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309B1 -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309B1
KR102402309B1 KR1020200094231A KR20200094231A KR102402309B1 KR 102402309 B1 KR102402309 B1 KR 102402309B1 KR 1020200094231 A KR1020200094231 A KR 1020200094231A KR 20200094231 A KR20200094231 A KR 20200094231A KR 102402309 B1 KR102402309 B1 KR 102402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image
rotating
unit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530A (ko
Inventor
강성모
Original Assignee
강성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모 filed Critical 강성모
Priority to KR1020200094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309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는 카메라 모듈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거치한 상태에서 운동 경기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고정 대상에 설치되는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고,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제1 파트와 제2 파트로 분리되서 고정 대상에 맞물리도록 기 결정된 범위에서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몸체부,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서 몸체부의 제1 파트와 제2 파트 사이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부,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전자 장치가 장착되는 마운트부를 기 결정된 각도로 회전 또는 틸팅시킬 수 있는 회전부, 및 회전부에 연결되서 전자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마운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Athletic video recording equipment and sports video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팀 플레이 경기에 대한 영상 촬영, 편집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경기 영상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야구, 축구, 농구 등과 같은 팀 플레이 운동 종목은 프로 선수들이 활동하는 프로 무대 이외에 아마추어 무대에 참여하는 아마추어 선수들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축구(풋살) 무대에는 많은 동호회, 아마추어 팀들이 참여하여 활동하고 있다. 축구(풋살) 이외에도 야구, 농구, 족구 등 다양한 아마추어 스포츠 산업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아마추어 무대는 프로 무대와 달리 경기 영상을 촬영한 뒤, 촬영된 영상에 기초해서 자기 팀의 경기 내용을 분석하는 기본적인 작업이 어렵고, 특히 다른 팀의 경기 내용을 참고하여 경기력을 분석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팀 스포츠의 경우에 빠른 경기 흐름과 다양한 선수들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경기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촬영자에게 높은 숙련도를 요구한다. 전문적인 촬영자의 경우에는 아마추어 경기를 촬영하거나 할 경우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일정을 맞추기도 매우 어렵다. 아마추어 스포츠 경기의 경우에는 대부분 구성원의 회비에 의존해서 팀을 운영하고 있으므로, 자신들의 경기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전문 촬영팀을 섭외해서 활용하기 어려운게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다양한 아마추어 팀은 경쟁팀의 영상을 볼 수 있는 기회가거의 없고, 아마추어 팀 간에 영상을 공유하면서 비슷한 수준이나 더 나은 수준 또는 못미치는 수준의 팀과의 경기를 사전에 파악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없으므로 아마추어 리그의 경기력과 개별 팀의 전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반면, 정적인 스포츠(골프, 테니스 등)의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촬영이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동적인 스포츠(축구, 야구, 농구 등)의 경우에는 다수의 촬영 장비를 복합한 시스템으로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동적인 팀 스포츠에서 자신 팀의 경기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공유할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시스템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 제10-1726817호(공고일 : 2017년04월13일) 특허문헌 2 : 등록특허 제10-1976354호(공고일 : 2019년05월08일) 특허문헌 3 : 등록특허 제10-1684461호(공고일 : 2016년12월09일) 특허문헌 4 : 등록특허 제10-1082798호(공고일 : 2011년11월11일) 특허문헌 5 : 등록특허 제10-1916346호(공고일 : 2018년11월07일) 특허문헌 6 :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0408호(공개일 : 2016년02월03일)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서 안출된 본 발명은 간편하게 외부에 설치해서, 전자장치를 연동시켜서 운동 상황에 대한 실시간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영상을 원격 서버로 업로드하여 공유 및 관리할 수 있는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거치한 상태에서 운동 경기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고정 대상에 설치되는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제1 파트와 제2 파트로 분리되서 상기 고정 대상에 맞물리도록 기 결정된 범위에서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서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 사이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전자장치가 장착되는 마운트부를 기 결정된 각도로 회전 또는 틸팅시킬 수 있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서 상기 전자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마운트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파트의 내부에 제어 모듈, 저장 모듈, 통신 모듈 및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2 파트의 내부에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서 촬영되는 경기 영상 또는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다.
한편, 상기 회전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확장할 수 있는 연장 부재, 상기 마운트부를 특정 방향을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연장 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부재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전자장치에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발생되는 물체 추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동력 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연장 부재 또는 상기 회전 부재를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전자장치의 지향 방향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은 카메라 모듈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를 거치한 상태에서 운동 경기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고정 대상에 설치되는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 및 운동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로부터 수신된 해당 경기 영상을 저장하고, 관리하고 공유하는 영상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제1 파트와 제2 파트로 분리되서 상기 고정 대상에 맞물리도록 기 결정된 범위에서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서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 사이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장착되는 마운트부를 기 결정된 각도로 회전 또는 틸팅시킬 수 있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서 상기 전자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마운트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파트의 내부에 제어 모듈, 저장 모듈, 통신 모듈 및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의 내부에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서 촬영되는 경기 영상 또는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회전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확장할 수 있는 연장 부재, 상기 마운트부를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연장 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에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발생되는 물체 추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동력 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연장 부재 또는 상기 회전 부재를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전자장치의 지향 방향을 조절한다.
이 경우에, 상기 영상 관리 서버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중인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 영상을 제1팀을 위한 영상 또는 제2팀을 위한 영상으로 개별적으로 편집하고, 개별 편집된 팀 영상을 해당 사용자의 계정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영상 관리 서버는, 촬영 대상인 경기가 공식 경기로 설정된 경우에는 해당 경기의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팀의 랭킹을 산정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장치(예, 스마트폰)을 손쉽게 연결해서 지면, 스탠드, 벽, 기둥 등에 탈착가능하게 고정시켜서 운동 진행 상황에 대한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저장하고, 빠른 진행이 이루어지는 운동 경기의 진행 상황을 분석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고,
또한,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의 서버와 통신을 통해서 모니터링된 결과 자료를 편리하게 저장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의 외관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의 마운트부 및 회전부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를 사각 기둥에 설치하는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 화면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팀 관리 화면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팀 매치 스케줄 화면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팀 순위 화면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도시된 장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치수, 형태, 모양, 재질 등이 설계 변경될 수 있고, 이러한 설계 변경된 내용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의 외관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100)는 몸체부(110)의 제1 파트(110-1), 몸체부의 제2 파트(110-2), 조절부(120), 회전부(130) 및 마운트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10)는 제1 파트(110-1)의 일 면에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고, 다수의 버튼은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으로 기능한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버튼(예, 블루투스 실행 버튼)을 누르면 근거리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서 인접한 영역에 위치하는 다른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또는 근거리 통신 버튼은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100)와 스마트폰(200)을 무선으로 연결해주기 위해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버튼은 전원 버튼, 실행 버튼, 회전부(130)의 조절 버튼, 마운트부(140)의 조절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제1 파트(110-1)는 'L'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몸체부(110)의 제1 파트(110-1)의 'L'자 안쪽 면에는 탄성 재질로 마감처리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제1 파트(110-1)의 내부에는 제어 모듈(111), 통신 모듈(112), 배터리 모듈(113), 저장 모듈(114)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15) 등의 다양한 전자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제2 파트(110-2)는 일면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촬상된 영상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장치(100)의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기능한다.
몸체부(110)의 제2 파트(110-2)는 몸체부(110)의 제1 파트(110-1)의 일면과 맞닿아 있고, L자 형태의 몸체부(110)의 제1 파트(110-1)와 결합되서 일면이 개방되서 'ㄷ'형 끼움 홈부를 구비한 정육면체 형태의 구조체를 형성한다. 제2 파트(110-2)는 몸체부의 제1 파트(110-1)로부터 기 결정된 길이(L1) 만큼 이격될 수 있고, 제2 파트(110-2)는 몸체부(110)의 제1 파트(110-1)로부터 기 결정된 길이(L1)만큼 이격될 경우에 'ㄷ'형의 끼움 홈부의 폭은 최대가 된다. 반대로 제2 파트(110-2)는 몸체부(110)의 제1 파트(110-1)로부터 기 결정된 길이(L2)만큼 이격될 수 있고, 이때의 제2 파트(110-2)와 몸체부(110)의 제1 파트(110-1) 사이의 이격 길이(L2)는 수 밀리미터(1mm~2mm)이하이고, 제1 파트(110-1)와 제2 파트(110-2)에 의해서 형성되는 'ㄷ'형의 끼움 홈부의 폭은 최소가 된다.
조절부(120)는 몸체부(110)의 제1 파트(110-1)의 일면에서 몸체부(1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제2 파트(110-2)의 내부까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조절부(120)는 손잡이 부재를 회전시켜서 몸체부의 제1 파트(110-1)에서부터 제2 파트(110-2)를 이격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120)는 손잡이 부재와 연결된 전환 부재 및 이송 부재로 구성된다. 사용자에 의해서 손잡이 부재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환 부재에 의해서 힘의 방향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선 운동에 의해서 이송 부재는 제2 파트(110-2)를 몸체부(110)의 제1 파트(110-1)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사용자에 의해서 손잡이 부재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환 부재에 의해서 힘의 방향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선 운동에 의해서 이송 부재는 제2 파트(110-2)를 몸체부(110)의 제1 파트(110-1)쪽으로 가까워지게 한다.
몸체부(110)의 제1 파트(110-1)와 제2 파트(110-2)에 의해서 'ㄷ'자 형태의 끼움 홈부가 형성되고, 끼움 홈부에 고정 대상(포스트, 기둥, 거치대, 물건의 모서리 등)을 끼워서, 장치(100)를 고정 대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조절부(120)를 회전시킴으로써, 몸체부(110)의 제1 파트(110-1)와 제2 파트(110-2)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끼움 홈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끼움 홈부의 최대 폭(W1)과 최소 폭(W2) 사이의 차이(ΔW)는 몸체부(110)의 가로 폭과 같거나 작은 크기로 설계될 수 있다. 끼움 홈부의 안쪽면에는 고무 재질의 탄성 재료를 코팅함으로써, 고정 대상에 가해지는 손상을 감소시켜 준다.
회전부(130)는 몸체부(110)의 상부 일 영역에 구성된다. 회전부(130)는 마운트부(140)와 연결되서 마운트부(140)를 제1축(X축), 제2 축(Y), 제3축(Z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 또는 틸팅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 운동 및 틸팅 운동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또한, 회전부(130)는 몸체부(110)로부터 Z축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부(130)는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안쪽이 비어있는 원통형의 막대(rod)로 구성된 길이 연장 부재를 포함하고, 길이 연장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접거나 펼쳐서 회전부(130)를 몸체부(110)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마운트부(140)는 스마트폰(200)이 장착되서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기능한다. 마운트부(140)는 스마트폰(200)의 입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출력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이러한 마운트부(14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마운트부(14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몸체부(11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마운트부(140)는 스마트폰의 기종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스마트폰 이외에 태블릿, 카메라, 캠코더 등이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몸체부(110)의 제1 파트(110-1)는 내부에 제어모듈(111), 배터리 모듈(112), 저장모듈(113), 통신모듈(114), 입출력 인터페이스(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의 제1 파트(110-1)는 조절부(120)에 의해서 제2 파트(110-2)와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의 제1 파트(110-1)는 회전부(130)에 의해서 마운트부(140)를 제1축(X축), 제2축(Y축), 제3축(Z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거나 틸팅시킬 수 있다.
몸체부(100)의 제2 파트(110-2)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드라이버를 내장하거나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2 파트(110-2)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몸체부(110)의 제1 파트(110-1)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운트부(140)는 거치대의 일 영역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몸체부(110)의 제1 파트(110-1)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와 스마트폰을 연결하는 마운트부 및 회전부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조절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몸체부(110)의 제1 파트(110-1)와 제2 파트(110-2) 사이의 거리가 최대 거리(W)로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파트(110-1)와 제2 파트(110-2)의 사이에 형성되는 끼움 홈부의 폭은 최대가 된다.
회전부(130)는 연장 부재(131)을 Z축 방향으로 연장시킴으로써, 몸체부(110)로부터 소정의 높이(H)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연장 부재(131)는 안쪽이 비어있는 다수의 원통형 막대기(rod)를 펼침으로써 Z축 방향으로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회전부(130)는 Z축을 기준으로 하여 360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R_1). 또는 회전부(130)는 X축 또는 Y축을 기준으로 하여 360도 방향을 회전할 수 있다(R_2).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를 사각 기둥에 설치하는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조절부(120)를 회전시켜서 끼움 홈부의 폭을 최대로 넓힌 상태에서 고정 대상(300)에 끼우고, 조절부(1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끼움 홈부의 폭을 고정 대상(300)에 맞춰서 줄여준다. 이때, 끼움 홈부의 폭은 몸체부(110)의 가로폭의 2배까지 확장될 수 있고, 끼움 홈부의 안쪽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고정 대상(300)의 형태와는 상관없이 장치(100)를 고정 대상(30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복수 개의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10-1 내지 10-6)와 네트워크(N)에 연결된 영상 관리 서버(20)를 포함한다.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10)는 경기장(1000)의 적어도 한 개 지점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6개 지점에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10)는 경기장 펜스(2000)에 탈착가능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다.
제1 촬영 장비(10-1)는 경기장의 하프라인을 기준으로 좌측 상부 영역을 촬영하도록 설치되고, 제2 촬영 장비(10-2)는 경기장의 하프라인을 기준으로 우측 상부 영역을 촬영하도록 설치된다. 제3 촬영 장비는(10-3)는 경기장의 우측 골대 영역을 촬영하도록 설치된다. 제4 촬영 장비(10-4)는 경기장의 하프라인을 기준으로 우측 하부 영역을 촬영하도록 설치되고, 제5 촬영 장비(10-5)는 경기장의 하프라인을 기준으로 좌측 하부 영역을 촬영하도록 설치된다. 제6 촬영 장비(10-6)는 경기장의 우측 골대 영역을 촬영하도록 설치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하프라인의 상부 및 하부 영역에 각각 1개의 촬영 장비를 설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하프라인의 상부 또는 하부 영역에 한 개의 촬영 장비만을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10-1 내지 10-6)는 각각의 장비에 설치된 전자 장치 또는 자체 구비한 통신 모듈을 통해서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영상 관리 서버(20)와 통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10-1 내지 10-6) 중 하나가 마스터 노드로 기능해서 나머지 슬래이브 노드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취합해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영상 관리 서버(20)로 통신할 수도 있다.
영상 관리 서버(20)는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계정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 사용자 정보를 식별한다. 영상 관리 서버(20)는 식별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촬영 영상을 사용자가 속한 팀의 영상과 사용자의 상대 팀 영상으로 구분하여 편집한다. 영상 관리 서버(20)는 편집된 영상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의 계정에 저장한다. 또한 영상 관리 서버(20)는 공식 경기 또는 영상 공개가 미리 설정된 영상에 대해서는 웹 페이지 상에 경기 영상을 공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10)의 전자 장치(200)에는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다운로드되서 설치되어 있다. 전자 장치(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팀 관리, 팀원 관리, 경기 관리 및 일정 관리 등 아마추어 운동 팀을 운영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아마추어 팀의 경우에도 체계적으로 운동 경기 영상을 확인하여 경기력 향상이나 문제점 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또한, 다른 경쟁 팀의 경기 영상을 검색해서 경기 전에 전력 분석을 할 수 있으므로, 체계적인 팀 관리와 시합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 화면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화면이 표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시작 화면에는 기존에 만들어 놓은 자신의 팀을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마이팀), 새로운 팀을 만들 수 있는 아이콘(팀 창설), 팀별 현재 순위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랭킹), 현재 FA 시장에 나온 아마추어 선수 정보를 볼 수 있는 아이콘(용병 시장), 경기와 관련된 다양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아이콘(Shop) 등으로 구성된 제1 유저 인터페이스(UI_1)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경기를 예약할 수 있는 창으로 이동하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UI_2)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팀 관리 화면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어플리케이션의 팀 관리 화면에는 자신의 팀의 전적에 관한 정보, 자신의 팀에 적용할 수 있는 전술을 선택할 수 있는 목록, 자신의 팀을 운영하기 위한 각종의 정보를 표기한 리스트 등을 포함하는 제3 유저 인터페이스(UI_3)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팀 관리 화면에는 최근에 치룬 경기에 대한 동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썸네일 형식으로 제공되는 동영상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4 유저 인터페이스(UI_4)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팀 매치 스케줄 화면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팀 매치 스케줄 화면에는 자신의 팀과 매치가 예정된 팀의 세부 정보를 나타내는 제5 유저 인터페이스(UI_5)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팀 매치 스케줄 화면에는 팀 매치가 결정된 스케줄에 대한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제6 유저 인터페이스(UI_6)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팀 매치 스케줄 화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관리 서버(20)에 등록된 다양한 사용자들이 속한 팀(본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가 속한 팀)과의 매치를 요청할 수 있는 아이콘(카니발로 연결)를 포함하는 제7 유저 인터페이스(UI_7)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팀 순위 화면의 일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팀 순위 화면에는 현재 아마추어 팀의 랭킹이 순서대로 표시되는 화면인 제 8 유저 인터페이스(UI_8)을 확인할 수 있다. 제8 유저 인터페이스(UI_8)의 목록에는 팀 별로 아마추어 팀의 로고, 이름 및 순위가 표기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서 특정 팀이 선택되면 해당 팀에 대한 세부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인 제9 유저 인터페이스(UI_9)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팀의 경기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팀의 최근 경기 동영상에 대한 리플레이 화면인 제10 유저 인터페이스(UI_10)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이내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 :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
20 : 영상 관리 서버
100 :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
110 : 몸체부
110-1 : 몸체부의 제1 파트
110-2 : 몸체부의 제2 파트
120 : 조절부
130 : 회전부
140 : 마운트부
200 : 스마트폰
300 : 고정 대상
1000 : 경기장
2000 : 경기장 펜스

Claims (10)

  1.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거치한 상태에서 운동 경기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고정 대상에 설치되는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제1 파트와 제2 파트로 분리되서 상기 고정 대상에 맞물리도록 기 결정된 범위에서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서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 사이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전자장치가 장착되는 마운트부를 기 결정된 각도로 회전 또는 틸팅시킬 수 있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서 상기 전자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마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확장할 수 있는 연장 부재, 상기 마운트부를 특정 방향을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연장 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전자장치에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발생되는 물체 추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동력 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연장 부재 또는 상기 회전 부재를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전자장치의 지향 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파트의 내부에 제어 모듈, 저장 모듈, 통신 모듈 및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2 파트의 내부에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서 촬영되는 경기 영상 또는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
  4. 삭제
  5. 삭제
  6.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를 거치한 상태에서 운동 경기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고정 대상에 설치되는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 및
    운동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로부터 수신된 해당 경기 영상을 저장하고, 관리하고 공유하는 영상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운동 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제1 파트와 제2 파트로 분리되서 상기 고정 대상에 맞물리도록 기 결정된 범위에서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서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 사이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장착되는 마운트부를 기 결정된 각도로 회전 또는 틸팅시킬 수 있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서 상기 전자 장치를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마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파트의 내부에 제어 모듈, 저장 모듈, 통신 모듈 및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의 내부에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서 촬영되는 경기 영상 또는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확장할 수 있는 연장 부재, 상기 마운트부를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연장 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에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발생되는 물체 추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동력 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연장 부재 또는 상기 회전 부재를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전자장치의 지향 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관리 서버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중인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 영상을 제1팀을 위한 영상 또는 제2팀을 위한 영상으로 개별적으로 편집하고, 개별 편집된 팀 영상을 해당 사용자의 계정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관리 서버는, 촬영 대상인 경기가 공식 경기로 설정된 경우에는 해당 경기의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팀의 랭킹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
KR1020200094231A 2020-07-29 2020-07-29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 KR102402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231A KR102402309B1 (ko) 2020-07-29 2020-07-29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231A KR102402309B1 (ko) 2020-07-29 2020-07-29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530A KR20220014530A (ko) 2022-02-07
KR102402309B1 true KR102402309B1 (ko) 2022-05-25

Family

ID=80253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231A KR102402309B1 (ko) 2020-07-29 2020-07-29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3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9965A (ja) * 2011-07-07 2013-01-31 Olympus Imaging Corp カメラ支持装置
KR101281494B1 (ko) 2011-12-26 2013-07-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스마트폰을 이용한 지능형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7754A (ja) * 1995-05-09 1996-11-22 Yoshiichi Sano 遠隔ビデオカメラ撮影装置
KR101082798B1 (ko) 2010-03-11 2011-11-11 이열 셀프 카메라 촬영 시스템
KR101684461B1 (ko) 2010-07-15 2016-12-09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경기장 영상 공유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 경기장 영상 공유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000408U (ko) 2014-07-25 2016-02-03 허홍 받침대를 구비한 카메라 자가 촬영용 접이식 스틱 구조
KR20170087697A (ko) * 2016-01-21 2017-07-31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Usb 카메라와 모노포드를 이용한 촬영장치 및 이의 구성과 제어 방법
KR101726817B1 (ko) 2016-07-21 2017-04-13 이태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운동 커뮤니티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976354B1 (ko) 2017-12-21 2019-05-08 (주)세컨그라운드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
KR101916346B1 (ko) 2018-06-26 2018-11-07 변상만 회전 및 접이형 카메라 폴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9965A (ja) * 2011-07-07 2013-01-31 Olympus Imaging Corp カメラ支持装置
KR101281494B1 (ko) 2011-12-26 2013-07-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스마트폰을 이용한 지능형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530A (ko)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3452B2 (en) Image-stream windowing system and method
US20120116714A1 (en) Digital Data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Skateboarding and Other Social Sporting Activities
JP6136926B2 (ja) 情報処理装置、記憶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150189243A1 (en) Automated video production system
US92025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ewing videos and statistics of sports events
US10123081B2 (en) Method of providing service for recommending game video
CN110121379A (zh) 创建、广播和观看3d内容
CN109074629A (zh) 使用联网照相机对关注的区域进行视频摄像
CN108886583A (zh) 用于通过数据网络向多个用户提供虚拟的摇摄-倾斜-缩放,ptz,视频功能的系统和方法
CA2909674A1 (en) Golf game management and entertainment system
WO20131716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video filming and broadcasting of sports events
WO2015155725A1 (en) Method of sharing action highlights and a sports complex for providing shareable action
CN102111542A (zh) 图像处理设备、成像设备、图像处理方法和程序
CA2980501C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game-related information
KR20140114548A (ko) 당구장 영상관리 시스템
US119988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game-related information
EP2923485B1 (en) Automated filming process for sport events
KR102402309B1 (ko)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
US20240104793A1 (en) Adding augmented reality to a sub-view of a high resolution central video feed
WO2018004354A1 (en) Camera system for filming sports venues
KR100370630B1 (ko) 가상 현실을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EP27247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ewing videos and statistics of sports events
KR101954035B1 (ko) 운동 경기 참여 선수들의 과거 경기 기록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1854481A (zh) 具游戏功能的数字相机的操作方法
WO202412804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