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935A -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 - Google Patents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935A
KR20110103935A KR1020117010591A KR20117010591A KR20110103935A KR 20110103935 A KR20110103935 A KR 20110103935A KR 1020117010591 A KR1020117010591 A KR 1020117010591A KR 20117010591 A KR20117010591 A KR 20117010591A KR 20110103935 A KR20110103935 A KR 20110103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pport structure
mounted furniture
inner body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0126B1 (ko
Inventor
클라우스 브뤼스틀레
헬무트 홀렌슈타인
Original Assignee
줄리우스 블룸 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줄리우스 블룸 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줄리우스 블룸 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103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본체(15)와 이에 대하여 하강될 수 있는 내부본체(19)를 갖는 벽(18)에 부착하는 형태인 가구본체를 위한 지지구조물(11)관한 것으로, 이 지지구조물(11)이 서로 간격을 두고 벽(18)에 부착될 두개의 측면요소(1, 1a)와 측면요소(1, 1a)를 분리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부재(12)를 포함하고, 지지구조물(11)이 이러한 지지구조물(11)에 외부본(15)체와 내부본체(19)를 독립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개별적인 고정부(2a, 2b, 13a, 13b)를 가지며, 내부본체(19)를 향하는 내측부에서 각 측면요소(1)는 예비부착된 수직가동형 지지요소(6)를 가지고, 이러한 지지요소(6)는 내부본체(1a)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a, 2b)를 갖는다.

Description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 {SUPPORTING STRUCTURE FOR A FURNITURE BODY TO BE INSTALLED ON THE WALL}
본 발명은 외부본체와 이에 대하여 하강될 수 있는 내부본체를 갖는 벽부착형 가구본체를 위한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지지구조물이 서로 간격을 두고 벽에 부착될 두개의 측면요소와 측면요소를 분리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부재를 포함하고, 지지구조물이 이러한 지지구조물에 외부본체와 내부본체를 독립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개별적인 고정부를 갖는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종류의 지지구조물을 갖는 가구제품과 벽에 가구제품을 부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부본체와 이에 대하여 하강될 수 있는 내부본체를 갖는 가구제품은 예를 들어 본원 출원인에게 특허된 특허문헌 AT 503 671 B1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에서 내부본체는 작동드라이브 및 전동기구에 의하여 상향으로 이동가능한 플랩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기계적으로 비교적 무거운 중량의 작동드라이브를 부착하기 위하여 비교적 안정된 외부본체가 제공되어야 한다.
특허문헌 JP 2007-260200에는 하강될 수 있어야 하고 벽에 부착될 벽패널에 대하여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착설되는 상부찬장을 위한 지지구조물이 기술되어 있다. 벽패널에는 캐리어가 착설되고 이에 장식패널이 부착된다. 상부찬장이 상승위치에 있을 때 상부찬장의 개방된 찬장격실이 장식패널에 의하여 가려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제품을 벽에 간단히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된 외부본체를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구성들에 대하여서는 종속항에서 언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본체를 향하는 내측부에서 각 측면요소는 예비부착된 수직가동형 지지요소를 가지며, 이러한 지지요소는 내부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갖는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내부본체는 벽에 고정된 측면요소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에 지지요소(그리고 내부본체와 함께)의 이동은 전기구동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본체는 이러한 내부본체가 실질적으로 측면요소 사이에 완전히 삽입되는 상단위치로부터 하단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하단위치에서 내부본체에는 이에 수납된 물건이 용이하게 실릴 수 있도록 한다.
두개의 측면요소와 이들 측면요소를 연결하는 가로부재는 함께 부착위치에서 U-형의 형틀을 형성한다. U-형 형틀은 부착단계에서 벽에 사전에 예비부착된다. 가로부재와 함께 측면요소는 골격구조물을 형성하고, 내부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지지구조물의 내측에 제공되고 외부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는 지지구조물의 외측에 제공된다.
이와 같은 지지구조물은 내부본체가 외부본체와는 독립적으로 어떠한 결합관계가 없이 지지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외부본체에 내부본체의 하중이 얹히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본체를 원목재료(예를 들어 칩보드나 원목보드)로 제작될 필요가 없다. 차라리 외부본체는 깨끗하고 깔끔한 이미지를 줄 수 있는 순수장식기능만을 갖추면 될 것이다. 따라서, 외부본체는 기본적으로 경량구조재(예를 들어 허니컴구조물과 같은 경량건축재 패널)로 제작될 수 있다. 이미지가 좋지 않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라면 지지구조물에 외부본체를 배치하는 것조차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주구조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요소를 판상의 형태인 평판체로 제작될 필요는 없다. 프레임형 지주구조물을 이용함으로서 지지구조물의 무게를 현저히 줄이므로서 벽에 대한 부착이 단순화된다. 안정성을 이유로 지주구조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부재 또는 금속 형강부재로 제작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요소는 실질적으로 프레임형태인 측면부와 이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이 되게 연장된 상면부를 갖는다. 따라서 측면요소는 L-형의 단면형상을 이루며 이러한 L-형 단면형상의 기다란 장변부는 내부본체의 외측에 결합되고 L-형 단면형상의 짧은 단변부는 내부본체의 상면부에 결합된다. 가로부재는 적당한 고정장치에 의하여 측면요소의 두 상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가로부재는 다양한 공칭길이를 갖는 모듈화된 교체요소의 형태일 수 있어 지지구조물은 부착되는 내부본체의 폭에 맞추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가로부재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예를 들어 신축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내부본체의 길이에 맞추어 지지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측면요소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지지구조물은 그 전체가 높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거나 측방향으로 또는 깊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길이를 맞추기 위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모듈화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함께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두개의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내부본체의 각 크기에 대하여 지지구조물을 무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대측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상대측에 대하여 위치조절 후에 고정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내부본체 및/또는 외부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는 스크류연결부의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이들 고정부는 기계적인 잠금부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탄성효과에 대하여 압력을 가함으로서 지지구조물로부터 내부본체 및/또는 외부본체를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또는 스프링탄지형 잠금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내부본체 및/또는 외부본체는 지지구조물에 스냅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다른 공구의 사용없이 요구되는 경우 다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외부본체는 판상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본체는 단순히 장식기능만을 가지므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경량의 판체 또는 패널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제품은 이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구조물에 의하여 특징지어진다.
외부본체와 하강될 수 있는 내부본체를 갖는 가구제품을 벽에 고정하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로 구성된다.
- 각각 수직가동형 지지요소를 갖는 두개의 측면요소가 서로 간격을 두고 벽에 부착되는 단계,
- 두 측면요소 사이에 내부본체를 삽입하는 단계,
- 내부본체를 두 지지요소에 연결하는 단계와,
- 지지구조물에 외부본체를 연결하는 단계.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요소의 한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2는 두 측면요소와 가로부재를 갖는 지지구조물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조립된 상태의 지지구조물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외부본체가 부착된 지지구조물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가구의 덮개, 즉 가구플랩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갖추고 내부본체를 하강시키기 위하여 착설되는 스위치를 갖춘 지지구조물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외부본체가 부착되고 벽에 예비부착된 벽홀더를 갖는 지지구조물의 사시도.
도 7은 벽에 고정된 지지구조물과 이러한 지지구조물에 부착될 내부본체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수직가동형 가구플랩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부착되어야 하는 작동암을 이용하여 벽에 고정되는 지지구조물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벽에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있고 가구플랩이 부착될 수 있게 된 가구제품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가구플랩이 개방된 것을 보인 가구제품의 사시도.
도 11은 개방된 가구플랩과 하강된 내부본체를 보인 가구제품을 보인 사시도.
도 12a와 도 12b는 주방의 상부찬장과 같은 가구제품의 전형적인 부착상태를 보인 것으로 내부본체가 상부위치에 있는 것과 하강위치에 있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구조물의 측면요소(1)의 한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개략적으로 보인 고정부(2a, 2b)에서 내부본체(이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음)가 측면요소(1)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골격형의 측면요소(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제 지주구조물로 구성된다. 측면요소(1)는 벽에 고정적으로 고정될 프레임형 측면부(3)를 갖는다. 측면부(3)의 상부에는 이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된 상면부(4)가 배치되어 측면요소(1)가 실질적으로 L-형의 단면형상을 갖는다. 상부면(4)은 홈통의 형상으로서 수직가동형 지지요소(8)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구동장치(5)가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다. 전기구동장치(5)가 전동기구(7)(예를 들어 케이블장치, 톱니형 벨트 및/또는 기어전동기)에 의하여 지지요소(6)에 작용함으로서 지지요소(6)가 고정된 측면부(3)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높이가 조절가능한 지지요소(6)는 수평지지대(8)를 가짐으로서 부착될 내부본체가 전면으로부터 이러한 수평지지대(8)측으로 가압되어 위치가 선정된 후 지지요소(6)상에 고정부(2a, 2b)에 의하여 위치가 선정된 후에 고정될 수 있다. 내부본체의 깊이방향으로 측면요소(1)를 조절하기 위하여 예시된 실시형태의 측면요소(1)는 깊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가동부(3a)는 고정되어 있는 측면부(3)에 대하여 신축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위치선정이 끝난 후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측면요소(1)는 유사한 방식으로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측면요소(1)는 이 측면요소(1)에 대하여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플랩이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구동장치(10)를 위한 고정장치(9)를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구조물(11)을 보인 것으로, 이는 조립된 상태에서 벽에 부착될 U-형의 형틀을 구성한다. 도 1에서 보이고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은 측면요소(1)는 이 도면에서 좌측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의 우측에는 좌측의 측면요소(1)와 유사한 구조인 다른 측면요소(1a)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이는 이 측면요소(1a)의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우측의 측면요소(1a)의 외측에서 고정부(13a)(13b)를 볼 수 있는데 이에 의하여 외부본체가 지지구조물(11)에 고정될 수 있다. 내부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내부 고정부(2a)(2b)와 외부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외부 고정부(13a)(13b)는 개략적으로만 도시하였다. 지지구조물(11)에서 내부 고정부(2a)(2b)와 외부 고정부(13a)(13b)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와는 상이할 수 있으며 또한 이들 고정부(2a, 2b)(13a, 13b)는 달리 공구를 사용함이 없이 지지구조물에 내부본체나 외부본체를 부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류 연결부, 인써트나 기계적인 잠금연결부의 형태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각 측면요소(1)는 수직가동형 지지요소(6)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기구동장치(5)를 갖는다. 단 하나의 전기구동장치가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두 측면요소(1)의 상면부(4)는 가로부재(12)에 의하여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스크류 연결부 또는 기계적인 잠금연결부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어 공구없이 가로부재(12)가 두 상면부(4)에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가로부재(12)는 홈통형 구조로 예를 들어 두 전기구동장치(5)를 위한 전원장치(P)가 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3은 두 측면요소(1)를 갖는 지지구조물(11)을 보인 것으로, 그 상면부(4)는 가로부재(12)에 연결된다. 또한 두 지지요소(6)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두개의 전기구동장치(5)를 보이고 있다. 지지구조물(11)의 내부에는 부착될 내부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a)(2b)가 제공되는 반면에, 외부에는 부착될 외부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3a)(13b)가 제공된다. 측면부(3)는 안정화를 위하여 사용되는 지주(14)에 의하여 하부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외측에 외부본체(15)가 연속부착단계에서 고정되는 도 3의 지지구조물(11)을 보이고 있다. 외부본체(15)는 도 3에서 개략적으로 보인 외부 고정부(3a)(13b)에 고정되는 판상의 벽(15a)(15b)(15c)을 갖는다. 이 도면에서는 프레임형 벽홀더(15)를 볼 수 있는 바, 이에 의하여 외부본체(15)와 함께 지지구조물(11)이 벽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외부본체(15)가 부착된 지지구조물(11)을 보인 것으로, 구동장치(16)가 지지구조물(11)의 고정장치(9)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구동장치(16)는 스프링장치(도시하지 않았음) 및/또는 전기모터로 구성되고, 고정된 수직가동형 플랩이 구동장치(16)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하측으로 이동가능한 내부본체의 이동이 시작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17)를 볼 수 있다. 두개의 스위치(17)가 지지구조물(11)의 좌측과 우측에 고정장치(9a)에 의하여 고정된다. 구동장치(16) 및/또는 스위치(17)는 고정장치(9)(9a)내에서 측면부(3)에 대하여 깊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고(이로써 부착된 상태에서 이들은 본체의 정면변부와 정렬될 수 있다) 위치선정이 이루어진 후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구플랩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16)와 함께 수직가동형 지지요소(6)의 모터보조운동이 시작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17)가 구비된 지지구조물(11)을 보이고 있다. 벽(18)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에 프레임형 벽홀더(14a)가 사전에 부착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수직가동형 지지요소(6)의 수평지지대(8)를 볼 수 있는데, 이에 의하여 부착될 내부본체가 삽입되어 고정부(2a)(2b)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판상 벽(15a)(15b)(15c)을 갖는 외부본체(15)가 사전에 부착되고 벽(18)에 고정되는 지지구조물(11)을 보인 것이다. 다음의 부착단계에서 찬장형태인 내부본체(19)가 도6에서 좌우에 보인 지지대(8)측으로 이동되어 고정부(2a)(2b)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내부본체(19)는 수직가동형 지지요소(6)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스위치(17)의 작동으로 외부본체(15)에 대하여 하강될 수 있다.
도 8은 외부에 외부본체(15)가 고정되고 내부에 상자형 내부본체(19)가 고정된 지지구조물(11)을 보이고 있다. 이후의 부착단계에서 작동암(20)이 두개의 구동장치(16)에 해제가능하게 잠겨 있다. 작동암(20)은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구플랩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장치(20a)에 의하여 스냅연결방식으로 가구플랩에 연결될 수 있으며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9는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두개의 플랩부분(21a)(21b)을 포함하는 가구플랩(21)이 부착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상부 플랩부분(21a)은 잘 알려진 힌지장치에 의하여 본체에 배치된다. 하부 플랩부분(21b)은 상부 플랩부분(21a)에 힌지연결되고 작동암(20)의 고정장치(20a)에 고정된다.
도 10은 외부본체(15)와 내부본체(19)가 부착되고 가구플랩(21)이 연결된 가구제품(22)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 내부본체(19)는 스위치(17)에 의하여 요구된 바에 따라서 하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내부본체(19)는 이에 수납되는 물건이 용이하게 실릴 수 있다. 도시된 가구본체(22)는 특히 주방용의 상부찬장용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외부본체(15)가 고정되어 있고 내부본체(19)가 이에 대하여 하강되어 있는 가구제품(22)을 보이고 있다. 스위치(17)의 작동에 의하여, 내부본체(19)는 다시 상단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이 경우 내부본체(19)는 외부본체(15)내에 완전히 수용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내부본체(19)는 가구플랩(21)의 운동과는 무관하게 이동되나 가구플랩(21)의 운동과 하측으로 이동가능한 내부본체(19)의 운동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2a는 주방의 상부찬장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구제품(22)의 전형적인 설치형태를 보인 것이다. 가구제품(22)은 가구플랩(21)이 개방되고 내부본체(19)가 상부위치에 놓여있는 고정된 외부본체(15)를 갖는다. 도 12b는 내부본체(19)가 하강되어 이 내부본체(19)가 조리대(23)에 좀 더 접근하여 이동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로써 내부본체(19)에는 이에 수납되는 물건이 용이하게 실리고 이에 수납된 물건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형형태나 기술적으로 동등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본문에서 상, 하, 좌, 우 등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는 지지구조물(11)이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위치 또는 직접적으로 설명되고 예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정하여진 것으로 위치의 변경이 있는 경우 새로운 위치로 적당히 전환될 수 있다.
1, 1a: 측면요소, 2a, 2b, 13a, 13b: 고정부, 6: 고정요소, 11: 지지구조물, 12: 가로부재, 15: 외부본체, 18: 벽, 19: 내부본체

Claims (15)

  1. 외부본체(15)와 이에 대하여 하강될 수 있는 내부본체(19)를 갖는 벽(18)에 부착하는 형태인 가구본체를 위한 지지구조물(11)로서, 이 지지구조물(11)이 서로 간격을 두고 벽(18)에 부착될 두개의 측면요소(1, 1a)와 측면요소(1, 1a)를 분리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부재(12)를 포함하고, 지지구조물(11)이 이러한 지지구조물(11)에 외부본(15)체와 내부본체(19)를 독립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개별적인 고정부(2a, 2b; 13a, 13b)를 갖는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에 있어서, 내부본체(19)를 향하는 내측부에서 각 측면요소(1)는 예비부착된 수직가동형 지지요소(6)를 가지며, 이러한 지지요소(6)는 내부본체(1a)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a, 2b)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요소(6)가 내부본체(19)를 지지하기 위한 수평지지대(8)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요소(6)가 전기구동장치(5)와 전동기구(7)에 의하여 이동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부요소(1, 1a)가 지주구조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부요소(1, 1a)가프레임의 형태인 측면부(3)와 이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된 상면부(4)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면부(4)가 전기구동장치(5)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
  7.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로부재(12)가 전원장치(P)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
  8.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요소(1, 1a)는 일측방향으로 길이가 변화가능하게 되어 있어 측면요소(1, 1a)가 다양한 크기의 내부본체(19)에 맞추어 사용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길이의 변화에 맞추어 측면요소(1)가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두 부분(3, 3a) 또는 상대측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적어도 두개의 부분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
  10. 제1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요소(1, 1a)가 가구플랩(21)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10)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장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
  11. 제10항에 에 있어서, 고정장치가 인써트의 형태이고, 구동장치(10)가 상기 인써트에 삽입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본체(15)를 위한 고정부(1a, 13b)가 지지구조물(11)의 외측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본체(15)가 판상 벽(15a, 15b, 15c)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
  14. 제13항에 있어서, 판상 벽(15a, 15b, 15c)의 크기가 내부본체(19)의 크기와 같음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
  15.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4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지지구조물을 갖는 가구제품.
KR1020117010591A 2009-01-16 2009-12-28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 KR101620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68/2009A AT507804B1 (de) 2009-01-16 2009-01-16 Tragekonstruktion für einen möbelkorpus
ATA68/2009 2009-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935A true KR20110103935A (ko) 2011-09-21
KR101620126B1 KR101620126B1 (ko) 2016-05-23

Family

ID=4172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591A KR101620126B1 (ko) 2009-01-16 2009-12-28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79390B2 (ko)
EP (1) EP2378922B1 (ko)
JP (1) JP5620924B2 (ko)
KR (1) KR101620126B1 (ko)
CN (1) CN102256509B (ko)
AT (1) AT507804B1 (ko)
WO (1) WO20100811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1446B1 (de) * 2011-09-02 2012-12-15 Blum Gmbh Julius Möbel mit auf- und abfahrbarem innenkorpus und klappe zum abdecken desselben
US20140191640A1 (en) * 2013-01-05 2014-07-10 Monti Marsters Accessible Cabinetry System
US20140203692A1 (en) * 2013-01-05 2014-07-24 Monti Marsters Accessible Cabinetry System
US11039685B2 (en) * 2019-08-05 2021-06-22 Cmech (Guangzhou) Ltd. Transmission assembly, power unit and lifting cabinet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2760A (en) * 1947-02-18 1952-04-15 Sutera Charles Self-balancing cabinet
US2944540A (en) * 1955-12-22 1960-07-12 Jr Charles C Littell Oven
US2889442A (en) * 1958-01-10 1959-06-02 Gen Electric Domestic appliance
US3415586A (en) * 1967-06-12 1968-12-10 James F. Hammond Cabinet shelf elevator and control
US3729245A (en) * 1970-12-28 1973-04-24 W Skifstrom Concealed actuating unit for automatically raising and lowering cabinets and the like
US4076351A (en) * 1976-04-19 1978-02-28 Hobart Dale Wyant Up-down cabinet
DE3409990A1 (de) * 1984-03-19 1984-07-12 Hermann 4905 Spenge Dröge Vorrichtung fuer einen absenkbaren oberschrank
JPS6253035U (ko) * 1985-09-25 1987-04-02
JPS6270829U (ko) * 1985-10-25 1987-05-06
DE3767225D1 (de) * 1986-06-20 1991-02-14 Duskin Co Ltd Handtuchspender.
FR2648212B1 (fr) * 1989-06-08 1994-05-20 Ciedil Dispositif support a positionnement reglable pour volumes de rangement et autres applications
US5203619A (en) * 1990-11-07 1993-04-20 Intermetro Industries Corporation Storage system including a vertically retractable storage unit
US5586816A (en) * 1992-07-09 1996-12-24 Geiss, Ii; Michael J. Multi-purpose, mobile storage cabinet with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djustable shelf structure
US5305898A (en) * 1992-10-27 1994-04-26 Merl Milton J Merchandise saddle display system
GB9322510D0 (en) * 1993-11-01 1993-12-22 Eagles Eddie J Method and unit for storage
JPH0975150A (ja) * 1995-09-07 1997-03-25 Cleanup Corp 昇降機構を備えた吊り戸棚
JP3748613B2 (ja) * 1996-03-07 2006-02-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収納部昇降支持装置
DE29716229U1 (de) * 1997-09-10 1997-10-23 Luetze Friedrich Elektro Vorrichtung zur Befestigung und Verdrahtung einer Vielzahl von elektrischen Einheiten, insbesondere in einem Schaltschrank
FR2783142B1 (fr) * 1998-09-15 2000-10-27 Cuisines Et Hottes Meissonnier Support de meuble ou de partie de meuble permettant le reglage de sa position en hauteur
US6471311B1 (en) * 1999-05-25 2002-10-29 David E. Snyder Cabinet with downward extendable/retractable shelves
JP3881139B2 (ja) * 1999-10-19 2007-02-14 アスモ株式会社 家具昇降装置
US6484893B1 (en) * 2001-06-29 2002-11-26 Vladimir D. Tkatch Shelving apparatus
AT7500U1 (de) * 2004-02-09 2005-04-25 Blum Gmbh Julius Stellarmantrieb für klappen von schränken
JP4969129B2 (ja) * 2006-03-29 2012-07-04 Toto株式会社 昇降ウォール収納棚
AT503671B1 (de) 2006-05-17 2008-11-15 Blum Gmbh Julius Möbel
US7770986B1 (en) * 2007-09-20 2010-08-10 Vaidotas Joseph Simaitis Overhead pull-out swing-down drawer
US8424983B1 (en) * 2012-02-10 2013-04-23 Gary Strauss Motorized upper and lower storage shel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79390B2 (en) 2013-11-12
EP2378922A1 (de) 2011-10-26
EP2378922B1 (de) 2015-02-18
WO2010081180A1 (de) 2010-07-22
CN102256509B (zh) 2013-11-06
KR101620126B1 (ko) 2016-05-23
US20110221317A1 (en) 2011-09-15
AT507804B1 (de) 2013-05-15
AT507804A1 (de) 2010-08-15
JP2012515023A (ja) 2012-07-05
JP5620924B2 (ja) 2014-11-05
CN102256509A (zh) 201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9967B1 (en) Refrigerating appliance
US9271572B2 (en) Lift system
KR101620126B1 (ko)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
JP5587196B2 (ja) 1以上の家具駆動手段のための支持構造
AU2012217247A1 (en) Refrigerating appliance
WO2004075684A3 (en) Modular sub-cabinet for motion furniture
US10010174B2 (en) Mounting mechanism
CN102421331A (zh) 家具壁和家具
JP2011507565A (ja) 引出し用フロント調整器及び引出し
US20080087788A1 (en) Height adjusting device
US20180125230A1 (en) Top-panel-equipped furniture and furniture system
JP4797911B2 (ja) 昇降天板付きデスク装置
EP2510834A1 (en) Hidden device for the wall assembly of a structural component of a piece of furniture, with side regulation
KR101753462B1 (ko)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KR101855822B1 (ko) 높이 조절형 수납장
KR20100056088A (ko) 차량용 암레스트
KR20200144714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일체형 책상
JP2013240198A (ja) 配電盤筐体への中板取付用治具及び配電盤筐体への中板取付方法
KR20140059017A (ko) 선반 이동장치
JP2004194917A (ja) 間仕切り体付き家具
JP6877103B2 (ja) 什器
GB2446936A (en) Flat-screen display decorative sliding mounting configuration
KR20050025058A (ko) 이동식 거울이 구비된 화장대
EP4324059A1 (en) Flush-to-wall electrical box
JP2018178514A (ja)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パーティショ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