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0094A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찌꺼기 수거통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찌꺼기 수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0094A
KR20050080094A KR1020050062369A KR20050062369A KR20050080094A KR 20050080094 A KR20050080094 A KR 20050080094A KR 1020050062369 A KR1020050062369 A KR 1020050062369A KR 20050062369 A KR20050062369 A KR 20050062369A KR 20050080094 A KR20050080094 A KR 20050080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box
casing
food waste
container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양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양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양테크
Priority to KR1020050062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0094A/ko
Publication of KR20050080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09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1Screw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의 싱크대 하측에 설치되어 싱크대의 배수구로 버리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탈수기에서 분쇄와 탈수를 시킨 뒤에 찌꺼기를 수거통으로 보내어 건조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찌꺼기 수거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거통의 수거함을 전방으로 꺼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수거함이 건조케이싱의 가이드레일에 의해 슬라이드식으로 출몰될 수 있도록 하여 싱크대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는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수거통을 전방으로 용이하게 삽탈시킬 수 있도록 하고, 수거함이 건조케이싱에 삽입되어 닫힌 상태에서는 자석에 의해 수거함이 건조케이싱에 밀착되어 찌꺼기의 냄새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 하측에 설치되어 싱크대로 버리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탈수기(1)에서 분쇄한 뒤에 이를 압축스크류로서 탈수시키며, 탈수되는 물은 하수관으로 배수시키고, 물기가 탈수된 찌꺼기는 수거통(2)으로 유입되어 건조되며, 상기 수거통(2)은 측면과 전후방에 찌꺼기유입구(5)와 공기유입구(6) 및 공기배출구(7)를 형성한 건조케이싱(8)의 내측 상부에 송풍팬(9)과, 체크밸브(10)와, 히터(11)가 각각 설치되고, 건조케이싱(8)의 내부에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지는 수거함(17)이 삽탈가능하게 설치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케이싱(8)의 전면에는 수거함(17)이 서랍식으로 삽입될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2)의 상하부에는 자석에 붙게 되는 철판(13)이 설치되며, 상기 건조케이싱(8)의 내측 바닥면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1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건조케이싱(8)의 개구부(12)에는 수거함(17)이 서랍식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수거함(17)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6)에 슬라이딩 안내될 가이드홈(18)이 형성되고, 수거함(17)의 전면에는 손잡이부(19)가 형성되며, 손잡이부(19)가 형성된 수거함(17)의 전면 상하부에는 수거함(17)을 닫았을 때 수거함(17)과 건조케이싱(8)이 틈새 없이 밀착되게 하는 자석(20)이 철판(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찌꺼기 수거통{Waste box of a device for disposing garbage}
본 발명은 주방의 싱크대 하측에 설치되어 싱크대의 배수구로 버리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탈수기에서 분쇄와 탈수를 시킨 뒤에 찌꺼기를 수거통으로 보내어 건조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찌꺼기 수거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거통의 수거함을 전방으로 꺼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수거함이 건조케이싱의 가이드레일에 의해 슬라이드식으로 출몰될 수 있도록 하여 싱크대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는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수거통을 전방으로 용이하게 삽탈시킬 수 있도록 하고, 수거함이 건조케이싱에 삽입되어 닫힌 상태에서는 자석에 의해 수거함이 건조케이싱에 밀착되어 찌꺼기의 냄새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찌꺼기 수거통은 특허출원 제2004-18966호(발명의 명칭 : 음식물쓰레기 파쇄 및 압축 탈수 건조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로서, 분쇄탈수기에서 분쇄와 탈수된 찌꺼기를 건조시켜 보관하는 것이다.
상기 선출원건의 발명에 기재되어 있는 수거통(선출원건의 명세서에는 건조부로 기재되어 있음)은 건조케이싱 내부에 다수의 통기공을 갖는 수거함을 내입하고, 상부 뚜껑에는 송풍팬을 설치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건조케이싱 내부로 유입시켜 송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는 건조케이싱 하부의 공기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된 후 하수관을 통하여 배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뚜껑의 공기유입공에는 일방향으로만 개폐될 수 있는 체크밸브를 설치토록 하며, 송풍팬 하부에는 선택적으로 열풍을 공급하여 신속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히터를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선 출원건에 기재된 건조부의 수거함을 건조케이싱의 상측으로 삽탈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설치되는 싱크대는 전방에 도어가 힌지식으로 개방되게 되어 있으면서 상부가 막혀있기 때문에 건조케이싱에서 수거함을 상측으로 삽탈할 수 없는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거통의 수거함을 전방으로 꺼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수거함이 건조케이싱의 가이드레일에 의해 슬라이드식으로 출몰될 수 있도록 하여 싱크대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는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수거통을 전방으로 용이하게 삽탈시킬 수 있도록 하고, 수거함이 건조케이싱에 삽입되어 닫힌 상태에서는 자석에 의해 수거함이 건조케이싱에 밀착되어 찌꺼기의 냄새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 하측에 설치되어 싱크대로 버리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탈수기에서 분쇄한 뒤에 이를 압축스크류로서 탈수시키며, 탈수되는 물은 하수관으로 배수시키고, 물기가 탈수된 찌꺼기는 수거통으로 유입되어 건조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은 건조케이싱의 전면에 수거함이 서랍식으로 삽입될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상하부에는 자석에 붙게 되는 철판이 설치되며, 상기 건조케이싱의 내측 바닥면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건조케이싱의 개구부에는 수거함이 서랍식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수거함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안내될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수거함의 전면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손잡이부가 형성된 수거함의 전면 상하부에는 수거함을 닫았을 때 수거함과 건조케이싱이 틈새 없이 밀착되게 하는 자석이 철판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찌꺼기 수거통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찌꺼기 수거통은, 싱크대의 배수구 하측에 설치되어 싱크대로 버리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탈수기(1)에서 분쇄한 뒤에 이를 압축스크류로서 탈수시키며, 탈수되는 물은 배수관을 통하여 하수관으로 배수시키고, 물기가 탈수된 찌꺼기는 건조수단을 구비한 수거통(2)으로 유입되어 건조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일부 주요구성요소로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쇄탈수기(1)와 하방에 배수관(3)이 형성된 찌꺼기배출관(4)을 사이에 두고 수거통(2)이 연결된다.
상기 수거통(2)은 측면에 분쇄탈수기(1)와 찌꺼기배출관(4)이 연결되는 찌꺼기유입구(5)가 형성되고 전후방에 공기유입구(6)와 공기배출구(7)를 형성한 사각 함체형으로 형성된 건조케이싱(8)의 내측 상부에는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수거통(2) 내부에 담겨진 음식물쓰레기 찌꺼기를 건조시키는 송풍팬(9)과, 공기유입구(6)의 내면에 설치되어 수거통(2) 내부의 냄새가 외부로 새어나기 못하게 하는 체크밸브(10)와, 수거통(2) 내부에 담겨진 음식물쓰레기 찌꺼기의 건조를 가속화시키는 히터(1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케이싱(8)의 전면에는 수거함(17)이 서랍식으로 삽입될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2)의 상하부에는 자석에 붙게 되는 철판(13)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철판(13)은 구멍이 뚫려 있고, 이 구멍으로 나사를 체결하거나 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철판(13)의 구멍에 끼워질 돌기(14)를 형성하고 양측 전면에 철판(13)의 양단이 걸릴 걸림부(15)를 형성하여 개구부(12)의 전면 상하부에 철판(13)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케이싱(8)의 내측 바닥면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1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건조케이싱(8)의 개구부(12)에는 수거함(17)이 서랍식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수거함(17)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6)에 슬라이딩 안내될 가이드홈(18)이 형성되고, 수거함(17)의 전면에는 손잡이부(19)가 형성되며, 손잡이부(19)가 형성된 수거함(17)의 전면 상하부에는 수거함(17)을 닫았을 때 수거함(17)과 건조케이싱(8)이 틈새없이 밀착되게 하는 자석(20)이 철판(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자석(20)의 설치는 외부에서 자석이 보이지 않도록 접착제로 부착하거나,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겠으나,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거함(17)의 전면판의 상하부에 자석삽입부(21)를 형성한 뒤에, 자석삽입부(21)로 자석(20)을 삽입하고 그 입구를 실리콘(22)으로 메워서 자석을 고정 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싱크대의 배수구하측에 설치한 상태에서 싱크대의 배수구로 음식물쓰레기를 물과 함께 버리게 되면, 분쇄탈수기(1)로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는 분쇄탈수기(1)에서 1차적으로 분쇄되면서 이렇게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가 찌꺼기배출관(4)의 내부에 설치된 이송스크류에 의해 탈수가 되면서 탈수된 물은 찌꺼기배출관(4) 하측의 배수관(3)으로 배수되고, 물기가 빠진 찌꺼기만 찌꺼기유입구(5)를 통하여 수거통(2)으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거통(2)의 찌꺼기유입구(5)로 유입되는 음식물 찌꺼기는 수거통(2)의 건조케이싱(8)에 서랍식으로 설치된 수거함(17)으로 유입되게 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건조케이싱(8)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송풍팬(9)의 구동에 의해 공기유입구(6)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건조케이싱(8)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며, 이렇게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수거함(17)에 받혀진 음식물 찌꺼기가 건조되게 된다.
상기 공기유입구(6)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건조케이싱(8)의 내부로 유입될 때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힘에 의해 얇은 고무막으로 형성된 체크밸브(10)가 열리면서 외부공기가 유입되게 되는 것이고, 송풍팬(9)의 가동이 정지된 경우에는 얇은 고무막으로 형성된 체크밸브(10)가 원위치로 복귀하여 공기유입구(6)를 막게 되어 건조케이싱(8) 내의 냄새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구(6)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건조케이싱(8)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히터(11)의 열기를 건조케이싱(8) 내에서 순환시켜 수거함(17)에 담겨진 음식물 찌꺼기의 건조를 가속화시키게 되는 것이며, 건조케이싱(8) 내부를 순환하며 수거함(17)에 담겨진 음식물 찌꺼기를 건조시킨 순환공기는 공기배출구(7)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건조케이싱(8)의 내부를 순환하며 수거함(17)에 담겨진 음식물 찌꺼기를 건조시킬 때, 음식물 찌꺼기가 담겨진 수거함(17)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거함(17)의 전면판에 자석(20)이 설치되어 있고, 그 자석에 대응하는 건조케이싱(8)의 전면판에는 철판(13)이 설치되어서 건조케이싱(8)의 전면과 수거함(17)의 전면판이 틈새 없이 밀착되어 건조케이싱(8) 내부의 냄새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못하게 한다.
위와 같이 건조케이싱(8)의 내부에서 수거함(17)에 담겨진 음식물 찌꺼기가 건조된 뒤에는 수거함(17)을 서랍식으로 인출하여 수거함(17)에 담겨있던 건조된 음식물 찌꺼기를 쏟아내어 사료나 퇴비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데, 상기 수거함(17)을 건조케이싱(8)에서 슬라이드식으로 인출할 때 건조케이싱(8)의 하측 바닥면에는 가이드레일(16)이 형성되고, 수거함(17)의 저면에는 가이드레일(16)에 안내되는 가이드홈(18)이 형성되어서 수거함(17)을 건조케이싱(8)에서 부드럽게 슬라이드식으로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거함(17)은 건조케이싱(8)의 전방으로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음에 따라 상부가 막혀있고 전방에 도어가 힌지식으로 개폐되게 설치된 싱크대에 설치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수거함(17)을 전방으로 용이하게 삽탈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거함(17)으로 담겨지는 음식물 찌꺼기는 분쇄탈수기(1)로 유입될 때 물과 함께 분쇄탈수기(1)로 유입되어 염분이나 고춧가루등의 양념등이 물과 함께 빠져나가게 되고, 싱크대로 버리는 음식물쓰레기는 장기간 방치하였다가 버리는 것이 아니고, 대부분 그날그날 버리기 때문에 부패하지 않아 분쇄되고 탈수된 음식물 찌꺼기가 수거함(17)에 담겨진 경우에 별로 냄새가 나지 않게 되어 건조케이싱(8)의 외부로 냄새가 별로 나지 않게 되는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찌꺼기 수거통은, 수거통의 수거함을 전방으로 꺼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수거함이 건조케이싱의 가이드레일에 의해 슬라이드식으로 출몰될 수 있도록 하여 싱크대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는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수거통을 전방으로 용이하게 삽탈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수거함이 건조케이싱에 삽입되어 닫힌 상태에서는 자석에 의해 수거함이 건조케이싱에 밀착되어 찌꺼기의 냄새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는 효과를 아울러 지니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연결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수거통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를 확대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쇄탈수기 2 : 수거통 3 : 배수관
4 : 찌꺼기배출관 5 : 찌꺼기유입구 6 : 공기유입구
7 : 공기배출구 8 : 건조케이싱 9 : 송풍팬
10 : 체크밸브 11 : 히터 12 : 개구부
13 : 철판 14 : 돌기 15 : 걸림부
16 : 가이드레일 17 : 수거함 18 : 가이드홈
19 : 손잡이부 20 : 자석 21 : 자석삽입부
22 : 실리콘

Claims (2)

  1. 싱크대의 배수구 하측에 설치되어 싱크대로 버리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탈수기(1)에서 분쇄한 뒤에 이를 압축스크류로서 탈수시키며, 탈수되는 물은 하수관으로 배수시키고, 물기가 탈수된 찌꺼기는 수거통(2)으로 유입되어 건조되며, 상기 수거통(2)은 측면과 전후방에 찌꺼기유입구(5)와 공기유입구(6) 및 공기배출구(7)를 형성한 건조케이싱(8)의 내측 상부에 송풍팬(9)과, 체크밸브(10)와, 히터(11)가 각각 설치되고, 건조케이싱(8)의 내부에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지는 수거함(17)이 삽탈가능하게 설치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케이싱(8)의 전면에는 손잡이부(19)가 형성된 수거함(17)이 서랍식으로 삽입될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건조케이싱(8)의 내측 바닥면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16)이 형성되고,
    상기 건조케이싱(8)의 개구부(12)에는 수거함(17)이 서랍식으로 출몰되게 설치되며, 이 수거함(17)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6)에 슬라이딩 안내될 가이드홈(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찌꺼기 수거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2)의 상부에는 자석에 붙게 되는 철판(13)이 설치되며, 수거함(17)의 전면 상부에는 수거함(17)을 닫았을 때 수거함(17)과 건조케이싱(8)이 틈새 없이 밀착되게 하는 자석(20)이 철판(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찌꺼기 수거통.
KR1020050062369A 2005-07-11 2005-07-11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찌꺼기 수거통 KR20050080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369A KR20050080094A (ko) 2005-07-11 2005-07-11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찌꺼기 수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369A KR20050080094A (ko) 2005-07-11 2005-07-11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찌꺼기 수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094A true KR20050080094A (ko) 2005-08-11

Family

ID=37266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369A KR20050080094A (ko) 2005-07-11 2005-07-11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찌꺼기 수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009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7843A (zh) * 2014-09-30 2015-01-28 苏州美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生化一体机
KR20190114654A (ko) * 2018-03-30 2019-10-10 이진호 개선된 구조의 싱크대
KR102079541B1 (ko) * 2019-04-04 2020-02-20 양영애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
CN113969569A (zh) * 2021-10-25 2022-01-25 潘位存 一种河道水污染处理垃圾收集机构
KR102550444B1 (ko) * 2022-10-04 2023-07-03 주식회사 반석기술단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7843A (zh) * 2014-09-30 2015-01-28 苏州美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生化一体机
KR20190114654A (ko) * 2018-03-30 2019-10-10 이진호 개선된 구조의 싱크대
KR102079541B1 (ko) * 2019-04-04 2020-02-20 양영애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
CN113969569A (zh) * 2021-10-25 2022-01-25 潘位存 一种河道水污染处理垃圾收集机构
KR102550444B1 (ko) * 2022-10-04 2023-07-03 주식회사 반석기술단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40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50080094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찌꺼기 수거통
KR200399097Y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냉장고
KR101178606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
KR10044956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92526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5250375B2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082567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173892Y1 (ko)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20050080095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찌꺼기 수거통
KR101618222B1 (ko) 증기를 응축 및 순환시킬 수 있는 드럼트랩 및 이를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225389B1 (ko) 음식쓰레기 탈수장치
KR100602013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KR200356431Y1 (ko) 씽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02012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KR101579216B1 (ko) 하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50086979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공기순환구조
KR100663702B1 (ko) 음식물쓰레기 자동 건조 장치
KR200399090Y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용 건조 장치
KR100624006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KR20090120694A (ko) 음식물쓰레기 분쇄건조장치용 냉각장치
JP2011041885A (ja) 流し台
KR100456376B1 (ko)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처리장치
JP2010115622A (ja) 流し台シンク一体型生ごみ処理機
KR20017131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