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316A - 전자간증의 예측 및 예방 - Google Patents

전자간증의 예측 및 예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316A
KR20110106316A KR1020117014529A KR20117014529A KR20110106316A KR 20110106316 A KR20110106316 A KR 20110106316A KR 1020117014529 A KR1020117014529 A KR 1020117014529A KR 20117014529 A KR20117014529 A KR 20117014529A KR 20110106316 A KR20110106316 A KR 20110106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xin
preeclampsia
pregnancy
pregnant woman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니스 알. 스튜어트
컥 피. 콘라드
아룬다티 제이아발란
Original Assignee
코테라, 인크.
유니버시티 오브 플로리다 리서치 파운데이션, 인코포레이티드
유니버시티 오브 피츠버그 오브 더 커먼웰쓰 시스템 오브 하이어 에듀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테라, 인크., 유니버시티 오브 플로리다 리서치 파운데이션, 인코포레이티드, 유니버시티 오브 피츠버그 오브 더 커먼웰쓰 시스템 오브 하이어 에듀케이션 filed Critical 코테라, 인크.
Publication of KR20110106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3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pregnancy or the gon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2Haematolog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36Gynecology or obstetrics
    • G01N2800/368Pregnancy complicated by disease or abnormalities of pregnancy, e.g. preeclampsia, preterm lab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0Determining the risk of developing a dise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Cardiology (AREA)
  • Obesity (AREA)
  • Endocri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임신한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증가된 위험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은 임신한 여성의 생물학적 샘플 내 릴랙신 수준의 측정, 및 임의로 C-반응성 단백질 수준의 측정을 사용한다. 본 개시는 임신한 여성에게 릴랙신의 제약 제제의 투여를 통해 전자간증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간증의 예측 및 예방 {PREDICTION AND PREVENTION OF PREECLAMPSIA}
<관련 출원>
본 출원은 35 U.S.C. 119(e) 하에 2008년 11월 24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1/200,150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이 가출원은 모든 목적을 위해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임신한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증가된 위험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은 임신한 여성의 생물학적 샘플 내 릴랙신 수준의 측정, 및 임의로 C-반응성 단백질 수준의 측정을 사용한다. 본 개시는 임신한 여성에게 릴랙신의 제약 제제의 투여를 통해 전자간증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한다.
전자간증 (또한 임신중독증이라고 공지됨)은 임신한 여성에 통상적으로 제2 삼분기 또는 제3 삼분기에 후기에 및 출산후 여성에 분만후 첫 6주에 영향을 미치는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이다. 이는 새로 발병한 소변 내 단백질 (단백뇨) 및 높은 혈압에 의해 진단된다. 상기 상태는 임신한 여성의 신장, 간, 뇌, 심장 및 태반에 영향을 미친다. 전자간증은 임신의 대략 8 내지 10 퍼센트에서 발생하고, 오직 출산 유도 또는 제왕절개에 의한 임신 종결에 의해 경감된다. 그의 원인은 아직 충분히 공지되지 않았다. 전자간증은 가장 흔히 첫 임신 동안 발생한다. 전자간증에 대한 위험은 또한 35세 초과 또는 18세 미만인 여성; 유전적으로 이러한 상태에 대한 소인이 있는 여성; 기존 고혈압, 당뇨병, 자가면역 질병, 예컨대 루푸스, 다양한 유전 혈전성향증, 예컨대 응고인자 V 라이덴 또는 신장병을 앓고 있는 여성; 비만 여성 및 다태 임신 (쌍둥이, 세쌍둥이 및 그 초과)인 여성을 포함하는 특정 군의 임신한 여성에 대해 중간 정도로 증가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전자간증 발병에 대한 단일 가장 유의한 위험은 이전 임신에서 전자간증을 가졌던 것이다.
전자간증은 통상적으로 임신의 제20주 후에 발병하나, 또한 포상기태가 있는 경우 더 일찍 시작될 수 있다. 전자간증은 점차적으로 또는 갑작스럽게 발병할 수 있고, 임신 전반에 걸쳐 경증으로 유지되거나 중증이 될 수 있다. 높은 혈압 및 단백뇨 이외에 흔한 증상은 상승된 요산, 시력 문제, 예컨대 깜박이는 빛 또는 흐린 시력, 지속적 두통, 손 및 발의 극심한 종창, 체액 저류, 우측 상복부의 통증이다. 전자간증은 치료되지 않으면 모친의 간 또는 신장을 손상시키고, 태아에게서 산소를 빼앗고, 자간증 (발작)을 유발할 수 있다. 전자간증의 징후를 갖는 임신한 여성은 의사에 의해 면밀히 모니터링되어야 한다. 중등도 내지 중증 전자간증은 종종 병원에서 침상 안정, 황산마그네슘 및 높은 혈압에 대한 약물 투약으로 치료된다. 불행하게도, 분만이 여전히 전자간증을 위한 유일한 진정 "치유"이다. 사실은, 여성이 중증 전자간증을 갖거나 또는 경증 내지 중등도 전자간증을 갖는 거의 만기인 경우, 분만이 여전히 지금까지 최선의 해결책이다. 그 후, 제왕절개가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 한, 출산은 약물 투약으로 개시된다. 분만후 첫 수일 내에, 모친의 혈압은 통상적으로 정상으로 되돌아 오나, 중증 전자간증의 경우 혈압이 정상으로 되돌아 오는데 수주가 걸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간증은 임신한 여성이 높은 혈압 (140/90 mm Hg 이상의 4시간 이상 떨어져 취한 2개의 개별 판독값) 및 24-시간 소변 샘플 내 단백질 300 mg (즉, 단백뇨)을 발병한 경우 진단된다. 종창 또는 부종 (특히 손 및 얼굴에서)은 오랫동안 전자간증의 진단에 대한 중요한 징후로 간주되었으나, 오늘 날 의료 행위에서, 오직 고혈압 및 단백뇨가 진단에 필수적이며, 이는 정상적 임신을 갖는 여성의 40% 이하가 또한 부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눌렀을 때 함입이 남는 것으로 유명한 함요 부종, 즉, 비정상적 종창, 특히 손, 발 또는 얼굴의 함요 부종은 유의할 수 있고, 의사에게 보고되어야 한다. 자간증은 잠재적으로 치명적이나, 전자간증은 명백히 무증상일 수 있거나, 또는 전형적인 임신-관련 병의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 침범을 반영하고 HELLP 증후군 (즉, 용혈, 간 효소 상승 및 저혈소판증)이라고 불리는 중증 형태의 전자간증에서 전형적인 명치 통증은 임신의 매우 흔한 문제인 속쓰림과 쉽게 혼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자간증의 추정 진단은 동시에 발생한 전자간증의 특징에 좌우되며, 최종 진단은 분만 후 증상 퇴행이 관찰될 때까지 일반적으로 가능하지 않다.
전자간증 스크리닝의 영역에서 진전이 있어 왔으나, 임상의는 전자간증에 대한 위험에 있는 임신한 여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최적의 전략을 계속 고심하고 있다. 전자간증의 유해 효과로부터 모친 및 아이 둘 모두를 보호하는 접근법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는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을 갖는가 또는 전자간증에 대한 소인이 있는가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요구를 해결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요약>
본 개시는 임신한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위험을 평가하고 전자간증의 발병의 우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한 주요 장점은 치료요법이 적절한 시간내에 개시될 수 있도록 전자간증의 발병의 위험을 임신 동안 조기에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장점은 전자간증에 대한 증가된 위험에 있는 것으로 결정된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을 예방하거나 감쇠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낮은-수준의 릴랙신 또는 그의 효능제(agonist)로 치료될 수 있다는 것이다. 릴랙신의 조기 투여는 임신의 제1 삼분기 동안 H2 릴랙신이 상대적으로 결핍된 임신한 여성에서 전자간증으로 인한 임신 합병증의 개수를 극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릴랙신이 임신한 여성에서 자연적으로 생기기 때문에, 외인성 릴랙신에 의한 치료는 틀림없이 해로운 부작용과 동반되지 않을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장점은 전자간증에 대한 소인이 있는 임신한 대상체의 부분집합에서 전자간증 및 질병 진행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리서치 연구 및/또는 임상 연구를 위해 환자의 풍부화된 집단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측면에서, 본 개시는 임신의 제1 삼분기에 임신한 인간 여성을 선택하고, 인간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임신한 인간 여성에서 릴랙신 단백질의 수준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임신한 인간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위험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임신의 제2 삼분기에 임신한 인간 여성을 선택하고, 인간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임신한 인간 여성에서 릴랙신 단백질의 수준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임신한 인간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위험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전자간증 증상의 출현전 임신한 인간 여성을 선택하고, 인간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임신한 인간 여성에서 릴랙신 단백질의 수준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임신한 인간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위험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릴랙신은 혈액에서 검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릴랙신은 릴랙신에 대한 항체, 예컨대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폴리클로날 항체의 사용에 의해 검출된다. 본 개시의 한 실시양태에서, 인간 여성은 5주 내지 14주 동안 임신중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인간 여성은 5주 내지 28주 동안 임신중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인간 여성은 1명 초과의 아이를 임신중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임신한 인간 여성은 35세 초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임신한 인간 여성은 18세 이하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임신한 인간 여성은 유전적으로 전자간증에 대한 소인이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서, 방법은 임신한 인간 여성에서 C-반응성 단백질 (CRP)의 수준을 검출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CRP는 혈액에서 검출된다. 바람직하게는, CRP는 CRP에 대한 항체, 예컨대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폴리클로날 항체의 사용에 의해 검출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임신의 제1 삼분기에 임신한 인간 여성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임신한 인간 여성은 그의 혈류 내 약 500 pg/ml 미만의 릴랙신의 수준을 갖는 것인, 임신한 인간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우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임신의 제2 삼분기에 임신한 인간 여성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임신한 인간 여성은 그의 혈류 내 약 500 pg/ml 미만의 릴랙신의 수준을 갖는 것인, 임신한 인간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우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전자간증 증상의 출현전 임신한 인간 여성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임신한 인간 여성은 그의 혈류 내 약 500 pg/ml 미만의 릴랙신의 수준을 갖는 것인, 임신한 인간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우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임신한 인간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우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임신한 인간 여성에게 제약 제제의 릴랙신을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릴랙신은 1일당 약 10 ㎍/대상체 체중 kg 내지 약 100 ㎍/대상체 체중 kg의 양으로 임신한 인간 여성에게 투여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릴랙신은 1일당 약 30 ㎍/대상체 체중 kg의 양으로 임신한 인간 여성에게 투여된다. 릴랙신 투여는 결핍증이 주목되자마자 개시될 수 있고, 임신 전반에 걸쳐 계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릴랙신은 예를 들어, 임신 전반에 걸쳐 약 10 ng/ml의 릴랙신의 혈청 농도를 유지하도록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릴랙신의 제약 제제는 피하로 (SQ)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랙신은 주입 펌프를 통한 연속적 주입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약 제제에서 사용되는 릴랙신은 예를 들어, 합성 또는 재조합 릴랙신, 또는 제약상 유효한 릴랙신 효능제 또는 모방체일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실시양태에서, 릴랙신은 H1 인간 릴랙신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릴랙신은 H2 인간 릴랙신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릴랙신은 H3 인간 릴랙신이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릴랙신은 합성 또는 재조합 인간 릴랙신, 또는 제약상 유효한 릴랙신 효능제 또는 릴랙신 모방체이다. 그러므로, 전자간증에 대한 위험에 있는 임신한 인간 여성은 합성 또는 재조합 인간 릴랙신 또는 릴랙신 효능제 또는 모방체의 제약 제제로 치료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실시양태에서, 임신한 인간 여성은 합성 인간 릴랙신으로 치료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임신한 인간 여성은 재조합 인간 릴랙신으로 치료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임신한 인간 여성은 제약상 유효한 릴랙신 효능제 또는 모방체로 치료된다. 릴랙신은 피하로, 근육내로, 정맥내로, 설하로 및 흡입을 통한 것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수많은 상이한 경로를 통해, 임신한 인간 여성에게 투여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피하 (SQ) 투여이다.
본 개시는 임신의 제1 삼분기에 임신한 인간 여성을 선택하고, 인간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임신한 인간 여성에서 릴랙신 단백질의 수준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임신한 인간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위험의 평가에서 사용하기 위한 릴랙신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임신의 제2 삼분기에 임신한 인간 여성을 선택하고, 인간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임신한 인간 여성에서 릴랙신 단백질의 수준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임신한 인간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위험의 평가에서 사용하기 위한 릴랙신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전자간증 증상의 출현전 임신한 인간 여성을 선택하고, 인간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임신한 인간 여성에서 릴랙신 단백질의 수준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임신한 인간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위험의 평가에서 사용하기 위한 릴랙신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임신의 제1 삼분기에 임신한 인간 여성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임신한 인간 여성은 그의 혈류 내 약 500 pg/ml 미만의 릴랙신의 수준을 갖는 것인, 임신한 인간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우도의 감소에서 사용하기 위한 릴랙신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임신의 제2 삼분기에 임신한 인간 여성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임신한 인간 여성은 그의 혈류 내 약 500 pg/ml 미만의 릴랙신의 수준을 갖는 것인, 임신한 인간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우도의 감소에서 사용하기 위한 릴랙신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전자간증 증상의 출현전 임신한 인간 여성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임신한 인간 여성은 그의 혈류 내 약 500 pg/ml 미만의 릴랙신의 수준을 갖는 것인, 임신한 인간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우도의 감소에서 사용하기 위한 릴랙신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는 a) 전자간증 증상의 출현전 임신한 여성으로부터 수득된 생물학적 샘플 내 H2 릴랙신 농도를 측정하고; b) H2 릴랙신 농도가 임신한 여성의 최저 사분위수 농도에 대한 절사값 미만인 경우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의 발병의 증가된 위험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의 발병의 증가된 위험을 갖는가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최저 사분위수 농도는 유사한 임신령 및 유사한 장소의 임신한 여성의 군에서 측정된 H2 릴랙신 농도의 상부 75%로부터 바닥 25%를 분리하는 H2 릴랙신 농도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의 목적을 위해 유사한 임신령의 임신한 여성의 유사한 집단은 시험 대상체 (예를 들어, 단계 a 및 b의 임신한 여성)와 동일한 삼분기의 임신한 여성, 바람직하게는 + 또는 - 1개월 임신령,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 또는 - 2주 임신령의 임신한 여성의 집단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의 목적을 위해 유사한 장소의 임신한 여성의 유사한 집단은 시험 대상체 (예를 들어, 단계 a 및 b의 임신한 여성)와 동일한 대륙, 동일한 국가, 바람직하게는 1000 마일 내에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마일 내에 거주하는 임신한 여성의 집단이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생물학적 샘플은 혈장 또는 혈청을 포함한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H2 릴랙신은 H2 릴랙신에 대한 항체를 사용함으로써 측정되나, 이들 실시양태의 부분집합에서, H2 릴랙신은 효소 결합 면역흡착 검정 (ELISA)으로 측정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전자간증 증상의 출현전은 임신의 5주 내지 15주에 이르는 임신한 여성의 제1 삼분기 동안이다. 본 개시는 또한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에 대한 소인이 있는 군의 부분이며, 상기 군이 첫 임신, 35세 초과, 18세 미만, 다태 임신 및 기존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기존 상태는 고혈압, 당뇨병, 루푸스, 혈전성향증, 신장병 및 비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최저 사분위수 농도에 대한 절사값은 약 500 pg/ml이다. 더욱이, 본 개시는 생물학적 샘플 내 C-반응성 단백질 (CRP) 농도를 측정하고, 심지어 H2 릴랙신 농도가 약 500 pg/ml 초과인 경우에도 CRP 농도가 약 13.5 mcg/ml 초과인 경우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의 발병의 증가된 위험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별법으로, 본 개시는 생물학적 샘플 내 C-반응성 단백질 (CRP) 농도를 측정하고, 심지어 H2 릴랙신 농도가 약 500 pg/ml 초과인 경우에도 CRP 농도가 약 1.5 mcg/ml 미만인 경우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의 발병의 증가된 위험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또한 a) 임신한 여성으로부터 수득된 생물학적 샘플 내 H2 릴랙신 농도를 측정하고; b) H2 릴랙신 농도가 임신한 여성의 최저 사분위수 농도에 대한 절사값 미만인 경우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을 갖는가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생물학적 샘플은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 임신한 여성으로부터 수득되고, 방법은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을 갖는 것으로 진단하는데 부분적으로 사용된다. 이들 실시양태의 부분집합에서, 전자간증의 하나 이상의 증상은 부종, 중증 두통, 시력 변화, 상복부 통증, 오심, 구토, 어지럼증, 요배설량 감소 및 1주당 2 파운드 초과의 갑작스런 체중 증가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는 a) 임신의 제1 삼분기 동안 수득된 생물학적 샘플 내 약 500 pg/ml 미만의 혈청 H2 릴랙신 농도를 갖는 임신한 여성을 선택하고; b)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을 발병할 우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임신한 여성에게 제약 제제의 H2 릴랙신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을 발병할 우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H2 릴랙신은 임신의 말단 부분에 걸쳐 (예를 들어, H2 릴랙신 농도의 결정후) 1일당 약 30 ㎍/체중 kg의 양으로 임신한 여성에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H2 릴랙신은 임신 전반에 걸쳐 약 10 ng/ml의 릴랙신의 혈청 농도를 유지하도록 임신한 여성에게 투여된다. 바람직한 방법에서, 혈청 H2 릴랙신 농도는 면역검정에 의해 결정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삼분기는 임신의 5주 내지 15주에 이른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임신한 여성은 전자간증에 대한 소인이 있는 군의 부분이며, 상기 군은 첫 임신, 35세 초과, 18세 미만, 다태 임신 및 기존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들 실시양태의 부분집합에서, 기존 상태는 고혈압, 당뇨병, 루푸스, 혈전성향증, 신장병 및 비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임신한 여성은 북미 출신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임신한 여성은 북미의 북동 공업 지역 (예를 들어, 피츠버그의 250 마일 내) 출신이다.
더욱이, 본 개시는 아메리칸 타입 컬쳐 컬렉션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PTA-8423으로서 기재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생성된, H2 릴랙신과 반응성인 모노클로날 항체를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PTA 8423의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생성된 모노클로날 항체, 마이크로플레이트 및 샘플의 H2 릴랙신 농도의 측정에 대한 지침서를 포함하는 면역검정 키트가 제공된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면역검정은 폴리클로날 항-릴랙신 항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H2 릴랙신 포획 검정이다.
도 1은 임신령에 대한 전자간증 (PE) 여성 (HPU 및 HP 군)에서의 혈청 릴랙신 농도를 나타낸다. 라인은 동일한 대상체로부터의 샘플을 연결한다. 삼각형은 후에 전자간증을 발병하고 첫 15주에 500 pg/ml 미만의 내인성 릴랙신 수준을 갖는 임신한 여성으로부터의 샘플을 나타낸다. 정사각형은 후에 전자간증을 발병하나 약 500 pg/ml 초과의 내인성 릴랙신 수준을 갖는 임신한 여성으로부터의 샘플을 나타낸다. 다이아몬드형은 전자간증을 발병하지 않은 임신한 여성으로부터의 샘플을 나타낸다. 정상적 임신 결과를 갖는 여성 중 소수가 첫 15주에 500 pg/ml 미만의 릴랙신 수준을 가졌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 2는 연구 대상체로부터 수집된 제1 샘플의 릴랙신 농도의 이변량 히스토그램의 예시 (즉, 전자간증 군집)이다. 제1 샘플은 5주 내지 11주의 임신령으로부터 수득하였으며, 이는 대상체를 상이한 시간에 연구에 모집하였기 때문이다.
도 3은 HPU 및 HP 임신 (즉, 전자간증 여성)에 대한 분류 및 회귀 나무 (CART)의 예시이며, 여기서 분할수는 1이고, 종점 마디수는 2이다. 릴랙신 (Rlx)에서 특이도는 96%이나, 민감도는 37%이다. 이러한 분류 나무에서 사용된 데이터는 도 1에 나타낸다. 이는 임신에서 후에 전자간증의 발병의 높은 위험을 갖는 여성의 집단을 확인하기 위해 혈청 릴랙신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예측은 전자간증의 임상 증상의 출현보다 수개월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HPU 및 HP 임신 (즉, 전자간증 여성)에 대한 CART 분석을 나타내며, 여기서 분할수는 3이고, 종점 마디수는 4이다. 릴랙신 (Rlx) 및 C-반응성 단백질 (CRP)에서 특이도는 93%이나, 민감도는 릴랙신 (Rlx) 단독과 비교하여 83%로 개선되었다 (도 3 참조). CRP 측정의 추가는 릴랙신 (Rlx) 농도 단독의 결정에 의해 확인되지 않은 전자간증에 대한 소인이 있는 여성을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HPU, HU 또는 HP 임신 (즉, 전자간증 여성을 포함하는 고혈압 여성)에 대한 분류 나무를 나타내며, 여기서 분할수는 3이고, 종점 마디수는 4이다. 릴랙신 (Rlx) 및 C-반응성 단백질 (CRP) 측정에서 특이도는 63%이고, 민감도는 96%이다.
도 6은 HPU, HU 또는 HP 임신 (즉, 전자간증 여성을 포함하는 고혈압 여성)에 대한 분류 나무를 나타내며, 여기서 분할수는 5이고, 종점 마디수는 6이다. 릴랙신 (Rlx), C-반응성 단백질 (CRP) 및 크레아티닌 (CREAT) 측정에서 특이도는 92%이고, 민감도는 87%이다.
<상세한 설명>
포괄적 개관
한 측면에서, 본 개시는 임신한 인간 대상체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위험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은 제1 삼분기 동안 임신한 여성으로부터 수득된 생물학적 샘플 내 릴랙신 및 임의로 C-반응성 단백질 (CRP)의 수준의 측정을 사용한다. 여성이 임신 동안 병원에 입원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가 전자간증이기 때문에 전자간증은 보건 의료 체계에 대한 높은 비용과 관련된다. 전자간증 또는 그의 증상으로 입원한 임신한 여성에 대한 예후는 지금까지 참담하였으며, 이는 전자간증이 종종 모친 또는 태아 건강 문제 때문에, 특히 모친의 혈압이 140/90 mmHg 초과로 상승되는 경우에 제왕절개를 통해 임신의 조기 종결에 이르게 하기 때문이다. 오늘의 시점에서 임신 종결 이외에 전자간증을 위한 치유법은 없다. 이러한 문제를 덜어주기 위해, 본 개시는 전자간증의 발병의 우도 또는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시험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시험은 조기 임신 (예를 들어, 제1 삼분기)에 수행되므로, 전자간증이 완전히 발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여성을 모니터링하고 적합한 중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자간증의 증대된 위험의 조기 인식은 담당의가 임신한 환자의 상태를 개시로부터 안정화시키게 한다. 높은 혈압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치료요법 형태의 중재도 또한 모친 및 아이의 치사성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임신의 조기 종결의 위험을 추가로 감소시킨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임신한 여성에서 릴랙신 수준의 측정은 여성이 전자간증을 발병할 것인가를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낮은 수준의 릴랙신은 상기 상태의 고도로 특이적인 지표이다. 인간 대상체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릴랙신 (천연 릴랙신 및 내인성 릴랙신)은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H2 릴랙신을 지칭한다. 도 1 및 도 3은 임신한 여성에서 릴랙신 수준이 500 pg/ml 미만인 경우, 여성이 전자간증을 발병할 우도가 96 퍼센트만큼 높다는 것을 예시한다 (CART 분석에 대한 도 3 참조). 사실은, 도 1에서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확인된 전자간증 여성의 삼분의 일은 500 pg/ml 미만의 릴랙신 수준을 가졌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릴랙신 수준 이외에 천연 C-반응성 단백질 (CRP) 수준의 측정에 의해 시험은 훨씬 더 민감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는 CRP가 약 1.5 ㎍/ml 미만 또는 약 13.5 ㎍/ml 초과인 경우, 시험의 민감도는 83 퍼센트로 증가되었다는 것을 예시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제약 활성인 H2 릴랙신 또는 H2 릴랙신 효능제의 투여를 통해 전자간증의 발병을 예방하거나 또는 전자간증의 발병의 우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임신 동안 임신한 여성을 안정화시키고 전자간증이 발병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내인성 릴랙신 수준이 500 pg/ml 미만인 경우 외인성 H2 릴랙신이 임신한 여성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임신한 여성은 임신의 말단 부분에 걸쳐 (예를 들어, H2 측정후) 합성 또는 재조합 인간 릴랙신 또는 릴랙신 효능제의 제약 제제로 치료되며, 여기서 릴랙신은 주로 예방제로서 기능한다.
정의
용어 "내인성 릴랙신" 또는 "천연 릴랙신"은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당업계에 익히 공지된 천연 펩티드 호르몬 릴랙신을 지칭한다. 여성에서, 릴랙신은 난소의 황체, 유방에 의해, 및 임신 동안, 또한 태반, 융모막 및 탈락막에 의해 생성된다. 내인성 릴랙신 수준은 황체에 의한 그의 생성의 결과로서 배란 후 상승하고, 월경 주기의 중기 및 후기 황체기에 피크에 도달한다. 주기가 불임기에 있는 경우, 릴랙신 농도는 검출불가능한 정도로 감퇴된다. 그러나, 주기가 가임기에 있는 경우, 릴랙신 농도는 급속하게 증가하고 제1 삼분기에 피크에 도달한다. 그 후, 릴랙신 농도는 느린 감퇴를 개시하나, 임신 전반에 걸쳐 상승된 상태로 유지된다. 인간 대상체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릴랙신 (천연 릴랙신 및 내인성 릴랙신)은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H2 릴랙신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외인성 릴랙신"은 무손상 전장 인간 릴랙신 또는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한 릴랙신 분자의 부분을 포함하는 비내인성 인간 릴랙신을 의미한다. 용어 "외인성 릴랙신"은 인간 H1 프리프로릴랙신, 프로릴랙신 및 릴랙신; H2 프리프로릴랙신, 프로릴랙신 및 릴랙신; 및 H3 프리프로릴랙신, 프로릴랙신 및 릴랙신을 포함한다. 용어 "릴랙신"은 재조합, 합성 또는 천연 공급원으로부터의 생물학상 활성인 (또한 본원에서 "제약 활성인"이라고 지칭됨) 릴랙신, 뿐만 아니라 릴랙신 변이체, 예컨대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용어는 합성 인간 릴랙신 및 재조합 인간 릴랙신, 예를 들어 합성 H1, H2 및 H3 인간 릴랙신 및 재조합 H1, H2 및 H3 인간 릴랙신을 포함한다. 상기 용어는 릴랙신-유사 활성을 갖는 활성제, 예컨대 릴랙신 효능제, 릴랙신 모방체 및/또는 릴랙신 유사체 및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한 그의 부분, 예를 들어 릴랙신 수용체 (예를 들어, LGR7 수용체, LGR8 수용체, GPCR135, GPCR142 등)로부터 결합된 릴랙신을 경쟁적으로 대체하는 모든 작용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그러므로, 제약상 유효한 릴랙신 효능제 또는 모방체는 릴랙신 수용체에 결합하여 릴랙신-유사 반응을 발휘할 수 있는 릴랙신-유사 활성을 갖는 임의의 작용제이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인간 릴랙신의 핵산 서열은 반드시 인간 릴랙신 (예를 들어, H1, H2 및/또는 H3)의 핵산 서열과 100%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나, 인간 릴랙신의 핵산 서열과의 동일성이 적어도 약 40%, 50%, 60%,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또는 99%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릴랙신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예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759,807호, 뿐만 아니라 문헌 [Buellesbach et al. (1991)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6(17):10754-10761]에 예시되어 있다. 릴랙신 분자 및 유사체의 예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166,191호에 예시되어 있다.
천연 생물학상 활성인 릴랙신은 인간, 뮤린 (즉, 래트 또는 마우스), 돼지 또는 다른 포유동물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또한, 생체내 반감기를 증가시키도록 변형된 릴랙신, 예를 들어, PEG화된 릴랙신 (즉, 폴리에틸렌 글리콜에 접합된 릴랙신), 분해 효소에 의한 절단으로 처리된 릴랙신 내 아미노산의 변형 등이 포함된다. 상기 용어는 또한 N-말단 말단절단 및/또는 C-말단 말단절단을 갖는 A 쇄 및 B 쇄를 포함하는 릴랙신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H2 릴랙신에서, A 쇄는 A(1-24) 내지 A(10-24)로 다양할 수 있고, B 쇄는 B(1-33) 내지 B(10-22)로 다양할 수 있고; H1 릴랙신에서, A 쇄는 A(1-24) 내지 A(10-24)로 다양할 수 있고, B 쇄는 B(1-32) 내지 B(10-22)로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릴랙신, 프리프로릴랙신 및 프로릴랙신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다른 삽입, 치환 또는 결실, 글리코실화 변이체, 비글리코실화된 릴랙신, 유기 및 무기 염, 공유결합으로 변형된 유도체가 용어 "릴랙신"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또한, 미국 특허 제5,811,395호에 개시된 릴랙신 유사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야생형 (예를 들어, 천연) 서열과 상이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릴랙신 유사체가 상기 용어에 포함된다. 릴랙신 아미노산 잔기에 대한 가능한 변형에는 N-말단을 포함하는 유리 아미노 기의 아세틸화, 포르밀화 또는 유사한 보호, C-말단 기의 아미드화, 또는 히드록실 또는 카르복실산 기의 에스테르의 형성, 예를 들어, 포르밀 기의 첨가에 의한 B2에서 트립토판 (Trp) 잔기의 변형이 포함된다. 포르밀 기는 용이하게 제거가능한 보호기의 전형적인 예이다. 다른 가능한 변형에는 노르류신 (Nle), 발린 (Val), 알라닌 (Ala), 글리신 (Gly), 세린 (Ser) 또는 호모세린 (HomoSer)에 의한 B24에서 Met 잔기의 대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상이한 아미노산 (천연 아미노산의 D-형태 포함)에 의한 B 쇄 및/또는 A 쇄에서 천연 아미노산 중 하나 이상의 대체가 포함된다. 다른 가능한 변형에는 쇄로부터 천연 아미노산의 결실 또는 하나 이상의 여분의 아미노산의 쇄로의 첨가가 포함된다. 추가 변형에는 프로릴랙신의 B/C 및 C/A 접합점에서의 아미노산 치환 (상기 변형은 프로릴랙신으로부터 C 쇄의 절단을 촉진함); 및 비천연 C 펩티드를 포함하는 변이체 릴랙신,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759,80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변이체 릴랙신이 포함된다.
또한, 릴랙신 및 이종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융합 폴리펩티드가 용어 "릴랙신"에 포함된다. 이종 폴리펩티드 (예를 들어, 비-릴랙신 폴리펩티드) 융합 파트너는 융합 단백질의 릴랙신 부분에 대한 C-말단 또는 N-말단일 수 있다. 이종 폴리펩티드에는 면역학상 검출가능한 폴리펩티드 (예를 들어, "에피토프 태그"); 검출가능한 신호 (예를 들어, 녹색 형광 단백질, 효소, 예컨대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및 당업계에 공지된 기타 효소)를 생성할 수 있는 폴리펩티드;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성장 인자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치료성 폴리펩티드가 포함된다. 변이체에 이르게 하는 릴랙신 분자의 구조의 모든 이러한 변이 또는 변경은 릴랙신의 기능적 (생물학적) 활성이 유지되는 한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릴랙신 아미노산 서열 또는 구조의 임의의 변형은 릴랙신 변이체에 의해 치료될 개인에서 그의 면역원성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이다. 기재된 기능적 활성을 갖는 릴랙신의 변이체는 당업계에 공지된 시험관내 및 생체내 검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는 릴랙신 효능제의 투여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방법에서, 릴랙신 효능제는 RXFP1, RXFP2, RXFP3, RXFP4, FSHR (LGR1), LHCGR (LGR2), TSHR (LGR3), LGR4, LGR5, LGR6, LGR7 (RXFP1) 및 LGR8 (RXFP2)에 제한되지 않으나 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릴랙신-관련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GPCR)를 활성화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릴랙신 효능제는 콤푸겐(Compugen)의 제WO 2009/007848호 (릴랙신 효능제 서열의 교시내용에 대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의 화학식 I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릴랙신 효능제는 또한 코르테라(Corthera)의 국제 출원 제PCT/US2009/044251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출원은 서열 4-8의 릴랙신 효능제 서열의 교시내용에 대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개시는 또한 화학식 I 폴리펩티드의 상동체를 포함하며, 이러한 상동체는 디폴트 파라미터, 임의로 및 바람직하게는 하기를 포함하는 디폴트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미국립 생물공학 정보 센터 (National Center of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의 블라스트피(BlastP)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릴랙신 효능제의 아미노산 서열 (예를 들어, 코르테라의 제PCT/US2009/044251호의 서열 5 또는 서열 6)과의 동일성이 적어도 50%, 적어도 55%, 적어도 60%, 적어도 65%, 적어도 70%, 적어도 75%, 적어도 80%, 적어도 85%, 적어도 90%, 적어도 95% 또는 그 초과 즉 100%일 수 있다: 필터링 온 (이러한 옵션은 Seg (단백질)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의문으로부터 반복성 또는 저복잡성 서열을 필터링함), 점수화 매트릭스는 단백질에 대해 BLOSUM62이고, 워드 크기는 3이고, E 값은 10이고, 갭 비용은 11, 1 (초기화 및 (초기화 및 확장)이다. 임의로 및 바람직하게는, 핵산 서열 동일성/상동성은 디폴트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미국립 생물공학 정보 센터 (NCBI)의 블라스트엔(BlastN) 소프트웨어로 결정되며, 상기 디폴트 파라미터는 바람직하게는 DUST 필터 프로그램의 사용을 포함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10의 E 값의 소유, 낮은 복잡성 서열의 필터링 및 11의 워드 크기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본 개시는 또한 상기 기재된 폴리펩티드, 및 돌연변이, 예컨대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무작위로 또는 표적화 방식으로 인공적으로 유도된 또는 천연 아미노산)의 결실, 삽입 또는 치환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단편을 포함한다.
용어 "임신"은 임신의 9개월 (마지막 월경 기간으로부터 40주)을 지칭하며, 이는 전통적으로 3개의 삼분기, 즉, 태아 발생의 상이한 단계가 발생하는 대략 3개월의 독특한 기간으로 나뉜다. 제1 삼분기는 기본적 세포 분화의 시간이다. 이는 태아 이동의 모친의 첫 인지에 종료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신속화), 이는 통상적으로 대략 제3개월의 끝에 발생한다 (또는 임신령의 약 12주 내지 약 14주). 제2 삼분기는 신체 계의 급속 성장 및 성숙의 기간 (임신령의 약 15주 내지 약 28주)이다. 조산된 제2 삼분기 태아는 병원 간호에 따라 생존가능할 수 있다. 제3 삼분기는 태아 성장의 최종 단계를 나타내며, 여기서 계가 완성되고, 지방이 태아의 피부 아래에 축적되고, 태아가 출생을 위한 위치로 이동한다 (임신령의 약 29주 내지 약 42주). 이러한 삼분기는 출생 그 자체에 의해 종료된다.
용어 "약"은 언급된 값에 관련하여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값보다 10% 이하만큼 높거나 낮은 범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언급된 값의 90 내지 110%). 예를 들어, 약 30 mcg/kg/일의 정맥내 (IV) 주입 속도는 27 mcg/kg/일 내지 33 mcg/kg/일의 IV 주입 속도를 포함한다.
"치료 유효"는 환자의 기준선 상태 또는 비치료된 또는 플라시보-치료된 (예를 들어, 릴랙신으로 치료되지 않은) 대상체의 상태와 비교하여, 환자에게 측정가능한 원하는 의학적 또는 임상적 이익에 이르게 하는 제약 활성인 릴랙신의 양을 지칭한다.
전자간증
전자간증 (또는 전-자간증)은 저산소증이 되는 얕게 착상된 태반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며, 이는 혈관 내피에 대해 작용하는 태반으로부터의 상향조절된 염증성 매개인자의 분비를 특징으로 하는 면역 반응에 이르게 한다. 얕은 착상은 태반에 대한 모친 면역계의 반응으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이러한 이론은 태아 및 그의 태반으로부터 부계 항원에 대한 확립된 면역학적 허용성의 결핍을 제안하는 증거를 참조한다. 전자간증의 일부 경우에, 모친이 모친 면역 반응을 하향조절하도록 태반이 분비하는 단백질에 대한 수용체가 결핍된 것으로 생각된다 (문헌 [Moffett et al., Placenta Suppl. A:S51-6, 2007]). 그러나, 전자간증의 많은 경우에, 태반에 대한 모친 반응은 정상적 착상이 일어나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근본적인 상태, 예컨대 만성 고혈압 또는 자가면역 질병으로부터 유래된 더 높은 기준선 수준의 염증을 갖는 여성이 임신의 염증성 충격에 대한 더 적은 허용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간증이 왜 발생하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많은 이론이 시도되어 왔고, 내피 세포 손상, 태반의 면역 거부, 약화된 태반 관류, 혈관 반응성 변경, 프로스타사이클린과 트롬복산 간의 불균형, 염 및 물의 저류 동반 사구체 여과 속도 감소, 혈관내 부피 감소, 중추 신경계 자극성 증가, 파종성 혈관내 응고, 자궁 근육 신장 (허혈), 식이 인자, 예를 들어 비타민 결핍증 및 유전적 인자를 포함하는 상태의 존재와 상기 증후군을 연결시켰다.
전자간증의 이해는 2-단계 과정으로서, 태반에 저산소증의 소인을 제공하는 고도로 가변적인 제1 단계, 이어서 예를 들어, 내피 세포 손상, 혈관 반응성 변경, 사구체 내피증의 전형적 병변, 혈관내 부피 감소, 염증 등을 초래하는 가용성 인자의 방출이다. 몇몇 연구는 상태에 대한 소인이 있는 모친에서 내피 (혈관의 내층)에 대한 손상, 대사의 변경, 염증 및 다른 병리학적 반응을 초래하는 호르몬 또는 화학제의 방출을 초래하는 태반으로의 부적절한 혈액 공급의 견해를 지지한다 (문헌 [Drife and Magowan (eds). Clinical Obstetrics and Gynaecology, Chapter 39, pages 367-370]).
몇몇 연구는 부적절한 관류로부터 기인하는 저산소증이 sFlt-1, VEGF 및 PLGF 길항제를 상향조절하며, 이는 모친 내피의 손상 및 태반 성장의 제한을 초래한다고 제안한다 (문헌 [Maynard et al., J Clin Invest, 111(5):649-58, 2003]). 또한, 엔도글린, TGF-베타 길항제는 전자간증을 발병하는 임신한 여성에서 상승된다 (문헌 [Venkatesha et al., Nat Med, 12(6):642-649, 2006]). 가용성 엔도글린은 모친 면역계에 의해 생성된 세포-표면 엔도글린의 상향조절에 대해 반응하여 태반에 의해 상향조절될 가능성이 있으나, sEng가 모친 내피에 의해 생성될 잠재성이 또한 존재한다. sFlt-1 및 sEng 둘 모두의 수준은 질병의 경중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며, sEng의 수준은 HELLP 증후군 경우에 sFlt-1의 수준을 초과한다. HELLP 증후군은 용혈, 간 효소 상승 및 저혈소판증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간증의 중증 변종이다. sFlt-1 및 sEng 둘 모두는 모든 임신한 여성에서 어느 정도로 상향조절되며, 이는 임신에서 고혈압성 질병이 엉망이 되어 버린 정상적 임신 순응이라는 견해를 지지한다. 태반 세포영양막의 초기 모친 거부는 얕은 착상과 관련된 전자간증의 경우에 부적절하게 리모델링된 나선 동맥의 원인일 수 있으며, 이는 상향조절된 sFlt-1 및 sEng에 반응하여 하류 저산소증 및 모친 증상의 출현을 초래한다.
태아 세포, 예컨대 태아 적모세포, 뿐만 아니라 세포-비함유 태아 DNA가 전자간증을 발병하는 여성에서 모친 순환에서 증가된다는 것이 또한 문서로 입증되었다. 이들 발견은 전자간증이, 태반 병변, 예컨대 저산소증 병변이 증가된 태아 물질이 모친 순환으로 진입하게 하여 면역 반응 및 내피 손상을 초래하며 궁극적으로 전자간증 및 자간증을 초래하게 하는 질병 과정이라는 가설에 이르게 하였다.
통계는 전자간증 및 관련 임신 질환, 예컨대 자간증 및 임신의 고혈압성 질환이 전세계적으로 모친 사망, 뿐만 아니라 유아의 사망 및 병의 대부분의 원인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대략 76,000명의 여성이 매년 이들 질환으로 인해 사망한다. 전자간증은 일부 여성들이 증상을 전혀 경험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위험하다. 이 때문에 개선된 스크리닝 및 예측이 이러한 상태의 진단에 필요하다. 여성이 전자간증 또는 고혈압성 임신으로 진단된 후, 상기 여성은 메틸도파, 히드랄라진, 라베탈롤, 니페디핀, 황산마그네슘, 베타메타손 및 덱사메타손을 포함하는 약물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투여받을 수 있다.
예방학적 전략, 예컨대 칼슘, 아스피린 및 항산화제 (예를 들어, 비타민 C 및 E)는 충분히 성공적이 아니었다. 일부 경우에, 메타 분석 (PARIS 협력)에 기초하여 아스피린에 의한 전자간증의 위험의 작은 감소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치유는 아니다. 혈압의 엄격한 제어는 심각한 모친 이환율, 예컨대 졸중을 방지할 수 있으나, 또한 질병을 완전히 치료하지 않는다.
릴랙신
내인성 또는 천연 릴랙신은 인슐린과 크기 및 형상이 유사한 펩티드 호르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릴랙신은 인슐린 유전자 거대족에 속한 내분비 및 자가분비/측분비 호르몬이다. 코딩된 단백질의 활성 형태는 이황화 결합 (쇄간 2개 및 쇄내 1개)에 의해 함께 유지되는 A 쇄 및 B 쇄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구조는 이황화 결합의 배치의 면에서 인슐린과 밀접하게 닮았다. 인간에서, 3종의 공지된 비대립형질 릴랙신 유전자, 릴랙신-1 (RLN-1 또는 H1), 릴랙신-2 (RLN-2 또는 H2) 및 릴랙신-3 (RLN-3 또는 H3)이 존재한다. H1 및 H2는 높은 서열 상동성을 공유한다. 이러한 유전자에 대해 기재된 상이한 이소형을 코딩하는 2종의 별법으로 스플라이싱된 전사체 변이체가 존재한다. H1 및 H2는 생식 기관에서 차별적으로 발현되나 (미국 특허 제5,023,321호; 및 문헌 [Garibay-Tupas et al., Molecular and Cellular Endocrinology 219:115-125, 2004] 참조), H3은 뇌에서 주로 발견된다. 릴랙신 펩티드 족 및 그의 수용체의 진화는 당업계에 기재되어 있다 (문헌 [Wilkinson et al., BMC Evolutionary Biology 5(14):1-17, 2005]; 및 [Wilkinson and Bathgate, Chapter 1, Relaxin and Related Peptides, Landes Bioscience and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7] 참조).
릴랙신은 특정 릴랙신 수용체, 즉, LGR7 (RXFP1) 및 LGR8 (RXFP2) 뿐만 아니라 GPCR135 및 GPCR142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LGR7 및 LGR8은 류신-풍부 반복부-함유 G 단백질-커플링된 수용체 (LGR)이며, 이는 G 단백질-커플링된 수용체의 독특한 하위군을 대표한다. 이는 당단백질호르몬에 대한 수용체, 예컨대 LH-수용체 또는 FSH-수용체와 먼 관계의 큰 글리코실화된 엑토도메인 및 헵타헬릭스 막횡단 도메인을 함유한다. 이들 릴랙신 수용체는 심장, 평활근, 결합 조직, 및 중추 신경계 및 자율 신경계에서 발견된다. 강력한 릴랙신, 예컨대 H1, H2, 돼지 및 고래 릴랙신은 특정 서열을 공동으로 보유한다. 보존된 H1 및 H2 서열로부터 벗어난 릴랙신, 예컨대 래트, 상어, 개 및 말 릴랙신은 LGR7 및 LGR8 수용체를 통한 생물활성의 감소를 나타낸다 (문헌 [Bathgate et al., Ann NY Acad Sci, 1041:61-76, 2005; Receptors for Relaxin Family Peptides]). 그러나, H2 릴랙신과 유사하게 H3 릴랙신은 LGR7 수용체를 활성화시킨다 (문헌 [Satoko et al., J Biol Chem, 278(10):7855-7862, 2003]). 또한, H3은 GPCR135 수용체 (문헌 [Van der Westhuizen, Ann NY Acad Sci, 1041:332-337, 2005]) 및 GPCR142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GPCR135 및 GPCR142는 2종의 구조적으로 관련된 G-단백질-커플링된 수용체이다. 마우스 및 래트 GPCR135는 인간 GPCR135에 대한 높은 상동성 (즉, 85% 초과)을 나타내고, 인간 GPCR135와 매우 유사한 약리학적 특성을 갖는다. 인간 및 마우스, 뿐만 아니라 래트 릴랙신-3은 높은 친화도로 마우스, 래트 및 인간 GPCR135에 결합하고 이를 활성화시킨다. 대조적으로, 마우스 GPCR142는 인간 GPCR142와 덜 잘 보존된다 (즉, 74% 상동성). 원숭이, 소 및 돼지로부터의 GPCR142 유전자는 클로닝되었고, 인간 GPCR142와 높은 상동성 (즉, 84% 초과)을 나타내었다. 상이한 종으로부터의 GPCR142의 약리학적 특징은 릴랙신-3이 상이한 종으로부터의 GPCR142에 높은 친화도로 결합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문헌 [Chen et al.,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312(1):83-95, 2005]).
릴랙신 및 임신
릴랙신의 특징적 기능은 여성 생식 수관 생리와 관련되며, 이는 임신 동안 자궁경부 및 질의 세포외 매트릭스의 리모델링 및 만기에 태아막의 파열에 관여되는 생화학 과정의 조절을 포함한다. 이들 변형은 자손이 산도를 통해 이동할 수 있게 하고, 난산 (즉, 분만 동안 태아의 하강 또는 자궁 경부의 확장 또는 둘 모두의 유의한 저속화 또는 정지)을 방지한다. 또한, 릴랙신은 자궁 및 태반 성장을 촉진하고, 혈관 발달 및 자궁내막의 증식에 영향을 미친다 (문헌 [Parry et al., Adv Exp Med Biol, 612:34-48, 2007]).
인간에서, 순환에서 발견되는 릴랙신은 임신한 여성 및 임신하지 않은 여성 둘 모두에서 난소의 황체에 의해 주로 생성된다. 이는 배란의 대략 14일 내에 피크로 상승한 후, 임신의 부재시 감퇴하여 월경을 초래한다. 임신의 제1 삼분기 동안 혈청 수준은 상승한다. 또한, 릴랙신은 탈락막 및 영양막에 의해 생성되나, 이러한 릴랙신은 순환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릴랙신의 피크는 제1 삼분기의 14주 동안 도달된다. 릴랙신은 임신 동안 생식 조직 및 여러 다른 조직의 성장 및 리모델링에 중요하다. 상기 주목된 바와 같이, 릴랙신의 작용은 릴랙신 수용체를 통해 매개된다.
전자간증 모친에서 출생한 아이는 종종 낮은 출생 체중을 갖고, 살면서 후에 후속적 심혈관 상태에 대한 더 큰 위험에 있다. 낮은 출생 체중을 갖는 아기를 분만한 모친은 허혈성 심장병 및 사망에 대한 더 큰 위험에 있다. 구체적으로, 조기에 작은 유아를 분만한 전자간증 여성은 대조 여성보다 10배 더 높은 허혈성 심장병 또는 사망으로 인한 병원 입원율을 갖는다. 심혈관 위험이 전자간증을 앓지 않는 여성과 비교하여 전자간증을 갖는 여성에서 증가된다는 매우 유력한 증거가 있다. 사실은, 임신의 임의의 고혈압성 질환은 후에 고혈압 및 졸중에 대한 위험을 증가시킨다. 분만후 2개월 내지 4개월에, 전자간증 여성의 삼분의 이가 여전히 미세알부민뇨 (즉, 소량의 단백질, 예를 들어, 알부민의 소변으로의 누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폐경후 여성에서, 미세알부민뇨는 실질적인 심혈관 위험 인자이다. 또한, 전자간증은 인슐린 내성 및 호모시스테인 수준 상승과 관련되며, 이는 여성에서 장기간 위험을 나타낸다 (문헌 [Davison et al., J Am Soc Nephrol, 15:2440-2448, 2004]).
정상적 임신 동안, 사구체 여과 속도 (GFR) 및 신혈장류량은 각각 40 내지 65 퍼센트 및 50 내지 85 퍼센트만큼 증가한다. 현저하게, 릴랙신은 임신 동안 신장 혈관확장을 매개한다. 릴랙신은 혈관 젤라티나제 활성을 증가시켜, 이에 의해 큰 ET를 ET1 -32로 전환시키며, 이는 신장 혈관확장, 과여과, 및 내피 ETB 수용체 및 일산화질소를 통한 작은 신장 동맥의 근원성 반응성 감소를 유발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문헌 [Jeyabalan et al., Frontiers in Bioscience 12:2425-2437, 2007]).
요산은 퓨린 대사의 최종 생성물이다. 퓨린은 신체에 의해 자연적으로 생성되고, 또한 식이로부터 유래된다. 인간에서, 대부분의 순환하는 요산은 간에 의해 생성되고, 약 66 퍼센트는 신장에 의해 배설되나, 약 33 퍼센트는 위장관에 의해 배설된다. 요산의 혈청 농도는 통상적으로 GFR 증가, 근위 세뇨관 재흡수 감소 및 사구체 여과기의 정전하의 가능한 변경의 결과로서 정상적 임신 동안 강하한다. 전자간증에서 태반으로부터 나오는 항혈관형성 인자가 질병 동안 사구체 내피증 (즉, 전자간증의 신장 조직학적 병변 특징), 단백뇨 및 고혈압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전자간증을 갖는 대부분의 여성에서, 신혈장류량 및 사구체 여과 속도는 수입 세동맥 저항 증가 및/또는 한외여과 계수 감소의 결과로서 약간 감소된다. 이러한 혈청 요산 농도는 주로 신청소율 감소 때문에 증가된다. GFR 감소는 요산의 여과 하중 감소를 초래한다. 또한, 혈장 부피 수축은 나트륨에 커플링된 근위 세뇨관 재흡수 증가에 기여한다. 전자간증에서 신장 단백질 배설의 증가는 사구체 여과기의 크기 및/또는 전하 선택성의 변경, 사구체 모세혈관압의 가능한 증가 및 근위 세뇨관 재흡수의 약화에 대해 이차적으로 발생한다 (문헌 [Jeyabalan et al., supra] 참조).
정상적 인간 임신 동안, 총 단백질, 알부민, 저분자량 단백질 및 신세뇨관 효소의 신장 배설이 증가한다. 전자간증 임신에서 신장 기능이 감소된다. 몇몇 연구에 따라, GFR 및 유효 신혈장류량 (ERPF)은 각각 32 퍼센트 및 24 퍼센트만큼 감소된다 (문헌 [Jeyabalan et al., supra] 참조). 전자간증에서 신장 순환의 약화에 원인인 정확한 메커니즘은 여전히 알려지지 않았다. ERPF 감소는 높은 신장 혈관 저항으로 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신장 수입 (사구체전 세동맥) 저항 상승은 총 신장 혈관 저항 증가에 대한 주요 기여인자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간증에서 수입 세동맥 긴장 증가는 사구체를 높은 전신 동맥압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감소된 ERPF, 한외여과 계수 또는 둘 모두는 전자간증에서 GFR 감소에 대한 가능한 메커니즘일 수 있다 (문헌 [Jeyabalan et al., supra] 참조).
이론에 얽매이는 것을 원하지 않지만, 릴랙신 작용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은 혈관확장 및 혈관형성의 자극에 기초하여 광범위하게 생각된다. 첫째, 릴랙신은 자궁에서 혈관형성을 자극하여 태아 및 모친 혈관의 더 양호한 연결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즉, 모친 나선 동맥의 개수를 증가시키고/거나, 모친 나선 동맥을 변형시키고/거나 모친 나선 동맥의 영양막 침입을 촉진함). 혈관형성 및 혈관확장의 증가는 전자간증의 발병기전, 즉, 모친으로부터 아이로의 불충분한 혈액 공급 및 태반 및 모친 기관 관류 감소를 표적으로 한다. 릴랙신이 임신한 여성에게 투여되는 경우, 릴랙신은 자궁 및 태반 내 수용체에 결합하고, VEGF 생성을 자극한다. 다음에는, VEGF가 내피 세포에 결합하여 혈관형성을 자극한다. 이는 모친과 아이 간의 더 양호한 혈액 공급을 제공한다. 둘째, 릴랙신은 강력한 혈관확장제이며, 그러므로 자궁태반 및 모친 전신 기관 관류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상기 관류 둘 모두는 전자간증을 갖는 여성에서 감소된다. 릴랙신은 일산화질소 신타제 경로를 통해 작동하며, 이에 의해 인간에서 일산화질소 NO를 자극하여 혈관확장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임신 동안 릴랙신의 투여는 전자간증의 가장 해로운 증상 중 하나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즉, 140/90 mmHg 수준 이상의 높은 혈압). 셋째, 사구체 여과 속도 (GFR) 및 신혈장류량 (RPF)은 임신의 심각한 고혈압성 합병증인 전자간증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릴랙신의 투여는 또한 임신한 여성에서 신혈액류량을 증가시켜, 이에 의해 전자간증의 위험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릴랙신은 잠재적 항염증 효과를 갖는다.
C-반응성 단백질 (CRP) 및 임신
CRP는 체내에서 염증에 반응하여 간에 의해 생성되는 혈장 단백질을 지칭한다. 염증은 손상, 감염 또는 상태, 예컨대 높은 혈압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CRP는 선천적 면역계의 부분 및 만성 전신성 염증의 마커인 것으로 간주된다. CRP는 또한 심혈관 사건의 독립 예측변수이다. 단지 알부민 합성이 순환에서 증가하는 IL-6 및 다른 사이토카인으로 인해 감소되는 것처럼 CRP가 급성기 반응물로서 정상적 임신에서 증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현저하게, IL-1 및 IL-6 수준은 전자간증에서 더 높으며, 이는 CRP 수준이 또한 전자간증에서 더 높은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발견은 정상적 임신의 염증성 반응과 일치하며, 이는 전자간증 동안 악화된다. 그러므로, 혈청 릴랙신 수준 이외에 혈청 CRP 수준에 대해 임신한 여성을 시험하는 것은 이들 여성이 전자간증을 발병할 가능성이 얼마인가에 대한 추가 통찰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인자로서 CRP의 사용에 의해, 본원에 기재된 H2 릴랙신 시험의 민감도가 증가된다.
혈청 CRP는 또한 자간증의 병력 (예를 들어, 전자간증 임신 동안 발작)을 갖는 여성에서 상승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사실은, 전자간증 또는 자간증의 병력을 갖는 여성은 불명확한 상태로 남아 있는 이유(들)로 임신후 심혈관계 질병에 대한 증가된 위험에 있다. 염증, 이상지혈증 및 인슐린 내성이 전자간증의 더 높은 위험과 관련되고, CRP가 상승시 염증 및 심혈관 위험의 지표인 것으로 여겨진다 (문헌 [Hubel et al., Hypertension 51:1499-1505, 2008]).
낮은 릴랙신 수준은 전자간증을 예측함
실험 실시예에 개시된 연구 동안 임신한 여성으로부터 수득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CART (분류 및 회귀 나무)를 사용하였다. 전자간증 예측을 위해 사용된 파라미터는 릴랙신, 및 임의로, C-반응성 단백질 (CRP)이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임신 동안 임신령을 3개의 기간, 즉, 0-15주 (제1 삼분기), 15-25주 (제2 삼분기) 및 25-35주 (제3 삼분기)로 나누었다. 질병이 완전히 발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치료를 개시하기 위해 가능한 한 조기에 전자간증의 마커에 대해 임신한 여성을 시험하는 것이 유익하다. 그러므로, 제1 삼분기에 여성을 시험하는 것이 임신의 제2 삼분기 또는 제3 삼분기 동안 여성을 시험하는 것보다 바람직하다. 시험이 더 조기에 가능하지 않은 경우, 임신의 제2 삼분기 및/또는 제3 삼분기에 여성을 시험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CART는 종속 변수가 범주형 변수 또는 수치적 변수인가에 따라 각각 분류 또는 회귀 나무를 생성하는 비파라미터적 기술이다. 상기 나무는 모델링 데이터 세트에서 특정 변수의 값에 기초한 규칙 수집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규칙은 변수들의 값에 기초한 분할이 얼마나 잘 종속 변수에 기초한 관찰을 식별할 수 있는가를 기초로 하여 선택된다. 규칙이 선택되고 마디를 둘로 분할하는 경우, 동일한 논리가 각각의 아이 마디에 적용된다 (즉, 이는 되풀이 절차임). 분할 정지는 CART가 추가 획득을 검출하지 않거나, 또는 일부 예비설정 정지 규칙이 충족되는 경우 수행될 수 있다. 나무의 각 분지는 종점 마디에서 종료한다. 각각의 관측은 1 및 정확하게 1개의 종점 마디에 포함되고, 각각의 종점 마디는 규칙 세트에 의해 고유하게 정의된다.
전자간증은 일반적으로 증상, 예컨대 고혈압 및 단백뇨에 의해 정의된다. 일부 임신한 여성은 또한 상승된 요산을 앓는다. 그러므로, 전자간증 여성은 2개의 군, 즉 고혈압 및 단백뇨 (HP)을 나타내는 군 및 고혈압, 단백뇨 및 요산 (HPU)을 나타내는 군에 속한다. 현저하게, 임신한 여성이 단백뇨의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예컨대 고혈압 및 상승된 요산 (HU)을 나타내는 경우 임신한 여성은 전자간증이 아닌 고혈압성 임신을 갖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간주된다. 본원에서 논의된 CART 분석의 목적을 위해, 하기 군은 표 1에 정의되어 있다.
Figure pct00001
도 3의 분류 나무에 관하여, 분할수는 1이고, 종점 마디수는 2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단 박스는 전자간증 (점선)으로 분류된 35명의 대상체 및 정상 (실선)으로 분류된 24명의 대상체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59명의 총 연구 대상체 중에서, 14명의 대상체는 476.7 pg/ml 미만의 H2 릴랙신 수준을 가졌고, 45명의 대상체는 476.7 pg/ml 초과의 H2 릴랙신 수준을 가졌다. 특정 릴랙신 시험이 어떤 것인가를 추가로 결정하기 위해, 전자간증 대상체 및 정상적 대상체는 2개의 군으로 분할되며, 좌측의 1개의 박스는 476.7 pg/ml 릴랙신 미만의 대상체를 나타내고, 우측의 1개의 박스는 476.7 pg/ml 릴랙신 초과의 대상체를 나타낸다. 좌측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476.7 pg/ml 릴랙신 미만의 릴랙신 수준을 갖는 대상체 중에서, 13명의 개인은 전자간증을 발병하였으나, 오직 1명의 개인이 정상적 임신을 가졌으며, 이는 이 시험을 고도로 특이적으로 만들었다 (더 상세한 분석에 대해 실시예 2 참조).
호주 출신의 임신한 여성의 더 적은 잘-한정된 집단으로부터 수득된 샘플을 사용하여 별개의 더 작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2 연구에서, 오직 2개의 샘플이 500 pg/ml 미만의 릴랙신을 함유하였고, 이들 2개의 샘플 중 오직 1개의 샘플만이 전자간증 대상체로부터 수득되었다. 이는 북미 (예를 들어, 미국 펜실베니아주 피츠버그) 출신의 임신한 여성으로부터의 한정된 임신령에서 취한 샘플을 사용하여 수득된 제1 더 큰 연구와 상이하다. 두 연구 간의 의심되는 샘플링 차이 이외에, 호주인 연구 집단은 동질의 백인 집단인 것으로 추정되는 반면, 북미인 연구 집단의 대상체 중 30% 초과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이었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혈액 샘플은 임신의 제1 삼분기 동안 임신한 여성으로부터 수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임신한 여성은 북미인이다. 이들 실시양태의 부분집합에서, 북미인 대상체는 미국 및/또는 캐나다 출신이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연구 대상체는 아프리카계 혈통의 대상체이다.
릴랙신의 투여는 전자간증의 발병을 예방함
전자간증은 위험한 상태이고, 임신, 분만 및 출산후 6주 이하 동안 임의의 시간에 나타날 수 있으나, 최종 삼분기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고, 임신의 제20주 내지 제35주까지 아주 자주 발생하지 않는다. 전자간증은 점차 발병하거나 상당히 갑작스럽게 시작될 수 있으며, 심지어 수시간에 급증할 수 있으나, 징후 및 증상이 수개월 동안 인지되지 않을 수 있다. 전자간증이 일상적인 혈압 체크 및/또는 소변 검사 동안 예상외로 나타나는 무증상이고 아기가 거의 만기 (36주 후)인 경우, 출산을 유도하고, 아이를 분만시키고 모친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한다. 전자간증이 임신에서 더 일찍 발생하는 경우, 그의 충격은 훨씬 더 크다. 예를 들어, 모친의 혈압을 제어하에 유지하기 위해 침상 안정, 약물 투약 및 심지어 입원이 처방될 수 있다. 아기를 위한 최선은 가능한 한 오래 자궁내에서 유지시키는 것이다. 불행하게도, 전자간증을 위한 유일한 치유는 아기의 분만이고, 모친을 위한 최선은 만기 전에 아기를 분만하는 것일 수 있다. 의사는 항고혈압 약물, 예컨대 베타-차단제, 칼슘 채널 차단제, 히드랄라진, 알파-메틸도파, 클로니딘, 및 드물게는 라식스 또는 이뇨제 (이뇨약)를 처방할 수 있으나, 후자는 일반적으로 권할만하지 않다. 혈압이 약물 투약 및 치료로 관리될 수 없고, 모친 및/또는 유아의 건강이 위험에 있는 경우, 생존가능한 아기를 정상보다 일찍 출산할 수 있도록 유아의 폐의 성숙을 돕는 스테로이드를 모친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을 발병할 우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단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전자간증에 대한 소인이 있는 임신한 여성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약 500 pg/ml 미만의 H2 릴랙신의 수준이 임신의 제1 삼분기 동안 수득된 혈액 샘플로부터의 혈장 또는 혈청에서 측정되는 경우, 임신의 제1 삼분기 및/또는 제2 삼분기에 임신한 여성에게 H2 릴랙신을 투여함으로써, 전자간증의 위험을 감소시키거나 전자간증을 예방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H2 릴랙신은 바람직하게는 낮은 릴랙신 수준 (예를 들어, 500 pg/ml 미만)이 검출되자 마자 임신한 여성에게 예방학상 투여된다. 그러나, 전자간증은 임신의 제20주 내지 제35주까지 종종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릴랙신이 증상의 출현전 임신 동안 나중에 투여되는 경우, 이는 완전히 발달된 전자간증의 우도를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여전히 유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실시양태에서, 릴랙신은 합성 인간 릴랙신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릴랙신은 재조합 인간 릴랙신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릴랙신은 릴랙신 효능제 또는 릴랙신 모방체이다. 릴랙신이 투여되는 경우, 이는 바람직하게는 H2 릴랙신이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릴랙신은 H2 릴랙신의 A 쇄 또는 B 쇄 및 H1 또는 H2 릴랙신의 A 쇄 또는 B 쇄를 포함하는 키메라 릴랙신이고, 합성 인간 릴랙신 및 키메라는 씨비엘 바이오파마 (CBL Biopharma; 미국 콜로라도주 볼더)로부터 이용가능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릴랙신은 H2 릴랙신 효능제, 예컨대 콤푸겐 (이스라엘 텔아비브)에 의해 생성된 H2 릴랙신 효능제이다. 다른 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릴랙신은 H1 인간 릴랙신 또는 H3 인간 릴랙신이다. 릴랙신은 결핍증이 결정되면 1일당 약 10 ㎍/대상체 체중 kg 내지 약 100 ㎍/대상체 체중 kg의 양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릴랙신은 임신 전반에 걸쳐 또는 임신의 부분에 걸쳐 1일당 약 30 ㎍/대상체 체중 kg의 양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이와 같이, 릴랙신은 예를 들어, 임신 전반에 걸쳐 약 10 ng/ml의 릴랙신의 혈청 농도를 유지하도록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릴랙신의 제약 제제는 피하로 (SQ)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릴랙신을 임신한 인간 여성에게 투여하는 것의 유익한 효과는 혈관형성 및 혈관확장 둘 모두를 자극하는 수용체-특이적 작용제로서 작용하는 릴랙신의 직접적 결과인 것으로 여겨진다. 혈관형성의 증가는 전자간증에 대한 원인, 즉, 궁극적으로 모친에서 위험하게 높은 혈압을 초래하는 모친으로부터 아이로의 불충분한 혈액 공급을 표적으로 한다. 혈관확장의 증가는 혈압의 감소, 뿐만 아니라 전자간증의 증상을 추가로 감소시키는 신장에서의 신혈액류량의 증가를 추가로 돕는다. 그러므로, 임신한 인간 여성이 특이적 릴랙신 수용체 (예를 들어, LRG7, LGR8, GPCR135, GPCR142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제약상 유효한 릴랙신 효능제 또는 제약 활성인 릴랙신을 갖는 제약 조성물을 투여받는 경우, 결과는 전자간증의 완화 또는 예방이다.
풍부화된 인간 집단
조기 검출의 한 가지 장점은 리서치 연구 및/또는 임상 연구를 위해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더 많은 여성의 군을 풍부화하고 예방학적 조치의 시험을 촉진하는 것이다. 본 개시는 전자간증 및 질병 진행 및 이를 박멸하는 방법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임상 연구 및/또는 리서치 연구를 위한 환자의 풍부화된 집단의 선택을 포함하는 신규 스크리닝 방법을 허용한다. 풍부화된 여성 집단은 과학적으로 및/또는 임상적으로 관련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훨씬 더 적은 환자가 필요한, 낮은 릴랙신 수준에 대한 시험을 통해 정의될 수 있다. 임신의 제1 삼분기 또는 제2 삼분기에 또는 전자간증 증상의 출현전 임신한 여성은 혈류 내 릴랙신 수준에 대해 시험될 수 있으며, 약 500 pg/ml 미만의 릴랙신 수준을 갖는 여성이 풍부화된 환자 집단을 위해 선택된다. 이러한 가치있는 선택 과정이 없다면, 새로운 약물 또는 작용제가 전자간증에 대한 효과를 갖는가를 결정하기 위해 수백명의 여성의 스크리닝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는 풍부화된 집단으로부터 전자간증의 발병의 더 높은 우도를 갖는 임신한 여성을 선택하고, 이들 여성을 신규 작용제의 유효성에 대해 시험하는 것을 포함하는, 임상 연구 및/또는 리서치 연구 동안 전자간증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신규 작용제를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풍부화된 집단은 약 500 pg/ml 미만인 혈류 내 릴랙신 수준을 갖는, 임신의 제1 삼분기 및 제2 삼분기 또는 전자간증 증상의 출현전 여성을 포함한다.
릴랙신 조성물 및 제제
릴랙신, 릴랙신 효능제, 릴랙신 모방체 및/또는 릴랙신 유사체는 본 개시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약제로서 제제화된다. 릴랙신 수용체에 생물학상 또는 제약 활성인 릴랙신 (예를 들어, 합성 릴랙신, 재조합 릴랙신) 또는 릴랙신 효능제 (예를 들어, 릴랙신 유사체 또는 릴랙신-유사 조정제 또는 릴랙신 모방체)의 결합과 관련된 생물학적 반응을 자극할 수 있는 임의의 조성물 또는 화합물이 본 개시에서 약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 및 투여를 위한 기술에 대한 전반적 세부사항은 과학 문헌에 잘 기재되어 있다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참조). 제약 활성인 릴랙신을 함유하는 제약 제제는 약제의 제조를 위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제약 활성인 릴랙신 또는 릴랙신 효능제를 함유하는 제제는 피하로 (SQ), 근육내로, 정맥내로, 설하로, 국소로, 경구로 및 흡입을 통한 것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편의상 허용되는 방법으로 투여하기 위해 제제화될 수 있다. 예시적인 예는 하기 기재되어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릴랙신은 피하로 (SQ) 투여된다.
약물이 피하로 (SQ) 전달되는 경우, 제약 활성인 릴랙신 또는 제약상 유효한 릴랙신 효능제를 함유하는 제제는 멸균 주사가능한 제제, 예컨대 멸균 주사가능한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랙신은 이것이 매우 가용성이고 안정한 pH 5.0의 아세트산나트륨에서 희석될 수 있다. 환자는 필요에 따라 연속적 주입을 통해 릴랙신 조성물로 치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랙신 주입 펌프는 캐뉼라를 통해 피하로 적용되는 바늘로 릴랙신을 전달하고, 펌프는 환자의 옷 아래 벨트 상에 착용될 수 있다. 릴랙신은 또한 환자가 전자간증의 증상에 대해 모니터링되는 동안 적시 릴랙신 주사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용량은 개별 환자 기준으로 조절될 수 있다.
릴랙신 현탁액은 상기 언급된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제화될 수 있다. 멸균 주사가능한 제제는 또한 무독성 비경구로-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 중 멸균 주사가능한 용액 또는 현탁액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허용되는 비히클 및 용매는 특히 물 및 링거액, 등장성 염화나트륨이다. 또한, 멸균 지방유가 편의상 용매 또는 현탁화 매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글리세리드 또는 디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완하성 지방유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예컨대 올레산이 마찬가지로 주사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수성 현탁액은 수성 현탁액의 제조에 적합한 부형제와 부가혼합물로 릴랙신을 함유한다. 이러한 부형제에는 현탁화제, 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알긴산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트라가칸트 검 및 아카시아 검, 및 분산제 또는 습윤제, 예컨대 천연 포스파티드 (예를 들어, 레시틴), 지방산과 알킬렌 옥시드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장쇄 지방족 알콜과 에틸렌 옥시드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어, 헵타데카에틸렌 옥시세탄올), 지방산 및 헥시톨로부터 유래된 부분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시드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모노올레에이트), 또는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래된 부분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시드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이 포함된다. 수성 현탁액은 또한 하나 이상의 보존제, 예컨대 에틸 또는 n-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하나 이상의 착색제, 하나 이상의 향미제 및 하나 이상의 감미제, 예컨대 수크로스, 아스파르탐 또는 사카린을 함유할 수 있다. 제제는 삼투압농도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오일 현탁액은 식물성유, 예컨대 낙화생유, 올리브유, 참기름 또는 코코넛유에서 또는 광유, 예컨대 액체 파라핀에서 릴랙신을 현탁함으로써 제제화될 수 있다. 오일 현탁액은 증점제, 예컨대 밀랍, 경질 파라핀 또는 세틸 알콜을 함유할 수 있다. 감미제가 맛좋은 경구 제제를 제공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이들 제제는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의 첨가에 의해 보존될 수 있다.
물의 첨가에 의한 수성 현탁액의 제조에 적합한 본 개시의 분산성 분말 및 과립은 분산제, 현탁화제 및/또는 습윤제 및 하나 이상의 보존제와 부가혼합물로 릴랙신으로부터 제제화될 수 있다.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는 상기 개시된 것에 의해 예시된다. 추가 부형제, 예를 들어 감미제, 향미제 및 착색제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약 제제는 또한 수중유 에멀젼의 형태일 수 있다. 오일상은 식물성유, 예컨대 올리브유 또는 낙화생유, 광유, 예컨대 액체 파라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합한 유화제에는 천연 검, 예컨대 아카시아 검 및 트라가칸트 검, 천연 포스파티드, 예컨대 대두 레시틴,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래된 에스테르 또는 부분 에스테르, 예컨대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및 에틸렌 옥시드와 이들 부분 에스테르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가 포함된다. 에멀젼은 또한 감미제 및 향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시럽 및 엘릭시르는 감미제, 예컨대 글리세롤, 소르비톨 또는 수크로스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제제는 또한 점활제, 보존제, 감미제 또는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다.
릴랙신 제제의 투여 및 투여 처방계획
본 개시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제약 활성인 H2 릴랙신 또는 제약상 유효한 H2 릴랙신 키메라, 효능제 또는 모방체를 함유하는 제제는 피하로, 근육내로, 정맥내로, 설하로, 국소로, 경구로 및 흡입을 통한 것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편의상 허용되는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약물의 약동학 및 기타 특성 및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포괄적 지침은 하기 제공된다.
본 개시의 방법은 임신한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의 우도를 감소시킨다. 이를 달성하기에 적절한 릴랙신 단독의 양 또는 또 다른 작용제 또는 약물과 조합된 양이 치료 유효 용량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용도에 효과적인 투여량 스케쥴 및 양, 즉, "투여 처방계획"은 환자의 건강의 전반적 상태, 환자의 신체 상태, 임신 유형 (예를 들어, 단일 대 다태 임신), 연령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에 좌우될 것이다. 환자를 위한 투여량 처방계획의 계산에서, 투여 방식이 또한 고려된다. 투여량 처방계획은 또한 약동학, 즉, 흡수 속도, 생체이용율, 대사, 청소율 등을 고려해야 한다. 상기 원리에 기초하여, 릴랙신은 임신한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또한 릴랙신 또는 릴랙신 효능제 또는 모방체, 및 임의로, 동시 투여, 개별 투여 또는 순차적 투여를 위한 또 다른 약물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는 릴랙신, 및 임의로, 필요하다면 치료요법에서 조합 사용을 위한 고혈압 약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예에서, 본 개시는 릴랙신, 및 임의로, 조합 요법에서 발작 예방을 위한 MgSO4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또한 임신한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발병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릴랙신의 용도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의약은 임신 동안 투여하기 위해 제조된다. 본 개시는 전자간증의 발병의 우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릴랙신 또는 릴랙신 유사체 또는 모방체를 추가로 제공하며, 여기서 릴랙신은 임신한 여성에게 투여하기 위해 제조된다.
당분야의 상태는 임상의가 각각의 개별 임신한 여성을 위한 릴랙신의 투여량 처방계획을 결정하게 한다. 예시적인 예로서, 릴랙신에 대해 하기 제공된 지침은 본 개시의 방법의 실행시 투여되는 제약 활성인 릴랙신을 함유하는 제제의 투여량 처방계획, 즉, 용량 스케쥴 및 투여량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안내로서 사용될 수 있다. 포괄적 지침으로서, 제약 활성인 H1, H2 및/또는 H3 인간 릴랙신 (예를 들어, 합성, 재조합, 유사체, 효능제, 모방체 등)의 1일 용량이 전형적으로 1일당 약 10 내지 약 100 ㎍/대상체 체중 kg 범위의 양인 것으로 예상된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릴랙신의 투여량은 임신 전반에 걸쳐 30 ㎍/kg/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이들 투여량은 예를 들어, 약 10 ng/ml의 릴랙신의 혈청 농도에 이르게 한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제약상 유효한 릴랙신 또는 그의 효능제는 임신 전반에 걸쳐 또는 임신의 부분에 걸쳐 약 30 ㎍/kg/일로 투여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제약상 유효한 릴랙신 또는 그의 효능제는 임신 전반에 걸쳐 또는 임신의 부분에 걸쳐 약 10 내지 약 100 ㎍/kg/일로 투여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릴랙신의 투여는 약 0.5 내지 약 300 ng/ml,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100 ng/ml,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10 ng/ml의 릴랙신의 혈청 농도를 유지하도록 계속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릴랙신의 투여는 임신 전반에 걸쳐 10 ng/ml 이상의 릴랙신의 혈청 농도를 유지하도록 계속된다. 이들 릴랙신 농도는 전자간증의 발병의 우도를 감소시키고, 이에 의해 모친에서의 증상, 예컨대 고혈압, 높은 혈압, 단백뇨, 신부전 및 치사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들 릴랙신 농도는 유아에서 낮은 출생 체중 및 관련 위험 뿐만 아니라 유아 사망의 우도를 감소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다. 대상체에 따라, 릴랙신 투여는 특정 기간 동안 또는 임신한 모친 및 아이에서 안정성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만큼 오랫 동안 유지된다. 예를 들어, 릴랙신은 임신 종료를 통해 연속적 주입을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는 주입 펌프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별법으로, 릴랙신은 오직 필요한 경우 제1 삼분기 및/또는 제2 삼분기 동안 투여될 수 있다.
릴랙신-특이적 및 CRP-특이적 항체
릴랙신 및/또는 CRP의 에피토프를 특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항체의 제조 방법이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항체는 폴리클로날 항체, 모노클로날 항체 (mAb), 인간, 인간화 또는 키메라 항체, 단일 쇄 항체, Fab 단편, F(ab')2 단편, Fab 발현 라이브러리에 의해 생성된 단편, 항-이디오타입 (항-Id) 항체, 및 상기 중 임의의 것의 에피토프-결합 단편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릴랙신 및/또는 CRP에 대한 항체의 제조를 위해, 다양한 숙주 동물이 릴랙신 단백질 또는 CRP 단백질, 또는 그의 부분의 주사에 의해 면역화될 수 있다. 이러한 숙주 동물은 토끼, 마우스 및 래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숙주 종에 따라 면역학적 반응을 증가시키기 위해, 프로인트(Freund) 아쥬반트 (완전 및 불완전), 미네랄 겔, 예컨대 수산화알루미늄, 표면 활성 물질, 예컨대 리소레시틴, 플루로닉 폴리올, 폴리음이온, 펩티드, 오일 에멀젼, 키홀 림펫 헤모시아닌, 디니트로페놀, 및 잠재적으로 유용한 인간 아쥬반트, 예컨대 BCG (칼메트-게랭 간균) 및 코리네박테리움 파르붐 (Corynebacterium parvum)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아쥬반트가 사용될 수 있다.
폴리클로날 항체는 항원, 예컨대 릴랙신 또는 CRP, 또는 릴랙신 또는 CRP의 항원성 기능적 유도체로 면역화된 동물의 혈청으로부터 유래된 항체 분자의 이종 집단이다. 폴리클로날 항체의 제조를 위해, 숙주 동물, 예컨대 상기 기재된 동물은 릴랙신 또는 CRP의 주사에 의해 면역화될 수 있다. 면역화된 동물에서 항체 역가는 표준 기술에 의해, 예컨대 고정화 폴리펩티드를 사용하는 효소 결합 면역흡착 검정 (ELISA)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니터링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항체 분자는 동물 (예를 들어, 혈액)로부터 단리되고, 익히 공지된 기술, 예컨대 단백질 A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추가로 정제되어, IgG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특정 항원, 예컨대 릴랙신 또는 CRP에 대한 항체의 동종 집단인 모노클로날 항체는 당업계에 익히 공지된, 배양에서 연속적 세포주에 의한 항체 분자의 제조를 제공하는 임의의 기술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이러한 항체는 IgG, IgM, IgE, IgA, IgD를 포함하는 임의의 이뮤노글로불린 부류 및 그의 임의의 하위부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mAb를 생성하는 하이브리도마가 시험관내에서 또는 생체내에서 배양될 수 있다.
모노클로날 항체-분비 하이브리도마의 제조에 대한 별법으로, 릴랙신 및/또는 CRP에 대해 지정된 모노클로날 항체는 릴랙신, CRP 또는 그의 유도체를 갖는 재조합 조합 이뮤노글로불린 라이브러리 (예를 들어, 항체 파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의 스크리닝에 의해 확인되고 단리될 수 있다. 파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의 제조 및 스크리닝을 위한 키트는 시판되고 있다. 또한, 표준 재조합 DNA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인간 부분 및 비인간 부분 둘 모두를 포함하는 재조합 항체, 예컨대 키메라 및 인간화 모노클로날 항체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키메라 항체는 상이한 부분이 상이한 동물 종으로부터 유래된 분자, 예컨대 뮤린 mAb로부터 유래된 가변 영역 및 인간 이뮤노글로불린 불변 영역을 갖는 분자이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816,567호 및 제4,816,397호). 인간화 항체는 비인간 종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상보성 결정 영역 (CDR) 및 인간 이뮤노글로불린 분자로부터의 프레임워크 영역을 갖는 비인간 종으로부터의 항체 분자이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585,089호). 이러한 키메라 및 인간화 모노클로날 항체는 당업계에 공지된 재조합 DNA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항체는 여성이 그의 건강한 대응인보다 전자간증의 발병의 더 높은 위험에 있는가를 결정하기 위해 임신한 여성의 혈액을 릴랙신 수준에 대해 시험하는 임의의 검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혈액 내 릴랙신 수준이 약 500 pg/ml 미만으로 하강하는 경우, 여성은 전자간증의 발병의 더 높은 위험에 있고, 임신 전체 동안 또는 임신 일부 동안 주의 깊게 모니터링되고/거나 릴랙신으로 치료될 필요가 있다. 임의로, 임신한 여성의 혈액은 더 민감한 검정을 달성하기 위해 CRP 수준에 대해 추가로 시험될 수 있다. 혈액 내 CRP 수준이 1.5 mcg/ml 미만 또는 13.5 mcg/ml 초과인 경우, 여성은 전자간증을 발병할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 혈액 내 릴랙신 및/또는 CRP 수준의 정확한 결정을 허용하는 임의의 검정, 예를 들어 ELISA, 생물검정, 면역검정 등이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시판되는 키트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실험
하기 약어가 본원에서 사용된다: mcg 또는 ㎍ (마이크로그램); ml (밀리리터); pg (피코그램); BMI (체질량 지수); CART (분류 및 회귀 나무); CI (신뢰 구간); CREAT (크레아티닌); CRP (C-반응성 단백질); ELISA (효소 결합 면역흡착 검정); HP (고혈압, 단백뇨); HPU (고혈압, 단백뇨, 요산); HU (고혈압, 요산); Rlx 또는 RLX (릴랙신).
하기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개시를 예시하려는 것이며, 청구항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전자간증 임신한 여성의 연구
난소의 황체로부터 방출되는 펩티드 호르몬인 릴랙신은 임신에서 강력한 혈관확장제이다. 혈청 H2 농도는 제1 삼분기 동안 상승하고, 조기 제2 삼분기에 피크에 도달하며, 이는 현저한 모친 신장 및 전신 혈관확장과 일치한다. 대조적으로, 부적절한 혈관확장성 순응 및 증가된 전신 혈관 저항은 전자간증의 특징이다. 본 실시예는 임신 동안 혈청 릴랙신의 측정 및 전자간증의 발병의 증가된 위험과 제1 삼분기 동안 감소된 혈청 릴랙신의 연관성의 결정을 기재한다.
13주 미만의 임신의 62명의 여성의 코호트내 환자-대조군 연구를 수행하였다. 62명의 연구 대상체 중에서, 37명의 여성이 20주 임신 후 고혈압 및 단백뇨의 새로운 발병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전자간증을 발병하였다. 나머지 대상체들은 정상 혈압이었고, 단순 임신을 가졌다. H2 릴랙신을 ELISA에 의해 측정하였다 (다른 검정, 예컨대 생물검정, RT-PCR 등이 이러한 목적에 또한 적합하였으나). 데이터 분석을 위해 로지스틱 회귀를 포함하는 기술 통계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알앤디 시스템스 애널리티컬 테스팅 서비스 (R&D Systems Analytical Testing Service)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를 이용하여 면역검정에 의해 혈청 내 인간 릴랙신 2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면역검정에서 사용된 H2 릴랙신-특이적 모노클로날 항체는 3F2.F2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생성된 마우스 IgG1이었다. 3F2.F2 하이브리도마는 바스 메디칼(BAS Medical), 현재 코르테라 인크. (Corthera Inc.;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마테오)에 의해 개발되었고, 부다페스트 조약 하에 아메리칸 타입 컬쳐 컬렉션 (ATCC, 미국 버지니아주 머내서스) 특허 기탁명 PTA-8423으로서 기탁되었다. 3F2.F2 항체를 사용하는 H2 릴랙신 ELISA가 잘 인증되었다. 재조합 인간 IGF-1, IGF-II, 인슐린 (아미노산 25-100), 인슐린-유사 3, 릴랙신 1 (H1) 및 릴랙신 3 (H3)에서 유의한 교차-반응성 또는 간섭이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재조합 개, 돼지 또는 설치류 (마우스 및 래트) 릴랙신-2에서 유의한 교차-반응성 또는 간섭이 관찰되지 않았다.
혈청 릴랙신 농도는 전자간증 여성과 대조 간에 유의하게 상이하지 않았다 (중위수 및 사분위수간 범위, 670.4 [456.9-1117.2] 대 802.3 [570.8-966.4] pg/ml, p=0.47). 그러나, 최저 사분위수에 근접한 절사인 477 pg/ml 미만의 릴랙신 농도를 갖는 여성은 전자간증 발병에 대한 6.2의 오즈비 (95% CI 1.3-30.7, p=0.025)를 가졌다. 샘플 수집시 임신령, 체질량 지수 (BMI), 인종 및 흡연 상태에 대해 조정한 후, 이들 여성은 전자간증을 발병할 가능성이 7.4배 더 컸으며 (95% CI 1.4-38.9, p=0.02), 이는 놀랄 만큼 높았다. 이러한 강한 연관성은 새로 발병한 고혈압, 단백뇨 및 고요산혈증을 갖는 여성의 하위군에서 지속되었으며, 더 균질한 전자간증 부분집합은 더 높은 비율의 유해 결과를 가졌다 (조정됨 또는 6.9, 95% CI 1.2-40, p=0.03).
본 연구는 낮은 혈청 릴랙신 농도가 전자간증에 대한 독립 위험 인자라는 것을 나타낸다. 조기 임신에서 릴랙신 결핍증에 대해 이차적인 부적절한 혈관확장성 순응은 전자간증의 발병기전에 추가로 기여할 수 있다.
실시예 2
전자간증 예측의 통계 분석
표 2에 나타낸 특징을 갖는 69명의 임신한 여성으로부터 수득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CART (분류 및 회귀 나무)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확장 분석은 실시예 1의 본래 연구 대상체, 뿐만 아니라 여러 추가 대상체로부터 수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였다. 전자간증 예측을 위해 사용된 파라미터는 먼저 H2 릴랙신 수준 및 이어서 또한 C-반응성 단백질 (CRP) 수준이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임신 동안 임신령을 3개의 기간, 즉, 0-15주 (제1 삼분기), 15-25주 (제2 삼분기) 및 25-35주 (제3 삼분기)로 나누었다. 도 1은 임신령에 관해서 전자간증 여성 (HPU 및 HP 군)에서 혈청 릴랙신 농도를 나타낸다. 라인은 동일한 대상체로부터의 샘플을 연결한다. 삼각형은 후에 전자간증을 발병하고 첫 15주에 500 pg/ml 미만의 내인성 H2 릴랙신 수준을 갖는 임신한 여성으로부터의 샘플을 나타낸다. 정사각형은 후에 전자간증을 발병하나 약 500 pg/ml의 내인성 H2 릴랙신 수준을 갖는 임신한 여성으로부터의 샘플을 나타낸다. 다이아몬드형은 전자간증을 발병하지 않은 임신한 여성으로부터의 샘플을 나타낸다. 이들 여성 중 소수가 첫 15주에 500 pg/ml 미만의 H2 릴랙신 농도를 가졌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Figure pct00002
CART 분석에서, 첫 15주 동안 대상체로부터의 모든 샘플을 평균하였다. 이는 각각의 대상체에 대한 임신 동안 상이한 시간에 수집된 상이한 개수의 샘플이 존재하였기 때문이다. 도 3의 분류 나무에 관하여, 분할수는 1이고, 종점 마디수는 2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단 박스는 476.7 pg/ml 미만의 천연 H2 릴랙신 수준을 갖는 35명의 전자간증 대상체 (점선 막대 참조) 및 476.7 pg/ml 초과의 천연 H2 릴랙신 수준을 갖는 24명의 정상적 대상체 (실선 막대 참조)가 존재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릴랙신 시험의 특이도를 추가로 결정하기 위해, 전자간증 대상체 및 정상적 대상체를 2개의 군으로 분할하였으며, 좌측의 박스 2는 476.7 pg/ml 이하의 혈청 H2 릴랙신을 갖는 대상체를 나타내고, 우측의 박스 3은 476.7 pg/ml 초과의 혈청 H2 릴랙신을 갖는 대상체를 나타낸다. 좌측의 박스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476.7 pg/ml 릴랙신 이하의 H2 릴랙신 수준을 갖는 대상체 중에서, 13명의 개인이 전자간증을 발병하였으나, 오직 1명의 개인만이 정상적 임신을 가졌으며, 이는 본 시험을 고도로 특이적으로 만들었다. 우측의 박스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476.7 pg/ml 초과의 H2 릴랙신 수준을 갖는 대상체 중에서, 23명의 개인이 정상적 임신을 가졌고, 22명의 개인이 전자간증을 발병하였다. 우측의 박스 3에 표시된 결과는 시험의 민감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2 파라미터의 포함을 촉구하였다.
도 4는 도 3에서와 동일한 분류 나무를 나타내며, 또한 C-반응성 단백질 (CRP) 수준에 기초한 추가 분할을 나타낸다. 476.7 초과의 H2 릴랙신 수준을 갖는 대상체를 13.481 mcg/ml 이하의 CRP 수준을 갖는 대상체 및 13.481 mcg/ml 초과의 CRP 수준을 갖는 대상체로 분할하였다. 현저하게, 13.481 mcg/ml 초과의 CRP 수준을 갖는 여성은 전자간증을 발병할 가능성이 매우 컸고, 이는 전자간증을 발병한 9명의 임신한 여성 및 정상적 임신을 가진 1명의 임신한 여성을 나타내는 박스 5에 표시되어 있다. 박스 4는 1.4681 mcg/ml 이하의 CRP 수준을 갖는 대상체 및 1.4681 mcg/ml 초과의 CRP 수준을 갖는 대상체로 추가로 분할되었다. 박스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7명의 개인이 전자간증을 발병하였으나, 오직 1명의 개인만이 정상적 임신을 가졌으며, 이는 본 시험을 더 민감하게 만들었다. CRP 측정을 사용함으로써, 시험의 민감도가 83 퍼센트로 증가되었다.
도 5는 고혈압성 임신에 대한 분류 나무를 나타낸다 (HP, HPU 및 HU 대상체, 또한 표 1 및 2 참조). 대상체를 조기 임신 동안 혈청 H2 릴랙신 및 CRP 농도를 기준으로 4개의 군으로 분할하였다. 이들 2개의 측정의 사용을 통해, 매우 양호한 민감도 수준을 수득하였다. 사실은, 릴랙신 및 CRP 측정 둘 모두를 사용한 경우, 특이도는 63%였고, 민감도는 96%였다.
도 6은 고혈압성 임신에 대한 또 다른 분류 나무를 나타낸다 (HP, HPU 및 HU를 포함하는 48명의 고혈압 여성 및 25명의 정상적 여성). 대상체를 도 5에서와 같이 혈청 H2 릴랙신 및 CRP 수준을 기준으로, 뿐만 아니라 예측을 추가로 정련하기 위해 크레아티닌 수준을 기준으로 분할하였다. 이들 3개의 분석물질의 사용에 의해, 후에 고혈압을 발병할 임신의 예측에 대한 매우 민감하고 특이적인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릴랙신, CRP 및 크레아티닌 (CREAT)의 경우, 특이도는 92%였고, 민감도는 87%였다. 이들 여성은 전자간증성이 아니라 오직 고혈압성 임신에 대한 후보자였기 때문에, H2 릴랙신 및 CRP 이외에 고혈압의 우도를 결정하기 위해 CREAT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임신한 여성에서 전자간증의 예측
조기 임신 동안 임신한 여성으로부터의 혈청 샘플을 수집하였다. 혈청 H2 릴랙신 농도 및 CRP의 농도를 ELISA에 의해 결정하였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전자간증의 발병의 우도를 결정하였다. 예를 들어, 혈청 H2 릴랙신 수준이 300 pg/ml인 경우, 환자를 전자간증의 거의 특정 발병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로 배치하였다. 혈청 릴랙신 수준이 600 pg/ml인 경우, CRP 수준을 또한 검사하였다. CRP 수준이 1.5 mcg/ml 초과 및 13.5 mcg/ml 미만인 경우, 임신을 정상적 임신으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임신한 대상체의 CRP 수준이 이러한 범위 밖으로 하강한 경우, 여성은 전자간증의 발병의 증가된 위험을 가졌다.
본 개시의 범위 및 취지에서 벗어나지 않는 본 개시의 다양한 변형 및 변이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개시는 구체적 바람직한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으나, 청구된 본 개시가 이러한 구체적 실시양태로 부당하게 제한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게다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본 개시를 수행하기 위한 기재된 방식의 다양한 변형은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아메리칸 타입 컬쳐 콜렉션 PTA-8423 20070509

Claims (24)

  1. a) 전자간증 증상의 출현전 임신한 여성으로부터 수득된 생물학적 샘플 내 H2 릴랙신 농도를 측정하고;
    b) 상기 H2 릴랙신 농도가 임신한 여성의 최저 사분위수 농도에 대한 절사값 미만인 경우 상기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의 발병의 증가된 위험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
    을 포함하는,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의 발병의 증가된 위험을 갖는가를 평가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샘플이 혈장 또는 혈청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H2 릴랙신이 상기 H2 릴랙신에 대한 항체를 사용함으로써 측정되는 것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H2 릴랙신이 효소 결합 면역흡착 검정 (ELISA)으로 측정되는 것인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간증 증상의 출현전이 임신의 5주 내지 15주에 이르는 상기 대상체의 제1 삼분기 동안인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에 대한 소인이 있는 군의 부분이며, 상기 군이 첫 임신, 35세 초과, 18세 미만, 다태 임신 및 기존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상태가 고혈압, 당뇨병, 루푸스, 혈전성향증, 신장병 및 비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저 사분위수 농도에 대한 절사값이 약 500 pg/ml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샘플 내 C-반응성 단백질 (CRP) 농도를 측정하고, 심지어 상기 H2 릴랙신 농도가 약 500 pg/ml 초과인 경우에도 상기 CRP 농도가 약 13.5 mcg/ml 초과인 경우 상기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의 발병의 증가된 위험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샘플 내 C-반응성 단백질 (CRP) 농도를 측정하고, 심지어 상기 H2 릴랙신 농도가 약 500 pg/ml 초과인 경우에도 상기 CRP 농도가 약 1.5 mcg/ml 미만인 경우 상기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의 발병의 증가된 위험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1. a) 임신한 여성으로부터 수득된 생물학적 샘플 내 H2 릴랙신 농도를 측정하고;
    b) 상기 H2 릴랙신 농도가 임신한 여성의 최저 사분위수 농도에 대한 절사값 미만인 경우 상기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
    을 포함하는,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을 갖는가를 평가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샘플이 상기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임신한 여성으로부터 수득되고, 상기 임신한 여성을 전자간증을 갖는 것으로 진단하는데 부분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간증의 하나 이상의 증상이 부종, 중증 두통, 시력 변화, 상복부 통증, 오심, 구토, 어지럼증, 요배설량 감소 및 1주당 2 파운드 초과의 갑작스런 체중 증가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4. a) 임신의 제1 삼분기 동안 수득된 생물학적 샘플 내 약 500 pg/ml 미만의 H2 릴랙신 농도를 갖는 임신한 여성을 선택하고;
    b) 상기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을 발병할 우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임신한 여성에게 제약 제제의 H2 릴랙신을 투여하는 것
    을 포함하는,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을 발병할 우도를 감소시키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H2 릴랙신이 임신의 말단 부분에 걸쳐 1일당 약 30 ㎍/체중 kg의 양으로 상기 임신한 여성에게 투여되는 것인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H2 릴랙신이 임신 전반에 걸쳐 약 10 ng/ml의 릴랙신의 혈청 농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임신한 여성에게 투여되는 것인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혈청 H2 릴랙신 농도가 면역검정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삼분기가 임신의 5주 내지 15주에 이르는 것인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임신한 여성이 전자간증에 대한 소인이 있는 군의 부분이며, 상기 군이 첫 임신, 35세 초과, 18세 미만, 다태 임신 및 기존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상태가 고혈압, 당뇨병, 루푸스, 혈전성향증, 신장병 및 비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임신한 여성이 북미 출신인 방법.
  22. 아메리칸 타입 컬쳐 컬렉션(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PTA-8423으로서 기재된 하이브리도마에 의해 생성된, H2 릴랙신과 반응성인 모노클로날 항체.
  23. 제22항의 모노클로날 항체, 마이크로플레이트 및 샘플의 H2 릴랙신 농도의 측정에 대한 지침서를 포함하는 면역검정 키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검정이 폴리클로날 항-릴랙신 항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H2 릴랙신 포획 검정인 면역검정 키트.
KR1020117014529A 2008-11-24 2009-11-24 전자간증의 예측 및 예방 KR201101063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015008P 2008-11-24 2008-11-24
US61/200,150 2008-1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316A true KR20110106316A (ko) 2011-09-28

Family

ID=42198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529A KR20110106316A (ko) 2008-11-24 2009-11-24 전자간증의 예측 및 예방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574851B2 (ko)
EP (1) EP2368114A4 (ko)
JP (2) JP5727938B2 (ko)
KR (1) KR20110106316A (ko)
CN (1) CN102224420B (ko)
AU (1) AU2009316278B2 (ko)
BR (1) BRPI0920897A2 (ko)
CA (1) CA2742792A1 (ko)
MX (1) MX2011005454A (ko)
RU (1) RU2538661C2 (ko)
WO (1) WO201006010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51094A1 (en) * 2010-04-13 2011-10-13 Pronota N.V. Biomarkers for hypertensive disorders of pregnancy
WO2011143071A2 (en) 2010-05-08 2011-11-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em scanner sens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ology for early detection of ulcers
WO2012080906A1 (en) * 2010-12-16 2012-06-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clinical decision support for therapy planning using case-based reasoning
US9381231B2 (en) * 2012-10-09 2016-07-05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Use of relaxin to restore maternal physiology in pregnancies conceived by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US9907833B2 (en) 2013-07-25 2018-03-06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orporated Use of relaxin to treat placental syndromes
FR3017955B1 (fr) * 2014-02-27 2018-04-06 Assistance Publique - Hopitaux De Paris Biomarqueurs diagnostics de la cardiomyopathie du peripartum
RU2568892C1 (ru) * 2014-08-28 2015-11-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елгор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НИУ "БелГУ") Способ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риска развития преэклампсии тяжелого течения
RU2568891C1 (ru) * 2014-08-28 2015-11-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елгор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НИУ "БелГУ") Способ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риска развития преэклампсии на основе комбинаций генов цитокинов
RU2568893C1 (ru) * 2014-09-04 2015-11-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елгор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НИУ "БелГУ") Способ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риска развития преэклампсии у женщин с неотягощенной наследственностью
CA2982249C (en) 2015-04-24 2019-12-31 Bruin Biometric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damaged tissue using sub-epidermal moisture measurements
RU2636228C1 (ru) * 2016-11-14 2017-11-2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Алта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преэклампсии у беременных при носительстве мутации гена фактор V Лейден 1691 генотип G/A и А/А
RU2642939C1 (ru) * 2016-12-08 2018-01-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елгор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НИУ "БелГУ") Способ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риска развития преэклампсии
GB2600266B (en) 2017-02-03 2023-03-01 Bruin Biometrics Llc Measurement of tissue viability
AU2018217187B2 (en) * 2017-02-03 2020-01-02 Bruin Biometrics, Llc Measurement of edema
KR102283395B1 (ko) 2017-02-03 2021-07-30 브루인 바이오메트릭스, 엘엘씨 당뇨병성 족부 궤양에 대한 감수성의 측정
WO2019099812A1 (en) 2017-11-16 2019-05-23 Bruin Biometrics, Llc Providing a continuity of care across multiple care settings
RU2682167C1 (ru) * 2018-01-10 2019-03-1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ерм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Е.А. Вагнера"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преэклампсии
CA3090395A1 (en) 2018-02-09 2019-08-15 Bruin Biometrics, Llc Detection of tissue damage
RU2679111C1 (ru) * 2018-08-06 2019-02-0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еверо-Осетин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медицинская академия"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риска развития преэклампсии у женщин разных соматотипов
LT3861601T (lt) 2018-10-11 2024-03-12 Bruin Biometrics, Llc Prietaisas su vienkartiniu elementu
RU2752776C1 (ru) * 2020-12-16 2021-08-0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Алта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длительности тромбопрофилактики низкомолекулярным гепарином после абдоминального родоразрешения у носителей мутации Лейден, генотип F5 G1691A
US11642075B2 (en) 2021-02-03 2023-05-09 Bruin Biometrics, Llc Methods of treating deep and early-stage pressure induced tissue damage
CA3230581A1 (en) * 2021-09-14 2023-03-23 Bellylabs Oy Assay method for relaxin
CN116953255A (zh) * 2023-07-27 2023-10-27 山东大学 血清中总IgM和/或总IgG在子痫前期预测或诊断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1997A (en) * 1995-06-07 1999-06-15 Connetics Corporation Relaxin-like factor and methods and uses thereof
EP1253929B1 (en) 2000-02-09 2007-05-23 BAS Medical, Inc. Use of relaxin to treat diseases related to vasoconstriction
US7338924B2 (en) 2002-05-02 2008-03-04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Oil-in-water-in-oil emulsion
EP1482310A1 (en) * 2003-05-30 2004-12-01 Bayer HealthCare AG Relaxin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predicting mortality
EP1765149B1 (en) 2004-03-19 2016-09-28 University Of Pittsburgh Use of relaxin to increase arterial compliance
JP2007532885A (ja) * 2004-04-09 2007-11-15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ピッツバーグ 急性炎症状態を検出するリアルタイム方法
JP4836942B2 (ja) * 2004-04-30 2011-12-14 コーセラ,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リラキシンの調節による胎仔の発育の制御の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ATE519109T1 (de) * 2004-12-21 2011-08-15 Univ Yale Präeklampsie-diagnose
CN101680884A (zh) * 2007-05-05 2010-03-24 西安大略大学 检测先兆子痫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10061A (ja) 2012-04-26
EP2368114A2 (en) 2011-09-28
RU2011125546A (ru) 2012-12-27
CA2742792A1 (en) 2010-05-27
JP2015051989A (ja) 2015-03-19
CN102224420A (zh) 2011-10-19
JP5727938B2 (ja) 2015-06-03
WO2010060102A2 (en) 2010-05-27
AU2009316278A1 (en) 2010-05-27
CN102224420B (zh) 2014-09-17
US8574851B2 (en) 2013-11-05
AU2009316278B2 (en) 2013-09-26
WO2010060102A3 (en) 2011-01-06
BRPI0920897A2 (pt) 2015-12-29
RU2538661C2 (ru) 2015-01-10
EP2368114A4 (en) 2012-06-13
MX2011005454A (es) 2011-06-20
US20110281801A1 (en)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7938B2 (ja) 子癇前症の発症リスクの高さを試験する方法
Petraglia et al. Inhibin subunits in human placenta: localization and messenger ribonucleic acid levels during pregnancy
Novak et al. Evidence for local relaxin ligand‐receptor expression and function in arteries
ES2300325T3 (es) Ensayo diagnostico que implica la citoquina 1 inhibitoria de macrofagos (mc1).
Bathgate et al. Physiology and molecular biology of the relaxin peptide family
US20130303455A1 (en) Prediction and prevention of preeclampsia
Ando et al. Thyrotropin receptor antibodies: new insights into their actions and clinical relevance
HUE025483T2 (en) Relaxi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dyspnoea associated with acute heart failure
Gu et al. Aberrant pro-atrial natriuretic peptide/corin/natriuretic peptide receptor signaling is present in maternal vascular endothelium in preeclampsia
Breier et al. Characterization of ovine growth hormone (oGH) and ovine placental lactogen (oPL) binding to fetal and adult hepatic tissue in sheep: evidence that oGH and oPL interact with a common receptor
Yallampalli et al. Calcitonin gene-related family peptides in vascular adaptations, uteroplacental circulation, and fetal growth
AU2002366097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ccurate early pregnancy diagnosis
US5464757A (en) DNA encoding CRF binding protein
AU2013202952B2 (en) Prediction and prevention of preeclampsia
Dong et al. Circulating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and its placental origins in normotensive and preeclamptic pregnancies
Al-Naffakh et al. Assessment of anti-Mullerian hormone and anti ovarian antibody in the sera of patients with polycystic ovarian syndrome in AL-Najaf Al-Ashraf Province
Hoshimoto et al. Mature adrenomedullin concentrations in plasma during pregnancy
Paragliola et al. Prolactin
ES2244480T3 (es) Precursor placentario humano de neuroquinina b.
Kumari Gonadotropins: In Specific Context To The Mare Placental Gonadotropins
KR20210060359A (ko) 시알산화된 면역글로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Abbara Physiological Roles of the Peptide Prokineticin 1
Govender The role of adiponectin, leptin, TNF-α and resistin in HIV associated pre-eclampsia.
Sadek Decidual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s and fetoplacental development
WO1998055865A1 (fr) Methodes de depistage de maladies par mesure de la lept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