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4179A - 탈취부를 갖는 가열조리기 - Google Patents

탈취부를 갖는 가열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4179A
KR20110104179A KR1020100023160A KR20100023160A KR20110104179A KR 20110104179 A KR20110104179 A KR 20110104179A KR 1020100023160 A KR1020100023160 A KR 1020100023160A KR 20100023160 A KR20100023160 A KR 20100023160A KR 20110104179 A KR20110104179 A KR 20110104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water
chamber
deodorizing
deodo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1810B1 (ko
Inventor
김종부
채기탁
김지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100023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810B1/ko
Publication of KR20110104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여기에서는 가열조리기가 개시된다. 가열조리기는 생선 또는 육류 등을 가열하기 위한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로부터 냄새 또는 연기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탈취실과, 상기 탈취실 하부에 배치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물을 이용하여 상기 탈취실 내 공기의 냄새 또는 연기를 제거하는 탈취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저수조는, 탈취에 이용될 물이 저장되는 제1 저수부와, 상기 제1 저수부로부터 넘친 물이 저장되는 제2 저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취부를 갖는 가열조리기{HEATING GRILL WITH DEODORIZING PART}
본 발명은 탈취부를 갖춘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조리부에서 생선 또는 육류 등을 구울 때 발생하는 냄새 또는 연기를 탈취부에서 제거하는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가열조리기, 특히, 생선구이기는 밀폐형의 조리실을 구비한다. 가열조리기는 생선 또는 육류 등을 가열하여 익히는 조리 과정에서 많은 연기와 냄새를 발생시킨다. 특히, 조리가 끝난 후, 밀폐형 조리실을 개방하면, 그곳에서 발생한 냄새와 연기가 한꺼번에 외부로 누출되어 사람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도 10은 종래의 가열조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종래의 가열조리기는, 힌지(2)에 의해 서로 연결된 용기부(3)와 뚜껑부(4)를 포함하며, 뚜껑부(4)가 용기부(3)의 상부를 덮을 때, 그 사이에 밀폐형의 조리실이 형성된다. 조리실의 하부와 상부, 즉, 용기부(3)와 뚜껑부(4)에는 각각 하부 히터(5a)와 상부 히터(5b)가 설치된다. 또한, 용기부(3)에는 생선 또는 육류 등 피조리물을 받치기 위한 석쇠(9) 등이 거치식으로 배치된다. 또한, 뚜껑부(4)에는 탈취필터(6)가 설치되는데, 이 탈취필터(6)는 연기 또는 냄새를 포함하는 가스 성분을 흡착 제거하는 물질, 탈취제, 또는 촉매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가열조리기는, 탈취 필터의 제한된 처리 능력으로 인해, 조리 시간의 증가에 거의 비례적으로 발생하는 연기나 냄새 성분을 제거하기에는 크게 부족하였다. 게다가, 조리 중 발생한 냄새 또는 연기를 포함하는 가스 또는 증기가 탈취 필터 내에 단시간 동안에 농축되어서, 탈취 필터의 처리 용량이 단시간에 초과된다. 또한, 그 이후 발생되는 냄새나 연기에 대해서는 탈취 필터가 더 이상의 탈취/흡착 기능을 할 수가 없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조리실 바닥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물을 넣어 이용하기도 한다. 이 경우, 생선 또는 육류가 조리되면서 발생한 기름과 가열 증기 일부가 내부 대류를 통해 물에 접촉하여 용해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냄새를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조리 중 발생한 연기 또는 냄새 가스는, 고온이므로, 대부분 조리실 하부보다 상부에 모이며, 이로 인해 물에 흡수 또는 용해되는 양은 극히 미량이며, 대부분의 냄새나 연기는 대기중으로 배출될 수밖에 없다. 또한, 냄새나 연기가 포함된 공기를 조리기 외부로 배기하는 경우, 배기되는 공기와 함께 열기도 함께 외부로 배출되므로, 에너지 손실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탈취부 내 탈취실에서 물 분사에 의한 수막 형성을 통해 조리실로부터 탈취실로 유입된 공기 중의 냄새 또는 연기를 제거하는 가열조리기를 개발한 바 있다. 이 가열조리기 관련 기술은 본 발명의 출원인인 'NUC 전자'에 의해 2009년 2월 7일 출원되어 2009년 12월 15일에 "탈취/연기제거 기능을 갖는 가열조리기"의 명칭으로 특허등록된 한국 특허 제10-0933552호에 잘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탈취에 이용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가 탈취실의 하부에 배치되고, 분사유닛은 저수조의 물을 끌어올려 탈취실에 분사하고 그 분사된 물은 저수조에 다시 회수되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조리실로부터 유입된 공기 중의 수증기와 저수조의 물에 용해되는 냄새 또는 연기 성분에 의해, 수분이 저수조에 누적되어 수면이 상승하는 현상을 유발한다. 수면 상승은 저수조의 물 바로 위쪽에 위치한 탈취실의 내부 입구를 막아, 조리실의 오염된 공기가 탈취실의 수막을 통과하는 것을 어렵게 하며, 수면이 더 상승하는 경우에는, 분사유닛의 물 분사홀이 막혀서 탈취실에 수막을 형성시키는 것을 저해한다. 또한, 저수조에 저장된 물이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의 위치까지 도달하는 경우에는 팬을 구동시키는 모터의 과부하를 야기하여 모터의 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탈취실 하부에 배치되는 저수조의 수면 상승을 일정 높이 이하로 유지하여, 가열조리기의 탈취부 성능과 수명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로부터 냄새 또는 연기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탈취실과, 상기 탈취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물을 이용하여 상기 탈취실 내 공기의 냄새 또는 연기를 제거하는 탈취수단을 포함하는 가열조리기가 제공되며, 여기에서, 상기 저수조는 탈취에 이용될 물이 저장되는 제1 저수부와, 상기 제1 저수부로부터 넘친 물이 저장되는 제2 저수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저수부는 제1 저수통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저수부는 상기 제1 저수통의 주변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제2 저수통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저수통의 높이가 상기 제2 저수통의 높이보다 작은 것이 선호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저수통에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저수부로부터 상기 제2 저수부로의 물 넘침을 상기 구멍을 통해 허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저수부는 상기 제1 저수통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저수부는 상기 제1 저수통의 외측에 결합된 제2 저수통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저수통과 마주하는 상기 제1 저수통의 상단에 물 넘침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넘침 홈 대신에 상기 제1 저수통의 측벽을 관통하는 구멍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취수단은 상기 제1 저수부의 물에 일부가 잠기는 압송로와 상기 압송로와 연결된 복수의 분사홀이 형성된 회전분사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분사체는 회전에 의해 상기 압송로를 통해 물을 끌어올려 상기 복수의 분사홀을 통해 상기 탈취실 내로 물을 분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조리실로부터 환기실로 들어온 공기 중의 냄새 또는 연기를 환기실 중간에 분사된 물에 의해 제거하여, 냄새 또는 연기를 외부에 방출함 없이 환기실 내에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수조의 수면 상승시 제1 저수부의 물을 제2 저수부가 받아 저장하는 구조에 의해, 저수조의 수면 상승으로 인한, 탈취 또는 연기 제거 효율의 저하 또는 모터 고장 등의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조리기의 외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열조리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열조리기의 탈취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탈취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탈취부 측의 탈취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실의 인렛 통로 아웃렛 통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저수조의 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I-I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분 제거 필터 및 다른 형태의 저수조가 적용된 가열조리기의 탈취부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조리기의 외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열조리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열조리기의 탈취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탈취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탈취부 측의 탈취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의 의 (a) 및 (b)는 탈취실의 인렛 통로 아웃렛 통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조리기(1)는, 생선 또는 육류 등의 피조리물을 굽기 위한 조리부(100)와, 생선 등을 굽는 조리 과정에서 상기 조리부(100) 내에서 발생한 냄새 또는 연기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탈취부(200)는 상부 내측에 탈취실(20; 도 1 참조)을 포함하며, 상기 탈취실(20)의 하부에는 저수조(30)가 상기 탈취실(20)과 통해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탈취부(200)는 조리부(100)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물을 분사하여 그 공기 중의 냄새 또는 연기를 제거하는 물 분사에 의한 탈취 방식을 이용하며, 상기 저수조(30)는 탈취에 이용되는 물을 저장하고, 물 분사 후에 낙하하는 물을 회수하여 다시 저장한다. 가열조리기(1), 특히, 탈취부(200)에 대한 탈장착을 이용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조(30)의 외벽에는 손잡이(31)가 형성된다. 상기 저수조(30)는, 이하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면을 일정 높이 이하로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저수조(30)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열조리기(1)는 조리부(100) 내측에 밀폐형의 조리실(10)을 포함한다. 상기 조리실(10)은 뚜껑부(10b)가 상부 개방형의 용기부(10a)에 닫힐 때, 상기 용기부(10a)와 상기 뚜껑부(10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구성으로 조리실(10)이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생선 또는 육류 등의 피조리물을 밀폐형 조리실(10) 내에 넣거나 조리실(10)로부터 피조리물을 꺼낼 수 있는 것으로 족하다. 단, 조리실(10)이 용기부(10a)와 뚜껑부(10b)에 의해 한정된 구조에서는, 조리실(10)과 탈취실(20)을 연결하는 유입 관로 및 유출 관로가 모두 뚜껑부(10b)에 위치할 수도 있고, 그들 모두가 용기부(10a)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그들 각각이 용기부(10a)와 뚜껑부(10b)에 나뉘어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조리실(10) 내에는 피조리물을 가열하는 수단으로 하부 히터(12a)와 상부 히터(12b)가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히터(12a)와 상부 히터(12b) 사이에는 생선 또는 육류 등의 피조리물을 받치는 예를 들면, 석쇠, 조리판, 불판 등과 같은 받침부(13)가 상기 용기부(10a)에 형성된 단턱에 거치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부(10a)의 바닥에는 상기 조리실(10)의 하부에 임하여 착탈식의 물받이(16)가 설치된다. 상기 물받이(16)의 물은 조리 중 발생하여 내부 대류에 의해 아래로 향하는 기름과 가열 증기 일부와 접촉하여 냄새나 연기 성분 일부의 제거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수분이 제한되어야 유리한 음식 조리의 경우, 상기 물받이(16)가 없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물받이(16)를 의도적으로 생략한 가열조리기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탈취부(200; 도 1 참조)의 상부 내측에는 탈취실(20)이 배치된다. 상기 탈취실(20) 내에는 회전팬(40)이 배치되며, 이 회전팬(40)에 의해 조리실(10)과 탈취실(20) 사이의 공기 순환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탈취실(20)과 상기 조리실(10)은 인렛 통로(I; 도 6a 참조)와 아웃렛 통로(O; 도 6b 참조)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조리실(10)에서 발생한 공기, 즉, 냄새와 연기가 포함된 공기는 인렛 통로(I)를 통해 상기 탈취실(20) 내로 유입된다. 다음, 공기는, 탈취실(20) 내에서 냄새나 연기가 제거된 다음, 아웃렛 통로(O)를 통해 탈취실(20)을 나와 다시 조리실(10)로 들어간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30)는 탈취실(20)의 하부에 임하여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탈취실(20)의 공기는 상기 저수조(30)의 물과 계면을 형성한다. 탈취실(20) 내 공기는 조리실(10)의 냄새 또는 연기를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조리기는 저수조(30)의 물을 끌어올려 물방울 형태로서 상기 탈취실(20)에 방사상으로 분사하는 물 분사유닛을 포함한다. 방사상으로 분사된 물은 상기 탈취실(20) 중간에 도 4에서 파선 블록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수막(W)을 형성하며, 그 수막(W)에 의해, 상기 공기 중의 냄새 또는 연기는 탈취실(20)의 중간에서 차단된다. 차단된 냄새 또는 연기 성분은 물방울들에 흡수된 채 저수조(30)로 떨어진다. 상기 저수조(30)는, 착탈식으로 설치되므로, 물의 교환 및/또는 저수조(30) 내부의 청소가 용이하다.
상기 물 분사유닛은 원심력으로 작동하는 회전분사체(50)로 이루어진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전분사체(50)는 회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물방울(또는, 물입자)을 분사하는 구조이지만, 다른 구조 또는 다른 방식의 분사유닛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회전분사체(50)는, 중앙에 길게 형성된 물의 압송로(52; 도 5에 잘 도시됨)와, 상기 압송로(52)와 연결되도록 측벽에 형성된 다수의 분사홀(54; 도 5에 잘 도시됨)들을 포함한다. 상기 압송로(52)의 하부는 상기 저수조(30)의 물에 잠긴다. 이때, 상기 압송로(52)의 하부에는 복수의 리브(51)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분사체(50)는 모터(60; 도 3 및 도 5에 잘 도시됨)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회전 및 그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저수조(30)의 물이 상기 압송로(52)를 통해 위로 압송되며, 압송된 물은 원심력에 의해 상기 분사홀(54)들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상기 복수의 리브(51)는 상기 압송로(52)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리브(51)는, 상기 회전분사체(50)의 회전시, 물을 압송로 하단으로부터 압송로 상측으로 안내하는 형상을 가져, 상기 압송로(52)를 통한 물의 끌어올림이 더 잘되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 압송로(52)는 저수조(30)의 물에 잠긴 하부로부터 상측을 향해 내경이 확장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분사체(50)는 상기 분사홀(54)들과 가까이 있고 측벽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디스크부(56)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웃하는 디스크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홀(54)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디스크부(56)는 분사된 물이 더 넓게 퍼지면서 낙하되도록 돕는다. 또한, 상기 회전분사체(50)는 하부에서 상부로 향할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확장형 구조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스크부(56)는 아래쪽 것보다 위쪽의 것의 직경이 더 크다.
상기 회전분사체(50)와 회전팬(40)은 하나의 동일 모터(60)에 의해 동심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모터(60)를 구동시키는 작동만으로도, 회전팬(40)과 회전분사체(50)가 동시에 회전하여, 조리실(10; 도 2 참조)과 탈취실(20) 사이의 공기 순환 및 탈취실(20) 내에서의 냄새 및 연기 제거가 함께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팬(40)은 상기 회전분사체(50)의 상측에 위치하며, 탈취실(20)의 인렛 통로(I)와 아웃렛 통로(O) 사이에 위치한다. 도시된 것과 달리, 회전팬(40)과 회전분사체(50) 각각은 대응되는 서로 다른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탈취실(20)은 상기 회전팬(40)과 상기 회전분사체(50) 주변을 둘러싸는 내통(21)의 내부에 한정되고, 상기 내통(21)의 외부에는 상기 내통(21)과 연결된 격벽(23; 도 3 내지 도 6 잘 도시됨)에 의해 인렛 챔버(221)와 아웃렛 챔버(222)를 한정하는 외통(22)이 형성된다.
도 3, 도 4, 도 5 및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실의 인렛 통로(I)는, 상기 인렛 챔버(221) 및 그것에 연결된 상기 외통(22)의 외부 입구(22a) 및 상기 내통(21)의 내부 입구(21a)에 의해 한정된다. 또한, 도 3, 도 4, 도 5 및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취실의 상기 아웃렛 통로(O)는, 상기 아웃렛 챔버(222) 및 그것에 연결된 상기 외통(22)의 외부 출구(22b) 및 상기 내통(21)의 외부 출구(21b)에 의해 한정된다. 이때, 상기 내부 입구(21a)는 내통(21)의 상단 홈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내부 출구(21b)는 내통(21)의 하단 홈에 의해 형성된다.
도 3, 도 4 및 도 5에는 탈취실 내 공기의 이동 경로가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모터(60) 구동에 의해 회전팬(40)이 회전할 때, 조리실(10; 도 2 참조)의 오염된 공기가, 인렛 통로(I)를 통해 탈취실(20)로 유입된다. 이때, 회전팬(40)과 함께 회전분사체(5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회전분사체(50)는, 저수조(30)의 물을 끌어 올려 탈취실(20)의 오염된 공기에 물을 분사한다. 분사된 물은 공기 중의 냄새와 연기를 흡수한 후 저수조(30)로 낙하한다. 탈취실(20)에서 공기는 상기 회전팬(40)의 연속적 회전에 의해 그 탈취실의 아웃렛 통로(O)를 통하여 조리실(10)로 유출된다.
한편, 공기로부터 제거된 냄새 성분 및 연기 성분은 물에 용해되거나 가라앉아서, 탈취실(20) 하부에 임해 있는 저수조(30)에 모인다. 상기 저수조(30)는 탈부착식으로 상기 탈취실(2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저수조(30)를 상기 탈취실(20)의 하부로부터 분리하여 물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조리실로부터 탈취실(20)로 유입된 공기 중에는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수증기로 인해, 또는, 연기 성분이 저수조(30)의 물에 녹아 저수조(30) 내 물의 수면이 상승한다. 이 수면 상승은 전술한 내부 입구(21a)를 막아 조리실(10)과 탈취실(20) 사이의 공기 순환을 방해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회전분사체(50)의 분사홀(54)들 일부를 막거나 팬을 구동시키는 모터의 과부하를 일으킬 수 있다.
저수조 내 수면 상승으로 인한 여러 문제점들을 막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30)는 물을 일정 수면 이하로 유지시키는 구조를 포함하며, 이 구조는 제1 저수부(32)와 상기 제1 저수부(32)로부터 격리된 제2 저수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저수부(32)와 상기 제2 저수부(33)의 격리를 위해, 상기 저수조(30)는 제1 저수통(322)과 상기 제1 저수통(322)의 주변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제2 저수통(3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저수부(32)는 상기 제1 저수통(322)의 내부에 형성되어 회전분사체(50)에 공급될 물을 저장하며, 상기 제2 저수부(33)는 상기 제1 저수통(322)과 상기 제2 저수통(33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저수부(32)로부터 넘치는, 즉, 상기 제1 저수통(322)의 상단을 넘는 물을 저장한다. 임계 수면 높이에서 제1 저수부(32)로부터 제2 저수부(33)로 물이 잘 넘어가도록, 상기 제1 저수통(322)의 높이는 상기 제2 저수통(332)의 높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저수통(332)의 상부 내벽면에는 상기 저수조(30)를 회전 방향으로 돌리는 것에 의해, 다른 체결 돌기(미도시됨)가 형성된 탈취실의 벽에 상기 저수조(30)를 체결시키는 체결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저수통(322)의 높이를 낮추는 대신 상기 제1 저수부(32)와 상기 제2 저수부(33)을 연결하는 관통 구멍을 상기 제1 저수통(322)의 측벽에 형성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저수부(33)의 물 넘침을 대비해 상기 제2 저수통(32)에 코크 마개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제2 저수통(332)이 내벽면이 탈취부의 탈취통과 접해 체결되지만, 제1 저수통(322)의 외벽면 또는 내벽면이 탈취부의 탈취통과 접해 체결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도 7은 저수조(30)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I-I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회전분사체(50)에 공급될 물을 저장하는 제1 저수부(32)가 중앙의 제1 저수통(322)의 안쪽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저수부(33)는 상기 제1 저수통(322)의 외주 일부에 결합된 제2 저수통(332)의 안쪽에 형성된다. 앞선 예의 저수조는 제2 저수통이 제1 저수통의 주변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구조를 포함하지만, 본 예의 경우. 제2 저수통(332)이 제1 저수통(322)의 일부 외주 영역에만 위치하여, 앞선 예에 비해 저수조(30)의 점유 부피가 작다. 상기 제2 저수통(332)과 마주하는 제1 저수통(322)의 측벽 상단에는 제1 저수부(32)로부터 제2 저수부(33)로의 물 넘침을 허용하는 물 넘침 홈(335)이 형성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열조리기(1)는, 조리실(10)에서 뜨거워진 공기가 탈취실(20)을 거친 후, 큰 온도 손실 없이 상기 조리실(10)로 다시 들어가는 점이 유리하다. 그러나, 상기 저수조(30) 내의 물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면 가열조리기의 특성 또는 성능이 원치 않게 변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저수조(30) 내 물 온도를 일정온도 이하로 유지시키기 위한 냉각장치(미도시됨)를 상기 저수조(30) 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냉각장치는 열전소자 또는 냉각물질이 흐르는 관일 수 있다. 상기 냉각장치는 저수조 내의 물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에 의해 가열조리기의 성능 또는 특성이 원치 않게 변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도 9는 탈취실에 수분 제거 필터를 적용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공기 중에서 수분을 분리 제거하는 수분 제거필터(90)가 상기 탈취실(20)의 아웃렛 통로(O)를 막도록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수분 제거필터(90)는, 자신의 프레임부(92)가 상기 저수조(30)의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채, 그 저수조(30)의 내벽에서 지지되며, 자신의 필터링부(94)는 상기 프레임부(92)에 연결된 채 상기 아웃렛 통로(O)를 막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분 제거필터(90)가 장착된 저수조(30)를 탈취실(20)의 하부, 더 구체적으로는, 외통(22) 하부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수분 제거필터(90)의 필터링부(94)가 상기 아웃렛 통로(O), 특히, 외통의 외부 출구(22b)를 막는다. 이때, 필터링부(94)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또는 그에 유사한 소수성 재료로 형성된 미세 다공을 포함하는 수지 필터이거나 또는 미세 다공이 형성된 금속망일 수 있다. 상기 수분 제거필터(90)는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되, 그 공기 중의 수분은 차단한다. 차단된 수분은 물방울으로 맺힌 후, 저수조(30)로 흘러내릴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수분 제거필터(90)는, 망구조 외에, 수증기를 물방울로 맺히게 하는 다른 형상으로 변경될 수도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제올라이트와 같은 제습성 물질이 포함된 수분 제거필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수분 제거필터(90)의 착탈식 구조는, 수분 제거필터(9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예컨대, 조리실 내 수분이 많이 요구되는 조리의 경우, 수분 제거필터(90)를 제거하고, 조리실 내 수분이 적은 것이 유리한 조리의 경우, 상기 수분 제거필터(90)를 장착한다.
10: 조리실 20: 탈취실
30: 저수조 50: 회전분사체
32: 제1 저수부 33: 제2 저수부
322: 제1 저수통 332: 제2 저수통

Claims (6)

  1. 조리실;
    상기 조리실로부터 냄새 또는 연기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탈취실;
    상기 탈취실 하부에 배치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수조의 물을 이용하여 상기 탈취실 내 공기의 냄새 또는 연기를 제거하는 탈취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저수조는, 탈취에 이용될 물이 저장되는 제1 저수부와, 상기 제1 저수부로부터 넘친 물이 저장되는 제2 저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수부는 제1 저수통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저수부는 상기 제1 저수통의 주변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제2 저수통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수통의 높이가 상기 제2 저수통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수부는 상기 제1 저수통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저수부는 상기 제1 저수통의 외측에 결합된 제2 저수통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저수통과 마주하는 상기 제1 저수통의 상단에 물 넘침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수부와 상기 제2 저수부 사이는 벽에 의해 격리되며, 상기 벽에는 상기 제1 저수부로부터 상기 제2 저수부 물 넘침을 허용하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수단은 상기 제1 저수부의 물에 일부가 잠기는 압송로와 상기 압송로와 연결된 복수의 분사홀이 형성된 회전분사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분사체는 회전에 의해 상기 압송로를 통해 물을 끌어올려 상기 복수의 분사홀을 통해 상기 탈취실 내로 물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KR1020100023160A 2010-03-16 2010-03-16 탈취부를 갖는 가열조리기 KR101151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160A KR101151810B1 (ko) 2010-03-16 2010-03-16 탈취부를 갖는 가열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160A KR101151810B1 (ko) 2010-03-16 2010-03-16 탈취부를 갖는 가열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179A true KR20110104179A (ko) 2011-09-22
KR101151810B1 KR101151810B1 (ko) 2012-06-01

Family

ID=4495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160A KR101151810B1 (ko) 2010-03-16 2010-03-16 탈취부를 갖는 가열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864B1 (ko) * 2013-07-08 2015-05-2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 포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240A (ja) 1999-07-26 2001-02-06 Zojirushi Corp ロースター
JP2003225168A (ja) * 2002-02-04 2003-08-12 Shinpo Co Ltd ロースターにおけるドレンパンへの自動給水装置
KR200406269Y1 (ko) 2005-10-28 2006-01-20 탁준희 불판연기처리장치
KR100933522B1 (ko) * 2009-02-07 2009-12-23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탈취/연기제거 기능을 갖는 가열조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864B1 (ko) * 2013-07-08 2015-05-2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 포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810B1 (ko)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522B1 (ko) 탈취/연기제거 기능을 갖는 가열조리기
EP3422915B1 (en) Air-based fryer
KR101803836B1 (ko) 유증기 및 연기 정화 순환시스템을 구비한 전기구이기
RU2737519C2 (ru) Мультипечь
KR101398481B1 (ko) 음식 조리 장치 및 음식 조리 장치를 위한 에어 가이드 부재
JP5883995B2 (ja) 食品蒸し器
US7208702B2 (en) Steam cooker
US9211038B2 (en) Cooking appliance with electric immersion resistor comprising a cooking vapor suction device
CN106175477B (zh) 无油空气炸锅
KR20140035992A (ko) 식품 조리 장치
WO2017215926A1 (en) An air-based cooker
KR100823674B1 (ko) 고기 구이기의 후드 및 탈취장치
KR102152534B1 (ko) 공기순환식 전기로스터
CN211380772U (zh) 烹饪器具
KR101151810B1 (ko) 탈취부를 갖는 가열조리기
KR100794911B1 (ko) 전기프라이팬의 공기순환 분사구조
JP5104881B2 (ja) 炊飯器
KR20200044658A (ko)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공기 순환식 로스터
CN220275369U (zh) 锅装置、食物加工器和附接装置
KR102038278B1 (ko) 가습청정장치
CN112020626B (zh) 烹饪烟雾排出装置
CN211380767U (zh) 烹饪器具
KR20110000094U (ko)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KR200166298Y1 (ko) 콤펙트한 고기구이기
JP3554151B2 (ja) ホットプレ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