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304B1 -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304B1
KR101031304B1 KR1020100045956A KR20100045956A KR101031304B1 KR 101031304 B1 KR101031304 B1 KR 101031304B1 KR 1020100045956 A KR1020100045956 A KR 1020100045956A KR 20100045956 A KR20100045956 A KR 20100045956A KR 101031304 B1 KR101031304 B1 KR 101031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learner
question
difficulty
information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종
김으뜸
이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젯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젯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젯
Priority to KR1020100045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학습용 전자매체와 서버를 포함하는 학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정답, 해설, 기대난이도 및 기대소요시간을 포함하는 문제 기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 문제풀이부에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들의 채점결과, 중요 마크, 문제별 정답률 및 각 문제별 소요시간, 응시횟수, 전체 석차를 포함하는 시험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시험 생성을 요청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및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검색된 문제와 난이도를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하는 시험생성부; 상기 시험생성부가 시험 문제를 생성하면,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상기 시험 문제가 포함되고 그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답 체크가 가능한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풀이 결과를 입력받는 문제풀이부; 상기 문제풀이부에서 풀이 결과를 입력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을 검색하여 상기 풀이 결과를 채점하고, 그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률과 평균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점수와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체 학습자의 평균 점수를 대비하여 학습자의 전체 석차를 산출하고, 상기 시험 문제와 풀이 결과, 채점 결과, 산출된 정답률, 평균점수 및 전체 석차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결과생성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채점 결과를 요청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해설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학습자의 채점 결과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설과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제공하는 결과제공부; 및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통계 정보 제공을 요청받으면,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평균 점수, 채점 결과, 정답률 및 전체 석차를 검색하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문제에 대한 해설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해설, 채점 결과, 정답률, 평균 점수 및 전체 석차를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제공하는 통계제공부;를 포함하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들(특히 입시를 준비하는 중고등학생들)이 서버의 학습시스템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학습을 수행하거나, 서버로부터 학습 소프트웨어 등을 다운받아 다양한 전자매체를 통해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시간, 장소 및 전자매체에 구애받지 않고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사람의 손을 거쳐서 문제 세트를 미리 만들어 두어야 하는 다른 학습시스템과 달리 실시간 자료 분석을 통해 자동으로 사용자에 맞춰 실시간으로 생성해 주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 시스템 및 방법{ELECTROINC MEDIA BASED UNIVERSAL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스크탑 뿐만 아니라 노트북이나 타플렛, PMP,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전자매체를 통해 온라인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학습을 수행하거나, 서버로부터 학습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등을 다운받아 전자매체에서 직접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을 할 수 있는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학습 시스템은 주로 종이 매체에 기반하여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을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학습을 하더라도 주로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단편적인 학습을 수행하거나 시험 문제 등을 다운받아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을 통해 문제를 풀어보고 해설을 직접 맞추어 보는 정도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학습자들, 예를 들어 입시를 준비하는 중고등학생들이 기존의 학습시스템에 접속하여 학습을 하거나 실시간으로 시험을 보는 경우, 그 시험 결과에 대해 자신의 현재 수준을 전국의 다른 학습자들과 비교하여 바로 파악해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학습이 주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시간과 장소에 제한을 받게 되어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자들(특히 대입을 준비하는 고등학생들)이 서버의 학습시스템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학습을 수행하거나, 서버로부터 학습 소프트웨어 등을 다운받아 다양한 전자매체를 통해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시간, 장소 및 전자매체에 구애받지 않고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비스제공자로서는 XHTML 형식으로 문제를 입력받는 친숙한 문제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제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인터넷이 가능한 환경이라면 언제 어디서나 운영체제, 브라우저에 영향받지 않고 누구나 문제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대입학원 등 문제은행 제공자와 연계하여 모의고사 등의 문제를 주기적으로 입력받아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제공자로서는 문제 출제의 권리를 다양한 사람들에게 제공하여 새로운 컨텐츠 공급 경로를 창출하고, 학습자들로서는 다양한 문제를 접할 수 있고 동일한 모의고사를 전국 수험생 등이 실시간으로 풀어봄으로써 전국 수험생들 대비 자신의 석차를 파악할 수 있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학습시스템이 주로 사람의 손을 거쳐서 문제 세트를 미리 만들어 두어야 하는 문제가 있음에 반해 시험 생성시 소프트웨어가 실시간 자료 분석을 통해 자동으로 학습자에게 맞춰 실시간으로 시험 문제 세트를 제공하도록 함에 있다. 즉, 학습자가 시험문제를 풀고자 할 때 출제자가 문제에 대해 기대한 난이도, 출제연도, 출제빈도 등의 다양한 문제 기본 정보와다른 학습자들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시스템을 통해 시험을 본 후 저장된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률 등을 바탕으로 시험 문제에 대한 난이도를 실시간으로 설정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시험문제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다른 학습자들의 시험 결과에 따라 실시간으로 설정된 난이도에 따라 시험 문제를 풀어보고, 그 시험에 대한 전체 석차에 따라 자신의 현재 수준이 변경되기 때문에 다음 시험을 풀 때에는 변경된 자신의 수준에 맞는 다른 수준의 문제를 다양하게 접할 수도 있어 다른 학습자들과 대비한 자신의 수준 파악이 보다 용이하여 학습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학습자가 시험 문제를 풀고자 할 때 정답 표시, 오답배제, 별표 등 중요 마크, 핸드드로잉 등이 가능한 편리한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학습자는 웹사이트나 전자매체를 통해 편리하게 시험을 볼 수 있고, 또한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는 소형 모바일 기기나 대형 TV 화면 등 화면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사이즈가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기기에서도 편리하게 시험을 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제의 표준 예상 소요시간에 따라 시험 제한시간을 설정하여 줌으로써 실제 시험과 같은 분위기에서 시험을 응시해 볼 수도 있고, 시험문제에 대한 다른 학습자들의 풀이 소요시간을 실시간으로 산출하여 시험 제한 시간을 제공해 줌으로써 다른 학습자들과 대비하여 자신의 시험 풀이 소요시간을 측정해 볼 수도 있으므로, 문제에 대해 다른 학습자들이 느끼는 난이도를 자신이 체감해 볼 수 있어 다른 학습자들 대비 자신의 수준 파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험 문제에 대한 해설, 채점결과 및 다른 학습자들 대비 전체 석차 등의 다양한 통계 정보와 대입학원 등의 진학정보제공자와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점수별 예상 지원 가능 대학 등의 정보를 받아 학습자에게 제공해줌으로써, 본 발명이 제공하는 시스템에 접속한 학습자들 대비 학습자 자신의 현재 수준뿐만 아니라 대입학원 등을 통해 동일한 모의고사를 본 전국 학생들과 대비하여 자신의 수준을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이를 바탕으로 전국 대학의 지원 가능 대학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수시로 전국 학생들과 대비하여 자신의 수준을 파악할 수 있어 언제나 긴장감을 가지고 학습에 임할 수 있어 학습효율을 배가할 수 있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 자신의 의견이나 질문 사항 등을 입력하고 다른 학습자들의 의견 내용 등을 보여주는 문제 토론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문제에 대해 다른 학습자나 출제자들과 실시간으로 의견 교환을 통해 문제에 대한 이해를 보다 쉽게 할 수도 있고, 다른 학생들과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동시에 그룹 스터디를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므로 학습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학습자가 틀린 문제나 중요하다고 체크한 문제 등을 날짜별, 과목별 및 난이도별 등 다양한 기준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한 오답노트를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인쇄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들은 오답이나 중요한 문제들에 대해 다시 복습해 볼 수 있으며, 전자매체가 없는 경우에도 오답노트를 인쇄하여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어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자 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은,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학습용 전자매체와 서버를 포함하는 학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 해설, 기대소요시간 및 기대난이도를 포함하는 문제 기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 문제풀이부에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들의 채점결과, 중요 마크,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 문제별 정답률 및 전체 석차를 포함하는 시험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 점수별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포함하는 진학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시험 생성을 요청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및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해 각 문제별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 여부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하고, 상기 검색된 문제와 기대난이도 및 산출된 평균 정답률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하는 시험생성부; 상기 시험생성부가 시험 문제를 생성하면,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상기 시험 문제가 포함되고 그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답 체크, 중요 마크 체크,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 산출이 가능한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풀이 결과를 입력받는 문제풀이부; 상기 문제풀이부에서 각 문제별 답, 풀이 소요시간과 중요 마크를 포함한 풀이 결과를 입력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을 검색하여 상기 풀이 결과를 채점하고, 그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률과 평균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점수와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체 학습자의 평균 점수를 대비하여 학습자의 전체 석차를 산출하고, 상기 시험 문제와 풀이 결과, 채점 결과, 산출된 정답률, 평균점수 및 전체 석차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결과생성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채점 결과를 요청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해설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학습자의 채점 결과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설과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제공하는 결과제공부; 및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통계 정보 제공을 요청받으면,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평균 점수, 채점 결과, 정답률 및 전체 석차를 검색하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문제에 대한 해설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해설, 채점 결과, 정답률, 평균 점수 및 전체 석차를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제공하는 통계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문제풀이부는,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에 대한 기대소요시간이나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학습자들의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을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소요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제공된 시험 문제에 대한 예상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그 산출된 예상 소요시간을 상기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과제공부는,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제공된 시험 문제에 대한 해설 및 채점 결과에 대해 학습자의 의견이나 질문사항을 입력받고, 다른 학습자들의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해 입력한 의견내용이나 질문사항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문제 토론 인터페이스를 상기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통계제공부는, 연계된 진학정보제공자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상기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학습자의 통계 정보의 전체 석차를 바탕으로 상기 저장된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온라인으로 접속된 출제자의 단말기에 문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문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정답, 해설, 기대난이도 및 기대소요시간을 포함하는 문제 기본 정보를 입력받거나, 연계된 문제은행 제공자 서버의 문제 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문제 기본 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입력받은 문제 기본 정보를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문제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험생성부는, 문제풀이부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한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답을 입력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답을 바탕으로 상기 한 시험 문제의 정답 여부를 판단하고, 그 정답 여부에 따라 다음 시험 문제의 난이도를 결정하여 다음 시험 문제를 생성하되,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해 각 문제별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 여부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답률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도록 다음 시험 문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험생성부는,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한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제에 대한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답률을 실제난이도로 하여 실제난이도에 각 문제별로 응시한 학습자들의 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실제난이도와 상기 검색된 기대난이도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종합난이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종합난이도를 미리 일정 구간에 따라 나누어진 난이도의 등급에 매칭하여 문제의 난이도를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난이도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험생성부는,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시험 생성 요청을 접수받는 시험생성접수부; 상기 시험생성접수부가 시험 생성 요청을 접수받으면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학습자의 응시한 시험 결과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응시한 시험 결과가 존재하지 않으면 미리 부여된 등급을 상기 학습자의 현재 수준이라 판단하고, 시험 결과가 존재하면 가장 최근 응시한 시험의 전체 석차를 검색하여 전체 석차의 백분율을 구하고, 전체 석차의 백분율에 따라 일정 기준으로 나누어진 등급 중 상기 학습자의 전체 석차의 백분율이 속하는 등급을 상기 학습자의 현재 수준이라고 판단하는 현재수준판단부; 상기 현재수준판단부에서 학습자의 현재 수준 판단을 완료하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한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제에 대한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답률을 실제난이도로 하여 실제난이도에 각 문제별로 응시한 학습자들의 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실제난이도와 상기 검색된 기대난이도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종합난이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종합난이도를 미리 일정 구간에 따라 나누어진 난이도의 등급에 매칭하여 문제의 난이도를 재설정하는 난이도재설정부; 및 상기 난이도재설정부에서 난이도 재설정이 완료되면, 학습자의 수준 등급별로 미리 설정된 각 난이도별 문제 출제비율과 상기 재설정된 난이도의 문제를 바탕으로 현재수준판단부에서 판단된 상기 학습자의 현재 수준에 맞도록 상기 출제 비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하는 시험문제출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의 시험 문제에 대한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오답이라고 판단한 문제와 중요 마크된 문제를 검색하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오답이라고 판단한 문제와 중요 마크된 문제에 대한 해설을 검색하여, 날짜별, 과목별 및 난이도별 기준을 포함한 다양한 기준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제공하는 오답노트제공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발명의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학습시스템은,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학습용 전자매체와 서버를 포함하는 학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학습용 전자매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정답, 해설, 기대소요시간 및 기대난이도를 포함하는 문제 기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 문제풀이부에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채점결과, 문제별 정답률 및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을 포함하는 시험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 점수별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포함하는 진학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와 정답, 해설, 기대소요시간 및 기대난이도를 수신하여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점수별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포함하는 진학 정보를 수신하여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수신부; 학습자로부터 시험 생성을 요청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및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검색된 문제와 기대난이도를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하는 시험생성부; 상기 시험생성부가 시험 문제를 생성하면, 상기 시험 문제가 포함되고 그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답 체크, 중요 마크 체크,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 산출이 가능한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되,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대소요시간을 검색하여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예상 소요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에 산출된 예상 소요시간을 표시하여 제공하고, 상기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풀이 결과를 입력받는 문제풀이부; 상기 문제풀이부에서 각 문제별 답, 풀이소요시간과 중요마크를 포함한 풀이 결과를 입력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을 검색하여 상기 풀이 결과를 채점하고,그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률과 평균점수를 산출하여, 상기 시험 문제와 풀이 결과, 채점 결과, 산출된 정답률 및 평균점수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결과생성부; 학습자로부터 채점 결과를 요청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해설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학습자의 채점 결과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설과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결과제공부; 학습자로부터 통계 정보 제공을 요청받으면,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평균 점수, 채점 결과 및 정답률을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통계 정보를 바탕으로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검색하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문제에 대한 해설을 검색하여, 검색된 해설,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 및 통계 정보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통계제공부;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의 시험 문제에 대한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오답이라고 판단한 문제와 중요 마크된 문제를 검색하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오답이라고 판단한 문제와 중요 마크된 문제에 대한 해설을 검색하여, 날짜별, 과목별 및 난이도별 기준을 포함한 다양한 기준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오답노트제공부; 및 상기 결과생성부에서 저장한 시험 문제와 그 시험 문제에 대한 채점 결과 및 정답률을 포함한 시험 결과정보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서버에 전송하는 데이터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방법은,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버와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학습용 전자매체를 이용하는 학습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버가, 온라인으로 접속된 출제자의 단말기에 문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정답, 해설, 기대소요시간 및 기대난이도를 포함하는 문제 기본 정보를 입력받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시험 생성을 요청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및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해 각 문제별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 여부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하고, 상기 검색된 문제와 기대난이도 및 산출된 평균 정답률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서버가, 상기 (b)단계에서 시험 문제가 생성되면,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상기 시험 문제가 포함되고 그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답 체크, 중요 마크 체크,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 산출이 가능한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서버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풀이 결과를 입력받는 단계; (e) 상기 서버가, 상기 (d) 단계에서 각 문제별 답, 풀이 소요시간과 중요 마크를 포함하는 풀이 결과를 입력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을 검색하여 상기 풀이 결과를 채점하고, 그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률과 평균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점수와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체 학습자의 평균 점수를 대비하여 학습자의 전체 석차를 산출하고, 상기 시험 문제와 풀이 결과, 채점 결과, 산출된 정답률, 평균점수 및 전체 석차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f) 상기 서버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채점 결과를 요청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해설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학습자의 채점 결과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설과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제공하는 단계; 및 (g) 상기 서버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통계 정보 제공을 요청받으면,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평균 점수, 채점 결과, 정답률 및 전체 석차를 검색하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문제에 대한 해설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해설, 채점 결과, 정답률, 평균 점수 및 전체 석차를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서버가,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에 대한 기대소요시간이나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학습자들의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을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소요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제공된 시험 문제에 대한 예상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그 산출된 예상 소요시간을 상기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f) 단계는, 상기 서버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제공된 시험 문제에 대한 해설 및 채점 결과에 대해 학습자의 의견이나 질문사항을 입력받고, 다른 학습자들의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해 입력한 의견내용이나 질문사항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문제 토론 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g) 단계는, 상기 서버가, 연계된 진학정보제공자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상기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학습자의 통계 정보의 전체 석차를 바탕으로 상기 저장된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서버가, 연계된 문제은행 제공자 서버의 문제 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정답, 해설 및 기대난이도를 포함하는 문제 기본 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그 입력받은 문제 기본 정보를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서버가,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한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제에 대한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답률을 실제난이도로 하여 실제난이도에 각 문제별로 응시한 학습자들의 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실제난이도와 상기 검색된 기대난이도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종합난이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종합난이도를 미리 일정 구간에 따라 나누어진 난이도의 등급에 매칭하여 문제의 난이도를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난이도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서버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시험 생성 요청을 접수받는 단계; (b2) 상기 서버가, 상기 (b1) 단계에서 시험 생성 요청을 접수받으면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학습자의 응시한 시험 결과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응시한 시험 결과가 존재하지 않으면 미리 부여된 등급을 상기 학습자의 현재 수준이라 판단하고, 시험 결과가 존재하면 가장 최근 응시한 시험의 전체 석차를 검색하여 전체 석차의 백분율을 구하고, 전체 석차의 백분율에 따라 일정 기준으로 나누어진 등급 중 상기 학습자의 전체 석차의 백분율이 속하는 등급을 상기 학습자의 현재 수준이라고 판단하는 단계; (b3) 상기 서버가, 상기 (b2) 단계에서 학습자의 현재 수준 판단을 완료하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한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제에 대한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답률을 실제난이도로 하여 실제난이도에 각 문제별로 응시한 학습자들의 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실제난이도와 상기 검색된 기대난이도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종합난이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종합난이도를 미리 일정 구간에 따라 나누어진 난이도의 등급에 매칭하여 문제의 난이도를 재설정하는 단계; 및 (b4) 상기 서버가, 상기 (b3) 단계에서 난이도 재설정이 완료되면, 학습자의 수준 등급별로 미리 설정된 각 난이도별 문제 출제비율과 상기 재설정된 난이도의 문제를 바탕으로 상기 (b2) 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학습자의 현재 수준에 맞도록 상기 출제 비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h) 상기 서버가,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의 시험 문제에 대한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오답이라고 판단한 문제와 중요 마크된 문제를 검색하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오답이라고 판단한 문제와 중요 마크된 문제에 대한 해설을 검색하여, 날짜별, 과목별 및 난이도별 기준을 포함한 다양한 기준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들(특히 대입을 준비하는 고등학생들)이 서버의 학습시스템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학습을 수행하거나, 서버로부터 학습 소프트웨어 등을 다운받아 다양한 전자매체를 통해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시간, 장소 및 전자매체에 구애받지 않고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제공자로서는 XHTML 형식으로 문제를 입력받는 친숙한 문제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제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인터넷이 가능한 환경이라면 언제 어디서나 운영체제, 브라우저에 영향받지 않고 누구나 문제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대입학원 등 문제은행 제공자와 연계하여 모의고사 등의 문제를 주기적으로 입력받아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제공자로서는 문제 출제의 권리를 다양한 사람들에게 제공하여 새로운 컨텐츠 공급 경로를 창출하고, 학습자들로서는 다양한 문제를 접할 수 있고 동일한 모의고사를 전국 수험생 등이 실시간으로 풀어봄으로써 전국 수험생들 대비 자신의 석차를 파악할 수 있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학습시스템이 주로 사람의 손을 거쳐서 문제 세트를 미리 만들어 두어야 하는 문제가 있음에 반해 시험 생성시 소프트웨어가 실시간 자료 분석을 통해 자동으로 학습자에게 맞춰 실시간으로 시험 문제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학습자가 시험문제를 풀고자 할 때 출제자가 문제에 대해 기대한 난이도, 출제연도, 출제빈도 등의 다양한 문제 기본 정보와 다른 학습자들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시스템을 통해 시험을 본 후 저장된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률 등을 바탕으로 시험 문제에 대한 난이도를 실시간으로 설정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시험문제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다른 학습자들의 시험 결과에 따라 실시간으로 설정된 난이도에 따라 시험 문제를 풀어보고, 그 시험에 대한 전체 석차에 따라 자신의 현재 수준이 변경되기 때문에 다음 시험을 풀 때에는 변경된 자신의 수준에 맞는 다른 수준의 문제를 다양하게 접할 수도 있어 다른 학습자들과 대비한 자신의 수준 파악이 보다 용이하여 학습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가 시험 문제를 풀고자 할 때 정답 표시, 오답배제, 별표 등 중요 마크, 핸드드로잉 등이 가능한 편리한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학습자는 웹사이트나 전자매체를 통해 편리하게 시험을 볼 수 있고, 또한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는 소형 모바일 기기나 대형 TV 화면 등 화면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사이즈가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기기에서도 편리하게 시험을 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문제의 표준 예상 소요시간에 따라 시험 제한시간을 설정하여 줌으로써 실제 시험과 같은 분위기에서 시험을 응시해 볼 수도 있고, 시험문제에 대한 다른 학습자들의 풀이 소요시간을 실시간으로 산출하여 시험 제한 시간을 제공해 줌으로써 다른 학습자들과 대비하여 자신의 시험 풀이 소요시간을 측정해 볼 수도 있으므로, 문제에 대해 다른 학습자들이 느끼는 난이도를 자신이 체감해 볼 수 있어 다른 학습자들 대비 자신의 수준 파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험 문제에 대한 해설, 채점결과 및 다른 학습자들 대비 전체 석차 등의 다양한 통계 정보와 대입학원 등의 진학정보제공자와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점수별 예상 지원 가능 대학 등의 정보를 받아 학습자에게 제공해줌으로써, 본 발명이 제공하는 시스템에 접속한 학습자들 대비 학습자 자신의 현재 수준뿐만 아니라 대입학원 등을 통해 동일한 모의고사를 본 전국 학생들과 대비하여 자신의 수준을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이를 바탕으로 전국 대학의 지원 가능 대학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수시로 전국 학생들과 대비하여 자신의 수준을 파악할 수 있어 언제나 긴장감을 가지고 학습에 임할 수 있어 학습효율을 배가할 수 있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 자신의 의견이나 질문 사항 등을 입력하고 다른 학습자들의 의견 내용 등을 보여주는 문제 토론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문제에 대해 다른 학습자나 출제자들과 실시간으로 의견 교환을 통해 문제에 대한 이해를 보다 쉽게 할 수도 있고, 다른 학생들과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동시에 그룹 스터디를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므로 학습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가 틀린 문제나 중요하다고 체크한 문제 등을 날짜별, 과목별 및 난이도별 등 다양한 기준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한 오답노트를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인쇄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들은 오답이나 중요한 문제들에 대해 다시 복습해 볼 수 있으며, 전자매체가 없는 경우에도 오답노트를 인쇄하여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어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의 서버 구성 중 시험생성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의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방법의 시험생성단계의 세부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의 서버 구성 중 시험생성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볼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은,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학습용 전자매체와 서버를 포함하는 학습시스템에 있어서,
서버(200)는,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 시험생성부(205), 문제풀이부(206), 결과생성부(207), 결과제공부(208) 및 통계제공부(209)를 포함한다.
먼저,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정답, 해설, 기대난이도 및 기대소요시간을 포함하는 문제 기본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때, 문제 기본 정보에는 지금까지 기출제된 대입 수능 문제, 출제년도, 과목, 과목별 영역, 단원 등의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는 문제풀이부(206)에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들의 채점결과, 중요 마크, 문제별 정답률 및 각 문제별 소요시간, 응시횟수, 전체 석차를 포함하는 시험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시험생성부(205)는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로부터 시험 생성을 요청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및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검색된 문제와 기대난이도를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한다.
이때, 문제의 기대난이도는 문제를 처음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할 때 입력받게 되는 데, 문제의 난이도는 상, 중, 하의 3단계나 1에서 5 단계 등 다양한 기준으로 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시험생성부(205)는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해 각 문제별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 여부를 시험결과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서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시험생성부(205)는, 문제풀이부(206)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로부터 한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답을 입력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된 정답을 바탕으로 한 시험 문제의 정답 여부를 판단하고, 그 정답 여부에 따라 다음 시험 문제의 난이도를 결정하여 다음 시험 문제를 생성하되,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해 각 문제별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 여부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서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도록 다음 시험 문제를 생성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는 실시간으로 시험을 응시한 학습자들의 시험 결과가 저장되고, 그 시험 결과에는 채점 결과가 포함되므로, 채점 결과에 따라 문제별 정답 여부를 알 수 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전체 학습자들의 응시횟수 대비 각 문제별 정답률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험생성부(205)는,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한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서 문제에 대한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답률을 실제난이도로 하여 실제난이도에 각 문제별로 응시한 학습자들의 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실제난이도와 상기 검색된 기대난이도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종합난이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종합난이도를 미리 일정 구간에 따라 나누어진 난이도의 등급에 매칭하여 문제의 난이도를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난이도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즉, 기대난이도와 실제난이도를 반영하여 종합난이도를 산출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대난이도를 상위 0~10%를 상, 10%~70%를 중, 70%~100%를 하로 설정하는 경우, 아래 수학식 1의 기대난이도의 값에, 상은 상 구간인 0~10%의 중간값인 5%를, 중은 10~70%의 중간값인 40%를, 하는 70~100%의 중간값인 85%의 값을 부여하고,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종합난이도를 산출하여, 산출된 종합난이도(%)가 0~10% 는 '상', 10% ~ 70% 는 '중', 70% ~ 100%이면 '하'로 재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종합난이도 = 기대난이도의 값 + α(실제난이도(%) - 기대난이도의 값)
여기서, α는 실제난이도를 반영할 가중치를 의미하고, 실제 응시 학습자수를 적정 인원수로 나눈 값을 사용하면 된다. 이때, 나눈 값이 1을 초과하는 경우 1로 설정하여 α값은 0에서 1사이값이 되도록 한다. 적정 인원수는 40명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시험생성부(205)는 시험생성접수부(2051), 현재수준판단부(2053), 난이도재설정부(2055) 및 시험문제출제부(2057)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시험생성접수부(2051)는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로부터 시험 생성 요청을 접수받는다.
그리고, 현재수준판단부(2053)는 시험생성접수부(2051)가 시험 생성 요청을 접수받으면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서 학습자의 응시한 시험 결과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응시한 시험 결과가 존재하지 않으면 미리 부여된 등급을 학습자의 현재 수준이라 판단하고,
시험 결과가 존재하면 가장 최근 응시한 시험의 전체 석차를 검색하여 전체 석차의 백분율을 구하고, 전체 석차의 백분율에 따라 일정 기준으로 나누어진 등급 중 학습자의 전체 석차의 백분율이 속하는 등급을 학습자의 현재 수준이라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학습자의 수준은 전체 석차의 백분율을 구해 1: 상위 1% 이상, 2: 상위 2% 초과 1% 이하, 3: 상위 5% 초과 2% 이하, 4: 상위 10% 초과 5% 이하, 5: 상위 20% 초과 10% 이하, 6: 상위 30% 초과 20% 이하, 7: 상위 40% 초과 30% 이하, 8: 상위 50% 초과 40% 이하와 9: 상위 50% 이하의 9등급으로 나누어 설정하고,
그 학습자가 응시한 시험이 있는 지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서 먼저 검색하여 응시한 시험이 없는 경우에는 처음으로 시험을 보는 경우이므로 학습자의 현재 수준을 6등급으로 설정하고,
응시한 시험이 있는 경우에는 가장 최근 응시한 시험의 전체 석차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전체 석차의 백분율을 구하고, 그 백분율이 속하는 등급을 학습자의 현재 수준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의 수준은 전체 석차의 백분율을 구해 상: 상위 10% 이상, 중: 상위 70% 초과 10% 미만, 하: 상위 70% 이하의 3단계로 분류하여, 학습자가 응시한 시험이 없는 경우 현재수준판단부(2053)는 학습자의 현재수준을 '중'으로 설정하고, 응시한 시험이 있는 경우에는 가장 최근 응시한 시험의 전체 석차의 백분율에 따른 등급을 현재수준으로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연계된 입시 학원 등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기준과 일치되도록 설정하여 자신의 현재 수준에 따라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난이도재설정부(2055)는 현재수준판단부(2053)에서 학습자의 현재 수준 판단을 완료하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한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제에 대한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답률을 실제난이도로 하여 실제난이도에 각 문제별로 응시한 학습자들의 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실제난이도와 상기 검색된 기대난이도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종합난이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종합난이도를 미리 일정 구간에 따라 나누어진 난이도의 등급에 매칭하여 문제의 난이도를 재설정한다.
그 다음, 시험문제출제부(2057)가 난이도재설정부(2055)에서 난이도 재설정이 완료되면, 학습자의 수준 등급별로 미리 설정된 각 난이도별 문제 출제비율과 상기 재설정된 난이도의 문제를 바탕으로 현재수준판단부(2053)에서 판단된 상기 학습자의 현재 수준에 맞도록 상기 출제 비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아래 표와 같이 학습자의 수준 등급별 난이도 출제 비율을 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1 등급 2 등급 3 등급 4 등급 5 등급 6 등급 7 등급 8 등급 9 등급
60 50 40 30 25 20 10 5 0
30 35 40 40 35 35 40 40 40
10 15 20 30 40 45 50 55 60
학습자의 수준 등급(9단계)별 난이도(3단계) 출제 비율(단위 : %)
1 등급 2 등급 3 등급 4 등급 5 등급 6 등급 7 등급 8 등급 9 등급
1 단계 50 40 35 30 25 20 10 5 0
2 단계 20 30 25 20 20 20 10 5 5
3 단계 15 15 20 30 30 30 30 25 25
4 단계 10 10 15 10 10 10 20 30 30
5 단계 5 5 5 10 15 20 30 35 40
학습자의 수준 등급(9단계)별 난이도(5단계) 출제 비율(단위 : %)
50 30 20
40 50 40
10 20 40
학습자의 수준 등급(3단계)별 난이도(3단계) 출제 비율(단위 : %)
또한, 수능에 준한 문제의 경우 시험문제출제부(2057)가 실제 수능 문제 비율에 맞게 과목별, 유형별로 문제수가 할당되어 생성하도록 미리 기준을 설정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언어:수리:외국어의 경우 5:3:3과 같이 수능 출제 비율에 맞게 설정해 놓을 수 있으며, 듣기, 쓰기, 읽기의 문제 비율을 설정해 놓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가 시험을 볼 때마다 다른 학습자들과 대비하여 전체 석차가 바뀌기 때문에 그 학습자의 수준 등급은 매 응시할 때마다 변경되게 된다. 그리고, 그 학습자의 가장 최근 등급에 따른 출제비율을 고려하여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률을 실시간 반영한 난이도의 문제들로 그 학습자의 시험 문제를 생성하기 때문에 그 학습자는 매 응시할 때마다 다른 수준의 문제들을 접할 수 있게 되어 문제 노출에 따른 bias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문제풀이부(206)는 시험생성부(205)가 시험 문제를 생성하면,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에 그 시험 문제가 포함되고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답 체크가 가능한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로부터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 시험 문제에 대한 풀이 결과를 입력받는다.
좀 더 구체적으로, 문제풀이부(206)는 시험 문제에 대한 중요 마크 체크,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 산출, 오답 배제 및 핸드드로잉이 더 가능한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문제풀이부(206)가 제공하는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는 문제 글씨 크기 조절 등이 더 가능하고, 핸드드로잉의 경우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과 왼쪽 버튼에 각각 다른 색상이 출력되도록 설정되도록 하여 학습자가 시험 도중 시험 지문이나 문제를 읽거나 중요 부분을 체크하고자 할 때 다양한 색상으로 표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문제 풀이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학습용 전자 매체에 맞도록 최적 크기의 인터페이스로 자동 변환되도록 구현되어 제공됨으로써 모바일 기기 같은 소형 전자매체에서부터 TV 화면 등 대형 스크린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의 전자매체에서도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문제풀이부(206)는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된 문제에 대한 기대소요시간이나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다른 학습자들의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을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소요시간을 바탕으로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제공된 시험 문제에 대한 예상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그 산출된 예상 소요시간을 상기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문제풀이부(206)가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학습자용 전자매체에 제공할 때 그 시험 문제에 대한 예상 소요시간을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 기본 정보의 기대소요시간을 반영하여 그 전체 시험 문제에 대한 표준 예상 소요시간을 산출하고, 그 표준 예상 소요시간을 시험 제한시간으로 설정하여 줌으로써 학습자가 표준 예상 소요시간 대비 자신의 소요 시간을 비교하여 실제 시험을 치르는 것과 같은 분위기 조성이 가능하다.
또한, 문제풀이부(206)가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학습자용 전자매체에 제공할 때 다른 학습자들의 그 시험 문제에 포함된 각 문제에 대한 풀이 소요시간을 검색하고 각 문제당 다른 학습자들의 평균 풀이 소요시간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각 문제당 평균 풀이 소요시간을 반영하여 그 시험 문제 전체에 대한 예상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제한 시간을 설정하여 줌으로써,
다른 학습자들의 풀이 소요시간은 실시간으로 저장되고 그 풀이소요시간 또한 매번 달라질 것이므로, 문제를 풀고자 하는 학습자는 다른 학습자들이 느끼는 문제 수준을 체감해 볼 수 있고, 또 자신의 문제 풀이 소요시간과 비교함으로써 다른 학습자들과 대비한 자신의 수준을 대략적으로 가늠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예상 소요시간을 산출할 때 문제풀이부(206)는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학습자용 전자매체에 제공할 때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 기본정보의 기대소요시간과 다른 학습자들의 그 시험 문제에 포함된 각 문제에 대한 실제 풀이 소요시간을 검색하고 각 문제당 다른 학습자들의 평균 풀이 소요시간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각 문제당 평균 풀이 소요시간을 모두 반영하여 그 시험 문제 전체에 대한 예상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실제 풀이 소요시간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기대소요시간과 풀이 소요시간을 모두 반영한 예상 소요시간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예상 소요시간 = 기대소요시간 + α(실제 풀이 소요시간 - 기대소요시간)
여기서, α는 실제난이도를 반영할 가중치를 의미하고, 실제 응시 학습자수를 적정 인원수로 나눈 값을 사용하면 된다. 이때, 값이 1을 초과하는 경우 1로 설정하여 α값은 0에서 1사이값이 되도록 한다. 적정 인원수는 40명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과생성부(207)는 문제풀이부(206)에서 풀이 결과를 입력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서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을 검색하여 풀이 결과를 채점하고, 그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률과 평균점수를 산출하고,
그 평균점수와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전체 학습자의 평균 점수를 대비하여 학습자의 전체 석차를 산출하고, 시험 문제와 풀이 결과, 채점 결과, 산출된 정답률, 평균점수 및 전체 석차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한다.
또한, 결과생성부(207)는,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산출된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과 시험문제에 대한 중요 마크를 문제풀이부(206)가 입력받으면,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과 중요 마크를 더 포함하는 풀이 결과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과제공부(208)는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로부터 채점 결과를 요청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서 시험 문제에 대한 해설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서 학습자의 채점 결과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설과 채점 결과를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결과제공부(208)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에 제공된 시험 문제에 대한 해설 및 채점 결과에 대해 학습자의 의견이나 질문사항을 입력받고, 다른 학습자들의 시험 문제에 대해 입력한 의견내용이나 질문사항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문제 토론 인터페이스를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에 더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통계제공부(209)는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로부터 통계 정보 제공을 요청받으면,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서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평균 점수, 채점 결과, 정답률 및 전체 석차를 검색하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서 시험문제에 대한 해설을 검색하여, 검색된 해설, 채점 결과, 정답률, 평균 점수 및 전체 석차를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제공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서버는 점수별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포함하는 진학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계제공부(209)는 연계된 진학정보제공자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상기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학습자의 통계 정보의 전체 석차를 바탕으로 저장된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검색하여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에 더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계제공부(209)는 달력과 각종 표, 그래프 등 다양한 시각적 도구들을 통해 체계적이고 직관적으로 학습자 자신의 학습상황과 취약점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때, 통계제공부(209)가 제공하는 통계정보에는 본 발명의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에 접속하여 시험을 본 전체 학습자들의 종합순위, 시험 응시 날짜별 순위, 각 응시 과목별 순위 등 각 기준별 상위에 속한 학습자들의 아이디 등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 자신의 과목별, 영역별 정답률, 문제당 평균 소요시간, 응시시험에 따른 성취도 등의 그래프 등을 더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연계된 대입학원 등 진학 정보를 제공하는 진학정보 제공자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전국 석차별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 및 기타 진학 정보를 검색하여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학습자에게 그 정보들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들은 입시학원 등이 제공하는 모의고사 외에도 언제라도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시험을 보고 바로 전국적인 자신의 석차를 파악할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자신의 예상 지원 가능 대학을 체크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서버는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학습자의 시험 문제에 대한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오답이라고 판단한 문제와 중요 마크된 문제를 검색하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서 오답이라고 판단한 문제와 중요 마크된 문제에 대한 해설을 검색하여, 날짜별, 과목별 및 난이도별 기준을 포함한 다양한 기준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제공하는 오답노트제공부(2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오답노트제공부(210)는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로부터 오답노트의 출력 요청을 입력받으면 오답노트를 출력하는 오답노트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학습자는 자신의 오답노트에 대해 인쇄하여 학습함으로써 모바일 사용자가 없는 경우에도 어디서나 학습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200)는, 온라인으로 접속된 출제자의 단말기에 문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단말기로부터 문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정답, 해설, 난이도 및 기대소요시간을 포함하는 문제 기본 정보를 입력받거나,
연계된 문제은행 제공자 서버의 문제 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문제 기본 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입력받은 문제 기본 정보를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하는 문제입력부(20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문제 입력 인터페이스는 XHTML 문서 형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3자가 문제를 제공하고자 할 때 XML 문서를 쉽게 문제 입력 시스템에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문제입력부(204)는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입력된 문제의 전송을 요청받으면 것이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에 입력된 문제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입시학원 등과 연계하여 주기적으로 모의고사 등의 문제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둠으로써, 학습자들은 다양한 문제를 접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의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볼때,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학습용 전자매체와 서버를 포함하는 학습시스템에 있어서, 학습용 전자매체(100)는,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101),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102), 데이터수신부(104), 시험생성부(105), 문제풀이부(106), 결과생성부(107), 결과제공부(108)및 통계제공부(109)를 포함한다.
먼저,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1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정답, 해설, 난이도 및 기대소요시간 포함하는 문제 기본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102)는 문제풀이부(106)에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채점결과, 중요 마크, 문제별 정답률, 각 문제별 기대소요시간, 응시횟수,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률을 저장하고 있다.
한편, 학습용 전자매체(100)는, 점수별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포함하는 진학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10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터수신부(104)는 서버(2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와 정답, 해설, 난이도 및 소요시간을 수신하여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하고, 문제에 대한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률을 수신하여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수신부(104)는, 서버(200)로부터 점수별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포함하는 진학 정보를 더 수신하여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험생성부(105)는 학습자로부터 시험 생성을 요청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및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검색된 문제와 기대난이도를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한다.
또한, 문제풀이부(106)는 시험생성부(105)가 시험 문제를 생성하면, 시험 문제가 포함되고 그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답 체크가 가능한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험 문제에 대한 풀이 결과를 입력받는다.
좀 더 구체적으로, 문제풀이부(106)는 시험 문제에 대한 중요 마크 체크,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 산출, 오답 배제 및 핸드드로잉이 더 가능한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된 기대소요시간을 검색하여 시험 문제에 대한 예상 소요시간을 산출하고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에 산출된 예상 소요시간을 표시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과생성부(107)는 문제풀이부(106)에서 풀이 결과를 입력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101)에서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을 검색하여 풀이 결과를 채점하고,그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률과 평균점수를 산출하여, 시험 문제와 풀이 결과, 채점 결과, 산출된 정답률 및 평균점수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결과생성부(107)는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산출된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과 시험문제에 대한 중요 마크를 문제풀이부(106)가 입력받으면,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과 중요 마크를 더 포함하는 풀이 결과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과제공부(108)는 학습자로부터 채점 결과를 요청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101)에서 시험 문제에 대한 해설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102)에서 학습자의 채점 결과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설과 채점 결과를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통계제공부(109)는 학습자로부터 통계 정보 제공을 요청받으면,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102)에서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평균 점수, 채점 결과 및 정답률을 검색하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101)에서 시험문제에 대한 해설을 검색하여, 검색된 해설, 채점 결과, 정답률 및 평균 점수를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통계제공부(109)는 학습자에게 제공된 통계 정보를 바탕으로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된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검색하여 학습자에게 더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학습용 전자매체(100)는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된 학습자의 시험 문제에 대한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오답이라고 판단한 문제와 중요 마크된 문제를 검색하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101)에서 오답이라고 판단한 문제와 중요 마크된 문제에 대한 해설을 검색하여, 날짜별, 과목별 및 난이도별 기준을 포함한 다양한 기준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오답노트제공부(1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학습용 전자매체(100)는 결과생성부(107)에서 저장한 시험 문제와 그 시험 문제에 대한 채점 결과 및 정답률을 포함한 시험 결과정보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102)에서 검색하여 서버(200)에 전송하는 데이터송신부(11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의 학습용 전자매체의 구성 중 서버의 구성과 대응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위의 서버의 구성 부분에서 자세히 상술하였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방법의 시험생성단계의 세부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4와 도5를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볼 때,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와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를 포함하는 서버(200)와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학습용 전자매체(100)를 이용하는 학습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방법은,
먼저, 서버(200)가,온라인으로 접속된 출제자의 단말기에 문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단말기로부터 문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정답, 해설, 기대난이도 및 기대소요시간을 포함하는 문제 기본 정보를 입력받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S310).
이때, 단계 S310은 서버(200)가, 연계된 문제은행 제공자 서버의 문제 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정답, 해설, 기대난이도 및 기대소요시간을 포함하는 문제 기본 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그 입력받은 문제 기본 정보를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서버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로부터 시험 생성을 요청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및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검색된 문제와 기대난이도를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한다(단계 S320).
이때, 단계 S320은 서버(200)가,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해 각 문제별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 여부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서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 S320은 서버(200)가,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한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서 문제에 대한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답률을 실제난이도로 하여 실제난이도에 각 문제별로 응시한 학습자들의 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가 부여된 실제난이도와 검색된 기대난이도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종합난이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종합난이도를 미리 일정 구간에 따라 나누어진 난이도의 등급에 매칭하여 문제의 난이도를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난이도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단계 S320은, 먼저 서버(200)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로부터 시험 생성 요청을 접수받는다(단계 S321).
그 다음, 서버가, 단계 S321에서 시험 생성 요청을 접수받으면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서 학습자의 응시한 시험 결과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응시한 시험 결과가 존재하지 않으면 미리 부여된 등급을 학습자의 현재 수준이라 판단하고,
시험 결과가 존재하면 가장 최근 응시한 시험의 전체 석차를 검색하여 전체 석차의 백분율을 구하고, 전체 석차의 백분율에 따라 일정 기준으로 나누어진 등급 중 학습자의 전체 석차의 백분율이 속하는 등급을 학습자의 현재 수준이라고 판단한다(단계 S322).
그 다음, 서버(200)가, 단계 S322에서 학습자의 현재 수준 판단을 완료하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한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서 문제에 대한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답률을 실제난이도로 하여 실제난이도에 각 문제별로 응시한 학습자들의 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가 부여된 실제난이도와 검색된 기대난이도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종합난이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종합난이도를 미리 일정 구간에 따라 나누어진 난이도의 등급에 매칭하여 문제의 난이도를 재설정한다(단계 S323).
그 다음, 서버(200)가 단계 S323에서 난이도 재설정이 완료되면, 학습자의 수준 등급별로 미리 설정된 각 난이도별 문제 출제비율과 재설정된 난이도의 문제를 바탕으로 단계 S322에서 판단된 학습자의 현재 수준에 맞도록 출제 비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3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서버(200)가 단계 S320에서 시험 문제가 생성되면,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에 시험 문제가 포함되고 그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답 체크가 가능한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단계 S330).
이때, 단계 S330은 시험 문제에 대한 중요 마크 체크,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 산출, 오답 배제 및 핸드드로잉이 더 가능한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 S330은, 서버(200)가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된 문제에 대한 기대소요시간이나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다른 학습자들의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을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소요시간을 바탕으로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제공된 시험 문제에 대한 예상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그 산출된 예상 소요시간을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 다음, 서버(200)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로부터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험 문제에 대한 풀이 결과를 입력받는다(단계 S340).
그 다음, 서버(200)가 단계 S340에서 풀이 결과를 입력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서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을 검색하여 그 풀이 결과를 채점하고, 그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률과 평균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점수와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전체 학습자의 평균 점수를 대비하여 학습자의 전체 석차를 산출하고, 시험 문제와 풀이 결과, 채점 결과, 산출된 정답률, 평균점수 및 전체 석차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한다(단계 S350).
이때, 단계 S350은, 단계 S340에서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산출된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과 시험문제에 대한 중요 마크를 입력받으면,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과 중요 마크를 더 포함하는 풀이 결과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서버(200)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채점 결과를 요청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서 시험 문제에 대한 해설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서 학습자의 채점 결과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설과 채점 결과를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에 제공한다(단계 S360).
이때, 단계 S360은 서버(200)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에 제공된 시험 문제에 대한 해설 및 채점 결과에 대해 학습자의 의견이나 질문사항을 입력받고, 다른 학습자들의 시험 문제에 대해 입력한 의견내용이나 질문사항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문제 토론 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서버(200)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0로부터 통계 정보 제공을 요청받으면,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서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평균 점수, 채점 결과, 정답률 및 전체 석차를 검색하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서 시험문제에 대한 해설을 검색하여, 검색된 해설, 채점 결과, 정답률, 평균 점수 및 전체 석차를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에 제공한다(단계 S370).
한편, 서버(200)는 점수별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20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단계 S370은 서버(200)가 연계된 진학정보제공자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203)에 저장하고,
학습자의 통계 정보의 전체 석차를 바탕으로 저장된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검색하여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100)에 더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서버(200)가,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학습자의 시험 문제에 대한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오답이라고 판단한 문제와 중요 마크된 문제를 검색하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오답이라고 판단한 문제와 중요 마크된 문제에 대한 해설을 검색하여, 날짜별, 과목별 및 난이도별 기준을 포함한 다양한 기준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단계 S38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 200 : 서버
101, 201 : 문제기본정보데이터베이스 102, 202 : 시험결과정보데이터베이스
103, 203 :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 104 : 데이터수신부
204 : 문제입력부 105, 205 : 시험생성부
106, 206 : 문제풀이부 107, 207 : 결과생성부
108, 208 : 결과제공부 109, 209 : 통계제공부
110, 210 : 오답노트제공부 111 : 데이터송신부
2051 : 시험생성접수부 2053 : 현재수준판단부
2055 : 난이도재설정부 2057 : 시험문제출제부

Claims (23)

  1.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학습용 전자매체와 서버를 포함하는 학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 해설, 기대소요시간 및 기대난이도를 포함하는 문제 기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
    문제풀이부에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들의 채점결과, 중요 마크,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 문제별 정답률 및 전체 석차를 포함하는 시험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
    점수별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포함하는 진학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시험 생성을 요청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및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해 각 문제별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 여부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하고, 상기 검색된 문제와 기대난이도 및 산출된 평균 정답률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하는 시험생성부;
    상기 시험생성부가 시험 문제를 생성하면,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상기 시험 문제가 포함되고 그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답 체크, 중요 마크 체크,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 산출이 가능한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풀이 결과를 입력받는 문제풀이부;
    상기 문제풀이부에서 각 문제별 답, 풀이 소요시간과 중요 마크를 포함한 풀이 결과를 입력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을 검색하여 상기 풀이 결과를 채점하고, 그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률과 평균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점수와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체 학습자의 평균 점수를 대비하여 학습자의 전체 석차를 산출하고, 상기 시험 문제와 풀이 결과, 채점 결과, 산출된 정답률, 평균점수 및 전체 석차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결과생성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채점 결과를 요청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해설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학습자의 채점 결과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설과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제공하는 결과제공부; 및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통계 정보 제공을 요청받으면,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평균 점수, 채점 결과, 정답률 및 전체 석차를 검색하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문제에 대한 해설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해설, 채점 결과, 정답률, 평균 점수 및 전체 석차를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제공하는 통계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문제풀이부는,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에 대한 기대소요시간이나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학습자들의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을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소요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제공된 시험 문제에 대한 예상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그 산출된 예상 소요시간을 상기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과제공부는,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제공된 시험 문제에 대한 해설 및 채점 결과에 대해 학습자의 의견이나 질문사항을 입력받고, 다른 학습자들의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해 입력한 의견내용이나 질문사항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문제 토론 인터페이스를 상기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통계제공부는,
    연계된 진학정보제공자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상기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학습자의 통계 정보의 전체 석차를 바탕으로 상기 저장된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온라인으로 접속된 출제자의 단말기에 문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문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정답, 해설, 기대난이도 및 기대소요시간을 포함하는 문제 기본 정보를 입력받거나, 연계된 문제은행 제공자 서버의 문제 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문제 기본 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입력받은 문제 기본 정보를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문제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생성부는,
    문제풀이부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한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답을 입력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답을 바탕으로 상기 한 시험 문제의 정답 여부를 판단하고, 그 정답 여부에 따라 다음 시험 문제의 난이도를 결정하여 다음 시험 문제를 생성하되,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해 각 문제별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 여부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답률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도록 다음 시험 문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생성부는,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한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제에 대한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답률을 실제난이도로 하여 실제난이도에 각 문제별로 응시한 학습자들의 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실제난이도와 상기 검색된 기대난이도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종합난이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종합난이도를 미리 일정 구간에 따라 나누어진 난이도의 등급에 매칭하여 문제의 난이도를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난이도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생성부는,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시험 생성 요청을 접수받는 시험생성접수부;
    상기 시험생성접수부가 시험 생성 요청을 접수받으면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학습자의 응시한 시험 결과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응시한 시험 결과가 존재하지 않으면 미리 부여된 등급을 상기 학습자의 현재 수준이라 판단하고, 시험 결과가 존재하면 가장 최근 응시한 시험의 전체 석차를 검색하여 전체 석차의 백분율을 구하고, 전체 석차의 백분율에 따라 일정 기준으로 나누어진 등급 중 상기 학습자의 전체 석차의 백분율이 속하는 등급을 상기 학습자의 현재 수준이라고 판단하는 현재수준판단부;
    상기 현재수준판단부에서 학습자의 현재 수준 판단을 완료하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한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제에 대한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답률을 실제난이도로 하여 실제난이도에 각 문제별로 응시한 학습자들의 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실제난이도와 상기 검색된 기대난이도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종합난이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종합난이도를 미리 일정 구간에 따라 나누어진 난이도의 등급에 매칭하여 문제의 난이도를 재설정하는 난이도재설정부; 및
    상기 난이도재설정부에서 난이도 재설정이 완료되면, 학습자의 수준 등급별로 미리 설정된 각 난이도별 문제 출제비율과 상기 재설정된 난이도의 문제를 바탕으로 현재수준판단부에서 판단된 상기 학습자의 현재 수준에 맞도록 상기 출제 비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하는 시험문제출제부;를 포함하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의 시험 문제에 대한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오답이라고 판단한 문제와 중요 마크된 문제를 검색하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오답이라고 판단한 문제와 중요 마크된 문제에 대한 해설을 검색하여, 날짜별, 과목별 및 난이도별 기준을 포함한 다양한 기준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제공하는 오답노트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학습용 전자매체와 서버를 포함하는 학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학습용 전자매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정답, 해설, 기대소요시간 및 기대난이도를 포함하는 문제 기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
    문제풀이부에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채점결과, 문제별 정답률 및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을 포함하는 시험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
    점수별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포함하는 진학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와 정답, 해설, 기대소요시간 및 기대난이도를 수신하여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점수별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포함하는 진학 정보를 수신하여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수신부;
    학습자로부터 시험 생성을 요청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및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검색된 문제와 기대난이도를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하는 시험생성부;
    상기 시험생성부가 시험 문제를 생성하면, 상기 시험 문제가 포함되고 그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답 체크, 중요 마크 체크,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 산출이 가능한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되,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대소요시간을 검색하여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예상 소요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에 산출된 예상 소요시간을 표시하여 제공하고, 상기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풀이 결과를 입력받는 문제풀이부;
    상기 문제풀이부에서 각 문제별 답, 풀이소요시간과 중요마크를 포함한 풀이 결과를 입력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을 검색하여 상기 풀이 결과를 채점하고,그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률과 평균점수를 산출하여, 상기 시험 문제와 풀이 결과, 채점 결과, 산출된 정답률 및 평균점수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결과생성부;
    학습자로부터 채점 결과를 요청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해설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학습자의 채점 결과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설과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결과제공부;
    학습자로부터 통계 정보 제공을 요청받으면,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평균 점수, 채점 결과 및 정답률을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통계 정보를 바탕으로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검색하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문제에 대한 해설을 검색하여, 검색된 해설,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 및 통계 정보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통계제공부;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의 시험 문제에 대한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오답이라고 판단한 문제와 중요 마크된 문제를 검색하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오답이라고 판단한 문제와 중요 마크된 문제에 대한 해설을 검색하여, 날짜별, 과목별 및 난이도별 기준을 포함한 다양한 기준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오답노트제공부; 및
    상기 결과생성부에서 저장한 시험 문제와 그 시험 문제에 대한 채점 결과 및 정답률을 포함한 시험 결과정보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서버에 전송하는 데이터송신부;를 포함하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버와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학습용 전자매체를 이용하는 학습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버가, 온라인으로 접속된 출제자의 단말기에 문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정답, 해설, 기대소요시간 및 기대난이도를 포함하는 문제 기본 정보를 입력받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시험 생성을 요청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및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해 각 문제별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 여부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하고, 상기 검색된 문제와 기대난이도 및 산출된 평균 정답률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서버가, 상기 (b)단계에서 시험 문제가 생성되면,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상기 시험 문제가 포함되고 그 시험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답 체크, 중요 마크 체크,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 산출이 가능한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서버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풀이 결과를 입력받는 단계;
    (e) 상기 서버가, 상기 (d) 단계에서 각 문제별 답, 풀이 소요시간과 중요 마크를 포함하는 풀이 결과를 입력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을 검색하여 상기 풀이 결과를 채점하고, 그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정답률과 평균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점수와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체 학습자의 평균 점수를 대비하여 학습자의 전체 석차를 산출하고, 상기 시험 문제와 풀이 결과, 채점 결과, 산출된 정답률, 평균점수 및 전체 석차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f) 상기 서버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채점 결과를 요청받으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해설과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학습자의 채점 결과를 검색하고, 검색된 해설과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제공하는 단계; 및
    (g) 상기 서버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통계 정보 제공을 요청받으면,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평균 점수, 채점 결과, 정답률 및 전체 석차를 검색하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시험문제에 대한 해설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해설, 채점 결과, 정답률, 평균 점수 및 전체 석차를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서버가,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에 대한 기대소요시간이나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학습자들의 각 문제별 풀이 소요시간을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소요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제공된 시험 문제에 대한 예상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그 산출된 예상 소요시간을 상기 문제 풀이 인터페이스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f) 단계는,
    상기 서버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제공된 시험 문제에 대한 해설 및 채점 결과에 대해 학습자의 의견이나 질문사항을 입력받고, 다른 학습자들의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해 입력한 의견내용이나 질문사항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문제 토론 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g) 단계는,
    상기 서버가, 연계된 진학정보제공자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상기 진학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학습자의 통계 정보의 전체 석차를 바탕으로 상기 저장된 예상 지원 가능 대학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서버가, 연계된 문제은행 제공자 서버의 문제 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정답, 해설, 기대난이도를 포함하는 문제 기본 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그 입력받은 문제 기본 정보를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방법.
  17. 삭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서버가,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한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제에 대한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답률을 실제난이도로 하여 실제난이도에 각 문제별로 응시한 학습자들의 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실제난이도와 상기 검색된 기대난이도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종합난이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종합난이도를 미리 일정 구간에 따라 나누어진 난이도의 등급에 매칭하여 문제의 난이도를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난이도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방법.
  19. 제15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서버가,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로부터 시험 생성 요청을 접수받는 단계;
    (b2) 상기 서버가, 상기 (b1) 단계에서 시험 생성 요청을 접수받으면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학습자의 응시한 시험 결과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응시한 시험 결과가 존재하지 않으면 미리 부여된 등급을 상기 학습자의 현재 수준이라 판단하고, 시험 결과가 존재하면 가장 최근 응시한 시험의 전체 석차를 검색하여 전체 석차의 백분율을 구하고, 전체 석차의 백분율에 따라 일정 기준으로 나누어진 등급 중 상기 학습자의 전체 석차의 백분율이 속하는 등급을 상기 학습자의 현재 수준이라고 판단하는 단계;
    (b3) 상기 서버가, 상기 (b2) 단계에서 학습자의 현재 수준 판단을 완료하면,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한 기대난이도를 검색하고,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제에 대한 다른 학습자들의 정답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각 문제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답률을 실제난이도로 하여 실제난이도에 각 문제별로 응시한 학습자들의 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실제난이도와 상기 검색된 기대난이도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종합난이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종합난이도를 미리 일정 구간에 따라 나누어진 난이도의 등급에 매칭하여 문제의 난이도를 재설정하는 단계; 및
    (b4) 상기 서버가, 상기 (b3) 단계에서 난이도 재설정이 완료되면, 학습자의 수준 등급별로 미리 설정된 각 난이도별 문제 출제비율과 상기 재설정된 난이도의 문제를 바탕으로 상기 (b2) 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학습자의 현재 수준에 맞도록 상기 출제 비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험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방법.
  20.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h) 상기 서버가, 시험 결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의 시험 문제에 대한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오답이라고 판단한 문제와 중요 마크된 문제를 검색하고, 문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오답이라고 판단한 문제와 중요 마크된 문제에 대한 해설을 검색하여, 날짜별, 과목별 및 난이도별 기준을 포함한 다양한 기준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학습자의 학습용 전자매체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00045956A 2010-05-17 2010-05-17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1031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956A KR101031304B1 (ko) 2010-05-17 2010-05-17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956A KR101031304B1 (ko) 2010-05-17 2010-05-17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1304B1 true KR101031304B1 (ko) 2011-04-29

Family

ID=44050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956A KR101031304B1 (ko) 2010-05-17 2010-05-17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30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722B1 (ko) * 2013-12-24 2014-05-30 박형용 개인 맞춤형 온라인 학습 시스템
WO2014104620A1 (ko) * 2012-12-24 2014-07-03 주식회사 테라클 학습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490511B1 (ko) * 2012-12-24 2015-02-10 주식회사 테라클 학습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60065243A (ko) * 2014-11-28 2016-06-09 윤기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한국어 학습 방법
KR20160112414A (ko) * 2015-03-19 2016-09-2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의미 지식 평가 훈련 장치 및 의미 지식 평가 훈련 방법
KR101672144B1 (ko) * 2015-10-30 2016-11-03 박형용 개인 맞춤형 학습 및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54804B1 (ko) * 2017-11-17 2018-05-0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텍스트와 연관된 개체명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서비스 제공 및 학습 데이터 구축 방법
CN111967328A (zh) * 2020-07-16 2020-11-20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辅导作业的方法、智能绘本机器人和服务器
CN114625302A (zh) * 2020-12-10 2022-06-14 炬芯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做题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4625302B (zh) * 2020-12-10 2024-05-31 炬芯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做题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7532A (ko) * 2008-03-12 2009-09-16 주식회사 온비즈시스템 강사 맞춤형 온라인 문제은행 학습시스템 및 방법
KR20100014018A (ko) * 2008-08-01 2010-02-10 주식회사대교 전자학습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학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7532A (ko) * 2008-03-12 2009-09-16 주식회사 온비즈시스템 강사 맞춤형 온라인 문제은행 학습시스템 및 방법
KR20100014018A (ko) * 2008-08-01 2010-02-10 주식회사대교 전자학습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학습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620A1 (ko) * 2012-12-24 2014-07-03 주식회사 테라클 학습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490511B1 (ko) * 2012-12-24 2015-02-10 주식회사 테라클 학습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15099385A1 (ko) * 2013-12-24 2015-07-02 박형용 개인 맞춤형 온라인 학습 시스템
KR101401722B1 (ko) * 2013-12-24 2014-05-30 박형용 개인 맞춤형 온라인 학습 시스템
KR20160065243A (ko) * 2014-11-28 2016-06-09 윤기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한국어 학습 방법
KR101704679B1 (ko) 2014-11-28 2017-02-09 윤기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한국어 학습 방법
KR101706531B1 (ko) * 2015-03-19 2017-02-15 대한민국 의미 지식 평가 훈련 장치 및 의미 지식 평가 훈련 방법
KR20160112414A (ko) * 2015-03-19 2016-09-2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의미 지식 평가 훈련 장치 및 의미 지식 평가 훈련 방법
KR101672144B1 (ko) * 2015-10-30 2016-11-03 박형용 개인 맞춤형 학습 및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54804B1 (ko) * 2017-11-17 2018-05-0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텍스트와 연관된 개체명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서비스 제공 및 학습 데이터 구축 방법
CN111967328A (zh) * 2020-07-16 2020-11-20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辅导作业的方法、智能绘本机器人和服务器
CN114625302A (zh) * 2020-12-10 2022-06-14 炬芯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做题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4625302B (zh) * 2020-12-10 2024-05-31 炬芯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做题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304B1 (ko) 전자매체를 기반으로 한 범용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2104660B1 (ko) 사용자 맞춤형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inn et al. A meta-analytical review of teacher credibility and its associations with teacher behaviors and student outcomes
Mortaz Hejri et al. The utility of mini-Clinical Evaluation Exercise in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 BEME review: BEME Guide No. 59
Pell et al. How to measure the quality of the OSCE: a review of metrics–AMEE guide no. 49
Bedggood et al. University performance evaluations: what are we really measuring?
Colthart et al. The effectiveness of self-assessment on the identification of learner needs, learner activity, and impact on clinical practice: BEME Guide no. 10
Morrison et al. HESI exams: An overview of reliability and validity
US9672752B2 (en) Learning assistance server, learning assistance system, and learning assistance program
KR101058741B1 (ko) 공부 습관 검사 시스템 및 방법
Dong et al. Validity evidence for medical school OSCEs: associations with USMLE® step assessments
Suto et al. Who should mark what?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marking accuracy in a biology examination
Cumyn et al. A comprehensive process of content validation of curriculum consensus guidelines for a medical specialty
Cohen et al. Validating human and automated scoring of essays against “True” scores
MacKinnon et al. Student and educator experiences of maternal-child simulation-based learning: a systematic review of qualitative evidence
Homer et al. Conjunctive standards in OSCEs: The why and the how of number of stations passed criteria
Liang et al. Chinese doctors’ views on workplace-based assessment: trainee and supervisor perspectives of the mini-CEX
JP6276836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Zupanc et al. Variability analysis for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 in classrooms and schools in upper secondary education in Slovenia: Assessment of/for Learning Analytic Tool
Carlson et al. The impact of a diagnostic reminder system on student clinical reasoning during simulated case studies
Chang et al. Is it a match? a novel method of evaluating medical school success
Kan Ma et al. How good is good? Students and assessors’ perceptions of qualitative markers of performance
Shulruf et al. The objective borderline method: A probabilistic method for standard setting
Busari et al. Evaluating medical residents as managers of care: a critical appraisal of assessment methods
Kwon et al. Reading speed as a constraint of accuracy of self‐perception of reading sk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