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354B1 -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354B1
KR101976354B1 KR1020170176722A KR20170176722A KR101976354B1 KR 101976354 B1 KR101976354 B1 KR 101976354B1 KR 1020170176722 A KR1020170176722 A KR 1020170176722A KR 20170176722 A KR20170176722 A KR 20170176722A KR 101976354 B1 KR101976354 B1 KR 101976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information
record
player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규
Original Assignee
(주)세컨그라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컨그라운드 filed Critical (주)세컨그라운드
Priority to KR1020170176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354B1/ko
Priority to US16/956,359 priority patent/US20200320305A1/en
Priority to PCT/KR2018/003141 priority patent/WO201912464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1Higher-level, semantic clustering, classification or understanding of video scenes, e.g. detection, labelling or Markovian modelling of sport events or news items
    • G06V20/42Higher-level, semantic clustering, classification or understanding of video scenes, e.g. detection, labelling or Markovian modelling of sport events or news items of sport video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4Event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제적이고 입체적으로 박진감 있는 사회인 운동경기 중계와 경기기록 입력을 위해, 고가의 경기용 카메라가 아닌 일반 카메라나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회인 운동경기를 중계하는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터치 방식의 기록용 단말기를 통해 해당 운동경기에 참여한 사회인 운동선수들의 경기 기록을 간편하고 체계적으로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는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A system for recording and broadcasting sports games using a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고가의 경기용 카메라가 아닌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경제적으로 사회인 운동경기를 중계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입체적이고 박진감 있는 운동경기 중계를 위해, 기종이 다른 복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사회인 운동경기를 입체적이고 박진감 있게 중계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경기에 참여하는 선수들의 경기 기록을 간편하게 생성하고 저장하는 발명이다.
우리나라의 체육 분야는 21세기 들어 경제적 발전과 주5일근무제의 확대로 인해 엘리트 체육에서 생활체육으로 변화되고 있다. 소수의 전문 운동선수를 중심으로 하는 엘리트 체육에 비해, 생활체육은 일반인들이 건전한 여가 활동과 친목 도모 등의 목적으로 부담없이 운동을 즐기기 위해 누구나 참여하는 것이다.
생활체육 중에 야구, 축구, 농구, 골프 등과 같이 다양한 종목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야구는 국내 프로야구의 인기와 더불어 보는 야구에서 실제 경기에 참여하는 사회인 야구로 저변이 확대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아마추어 야구선수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프로야구가 아닌 아마추어 사회인 야구는 야구장을 포함한 경기 여건이 미흡한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전국 각지에서 많은 팀이 계속 생기고 선수도 많이 활동하면서 경기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지역별로 활성화된 사회인 야구 리그에서는 사회인 야구 경기도 국내 야구 규정에 준하여 경기를 진행하고 경기 기록도 남기면서 관리할 뿐만 아니라, 일반 카메라 또는 스마트장치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경기 영상도 저장하여 공개하면서 사회인 야구 리그도 체계적으로 발전되는 실정이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5974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야구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의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사회인 야구를 중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의 발명은 소수의 스마트장치 카메라로 경기 영상을 촬영하기 때문에 경기 영상이 입체적이지 못해 단조롭다는 단점이 있다.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0984호 사회인 야구의 경기 중계방법 및 중계장치 상기 선행기술문헌 2의 발명은 사회인 야구 경기를 녹화하고 녹화 동영상을 스폰서의 매장 등을 통해 녹화중계토록 하여 사회인 야구 경기를 일반 대중 다수가 관람할 수 있게 하는 발명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2의 발명은 녹화 방송이기 때문에 박진감이 떨어지고, 스폰서의 광고내용을 입력하기 때문에 경기 내용에 몰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7030호 통합 야구기록 시스템 상기 선행기술문헌 3의 발명은 사회인 야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통합 야구 경기기록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3의 발명은 사회인 야구 경기를 기록하는 기능이 중시된 반면에, 경기를 중계하는 별도의 기능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고가의 경기용 카메라가 아닌 스마트장치 카메라를 이용하여 경제적으로 사회인 운동경기를 중계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체적이고 박진감 있는 운동경기 중계를 위해, 기종이 다른 복수의 스마트장치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사회인 운동경기를 입체적이고 박진감 있게 중계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경기에 참여하는 선수들의 경기 기록을 간편하게 생성하고 저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스마트장치를 이용하여 운동경기를 중계하는 시스템은,
운동경기에 참가한 팀별 선수정보를 입력받고, 선수별 해당 경기의 경기기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선수별 해당 경기의 경기기록정보를 기록관리서버(300)로 제공하고, 복수의 카메라(200)가 촬영한 영상들을 표시하고, 표시된 영상 중 어느 한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와 선수별 경기기록정보를 외부서버(20)로 제공하는 기록용단말기(100)와;
운동경기에 관련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를 기록용단말기(100)로 제공하는 복수의 카메라(200)와;
상기 기록용단말기(100)로부터 해당 경기의 선수별 경기기록정보를 제공받아 선수별 통합경기기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선수별 통합 경기기록정보를기록용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기록관리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은 고가의 경기 촬영용 카메라가 아닌 저가의 일반적 카메라(예: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경제적으로 사회인 운동경기를 중계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사회인 야구 활성화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체적이고 박진감 있는 운동경기 중계를 위해, 기종이 다른 복수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사회인 운동경기를 입체적이고 박진감 있게 중계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중계가 완료되면 중계 영상을 유튜브 같은데 공유해서 사회인 야구의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용 단말기에 형성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별도의 입력장치 없이도 빠르고 간단하게 사회인 운동경기 기록을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하게 경기만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시각적인 그래프로 경기 내용을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편리하고 경기 중계 시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기가 종료된 직후 경기 기록을 메인서버로 전송하여 사회인 운동경기 기록을 관리할 수 있게 하므로, 사회인 야구 리그도 체계적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과 외부 서버가 연결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의 기록용단말기 하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의 기록용화면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의 표시제어부에 의한 화면 변환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의 카메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의 경기장 화면과 선수 아이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의 경기내용표시 아이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의 투구내용 아이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의 타자기록 생성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의 선수별 경기기록 생성을 위한 경기기록 항목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과 외부 서버가 연결된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의 기록용단말기 하부 구성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의 기록용화면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의 표시제어부에 의한 화면 변환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의 카메라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10)은 스마트장치인 기록용단말기를 이용하여 운동경기를 중계하고 기록하며, 외부 서버(20)(예: 인터넷 중계시스템 서버)로 경기영상 정보와 경기기록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본 발명은 지상파 방송국에서 중계하는 프로 운동경기가 아닌 경제적인 비용과 방법으로 사회인들이 참여하는 사회인 운동경기를 중계하는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프로 운동경기를 중계하는 것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본 발명은 기록용단말기(100), 복수의 카메라(200), 기록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록용단말기(100)는 별도의 입력장치 없이 스크린 터치에 의한 입력방식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기능과 외부 서버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통신기능이 있는 기기면 충분하고,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PC(laptop PC), 태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할 수 있으나 태블릿 PC(tablet P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록용단말기(100)는 운동경기의 선수별 경기기록 입력을 위한 기록용화면(500)을 제공하여 경기 기록원인 사용자가 본 발명의 중계 시스템(10)을 GUI(Graphic User Interface)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운동경기에 참가한 팀별 선수정보를 입력받고, 터치 방식으로 선수별 해당 경기의 경기기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복수의 카메라(200)가 촬영한 영상들을 표시하고, 표시된 영상 중 어느 한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와 선수별 경기기록정보를 외부서버(20)로 제공하기 위해, 입력부(110), 수신부(120), 경기기록 생성부(130), 저장부(140), 표시부(150), 전송부(160), 표시제어부(170), 포맷통합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110)는 경기에 참가하는 선수들의 포지션 정보를 포함하는 팀별 선수정보를 입력받는 입력수단으로서, 외부 서버(20)로부터 팀별 선수정보를 입력받거나 경기 기록원인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20)는 경기장 곳곳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200)가 촬영한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 받거나 기록관리서버(300)로부터 선수별 통합 경기기록정보를 수신 받는 수신수단이다.
상기 경기기록 생성부(130)는 기록용화면(500)을 통해 터치 방식으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경기의 선수별 경기기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저장부(14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팀별 선수정보와 수신부(120)가 수신한 영상정보 또는 선수별 통합경기기록정보와 경기기록 생성부(130)가 생성한 해당 경기의 선수별 경기기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이다.
상기 경기기록 생성부(130)는 기록용화면(500) 상에 배치된 복수의 선수 아이콘(52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수별 경기기록 생성을 위한 경기기록 항목(도 11 참조)을 기록용화면(500) 상에 표시하고, 상기 경기기록 항목 중 어느 하나의 세부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세부항목에 해당하는 기록을 선택된 선수 아이콘(520)에 해당하는 선수의 경기기록으로 생성하게 된다.
야구경기를 예를 들면, 복수의 선수 아이콘(520) 중 투수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11의 a에 도시된 경기기록 항목이 표시되고, 표시된 경기기록 항목 중 세부 항목인 삼진이 선택되면, 투수인 선수의 경기기록으로 삼진이라는 경기기록이 생성되고, 복수의 선수 아이콘(520) 중 중견수 아이콘이 선택되면 역시 도 11의 a에 도시된 경기기록 항목이 표시되고, 표시된 경기기록 항목 중 세부 항목인 수비실책이 선택되면, 선택된 선수 아이콘(520)에 해당하는 중견수인 선수의 경기기록으로 수비실책이라는 경기기록이 생성되며, 복수의 선수 아이콘(520) 중 타자 아이콘이 선택되면 역시 도 11의 a에 도시된 경기기록 항목이 표시되고, 표시된 경기기록 항목 중 세부 항목인 2루타가 선택되면, 선택된 선수 아이콘(520)에 해당하는 타자인 선수의 경기기록으로 2루타라는 경기기록이 생성되는 것이다.
축구경기를 예를 들면, 복수의 선수 아이콘(520) 중 어느 한 공격수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11의 b에 도시된 경기기록 항목이 표시되고, 표시된 경기기록 항목 중 세부 항목인 골이 선택되면, 선택된 선수 아이콘(520)에 해당하는 어느 한 공격수의경기기록으로 골이 생성되고, 복수의 선수 아이콘(520) 중 어느 한 수비수 아이콘이 선택되면 역시 도 11b에 도시된 경기기록 항목이 표시되고, 표시된 경기기록 항목 중 세부 항목인 반칙이 선택되면, 선택된 선수 아이콘(520)에 해당하는 어느 한 수비수의 경기기록으로 반칙이라는 경기기록이 생성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야구와 축구를 예를 들었지만 모든 경기 종목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경기기록 생성부(130)의 다른 실시예로서 경기종목이 야구인 경우, 상기 경기기록 생성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기록 생성부(131)와 공격수비기록 생성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용화면(5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경기 종목에 해당하는 야구 경기장 모양을 형상화한 경기장 화면(510)과 상기 경기장 화면(510) 상에 포지션별로 배치되는 복수의 선수 아이콘(520)과 경기 관련 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경기장 화면(510) 상의 일측에 표시되는 경기내용표시 아이콘(530)과 스트라이크, 볼, 파울, 폭투, 데드볼과 같은 투수의 투구내용을 표시하는 투구내용 아이콘(54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투수기록 생성부(131)는 어느 한 타자에 대한 투수의 투구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투구내용 아이콘(540) 중 어느 한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해당 항목에 해당하는 투구내용을 해당 투수의 기록정보인 제1정보로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1정보 생성을 어느 한 타자에 대한 투구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하고, 어느 한 타자에 대한 투구가 종료되면 저장된 상기 제1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어느 한 타자에 대한 해당 투수의 기록정보인 제2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1정보 생성 및 저장과 상기 제2정보 생성 및 저장을 경기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하고, 경기가 종료될 때가지 생성 저장된 제1, 2정보들을 이용하여 해당 경기의 투수별 경기기록정보로 생성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공격수비기록 생성부(132)는 타자의 타격이 있고 기록용화면(500) 상의 복수의 선수 아이콘(520) 중 타자 아이콘과 타구가 향한 방향의 수비수 아이콘이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경우, 기록용화면(500) 상에 타격내용항목(도 10의 ‘3’)을 팝업 시키고 팝업 된 타격내용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의 내용에 따라 해당 타자와 해당 수비수에 대한 기록정보인 제3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타자의 타격이 없고 기록용화면(500)상의 투구내용 아이콘(540) 중 어느 한 항목만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되어지는 내용에 따라 해당 타자에 대한 기록정보인 제4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3정보 생성과 저장 및 제4정보 생성 및 저장을 경기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하고, 경기가 종료될 때가지 생성 저장된 제3, 4정보들을 이용하여 해당 경기의 선수별 타격과 수비에 대한 경기기록정보로 생성하여 저장한다.
상기 제1정보는 볼, 스트라이크, 파울, 데드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정보는 삼진, 포볼, 1루타, 2루타, 3루타, 홈런을 포함하고, 상기 제3정보는 1루타, 2루타, 3루타, 홈런, 에러에 의한 진루, 병살타, 플라이아웃, 에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4정보는 삼진아웃, 포볼, 데드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투수기록 생성부(131)와 공격수비기록 생성부(132)를 포함하는 경기기록 생성부(130)가 선수별 경기기록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투수기록 생성부(131)는 도 9에 도시된 기록용화면(500) 상의 투구내용 아이콘(540)의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통해 투수별 경기기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어느 한 타자에 대한 투수의 투구에 따라 투구내용 아이콘(540)중 어느 하나의 투구내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해당 투구내용을 해당 투수의 기록정보인 제1정보로 생성하여 저장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투수가 제1구를 던지고 해당 투구가 볼로 판정받은 경우 기록원은 도 9의 투구내용 아이콘(540)중 볼을 터치하게 되면 해당 투수의 제1구에 대한 경기기록이 볼로 저장됨과 동시에 경기내용표시 아이콘(530) 중 볼 카운트를 나타내는 아이콘(531)에 볼이 표시되는 것이다.
다음에 투수가 제2구를 던지고 해당 투구가 스트라이크로 판정받은 경우 기록원은 도 9의 투구내용 아이콘(540)중 스트라이크를 터치하게 되면 해당 투수의 총 투구수 2 개에 대해 원 스트라이크, 원 볼이라는 경기기록이 저장됨과 동시에 경기내용표시 아이콘(530) 중 볼 카운트를 나타내는 아이콘(531)에 1볼 1스트라이크로 표시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정보는 볼, 스트라이크, 파울, 데드볼, 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한 타자에 대한 투수의 투구 기록이 계속 진행되고, 타자의 공격이 타격 없이 종료되면 삼진이나 포볼이나 데드볼 등과 같은 경기기록이 투수의 경기기록으로 생성 저장되는 것이다.
만약, 투수의 투구(예:5구)에 대해 타자가 타격하고 타구가 우익수 앞 1루타가 되는 경우 기록원은 기록용 화면상의 복수의 선수 아이콘(520) 중 타자와 우익수 아이콘을 순서대로 선택하게 되면 도 10에 ‘3’으로 표시된 타격내용항목이 팝업 표시되고, 항목 중 1루타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투수의 경기기록은 피안타인 우익수 방향 1루타로 저장되는 것이다.
이때, 타자의 경기기록으로는 우익수 방향 1루타로 저장되는데, 구체적인 설명은 공격수비기록 생성부(132)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상기 제1정보 생성을 어느 한 타자에 대한 투구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하고, 어느 한 타자에 대한 투구가 종료되면 저장된 상기 제1정보들에 따라 상기 타자에 대한 투수의 경기기록(삼진, 포볼, 데드볼, 1루타, 2루타, 3루타, 홈런 중 어느 하나)이 결정되고 결정된 기록이 해당 투수의 경기기록정보인 제2정보로 생성하여 저장한다.
상기 제2정보는 삼진, 포볼, 1루타인 피안타, 2루타인 피안타, 3루타인 피안타, 홈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정보 생성 및 저장과 상기 제2정보 생성 및 저장을 경기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하고, 경기가 종료될 때가지 생성 저장된 제1, 2정보들을 이용하여 해당 경기의 투수별 경기기록정보로 생성하여 저장한다.
상기 공격수비기록 생성부(132)는 경기 중에 행해지는 투수가 아닌 선수별 타격과 수비에 대한 경기기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상기 선수별 타격과 수비에 대한 경기기록정보는 타자에 대한 경기기록정보인 안타, 홈런, 에러에 의한 진루, 병살타, 아웃, 삼진, 포볼 등의 정보와 수비에 대한 경기기록정보인 에러를 포함하는 기록 정보이다.
상기 공격수비기록 생성부(132)는 타자의 타격이 있고 기록용화면(500) 상의 복수의 선수 아이콘(520) 중 타자 아이콘과 타구가 향한 방향의 어느 한 수비수 아이콘이 순서대로 선택되는 경우, 기록용화면(500) 상에 타격내용항목(도 10의 ‘3“)을 팝업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10의 '1'인 타자 아이콘(311)을 터치한 후 '2'의 2루수 아이콘을 터치하면 상기 '3'인 타격내용항목이 팝업 된다.
팝업 된 타격내용항목은 타자에 대한 경기기록정보인 1루타, 2루타, 3루타, 홈런, 에러에 의한 진루, 병살타, 플라이 아웃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수비수에 대한 경기기록정보인 에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팝업 된 타격내용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공격수비기록 생성부(132)는 선택된 항목의 내용에 따라 해당 타자와 해당 수비수에 대한 기록정보인 제3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타격내용항목 중 1루타가 선택되면 해당 타자의 경기기록은 1루타로 제3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되고, 투수의 경기기록은 우익수 앞 1루타인 피안타로 제3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된다.
만일, 우익수가 실수로 타구를 잡지 못하는 경우 타격내용항목중 에러가 선택되고 해당 수비수에 대한 경기기록은 에러로 제3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되고, 해당 타자는 에러에 의한 진루로 제3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만일, 타자의 타격이 없고 기록용화면(500)상의 투구내용 아이콘(540) 중 어느 한 항목만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공격수비기록 생성부(132)는 선택되어지는 내용에 따라 해당 타자에 대한 기록정보인 제4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상기 제4정보는 삼진아웃, 포볼, 데드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구내용 아이콘(540) 중 삼진이 선택되면, 해당 타자에 대한 기록은 삼진아웃으로 제4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된다. 물론 투수에 대한 경기기록은 삼진으로 생성 저장된다.
상기 공격수비기록 생성부(132)는 상기 제3정보 생성과 저장 및 제4정보 생성 및 저장을 경기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하고, 경기가 종료될 때가지 생성 저장된 제3, 4정보들을 이용하여 해당 경기의 선수별 타격과 수비에 대한 경기기록정보로 생성하여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150)는 수신부(120)가 수신한 영상정보가 표시되고 해당 경기의 선수별 경기기록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방식의 기록용화면(500)이 디스플레이 되는 일종의 터치스크린(touch screen)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록용화면(500)이 표시부(150)에 GUI 방식으로 구현되며, 기록용화면(50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전송부(160)는 기록용화면(500)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에 해당하는 영상정보와 선수별 경기기록정보를 외부서버(20)로 전송하거나 경기기록 생성부(130)가 생성한 해당 경기의 선수별 경기기록정보를 기록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특히, 상기 전송부(160)를 통해 외부서버(20)로 제공되는 선수별 경기기록정보는 경기기록 생성부(130)가 생성한 해당 경기의 선수별 경기기록정보 또는 기록관리서버(300)가 제공한 선수별 통합 경기기록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당 경기의 선수별 경기기록정보는 현재 중계되고 있는 경기에 대한 선수별 경기기록정보인 것이고, 상기 선수별 통합 경기기록정보는 현재까지 누적된 모든 경기에 대한 선수별 경기기록정보인 것이다.
상기 표시제어부(170)는 복수의 카메라(200)가 촬영한 영상들을 기록용화면(500)상에 표시하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카메라(200)가 촬영한 영상 중 어느 한 영상은 메인 화면부(171)에 표시하고, 나머지 영상은 섬네일 화면부(172)에 표시하며, 섬네일 화면부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면 터치된 영상이 메인 화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기록용화면(500)은 메인 화면부(171)와 썸네일 화면부(172)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화면부(171)는 메인화면 크기로 표시부(150)의 기록용화면(500)에 표시되는 부분이고, 상기 썸네일 화면부(172)는 섬네일 형식의 작은 화면으로 표시부(150)의 기록용화면(500)에 복수개가 표시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표시제어부(170)는 복수의 카메라(200)가 촬영하는 영상정보를 경기 상황에 따라 도 5와 같이 메인 화면부(171)와 썸네일 화면부(172)에 나누어 표시하게 된다.
이때, 섬네일 화면부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면 터치된 영상이 메인 화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제어부(170)는 영상 전환 처리를 수행한다. 도 5에는 선택된 썸네일 화면부(172)상의 어느 한 영상이 메인 화면부(171)로 전환 처리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송부(160)는 표시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메인 화면부(171)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의 영상정보를 외부 서버(20)로 전송한다.
상기 외부 서버(20)는 사회인 경기 리그 웹 사이트(web site) 또는 유튜브(YouTube)와 같은 영상 공유 채널을 가리킨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카메라(200)는 고가의 경기용 카메라가 아닌 스마트폰의 카메라나 일반 카메라와 같은 일반용 영상촬영 장치이며, 운동경기에 참가한 선수별 영상과 경기에 관련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를 기록용단말기(100)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복수의 카메라(200)들은 모두 동일 기종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복수의 카메라(200)들에 의해 촬영된 영상들의 영상데이타는 서로 다른 포맷을 갖게 된다. 만일 서로 포맷을 갖는 영상데이타를 그대로 외부서버(20)로 전송하는 경우, 외부서버(20)의 영상 중계 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기록용단말기(100)에 포맷 통합부(180)를 더 구성하게 된다.
즉, 본원 발명은 포맷 통합부(180)을 통해 복수의 카메라(200)에서 촬영된 영상의 영상데이타를 설정된 포맷 형식으로 변환 처리하여 외부서버(20)로 제공함으로 외부서버(20)의 영상 중계 시 영상 포맷 차이로 인한 영상 중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상기 기록관리서버(300)는 기록용단말기(100)로부터 해당 경기의 선수별 경기기록정보를 제공받아 선수별 통합경기기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선수별 통합 경기기록정보를 기록용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구성수단으로서, 기록용단말기(100)가 매 경기마다 선수별 경기기록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면 이를 이용하여 현재까지 누적된 모든 경기에 대한 선수별 통합 경기기록정보를생성하여 저장함으로 선수별 경기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필요시 기록용 단말기(100)로 선수별 통합 경기기록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의 경기장 화면(510)과 복수의 선수 아이콘(520) 설명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의 경기내용표시 아이콘(530)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GUI 방식과 터치방식이 적용된 기록용화면(500)을 통해 경기 기록을 입력하고 경기 관련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인 기록원은 관련 영상을 보면서 편리하게 경기 기록을 입력하거나 경기관련 영상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기록용화면(5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과 8을 참조하면, 상기 기록용화면(500)은 기록용단말기(100)의 표시부(150)에 구현되는 터치 방식의 경기 기록용 입력 화면으로서, 경기장 화면(510), 복수의 선수 아이콘(520), 경기내용표시 아이콘(530)을 포함한다.
상기 경기장 화면(510)은 해당 운동경기 종목에 해당하는 경기장 모양의 화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 7,8은 운동경기 종목이 야구인 경우 야구 경기장 모양의 경기장 화면(510)을 예시하고 있으며, 해당 운동경기 종목이 축구, 농구, 배구 등일 경우 해당 경기장 모양의 화면으로 경기장 화면(510)이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복수의 선수 아이콘(520)은 경기장 화면(510) 상에 선수의 포지션별로 배치되는 일종의 선수 식별 아이콘으로, 선수별 포지션을 나타낸다.
도 7,8은 운동경기 종목이 야구인 경우 야구 경기에 참여하는 선수들의 아이콘(520)이 야구 경기장 모양의 경기장 화면(510)에 배치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으며, 해당 운동경기 종목이 축구, 농구, 배구 등일 경우 해당 경기에 참여하는 선수들 아이콘이 해당 경기의 포지션에 맞게 축구, 농구, 배구 등의 경기장 모양의 경기장 화면(510)에 배치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복수의 선수 아이콘(520)에 대해 도 7에 도시된 야구 경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7의 도면 부호 ‘520’으로 표시되는 선수 아이콘은 타자 아이콘(521)과 수비수 아이콘(522)으로 대별 되고, 상기 수비수 아이콘(522)은 투수 아이콘(5221), 포수 아이콘(5222), 2루수 아이콘(5223), 우익수 아이콘(5224)등을 포함한다.
상기 경기내용표시 아이콘(530)은 경기 관련 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경기장 화면(510) 상의 일측에 표시되는 아이콘으로서, 경기의 득점상황, 경기 진행상황, 선수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복수의 아이콘으로 구성된다.
도 8에는 야구 경기에 적용된 경기내용표시 아이콘(530)이 예시되어 있으며도 8을 참고하여 경기내용표시 아이콘(530)에 대해 설명한다.
경기내용표시 아이콘(530) 중의 하나인 아이콘(531)은 스트라이크와 볼 카운트를 나타내는 아이콘이고, 경기내용표시 아이콘(530) 중의 하나인 아이콘(532)는 아웃카운트를 나타내는 아이콘이고, 경기내용표시 아이콘(530) 중의 하나인 아이콘(533)은 경기의 득점상황을 나타내는 아이콘이고, 경기내용표시 아이콘(530) 중의 하나인 아이콘(534,535)은 선수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이다.
특히, 경기내용표시 아이콘(530) 중의 하나인 아이콘(534,535)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선수(도 8의 경우 투수나 타자)의 경기 기록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기종목이 야구인 경우, 상기 기록용화면(500)은 스트라이크, 볼, 파울, 폭투, 데드볼과 같은 투수의 투구내용을 표시하는 투구내용 아이콘(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는 상기 투구내용 아이콘(540)의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경제적이고 입체적으로 박진감 있는 사회인 운동경기 중계와 경기기록 입력을 위해, 고가의 경기용 카메라가 아닌 일반 카메라나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회인 운동경기를 사회인 경기 리그 웹 사이트(web site) 또는 유튜브(YouTube)와 같은 영상 공유 채널을 통해 중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 하고, 특히 터치 방식의 기록용 단말기를 통해 해당 운동경기에 참여한 사회인 운동선수들의 경기 기록을 간편하고 체계적으로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사회인 스포츠 경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게 하고 경기에 참여한 사회인 선수들에게도 귀중한 경기 기록을 남겨줄 수 있게 된다.
10 : 중계 시스템
20 : 외부 서버
100 : 기록용단말기
200 : 카메라
300 : 기록관리서버
400 : 포맷 통합부
500 : 기록용화면

Claims (8)

  1. 스마트장치를 이용하여 운동경기를 중계하는 운동경기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운동경기에 참가한 팀별 선수정보를 입력받고, 터치 방식으로 선수별 해당 경기의 경기기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선수별 해당 경기의 경기기록정보를 기록관리서버(300)로 제공하고, 복수의 카메라(200)가 촬영한 영상들을 표시하고, 표시된 영상 중 어느 한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와 선수별 경기기록정보를 외부서버(20)로 제공하는 기록용단말기(100)와;
    운동경기에 관련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를 기록용단말기(100)로 제공하는 복수의 카메라(200)와;
    상기 기록용단말기(100)로부터 해당 경기의 선수별 경기기록정보를 제공받아 선수별 통합경기기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선수별 통합 경기기록정보를 기록용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기록관리서버(300);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용단말기(100)는,
    경기에 참가하는 선수들의 포지션 정보를 포함하는 팀별 선수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110)와,
    복수의 카메라(200)가 촬영한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고, 기록관리서버(300)로부터 선수별 통합 경기기록정보를 수신받는 수신부(120)와,
    해당 경기의 선수별 경기기록정보를 생성하는 경기기록 생성부(130)와,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팀별 선수정보와 수신부(120)가 수신한 영상정보와 경기기록 생성부(130)가 생성한 해당 경기의 선수별 경기기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40)와,
    수신부(120)가 수신한 영상정보가 표시되고 선수별 해당 경기의 경기기록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방식의 기록용화면(500)이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부(150)와,
    상기 기록용화면(500)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에 해당하는 영상정보와 선수별 경기기록정보를 외부서버(20)로 전송하고 경기기록 생성부(130)가 생성한 해당 경기의 선수별 경기기록정보를 기록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전송부(160)와,
    복수의 카메라(200)에서 촬영된 영상의 영상데이타를 설정된 포맷 형식으로 변환 처리하는 포맷 통합부(180)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용화면(500)은,
    운동경기 종목에 해당하는 경기장 모양을 형상화한 경기장 화면(510)과,
    상기 경기장 화면(510) 상에 포지션별로 배치되는 복수의 선수 아이콘(520)과,
    경기 관련 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경기장 화면(510) 상의 일측에 표시되는 경기내용표시 아이콘(530)과,
    스트라이크, 볼, 파울, 폭투, 데드볼과 같은 투수의 투구내용을 표시하는 투구내용 아이콘(540)을 포함하며

    상기 경기기록 생성부(130)는 투수기록 생성부(131)와 공격수비기록 생성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투수기록 생성부(131)는,
    어느 한 타자에 대한 투수의 투구에 따라 투구내용 아이콘(540) 중 어느 한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해당 항목에 해당하는 투구내용을 해당 투수의 기록정보인 제1정보로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1정보 생성을 어느 한 타자에 대한 투구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하고, 어느 한 타자에 대한 투구가 종료되면 저장된 상기 제1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어느 한 타자에 대한 해당 투수의 기록정보인 제2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1정보 생성 및 저장과 상기 제2정보 생성 및 저장을 경기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하고, 경기가 종료될 때가지 생성 저장된 제1, 2정보들을 이용하여 해당 경기의 투수별 경기기록정보로 생성하여 저장하며,

    상기 공격수비기록 생성부(132)는,
    타자의 타격이 있고 기록용화면(500) 상의 복수의 선수 아이콘(520) 중 타자 아이콘과 타구가 향한 방향의 수비수 아이콘이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경우, 기록용화면(500) 상에 타격내용항목을 팝업시키고 팝업 된 타격내용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의 내용에 따라 해당 타자와 해당 수비수에 대한 기록정보인 제3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타자의 타격이 없고 기록용화면(500)상의 투구내용 아이콘(540) 중 어느 한 항목만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되어지는 내용에 따라 해당 타자에 대한 기록정보인 제4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3정보 생성과 저장 및 제4정보 생성 및 저장을 경기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하고, 경기가 종료될 때가지 생성 저장된 제3, 4정보들을 이용하여 해당 경기의 선수별 타격과 수비에 대한 경기기록정보로 생성하여 저장하며,

    상기 전송부(160)에 의해 외부서버(20)로 전송되는 선수별 경기기록정보는 경기기록 생성부(130)가 생성한 해당 경기의 선수별 경기기록정보 또는 기록관리서버(300)가 제공한 선수별 통합 경기기록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는 볼, 스트라이크, 파울, 데드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정보는 삼진, 포볼, 1루타, 2루타, 3루타, 홈런을 포함하고,
    상기 제3정보는 1루타, 2루타, 3루타, 홈런, 에러에 의한 진루, 병살타, 플라이아웃, 에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4정보는 삼진아웃, 포볼, 데드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기록 생성부(130)는,
    기록용화면(500) 상에 배치된 복수의 선수 아이콘(52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수별 경기기록 생성을 위한 경기기록 항목을 기록용화면(500) 상에 표시하고,
    상기 경기기록 항목 중 어느 하나의 세부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세부항목에 해당하는 기록이 선택된 선수 아이콘(520)에 해당하는 선수의 경기기록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용단말기(100)는 표시제어부(170)를 더 포함하고,
    기록용화면(500)은 메인 화면부(171)와 썸네일 화면부(172)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제어부(170)는 복수의 카메라(200)가 촬영한 영상 중 어느 한 영상은 상기 메인 화면부에 표시하고, 나머지 영상은 썸네일 화면부에 표시하며, 썸네일 화면부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 중 어느 하나가 터치 되면 터치 된 영상을 메인 화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160)가 외부서버(300)로 전송하는 영상정보는 기록용화면(500)의 메인 화면부(171)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
  8. 삭제
KR1020170176722A 2017-12-21 2017-12-21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 KR101976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722A KR101976354B1 (ko) 2017-12-21 2017-12-21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
US16/956,359 US20200320305A1 (en) 2017-12-21 2018-03-19 Sports game recording and broadcasting system using smart device
PCT/KR2018/003141 WO2019124640A1 (ko) 2017-12-21 2018-03-19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722A KR101976354B1 (ko) 2017-12-21 2017-12-21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354B1 true KR101976354B1 (ko) 2019-05-08

Family

ID=66580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722A KR101976354B1 (ko) 2017-12-21 2017-12-21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20305A1 (ko)
KR (1) KR101976354B1 (ko)
WO (1) WO201912464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530A (ko) 2020-07-29 2022-02-07 강성모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
KR102378738B1 (ko) * 2021-10-07 2022-03-28 주식회사 씨스토리 돔형 야구경기장의 스포테인먼트 야구리그 실시간 스트리밍 중계 시스템
KR20230091747A (ko) 2021-12-16 2023-06-23 주식회사 스포비 야구 경기의 스케줄링 정보를 통한 경기 영상 자동 획득 및 메이킹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406A1 (ja) * 2018-10-02 2020-04-09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情報提供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5974A (ko) 2012-03-19 2013-09-27 원지훈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야구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127030A (ko) 2013-04-24 2014-11-03 이석구 통합 야구기록 시스템
KR20150090984A (ko) 2014-01-29 2015-08-07 주식회사 예감 사회인 야구의 경기 중계방법 및 중계장치
KR101549882B1 (ko) * 2014-05-19 2015-09-03 (주)힘소프트 터치 모션 기반의 실시간 야구 경기 데이터 입력 방법
JP2016082350A (ja) * 2014-10-15 2016-05-16 みこらった株式会社 スポーツ競技ライブ観戦システム、スポーツ競技ライブ観戦システムの映像収集提供装置及び観戦者端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1562A (ko) * 2013-07-23 2015-02-02 주식회사 케이티 이벤트별 스포츠 경기의 기록과 동영상을 이용한 스포츠 경기 분석 시스템 및 방법
JP6398341B2 (ja) * 2014-06-09 2018-10-03 富士通株式会社 映像抽出方法、映像再生方法、プログラム、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5974A (ko) 2012-03-19 2013-09-27 원지훈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야구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127030A (ko) 2013-04-24 2014-11-03 이석구 통합 야구기록 시스템
KR20150090984A (ko) 2014-01-29 2015-08-07 주식회사 예감 사회인 야구의 경기 중계방법 및 중계장치
KR101549882B1 (ko) * 2014-05-19 2015-09-03 (주)힘소프트 터치 모션 기반의 실시간 야구 경기 데이터 입력 방법
JP2016082350A (ja) * 2014-10-15 2016-05-16 みこらった株式会社 スポーツ競技ライブ観戦システム、スポーツ競技ライブ観戦システムの映像収集提供装置及び観戦者端末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의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사회인 야구를 중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2의 발명은 사회인 야구 경기를 녹화하고 녹화 동영상을 스폰서의 매장 등을 통해 녹화중계토록 하여 사회인 야구 경기를 일반 대중 다수가 관람할 수 있게 하는 발명이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3의 발명은 사회인 야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통합 야구 경기기록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의 발명은 소수의 스마트장치 카메라로 경기 영상을 촬영하기 때문에 경기 영상이 입체적이지 못해 단조롭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2의 발명은 녹화 방송이기 때문에 박진감이 떨어지고, 스폰서의 광고내용을 입력하기 때문에 경기 내용에 몰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 3의 발명은 사회인 야구 경기를 기록하는 기능이 중시된 반면에, 경기를 중계하는 별도의 기능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530A (ko) 2020-07-29 2022-02-07 강성모 운동 경기 영상 촬영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경기 영상 관리 시스템
KR102378738B1 (ko) * 2021-10-07 2022-03-28 주식회사 씨스토리 돔형 야구경기장의 스포테인먼트 야구리그 실시간 스트리밍 중계 시스템
KR20230091747A (ko) 2021-12-16 2023-06-23 주식회사 스포비 야구 경기의 스케줄링 정보를 통한 경기 영상 자동 획득 및 메이킹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20305A1 (en) 2020-10-08
WO2019124640A1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3781B2 (en) Designing a real sports companion match-play crowdsourcing electronic game
KR101976354B1 (ko)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운동경기 기록 및 중계 시스템
US20130060362A1 (en) Predictive gaming
US20130095909A1 (en) Method for playing a sports game, and a gaming device
KR20010051324A (ko) 스포츠 예상게임장치, 방법, 기록매체 및 전송매체
JP2002335572A (ja) 移動体映像通信手段を用いた野球の観戦方法
WO2011004381A1 (en) A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roduction of rule based near live sports event in the form of a video film for entertainment
US8973083B2 (en) Phantom gaming in broadcast media system and method
KR20160023518A (ko) 실시간 분석 및 예측에 의한 참여형 스포츠 게임 시스템 및 스포츠 게임 방법
JP6218139B2 (ja) ゲーム管理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1941952B2 (en) Sports contest interface system and method
KR101660881B1 (ko) 스포츠 경기 기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1972471B1 (ko) 멀티미디어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스포츠 경기기록 생성방법
JP6140846B2 (ja) オンラインとオフラインとが組合せられたミニサッカーゲームの支援システム
US201403090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ucting Interactive Fantasy Sports Games
US9210473B2 (en) Phantom gaming in a broadcast media, system and method
US201600231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live action sports game
KR20210139021A (ko) 회원간에 이루어지는 스포츠 게임 관리 시스템
US20140200076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bjective fantasy sporting contests
US20020107059A1 (en) Method of proceeding with a game while incorporating other elements into the actual game
KR101264477B1 (ko) 경기장 평면상의 선수 위치를 표시하는 경기중계 보조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
US11570511B2 (en) Composite video competition
KR20150006624A (ko) 양방향 스포츠 경기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90031619A (ko) 투구단위의 야구경기정보 기록방법
JP2002101400A (ja) 実際の競技に他の要素を取り込み競技を進行させ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