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094U -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094U
KR20110000094U KR2020090008367U KR20090008367U KR20110000094U KR 20110000094 U KR20110000094 U KR 20110000094U KR 2020090008367 U KR2020090008367 U KR 2020090008367U KR 20090008367 U KR20090008367 U KR 20090008367U KR 20110000094 U KR20110000094 U KR 201100000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ood processor
cooling system
case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3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8989Y1 (ko
Inventor
이광재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8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98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0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0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9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9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은 냉각탱크로서, 상부가 개방된 상부 케이스 및 그 하부에 유출구를 구비한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중공형인 중앙봉, 상기 중앙봉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가이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탱크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냉각탱크를 포함한다.
음식물 처리기, 냉각 시스템

Description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COOLING SYSTEM FOR FOOD WASTE TREATMENT AND FOOD WASTE TREATMENT USING THEREOF}
본 고안은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처리기에서 가열 등을 통해서 생성된 가스를 효과적으로 냉각, 응축시켜서 유체 형태로 배출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는 매일 일정량의 잔반(폐기 음식물)이 배출되며, 이러한 잔반은 그대로 가축사료로 이용하거나 단순한 거름망을 통하여 섞여 있는 물기 만을 걸러낸 후 폐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잔반처리 방법은 쓰레기 수량을 증대시키고, 쓰레기를 자주 버리지 않을 경우 악취를 발생시켜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므로 음식물 처리기의 사용이 필요하다.
근래에 일반 가정과 음식점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려는 노력이 활성화되고는 있으나, 점차 증가하는 쓰레기의 양을 조절하기란 여러 가지로 어려움이 따르고 있으며 이를 매립할 경우 매립장소가 한정됨은 물론 악취와 침출수로 인한 환경 피해는 매우 심각한 실정에 이르렀다.
따라서, 최근에는 쓰레기 종량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또한, 정부에서도 음식물을 발효, 건조 또는 소멸방식 등을 유도할 수 있는 처리장치를 단체급식소 또는 아파트 단지별로 신축시 의무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규정화하고 있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는 약 80~9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그 양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열, 미생물반응 등으로 건조, 발효의 과정을 거쳐 처리하고 있으나, 이때 다량의 수분과 고농도의 악취가 발생하게 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또 다른 처리과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에서는 음식물의 종류, 방치기간, 처리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여러 종류의 가스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가스를 그대로 음식물 처리기의 외부로 방출할 경우 인체에 해를 끼칠 수도 있고, 가스가 고온의 상태이므로 이를 냉각, 응축시키서 유체 형태로 배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에서는 가열 등의 과정을 통해 생성된 가스를 냉각시키는 시스템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냉각 시스템의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 에너지 낭비, 냉각 시간의 연장, 가스가 유체 형태로 응축되지 않는 비율이 커지는 점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에서는 냉각 시스템을 통과한 후에 응축되지 않고 남아있는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응축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구를 통해 응축되지 않은 가스도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음식물 처리기에서 가열 등을 통해서 생성된 가스를 효과적으로 냉각, 응축시켜서 유체 형태로 배출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음식물 처리기에서 가열 등을 통해서 생성된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은 냉각탱크로서, 상부가 개방된 상부 케이스 및 그 하부에 유출구를 구비한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중공형인 중앙봉, 상기 중앙봉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가이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탱크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냉각탱크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팬은 냉각 공기를 제공하며, 상기 냉각 공기는 상기 중앙봉을 통해서 상기 냉각 탱크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부의 외부의 둘레에 복수 개의 리브(rib) 부재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출구와 유체 소통되도록 연결되어 유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버퍼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버퍼부는 상기 버퍼부의 하부면 일측에 형성되는 배수구, 상기 배수구 둘레를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에워싸는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버퍼부는 버퍼 상부 케이스 및 버퍼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버퍼 하부 케이스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 1 베리어, 및 상기 버퍼 상부 케이스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베리어와 이격된 제 2 베리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베리어의 높이를 제어하여 상기 버퍼부의 내부에 저장되는 유체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의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에 의해 음식물 처리기에서 가열 등을 통해서 생성된 가스를 효과적으로 냉각, 응축시켜서 유체 형태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중공형인 중앙봉에 의하여 상기 구성요소가 없을 때와 비교하여 약 20%의 냉각 효율이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냉각 탱크의 내부로 진입하는 냉각 공기의 흐름은 중앙봉의 내부로 통과하게 되어, 냉각 탱크의 내부 중앙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킴과 동시에 냉각 탱크 내부의 가스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의 버퍼부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음식물 처리기에서 가열 등을 통해서 생성된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유체의 수위를 결정하여, 이에 따라 간단하게 버퍼부의 제 1 베리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일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일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분쇄, 건조할 수 있는 건조 드럼(110), 건조 드럼(110)과 연결되어 건조 드럼(110)의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가 유입되는 순환팬(120), 순환팬(120)과 연결되어 유입된 가스를 냉각시켜 유체 형태로 응축시키는 냉각 탱크(130), 냉각 탱크(130)와 연결되어 응축된 유체를 저장 및 배출하는 버퍼부(150), 버퍼부(150)에 응축되지 않고 남아있는 가스의 일부를 필터링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필터(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버퍼부(150)에 응축되지 않고 남아있는 가스의 일부는 필터(180)를 통해 배출될 수도 있고, 나머지 일부 가스는 버퍼부(150)와 건조드럼(110)이 연결되어 다시 건조드럼(110)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냉각 탱크의 구성요소별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냉각 탱크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나선형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탱크(130)는 상부 케이스(138)와 하부 케이스(132)를 포함하는 케이스부(135), 케이스부(135)의 내부에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중공형인 중앙봉(134), 중앙봉(134)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가이드(136), 상부 케이스(138)의 상부에 형성되어 냉각 탱크(130)를 냉각시키는 냉각팬(140)으로 구성된다.
케이스부(135)는 하부 케이스(132)와 상부 케이스(138)가 서로 맞물려 외부와의 공기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부 케이스(138)의 상부에는 개구부(139)를 구비하고 있으며, 하부 케이스(132)의 하부에는 유출구(146)를 구비하고 있다.
중앙봉(134)은 그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으로, 냉각팬(140)에 의해 발생한 냉각공기의 일부가 상부 케이스(138)의 개구부(139)를 통해 전달되어 중앙봉(134)을 통과하면서 냉각 탱크(130)를 냉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해 도 3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하부 케이스(132)의 외부 둘레에는 복수 개의 제 1 리브(rib) 부재(14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138)의 외부 둘레에는 복수 개의 제 2 리브(rib) 부재(144)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리브 부재(142) 및 제 2 리브 부재(144)는 넓은 단면적을 가지고 있어서, 케이스부(135)의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교환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냉각팬(140)에 의해 발생한 냉각공기가 상부 케이스(138)의 외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 1 리브 부재(142)들 사이를 지나면서 냉각탱크(130)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작용을 하며, 하부 케이스(132)의 외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 2 리브 부재(144)들 사이를 지나면서 케이스부(135)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냉각 공기의 흐름(300)을 살펴보면, 냉각팬(14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냉각공기의 일부는 중앙봉(134)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의 흐름(320)을 형성하고, 나머지 일부는 제 1 리브 부재(142)들 사이 및 제 2 리브 부재(144)들 사이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의 흐름(310)을 형성하면서 냉각 탱크(130)를 냉각시킨다.
본 고안자는 중공형인 중앙봉(134) 없이 단지 제 1 리브 부재(142), 및 제 2 리브 부재(144)만에 의한 냉각 효율과 제 1 리브 부재(142), 제 2 리브 부재(144), 및 중공형인 중앙봉(134)에 의한 냉각 효율을 비교한 실험에서 후자의 경우 전자의 경우에 비해 약 20%의 냉각 효율의 상승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복수의 제 1 리브 부재(142), 및 복수의 제 2 리브 부재(144) 사이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의 흐름(310)은 냉각 탱크(130)의 외부면을 냉각시켜 냉각 탱크(130)의 내부를 통과하는 가스를 냉각시키게 되므로, 냉각 탱크(130)의 외부면에서 멀리 떨어진 중심으로 갈수록 냉각 효율이 저하된다. 반면에, 본 고안에서는 중공형인 중앙봉(134)을 형성함으로써 중앙봉(134)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의 흐름(320)에 의해 냉각 탱크(130)의 내부를 통과하는 가스를 냉각시키게 되므로, 중공형인 중앙봉(134)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냉각 효율은 상승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가스의 흐름(400)을 살펴보면, 가스는 중앙봉(134)의 둘레의 상부에서 하부로 나선형 가이드(136)를 따라 나선을 그리며 하강하고 있다.
나선형 가이드(136)는 중앙봉(134)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므로, 순환팬(120)을 통해 유입된 가스가 나선형 가이드(136)를 따라서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한다. 이때, 가스는 나선형 가이드(136)를 따라 중앙봉(134)의 둘레를 회전하면서 하강하므로써, 케이스부(135)의 내부에의 정체 시간이 길어지고, 케이스부(135) 및 중앙봉(134)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므로 냉각 효율이 높아진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내부에서의 가스 및 냉각공기의 흐름도이다.
냉각 공기의 흐름(300)은 냉각팬(140)에 의해 공급된 냉각 공기가 중앙봉(134)의 내부와 냉각 탱크(130)의 외부로 공급되어 하강한다. 냉각팬(140)으로부터 공급된 냉각 공기의 흐름(300) 중 일부는 중앙봉(134)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의 흐름(320)을 형성하고, 나머지 일부는 제 1 리브 부재(142)와 제 1 리브 부재(142) 사이 및 제 2 리브 부재(144)와 제 2 리브 부재(144) 사이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의 흐름(310)을 형성하면서 냉각 탱크(130)를 냉각시킨다. 본 도면에서는 제 1 리브 부재(142) 및 제 2 리브 부재(144)는 생략되어 있다.
냉각 탱크(130)의 내부로 유동하는 냉각 공기의 흐름(320)은 오직 중앙봉(134)의 내부를 통과하게 되어, 냉각 탱크(130) 내에서 중앙봉(134)의 내부를 제외한 부분은 모두 밀봉되어 있으므로, 냉각 탱크(130)의 내부를 통과하는 가스의 흐름(400)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은 냉각 탱크(130)의 내부 중앙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킴과 동시에 냉각 탱크(130) 내부의 가스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도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가스의 흐름(400)은 순환팬(120)을 통해 유입된 가스가 냉각 탱크(130)로 공급되고, 냉각 탱크(130)의 내부에서 중앙봉(134)의 둘레를 나선형 가이드(136)를 따라 나선을 그리며 아래로 하강한다. 가스는 하강하면서 냉각 탱크(130)의 내부와 외부에 공급된 냉각 공기의 흐름(300)에 의해 온도가 점차 낮아지고, 이에 따라 포화 수증기량이 낮아지게 되므로 응축되어 유체의 형태로 변하게되며, 유체는 유출구(146)를 통해 버퍼부(150)로 배출된다.
가스가 유출구(146)를 통해 빠져나와 버퍼부(150)로 배출될 때는 유체의 형태로 변해 있으며, 가스의 형태로 남아있는 일부는 필터(180)를 통해 배출할 수도 있고, 다시 건조드럼(110)으로 보내져서 순환팬(120)과 냉각 탱크(130)를 거쳐 순환을 반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통해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의 버퍼부 및 버퍼부 내부에서 유체의 흐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의 버퍼부의 구성요소별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의 버퍼부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버퍼부(150)는 버퍼 하부 케이스(152)와 버퍼 상부 케이스(154)로 이루어져 있으며, 버퍼부(150)의 하부면 일측에 배수구(156)를 구비하고 있고, 버퍼 하부 케이스(152)의 하측에는 배수구(156)와 연결되어 버퍼부(150)로부터 빠져나온 유체를 통과시켜 외부로 내보내는 배수관(162)을 구비하고 있다.
버퍼 하부 케이스(152)와 버퍼 상부 케이스(154)는 서로 맞물려 버퍼부(150)로 공급된 가스를 포함한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배수구(156) 둘레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이를 에워싸는 격벽(159)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159)은 버퍼 하부 케이스(152)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 1 베리어(158), 및 버퍼 상부 케이스(154)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 2 베리어(1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베리어(158)와 제 2 베리어(160)로 이루어진 격벽(159)은 유체가 항상 버퍼부(150)에 고여있도록 하는 트랩(trap) 장치의 역할을 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유체의 흐름(165)을 참고하면, 유체의 수위가 제 1 베리어(158)의 높이보다 높은 경우에는 유체가 배수구(156)를 통해 배출되는 반면에, 유체의 수위가 제 1 베리어(158)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에는 유체가 버퍼부(150)의 내부에 갇혀있게 된다. 또한, 버퍼부(150)의 내부에는 가스의 형태로도 존재하며, 이는 버퍼부(150)에 고여있는 유체와 제 2 베리어(160)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제 1 베리어(158) 및 제 2 베리어(160)의 높이는 바람직한 유체 수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제 1 베리어(158)의 높이는 버퍼부(150)에 갇혀있는 유체의 수위를 결정하는바, 적절한 유체의 수위에 따라 제 1 베리어(15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베리어(158)의 높이를 너무 낮게 설계하는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음식물 처리기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갇혀있던 유체가 모두 증발하게 되면, 버퍼부(150)의 내부에 있던 가스가 외부와 차단되지 않음으로써 트랩 장치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제 1 베리어(158)의 높이를 너무 높게 설계하는 경우 버퍼부(150)의 내부에 갇혀있는 유체의 양이 너무 많아, 유체가 버퍼부(150)의 내부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버퍼부(150)의 내부가 부패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처리기의 사용방식, 사용장소, 사용자에 따라 음식물 처리기의 제조자는 바람직한 유체의 수위를 결정하고 이에 상응하도록 간단하게 제 1 베리어(15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 2 베리어(160)의 높이는 제 1 베리어(158)의 둘레를 에워쌀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어야 버퍼부(150)의 내부에 있는 가스가 외부와 차단되어 트랩 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베리어(160)의 높이는 버퍼 하부 케이 스(152)의 바닥면에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어야 버퍼부(150)의 내부에 있는 유체가 배수구(15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경, 변형할 수 있는 고안은 본 고안의 범위 내로 볼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일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냉각 탱크의 구성요소별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냉각 탱크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나선형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내부에서의 가스 및 냉각공기의 흐름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버퍼부의 구성요소별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버퍼부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B-B'에 따른 단면도

Claims (8)

  1. 냉각탱크로서,
    상부가 개방된 상부 케이스 및 그 하부에 유출구를 구비한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중공형인 중앙봉;
    상기 중앙봉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가이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탱크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냉각탱크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은 냉각 공기를 제공하며,
    상기 냉각 공기는 상기 중앙봉을 통해서 상기 냉각 탱크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외부의 둘레에 복수 개의 리브(rib) 부재가 돌출되어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와 유체 소통되도록 연결되어 유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버퍼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상기 버퍼부의 하부면 일측에 형성되는 배수구;
    상기 배수구 둘레를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에워싸는 격벽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버퍼 상부 케이스 및 버퍼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버퍼 하부 케이스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 1 베리어; 및
    상기 버퍼 상부 케이스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베리어와 이격된 제 2 베리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리어의 높이를 제어하여 상기 버퍼부의 내부에 저장되는 유체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2020090008367U 2009-06-29 2009-06-29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KR2004689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367U KR200468989Y1 (ko) 2009-06-29 2009-06-29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367U KR200468989Y1 (ko) 2009-06-29 2009-06-29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094U true KR20110000094U (ko) 2011-01-06
KR200468989Y1 KR200468989Y1 (ko) 2013-09-12

Family

ID=44205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367U KR200468989Y1 (ko) 2009-06-29 2009-06-29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98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793B1 (ko) 2020-12-23 2022-08-05 주식회사 라움 안전고무패드가 구비된 가열식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2428792B1 (ko) 2020-12-23 2022-08-05 주식회사 라움 냉각기능을 갖는 가열식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841A (ko) * 2004-06-29 2006-01-06 주식회사 월드코아 배기가스 전량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와 이를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KR100925265B1 (ko) * 2007-09-19 2009-11-05 배삼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989Y1 (ko)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59122B (zh) 用于除臭/除烟的加热灶
KR100850222B1 (ko) 배수 겸 건조식 음식물쓰레기처리기를 구비한 싱크대개수대
KR101897435B1 (ko) 악취제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20130029124A (ko) 건조 감용 처리 장치
KR200468989Y1 (ko)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KR100993891B1 (ko) 정수기
JP2004066143A (ja) 厨芥処理機
JP2008136910A (ja) 生ごみの乾燥処理装置
KR10074885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의 처리방법
KR101332453B1 (ko) 남은 음식물 건조기
KR101440981B1 (ko)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JP4502658B2 (ja) 厨房用空気処理装置
JP2010264049A (ja) 厨房キャビネット
KR200474969Y1 (ko) 농산물 건조기
JP2005257123A (ja) 厨房用空気処理装置
US10933364B2 (en) Cyclone for air cleaning and filtering module having the same
KR10107216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ZA200406605B (en) Apparatus for cooking and dispensing food products
JP2009142795A (ja) 生ごみ乾燥処理装置
KR101618222B1 (ko) 증기를 응축 및 순환시킬 수 있는 드럼트랩 및 이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082008A (ko) 싱크대 배수구를 이용한 음식물 건조시스템(1)
KR101151810B1 (ko) 탈취부를 갖는 가열조리기
KR101696745B1 (ko) 응축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200399090Y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용 건조 장치
KR100681461B1 (ko) 이동식 히트펌프의 응축수 처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