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153A -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153A
KR20110103153A KR1020100022348A KR20100022348A KR20110103153A KR 20110103153 A KR20110103153 A KR 20110103153A KR 1020100022348 A KR1020100022348 A KR 1020100022348A KR 20100022348 A KR20100022348 A KR 20100022348A KR 20110103153 A KR20110103153 A KR 20110103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swer
data
transmitter
radio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7006B1 (ko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필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필드
Priority to KR1020100022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006B1/ko
Publication of KR20110103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업이나 강의에 출석한 피교육자가 무선 송신기를 소지하고, 교육자가 수업이나 강의의 이해도 측정을 위해 시험 또는 퀴즈 등의 문제를 출제한 경우 무선 제어기가 상기 각 무선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답안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채점통계를 제공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Wierless Interface System}
본 발명은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업이나 강의에 출석한 피교육자가 무선 송신기를 소지하고, 교육자가 수업이나 강의의 이해도 측정을 위해 시험 또는 퀴즈 등의 문제를 출제한 경우 무선 제어기가 상기 각 무선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답안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채점통계를 제공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육자의 학습 또는 교육에 대한 피교육자의 이해 정도, 학업 성취도 및 피교육자의 성적에 따른 학습 지도 관리를 위해 시험이나 퀴즈 형식의 문제풀이가 오프라인 교육에 빈번히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문제풀이 방식은 교육자가 문제를 출제하면 피교육자가 수기한 답안지를 일일이 수거하여 교육자가 직접 채점을 수행하여야 하며, 특히 피교육자 수가 많을 경우 채점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학습과 관련된 대한 피교육자의 이해 정도 및 학습 성취도에 대한 실시간 분석이 불가능하므로 교육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지식 정도 또는 학습 습득 정보를 체크하기 위한 방법으로 퀴즈 방식이 빈번히 사용되고 있으며, 퀴즈 방식은 다수의 참가자 중 가장 빨리 반응한 사람에게 정답을 맞출 수 있는 기득권을 주는 방식으로 경쟁을 통해 문제를 맞추는 쾌감을 얻을 수 있고, 직접적인 점수 비교가 되기 때문에 높은 점수를 얻기 위해 학습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좋은 방식으로 방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교육 프로그램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퀴즈 게임 중 다수의 참가자가 동시에 반응할 경우 가장 빨리 반응한 사람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기득권 부여의 공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교육자가 출제한 문제에 대한 피교육자의 답안에 대한 채점과 채점 통계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며, 퀴즈를 위한 답안을 가장 빨리 입력한 피교육자를 추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업이나 강의에 출석한 피교육자가 무선 송신기를 소지하고, 교육자가 수업이나 강의의 이해도 측정을 위해 시험 또는 퀴즈 등의 문제를 출제한 경우 무선 제어기가 상기 각 무선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답안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채점통계를 제공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교육자의 수가 많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오류를 제거하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교육자가 입력한 답안과 함께 피교육자가 답안을 입력한 순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퀴즈 등의 문제 풀이에 매우 유용한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피교육자가 소지하고, 상기 피교육자로부터 선택되어 입력된 답안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송신기와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입력된 답안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로부터 전송된 답안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답 여부를 판단하고, 채점 통계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관리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선 송신기의 식별코드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무선 송신기에 피교육자 식별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각 무선 송신기로부터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무선 송신기를 소지한 피교육자 식별정보를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교육자 식별정보는 피교육자 수험번호, 고유번호, 주민번호, 전화번호, 이름, 닉네임 등 피교육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무엇이나 가능하다.
상기 무선 송신기는 상기 피교육자로부터 답안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모듈과 상기 입력모듈로 입력된 답안 데이터를 상기 제어기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무선 송신기 식별코드 및 입력된 답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모듈은 문제의 보기 중 적어도 2지 선다로 선택할 수 있도록 적어도 2비트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송신기는 상기 제어기의 타이머 개시신호에 동기화되어 타이머 시간을 측정하고 답안 입력시 타이머를 중지하고 타이머 측정시간을 기록하는 타이머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선송신기와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송신기의 설정 및 송수신을 제어하는 무선송신기 관리부와 상기 각 무선송신기로부터 수신된 무선송신기 식별코드 별 답안 데이터를 상기 관리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부는 제 1 무선수신기로 답안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제 1 무선수신기로부터 입력된 답안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제 N 무선수신기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모든 무선수신기로부터 답안 데이터를 시리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제 1 무선수신기로부터 제 N 무선수신기 중 가장 먼저 수신된 답안 데이터를 송신한 무선 수신기부터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각 무선 수신기로부터 입력된 답안 데이터와 수신된 순서 정보를 상기 관리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 단말은 상기 제어기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 수신기 별 데이터를 관리하는 입력 데이터 관리부와 상기 각 무선 수신기 별 데이터가 교육자가 설정한 정답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정답을 판별하고 채점 통계를 추출하는 성적 관리부와 상기 추출된 채점 통계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성적 관리부는 각 무선 수신기를 소지한 피교육자의 답안에 대한 정답 여부를 판별하여 정답을 선택한 수와 정답률, 나머지 다른 오답 보기를 선택한 피교육자 수와 비율을 포함하는 채점 통계를 산출하여 상기 출력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은 교육자가 출제한 문제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무선송신기에 입력된 피교육자의 답안을 제어기가 무선으로 수신하여 관리 단말이 상기 피교육자의 답안에 대한 채점 처리를 수행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으로서, (a) 제어기가 답안 전송을 요청하여 각 무선송신기로부터 답안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관리 단말이 전송된 무선송신기별 답안 데이터에 대한 채점 처리를 수행하여 채점 통계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어기가 설정된 순서에 따라 제 1 무선송신기에 답안 전송을 요청하여 상기 제 1 무선송신기로부터 답안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마지막 제 N 무선 송신기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답안 데이터를 각 무선송신기로부터 시리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어기가 모든 무선송신기에 답안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따라 각 무선송신기로부터 답안데이터가 전송된 순서대로 버퍼모듈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답안데이터와 함께 상기 버퍼모듈에 저장된 답안데이터의 순서 정보를 관리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어기가 카운터 개시 신호를 모든 무선송신기에 전송하여 상기 무선송신기의 카운터 개시되는 단계와 각 무선송신기에 답안이 입력되면 카운터가 종료되어 측정된 카운터 시간을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기가 설정된 순서에 따라 제 1 무선송신기에 답안 전송을 요청하여 상기 제 1 무선송신기로부터 답안 데이터와 상기 측정된 카운터 시간을 수신하는 과정을 마지막 제 N 무선 송신기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답안 데이터를 각 무선송신기로부터 시리얼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카운터 시간을 비교하여 시간이 적은 순으로 정렬하여 답안 데이터의 순서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a) 단계 이전에 관리 단말이 피교육자가 소지하는 무선송신기의 식별코드와 피교육자 식별정보를 매핑하여 피교육자 정보를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교육자 정보를 세팅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단말의 입력 데이터 관리부에 무선송신기 식별코드를 저장하는 단계와 제어기가 설정된 순서에 따라 제 1 무선송신기에 피교육자 식별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제 1 무선송신기를 소지한 피교육자로부터 입력된 피교육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마지막 제 N 무선 송신기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피교육자 식별정보를 각 무선송신기로부터 시리얼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단말의 입력 데이터 관리부가 상기 수신된 피교육자 식별정보와 무선송신기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관리 단말의 성적 관리부가 전송된 무선송신기별 답안 데이터와 정답을 비교하여 채점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채점 결과에 따라 정답을 선택한 피교육자 수와 정답률, 나머지 오답 보기별 선택 수와 선택비율을 포함하는 채점통계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채점통계를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 이후 제어기가 출제된 문제에 대한 입력 처리가 종료되었음을 의미하는 리셋 신호를 모든 송수신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수업이나 강의에 출석한 피교육자가 무선 송신기를 소지하고, 교육자가 수업이나 강의의 이해도 측정을 위해 시험 또는 퀴즈 등의 문제를 출제한 경우 무선 제어기가 상기 각 무선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답안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채점통계를 제공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피교육자의 수가 증가하여 배치되는 무선송신기의 수가 증가한다 하더라도 무선 트래픽 집중에 따른 데이터 전송 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답안을 입력한 피교육자 순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퀴즈 등의 문제 풀이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송신기 세팅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제 풀이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문제에 대한 채점 통계에 대한 예시이다.
도 6은 도 4의 S122 내지 S150 과정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답안 데이터 입력 순서를 추출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의 문제가 출제된 경우 전체 문제에 대한 채점 통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피교육자가 소지하고, 상기 피교육자로부터 선택되어 입력된 답안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송신기(10)와 상기 무선 송신기를 설정 관리하고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입력된 답안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기(20) 및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로부터 전송된 답안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답 여부를 판단하고, 채점 통계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관리 단말(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시험 또는 퀴즈를 출제하고 진행하는 교사, 강사, 강의자를 포괄하여 교육자라 정의하기로 하고, 상기 교육자의 진행에 따라 시험, 퀴즈 등 문제풀이에 참여하는 학생, 수강자를 포괄하여 피교육자로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의 기능이 관리 단말에 포함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신기(10)는 제어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특히 교육자가 퀴즈 또는 시험 문제를 출제할 경우 피교육자로부터 답안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기(20)에 송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송신기(10)와 제어기(20)는 블루투스, 지그비, RF, 적외선 통신 등 모든 근거리 무선 통신(WPAN)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신기(10)는 피교육자로부터 답안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모듈(110)과 상기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답안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120)과 상기 입력된 답안데이터, 무선 송신기 식별코드, 피교육자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는 메모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모듈(110)은 버튼 입력 방식의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 입력이 가능한 모든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입력된 답안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창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모듈(110)은 적어도 2지 선다 문제에 대한 답안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2비트 데이터에 대한 키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모듈(110)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글자 또는 숫자를 전자펜 등을 통해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입력된 글자 또는 숫자를 인식하는 텍스트 인식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20)는 상기 각 무선송신기와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210)와 각 무선송신기의 식별코드, 수신된 데이터 및 피교육자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무선송신기 관리부(220)와 상기 각 무선송신기로부터 수신된 무선송신기 식별코드 별 답안 데이터를 상기 관리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송신기(10)는 피교육자의 수에 따라 다수 개(N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기(20)는 다수 개의 무선송신기로부터 동시에 답안데이터를 수신받아야 하므로 무선 트래픽 집중으로 인한 주파수 충돌로 데이터 수신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20)는 제 1 무선송신기에 답안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제 1 무선수신기로부터 입력된 답안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제 N 무선수신기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모든 무선수신기로부터 시리얼로 답안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수신 오류를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단말(30)은 상기 제어기(20)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 수신기 별 데이터를 관리하는 입력 데이터 관리부(310)와 상기 각 무선 수신기 별 데이터가 교육자가 설정한 정답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정답을 판별하고 채점 통계를 추출하는 성적 관리부(320)와 상기 추출된 채점 통계를 출력하는 출력부(330) 및 각종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메모리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적 관리부(320)는 문제별 각 무선 수신기로부터 입력된 답안 데이터에 대하여 정답 여부를 판별하여 전체 무선 수신기의 수에서 정답을 입력한 무선 수신기의 수와 정답률, 오답을 입력한 무선 수신기의 수와 비율을 포함하는 채점 통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산출된 결과를 출력부(33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무선송신기 세팅>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송신기 세팅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각 무선송신기 세팅을 위한 사전 절차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기 및 관리 단말에 각 무선송신기의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각 무선송신기의 통신상태를 확인하여 세팅을 위한 사전 준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각 무선송신기에 대하여 임의적인 순서를 설정하여 순차적으로 각 무선송신기에 응답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각 무선송신기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각 무선송신기와의 통신상태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설정시간 내에 상기 무선송신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없는 경우 해당 무선송신기의 통신상태가 불량이므로 해당 무선송신기의 상태를 체크하여 고장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무선송신기를 소지한 피교육자의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세팅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기가 임의적으로 설정된 순서에 의해 각 무선송신기에 순차적으로 피교육자 식별정보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각 무선송신기로부터 수신된 피교육자 식별정보를 관리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 단말은 피교육자 식별정보를 무선송신기의 식별코드에 매핑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피교육자 식별정보는 피교육자 이름, 고유번호(수험번호), 주민번호, 닉네임 등 피교육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무엇이나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무선송신기와 제어기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피교육자의 식별정보와 무선송신기의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시험 또는 퀴즈를 위한 세팅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는 피교육자가 직접 자신의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세팅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지만, 이외에도 관리 단말을 통해 상기 제어기에 피교육자의 식별정보를 세팅한 후 각 무선송신기를 피교육자에게 배부하여 세팅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육자가 관리 단말을 통해 각 무선송신기의 식별코드별로 피교육자의 식별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관리 단말의 입력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무선송신기의 식별코드와 피교육자의 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세팅을 완료한 후 피교육자에게 해당 무선송신기를 배부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4개의 무선송신기가 세팅된 테이블에 대한 예시이다.
무선 송신기 식별코드 피교육자
제 1 무선송신기 0000 김xx
제 2 무선송신기 0001 이xx
제 3 무선송신기 0010 박xx
제 4 무선송신기 0011 최xx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피교육자가 4명인 경우 교육자는 관리단말의 입력 데이터 관리부를 통해 식별코드 "0000"인 제 1 무선송신기에 피교육자 식별정보인 "김xx"를 입력하여 저장하고, 식별코드 "0001"인 제 2 무선송신기에 피교육자 식별정보인 "이xx"를 입력하여 저장하고, 식별코드 "0010"인 제 3 무선송신기에 피교육자 식별정보인 "박xx"를 입력하여 저장하고, 식별코드 "0011"인 제 4 무선송신기에 피교육자 식별정보인 "최xx"를 입력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표 1>과 같은 매핑 테이블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세팅 완료 후 교육자는 제 1 무선송신기를 "김xx"에게 제공하고, 제 2 무선송신기를 "이xx"에게 제공하고, 제 3 무선송신기를 "박xx"에게 제공하고, 제 4 무선송신기를 "최xx"에게 제공함으로서 사전 세팅이 완료될 수 있다.
<문제 풀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제 풀이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세팅이 완료되면 교육자는 시험 또는 퀴즈 등의 문제를 출제하고, 피교육자는 자신이 소지한 무선송신기에 답안을 입력하여 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는 각 무선송신기로부터 전송된 답안데이터를 취합하여 관리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단말이 상기 취합된 답안데이터를 정답여부를 확인하여 성적통계를 추출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교육자는 관리 단말을 통해 문제를 출제한다.(S110)
여기서, 문제는 관리 단말의 스피커 또는/및 출력부를 통해 출제될 수 있으나, 교육자가 직접 문제를 읽어서 출제하거나 칠판이나 보드 상에 수기하여 출제할 수 있다.
문제 출제가 완료되면 제어기가 각 무선 송신기에 답안을 요청한다.(S120)
상기 문제 출제 후 피교육자가 자신이 소지한 무선송신기에 답안을 입력하고(S131), 무선송신기는 자신의 식별코드와 함께 답안데이터를 제어기로 송신한다.(S132)
그리고 상기 제어기는 수신된 답안데이터를 취합하고(S141), 문제당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어 문제에 대한 리셋 명령이 수행된 경우(S142) 상기 취합된 답안데이터를 관리단말로 전송한다.(S143)
만일, 상기 문제에 대한 리셋 명령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피교육자는 답안을 입력하였다 하더라도 수정된 답안 입력이 가능하고, 문제에 대한 리셋 전에 2번 이상의 답안이 입력되어 전송된 경우 상기 제어기의 무선 송신기 관리부는 이전에 입력된 답안은 모두 삭제하고 최후에 입력된 답안만을 취합할 수 있다.
상기 관리단말은 전송된 답안데이터에 대해 답안 채점 및 통계를 추출한다.(S150)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단말의 입력 데이터 관리부가 각 무선송신기 별 무선송신기 식별코드와 답안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피교육자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답안 테이블을 생성하고, 관리단말의 성적 관리부가 교육자가 입력한 정답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채점을 수행하고, 채점 통계를 추출한다.
하기의 <표 2>는 상기 <표 1>의 세팅에 따른 답안 데이터에 대한 채점 테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무선송신기 무선송신기
식별코드
답안데이터 피교육자
식별정보
정답 채점
제1무선송신기 0000 1 김xx
1

정답
제2무선송신기 0001 2 이xx 오답
제3무선송신기 0010 3 박xx 오답
제4무선송신기 0011 1 최xx 정답
상기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관리단말의 입력 데이터 관리부는 식별코드 "0000", 답안데이터 "1"을 수신한 경우 <표 1>의 세팅을 통해 식별코드가 제1무선송신기임을 확인하고 피교육자의 식별정보가 "김xx"임을 확인한다.
그리고 관리 단말의 성적 관리부는 피교육자 "김xx"가 입력한 답안인 "1"과 교육자가 설정한 정답"1"이 일치하므로 정답으로 채점하고, 채점 결과에 따라 도 5와 같은 채점 통계를 추출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S122 내지 S150 과정의 상세 순서도이다.
제어기가 무선송신기에 답안을 요청하고 각 무선송신기로부터 입력된 답안 데이터가 무선으로 동시에 수신될 경우 수신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송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제어기가 설정된 순서에 따라 제 1 무선송신기에 답안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제 1 무선수신기로부터 입력된 답안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제 N 무선수신기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모든 무선수신기로부터 시리얼로 답안 데이터를 수신하고 답안 데이터를 취합하여 데이터 수신 오류를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퀴즈의 경우 피교육자 중 가장 빨리 답안데이터를 입력한 무선수신기를 구별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제어기는 답안데이터가 수신된 순서대로 답안 데이터를 취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기의 무선송신기 관리부는 각 무선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순서대로 답안데이터를 취합하기 위해 답안 데이터 취합 전에 수신된 순서대로 무선송신기의 식별코드와 답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퀴즈에 참여한 무선송신기가 많을 경우 한꺼번에 데이터 수신이 몰림으로 인해 수신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 무선송신기는 제어기와 동기화하여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답안 데이터 입력 순서를 추출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교육자에 의해 문제가 출제되어 제어기로부터 타이머 개시신호가 각 무선송신기에 송신되면 각 무선송신기의 타이머가 작동하여 시간을 측정하게 되고, 피교육자로부터 답안데이터가 입력되었을 때 타이머가 중지되어 타이머 시간을 측정 기록한다.
이어서, 제어기는 제 1 무선송신기에 답안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제 1 무선송신기는 송신기 식별코드, 답안데이터와 함께 타이머 시간을 제어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제 N 무선송신기까지 반복하여 모든 무선송신기로부터 답안 데이터를 시리얼로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 중 타이머 측정 시간만을 추출하고, 타이머 측정시간이 적은 순서로 데이터를 취합하여 가장 빨리 입력된 무선송신기로부터 가장 늦게 입력된 무선송신기 순서로 배열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출제된 하나의 문제에 대한 답안 입력 및 처리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문제가 2 이상 출제되는 경우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과정이 동일하게 반복되어 처리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성적 관리부는 문제가 2 이상 출제될 경우 각 문제별 채점 통계 뿐만 아니라, 도 8과 같이 각 문제별 채점 통계가 합산된 전체 문제에 대한 채점 통계를 추출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무선송신기 110 : 입력모듈
120 : 무선통신모듈 130 : 메모리
20 : 제어기 210 : 무선통신부
220 : 무선송신기 관리부 230 : 데이터 전송부
30 : 관리 단말 310 : 입력 데이터 관리부
320 : 성적 관리부 330 : 출력부
340 : 메모리부

Claims (19)

  1. 피교육자가 소지하고, 상기 피교육자로부터 선택되어 입력된 답안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송신기와;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입력된 답안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로부터 전송된 답안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답 여부를 판단하고, 채점 통계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관리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선 송신기의 식별코드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무선 송신기에 피교육자 식별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각 무선 송신기로부터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무선 송신기를 소지한 피교육자 식별정보를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교육자 식별정보는
    피교육자 수험번호, 고유번호, 주민번호, 전화번호, 이름, 닉네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기는
    상기 피교육자로부터 답안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모듈과;
    상기 입력모듈로 입력된 답안 데이터를 상기 제어기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무선 송신기 식별코드 및 입력된 답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은
    문제의 보기 중 적어도 2지 선다로 선택할 수 있도록 적어도 2비트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신기는
    상기 제어기의 타이머 개시신호에 동기화되어 타이머 시간을 측정하고 답안 입력시 타이머를 중지하고 타이머 측정시간을 기록하는 타이머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선송신기와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송신기의 설정 및 송수신을 제어하는 무선송신기 관리부와;
    상기 각 무선송신기로부터 수신된 무선송신기 식별코드 별 답안 데이터를 상기 관리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제 1 무선수신기로 답안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제 1 무선수신기로부터 입력된 답안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제 N 무선수신기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모든 무선수신기로부터 답안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제 1 무선수신기로부터 제 N 무선수신기 중 가장 먼저 수신된 답안 데이터를 송신한 무선 수신기부터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각 무선 수신기로부터 입력된 답안 데이터와 수신된 순서 정보를 상기 관리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은
    상기 제어기로부터 전송된 각 무선 수신기 별 데이터를 관리하는 입력 데이터 관리부와;
    상기 각 무선 수신기 별 데이터가 교육자가 설정한 정답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정답을 판별하고 채점 통계를 추출하는 성적 관리부와;
    상기 추출된 채점 통계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성적 관리부는
    각 무선 수신기를 소지한 피교육자의 답안에 대한 정답 여부를 판별하여 정답을 선택한 수와 정답률, 나머지 다른 오답 보기를 선택한 피교육자 수와 비율을 포함하는 채점 통계를 산출하여 상기 출력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12. 교육자가 출제한 문제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무선송신기에 입력된 피교육자의 답안을 제어기가 무선으로 수신하여 관리 단말이 상기 피교육자의 답안에 대한 채점 처리를 수행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으로서,
    (a) 제어기가 답안 전송을 요청하여 각 무선송신기로부터 답안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관리 단말이 전송된 무선송신기별 답안 데이터에 대한 채점 처리를 수행하여 채점 통계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어기가 설정된 순서에 따라 제 1 무선송신기에 답안 전송을 요청하여 상기 제 1 무선송신기로부터 답안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마지막 제 N 무선 송신기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답안 데이터를 각 무선송신기로부터 시리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어기가 모든 무선송신기에 답안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따라 각 무선송신기로부터 답안데이터가 전송된 순서대로 버퍼모듈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답안데이터와 함께 상기 버퍼모듈에 저장된 답안데이터의 순서 정보를 관리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어기가 카운터 개시 신호를 모든 무선송신기에 전송하여 상기 무선송신기의 카운터 개시되는 단계와;
    각 무선송신기에 답안이 입력되면 카운터가 종료되어 측정된 카운터 시간을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기가 설정된 순서에 따라 제 1 무선송신기에 답안 전송을 요청하여 상기 제 1 무선송신기로부터 답안 데이터과 상기 측정된 카운터 시간을 수신하는 과정을 마지막 제 N 무선 송신기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답안 데이터를 각 무선송신기로부터 시리얼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카운터 시간을 비교하여 시간이 적은 순으로 정렬하여 답안 데이터의 순서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관리 단말이 피교육자가 소지하는 무선송신기의 식별코드와 피교육자 식별정보를 매핑하여 피교육자 정보를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피교육자 정보를 세팅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단말의 입력 데이터 관리부에 무선송신기 식별코드를 저장하는 단계와;
    제어기가 설정된 순서에 따라 제 1 무선송신기에 피교육자 식별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제 1 무선송신기를 소지한 피교육자로부터 입력된 피교육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마지막 제 N 무선 송신기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피교육자 식별정보를 각 무선송신기로부터 시리얼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단말의 입력 데이터 관리부가 상기 수신된 피교육자 식별정보와 무선송신기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관리 단말의 성적 관리부가 전송된 무선송신기별 답안 데이터와 정답을 비교하여 채점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채점 결과에 따라 정답을 선택한 피교육자 수와 정답률, 나머지 오답 보기별 선택 수와 선택비율을 포함하는 채점통계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채점통계를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
    제어기가 출제된 문제에 대한 입력 처리가 종료되었음을 의미하는 리셋신호를 모든 송수신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100022348A 2010-03-12 2010-03-12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KR101107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348A KR101107006B1 (ko) 2010-03-12 2010-03-12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348A KR101107006B1 (ko) 2010-03-12 2010-03-12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153A true KR20110103153A (ko) 2011-09-20
KR101107006B1 KR101107006B1 (ko) 2012-01-30

Family

ID=44954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348A KR101107006B1 (ko) 2010-03-12 2010-03-12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0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3333A1 (en) * 2012-02-15 2013-08-22 Turning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administering a high stakes test
KR20190142903A (ko) * 2018-06-19 2019-12-30 태그하이브 주식회사 사용자 입력 신호 수신누락 방지를 위한 신호 전송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911B1 (ko) * 2005-12-28 2007-08-23 (주)인사이드알에프 유비쿼터스 교육환경에 적합한 양방향 강의 지원 시스템 및방법
KR100712607B1 (ko) * 2006-10-09 2007-05-02 (주)동원에스앤에스 Rf 무선리모콘을 이용한 실시간 학업성취도 평가 및 분석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3333A1 (en) * 2012-02-15 2013-08-22 Turning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administering a high stakes test
KR20190142903A (ko) * 2018-06-19 2019-12-30 태그하이브 주식회사 사용자 입력 신호 수신누락 방지를 위한 신호 전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7006B1 (ko) 201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2752B2 (en) Learning assistance server, learning assistance system, and learning assistance program
JP5686180B2 (ja) 出題装置及び出題方法
US20110217687A1 (en) Examin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6558257A (zh) 基于课堂教学的互动反馈方法及系统
JP7077533B2 (ja) 学習支援装置、学習支援システム、学習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031304B1 (ko)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6395A (ko) 단일의 문제출력장치와 수험생 단말기를 이용한 시험 제공 및 평가 시스템
CN111383493A (zh) 一种基于社交互动的英语辅助教学系统及数据处理方法
Zhu et al. Understanding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for effective teaching: A comparison between expert and nonexpert Chines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KR20190074916A (ko) 온라인 기반의 자기 주도 학습 코칭 방법
KR101107006B1 (ko)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WO2012124096A1 (ja) 試験実施支援装置、試験実施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012136A1 (en) Wireless assessment administration system and process
CN110718105B (zh) 个性化个人假期作业本、生成方法及使用方法
JP2003228278A (ja) レベル判定装置、遠隔教育装置及び遠隔教育システム
CN111259305A (zh) 一种在线智能教育方法
CN113491500B (zh) 视力检测系统和存储介质
CN109522458A (zh) 基于区块链网络的知识平台系统及网络问答方法
JP2007094210A (ja) 教育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352152A (ja) 学習システム及び学習システムの処理プログラム
US20150050635A1 (en) Examinee equipment, test managing server, test progressing method of examinee equipment, and test analyzing method of test managing server
KR20160020813A (ko) 시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20140205988A1 (en) System, software and associated method of use thereof for the transfer of information between a moderator adn recipients
KR102233161B1 (ko) 선택형 강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Lam et al. Use of Online In-Class Quizzes to Motivate and Engage Students in Courses on Semiconductor Devices and Integrated Circu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