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4518A - 선박 해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해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4518A
KR20110104518A KR1020117015876A KR20117015876A KR20110104518A KR 20110104518 A KR20110104518 A KR 20110104518A KR 1020117015876 A KR1020117015876 A KR 1020117015876A KR 20117015876 A KR20117015876 A KR 20117015876A KR 20110104518 A KR20110104518 A KR 20110104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ntoon
ship
pier
buoyancy
dismant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르 스토엘 장 마리우스 반
도이클 시에브렌 멀더
Original Assignee
그린도크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도크 비.브이. filed Critical 그린도크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10104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5/00Dismantling or scrapp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B63C1/06Arrangements of pumping or filling equipment for raising or lowering d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선박(5)을 해체하기 위한 선박 해체 장치(1)가 부두(2) 및 부두(2)에 인접한 물에서 해체될 선박(5)을 운반하기 위한 폰툰(3)을 포함한다. 선박 해체 장치(1)는 고정된 권역에 연결되고, 폰툰(3)의 상방향 부력에 대응하여 하방향 반력을 가함으로써 부두(2)에 대하여 폰툰(3)의 상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스테빌라이저(16), 및 폰툰(3)의 부력을 제어하기 위한 폰툰 부력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선박(5)의 해체 동안에, 지속적인 하방향 안정력이 폰툰(3) 상으로 스테빌라이저(16)에 의해 가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선박 해체 장치 및 방법{ARRANGEMENT AND METHOD FOR DISMANTLING A VESSEL}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선박을 해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두 및 부두에 인접한 물에서 해체될 선박을 운반하기 위한 폰툰(pontoon)을 포함하는 선박 해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고, 예를 들면, WO 2007/081198에 기재되어 있다. 최초 위치에서, 폰툰은 수면 아래에 있다. 해체될 선박은 폰툰 상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나서, 폰툰은 예를 들면, 폰툰의 격실로부터 물을 제거하고 공기로 격실을 채움으로써 폰툰이 선박의 저부에 도달하여 선박을 들어올리기 시작할 때까지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나서, 폰툰이 수면에 위치되고 폰툰의 데크가 수면의 상부에 있을 때까지 폰툰은 상방향으로 더욱 이동된다. 바람직하게는, 폰툰의 데크가 폰툰에 인접한 부두와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가질 때까지 수면이 상승될 수 있는 도크가 사용된다. 이 위치에서, 선박은 수면 상부에 있고, 선박 상의 해체 작업이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박은 폰툰 상에서 구획화될 수 있고, 선박의 구획부는 부두로 인양될 수 있다. 또한, 선박을 해체할 때, 선박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부두 상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부두 상에서 구획화될 수 있다. 부두 상에서 선박의 구획부는 구획부를 추가 절단 및/또는 해체 및/또는 재활용하기 위한 절단 스테이션 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공지된 장치는 매우 유용하지만, 특히, 폰툰으로부터 구획부가 더욱 가동될 수 있는 부두 상으로 구획부를 이동시키는 동안에, 부두에 대하여 폰툰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단점이 해소된 선박 해체 장치 및 방법을 고려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두 및 부두에 인접한 물에서 해체될 선박을 운반하기 위한 폰툰을 포함하는 선박을 해체하기 위한 선박 해체 장치가 제공되고, 선박 해체 장치는, 고정된 권역에 연결되고, 폰툰의 상방향 부력에 대응하여 하방향 반력을 가함으로써 부두에 대하여 폰툰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스테빌라이저, 및 폰툰의 부력을 제어하기 위한 폰툰 부력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선박의 해체 동안에, 지속적인 하방향 안정력이 폰툰 상으로 스테빌라이저에 의해 가해지도록 한다.
부두에 대한 폰툰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테빌라이저, 및 스테빌라이저 상에 가해지는 힘에 반응하는 폰툰 부력 제어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선박 해체 동안에 폰툰은 더욱 용이하게 부두에 대하여 비교적 안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 해체 장치는, 선박을 해체할 때 및/또는 선박의 구획부를 부두 상으로 이동시킬 때, 폰툰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반응성 밸러스팅 시스템(reactive ballasting system)을 구비할 수 있다.
반응성 밸러스팅 시스템은 스테빌라이저 상에 가해지는 최종 상승력에 반응한다. 최종 상승력이 특정 제한치를 초과하면, 폰툰 부력 제어 수단은 폰툰의 부력을 감소시킨다. 스테빌라이저 상에 가해지는 최종 상승력은 폰툰의 순 부력에서 폰툰의 중량을 제외한 결과가 된다. 폰툰의 순 부력은 폰툰에 의해 차지되는 유체의 무게의 크기와 동일하다. 또한, 최종 상승력은 상방향 부력 및/또는 부력으로서 언급된다.
부력 때문에, 폰툰은 스테빌라이저 상에 상방향 부력을 가한다. 따라서 폰툰은 고정부에 대하여 프리텐션(pre-tensioned) 상태이다. 스테빌라이저는 폰툰의 수직 이동에 대한 고정부로서 작용한다. 폰툰의 움직임은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제한된다. 또한, 폰툰은 파도 및/또는 바람과 같은 외부환경 영향에 민감하지 않을 수 있다.
반응성 밸러스팅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폰툰의 데크의 높이는 부두의 표면에 대하여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폰툰으로부터 부두 상으로 선박의 구획부를 이동시키는 동안 폰툰의 상방향 이동에 기인한 폰툰 및/또는 부두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선박의 구획부는 비교적 순조롭고 용이하게 폰툰으로부터 부두 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선박의 구획부의 조작이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스테빌라이저는, 폰툰이 떠 있는, 예를 들면 도크 또는 만에서의 물의 저부에 정박되어 있는 구조물이 될 수 있거나 또는 부두에 고정되게 장착된 구조물이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스테빌라이저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테빌라이저는 폰툰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정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폰툰에 의해 가해지는 상승력을 측정하고 폰툰 부력 제어 수단에 입력값으로써 측정된 힘을 제공하기 위한 힘 측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된 최종 상승력이 특정 제한치를 초과할 때, 폰툰 부력 제어 수단은, 스테빌라이저 상의 상승력이 제한치 이하로 감소되도록 폰툰의 부력을 감소시킬 것이다. 따라서 폰툰과 스테빌라이저 사이의 지속적인 접촉이 얻어질 수 있고, 스테빌라이저 및 폰툰 부력 제어 수단은 사전에 정해진 특정 제한력 이하로 접촉력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게다가, 스테빌라이저의 정지 수단은, 폰툰의 데크 높이가 대략 부두의 표면 높이가 되도록 폰툰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힘 측정 유닛은 정지 수단에서 통합될 수 있고, 따라서 스테빌라이저의 정지부의 상승력을 제한시킨다. 스테빌라이저의 정지부 상에 가해지는 힘을 제한함으로써, 정지 수단의 설계 조건을 알 수 있고, 정지부는, 예를 들면, 가볍고 및/또는 재료가 적게 들어 더욱 비용 효과적으로 설계되고 건설될 수 있다.
반응성 밸러스팅 시스템은 스테빌라이저 및 폰툰 부력 제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빌라이저는 폰툰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정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폰툰에 의해 가해지는 상승력을 제한하기 위한 힘 측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선박 해체 장치는 바람 및/또는 조류 및/또는 파도 및/또는 범람과 같은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밀폐될 수 있는 도크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밀폐된 도크에서, 도크의 수면은 도크 외부의 외해역 수면에 독립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크는 하나의 부두를 가질 수 있으나, 또한 둘 이상의 부두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크에 접해 있는 물은 강, 운하, 호수 또는 바다와 같은 외해역에 연결될 수 있다. 부두는 인공적 구조물이 될 수 있지만, 강화된 제방 또는 해안이 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작동될 수 있기 전에 고려될 구조물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을 해체하는 것이 비교적 안정되고 비용 효과적이 될 수 있다.
폰툰은 일반적으로 2개의 마주하는 단 측면 및 2개의 마주하는 장 측면을 가진다. 단 부두(short quay)가 폰툰의 단 측면에 제공될 수 있고, 및/또는 장 부두(long quay)가 폰툰의 장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스테빌라이저가 단 부두에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스테빌라이저가 장 부두에 연결될 수 있다. 폰툰의 마주하는 측면 상에 장 부두가 있다면, 하나 이상의 스테빌라이저가 각각의 장 부두에 연결될 수 있다.
폰툰과 연동하도록 또한 부두에 대한 폰툰의 측면 이동을 제한하도록 스테빌라이저를 구성함으로써, 선박 해체 동안에 폰툰은 더욱 안정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둘 이상의 스테빌라이저가 예들 들면, 부두에 또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물의 저부에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고, 폰툰과 연동할 수 있다.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둘 이상의 스테빌라이저를 제공함으로써, 폰툰의 경사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테빌라이저 상의 상방향 부력에 의하여, 폰툰의 부력은 제어될 수 있고, 기울어짐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폰툰은 비교적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다.
설정된 높이에서 폰툰과 연동하기 위하여 고정 암 또는 고정 빔을 구비한 스테빌라이저를 제공함으로써, 스테빌라이저는 비교적 견고한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테빌라이저의 정지 수단은 고정 암 또는 고정 빔이 될 수 있다. 게다가, 힘 측정 유닛은 고정 암 또는 고정 빔에 통합 및/또는 고정 암 또는 고정 빔에 제공될 수 있어, 스테빌라이저 상의 상승력을 제한하면서 폰툰과 스테빌라이저 사이의 지속적인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스테빌라이저의 높이는, 예를 들면, 수면 및/또는 폰툰의 다른 높이를 올리거나 떨어뜨림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폰툰의 데크는 부두의 표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유지될 수 있다. 고정 암 또는 고정 빔은, 폰툰 상의 연동 요소와 연동할 수 있는, 부두에 연결된 리드(lid) 또는 부두 상에 장착된 암과 같이, 폰툰 상으로 압력을 제공하는 구조물이 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암 또는 고정 빔은, 도크의 저부에 정박된 체인 또는 로프와 같이, 폰툰 상으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물이 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암 또는 고정 빔이 사용되지 않을 때, 고정 암 또는 고정 빔은 예를 들면 상방향으로 접을 수 있거나 또는 부두 상으로 피봇될 수 있다.
부두에 대해 폰툰을 가이드 하기 위한 상방향 배치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폰툰의 상방향 및 하방향 이동은 용이화 및/또는 가이드 될 수 있고, 및/또는 폰툰의 측방향 이동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는, 폰툰의 경사 이동을 제한 및/또는 방지함으로써, 폰툰 및/또는 선박을 구비한 폰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방향 배치 가이드는, 예를 들면, 부두의 측면에 장착된 레일 트랙이 될 수 있거나 또는 폰툰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말뚝이 될 수 있다. 또한, 상방향 배치 가이드는, 예를 들면, 각각 폰툰의 장 측면에서 두 개의 상방향 연장 가이드가 될 수 있다. 폰툰의 장 측면 및/또는 단 측면을 따라 둘 이상의 상방향 연장 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다. 폰툰의 장 측면에서 두 개의 상방향 연장 가이드 각각은 부두의 단 측면에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폰툰의 단 측면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방향 연장 가이드는 상방향 연장 측벽 자체로써 폰툰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방향 연장 측벽을 구비한 폰툰이 부유 도크로써 알려져 있다. 또한, 상방향 연장 측벽은 폰툰에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고, 및/또는 폰툰의 상방향 및 하방향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스테빌라이저 상에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여 폰툰의 부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지속적인 하방향 안정력이 폰툰 상으로 스테빌라이저에 의해 비교적 용이하게 가해질 수 있고, 따라서 선박의 해체 동안에 폰툰을 비교적 평평하게 유지시킨다. 기계적 및/또는 유압적 및/또는 전자적 제어 시스템과 같은 제어하기 위한 자동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빌라이저 상으로 상방향 부력이 사전에 정해진 특정 수치를 초과할 때, 스테빌라이저는 유압 시스템을 통하여 폰툰의 격실 내로 물을 유입하기 위하여 물 유입구를 개방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테빌라이저는 예를 들면, 물 유입 밸브에 연결된 로드(rod)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는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가해진 상승력이 스프링의 인장력을 초과할 때, 스프링은 로드를 통하여 물 유입 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테빌라이저는, 스테빌라이저 상에 가해진 상승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자 부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부하 센서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중앙 제어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유닛은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예를 들면 물 유입 밸브가 개방되도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 시스템은 펌프 및/또는 압축 공기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반응성 밸러스팅 시스템은 완전히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폰툰 부력 제어 수단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수준으로 지속적인 하방향 안정력을 유지하도록 폰툰 부력 제어 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스테빌라이저 및/또는 폰툰 및/또는 부두는 경량으로 건설될 수 있다. 중량 및/또는 강화된 기반 시설이 전혀 또는 충분히 제공되지 않을 때, 경량의 구조물이 더욱 비용 효과적이 될 수 있고,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폰툰 부력 제어 수단이 폰툰의 하나 이상의 격실에서 수면을 조절할 수 있도록 폰툰 부력 제어 수단을 구성함으로써, 폰툰의 부력은 스테빌라이저 상으로 폰툰의 상방향 부력에 대응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수면은, 예를 들면 펌프 및/또는 물 유입 밸브 및/또는 압축 공기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부력 제어 수단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될 수 있다.
폰툰 부력 제어 수단이 안정된 위치로 트림될 수 있도록 폰툰 부력 제어 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선박 해체 동안에 폰툰은 비교적 안정되고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에 있는 폰툰 상에 운반된 선박을 해체하기 위한 선박 해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폰툰의 상방향 부력에 대응하여 하방향 힘을 가함으로써 폰툰을 안정화시키는 단계, 및 폰툰의 부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선박의 해체 동안에, 지속적인 하방향 안정력이 폰툰 상에 가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으로 표현되는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해체 장치는 부두에 대하여 폰툰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의 A-A선을 따라 절단된 개략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장치의 B-B선을 따라 절단된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선박 해체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 및 6의 장치의 상세부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stabilizer)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크(dock)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의 단지 도식적인 및 개략적인 표현인 점에 유의한다. 실시예는 예를 제한하지 않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해체 장치(10)가 부두(quary)(2) 및 해체된 선박을 운반하기 위한 폰툰(pontoon)(3)을 포함한다. 폰툰(3)은 부두를 접하는 물(20)에서 떠 있는다. 물(20)은, 예를 들면 도어를 통하여 환경적 영향에 밀폐될 수 있거나 또는 제방 또는 해안과 같은 자연적 측면부(2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는 도크(dock)(4)에 있을 수 있고, 또한 물은 예를 들면 자연적 또는 인공적 만(bay)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도 1, 2, 3, 4, 및 9의 실시예에서 선박 해체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부두(2)에 의해 둘러싸인 물(20)을 구비한 도크(4) 및 측벽(21)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도크(4)는 도어(6)에 의해 밀폐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선박(5)이 서로 인접할 만큼 충분히 넓다.
도 4a의 도크(4)에서, 폰툰(3)은 수면에 떠 있다. 폰툰(3)은 레일 트랙(22)을 구비한다. 도크(4)의 반대 측에서, 레일 트랙(22)을 구비한 말뚝(23)이 제공된다. 폰툰(3)에 인접하여, 선박(5)은 레일 트랙(22)과 레일 트랙(24) 사이의 도크(4) 내로 인양될 수 있다. 선박(5)은, 부두(2) 상에 장착된 윈치(winch)(도시되지 않음)에 모퉁이에서 연결된 가이드(25)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나서 폰툰(3)에 인접하여 레일 트랙(22)과 레일 트랙(24) 사이에서 선박(5)을 가이드 하는 윈치 및 가이드(25)를 사용하여 선박(5)은 도크(4) 내로 인양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5)은 폰툰(3)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도 4b에 도시된 다음 단계로서, 폰툰(3)은 도크(4)의 저부를 향하여 내려지고, 선박(5)은 잠수된 폰툰(3) 상부로 인양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윈치(도시되지 않음)는 폰툰(3) 상의 가장자리로 선박(5)을 인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5)을 운반할 때까지 폰툰(3)은 상부로 올려질 수 있다. 폰툰(3)을 들어올리는 것은 폰툰(3)의 격실로부터 물을 배출하고 폰툰(3)의 격실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처리될 수 있고, 따라서 폰툰(3)의 부력을 향상시킨다. 폰툰(3)이 수면으로 뜰 때, 폰툰(3) 상에 운반된 선박(5)은 수면 상부에 있게 된다. 물(20)이 밀폐된 도크(4)에 있을 때, 도크(4)의 수면은 도크(4) 외부의 외해역의 수면과 독립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 도크(4)의 수면은 예를 들면 폰툰(3)의 갑판이 부두(2) 표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될 때까지 상승될 수 있다.
폰툰(3)이 수면에 있고, 선박(5)이 수면 상부에 있을 때, 선박(5)은 해체 및/또는 구획될 수 있다. 선박(5)의 구획부는 부두(2) 상으로 인도될 수 있다. 폰툰이 수면에 있고, 레일 트랙(22)이 수면 상부에 있을 때, 레일 트랙(22, 24) 상의 가이드(25)를 사용함으로써 제2 선박이 도크(4) 내로 인양될 수 있다.
선박(5)을 해체하면서, 폰툰(3)은 수면에 떠 있는다. 선박(5) 해체 작업 동안에, 특히, 폰툰(3)으로부터 부두(2) 상으로 선박(5)의 구획부를 이동시킬 때, 폰툰(3)의 위치는 폰툰(3)의 중량 분포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폰툰(3)을 더욱 안정되고 평평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선박 해체 장치(1)는 이하 기재에 따라 스테빌라이저(stabilizer)(16)를 구비한다. 스테빌라이저(16)는 도 1, 2, 및 3의 실시예에서 고정된 권역에 연결되고, 스테빌라이저(16)는 부두(2)에 연결된다. 도 1, 3,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빌라이저(16)는 부두(2)로부터 연장하는 빔(26)을 포함한다.
게다가, 스테빌라이저(16)는, 폰툰(3)이 상방향/하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는 가이드 말뚝(27)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말뚝(27)은 폰툰(3)의 측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및/또는 폰툰(3)의 기울어지는 이동을 제한하고 따라서 폰툰(3)에 안정성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해체 장치(1)의 제2 실시예가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폰툰(3)이 떠 있는 물(20)은 부두(2)에 접한다. 물(20)은 도어(6)로 밀폐될 수 있는 도크(4)에 의해 둘러싸여 진다.
이 실시예에서, 도크(4)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된다. 해체될 선박(5)은 도크(4) 내로 인양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도크(4)는 예를 들면 도어(6)로 폐쇄될 수 있다. 도크(4)에서, 바람 및/또는 조류 및/또는 파도 및/또는 범람과 같은 외부적 환경력에 영향을 덜 받는 환경이 이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최초 위치에서, 폰툰(3)은 수면 아래에 있고, 선박(5)은 폰툰(3) 상부에 인양된다. 그리고 나서, 폰툰(3)의 격실(15)을 공기로 채움으로써 폰툰(3)은 선박(5)의 저부에 도달할 때까지 상승된다. 그리고 나서, 폰툰(3)의 데크(deck)(7)가 수면 위에 있을 때까지, 폰툰(3)은 더욱 상승되고, 선박(5)은 수면 위에서 인양된다. 폰툰(3)이 폐쇄가능한 도크(4)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도크(4)의 수면은 변경될 수 있고, 따라서 폰툰(3)의 데크(7)는 대략 부두(2)의 표면(8) 높이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폰툰(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단 측면(short side)과 2개의 장 측면(long side)을 구비한 긴 형태를 가진다. 폰툰(3)의 단 측면(11)이 부두(2)에 접한다. 바람직하게는, 폰툰(3)의 크기는 대략 해체될 선박(5)의 크기이다. 해체될 선박 형태의 가장 흔한 크기는 파나막스형(Panamax-type) 선박이 될 수 있다.
선박(5)이 폰툰(3) 상에서 건조되면, 선박(5)의 해체 및/또는 구획화가 시작될 수 있다. 선박(5)은 폰툰(3) 상에서 구획부(10)로 절단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툰(3) 상에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및/또는 폰툰(3)에 도달하기 위한 부유 작업 유닛(9)이 폰툰(3) 근처에 제공될 수 있다. 부유 작업 유닛(9)은, 예를 들면 폰툰(3) 근처 물의 말뚝을 통하여 정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부두만 폰툰(3)의 단 측면에 제공될 때거나, 또는 폰툰의 장 측면에서 경사진 해안 또는 제방이 제공될 때, 폰툰(3)의 길이방향으로 이용가능한 부두 또는 해안 또는 제방이 없을 때, 부유 작업 유닛(9)이 사용된다.
파나막스형 선박이, 예를 들면 구획부당 약 12m인 20개의 구획부로 구획될 수 있다. 각각의 구획부는 약 400 내지 500톤의 무게를 가질 수 있다. 폰툰(3) 상의 선박(5)을 구획화하는 것이 비교적 효율적이다. 비교적 단시간(예를 들면, 2주)에, 선박(5)은 구획화 및/또는 해체될 수 있다. 폰툰 상의 선박의 구획화 및 부두 상으로 구획부의 추가 해체로 인하여, 선박은 폰툰을 비교적 단시간 사용한다. 따라서, 선박 해체에서 비교적 고 효율성이 얻어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툰(3)은 지지체(12)를 구비할 수 있고, 부두(2)는 지지체(13)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체(12, 13)는 선박(5)의 구획부(10)에 대응하여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획부(10)는 비교적 최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지지체(12, 13)는 선박(5)의 아랫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체(12)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고, 따라서 최적으로 선박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체(12)에 의해 선박의 아랫면의 음인화(negative print)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선박 구획부의 최적의 지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지체(13)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지지체(12, 13)는 예를 들면, 유압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추가로 롤러 베이스(14)가 선박(5)의 구획부(10)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롤러 베이스(14)는 지지체(12, 13)의 열 사이에서 구동하도록 채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롤러 베이스(14)는 지지체(12)로부터 구획부(10)를 들어올리기고 구획부(10)를 부두(2)의 지지체(13) 상으로 하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잭(jack)을 구비할 수 있다. 일단 구획부(10)가 부두(2) 상으로 이송되면, 구획부(10)가 추가로 해체될 수 있는 절단 스테이션으로 부두(2)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5)의 구획부(10)를 폰툰(3)으로부터 부두(2) 상으로 이송할 때, 폰툰(3) 상의 하중 분포는 변경된다. 특히, 하중 분포는, 부두(2)에 근접한 폰툰(3)의 단 측면에 가까운, 외측방향으로 위치된 폰툰(3)의 격실(15)에서 변경된다. 구획부(10)는 부두(2)를 향하는 방향으로 격실(15)의 데크(7) 위로 이동된다. 먼저, 부두(2)의 반대편의 격실(15) 측면은 구획부(10)의 이동 하중 때문에 들어 올려진다. 부두(2) 상으로 구획부(10)를 이동시킬 때, 부두(2)에 인접한 격실(15) 측면이 들어 올려진다. 손상을 최소화하고, 폰툰(3)으로부터 부두(2) 상으로 구획부(10)의 순조로운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스테빌라이저(16)가 부두(2)에 대하여 폰툰(3)을 안정화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스테빌라이저(16)는 고정된 권역, 이 실시예에서 부두(2)에 연결된다.
선박(5)의 추가 구획부(10)가 폰툰(3) 위로 부두(2)에 이송될 때, 먼저, 부두에 인접한 격실(15)이 구획부(10)의 중량 때문에 하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구획부(10)가 폰툰(3) 상에서 부두(2) 방향으로 그리고 부두(2) 상으로 더 이동될 때, 부두(2)에 인접한 격실(15)은 다시 상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폰툰(3)의 격실(15)의 상방향 및 하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은 격실(15)로부터 물을 공급 및/또는 배출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두(2) 방향으로 추가 구획부(10)를 이동시킬 때, 격실(15)의 하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먼저 물이 격실(15)로부터 배출될 수 있고, 그 뒤에 격실(15)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물이 격실(15)로 공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격실(15) 위로 추가 구획부(10)의 이동 동안에도 또한, 스테빌라이저(16) 상의 충분한 상승력이 남이 있도록, 스테빌라이저(16)의 제한력이 선택될 수 있다. 격실(15) 위로 추가 구획부(10)를 이동할 때, 격실(15)은 먼저 하방향으로 이동할 것이고, 따라서 스테빌라이저(16) 상의 상승력을 감소시킨다. 적절한 수치의 제한력을 선택함으로써, 스테빌라이저(16) 상의 상승력이 부두에 인접한 폰툰(3) 측면의 최초 하방향 이동 동안에 남아 있다. 따라서, 폰툰(3)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폰툰(3)과 스테빌라이저(16) 사이의 접촉이 구획부(10)가 이동 동안에 제공된다.
스테빌라이저(16)는 폰툰(3)과 연동하도록 배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스테빌라이저(16)는 폰툰(3)의 연동 요소(18)와 연동하는 암(17)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연동 요소(18)는 암(17)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18)로써 구성된다.
암(17) 및 리세스(18)는 부두(2)에 대하여 폰툰(3)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시스템으로써 연동한다. 암(17) 및 리세스(18)의 구조 때문에, 폰툰(3)은 부두(2)의 표면 높이보다 더 높게 올라갈 수 없고, 폰툰(3)은 부두(2)에 대하여 고정된다. 스테빌라이저(16)의 암(17)은 폰툰(3)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정지 수단으로써 작동한다. 예를 들면, 고정 암(17)은 수면 및/또는 폰툰(3)의 높이 및/또는 폰툰(3) 상의 지지체(12)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고정 암(17)은, 예를 들면 선박 해체 장치(1)가 사용되지 않을 때, 부두(2)에 대해 피봇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테빌라이저(16)에서, 상방향 부력(B)이 폰툰(3)에 의해 가해진다. 스테빌라이저(16)는, 스테빌라이저(16) 상으로 폰툰(3)에 의해 가해지는 상방향 힘을 측정하기 위한 힘 측정 유닛(28)을 구비할 수 있다. 스테빌라이저(16) 상의 상방향 부력이 매우 크게 될 때, 예를 들면, 약 1x10^5N(약 10톤)보다 더 큰, 사전에 정해진 제한력 보다 더 클 때, 부력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 폰툰(3)의 격실(15)의 수면이 조절되도록 유도한다. 폰툰(3)의 수면은 폰툰의 격실(15)의 부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승될 것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하방향 안정력이 폰툰(3) 상에 스테빌라이저(16)에 의해 가해질 수 있고, 폰툰(3)과 스테빌라이저(16) 사이의 지속적인 접촉이 얻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테빌라이저(16) 상의 상방향 부력을 제한하기 위해 사전에 정해진 제한력은 약 600톤(약 60x10^5N)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약 500톤의 구획부(10)를 폰툰 위로 이동시킬 때, 폰툰(3)의 중량 분포는 변경된다. 그러나 폰툰(3)의 남아 있는 최종 상승력은 약 100톤이 될 것이고, 따라서 폰툰(3)과 스테빌라이저(16) 사이의 접촉은 구획부(10)의 이송 동안에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폰툰(3)의 부력은 부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구획부(10)가 폰툰(3) 위로 부두(2) 상으로 이동될 때, 더 내측 방향으로 배치된 폰툰(3)의 격실(15)만 폰툰(3)의 대략적인 높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물로 채워지면 된다. 부두(2)에 인접한 외측 방향으로 배치된 격실(15)의 수면은 변함없을 수 있고, 따라서 더욱 견고한 선박 해체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격실(15)은 격실(15)로 유입하는 물을 위한 유입구가 될 수 있는 밸브(19)를 구비할 수 있다. 밸브(19)는 수동적으로, 기계적으로, 유압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또는 다른 제어 시스템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물은 펌프를 통하여 격실(15)로부터 배출되거나 또는 격실(15)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부두(2)에 인접한 격실 이외의 격실(15)의 수면은 각각의 격실의 상방향 또는 하방향 이동에 반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격실(15)의 부력은 일반적으로 고정 암(17)에서 힘 측정 유닛(28)으로 측정된다. 일 예로서,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유압 피스톤이 고정 암(17)에 제공될 수 있다. 부력이 너무 크게 될 때, 즉, 유압 실린더 상의 힘이 사전에 정해진 제한치를 초과하여 너무 크게 될 때, 기계적, 유압적 또는 전자적 입력이 개방하기 위하여 밸브(19)에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격실(15)의 수면이 높아지게 될 수 있다.
도 9는 선박을 해체하기 위한 도크 장치의 개략적인 개관을 제공한다. 도크(4)는, 도 4에 도시된 장치와 유사하게, 서로 평행한 2개의 선박(5)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넓다. 이 실시예에서 폰툰(3)은 강화된 부두벽(2)에 양 단 측면에서 접한다. 선박(5)의 구획부는 폰툰(3)으로부터 부두(2) 상의 양 측면으로 이동될 수 있고, 따라서 선박 해체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부두(2)에서, 구획부(10)는, 구획부의 추가 처리를 위해 도크로부터 멀리 떨어진 절단 및/또는 스크래핑(scraping) 구역으로 더 이동될 수 있다. 폰툰(3)에 인접한 부두(2)의 양 단 측면에서, 스테빌라이저(16)는 예를 들면, 선박(5)의 구획부(10)를 부두(2) 상으로 이동할 때 폰툰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획부 중량이 약 500톤일 때 약 600톤으로, 스테빌라이저 상의 최종 상승력의 적절한 제한치를 선택함으로써, 추가 구획부(10)가 폰툰을 떠나 부두 상으로 이동될 때, 폰툰(3)의 더 내측 방향으로 배치된 격실만 물로 채워지면 된다. 선박의 앞선 구획부를 부두 상으로 이동시킬 때 더 외측 방향으로 배치된 격실의 부력은 이미 설정되어 있고, 이러한 격실의 부력은 변함없을 수 있다. 따라서, 부력을 제어하기 위한 비교적 간단한 제어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변경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고,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1 선박 해체 장치 2 부두
3 폰툰 16 스테빌라이저
17 고정 암 25 가이드

Claims (13)

  1. 부두 및 상기 부두에 인접한 물에서 해체될 선박을 운반하기 위한 폰툰(pontoon)을 포함하는 선박 해체 장치로서,
    고정된 권역에 연결되고, 상기 폰툰의 상방향 부력에 대응하여 하방향 반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부두에 대하여 상기 폰툰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스테빌라이저(stabilizer), 및 상기 폰툰의 부력을 제어하기 위한 폰툰 부력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박의 해체 동안에, 지속적인 하방향 안정력이 상기 폰툰 상으로 상기 스테빌라이저에 의해 가해지도록 하는, 선박 해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저는 상기 부두에 대한 상기 폰툰의 측방향 이동도 또한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폰툰과 연동하도록 구성된, 선박 해체 장치.
  3.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저는, 설정 높이에서 상기 폰툰과 연동하도록 구성된 고정 암 또는 고정 빔을 포함하는, 선박 해체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해체 장치는 상기 부두에 대하여 상기 폰툰을 가이드 하기 위한, 상방향 배치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선박 해체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해체 장치는 상기 스테빌라이저에서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여 상기 폰툰의 부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선박 해체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폰툰 부력 제어 수단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수준으로 지속적인 하방향 안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선박 해체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폰툰 부력 제어 수단은 상기 폰툰의 하나 이상의 격실에서의 수면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선박 해체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폰툰 부력 제어 수단은 안정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폰툰을 트림(trim) 하도록 구성된, 선박 해체 장치.
  9. 물에 있는 폰툰 상에 운반된 선박을 해체하기 위한 선박 해체 방법으로서,
    상기 폰툰의 상방향 부력에 대응하여 하방향 반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폰툰을 안정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폰툰의 상기 부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선박의 해체 동안에, 지속적인 하방향 안정력이 상기 폰툰 상으로 가해지도록 하는, 선박 해체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속적인 하방향 안정력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선박 해체 방법.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폰툰의 상기 부력은 상기 폰툰의 하나 이상의 격실에서의 수면을 조절함으로써 제어되는, 선박 해체 방법.
  12.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폰툰은 안정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트림되는, 선박 해체 방법.
  13.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해체 방법은 상기 폰툰 상의 상기 선박을 구획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 해체 방법.
KR1020117015876A 2008-12-08 2008-12-08 선박 해체 장치 및 방법 KR201101045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NL2008/050783 WO2010068085A1 (en) 2008-12-08 2008-12-08 Arrangement and method for dismantling a vess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518A true KR20110104518A (ko) 2011-09-22

Family

ID=40908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876A KR20110104518A (ko) 2008-12-08 2008-12-08 선박 해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370311A1 (ko)
KR (1) KR20110104518A (ko)
CN (1) CN102307779A (ko)
WO (1) WO201006808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381B1 (ko) * 2012-07-20 2014-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 로드아웃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로드아웃 방법
KR20150033804A (ko) 2013-09-24 2015-04-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 부유체의 해상 분리공법
KR101988225B1 (ko) 2018-10-24 2019-06-12 한동훈 선박의 유류 제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2004349U1 (de) * 2012-05-04 2013-08-05 Olb Offshore Logistics Bremerhaven Gmbh Ponton für den Transport großer und schwerer Lasten
MX2015005714A (es) * 2012-11-06 2016-03-09 Erik Dogra Arreglo de desmantelamiento de barco y metodo para el mismo.
FR3067047B1 (fr) * 2017-06-06 2019-07-26 Ideol Procede de mise a l'eau
JP7483194B2 (ja) 2020-12-10 2024-05-15 大成建設株式会社 進水装置及び進水方法
US11732431B2 (en) 2021-06-26 2023-08-22 Jsv Group, Inc. Submergible water activity platform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570576A (da) * 1976-01-12 1977-07-13 S Ingvason Anleg til udforelse af arbejde pa et skibsskrog
US4381723A (en) * 1981-04-06 1983-05-03 Nordco Limited Submersible drydock
CN101410291A (zh) * 2006-01-10 2009-04-15 简马留斯·范德斯托尔 浮桥,船坞及用于船坞的方法
EP2001785A2 (en) * 2006-03-23 2008-12-17 Sunstream Corporation Failsafe watercraft lift with convertible leveling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381B1 (ko) * 2012-07-20 2014-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 로드아웃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로드아웃 방법
KR20150033804A (ko) 2013-09-24 2015-04-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 부유체의 해상 분리공법
KR101988225B1 (ko) 2018-10-24 2019-06-12 한동훈 선박의 유류 제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07779A (zh) 2012-01-04
WO2010068085A1 (en) 2010-06-17
EP2370311A1 (en)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4518A (ko) 선박 해체 장치 및 방법
US20110129303A1 (en) Foundation Construction Platform Used In a Beach or Offshore Areas
JP5264593B2 (ja) 固定用着底部材、緊張係留浮体システム及びその設置方法
KR100949891B1 (ko) 육상건조된 선박의 횡방향 진수공법과 그 장치
AU7043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k installation on an offshore structure
WO2003062046A1 (en) Transporting a ship over shallows of a watercourse
PL199885B1 (pl) Jednostka pływająca
KR20160014286A (ko) 부유식 구조물
EP1060982A2 (en) Installation of decks on offshore substructures
MX2011013463A (es) Metodo de carga de casco de guindaste.
WO2012115508A1 (en) Vessel comprising a stabilizing system
KR101015167B1 (ko) 이동식 발라스트 탱크를 가지는 바지선 및 운반물의 이송에따른 바지선의 발라스팅 방법
WO201010924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a submersible item
WO2005123499A1 (en) Offshore vessels for supporting structures to be placed on or removed from the seabed or offshore installations
KR101186257B1 (ko) 부력용 부유체를 구비하는 크레인선 및 그의 안정화 방법
RU2727496C1 (ru) Портовая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швартовки плавучего тела в портовой установке
WO2015136086A1 (en) A quay structure, a quay arrangement and a method of installing such structure
KR102620637B1 (ko) 부력 보강용 에어백을 이용한 선박 진수 방법
JPH0976985A (ja) 積載甲板昇降式バージ船
GB2269138A (en) Stabilising submersible barges.
CN216973154U (zh) 一种大跨度桥梁拱肋抬浮顶升装船结构
EP4001090A1 (en) Pier module and pier
KR100724055B1 (ko) 해상 선박에서의 골재 선적 및 하역시스템과 그에 적용되는작업선
EP4001091A1 (en) Pier module and method of anchoring a pier module
KR100996746B1 (ko) 육상건조 선박의 힌지타입 진수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