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222B1 - 증기를 응축 및 순환시킬 수 있는 드럼트랩 및 이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증기를 응축 및 순환시킬 수 있는 드럼트랩 및 이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222B1
KR101618222B1 KR1020140122529A KR20140122529A KR101618222B1 KR 101618222 B1 KR101618222 B1 KR 101618222B1 KR 1020140122529 A KR1020140122529 A KR 1020140122529A KR 20140122529 A KR20140122529 A KR 20140122529A KR 101618222 B1 KR101618222 B1 KR 101618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oling plate
hole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2435A (ko
Inventor
박노형
김변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핀즈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핀즈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핀즈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40122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222B1/ko
Priority to US14/559,815 priority patent/US20160074769A1/en
Priority to JP2014249884A priority patent/JP5918839B2/ja
Priority to CN201410838573.1A priority patent/CN105443970A/zh
Publication of KR20160032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30Accessories for evaporators ;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03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by using heat-exchange surfaces for indirect contact between gases or vapours and the cooling medium
    • B01D5/0015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03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by using heat-exchange surfaces for indirect contact between gases or vapours and the cooling mediu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드럼트랩 및 이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트랩 및 이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건조유닛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될 때 발생하는 악취가 함유된 증기 등이 드럼트랩으로 유입된 후, 응축되어 하수관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응축되지 않고 잔존하는 악취가 함유된 증기는 건조유닛 등으로 재유입된다. 즉,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 발생하는 악취가 함유된 증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으므로, 악취가 함유된 증기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필터가 필요 없다. 따라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증기를 응축 및 순환시킬 수 있는 드럼트랩 및 이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DRUM TRAP CAPABLE OF CONDENSING/CIRCULATING VAPOR AND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악취가 함유된 증기를 응축시켜 배출하고, 응축되지 않은 악취가 함유된 증기는 순환시키는 드럼트랩 및 이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는 환경을 오염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써 매년 배출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연구개발이 한창 진행중이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절단 및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처리하는 건조방식과 절단 및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기간 보관하면서 발효시켜 처리하는 발효방식으로 대별될 수 있다.
건조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절단 및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한 다음,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건조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건조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 악취가 발생하므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등을 설치하여야 하고, 일정 주기로 필터를 교체해 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유닛과 관련한 선행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9-008983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드럼트랩 및 이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 발생하는 악취가 함유된 증기를 응축시켜 배출함과 동시에 응축되지 않고 잔존하는 악취가 함유된 증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드럼트랩 및 이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트랩은, 상면은 개방되고, 일측면에는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 하측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증기를 응축시키는 냉각판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판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上端面)에 하면이 접촉 결합된 제1냉각판; 상기 제1냉각판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부위는 상기 배출부 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물에 잠기는 제2냉각판; 상기 제1냉각판의 중앙부측 부위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을 가지고, 상기 제1냉각판의 일측 부위 및 타측 부위에는 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공 및 상기 유입공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증기 중 응축되지 않은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 건조드럼; 상기 건조드럼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될 때 발생하는 증기를 전달받아 응축시켜 배출하는 드럼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드럼트랩은, 상면은 개방되고, 일측면에는 하수관측으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 하측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上端面)에 하면이 접촉 결합되며 일측 및 타측이 상기 건조드럼의 일측 및 타측과 각각 연통된 제1냉각판, 상기 제1냉각판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부위는 상기 배출부 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물에 잠기는 제2냉각판, 상기 제1냉각판의 중앙부측 부위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물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관을 가지면서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증기를 응축시키는 냉각판을 가지고, 상기 제1냉각판의 일측에는 상기 건조드럼의 일측과 연통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 발생된 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건조드럼의 타측과 연통되어 상기 유입공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증기 중 응축되지 않은 증기가 상기 건조드럼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트랩 및 이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건조유닛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될 때 발생하는 악취가 함유된 증기 등이 드럼트랩으로 유입된 후, 응축되어 하수관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응축되지 않고 잔존하는 악취가 함유된 증기는 건조유닛 등으로 재유입된다. 즉,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 발생하는 악취가 함유된 증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으므로, 악취가 함유된 증기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필터가 필요 없다. 따라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 발생되는 증기 등은 드럼트랩의 내부에서 응축되므로, 드럼트랩의 외측에 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냉각관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드럼트랩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드럼트랩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보수가 편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드럼트랩의 냉각판의 하측 부위는 드럼트랩에 저장된 물에 잠기므로, 냉각판은 항상 저온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드럼트랩으로 유입된 증기의 대부분은 냉각판에 의하여 응축되어 배출될 수 있으므로, 응축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드럼트랩의 내부는 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공측과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측이 구획되고, 유입공을 통하여 드럼트랩으로 유입된 증기는 드럼트랩을 순회한 후 배출공으로 배출되므로 증기의 응축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드럼트랩의 배출부의 엘보우관의 하측 부위가 드럼트랩에 저장된 물에 잠겨 있으므로, 드럼트랩으로 유입된 고온의 증기가 하수관측으로 배출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증기에 의하여 배출부의 배출관 및 배출관과 하수관측을 연결하는 연결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드럼트랩의 배출부의 엘보우관의 하측 부위가 드럼트랩에 저장된 물에 잠겨 있으므로, 하수관측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드럼트랩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드럼트랩의 배출공을 통하여 건조유닛으로 재유입되는 증기는 상대적으로 수분을 덜 함유한 건조한 증기이므로, 건조유닛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유닛 및 드럼트랩 부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조유닛 및 드럼트랩 부위를 우측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드럼트랩 부위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드럽트랩 부위를 다른 방향에서 본 저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선 결합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밸브의 정면도.
도 9는 도 4의 "C-C"선 결합 단면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위에", "아래에", "옆에", "상측", "하측", "일측" 이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제3의 구성 요소가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트랩 및 이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유닛 및 드럼트랩 부위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조유닛 및 드럼트랩 부위를 우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미도시)의 세척통(미도시)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1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10)은 상부케이싱, 중간케이싱 및 하부케이싱이 상호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케이싱(110)을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케이싱(110)의 상면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케이싱(110)의 하면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케이싱(110)의 상면측에는 싱크대(미도시)의 세척통(미도시)에 결합 지지되는 연결홀더(121)가 설치될 수 있다. 연결홀더(121)는 상기 세척통의 하면에 형성된 배수공(미도시)에 삽입되며, 연결홀더(121)의 상단부측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테(121a)가 상기 배수공을 형성하는 상기 세척통의 하면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다.
연결홀더(121)의 외주면에는 지지플레이트(123)가 지지 설치될 수 있다. 연결홀더(121)가 상기 세척통에 삽입 결합되면, 지지플레이트(123)의 테두리부측은 상기 세척통의 하면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케이싱(110)의 상면과 지지플레이트(123) 사이에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진동을 완충하여 지지플레이트(123)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싱크대에 대한 케이싱(110)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완충/수평조절수단(125)이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110)의 내부 후면 상측에는 상기 세척통의 상기 배수공을 통하여 연결홀더(121)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파쇄하는 절단/파쇄유닛(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절단/파쇄유닛의 하측에는 절단 및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아 탈수하는 탈수유닛(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탈수유닛은 배수공(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탈수유닛의 상기 배수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은 후술할 드럼트랩(16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절단/파쇄유닛 및 상기 탈수유닛의 구성은 본 출원의 발명자인 "박노형"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04573호에 개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상기 탈수유닛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할 수 있고, 원심력을 이용하여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다. 즉,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탈수유닛의 원심력이 가장 큰 부위를 통하여 건조유닛(140)으로 배출될 수 있고, 건조유닛(140)은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할 수 있다.
건조유닛(140)은 건조드럼(141)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드럼(141)의 상면에는 상기 탈수유닛에서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41a)가 형성될 수 있고, 유입구(141a)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143)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개폐부재(143)에 의하여 유입구(141a)가 개방되면, 상기 탈수유닛에서 토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구(141a)로 유입되어 건조드럼(141)의 내부로 투입된다.
건조드럼(141)의 하면에는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건조드럼(141)의 상기 배출구도 개폐부재(미도시)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건조드럼(141)의 외면 또는 건조드럼(141)의 내부에는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열풍 또는 마이크로파 등과 같은 가열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건조드럼(141)의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될 때,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스크류(미도시)가 건조드럼(14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교반스크류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호 붙어서 돌덩이처럼 딱딱하게 굳어지려는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에는 악취가 함유된 증기가 발생한다. 그런데, 악취가 함유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트랩 및 이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 발생하는 악취가 함유된 증기를 응축시켜 하수관측으로 배출하고, 응축되지 않고 잔존하는 악취가 함유된 증기는 건조드럼(141)으로 재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건조드럼(141)의 상면 일측 및 타측에는 제1안내관(151) 및 제2안내관(155)의 일단부측이 각각 연통 설치될 수 있고, 제1안내관(151) 및 제2안내관(155)의 타단부측은 각각 후술할 드럼트랩(Drum Trap)(160)의 내부 일측 및 타측과 각각 연통 설치될 수 있다.
건조드럼(141)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될 때 발생하는 악취가 함유된 증기는 제1안내관(151)을 통하여 드럼트랩(160)의 내부로 유입되고, 응축되지 않고 드럼트랩(160)의 내부에 잔존하는 악취가 함유된 증기는 제2안내관(155)을 통하여 건조드럼(141)으로 재유입될 수 있다.
건조드럼(141)의 증기가 신속하게 제1안내관(15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건조드럼(141)과 인접한 제1안내관(151)의 일측 내부에는 건조드럼(141) 내부의 증기를 강제로 제1안내관(151)으로 흡입하기 위한 팬(153)이 설치될 수 있다.
드럼트랩(160)의 내부 일측은 상기 하수관측과도 연통될 수 있고, 드럼트랩(160)의 내부로 유입되어 응축된 물은 상기 하수관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드럼트랩(16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드럼트랩 부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드럽트랩 부위를 다른 방향에서 본 저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트랩(16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하우징(170)과 하우징(170)의 상면에 결합되며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로 형성된 냉각판(18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70)은 상면이 개방될 수 있고, 일측면에는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72)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70)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는데, 배출부(172) 하측의 하우징(170)의 내부에만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즉, 하우징(170)으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 배출부(172) 하측에 위치된 물은 하우징(170)에 저장되고, 배출부(172) 상측에 위치되는 물은 배출부(172)를 통하여 상기 하수관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부(17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72a), 엘보우관(172b) 및 배출관(172c)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공(172a)은 하우징(17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하우징(170)의 내외측을 연통시킬 수 있다. 엘보우관(172b)은 관통공(172a)과 연통되어 하우징(170)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하측 부위는 관통공(172a) 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하우징(170)에 저장된 물에 잠길 수 있다. 그리고, 배출관(172c)은 엘보우관(172b)과 연통되어 하우징(17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하수관측과 연통될 수 있다.
엘보우관(172b)의 하측 부위가 물에 잠기므로 인하여 드럼트랩(160)의 하우징(170)으로 유입된 증기가 상기 하수관측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고온의 증기에 의하여 배출관(172c), 배출관(172c)과 상기 하수관측을 연결하는 연결관(미도시)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냉각판(180)은 제1냉각판(181), 제2냉각판(183) 및 유입관(185)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170)으로 유입된 증기를 응축시킬 수 있다.
제1냉각판(181)은 하우징(17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70)의 개방된 상단면(上端面)에 하면이 접촉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냉각판(181)의 일측 부위에는 건조드럼(141)과 연통된 제1안내관(151)의 타측 부위가 연통되는 유입공(181a)이 형성될 수 있고, 타측 부위에는 건조드럼(141)과 연통된 제2안내관(155)의 타측 부위가 연통되는 배출공(181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건조드럼(141)의 악취가 함유된 증기는 제1안내관(151)과 유입공(181a)을 통하여 드럼트랩(160)의 내부로 유입되고, 응축되지 않고 잔존하는 악취가 함유된 증기는 배출공(181b)과 제2안내관(155)을 통하여 건조드럼(141)으로 재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 발생하는 악취가 함유된 증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건조드럼(141)과 드럼트랩(160)을 순환할 수 있다.
유입공(181a) 및 배출공(181b)에는 연결관(191, 193)의 하측 부위가 각각 연통 설치될 수 있고, 연결관(191)(193)의 상측 부위에 제1안내관(151) 및 제2안내관(155)의 타측 부위가 연통 결합될 수 있다.
제2냉각판(183)은 제1냉각판(181)의 테두리부측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부위는 배출부(172)의 관통공(172a) 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하우징(170)에 저장된 물에 잠길 수 있다. 제2냉각판(183)의 하측 부위가 물에 잠기므로, 제2냉각판(183)과 제1냉각판(181)은, 물의 온도와 유사한, 저온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면, 드럼트랩(160)으로 유입된 증기는 저온 상태의 냉각판(180)과 열교환하므로, 신속하게 응축될 수 있다.
제2냉각판(183)은 하우징(170)의 내면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합성수지재의 하우징(170)의 내면에 금속재의 제2냉각판(183)이 삽입 결합되므로, 하우징(17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유입관(185)은 제1냉각판(181)의 중앙부측 부위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유입관(185)을 통하여 하우징(17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유입관(185)의 하측 부위도 배출부(172)의 관통공(172a) 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하우징(170)에 저장된 물에 잠길 수 있다. 그러면, 유입관(185)으로 인하여, 제1냉각판(181)이 더욱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170)으로 유입된 증기가 더욱 신속하게 응축될 수 있다.
유입관(185)을 통하여 하우징(170)으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탈수유닛의 상기 배수공에서 배출된 물 및 상기 싱크대의 세척통의 측면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방지용 배출공(미도시)에서 배출된 물일 수 있다.
상기 탈수유닛의 상기 배수공에서 배출된 물 및 상기 오버플로우 방지용 배출공에서 배출된 물이 하우징(17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관(185)의 상단부측에는 연결관(195)의 하측 부위가 연통 설치될 수 있다. 연결관(195)의 상측 부위에는 제1분기관(195a) 및 제2분기관(195b)이 형성될 수 있고, 제1분기관(195a) 및 제2분기관(195b)은 상기 탈수유닛의 상기 배수공측 및 상기 오버플로우 방지용 배출공과 각각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하수관측의 물이 드럼트랩(160)의 내부로 역류하거나, 상기 하수관측이 막혔을 때, 드럼트랩(160)의 물이 건조유닛(140)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트랩 및 이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는 드럼트랩(160)의 물이 건조유닛(14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187)가 설치될 수 있다.
밸브(187)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4의 "B-B"선 결합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밸브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공(181a)측 제1냉각판(181)의 하면 및 배출공(181b)측 제1냉각판(181)의 하면에는 지지편(188)이 각각 결합되고, 각 지지편(188)의 단부측에는 밸브(187)의 상단부측 외주면이 각각 연결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187)는 지지편(188)에 지지된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밸브(187)는 하우징(170)으로 유입된 물의 수위에 따라 회전 및 승강하면서 유입공(181a) 및 배출공(181b)을 각각 개폐할 수 있다. 하우징(170) 의 수위에 따라, 밸브(187)가 용이하게 회전 및 승강할 수 있도록 밸브(187)는 중공체(中空體)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187)가 유입공(181a) 및 배출공(181b)을 견고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밸브(187)의 상면은 개방되며, 개방된 밸브(187)의 상단면(上端面)은 유입공(181a) 및 배출공(181b)의 외측을 감싸면서 제1냉각판(181)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다. 하우징(170)의 수위가 상승하면, 밸브(187)이 상단면은 제1냉각판(181)에 더욱 밀착되므로, 유입공(181a) 및 배출공(181b)은 더욱 밀폐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하수관측의 물이 하우징(170)으로 역류하는 것 등에 의하여, 하우징(170)의 수위가 상승하여도, 밸브(187)가 승강 및 회전하면서 유입공(181a) 및 배출공(181b)을 폐쇄하므로, 하우징(170)의 물이 건조유닛(140)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유입공(181a)을 통하여 하우징(170)으로 유입된 증기가 하우징(170)의 내부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면, 냉각판(180)과 증기의 열교환시간이 길어지므로, 증기가 더욱 많이 응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트랩 및 이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유입공(181a)측의 하우징(170)의 공간과 배출공(181b)측의 하우징(170)의 공간을 구획하여, 유입공(181a)을 통하여 유입된 증기가 하우징(170)을 순회한 후, 배출공(181b)을 통하여 배출되게 함으로써, 하우징(170)으로 유입된 증기가 하우징(170)에 내부에 장시간 머무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유입공(181a)으로 유입된 증기가 하우징(170)을 순회한 후, 배출공(181b)으로 배출되는 구성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4의 "C-C"선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냉각판(181)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구획판(18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구획판(182)은 제2냉각판(183)의 일측 부위와 유입관(185)의 일측 부위 사이에 위치되어, 제1냉각판(181)(도 4 참조)과 제2냉각판(183) 및 유입관(185)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획판(182)은 배출부(172)가 형성된 하우징(170)의 일측면과 배출부(172)와 대향하는 하우징(170)의 타측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구획판(182)의 하측 부위는 배출부(172) 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하우징(170)에 저장된 물에 잠길 수 있다.
그러면, 하우징(170)에 저장된 물 상측의 하우징(170)의 공간 중, 구획판(182)이 위치된 하우징(170)의 공간은 구획판(182)과 유입관(185)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유입공(181a)은 구획판(182)과 배출부(172)와 대향하는 하우징(170)의 타측면 사이에 위치된 제1냉각판(181)의 부위에 형성되고, 배출공(181b)은 구획판(182)과 배출부(172)가 형성된 하우징(170)의 일측면 사이에 위치된 제1냉각판(181)의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입공(181a)을 통하여 하우징(170)으로 유입된 증기는, 도 9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판(182)이 형성되지 않은 유입관(185)측으로 이동한 다음 배출공(181b)을 통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유입공(181a)을 통하여 하우징(170)으로 유입된 증기가 하우징(170)을 순회한 후, 배출공(181b)으로 배출될 수 있다.
구획판(182)의 하측 부위가 물에 잠기므로, 제1냉각판(181)은 더욱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드럼트랩(160)으로 유입된 증기는 신속하게 응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70)과 냉각판(180)을 포함하는 드럼트랩(160)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뿐만 아니라, 악취가 함유된 증기를 발생하는 다른 장치에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 및 탈수되지 않은 상태로 건조유닛(140)에 직접 투입되어 건조될 수 있다. 이때에는, 건조유닛(140)의 상기 교반스크류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트랩 및 이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건조유닛(140)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될 때 발생하는 악취가 함유된 증기가 드럼트랩(160)으로 유입된 후, 응축되어 상기 하수관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응축되지 않고 잔존하는 악취가 함유된 증기는 건조유닛(140)으로 재유입된다. 즉,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 발생하는 악취가 함유된 증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으므로, 증기에 함유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필터가 필요 없다. 따라서,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 발생된 증기는 드럼트랩(160)의 내부에서 응축되므로, 드럼트랩(160)의 외측에 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냉각관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드럼트랩(160)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드럼트랩(160)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또한, 드럼트랩(160)의 하측 부위는 하우징(170)에 저장된 물에 잠기므로, 냉각판(180)은 항상 저온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하우징(170)으로 유입된 증기의 대부분은 냉각판(180)에 의하여 응축되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드럼트랩(160)의 하우징(170)의 내부는 유입공(181a)측과 배출공(181b)측이 구획되고, 유입공(181a)을 통하여 하우징(170)으로 유입된 증기는 하우징(170)을 순회한 후 배출공(181b)으로 배출되므로 증기의 응축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드럼트랩(160)의 배출부(172)의 엘보우관(172b)의 하측 부위가 하우징(170)에 저장된 물에 잠겨 있으므로, 하우징(170)으로 유입된 고온의 증기가 상기 하수관측으로 배출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증기에 의하여 배출부(172)의 배출관(172c) 및 배출관(172c)과 상기 하수관측을 연결하는 연결관(미도시)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드럼트랩(160)의 배출부(172)의 엘보우관(172b)의 하측 부위가 하우징(170)에 저장된 물에 잠겨 있으므로, 상기 하수관측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드럼트랩(16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드럼트랩(160)의 배출공(181b)을 통하여 건조유닛(140)으로 재유입되는 증기는 상대적으로 수분을 덜 함유한 건조한 증기이므로, 건조유닛(14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의 미설명 부호 127은 상기 싱크대의 상측으로 노출된 연결홀더(121)를 개폐하는 마개이며, 마개(127)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의 기능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의 미설명 부호 130은 건조유닛(140)의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음식물 쓰레기통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케이싱
140: 건조유닛
160: 드럼트랩
170: 하우징
180: 냉각판

Claims (15)

  1. 상면은 개방되고, 일측면에는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 하측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증기를 응축시키는 냉각판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판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上端面)에 하면이 접촉 결합된 제1냉각판; 상기 제1냉각판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부위는 상기 배출부 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물에 잠기는 제2냉각판; 상기 제1냉각판의 중앙부측 부위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을 가지고,
    상기 제1냉각판의 일측 부위 및 타측 부위에는 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공 및 상기 유입공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증기 중 응축되지 않은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공,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하측 부위는 상기 관통공 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물에 잠기는 엘보우관, 상기 엘보우관과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된 배출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판은 금속재이고, 상기 하우징은 합성수지재이며,
    상기 제2냉각판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트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판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냉각판과 상기 유입관 사이에 위치된 구획판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은 상기 제1냉각판과 상기 제2냉각판 및 상기 유입관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과 상기 배출부와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구획판의 하측 부위 및 상기 유입관의 하측 부위는 각각 상기 배출부 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물에 잠기고,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물 상측의 상기 하우징의 공간 중, 상기 구획판이 위치된 상기 하우징의 공간은 상기 구획판과 상기 유입관에 의하여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트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은 상기 구획판과 상기 배출부와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 사이에 위치된 상기 제1냉각판의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은 상기 구획판과 상기 배출부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사이에 위치된 상기 제1냉각판의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트랩.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공 및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밸브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트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측 상기 제1냉각판의 하면 및 상기 배출공측 상기 제1냉각판의 하면에는 지지편이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편에 상기 밸브의 일측이 각각 연결 지지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지지편에 지지된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위에 따라 회전 및 승강하면서 상기 유입공 및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트랩.
  8.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 건조드럼;
    상기 건조드럼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될 때 발생하는 증기를 전달받아 응축시켜 배출하는 드럼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드럼트랩은,
    상면은 개방되고, 일측면에는 하수관측으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 하측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上端面)에 하면이 접촉 결합되며 일측 및 타측이 상기 건조드럼의 일측 및 타측과 각각 연통된 제1냉각판, 상기 제1냉각판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부위는 상기 배출부 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물에 잠기는 제2냉각판, 상기 제1냉각판의 중앙부측 부위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물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관을 가지면서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증기를 응축시키는 냉각판을 가지고,
    상기 제1냉각판의 일측에는 상기 건조드럼의 일측과 연통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 발생된 증기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건조드럼의 타측과 연통되어 상기 유입공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증기 중 응축되지 않은 증기가 상기 건조드럼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공,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하측 부위는 상기 관통공 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물에 잠기는 엘보우관, 상기 엘보우관과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된 배출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판은 금속재이고, 상기 하우징은 합성수지재이며,
    상기 제2냉각판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판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냉각판과 상기 유입관 사이에 위치된 구획판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은 상기 제1냉각판과 상기 제2냉각판 및 상기 유입관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과 상기 배출부와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구획판의 하측 부위 및 상기 유입관의 하측 부위는 각각 상기 배출부 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물에 잠기고,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물 상측의 상기 하우징의 공간 중, 상기 구획판이 위치된 상기 하우징의 공간은 상기 구획판과 상기 유입관에 의하여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은 상기 구획판과 상기 배출부와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 사이에 위치된 상기 제1냉각판의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은 상기 구획판과 상기 배출부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사이에 위치된 상기 제1냉각판의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공 및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밸브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측 상기 제1냉각판의 하면 및 상기 배출공측 상기 제1냉각판의 하면에는 지지편이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편에 상기 밸브의 일측이 각각 연결 지지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지지편에 지지된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위에 따라 회전 및 승강하면서 상기 유입공 및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하여 상기 건조드럼으로 투입시키는 탈수유닛이 더 마련되고,
    상기 유입관에는 상기 탈수유닛측 및 싱크대의 세척통의 오버플로우 방지용 배출공측과 각각 연통된 제1분기관 및 제2분기관을 가지는 연결관이 연통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40122529A 2014-09-16 2014-09-16 증기를 응축 및 순환시킬 수 있는 드럼트랩 및 이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18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529A KR101618222B1 (ko) 2014-09-16 2014-09-16 증기를 응축 및 순환시킬 수 있는 드럼트랩 및 이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14/559,815 US20160074769A1 (en) 2014-09-16 2014-12-03 Drum Trap Capable of Condensing/Circulating Vapor and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4249884A JP5918839B2 (ja) 2014-09-16 2014-12-10 蒸気を凝縮及び循環させることができるドラムトラップ及びこれを使用した生ごみ処理処置
CN201410838573.1A CN105443970A (zh) 2014-09-16 2014-12-29 可冷凝/循环蒸汽的鼓式凝气阀及使用该鼓式凝气阀的食品垃圾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529A KR101618222B1 (ko) 2014-09-16 2014-09-16 증기를 응축 및 순환시킬 수 있는 드럼트랩 및 이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435A KR20160032435A (ko) 2016-03-24
KR101618222B1 true KR101618222B1 (ko) 2016-05-04

Family

ID=55453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529A KR101618222B1 (ko) 2014-09-16 2014-09-16 증기를 응축 및 순환시킬 수 있는 드럼트랩 및 이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074769A1 (ko)
JP (1) JP5918839B2 (ko)
KR (1) KR101618222B1 (ko)
CN (1) CN10544397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71105B (zh) * 2024-02-23 2024-05-14 潍坊舒珍堂制药有限公司 一种中药材羊腰子的砂烫装置及生产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8384A (ja) * 2006-08-02 2008-02-21 Osaka Gas Co Ltd 排水ユニット
JP5250374B2 (ja) * 2008-10-03 2013-07-31 株式会社 ちくま精機 生ゴミ処理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5700A (ja) * 1996-09-10 1998-04-07 Shikoku Sogo Kenkyusho:Kk ゴミ処理装置
JP2002186949A (ja) * 2000-12-19 2002-07-02 Fuji Electric Co Ltd 廃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廃棄物加熱方法
JP2002186801A (ja) * 2000-12-19 2002-07-02 Fuji Electric Co Ltd 廃棄物処理用凝縮器
KR20040029353A (ko) * 2004-03-19 2004-04-06 김성곤 음식물쓰레기 파쇄 및 압축·탈수-건조장치
KR20060000841A (ko) * 2004-06-29 2006-01-06 주식회사 월드코아 배기가스 전량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와 이를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JP5250375B2 (ja) * 2008-10-03 2013-07-31 株式会社 ちくま精機 生ゴミ処理装置
EP2585762A2 (en) * 2010-06-22 2013-05-01 Coway Co., Ltd. Method of preventing exhaust gas from leaking out of food waste disposer
CN203145138U (zh) * 2012-12-28 2013-08-21 深圳市大侠科技有限公司 一种食品垃圾处理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8384A (ja) * 2006-08-02 2008-02-21 Osaka Gas Co Ltd 排水ユニット
JP5250374B2 (ja) * 2008-10-03 2013-07-31 株式会社 ちくま精機 生ゴミ処理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59918A (ja) 2016-04-25
KR20160032435A (ko) 2016-03-24
CN105443970A (zh) 2016-03-30
JP5918839B2 (ja) 2016-05-18
US20160074769A1 (en) 201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222B1 (ko) 배수 겸 건조식 음식물쓰레기처리기를 구비한 싱크대개수대
EP1990466B1 (en) Improved laundry dryer with refreshment operation
KR101306180B1 (ko) 건조 감용 처리 장치
JP4860598B2 (ja) 樹脂製凝縮器および生ゴミ処理機
CN102939416A (zh) 冷凝式洗涤物干燥装置的冷凝液容器,冷凝式洗涤物干燥装置及用于运行冷凝式洗涤物干燥装置的方法
KR2015001720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4569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RU2683195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с вертикальной загрузкой и барабан для такой машины
KR101618222B1 (ko) 증기를 응축 및 순환시킬 수 있는 드럼트랩 및 이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4066143A (ja) 厨芥処理機
CN204608417U (zh) 具有蒸汽发生器的衣物处理装置
KR20050080094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찌꺼기 수거통
KR101440157B1 (ko) 이중투입구조 싱크볼 음식물 처리기용 복합 개수장치
KR101579216B1 (ko) 하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119386A (ko) 증기를 응축 및 순환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유닛
JP5206625B2 (ja) 流し台
KR200468989Y1 (ko)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KR20010028060A (ko) 조리대용 음식물쓰레기의 발효건조장치
KR101662184B1 (ko) 증기를 응축 및 순환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20060082008A (ko) 싱크대 배수구를 이용한 음식물 건조시스템(1)
KR20160000198A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146350Y1 (ko) 사료 및 비료제조기의 자동수분조절구조
KR200470200Y1 (ko) 편심된 배출구를 구비한 씽크볼
KR10076704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공기순환장치
KR200399090Y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용 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