verlag, Munich Vienna 1995, pp. 305-325] 및 [G. Kuehne in Kunststoff Maschinenfuehrer (Johannaber, ed.), 3rd edition, Carl Hanser Verlag, Munich Vienna 1992, pp. 747-810]에 공지되어 있다.
용접 방법 및 특히 밀봉 방법이 바람직하다. 평면 플라스틱 필름이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의 연부를 따라 심교 플라스틱 필름에 용접되거나 밀봉되어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용접 또는 밀봉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용접 또는 밀봉 방법은 원칙적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의 용접 또는 밀봉에 적합한 모든 방법이다. 예는 온도 및 압력의 적용에 의해 (고온-밀봉) 또는 초음파 및 압력의 적용에 의해 (초음파 밀봉 방법) 작동하는 밀봉 방법이다.
평면 필름이 밀봉 방법에 의해 심교 필름에 연결된 경우, 심교 필름의 필름 물질이 평면 필름의 필름 물질로 밀봉가능한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임의로 2개의 필름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필름 물질에 밀봉가능한 밀봉가능한 코팅을 갖는 것이 필수적일 수 있다. 필름 둘 모두가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경우, 이러한 밀봉층은 필수적이 아니며, 이는 폴리올레핀이 일반적으로 자가-밀봉가능하기 때문이다.
밀봉가능한 층으로서 밀봉가능한 모든 중합체 및 중합체 시스템이 적합하며, 즉 형성된 밀봉층은 충분한 압력 및 온도를 적용시 또 다른 층에 용접될 수 있으며, 즉 내구성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층은 필름 물질과 동일한 중합체, 또는 상이한 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봉가능한 층은 바람직하게는 실온 (21℃, 1 bar)에서 블록-저항성인 중합체에 의해 형성되며, 즉 형성된 중합체 필름은 점착성이 아니다. 중합체가 +50℃ 이하에서 블록-저항성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밀봉가능한 층은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상 및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이상의 하나 이상의 C2-C6-올레핀을 포함하는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중합체는 하기 본원에서 간단히 폴리올레핀이라고 지칭된다. 언급될 수 있는 C2-C6-올레핀은 특히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다. 밀봉가능한 층에 바람직한 중합체는 올레핀의 단독중합체, 특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그의 공중합체이다. 밀봉가능한 층이 60 중량% 초과의 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밀봉가능한 층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PE)으로 이루어진다. 밀봉가능한 층에 대해 상기 언급된 올레핀의 저분자량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예를 들어 제WO 2007/01262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PE 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열가소성으로 가공가능하고 예를 들어 필름 형태로 압출될 수 있는 고분자량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PE)이 또한 적합하다. 폴리올레핀은 특히 자가-밀봉가능하며, 즉 내구력이 있는 연결부가 생성되는 다른 층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물질로 제조된다. 존재하는 경우, 밀봉가능한 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5 내지 100 ㎛, 특히 10 내지 80 ㎛ 및 구체적으로 15 내지 50 ㎛에 달한다.
그 후, 서로 연결된 플라스틱 필름의 대역 내 오목부가 디스펜서에 제공된다. 이는 예를 들어 절단 또는 펀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확장 절단이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1회 통과로 다수의 디스펜서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에, 공정의 단계 i)은 디프-드로잉을 위해 사용되는 플라스틱 필름에 통과에서 생성되는 개수의 디스펜서에 필요한 개수의 디쉬 대역을 제조하고, 이를 페로몬 또는 페로몬-포함 액체로 충전하고, 후속적으로 이를 상기 기재된 방식으로 평면 필름으로 밀봉하는 것을 동시에 수반한다. 서로 연결된 이렇게 제조된 디스펜서는 절단에 의해 서로 분리되며, 필요한 개수의 오목부, 및 임의로 확장 절단부가 사전에 또는 동시에 제조된다.
본 발명은 이하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설명은 오직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표시된 실시양태로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로몬 디스펜서의 기본 형상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페로몬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라인 A-A를 가로지르는 도 2의 실시양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하기 참고 부호가 도 1 내지 3에서 사용된다.
1 심교 플라스틱 필름
2 밀봉부
3 챔버의 연부
4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 (디쉬) 또는 챔버
4a, 4b 디쉬 또는 챔버의 부분-대역
5 노치/확장 절단부
6 오목부
7 함몰부
7a, 7b 침하 부분-대역
8 채널로부터 함몰부로의 전이부
9 평면 플라스틱 필름 또는 필름 커버
10 돌출부
도 1에 나타낸 페로몬 디스펜서는 본질적으로 필름 커버로서 평면 플라스틱 필름 및 심교 플라스틱 필름 (1)으로 이루어지며, 그 사이에 페로몬 또는 페로몬-포함 액체가 동봉된다. 디스펜서가 상면도에 표시되었으므로, 필름 커버는 이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다. 페로몬 또는 페로몬-포함 액체도 또한 표시되지 않았다.
심교 플라스틱 필름 (1)은 본질적으로 직사각형 수평 투영을 갖는다. 제조 요건 또는 특정 사용 요건 때문에, 모서리는 둥글게 될 수 있다.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 (또한 본원에서 챔버라고도 지칭됨) (4)이 페로몬 또는 페로몬-포함 액체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펜서는 오목부 (6)로부터 디스펜서의 외부 연부에 이르는 노치 (5)를 특징으로 한다. 오목부 (6)는 일반적으로 타원형 또는 원형이나, 또한 더 양호한 체결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압입부 또는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다.
노치 (5)는 디쉬 (4)를 2개의 부분-대역 (4a) 및 (4b)으로 분할하며, 이들은 각각의 경우에 노치 (5)의 한 측면 상에 위치되고, 오목부 (6) 주변에 더 좁은 아크 (또한 채널이라고도 지칭됨)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심교 플라스틱 필름 (1)은 밀봉부 (2)에 의해 디쉬 (4)의 연부를 따라 평면 플라스틱 필름에 연결되어, 2개의 플라스틱 필름이 페로몬 또는 페로몬-포함 액체 (나타내지 않음)를 포함하는 내구성 있게 밀봉된 챔버를 형성한다.
도 2에 나타낸 디스펜서의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챔버 (4)는 또한 오목부 (6) 주변에 더 좁은 아크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의 부분-대역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부분-대역 중 하나는 챔버 (4)가 오목부 (6)를 대체로 둘러싸도록 갈고리형 돌출부 (10)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챔버 (4)는 디쉬의 바닥에 2개의 침하 부분-대역 (7a) 및 (7b)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은 2개의 인접 사분면에 위치하며, 이들 사이에 노치 (5)가 위치된다. 침하 부분-대역 (7a) 및 (7b) 각각은 심교 플라스틱 필름 (1)의 외부 연부 및 노치 (5)와 평행하게 위치된 직사각형 대역을 특징으로 한다. 오목부 (6)는 나머지 2개의 사분면에 배열된다. 이는 타원형 기본 형상을 갖고, 더 양호한 체결 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압입부 또는 돌출부가 제공된다.
노치 (5)는 오목부 (6)에 대해 상대적으로 임의의 아크에 침하 부분-대역 (7a) 및 (7b) 위에 위치된다. 밀봉부 (2)는 챔버의 연부를 따라 위치된다. 이는 심교 플라스틱 필름 (1)을 평면 필름 커버와 연결시키며, 그러므로 페로몬 또는 페로몬-포함 액체 (나타내지 않음)를 포함하는 챔버를 밀봉한다.
도 3에 나타낸, 라인 A-A를 가로지르는 도 2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단면도는 심교 플라스틱 필름 (1) 및 필름 커버 (9)에 의해 형성된 챔버 (4)를 나타낸다. 챔버 (4)는 함몰부 (7)로의 전이부 (8)를 특징으로 한다. 챔버 (4)는 도처에서 밀봉부 (2)로 밀봉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챔버 및 함몰부의 평면 부분 둘 모두는 평면-평행하다. 챔버로부터 함몰부로의 전이부 (8) 및 챔버의 연부 (3) 내 대역만이 배제된다.
일반적으로, 0.05 mm 내지 0.5 mm 범위의 두께를 갖는 심교 플라스틱 필름 및 0.02 mm 내지 0.5 mm 범위의 두께를 갖는 평면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될 것이다.
챔버, 또는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은 통상적으로 0.3 mm 내지 5 mm, 특히 0.4 내지 3 mm 범위의 깊이 및 5 ㎠ 내지 25 ㎠ 범위의 면적을 갖도록 설계될 것이다.
실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가 다음과 같이 제조될 것이다:
각각의 경우 도 2에 나타낸 디쉬 대역 5개를 갖는 2개의 행이 가온 및 블로우-압력 조건 하에 디프-드로잉에 의해 예를 들어 0.2 mm의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필름 물질, 예를 들어 HD 폴리에틸렌에 제조된다. 침하 대역 (7a) 및 (7b) 내 디쉬 대역의 깊이는 대략 2 mm이고, 디쉬의 나머지 대역의 깊이는 대략 1 mm이다. 라인 A-A의 방향으로 챔버의 총 정도는 대략 5.3 cm이고, A-A에 대해 직각인 라인의 방향으로 3.8 cm이다. 챔버 (4)는 후속적으로 페로몬, 예를 들어 Z9-도데세닐 아세테이트 0.5 내지 1.0 ml로 충전된다. 챔버 (4)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챔버 (4)의 연부 (3)를 따라 심교 플라스틱 필름 (1)으로 평면 플라스틱 필름 (9)의 용접에 의해 예를 들어 0.1 mm의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필름 물질, 예를 들어 HD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평면 플라스틱 필름 (9)으로 밀봉되며, 이에 의해 밀봉부 (2)가 형성된다. 오목부 (6)는 후속적으로 서로 연결된 플라스틱 필름의 대역 내 디스펜서로 펀칭되며, 오목부는 2개의 압입부를 갖고, 오목부는 세로축에서 대략 1.8 cm의 최대 치수 및 이에 대해 직각인 축에서 1.2 cm의 최대 치수를 갖는다. 여전히 서로 연결된 이렇게 형성된 디스펜서 10개가 절단에 의해 서로 분리되며, 확장 절단부 (5)가 동시에 제조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착색 디스펜서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평면 필름을 위한 HD 폴리에틸렌 및 심교 필름을 위한 HD 폴리에틸렌이 각각의 경우에 0.3 중량%의 산화철 안료로 착색된다.

Claims (16)

  1. (a) 열가소성 필름 물질로 제조되고, 페로몬 또는 페로몬-포함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대역 (4)을 특징으로 하는 심교(deep-drawn) 플라스틱 필름 (1), 및 (b) 열가소성 필름 물질로 제조되고, 심교 플라스틱 필름 (1)과 연결되고, 심교 플라스틱 필름의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대역 (4)과 함께 페로몬 또는 페로몬-포함 액체를 포함하는 내구성 있게 밀봉된 챔버를 형성하는 평면 플라스틱 필름 (9), 및 (c) 상호연결된 플라스틱 필름의 대역 내 오목부 (6)를 포함하며, 여기서 평면 플라스틱 필름 (9)은 페로몬에 대해 투과성인, 페로몬을 위한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들)이 0.3 내지 5 mm 범위의 깊이를 갖는 것인 디스펜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들)이 디쉬의 바닥에 하나 이상의 함몰부를 특징으로 하는 것인 디스펜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들)이 서로 연결되고 오목부 (6)의 어느 한 측면 상에 배열된 2개 이상의 부분-대역 (4a) 및 (4b)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디스펜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목부 (6)를 디스펜서의 연부에 연결시키는 노치 (5)를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이 2.5 내지 25 ㎠ 범위의 면적을 갖는 것인 디스펜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심교 플라스틱 필름이 페로몬에 대해 투과성인 디스펜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심교 플라스틱 필름의 필름 물질이 에틸렌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디스펜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면 플라스틱 필름의 필름 물질이 에틸렌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디스펜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면 플라스틱 필름이 밀봉부 (2)에 의해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의 연부를 따라 심교 플라스틱 필름에 연결된 것인 디스펜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심교 플라스틱 필름이 0.05 내지 0.5 mm 범위의 두께를 갖는 것인 디스펜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면 플라스틱 필름이 0.02 내지 0.5 mm 범위의 두께를 갖는 것인 디스펜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페로몬이 6 내지 30개의 C 원자를 갖는 불포화 지방족 알콜 및 그의 아세테이트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디스펜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 물질이 Z9-도데세닐 아세테이트, E7,Z9-도데카디에닐 아세테이트, E8,E10-도데카디에놀 및 Z8-도데세닐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 것인 디스펜서.
  15. i) 페로몬을 수용하기 위한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대역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필름 물질로 제조된 심교 플라스틱 필름을 제공하고,
    ii)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들)을 페로몬 또는 페로몬-포함 액체로 충전하고,
    iii) 평면 플라스틱 필름을 심교 플라스틱 필름과 연결시킴으로써,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들)을 열가소성 필름 물질로 제조된 평면 플라스틱 필름으로 밀봉하고,
    iv) 서로 연결된 플라스틱 필름의 대역 내 오목부를 갖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
    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펜서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들)을 밀봉하기 위해, 평면 플라스틱 필름이 디쉬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대역(들)의 연부를 따라 심교 플라스틱 필름에 용접되어 밀봉부를 형성하는 것인 방법.
KR1020117017855A 2008-12-30 2009-12-29 페로몬 디스펜서 KR201101064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73100 2008-12-30
EP08173100.2 2008-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428A true KR20110106428A (ko) 2011-09-28

Family

ID=42115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855A KR20110106428A (ko) 2008-12-30 2009-12-29 페로몬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10266361A1 (ko)
EP (1) EP2384111A1 (ko)
JP (1) JP2012513746A (ko)
KR (1) KR20110106428A (ko)
CN (1) CN102271498A (ko)
AR (1) AR074951A1 (ko)
AU (1) AU2009334777A1 (ko)
BR (1) BRPI0923908A2 (ko)
CA (1) CA2747367A1 (ko)
EA (1) EA201101013A1 (ko)
IL (1) IL213537A0 (ko)
MX (1) MX2011006298A (ko)
WO (1) WO2010076316A1 (ko)
ZA (1) ZA2011055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14713A1 (de) * 2010-04-12 2011-10-13 Klocke Verpackungs-Service Gmbh Dispenser für ein leicht flüchtiges Medium
AR093076A1 (es) * 2012-11-08 2015-05-20 Shinetsu Chemical Co Formulacion de feromonas de liberacion sostenida
JP5923469B2 (ja) * 2013-08-10 2016-05-24 株式会社マザー&チャイルド エストロジェン及びテストステロン分泌増進用組成物、及びその芳香用組成物、並びにその芳香用具。
WO2015128428A1 (de) * 2014-02-27 2015-09-03 Basf Se Pheromondispenser aus kunststoffmaterial
CN112219845B (zh) * 2020-11-03 2022-05-13 哈尔滨学院 一种乏夜蛾性引诱剂及其应用
DE202023000706U1 (de) 2022-03-29 2023-07-03 Flügel GmbH System zum Überwachen von vorgebbaren Arten von Lebewesen oder von bestimmten Lebewesen und deren Umgebungsbedingungen an einem vorgebbaren Standort
EP4279568A1 (en) * 2022-05-19 2023-11-22 Basf Se The use of a non-canonical terpenes or terpenoids as aroma chemical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25770A (en) 1972-11-09 1978-02-07 Herculite Protective Fabrics Corporation Dispensers for the controlled release of pest-controlling agents and methods for combatting pests therewith
US4017030A (en) 1974-10-31 1977-04-12 Albany International Corporation Devices for controlled release of vapors
US4161283A (en) * 1977-06-03 1979-07-17 Sy Hyman Article for the dispensing of volatiles
DE2832248A1 (de) 1978-07-22 1980-01-31 Celamerck Gmbh & Co Kg Dispenser fuer die applikation von pheromonen
DE2945655A1 (de) 1979-11-12 1981-05-21 Celamerck Gmbh & Co Kg, 6507 Ingelheim Vorrichtung fuer die abgabe von phermonen
JPS62181203A (ja) 1986-02-05 1987-08-08 Shin Etsu Chem Co Ltd 異なる害虫の性フエロモンの同時放出制御方法
JPS62258301A (ja) 1986-04-23 1987-11-10 Shin Etsu Chem Co Ltd 徐放性フエロモンデイスペンサ−
JPH0818927B2 (ja) 1988-05-13 1996-02-2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徐放性フェロモン製剤
DE3927243A1 (de) 1989-08-18 1991-02-21 Basf Ag Vorrichtung zur bekaempfung von borkenkaefern insbesondere des buchdruckers
DE4136212A1 (de) * 1991-11-02 1993-05-06 Basf Ag, 6700 Ludwigshafen, De Dispenser zur kontrollierten freisetzung von pheromonen
DE20114352U1 (de) * 2001-08-30 2003-01-16 Klocke Verpackungs Service Duftspender
CN1182777C (zh) * 2002-04-24 2005-01-05 中国科学院上海昆虫研究所 一种昆虫信息素诱芯的散发器及其制备方法
US20080011871A1 (en) * 2004-10-06 2008-01-17 Bioglobal Limited Dispenser
CN101068467B (zh) * 2004-12-01 2010-12-15 巴斯福股份公司 以受控方式分配小蠹虫信息素的装置
DE102005035979A1 (de) 2005-07-28 2007-02-01 Basf Ag Siegelbares Laminat für wiederverschliessbare Verpack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13537A0 (en) 2011-07-31
ZA201105562B (en) 2012-10-31
AR074951A1 (es) 2011-02-23
EP2384111A1 (de) 2011-11-09
AU2009334777A1 (en) 2011-07-21
BRPI0923908A2 (pt) 2015-08-04
CN102271498A (zh) 2011-12-07
EA201101013A1 (ru) 2012-01-30
MX2011006298A (es) 2011-06-27
CA2747367A1 (en) 2010-07-08
WO2010076316A1 (de) 2010-07-08
US20110266361A1 (en) 2011-11-03
JP2012513746A (ja)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6428A (ko) 페로몬 디스펜서
CN1165467C (zh) 双功能分配器及其再装填机构
CA2017516C (en) Controlled release system for insect attractant
AU2018202202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tube containing liquid and being sealed at constant interval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olymer tube
US20050252074A1 (en) Bait stations
US20120126024A1 (en) Methods and systems to deliver volatile compounds
US20060231213A1 (en) Volatilizer
US9185897B2 (en) Methods to deliver and maintain volatile compounds
JP5556790B2 (ja) ピレスロイド系化合物の光・紫外線劣化が防止された組成物及び光・紫外線劣化防止方法
US20130255135A1 (en) Systems and methods to deliver and maintain volatile compounds
FI60957C (fi) Anordning foer kontrollerad frigoerelse av ett avdunstbart material
JP3940703B2 (ja) 加熱蒸散装置、加熱蒸散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5128428A1 (de) Pheromondispenser aus kunststoffmaterial
EP1547464A1 (en) Method of thermal transpiration, thermal transpiration container for use therein and thermal transpiration device
ES2644030T3 (es) Disposición para la emisión de sustancias activas a productos agrarios y silvícolas
JP2003201205A (ja) 害虫防除用加熱蒸散体
JP6644516B2 (ja) ファン式揮散性薬剤揮散装置
JP7442812B2 (ja) 害虫防除具
JP5773656B2 (ja) 飛翔害虫捕獲具
JP4317349B2 (ja) 加熱蒸散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加熱蒸散容器
JP2004067689A (ja) 加熱蒸散容器、これを用いた加熱蒸散装置および加熱蒸散方法
TW590740B (en) Two-stage dispensing mat
JP4199815B2 (ja) 加熱蒸散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加熱蒸散容器
KR20060015463A (ko) 2단 분배 매트
JPH03118301A (ja) 徐放性フェロモン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