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457B1 - 전자 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457B1
KR102285457B1 KR1020200094222A KR20200094222A KR102285457B1 KR 102285457 B1 KR102285457 B1 KR 102285457B1 KR 1020200094222 A KR1020200094222 A KR 1020200094222A KR 20200094222 A KR20200094222 A KR 20200094222A KR 102285457 B1 KR102285457 B1 KR 102285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unit
exercise
monitoring devic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모
Original Assignee
강성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모 filed Critical 강성모
Priority to KR1020200094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4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전자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전자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일면에 다수의 제어 버튼을 구비하고, 고정 대상에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를 고정시키는 몸체부, 몸체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전자장치로부터 촬영되는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또는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고정 대상이 끼워질 수 있도록 몸체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는 이동부,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서 몸체부와 이동부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부,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전자장치가 장착되는 마운트부를 기준 축을 기준으로 기 결정된 각도로 회전 또는 틸팅하는 회전부 및 회전부에 연결되서 전자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마운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Externally installable exercis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using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장치를 탈부착하여 이용할 수 있고, 외부에 설치를 할 수 있는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전에는 운동(야구, 축구, 농구 등과 같이 다수의 사람이 참여해서 플레이하는 운동) 진행 상황을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으로 촬영하기 위해서 스마트폰, 카메라, 캠코더 등의 영상장비를 사용해 왔다.
운동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촬영자가 운동 상황에 맞춰서 영상장비를 조작하고, 빠른 상황 전개가 이루어지는 운동의 경우에는 다수의 영상 장비를 다수 지점에 설치해서 운동 상황을 촬영하도록 운용해 왔다.
이렇게 작업자가 영상 장비를 파지하고 운동 진행 장면을 촬영할 경우에 많은 시간 동안 영상 촬영을 위해서 영상 장비를 오랫동안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촬영자가 직접 파지하지 않고 영상 장비를 운용할 수 있도록 스탠드형, 착용형, 핸디형, 혼합형 등의 거치 장비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으로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러한 거치 장비를 영상 장비에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에 장착 상황에 따라 운동 상황을 적절하게 포착하지 못하거나 장착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지적되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빠른 운동 전개가 이루어지는 운동 경기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운동 상황을 촬영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영상 장비 용 거치 장치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 제10-1082798호(공고일 : 2011년11월11일) 특허문헌 2 : 등록특허 제10-1916346호(공고일 : 2018년11월07일) 특허문헌 3 :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0408호(공개일 : 2016년02월03일)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서 안출된 본 발명은 손쉽게 외부에 설치할 수 있고, 전자장치를 연결하여 운동 상황에 대한 실시간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일면에 다수의 제어 버튼을 구비하고, 고정 대상에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를 고정시키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촬영되는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또는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대상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는 이동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이동부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전자장치가 장착되는 마운트부를 기준 축을 기준으로 기 결정된 각도로 회전 또는 틸팅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서 상기 전자장치를을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마운트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몸체부는, 상기 이동부와 결합되서 상기 고정 대상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부를 구성한다.
이 경우에, 상기 끼움부는, 폭이 기 결정된 제1 길이 만큼 확장되고, 기 결정된 제2 길이 만큼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확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운트부는, 상기 전자장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서, 상기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장치(예, 스마트폰)을 손쉽게 연결해서 지면, 스탠드, 벽, 기둥 등에 탈착가능하게 고정시켜서 운동 진행 상황에 대한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저장함으로써, 빠른 진행이 이루어지는 운동 경기의 진행 상황을 간편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고,
또한,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의 서버와 통신을 통해서 모니터링된 결과 자료를 편리하게 저장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의 외관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와 스마트폰을 연결하는 마운트부 및 회전부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를 사각 기둥에 설치하는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도시된 장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치수, 형태, 모양, 재질 등이 설계 변경될 수 있고, 이러한 설계 변경된 내용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의 외관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100)는 몸체부(110), 이동부(120), 조절부(130), 끼움부(140), 회전부(150) 및 마운트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10)는 일 면에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고, 다수의 버튼은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으로 기능한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버튼(예, 블루투스 실행 버튼)을 누르면 근거리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서 인접한 영역에 위치하는 다른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또는 근거리 통신 버튼은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100)와 스마트폰(200)을 무선으로 연결해주기 위해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버튼은 전원 버튼, 실행 버튼, 회전부(150)의 조절 버튼, 마운트부(160)의 조절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L'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몸체부(110)의 'L'자 안쪽 면에는 탄성 재질로 마감처리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내부에는 제어 모듈(111), 통신 모듈(112), 배터리 모듈(113), 저장 모듈(114)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15) 등의 다양한 전자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이동부(120)는 일면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촬상된 영상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장치(100)의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기능한다.
이동부(120)는 몸체부(110)의 일 영역과 맞닿아 있고, L자 형태의 몸체부(110)와 결합되서 일면이 개방된 형태의 정육각형태를 구성하여 끼움부(140)를 형성한다. 이동부(120)는 몸체부(110)로부터 기 결정된 길이(L1) 만큼 이격될 수 있고, 이동부(120)는 몸체부(110)로부터 기 결정된 길이(L1)만큼 이격될 경우에 끼움부(140)의 폭은 최대가 된다. 반대로 이동부(120)는 몸체부(110)로부터 기 결정된 길이(L2)만큼 이격될 수 있고, 이때의 이동부(120)와 몸체부(110) 사이의 이격 길이(L2)는 수 밀리미터(1mm~2mm)이하이고, 이동부(120)와 몸체부(110)에 의해서 형성되는 끼움부(140)의 폭은 최소가 된다.
조절부(130)는 몸체부(110)의 일면에서 몸체부(1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이동부(120)까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조절부(130)는 손잡이 부재를 회전시켜서 몸체부(110)로부터 이동부(120)를 이격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130)는 손잡이 부재와 연결된 전환 부재 및 이송 부재로 구성된다. 사용자에 의해서 손잡이 부재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환 부재에 의해서 힘의 방향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선 운동에 의해서 이송 부재는 이동부(120)를 몸체부(110)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사용자에 의해서 손잡이 부재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환 부재에 의해서 힘의 방향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선 운동에 의해서 이송 부재는 이동부(120)를 몸체부(110)쪽으로 가까워지게 한다.
끼움부(140)는 몸체부(110)와 이동부(120)에 결합에 의해서 형성되고, 고정 대상(포스트, 기둥, 거치대, 물건의 모서리 등)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장치(100)를 고정 대상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조절부(130)를 회전시킴으로써, 끼움부(140)의 폭은 조절되고, 최대 폭(W1)과 최소 폭(W2) 사이의 차이(ΔW)는 몸체부(110)의 가로 폭과 같거나 작은 크기로 설계될 수 있다.
끼움부(140)의 안쪽면에는 고무 재질의 탄성 재료를 코팅함으로써, 고정 대상에 가해지는 손상을 감소시켜 준다.
회전부(150)는 몸체부(110)의 상부 일 영역에 구성된다. 회전부(150)는 마운트부(160)와 연결되서 마운트부(160)를 제1축(X축), 제2 축(Y), 제3축(Z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 또는 틸팅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 운동 및 틸팅 운동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또한, 회전부(150)는 몸체부(110)로부터 Z축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부(150)는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안쪽이 비어있는 원통형의 로드(rod)로 구성된 길이 연장 부재를 포함하고, 길이 연장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접거나 펼쳐서 회전부(150)를 몸체부(110)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마운트부(160)는 스마트폰(200)이 장착되서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기능한다. 마운트부(160)는 스마트폰(200)의 입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출력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이러한 마운트부(16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마운트부(160)늬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몸체부(11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마운트부(160)는 스마트폰의 기종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스마트폰 이외에 태블릿, 카메라, 캠코더 등이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몸체부(110)는 내부에 제어모듈(111), 배터리 모듈(112), 저장모듈(113), 통신모듈(114), 입출력 인터페이스(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조절부(130)에 의해서 이동부(120)와의 거리를 조절한다. 또한, 몸체부(110)는 회전부(150)에 의해서 마운트부(160)를 제1축(X축), 제2축(Y축), 제3축(Z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거나 틸팅시킬 수 있다. 이동부(12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드라이버를 내장하거나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이동부(120)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몸체부(110)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운트부(160)는 거치대의 일 영역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몸체부(110)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와 스마트폰을 연결하는 마운트부 및 회전부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조절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몸체부(110)와 이동부(120) 사이의 거리가 최대 거리(W)로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끼움부(140)의 폭은 최대가 된다.
회전부(150)는 연장 부재(151)을 Z축 방향으로 연장시킴으로써, 몸체부(110)로부터 소정의 높이(H)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연장 부재(151)는 안쪽이 비어있는 다수의 원통형 막대기(rod)를 펼침으로써 Z축 방향으로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회전부(150)는 Z축을 기준으로 하여 360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R_1). 또는 회전부(150)는 X축 또는 Y축을 기준으로 하여 360도 방향을 회전할 수 있다(R_2).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를 사각 기둥에 설치하는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조절부(130)를 회전시켜서 끼움부(140)의 폭을 최대로 넓힌 상태에서 고정 대상(300)에 끼우고, 조절부(1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끼움부(140)의 폭을 고정 대상(300)에 맞춰서 줄여준다. 이때, 끼움부(140)의 폭은 몸체부(110)의 가로폭의 2배까지 확장될 수 있고, 끼움부(140)의 안쪽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고정 대상(300)의 형태와는 상관없이 장치(100)를 고정 대상(30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이내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
110 : 몸체부
120 : 이동부
130 : 조절부
140 : 끼움부
150 : 회전부
160 : 마운트부
200 : 스마트폰
300 : 고정 대상

Claims (5)

  1. 전자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일면에 다수의 제어 버튼을 구비하고, 고정 대상에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를 고정시키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촬영되는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또는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대상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는 이동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이동부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전자장치가 장착되는 마운트부를 기준 축을 기준으로 기 결정된 각도로 회전 또는 틸팅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서 상기 전자장치를을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마운트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이동부와 결합되서 상기 고정 대상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폭이 기 결정된 제1 길이 만큼 확장되고, 기 결정된 제2 길이 만큼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확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는, 상기 전자장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서, 상기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
KR1020200094222A 2020-07-29 2020-07-29 전자 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 KR102285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222A KR102285457B1 (ko) 2020-07-29 2020-07-29 전자 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222A KR102285457B1 (ko) 2020-07-29 2020-07-29 전자 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5457B1 true KR102285457B1 (ko) 2021-08-02

Family

ID=7731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222A KR102285457B1 (ko) 2020-07-29 2020-07-29 전자 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45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798B1 (ko) 2010-03-11 2011-11-11 이열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KR20160000408U (ko) 2014-07-25 2016-02-03 허홍 받침대를 구비한 카메라 자가 촬영용 접이식 스틱 구조
KR200479777Y1 (ko) * 2014-11-17 2016-03-07 김주홍 셀프 촬영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775871B1 (ko) * 2017-03-29 2017-09-06 고영화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KR101809229B1 (ko) * 2017-08-22 2017-12-14 (주)해강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서 인접건축물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는 장치
KR101906664B1 (ko) * 2016-04-25 2018-10-10 김태우 휴대용 스틱 카메라
KR101916346B1 (ko) 2018-06-26 2018-11-07 변상만 회전 및 접이형 카메라 폴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798B1 (ko) 2010-03-11 2011-11-11 이열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KR20160000408U (ko) 2014-07-25 2016-02-03 허홍 받침대를 구비한 카메라 자가 촬영용 접이식 스틱 구조
KR200479777Y1 (ko) * 2014-11-17 2016-03-07 김주홍 셀프 촬영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906664B1 (ko) * 2016-04-25 2018-10-10 김태우 휴대용 스틱 카메라
KR101775871B1 (ko) * 2017-03-29 2017-09-06 고영화 카메라용 촬영 보조장치
KR101809229B1 (ko) * 2017-08-22 2017-12-14 (주)해강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서 인접건축물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는 장치
KR101916346B1 (ko) 2018-06-26 2018-11-07 변상만 회전 및 접이형 카메라 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64369B (zh) 云台操作装置、相机系统及云台操作方法
US10021286B2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photographic and video imaging and recording and system utilizing the same
US11962896B2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photographic and video imaging and recording and system utilizing the same
US20090003822A1 (en) Hand-held photographic support system
JP6205070B2 (ja) カメラの初期位置設定方法、カメラ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5126176B2 (ja) 撮像部駆動装置、回転角度制御方法、撮像装置、プログラム、撮像システム
WO2017096217A1 (en) Interactive digital camera for live crop editing and recording of video streams
JPWO2015098418A1 (ja) 撮像装置及びタイムラプス撮像方法
TWM546639U (zh) 環景影像捕捉裝置
KR101082798B1 (ko)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CN105791652A (zh) 一种稳定可控的拍摄设备
US104623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050128347A1 (en) Tripod of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KR102285457B1 (ko) 전자 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
KR2014013627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ptz 감시 장치 및 감시 시스템
KR101650413B1 (ko) 스마트폰 연동 씨씨티브이 카메라 시스템
CN206922887U (zh) 拍摄装置
KR20170129557A (ko) 휴대용 촬영 장치 및 시스템
JP3174361U (ja) 無線撮像装置
CN205726025U (zh) 一种稳定可控的拍摄设备
US20240114232A1 (en) Photographing device and system, carrier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expansion component
CN216905024U (zh) 一种双摄布控球
JP2013114113A (ja) 撮像機器
KR101847746B1 (ko) 액션캠을 활용한 360도 촬영시스템
KR100682462B1 (ko) 촬영조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