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382A - 의약품 발송검수기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 - Google Patents

의약품 발송검수기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382A
KR20110101382A KR1020100020348A KR20100020348A KR20110101382A KR 20110101382 A KR20110101382 A KR 20110101382A KR 1020100020348 A KR1020100020348 A KR 1020100020348A KR 20100020348 A KR20100020348 A KR 20100020348A KR 20110101382 A KR20110101382 A KR 20110101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recognition
antenna
medicin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0343B1 (ko
Inventor
남궁광
Original Assignee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0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343B1/ko
Publication of KR20110101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41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 G06K7/104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rranged for interrogation of record carriers passing by the interrogation device
    • G06K7/1043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rranged for interrogation of record carriers passing by the interrogation devic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positioned close to a conveyor belt or the like on which moving record carriers are passing
    • G06K7/1044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rranged for interrogation of record carriers passing by the interrogation devic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positioned close to a conveyor belt or the like on which moving record carriers are passing the record carriers being fixed to further objects, e.g. RFIDs fixed to packages, luggage, mail-pieces or work-pieces transported on a conveyor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발송 검수장치는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의약품이 수납되어 수요처로 발송될 박스가 이송되는 이송라인과, 이송라인 중에 위치하여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를 인식하는 안테나와, 안테나를 수용하며 전파를 차폐하는 차폐쉘과, 안테나에 의하여 인식된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의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기와, 리더기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박스에 수납된 의약품의 종류 및 수량의 확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수납된 의약품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박스용 무선인식태그가 부착된 박스가 이송되는 이송라인과, 이송라인 중에 위치하여 박스용 무선인식태그를 인식하는 박스인식용 안테나와, 박스인식용 안테나를 수용하며 전파를 차폐하는 차폐쉘과, 박스인식용 안테나에 의하여 인식된 박스용 무선인식태그의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기와, 리더기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박스에 수납된 상기 의약품의 종류 및 수량의 확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발송 검수방법은 수요처의 주문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박스용 무선인식태그가 부착된 박스가 차폐쉘로 이송되는 단계와, 차폐쉘 내부의 박스인식용 안테나에 의하여 박스용 무선인식태그가 인식되는 단계와, 리더기에 의하여 박스인식용 안테나에 의하여 인식된 박스용 무선인식태그의 정보가 판독되는 단계와, 리더기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박스에 수납된 의약품의 종류 및 수량의 확인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발송검수기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은 의약품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입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어 의약품의 발송과정에서 작업자의 노동력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의약품의 효율적인 관리 및 관리착오 감소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약품 발송검수기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SHIPMENT VERIFICATION EQUIPMENT FOR MEDICAL SUPPLIES AND SHIPMENT VERIFICATION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의약품 발송검수기에 관한 것으로, 무선인식태그(RFID Tag)가 부착된 의약품 포장 박스를 박스 단위로 인식하여, 박스에 수납된 의약품의 확인 및 배송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의약품 발송검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약품의 생산, 입출, 및 관리는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거나, 단일 제품의 표면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처리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의약품 도소매처 등의 수요처에 의약품을 공급할 경우, 의약품 도소매처에서 요구하는 의약품의 종류 및 수량에 맞추어 각각 박스포장을 하고, 각 박스에 요구된 의약품의 종류 및 수량이 수납되어 있는지를 각각 수작업으로 확인하여 관리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의약품의 관리는 작업자의 고용에 따른 인건비의 상승과 함께 작업자의 작업시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의약품의 입출의 부정확한 관리가 항상 문제점으로 제기되어 왔으며, 의약품 각각에 낙인된 바코드를 활용하더라도 바코드가 갖는 단점, 즉 장애물에 취약하고 인식거리가 짧은 문제 등으로 인하여 대량의 의약품 유통과정에는 사용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의약품 유통에 있어서, 무선인식태그(RFID Tag)를 이용하여 단일박스에 수납된 의약품의 종류 및 수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약품의 효과적인 입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의약품 발송검수기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발송검수기는,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의약품이 수납되어 수요처로 발송될 박스가 이송되는 이송라인과, 이송라인 중에 위치하여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를 인식하는 안테나와, 안테나를 수용하며 전파를 차폐하는 차폐쉘과, 안테나에 의하여 인식된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의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기와, 리더기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박스에 수납된 의약품의 종류 및 수량의 확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송라인은 상측에서 상기 박스가 이송되도록 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폐쉘은, 박스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개구부가 마련되고, 개구부에는 상기 박스의 출입시에 개폐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여기서, 박스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도어의 전방에는 센서가 마련되고, 센서가 상기 박스를 감지할 때, 도어를 열 수 있으며, 박스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도어의 후방에는 센서가 더 마련되고, 센서가 박스를 감지할 때, 도어를 닫을 수 있다.
이 때, 도어는 차폐쉘의 이송라인의 입구측 도어이고, 센서가 박스를 감지할 때, 안테나의 작동이 개시될 수 있다.
또한, 차폐쉘은, 박스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개구부가 마련되고, 개구부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된 수직발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안테나는 상기 롤러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박스에는 박스용 무선인식태그가 부착되고, 안테나는 박스용 무선인식태그를 더 인식하며, 리더기는 상기 안테나에 의하여 인식된 박스용 무선인식태그의 정보를 더 판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발송검수기는 수납된 의약품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박스용 무선인식태그가 부착된 박스가 이송되는 이송라인과, 이송라인 중에 위치하여 박스용 무선인식태그를 인식하는 박스인식용 안테나와, 박스인식용 안테나를 수용하며 전파를 차폐하는 차폐쉘과, 박스인식용 안테나에 의하여 인식된 박스용 무선인식태그의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기와, 리더기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박스에 수납된 의약품의 종류 및 수량의 확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의약품에는 각각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가 부착되고,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를 인식하는 의약품인식용 안테나와, 의약품인식용 안테나에 의하여 인식된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의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기를 더 포함하고, 차폐쉘은 의약품인식용 안테나를 더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차폐쉘은, 박스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개구부가 마련되고, 개구부에는 박스의 출입시에 개폐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박스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도어의 전방에는 센서가 마련되고,센서가 박스를 감지할 때, 도어를 열 수 있으며, 도어는 차폐쉘의 이송라인의 입구측 도어이고, 센서가 박스를 감지할 때, 박스인식용 안테나와 의약품인식용 안테나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이 개시될 수 있다.
또한, 박스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도어의 후방에는 센서가 마련되고, 센서가 박스를 감지할 때, 도어를 닫을 수 있다.
또한, 차폐쉘은, 박스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개구부가 마련되고, 개구부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된 수직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의약품인식용 안테나는 상기 이송라인 중에 위치하고, 박스인식용 안테나와 의약품인식용 안테나의 사이에는 박스의 이송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더 포함되고, 센서가 박스의 이송을 감지할 때, 박스인식용 안테나 및 의약품인식용 안테나의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정지함과 동시에 박스인식용 안테나 및 의약품인식용 안테나의 다른 하나의 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박스인식용 안테나 및 의약품인식용 안테나의다른 하나의 후방에는 박스의 이송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더 포함되고, 센서가 박스의 이송을 감지할 때, 박스인식용 안테나 및 의약품인식용 안테나의 다른 하나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발송 검수방법은 수요처의 주문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박스용 무선인식태그가 부착된 박스가 차폐쉘로 이송되는 단계와, 차폐쉘 내부의 박스인식용 안테나에 의하여 박스용 무선인식태그가 인식되는 단계와, 리더기에 의하여 박스인식용 안테나에 의하여 인식된 박스용 무선인식태그의 정보가 판독되는 단계와, 리더기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박스에 수납된 의약품의 종류 및 수량의 확인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의약품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가 의약품인식용 안테나에 의하여 인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리더기는 약품인식용 안테나에 의하여 인식된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의 정보를 더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에는 의약품의 종류정보가 수록되고, 의약품의 종류정보와 수요처의 주문정보가 비교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약품의 종류정보와 수요처의 주문정보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박스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발송검수기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은 의약품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입출기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어 의약품의 발송과정에서 작업자의 노동력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의약품의 효율적인 관리 및 관리착오 감소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발송검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발송검수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발송검수기의 도어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발송검수기의 도어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발송검수기의 수직발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발송 검수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발송 검수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약품 발송검수기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발송 검수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발송검수기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발송 검수방법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발송검수기는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가 부착되어 있는 의약품(7)이 수납되어 있는 박스(1)가 이송되는 이송라인(30, 32)과, 이송라인(30, 32) 중에 위치하여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를 인식하는 안테나(22)와, 안테나(22)를 수용하며 전파를 차폐하는 차폐쉘(20)과, 안테나(22)에 의하여 인식된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의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기(미도시)와, 리더기로부터 판독된 정보, 즉 박스(1)에 수납된 의약품(7)의 종류 및 수량의 확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P)를 포함한다.
차폐쉘(20)은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가 인식되는 동안 안테나(22)와 상자(1)를 외부 전파로부터 차폐하는 기능을 하며, 사각 또는 반원형 박스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나 차폐쉘(20)의 내면은 전파가 반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는 박스(1) 내에 수납되는 의약품(7)에 마련되어 있다. 의약품(7)은 액제 또는 분말제 등을 수용하는 병 등의 용기일 수도 있고, 이러한 병 또는 알약을 담고 있는 박스의 형태일 수도 있으나, 본 발명과 관련하여서는 의약품(7)으로 통칭하도록 한다. 또한, 도 1에서는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가 의약품(7)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의약품(7)의 내부내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그 부착위치는 도 1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는 일명 RFID(알에프아이디) 태그로 불리며, 인식거리(∠500cm)도 길고 비접촉식이므로 장애물에 대해 비교적 자유롭고, 동시에 300~500개의 제품을 리딩할 수 있으며, 개별제품코드의 부여가 가능하다.
이러한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가 부착되어 있는 의약품(7)은 수요처, 예를 들어 의약 도매점의 도매처 또는 일반 약국 등의 소매처의 주문에 따라 그 종류와 수량이 정해져, 박스(1)에 수용된 채로 이러한 도소매처에 인도되게 된다. 이러한 박스(1)는 도소매처로 인도되기 전에 내부 의약품(7)의 종류 및 수량이 검수되어 인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박스(1)를 이송시키는 이송라인(30, 32)이 마련된다.
이송라인(30, 32)은 박스(1)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약품 발송검수기(10)의 개수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도 2에서는 의약품 발송검수기(10)가 2개 병렬로 나열되어 배치된 경우의 이송라인(30, 32)을 도시한 것이다.
이송라인(30, 32)은 가이드 롤러(32)가 연속적으로 마련된 구조에서 롤러(32)의 회전에 의하여 이송될 수 있다. 하지만, 롤러(32)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컨베이어 벨트(미도시) 등의 다양한 구성을 채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박스(1)는 내외 전파를 차폐하는 차폐쉘(20)의 내부로 이송되는데, 차폐쉘(20)의 내부에는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를 인식하는 안테나(22)가 위치할 수 있다. 안테나(22)는 박스(1) 내에 위치하는 의약품(7)에 부착되어 있는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를 인식하는 역할을 하며, 이송라인(30, 32)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안테나(22)의 상부를 지나가는 박스(1) 내부의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의 인식이 가능하다.
차폐쉘(20)은 안테나(22)에서 발생하는 전파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안테나에 의한 인식 중 외부 전파에 의하여 인식률이 저하되지 않도록 전파를 차폐할 수 있는 재질 및 구조를 갖는다.
또한, 차폐쉘(20)은, 박스(1)가 입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I, O)가 마련되며, 개구부(I, O)에는 각각 도어(100)가 마련된다. 이는 박스(1)가 차폐쉘(20)의 내부에 위치하고, 안테나(22)에 의하여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가 인식되는 과정에서 차폐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인식 과정 중에는 도어(100)는 닫혀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어(100)는 개구부(I)의 네(4) 측면 중 어느 일측에 위치하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하나(1)의 도어(100)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둘(2) 이상의 도어(100)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슬라이드 형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에는 도어(100)가 열릴 경우, 도어(10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00)의 개폐를 위하여, 차폐쉘(20)의 입구측 개구부(I)에는 센서(S1)가 마련되고, 센서(S1)가 박스를 감지할 때, 차폐쉘(20)의 입구측 도어(100)가 개방될 수 있다. 센서(S1)의 감지에 의하여 입구측 도어(100)가 개방되는 구조는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나, 예를 들어, 센서(S1)는 적외선 센서이고, 박스(1)의 이동에 의하여 센서(S1)의 검출치에 변화가 발생하면, 이러한 변화가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고, 제어부는 피스톤 등의 액추에이터(미도시)의 구동부 작동을 통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박스(1)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도어(100)의 후방에는 센서(S2)가 더 마련되고, 센서(S2)가 박스(1)의 이동을 검지할 때, 입구측에서 개방되어 있는 도어(100)를 닫을 수 있으며, 이 때, 동시에 안테나(22)의 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 이는 안테나(22)를 차폐쉘(20)이 차폐되었을 경우에만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러한 센서(S2)에 의하여 입구측 도어(100)를 닫는 구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와 구동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입구측 도어(100)가 닫힌 후에 안테나(22)의 작동이 개시되도록 센서(S2)가 박스(1)를 검지할 때, 입구측 도어(100)가 닫히고, 안테나(22)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입구측 도어(100)가 닫히는 것과 안테나(22)가 작동되는 시간 간격은 상자(1)의 이송속도를 고려한 기 설정된 간격이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입구측 도어(100)가 닫힘과 동시에 안테나(22)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안테나(22)가 작동되어 상자(1) 내부의 의약품(7)에 부착되어 있는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를 안테나(22)가 인식하는 동안 차폐쉘(20)은 전자 차폐될 수 있다.
차폐쉘(20)에서 박스(1) 입구측 개방구(I)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박스(1) 출구측 개방구(O)에도 마찬가지로 도어(100)가 마련될 수 있다. 차폐쉘(20)에서 박스(1) 출구측 개방구(O)에서는 상자(1)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출구측 개방구(O)의 전방에 마련된 센서(S4)가 박스(1)를 검지할 때 출구측 도어(100)를 개방하고, 출구측 개방구(O)의 후방에 마련된 센서(S5)가 박스(1)를 검지할 때 출구측 도어(100)를 닫을 수 있다. 여기서, 개방구(O)의 전방에 마련된 센서(S4)가 박스(1)를 검지할 때, 출구측 도어(100)가 개방됨과 동시에 또는 기 설정된 시간간격을 두고 안테나(22)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박스(1)가 차폐쉘(20)의 내부로 진입할 때, 차폐쉘(20)에 마련된 개구부(I, O)에 도어(100)가 마련되고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른 구동부(미도시)의 작동에 의하여 도어가 개폐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쉘(20)의 개방구(I, O)에는 상측에 힌지(210)가 마련되고, 힌지(210)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함과 동시에 중력에 의하여 개방구(I, O) 상측에 대하여 아래로 향하고 있는 도어(200)가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1)의 진입에 따라 도어(200)는 힌지(210)에 대하여 회동하면서, 개방구(I, O)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차폐쉘(20)의 개방구(I, O)의 측면에 힌지(미도시)가 마련됨과 동시에 스프링 등의 탄성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지지되어 개방구(I, O)를 차폐하고 있다가, 상자(1)의 진입에 따라 탄성수단의 압축 또는 팽창되어 상자(1)의 차폐쉘(20) 진입을 허용하고, 상자(1)의 진입이 완료된 후, 탄성수단의 복귀에 의하여 다시 차폐쉘(20) 개방구(I, O)를 차폐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쉘(20)의 개구부(I, O)에는 상측으로부터 연장된 수직발(300)이 마련되고, 상자(1)의 진입에 따라 수직발(300)이 상자(1)에 의하여 밀림과 동시에 상자(1)의 측방으로 갈리면서 상자(1)의 진입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수직발(300)은 도어(100, 200)와 함께 마련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직발(300)이 도어(100, 200)의 역할을 하여 차폐쉘(20)을 차폐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차폐쉘(20) 내부에 수용되는 안테나(22)는 이송라인(30, 32)의 하측, 구체적으로 롤러(3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롤러(32)의 하측에서 상방으로 전파를 발산하여, 상자(1) 내 의약품(7)에 부착되어 있는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를 인식하고, 이를 리더기(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리더기(미도시)는 차폐쉘(20) 내외부에 안테나(2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안테나(22)에 의하여 인식된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의 정보를 판독하게 되며, 일반적인 무선인식태그 내지 RFID 태그를 판독할 수 있는 리더기의 구성을 가진다. 또한, 리더기는 판독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P)로 전달하게 되는데, 박스(1)에 수납되어 있는 의약품의 종류 및 수량 등이 디스플레이부(P)에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이로써, 도소매처의 주문정보에 맞추어 상자(1)에 의약품이 정확히 수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디스플레이부(P)와 연결된 프로세스부(미도시)에서 도소매처의 주문정보에 맞추어 설정된 의약품 종류 및 수량과 리더기에 의하여 판독된 상자(1) 내의 의약품 종류 및 수량을 비교하여 정확한 수납여부를 확인하여 확인정보를 디스플레이부(P)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P)는 CRT 또는 LCD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박스(1)에는 박스용 무선인식태그(도 5의 참조번호 3 참조)가 부착되고, 안테나(22)가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를 더 인식하고, 리더기가 안테나(22)에 의하여 인식된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의 정보를 더 판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에는 도소매처의 정보 및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의약품(7)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을 수 있다. 안테나(22)는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에 수록되어 있는 이 정보를 인식하고, 이 정보는 리더기에 의하여 판독됨으로써,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에 의하여 박스(1) 내의 의약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3) 뿐만 아니라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를 통하여 박스(1)내 의약품(7)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와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로 확인된 정보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는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 정보와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동 상자(1)를 정상적 상자로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동 상자(1)를 비정상적인 상자로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발하게 된다.
이 때, 정상/비정상 여부에 따라 상자(1)의 발송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비정상적인 상자의 경우에는 이송라인에서 배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도 3에서는 안테나(22, 24)가 2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안테나(22) 1개에서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 및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때,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와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에는 이들을 구별시킬 수 있는 인식코드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박스(1)에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가 부착되며,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에서는 도소매처의 정보 및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의약품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발송검수기는 수납된 의약품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가 부착된 박스(1)가 이송되는 이송라인(30, 32)과, 이송라인(30, 32) 중에 위치하여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를 인식하는 박스인식용 안테나(24)와, 박스인식용 안테나(24)를 수용하며, 전파를 차폐하는 차폐쉘(20)과, 박스인식용 안테나(24)에 의하여 인식된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의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기(미도시)와, 리더기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박스(1)에 수납된 의약품의 종류 및 수량의 확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P)를 포함한다.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에는 도소매처의 정보 및 박스(1) 내에 수납되어 있는 의약품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을 수 있으며, 수납되어 있는 의약품은 동일한 의약품일 수도 있고, 종류가 다른 의약품일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차폐쉘(20) 내부에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를 인식하는 박스인식용 안테나(24)가 수용되고, 박스인식용 안테나(24)는 이송라인(30, 32), 구체적으로 롤러(32)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쉘(20) 내부에는 의약품인식용 안테나(22)도 함께 수용되고, 상자(1)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의약품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를 인식하고, 이렇게 인식된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의 정보를 리더기를 통하여 판독할 수 있다.
이 때, 박스(1)에 부착되어 있는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에는 의약품 정보 중 도소매처의 정보만을 담고 있을 수 있으며, 또는, 도소매처의 정보 및 주문한 의약품의 종류 및 수량의 정보도 담고 있어,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에 의하여 인식된 박스(1) 내 수용되어 있는 의약품의 정보와 비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차폐쉘(20) 내부에 수용되는 의약품인식용 안테나(22) 및 박스인식용 안테나(24)는 이송라인(30, 32)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전후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방향에 대하여 박스인식용 안테나(24)가 의약품인식용 안테나(22)의 전방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의약품인식용 안테나(22)가 박스인식용 안테나(24)의 전방에 위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인식용 안테나(24)와 의약품인식용 안테나(22)의 사이에는 센서(S3)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박스인식용 안테나(24)와 의약품인식용 안테나(22)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센서(S3)가 박스를 감지하면, 작동되었던 박스인식용 안테나(24)의 작동을 정지하고, 의약품인식용 안테나(22)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되며, 역으로 의약품인식용 안테나(22)가 이송방향에 대하여 박스인식용 안테나(24)의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의약품인식용 안테나(22)의 작동을 정지하고, 박스인식용 안테나(24)의 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박스인식용 안테나(24) 및 의약품인식용 안테나(22) 중 이송방향에 대하여 후방에 위치하는 안테나의 후방에는 센서(S4, S5)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와 그 기능 및 동작이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 7 또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발송 검수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발송 검수방법은 수요처의 주문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박스용 무선인식태그가 부착된 박스가 차폐쉘로 이송되는 단계((ST1)와, 차폐쉘 내부의 박스인식용 안테나에 의하여 박스용 무선인식태그가 인식되는 단계(ST2)와,리더기에 의하여 상기 박스인식용 안테나에 의하여 인식된 박스용 무선인식태그의 정보가 판독되는 단계(ST3)와, 리더기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박스에 수납된 상기 의약품의 종류 및 수량의 확인정보가 디스플레이(ST4)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박스용 무선인식태그가 부착된 박스(1)가 차폐쉘(도 2의 참조번호 20)로 이송되는 단계(ST1)에서 박스(1)의 이송은 롤러(32) 등의 이송수단으로 달성되며, 차폐쉘 내부에서 박스인식용 안테나(24)에 의하여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가 인식(ST2)되게 된다. 차폐쉘(20)은 박스인식용 안테나(24)에 의하여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가 인식되는 과정 중에 내외부 전파를 서로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로써, 박스인식용 안테나(24)에 의한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박스인식용 안테나(24)에 의하여 인식된 정보는 리더기(미도시)에 의하여 판독(ST3)되게 되며, 이렇게 판독된 정보는 디스플레이(ST4)되게 된다. 여기서, 판독된 정보는 박스(1)에 수납되어 있는 의약품의 종류 및 수량의 확인정보 일수 있으며, 이는 도소매처의 주문정보와 비교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쉘(20) 내부에서 의약품(7)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가 의약품인식용 안테나(22)에 의하여 인식되는 단계(ST2a)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로써, 박스(1) 내에 수납되어 있는 의약품(7) 개개의 정보가 취합될 수 있다. 이 때,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에 수록된 정보는 박스(1)가 전달될 수요처의 주문정보를 수록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에는 해당 의약품의 종류 등의 정보를 수록하고 있어, 박스용 무선인식태그(3)에 수록된 정보와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5)에 수용된 정보가 서로 비교될 수 있으며, 이로써, 수요처의 주문정보와, 박스(1) 내 수납된 의약품의 정보를 일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의약품의 종류 등의 정보가 수요처의 주문정보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검수된 박스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동 박스를 배출시키는 배출라인(도 2의 E)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약품 발송검수기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발송 검수방법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 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명백하다.
1: 박스
3: 박스용 무선인식태그
5: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
7: 의약품
20: 차폐쉘
22, 24: 안테나
32: 롤러
100, 200: 도어
210: 힌지
300: 수직발

Claims (24)

  1.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의약품이 수납되어 수요처로 발송될 박스가 이송되는 이송라인과,
    상기 이송라인 중에 위치하여 상기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를 인식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수용하며 전파를 차폐하는 차폐쉘과,
    상기 안테나에 의하여 인식된 상기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의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기와,
    상기 리더기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박스에 수납된 상기 의약품의 종류 및 수량의 확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의약품 발송검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은 상측에서 상기 박스가 이송되도록 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의약품 발송검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쉘은,
    상기 박스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박스의 출입시에 개폐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의약품 발송검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의약품 발송검수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도어의 전방에는 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센서가 상기 박스를 감지할 때, 상기 도어를 여는
    의약품 발송검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도어의 후방에는 센서가 더 마련되고,
    상기 센서가 상기 박스를 감지할 때, 상기 도어를 닫는
    의약품 발송검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차폐쉘의 상기 이송라인의 입구측 도어이고,
    상기 센서가 상기 박스를 감지할 때,
    상기 안테나의 작동이 개시되는
    의약품 발송검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쉘은,
    상기 박스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된 수직발을 포함하는
    의약품 발송검수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롤러의 하측에 위치하는
    의약품 발송검수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에는 박스용 무선인식태그가 부착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박스용 무선인식태그를 더 인식하며,
    상기 리더기는 상기 안테나에 의하여 인식된 상기 박스용 무선인식태그의 정보를 더 판독하는
    의약품 발송 검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 정보 및 상기 박스용 무선인식태그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 정보와 상기 박스용 무선인식태그의 정보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의약품 발송 검수기.
  12. 수납된 의약품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박스용 무선인식태그가 부착된 박스가 이송되는 이송라인과,
    상기 이송라인 중에 위치하여 상기 박스용 무선인식태그를 인식하는 박스인식용 안테나와,
    상기 박스인식용 안테나를 수용하며 전파를 차폐하는 차폐쉘과,
    상기 박스인식용 안테나에 의하여 인식된 상기 박스용 무선인식태그의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기와,
    상기 리더기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박스에 수납된 상기 의약품의 종류 및 수량의 확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의약품 발송검수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에는 각각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가 부착되고,
    상기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를 인식하는 의약품인식용 안테나와, 상기 의약품인식용 안테나에 의하여 인식된 상기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의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쉘은 상기 의약품인식용 안테나를 더 수용하는
    의약품 발송검수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쉘은,
    상기 박스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박스의 출입시에 개폐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의약품 발송검수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도어의 전방에는 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센서가 상기 박스를 감지할 때, 상기 도어를 여는
    의약품 발송검수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차폐쉘의 상기 이송라인의 입구측 도어이고,
    상기 센서가 상기 박스를 감지할 때, 상기 박스인식용 안테나와 상기 의약품인식용 안테나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이 개시되는
    의약품 발송검수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도어의 후방에는 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센서가 상기 박스를 감지할 때, 상기 도어를 닫는
    의약품 발송검수기.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쉘은,
    상기 박스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된 수직발을 포함하는
    의약품 발송검수기.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인식용 안테나는 상기 이송라인 중에 위치하고,
    상기 박스인식용 안테나와 상기 의약품인식용 안테나의 사이에는 상기 박스의 이송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더 포함되고,
    상기 센서가 상기 박스의 이송을 감지할 때, 상기 박스인식용 안테나 및 상기 의약품인식용 안테나의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정지함과 동시에 상기 박스인식용 안테나 및 상기 의약품인식용 안테나의 다른 하나의 작동을 개시하는
    의약품 발송검수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인식용 안테나 및 상기 의약품인식용 안테나의 다른 하나의 후방에는 상기 박스의 이송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더 포함되고,
    상기 센서가 상기 박스의 이송을 감지할 때, 상기 박스인식용 안테나 및 상기 의약품인식용 안테나의 다른 하나의 작동을 정지하는
    의약품 발송검수기.
  21. 수요처의 주문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박스용 무선인식태그가 부착된 박스가 차폐쉘로 이송되는 단계와,
    상기 차폐쉘 내부의 박스인식용 안테나에 의하여 상기 박스용 무선인식태그가 인식되는 단계와,
    리더기에 의하여 상기 박스인식용 안테나에 의하여 인식된 상기 박스용 무선인식태그의 정보가 판독되는 단계와,
    상기 리더기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박스에 수납된 상기 의약품의 종류 및 수량의 확인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약품 발송 검수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가 의약품인식용 안테나에 의하여 인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더기는 약품인식용 안테나에 의하여 인식된 상기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의 정보를 더 판독하는
    의약품 발송 검수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용 무선인식태그에는 상기 의약품의 종류정보가 수록되고,
    상기 의약품의 종류정보와 상기 수요처의 주문정보가 비교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약품 발송 검수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약품의 종류정보와 상기 수요처의 주문정보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박스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약품 발송 검수방법.
KR1020100020348A 2010-03-08 2010-03-08 의약품 발송검수기 KR101200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348A KR101200343B1 (ko) 2010-03-08 2010-03-08 의약품 발송검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348A KR101200343B1 (ko) 2010-03-08 2010-03-08 의약품 발송검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382A true KR20110101382A (ko) 2011-09-16
KR101200343B1 KR101200343B1 (ko) 2012-11-12

Family

ID=44953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348A KR101200343B1 (ko) 2010-03-08 2010-03-08 의약품 발송검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3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374B1 (ko) * 2013-04-17 2014-06-17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박스 검수기 및 검수방법
KR101412178B1 (ko) * 2012-09-26 2014-06-25 손영전 박스포장 관리장치
KR20150038785A (ko) * 2013-09-30 2015-04-09 서울메트로 철도차량 부품이력 및 상태진단 관리 분석 시스템
KR101635836B1 (ko) * 2015-03-13 2016-07-04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검수 장치 및 방법
KR200481743Y1 (ko) * 2015-07-24 2016-11-07 (주)쿼티시스템 의약품 2차원 바코드 일괄 수집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0556A1 (en) 2005-01-18 2006-08-03 Lexin Technology Inc. System for detecting an RFID tag
JP2007233571A (ja) 2006-02-28 2007-09-13 Sato Corp 薬品情報入手システム及び薬品情報入手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178B1 (ko) * 2012-09-26 2014-06-25 손영전 박스포장 관리장치
KR101407374B1 (ko) * 2013-04-17 2014-06-17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박스 검수기 및 검수방법
KR20150038785A (ko) * 2013-09-30 2015-04-09 서울메트로 철도차량 부품이력 및 상태진단 관리 분석 시스템
KR101635836B1 (ko) * 2015-03-13 2016-07-04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검수 장치 및 방법
KR200481743Y1 (ko) * 2015-07-24 2016-11-07 (주)쿼티시스템 의약품 2차원 바코드 일괄 수집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343B1 (ko)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8822B2 (en) Automatic distributed vending system
US8141330B2 (en) Systems and methods of automated tablet dispensing, prescription filling, and packaging
KR101754403B1 (ko) 의약품 중량 자동 검수 시스템
CN103995949A (zh) 用于防止药物分配错误的药物分配设备
US9717652B2 (en) Add-on unit for a handheld container for storing objects
KR101200343B1 (ko) 의약품 발송검수기
US8542099B2 (en) Systems and processes for tracking items
KR101156580B1 (ko) 자동 물류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10325074B2 (en) Quality of prescription medications and quality of customer services at pharmacies using adaptable automatic distributed vending system
CN109070142A (zh) 利用可动态配置的分拣阵列分拣物品的物料处理设备和方法
US20120290129A1 (e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with a control process that inspects different medications
US8527090B2 (e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storage and/or retrieval of unit dose medications
CA2964901C (en) Remote filling, tracking and verification of pharmacy supply containers
CN101484373A (zh) 用于销售物品的自动化仓库
KR20050096182A (ko) 정제약과 같은 분포 물품의 검사장치
US10435192B2 (en) Multiple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that inspects different medications
JP2021166858A (ja) 薬剤取扱装置
KR101613120B1 (ko) 바코드 검사 시스템
US2019036719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pharmaceutical container sorting
KR101452909B1 (ko) 무선식별 태그 검수장치
TW202108454A (zh) 電子標籤附接系統、電子標籤檢查系統、以及電子標籤附接方法及檢查方法
CA3020409A1 (en) Conveyors for sorting products
KR20110101383A (ko) 의약품 발송검수기 이송장치
JP4772763B2 (ja) オーダー揃えシステム
KR101243095B1 (ko) 약품 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