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664B1 - 휴대용 스틱 카메라 - Google Patents

휴대용 스틱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664B1
KR101906664B1 KR1020160050280A KR20160050280A KR101906664B1 KR 101906664 B1 KR101906664 B1 KR 101906664B1 KR 1020160050280 A KR1020160050280 A KR 1020160050280A KR 20160050280 A KR20160050280 A KR 20160050280A KR 101906664 B1 KR101906664 B1 KR 101906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unit
power supply
display unit
protec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594A (ko
Inventor
이창원
Original Assignee
김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우 filed Critical 김태우
Priority to KR1020160050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664B1/ko
Publication of KR20170121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1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 F16M11/123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the axis of rotation intersecting in a single point, e.g. by using gimb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3Camera grips, hand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 G03B2215/0517Housing
    • G03B2215/0546Housing modula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7Details of energy supply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길이방향 일단이 카메라모듈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한 가압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러지면서 카메라모듈의 촬영각도를 변경할 수 있게 지지하는 방향조절부, 길이방향 일단은 방향조절부의 길이방향 타단에 연결 설치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길이조절부, 길이조절부의 길이방향 타단에 결합 설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게 하는 손잡이부,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신호를 전달받아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카메라모듈과 디스플레이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일측이 개방된 통 구조를 가지며 손잡이부에 삽입 배치되는 보호덮개, 손잡이부 내측 및 보호덮개 내측에 삽입 설치되며, 카메라모듈 및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손잡이부에 설치되며, 카메라모듈과 디스플레이부 및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카메라모듈 및 디스플레이부의 온오프 제어 및 카메라모듈을 통한 촬영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절버튼과,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스틱 카메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스틱 카메라{Stick type self camera}
본 발명은 촬영자가 스스로 피사체가 되어 자기 자신이나 자신이 포함된 복수의 사물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휴대용 스틱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거리에서 스마트폰이나 카메라 등과 같은 촬영장치로 배경이 많이 나오는 자신 혹은 자신이 포함된 많은 사람의 얼굴이나 전신, 자연풍경을 함께 촬영하기 위해서는 삼각대와 같은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타이머조작 후 원위치로 돌아온 후 촬영되게 하거나, 촬영장치를 긴 스틱이나 폴 끝에 탈부착되게 연결한 후 스스로를 촬영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촬영장치를 삼각대와 같은 보조장치에 연결한 후 타이머 조작을 통해 촬영할 경우, 촬영이 이루어진 후 바로 영상을 확인하기 어려워 촬영상태를 바로 볼 수 없게 되는 바, 정확한 영상촬영 확인이 용이하지 못하게 된다.
반면, 촬영장치를 긴 스틱이나 폴 끝에 탈부착되게 연결한 후 촬영할 경우, 촬영장치의 무게에 따른 장시간 촬영이 어려움과 함께 촬영장치 자체의 돌출되는 각진 모서리 부분에 의해 주위의 사람을 가격하여 부상을 입힐 수 있는 문제점과 더불어, 촬영장치의 불균형에 따른 촬영장치가 이탈하면서 바닥에 추락하며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선출원된 촬영장치를 통해 자가 촬영을 가능하도록 연결 지지하는 장치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04086호(2015.03.13),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137522호(2013.12.17)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자가 촬영을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휴대용 스틱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촬영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카메라모듈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한 가압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러지면서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각도를 변경할 수 있게 지지하는 방향조절부,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방향조절부의 길이방향 타단에 연결 설치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길이조절부, 상기 길이조절부의 길이방향 타단에 결합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게 하는 손잡이부,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신호를 전달받아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카메라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일측이 개방된 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배치되는 보호덮개, 상기 손잡이부 내측 및 상기 보호덮개 내측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온오프 제어 및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한 촬영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절버튼과,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스틱 카메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방향조절부는, 자바라 구조를 가지는 바 부재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조절부는, 플렉시블한 와이어 부재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의 렌즈 부위에 대응되는 상기 보호덮개의 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상기 보호덮개의 면부는 투명창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게 되는 복수개의 발광부재로 구성된 경광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발광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덮개에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입력되는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조절부의 길이방향 일단에 결합 설치된 상태로 구동축은 상기 카메라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카메라모듈을 회전되게 하는 카메라회전모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회전모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손잡이부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제1전원공급수단, 상기 보호덮개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제2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보호덮개에는 상호 대응되게 체결되는 숫커넥터 및 암커넥터가 구비되어, 상기 숫커넥터와 상기 암커넥터의 체결에 의해 상기 제2전원공급수단의 전원이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외부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되게 하는 데이터출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틱 카메라는, 촬영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이 방향조절부 및 길이조절부에 의해 상하, 전후, 좌우로의 자유로운 위치변경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어부를 통해 카메라모듈을 통한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더불어, 보호덮개가 카메라모듈 및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도록 외측에 삽입 설치한 상태에서도 자가 촬영 및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확인이 가능해지는 바, 자가 촬영을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틱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길이조절부를 펼침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틱 카메라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틱 카메라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길이조절부를 펼침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휴대용 스틱 카메라는, 카메라모듈(100), 방향조절부(200), 길이조절부(300), 손잡이부(400), 디스플레이부(500), 보호덮개(600), 전원공급부(700), 제어부(8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100)은 촬영대상을 촬영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카메라모듈(100)에는 렌즈(110)를 통해 입사된 화상을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등의 화상촬영부(도면미도시)를 내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상촬영부는 수동포커스 기능과 자동 포커스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포커스 조절수단(도면미도시)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포커스조절수단의 제어는 이후 설명될 제어부(80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제어부(800)의 조절버튼(810)을 통해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모듈(100)은 이후 설명될 디스플레이부(500)와 전원공급부(700) 및 제어부(800)와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원공급부(70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제어부(800)의 조절버튼(810)을 통해 작동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전면 일측에는 근접촬영용 접사렌즈, 장촛점렌즈, 단촛점렌즈, 줌렌즈, 마이크로렌즈 등과 같은 다양한 보조렌즈(도면미도시)를 선택적으로 추가 설치할 수 있도록 원형의 렌즈보스(120)가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보스(120)에는 상기 보조렌즈를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전면에는 이후 설명될 전원공급부(7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면서,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서의 촬영이 가능하게 하는 발광조명(13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조명(130)은 LED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방향조절부(200)는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촬영각도를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연결 지지하는 연결부재이다. 즉, 상기 방향조절부(200)는 사용자에 의한 가압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러지면서 상기 카메라모듈(100)에 의한 촬영방향이 변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100)를 연결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방향조절부(200)의 상단, 즉 상기 방향조절부(2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일측에 연결 결합되고, 상기 방향조절부(200)의 하단, 즉 상기 방향조절부(2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이후 설명될 길이조절부(300)의 상단에 연결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방향조절부(200)는 자바라 구조를 가지는 바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플렉시블한 와이어 부재 또는 플렉시블한 관 부재 내측에 플렉시블한 금속와이어를 내장한 구조를 선택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방향조절부(200)의 상단은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상기 방향조절부(200)의 상단에서 회전시키면서 방향을 조절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예로써,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방향조절부(200)의 상단, 즉 상기 방향조절부(200)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회전 구동되게 하는 카메라회전모터(210)를 추가로 연결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카메라회전모터(210)의 구동축은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일측에 연결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회전모터(210)의 구동에 의한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대응되게 회전하면서 위치를 변경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회전모터(210)는 이후 설명될 제어부(800)의 조절버튼(810)을 통해 온(On)/오프(OFF) 제어 및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카메라회전모터(210)는 상기 카메라모듈(100)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센서(220)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센서(220)로부터 감지되는 촬영대상의 위치에 따른 각각의 신호를 입력받아 촬영대상의 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센서(220)가 제어부(800)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센서(220)로부터 제어부(800)로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상기 카메라회전모터(210)의 회전 구동방향을 조절하면서,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길이조절부(300)는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되게 하는 연결부재이다. 즉, 상기 길이조절부(300)는 상기 사용자의 당김 또는 밀림 동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수직방향 높이를 연장 또는 축소 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같은, 상기 길이조절부(300)의 상단은 상기 방향조절부(200)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길이조절부(300)의 하단은 이후 설명될 손잡이부(40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부(30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복수의 중공관(310)이 상호 삽입 배치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결합된 텔레스코픽 구조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구조를 선택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300)에는 이후 설명될 전원공급부(7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게 되는 경광수단(32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경광수단(320)은 상기 길이조절부(300)의 길이방향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발광부재(321)로 구성되며, 상기 발광부재(321)의 발광 제어는 제어부(800)의 조절버트(81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같은, 상기 경광수단(320)은 상기 길이조절부(300)를 길게 펼친 상태에서 발광시, 안전봉 기능을 가지게 한다.
상기 손잡이부(400)는 상기 길이조절부(300)의 하단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파지를 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손잡이부(400)는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원형 단면을 가지는 봉 형상을 가지며, 내측에는 이후 설명될 제어부(800)와 전원공급부(7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손잡이부(400)의 상단은 상기 길이조절부(300)의 하단에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4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사용자의 파지감을 높일 수 있도록 요철이 형성되거나, 고무 또는 연성을 가지는 커버부재가 결합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400)의 하단에는 지면에 수직상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손잡이부(400)를 지지하는 보조받침부(도면미도시)를 결합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보조받침부는 상기 지면이 금속일 경우, 자력을 통해 고정상태로 부착되면서 상기 손잡이부(400)를 수직상태로 지지하는 자력부재나 상기 지면에 흡착상태로 부착되는 흡착거치대 또는, 상기 지면 상에 수직하게 안정적으로 안착 배치되게 하는 삼각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받침부의 상단은 상기 손잡이부(400)의 하단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착탈 가능한 다양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카메라모듈(100)에서 촬영된 신호를 전달받아 영상을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가 촬영 영상을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출력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카메라모듈(100) 및 이후 설명될 전원공급부(700) 및 제어부(800)와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전원공급부(700)에서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제어부(80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100)에서 촬영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길이조절부(3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510)로써 연결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손잡이부(400) 일측이나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렌즈보스(120)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방향조절부(200)와 상기 길이조절부(300)를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위치를 변경시킨 상태에서도 상기 사용자가 출력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길이조절부(300)의 일측이나 상기 손잡이부(400) 일측 또는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렌즈보스(120)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호덮개(600)는 상기 카메라모듈(100)과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를 보호하는 부재이다. 즉, 상기 보호덮개(600)는 상기 카메라모듈(100)과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외측을 감싸도록 일측이 개방된 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부(400)에 삽입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덮개(600)에는 상기 카메라모듈(100)과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를 감싸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통한 촬영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촬영 영상의 출력을 통한 사용자의 인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렌즈(110) 부위에 대응되는 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에 대응되는 면부를 투명창(610)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덮개(600) 내측에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음원신호를 출력시키는 스피커(620)를 설치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스피커(620)는 외부의 음원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나 이후 설명될 제어부(800)와 유선, 또는 블루투스나 적외선통신과 같은 무선을 통해 연결되어, 음원신호를 전달받은 후 출력되게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스피커(620)에서는 치안을 위협하는 긴급 상황시, 상기 제어부(800)의 조절버튼(810)들 중 비상버튼을 누를 경우, 알람소리를 출력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620)는 전원공급부(700)의 상기 보호덮개(600)에 설치되는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의 음원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나 이후 설명될 제어부(800)와 유선, 또는 블루투스나 적외선통신과 같은 무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700)는 상기 카메라모듈(10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즉, 상기 전원공급부(700)는 상기 손잡이부(4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전원공급수단(701) 및 상기 보호덮개(600)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제2전원공급수단(702)을 구비한다. 상기 제1전원공급수단(701) 및 상기 제2전원공급수단(702)은 이후 설명될 제어부(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800)의 제어 동작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10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700)의 제1전원공급수단(701) 및 제2전원공급수단(702)은 충전식배터리로, 상기 손잡이부(400) 내측 및 상기 보호덮개(600) 내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700)는 상기 방향조절부(200)의 카메라회전모터(210)와 상기 길이조절부(300)에 구비되는 발광부재(321) 및 상기 보호덮개(600)에 구비된 스피커(620)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회전모터(210)와 상기 발광부재(321) 및 상기 스피커(6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원공급부(700)에는 USB선이나 전원선과 같은 유선연결을 통해 다른 휴대용 전자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외부로 전원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할 수 있도록 커넥터(도면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700) 중에서 상기 보호덮개(600) 내측에 구비되는 제2전원공급수단(702)은 상기 보호덮개(600)를 상기 카메라모듈(100)과 상기 방향조절부(200) 및 상기 길이조절부(300)를 감싸도록 외측에 삽입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400)의 상단과 접하게 되는 단부에 숫커넥터(도면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숫커넥터는 상기 손잡이부(400)의 상단에 구비된 상태로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암커넥터(도면미도시)와 체결되면서 상기 보호덮개(600)에 구비되는 상기 제2전원공급수단(702)의 전원이 제어부(800)를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10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로 공급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보호덮개(600)의 숫커넥터와 상기 손잡이부(400)의 암커넥터의 체결을 통해 상기 보호덮개(600)에 구비된 상기 제2전원공급수단(702)의 전원이 제어부(800)를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10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로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전원공급수단(702)에서 제어부(800)로 전달되는 전원은 상기 제1전원공급수단(701)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1전원공급수단(701)을 충전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모듈(10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의 온오프 제어 및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통한 촬영 조작을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상기 카메라모듈(100)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저장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전원공급부(700)를 통한 상기 카메라모듈(10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로의 전원공급 여부를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카메라모듈(100)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한 출력여부 제어, 및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통한 영상 촬영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손잡이부(400) 내측에 결합 설치하며, 상기 카메라모듈(10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및 상기 전원공급부(700)와 케이블이나 커넥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를 수직방향으로 회전 배치시킬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통해 수직모드로 촬영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 배치시킬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통해 수평모드로 촬영되도록 제어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카메라모듈(10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의 온오프 제어 및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통한 촬영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조절버튼(810)이 구비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통한 촬영된 후 저장된 영상신호의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출력여부를 제어하는 버튼이나 저장된 영상신호를 외부로 전달되게 하는 버튼 외에 제어하고자 하는 구성에 따라 다양한 버튼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발광조명(130) 및 상기 길이조절부(300)의 경광수단(320)의 발광여부를 제어하는 버튼, 상기 방향조절부(200)의 카메라회전모터(210) 작동 제어, 상기 보호덮개(600)에 구비되는 스피커(620)의 작동 제어를 위한 각각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8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820)는 상기 제어부(800)에 고정되게 연결 설치되는 내장메모리부(도면미도시)와, 상기 제어부(800)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연결 설치되는 외장메모리부(도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00)에는, 상기 카메라모듈(1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데이터출력부(83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출력부(830)는 상기 메모리(820)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외부로 USB케이블과 같은 유선 커넥터를 통해 외부 전자기기로 전달되게 하거나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또는 적외선통신과 같은 무선을 통해 외부에 별도를 배치되는 전자기기로 전달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의 상기 휴대용 스틱 카메라는, 촬영대상을 촬영하는 상기 카메라모듈(100)이 상기 방향조절부(200) 및 상기 길이조절부(300)에 의해 상하, 전후, 좌우로의 자유로운 위치변경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4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800)를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100)을 통한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더불어, 상기 보호덮개(600)가 상기 카메라모듈(10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를 보호하도록 외측에 삽입 설치한 상태에서도 자가 촬영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한 확인이 가능해지는 바, 자가 촬영을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카메라모듈 110: 렌즈
120: 렌즈보스 130: 발광조명
200: 방향조절부 210: 카메라회전모터
220: 회전센서 300: 길이조절부
400: 손잡이부 500: 디스플레이부
600: 보호덮개 610: 투명창
620: 스피커 700: 전원공급부
800: 제어부 810: 조절버튼
820: 메모리 830: 데이터출력부

Claims (9)

  1. 촬영대상을 촬영하며, 전면에는 보조렌즈를 설치할 수 있도록 원형의 렌즈보스가 형성된 카메라모듈과;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카메라모듈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한 가압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러지면서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각도를 변경할 수 있게 지지하는 방향조절부와;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방향조절부의 길이방향 타단에 연결 설치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길이조절부와;
    상기 길이조절부의 길이방향 타단에 결합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게 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신호를 전달받아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카메라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일측이 개방된 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 배치되는 보호덮개와;
    상기 손잡이부 내측 및 상기 보호덮개 내측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온오프 제어 및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한 촬영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절버튼과,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길이조절부를 길게 펼친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복수개의 발광부재로 구성된 경광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발광 여부가 제어되고,
    상기 방향조절부의 길이방향 일단에 결합 설치된 상태로 구동축은 상기 카메라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카메라모듈을 회전되게 하는 카메라회전모터와, 상기 카메라모듈 일측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회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촬영대상의 위치에 따른 각각의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서 입력받은 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카메라회전모터의 회전 구동방향을 조절하면서, 촬영대상의 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카메라모듈의 방향을 조절되게 하는 휴대용 스틱 카메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부는, 자바라 구조를 가지는 바 부재 인 휴대용 스틱 카메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부는, 플렉시블한 와이어 부재 인 휴대용 스틱 카메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의 렌즈 부위에 대응되는 상기 보호덮개의 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상기 보호덮개의 면부는 투명창이 형성된 휴대용 스틱 카메라.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에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입력되는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구비하는 휴대용 스틱 카메라.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손잡이부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제1전원공급수단과,
    상기 보호덮개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제2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보호덮개에는 상호 대응되게 체결되는 숫커넥터 및 암커넥터가 구비되어, 상기 숫커넥터와 상기 암커넥터의 체결에 의해 상기 제2전원공급수단의 전원이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공급되는 휴대용 스틱 카메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외부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되게 하는 데이터출력부를 더 구비하는 휴대용 스틱 카메라.




KR1020160050280A 2016-04-25 2016-04-25 휴대용 스틱 카메라 KR101906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280A KR101906664B1 (ko) 2016-04-25 2016-04-25 휴대용 스틱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280A KR101906664B1 (ko) 2016-04-25 2016-04-25 휴대용 스틱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594A KR20170121594A (ko) 2017-11-02
KR101906664B1 true KR101906664B1 (ko) 2018-10-10

Family

ID=60383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280A KR101906664B1 (ko) 2016-04-25 2016-04-25 휴대용 스틱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6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457B1 (ko) * 2020-07-29 2021-08-02 강성모 전자 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607B1 (ko) * 2018-08-29 2019-04-02 고운택 자유회전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915B1 (ko) 2013-03-25 2014-06-09 한국도로공사 구조물 점검용 카메라 장착장치 및 이를 갖는 구조물 점검시스템
US20160091779A1 (en) 2014-09-26 2016-03-31 Edispin Inc. Dynamic rotation monopod
JP2016057602A (ja) 2014-09-10 2016-04-21 清水建設株式会社 撮影器具及びパノラマ撮影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915B1 (ko) 2013-03-25 2014-06-09 한국도로공사 구조물 점검용 카메라 장착장치 및 이를 갖는 구조물 점검시스템
JP2016057602A (ja) 2014-09-10 2016-04-21 清水建設株式会社 撮影器具及びパノラマ撮影装置
US20160091779A1 (en) 2014-09-26 2016-03-31 Edispin Inc. Dynamic rotation monop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457B1 (ko) * 2020-07-29 2021-08-02 강성모 전자 장치를 이용한 외부 설치가능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594A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03822A1 (en) Hand-held photographic support system
KR200475741Y1 (ko) 셀카 스틱
KR101906664B1 (ko) 휴대용 스틱 카메라
US20160202598A1 (en) Omniview Camera Tower System
WO2013157224A1 (ja) ストロボ装置の照射方向角度調整方法ならびにストロボ装置およびストロボ装置を備えた撮像装置
KR20110061962A (ko) 촬상장치, 촬상장치용 발광장치 및 촬상장치 제어방법
US20170003574A1 (en) Systems and devices for modular portable lighting
US20090309964A1 (en) Portable viewing device
CN108965672A (zh) 辅助摄像装置及其制造方法
KR20050059578A (ko) 영상신호 촬상장치의 받침대
WO2013161250A1 (ja) ストロボ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撮像装置
JP2008288920A (ja) ビューファインダーおよび撮像装置
KR101855790B1 (ko) 전방위 카메라용 제어 워치
KR101907895B1 (ko) 셀프 촬영용 스틱
JP2003338950A (ja) 撮像装置受け台装置
KR20100117269A (ko) 휴대형 전자 검이경
CN106331437B (zh) 摄像装置
KR20170027363A (ko) 막대형 자가 촬영장치
JP2011223310A (ja) 撮像装置
JP2008191419A (ja) 水中撮影機器
WO2020034996A1 (zh) 用于移动电子设备的辅助摄像装置及其组装方法
GB2240445A (en) Video camera including detachable view-finder
KR102154710B1 (ko) 원격 제어 가능한 트라이포드
KR200338937Y1 (ko) 카메라 조정장치
ES1201535U (es) Mango extensible con cámara y trípode incorpora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