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2593A -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2593A
KR20110102593A KR1020100021677A KR20100021677A KR20110102593A KR 20110102593 A KR20110102593 A KR 20110102593A KR 1020100021677 A KR1020100021677 A KR 1020100021677A KR 20100021677 A KR20100021677 A KR 20100021677A KR 20110102593 A KR20110102593 A KR 20110102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r
tilting
lens module
self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2798B1 (ko
Inventor
이열
Original Assignee
이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열 filed Critical 이열
Priority to KR1020100021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798B1/ko
Publication of KR20110102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없는 소형의 간소화된 촬상기를 거치대에 안착시키고 촬영자는 휴대 전화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휴대 단말기를 소지한 상태에서 상기 촬상기와 휴대 단말기가 통신을 통해 촬상기의 렌즈 모듈에 의해 캡처 된 화면이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어 편리하게 촬영자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영상 촬영시, 휴대 단말기에 GPS 기능을 추가하여 그 위치 정보에 따라 촬상기의 위치를 연속 제어하여 편리하게 동영상을 셀프 카메라 시스템으로 촬영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A Photographing System For Self Camera}
본 발명은 촬영자가 자신을 포함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이른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화상이 표시되는 리모콘과 리모콘에 의해 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카메라 거치대를 포함하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기 자신을 포함한 사진을 촬영하기는 용이하지 않다. 대개는 타인에게 촬영을 부탁하거나 휴대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경우 자신의 모습이 어떠한지 알지 못한 상태에서 촬영하게 된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05737호에 따르면, 리모콘을 통하여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어 촬영되게 될 자신의 모습이 디스플레이 되고 그에 따라 카메라의 촛점 거리를 리모콘을 통해 조작할 수 있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공보에 개시된 기술에 의해서도 카메라의 뷰 파인더의 높낮이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는 없으며, 이로 인해 위에서 내려다보면서 찍는 사진,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보면서 찍는 사진 또는 정면에서 수평을 맞춰 찍는 사진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기술은 리모콘을 통하여 휴대전화에 내장된 카메라 촛점 거리를 조절하므로 구현 비용이 많이 들어 가격 경쟁력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자 자신이 포함된 사진을 찍고자 할 경우, 촬영자가 리모콘으로 이용되는 휴대단말기를 통해 자신이 포함된 화면을 보면서 자유롭게 카메라의 뷰 파인더를 제어할 수 있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셀프 카메라 시스템을 가격 경쟁력 있도록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에 의해 캡처링 되는 화상을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화상 전송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제어 명령 수신부;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렌즈 모듈을 틸팅하는 렌즈 모듈 틸팅 실행부와 촬영 실행부를 구비한 촬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메모리부와 화상 디스플레이부가 없는 촬상기: 및
상기 화상 전송부로부터 송신된 화상을 수신하는 화상 수신부;
상기 화상 수신부에서 수신한 화상을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렌즈 모듈 틸팅 실행부를 제어하도록 명령하는 렌즈 모듈 틸팅 제어부와 촬영을 명령하는 촬영 제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촬상기에 명령을 송신하는 제어 명령 송신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 명령 수신부와 제어 명령 송신부는 각각 적외선 수신부와 적외선 송신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상 전송부와 화상 수신부는 블루투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촬상기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거치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렌즈 모듈 틸팅 실행부는, x-y 방향의 틸팅을 위하여,
스텝 모터;를 구비하고,
y-z 및 z-x 방향의 틸팅을 위하여,
상기 렌즈 모듈을 내장한 촬영기를 지지 및 틸팅하는 각도 조절판;
상기 각도 조절판의 중심에 대해 방사 대칭으로 배열되어 상기 각도 조절판을 지지하는 영구 자석;
상기 영구 자석과 상호 작용하는, 상기 영구 자석 아래에 이격 배치되는 전자석; 및
상기 각도 조절판의 중심을 지지하는 축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제1 볼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도 조절판의 아래에 접하는 상기 영구 자석의 상단부는 제2 볼 베어링으로 구성하고,
상기 각도 조절판의 하단부는 탄성체에 의해 틸팅부 바닥면에 지지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촬상기에 고용량 메모리 팩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와 인터넷 접속 가능한 컴퓨터를 연결하고, 상기 촬상기를 상기 디지털 카메라와 연동시켜 원격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와 촬상기를 연동하여 통신 및 기계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촬영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자가 자신을 포함한 사진을 촬영할 때,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없는 간소화된 촬상기를 거치대에 고정시키고 상기 촬상기와 통신하여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자신을 포함한 화상을 볼 수 있으므로 원하는 모습을 연출할 수 있고, 원격으로 촬상기의 렌즈 모듈의 화각을 제어할 수 있어 원하는 사진을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의 구성에서 촬상기의 구성이 간소화 되고 기존의 휴대 단말기를 리모콘으로 활용하므로 가격 면에서 경쟁력이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기 전용 고용량 메모리 팩을 추가하여 저 비용으로 고화질의 촬영이 가능하고 스마트 폰과 연동할 경우 그 앱 스토어를 이용하여 셀프 카메라 시스템을 편리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촬상기를 휴대단말기의 통신포트에 직접 연결하여 기존의 방식으로 고화질의 촬영을 할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통상의 휴대단말기에서는 두께의 제약으로 인하여 장착이 어려운 고화소의 카메라모듈을 저가에 용이하게 적용하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기와 연동하는 카메라를 컴퓨터에 연결하여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촬영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촬상기와 틸팅기의 연결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현하는 각 구성별 처리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렌즈 모듈을 x-y, y-z 및 z-x 방향으로 틸팅 하도록 하는 영구 자석과 전자석의 구성을 나타내는 절단 사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촬상기(100)와 상기 촬상기(100)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400)가 나타나 있다.
상기 촬상기(100)는 수직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는 거치대 암(200)에 틸팅기(500)와 함께 장착되며, 거치대 암(200) 하단은 삼발이(300)를 접이식으로 구비하여 휴대가 편리하면서도 장소에 관계없이 원하는 높이를 맞추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치대는 접이식으로 접을 경우 볼펜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촬상기(100)에는 화면을 캡처링 할 수 있는 렌즈 모듈(110)이 구비되어 화면을 촬영할 수 있으나 자체 기기 내에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는 구비하지 않아 프로세서 모듈을 간소화 하여 저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고 기기 자체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으며 고화질의 렌즈 모듈을 저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촬상기(100)는 휴대 전화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기기와 연동하여 상기 촬상기(100)의 렌즈 모듈(110)을 통해 캡처링 된 화상을 휴대 단말기(400)로 송신하여 촬영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400)를 통해 자신을 포함한 화상을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410)에서 편리하게 보면서 자세를 잡고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400)에는 촬상기(100)의 렌즈 모듈(110)을 틸팅 제어하여 화각을 조절할 수 있는 렌즈 모듈 제어 버튼(430)과 촬영을 명령할 수 있는 촬영 버튼(420)이 있어 촬영자는 멀리서도 화각을 조절하여 자신을 포함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도 2를 보면 상기 촬상기(100)와 틸팅기(500)를 접속 단자(140)로 접속할 수 있음이 도시되고, 거치대 암(200)의 수직 높이는 사람의 눈높이에 따라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 실행을 위한 기기 내 구성을 도 3에 블록도로 도시하였다.
촬상기(100) 내에는 촬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50), 적외선 수신부(151), 화상 전송부(152)가 있고, 촬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50)에는 렌즈 모듈 틸팅 실행부(154) 및 촬영 실행부(153)가 구비된다.
촬상기(100)의 렌즈 모듈(110)을 통해 캡처링 된 화상은 화상 전송부(152)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400)의 화상 수신부(452)에 전송되어 촬영자는 자신이 포함된 화상을 디스플레이부(410)를 통해 편리하게 볼 수 있다.
상기 화상 전송부(152)와 화상 수신부(452) 사이의 통신은 블루투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촬영자는 촬상기(100)의 렌즈 모듈을 틸팅 시켜 화각을 조절하기 위해 렌즈 모듈 제어 버튼(430)을 조작하면, 그에 따라 휴대 단말기 마이크로프로세서(450)의 렌즈 모듈 틸팅 제어부(454)에서 명령 신호를 발생시켜 적외선 송신부(451)를 통해 촬상기(100)의 적외선 수신부(151)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촬상기(100)의 적외선 수신부(151)는 휴대 단말기(400)로부터 오는 명령을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렌즈 모듈 틸팅 실행부(154)를 동작시켜 화각을 조절하게 된다. 촬상기(100)의 렌즈 모듈 틸팅 제어부(454)는 통신 포트를 통해 휴대단말기와 연결된다.
또한, 촬영자가 촬영 버튼(420)을 누르면 휴대 단말기 마이크로프로세서(450)의 촬영 제어부(453)에서 명령 신호를 발생시켜 적외선 송신부(451)를 통해 촬상기(100)의 적외선 수신부(151)로 전송하여 촬영 실행부(153)를 동작시켜 사진을 촬영한다.
사진 촬영시 필요에 따라 동작시킬 수 있는 플레쉬(130)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플래쉬는 고휘도 백색 LED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사진 촬영시 촬영 버튼(400)을 누른 후, 3 내지 5 초 후에 실질적으로 촬영 실행부(153)가 동작하도록 프로그래밍 하여 촬영자가 여유 있게 자세를 가다듬을 수 있게 할 수도 있고, 연속적으로 2 내지 3 회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래밍 할 수도 있다.
또한, 동영상 촬영의 경우 3 내지 5 초 후부터 촬영자가 설정한 시간동안 연속하여 촬영하게 할 수 있고 다색 LED의 점멸을 통하여 촬영동작의 실행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110)의 틸팅 제어를 구현하는 시스템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틸팅기(500) 내부 구성을 볼 수 있도록 하우징(510)을 일부 개방한 절단 사시도로 제시된다.
촬상기(100)를 탑재하게 되는 회전판(520)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x-y 평면상에서 360˚ 회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회전은 상기 회전판(520) 아래에 설치된 스텝 모터(59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회전판(520)을 지탱하는 상기 중심축의 하단부는 제1 볼 베어링(591)을 통해 중앙 지지대(590)와 연결된다. 상기 제1 볼 베어링(591)에 의해 y-z, z-x 방향으로의 틸팅이 가능하여 진다.
회전판(520) 바로 아래 위치하는 각도 조절판(530)의 외주면 하단은 4 개의 제2 볼 베어링(54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 볼 베어링(540)은 지지 막대에 지지되어 원통형 가이더(570) 속으로 안착된다. 상기 제2 볼 베어링(540) 지지막대 하단부에는 영구자석(560)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가이더(570) 안에는 코일로 이루어진 전자석(560)이 들어있다. 또한, 상기 제2 볼 베어링(540)은 회전판(520)의 중심에 대해 방사 대칭으로 배열된다.
또한, 각도 조절판(530)의 하단부는 탄성계수가 큰 탄성체(580)에 의해 하우징(510) 저면부에 고정 및 지지된다.
회전판(520)과 각도 조절판(5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로 제작될 수도 있고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 4의 구성에 따라 x-y, y-z, z-x 방향으로 촬상기(100)의 틸팅 제어가 실행되는 방법에 대해 후술한다.
x-y 방향으로의 틸팅은 스텝 모터(592)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y-z 및 z-x 방향으로의 틸팅 제어는 전자석(560)에 흐르는 전류의 전류 방향 및/또는 전류량 조절에 의해 실행된다. 즉, 방사상으로 배열된 전자석(560)들 중 일직선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전자석(560)에 흐르는 전류 방향을 반대로 하며, 전체적인 전자석(560)들의 전류량을 0에서 최대치까지 안배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틸팅시킨다. 틸팅 제어가 끝난 이후에는 탄성체(58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촬상기(100)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원시킨다.
y-z 및 z-x 방향의 틸팅 각도는 15˚ 내지 30˚ 로 제어하고 x-y 방향으로의 틸팅 각도는 범위를 크게 하여 180˚ 내지 360˚ 까지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촬상기의 경우, 휴대 단말기(400)에 GPS 기능을 탑재시켜, 그에 따른 위치 추적 결과에 따라 동영상 모드에서는 촬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50)가 휴대 단말기(400)의 위치 정보에 따라 촬상기(100)의 렌즈 모듈 틸팅 실행부(154)의 위치 제어를 자동 및 연속적으로 실행하도록 한다.
상기 시스템에 따라 촬영자는 자신을 포함한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을 매우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모듈(110)은 줌(zoom) 기능을 더 갖출 수도 있으며, 셔터 기능을 더 추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촬상기(100)는 전용의 대용량 메모리 팩을 장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성으로 매우 저 비용의 고용량, 고화소 및 고화질의 셀프 카메라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셀프 카메라 시스템은 스마트 폰과 연동시킬 경우 앱 스토어에 전용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촬상기(100)에 대한 전용 리모콘을 제작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리모콘에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촬상기(100)와 연동하여 리모콘으로 사용될 수 있는 휴대단말기는 카메라 기능이 있는 휴대전화기 외에도 일반 디지털 카메라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촬상기(100)는 연동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컴퓨터에 접속하여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 촬영에 응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촬상기 110: 렌즈 모듈
120: 적외선 수신기 130: 플레쉬
150: 촬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151: 적외선 수신부 152: 화상 전송부
153: 촬영 실행부 154: 렌즈 모듈 틸팅 실행부
400: 휴대 단말기 410: 디스플레이부
420: 촬영 버튼 430: 렌즈 모듈 제어 버튼
450: 휴대 단말기 451: 적외선 송신부
452: 화상 수신부 453: 촬상 제어부
454: 렌즈 모듈 틸팅 제어부 200: 거치대 암
300: 삼발이
500: 틸팅기 510: 하우징
520: 회전판 530: 각도 조절판
540: 제2 볼 베어링 550: 영구 자석
560: 전자석 580: 탄성체
590: 중앙 지지대 591: 제1 볼 베어링
592: 스텝 모터

Claims (9)

  1.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에 의해 캡처링 되는 화상을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화상 전송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제어 명령 수신부;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렌즈 모듈을 틸팅하는 렌즈 모듈 틸팅 실행부와 촬영 실행부를 구비한 촬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메모리부와 화상 디스플레이부가 없는 촬상기: 및
    상기 화상 전송부로부터 송신된 화상을 수신하는 화상 수신부;
    상기 화상 수신부에서 수신한 화상을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렌즈 모듈 틸팅 실행부를 제어하도록 명령하는 렌즈 모듈 틸팅 제어부와 촬영을 명령하는 촬영 제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촬상기에 명령을 송신하는 제어 명령 송신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수신부와 제어 명령 송신부는 각각 적외선 수신부와 적외선 송신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전송부와 화상 수신부는 블루투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기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거치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 틸팅 실행부는, x-y 방향의 틸팅을 위하여, 스텝 모터;를 구비하고,
    y-z 및 z-x 방향의 틸팅을 위하여,
    상기 렌즈 모듈을 내장한 촬영기를 지지 및 틸팅하는 각도 조절판;
    상기 각도 조절판의 중심에 대해 방사 대칭으로 배열되어 상기 각도 조절판을 지지하는 영구 자석;
    상기 영구 자석과 상호 작용하는, 상기 영구 자석 아래에 이격 배치되는 전자석; 및
    상기 각도 조절판의 중심을 지지하는 축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제1 볼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판의 아래에 접하는 상기 영구 자석의 상단부는 제2 볼 베어링으로 구성하고,
    상기 각도 조절판의 하단부는 탄성체에 의해 틸팅부 바닥면에 지지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7. 제1항의 촬상기에 고용량 메모리 팩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8. 디지털 카메라와 인터넷 접속 가능한 컴퓨터를 연결하고, 상기 촬상기를 상기 디지털 카메라와 연동시켜 원격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9. 휴대 단말기와 촬상기를 연동하여 통신 및 기계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촬영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KR1020100021677A 2010-03-11 2010-03-11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KR101082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677A KR101082798B1 (ko) 2010-03-11 2010-03-11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677A KR101082798B1 (ko) 2010-03-11 2010-03-11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593A true KR20110102593A (ko) 2011-09-19
KR101082798B1 KR101082798B1 (ko) 2011-11-11

Family

ID=44954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677A KR101082798B1 (ko) 2010-03-11 2010-03-11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7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0787A (ko) 2015-03-12 2016-09-22 그린파워전자(주) 셀카봉 리모콘
KR20160127339A (ko) 2016-10-24 2016-11-03 그린파워전자(주) 셀카봉 리모콘
WO2017189036A1 (en) * 2016-04-27 2017-11-02 Zepp Labs, Inc. Head rotation tracking device for video highlights identification
KR20180060278A (ko) * 2016-11-28 2018-06-0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지주 설치형 사진촬영모듈 운용시스템
KR20220109891A (ko) 2021-01-29 2022-08-05 우성기전(주) 전류 및 전압 측정오차 보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457B1 (ko) 2020-07-29 2021-08-02 강성모 전자 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
KR102402309B1 (ko) 2020-07-29 2022-05-25 강성모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0787A (ko) 2015-03-12 2016-09-22 그린파워전자(주) 셀카봉 리모콘
WO2017189036A1 (en) * 2016-04-27 2017-11-02 Zepp Labs, Inc. Head rotation tracking device for video highlights identification
US10097745B2 (en) 2016-04-27 2018-10-09 Zepp Labs, Inc. Head rotation tracking device for video highlights identification
KR20160127339A (ko) 2016-10-24 2016-11-03 그린파워전자(주) 셀카봉 리모콘
KR20180060278A (ko) * 2016-11-28 2018-06-0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지주 설치형 사진촬영모듈 운용시스템
KR20220109891A (ko) 2021-01-29 2022-08-05 우성기전(주) 전류 및 전압 측정오차 보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2798B1 (ko) 201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798B1 (ko)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US20150296120A1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US100449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mera operation through control device
JP5534876B2 (ja) 交換レンズ及びカメラボディ
JP2008107784A (ja) 像ブレ補正ユニット、像ブレ補正装置、撮影装置、及び携帯機器
KR101867928B1 (ko)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WO201519408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371016B2 (ja) 電子機器
JP2016063244A (ja) 撮像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方法
JP2011019094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カメラ装置、撮影方向補正方法
JP4583657B2 (ja) 携帯端末
JP2015012550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CN111373300A (zh) 一种增加拍摄画幅的拍摄系统及其控制方法
JP5126701B2 (ja) 撮像装置
JP5402075B2 (ja) カメラの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携帯型端末
JP6794150B2 (ja) データ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85457B1 (ko) 전자 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
CN217087935U (zh) 智能电话相机捕获图像的放大高分辨率实时显示设备
JP6270508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画像表示方法
US20240114232A1 (en) Photographing device and system, carrier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expansion component
JP2010124326A (ja)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撮影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による撮影方法
JP2008310168A (ja) 撮影ユニット、撮影装置および携帯機器
JP2009020476A (ja) 像ブレ補正ユニット、像ブレ補正装置、撮影装置、および携帯機器
JP201601909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118522A (ko) 휴대폰 카메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