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8968A - 저벽 되접힘 용기 - Google Patents

저벽 되접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968A
KR20110098968A KR1020117017397A KR20117017397A KR20110098968A KR 20110098968 A KR20110098968 A KR 20110098968A KR 1020117017397 A KR1020117017397 A KR 1020117017397A KR 20117017397 A KR20117017397 A KR 20117017397A KR 20110098968 A KR20110098968 A KR 20110098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wall
bottom wall
circumferentia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7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3860B1 (ko
Inventor
시게오 이이즈카
시게루 하야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18058A external-priority patent/JP51964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98655A external-priority patent/JP53444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99688A external-priority patent/JP525250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10098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92Foldable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를 적재한 경우의 안정성이 뛰어나고 저벽의 강도가 크며 잔량을 최대한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비용 저감도 꾀할 수 있는 저벽 되접힘 용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저벽 되접힘 용기는 저벽(4)을 몸체부(2)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시킨 제1 형태(A)와 상기 저벽(4)을 상기 몸체부(2) 내로 되접은 제2 형태(B)를 갖는 저벽 되접힘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저벽(4)과 몸체부(2)의 경계부를 절곡하여 외방으로 볼록한 되접힘 홈(15)을 둘레에 형성하고 그 되접힘 홈을 되접음으로써 상기 저벽(4)을 상기 몸체부(2) 내로 되접는다.

Description

저벽 되접힘 용기{CONTAINER WITH FOLDED-BACK BOTTOM WALL}
본 발명은 성형 후에 저벽을 몸체부 내로 되접는 저벽 되접힘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몸체부에 장착시킨 액체 토출 펌프로부터 몸체부 내로 빨아올림 파이프를 내려뜨린 저벽 되접힘 용기에 관한 것이다.
몸체부 상단에서 기립되는 구경부에 액체 토출 펌프를 장착시키고 그 액체 토출 펌프로부터 몸체부 내로 빨아올림 파이프를 내려뜨리고 액체 토출 펌프를 작동시켜서 빨아올림 파이프를 통해 빨려올라간 몸체부 내의 액체를 토출 가능하게 형성한 빨아올림 파이프 부착 용기가 종래 기술로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08-230961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0-194317호
그러나 종래 기술은 몸체부 내의 액체 잔량을 가능한 한 적게 하기 위해 빨아올림 파이프를 절곡하여 그 하단을 몸체부의 저벽 가장자리에 위치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빨아올림 파이프를 절곡하기 위해서는 전용 설비가 필요해져 비용 증대를 초래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용기를 적재한 경우의 안정성이 뛰어나고 저벽의 강도가 크며 잔량을 최대한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비용 저감도 꾀할 수 있는 저벽 되접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저벽을 몸체부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시킨 제1 형태(A)와 상기 저벽을 상기 몸체부 내로 되접은 제2 형태(B)를 갖는 저벽 되접힘 용기로서, 상기 저벽과 몸체부의 경계부를 절곡하여 외방으로 볼록한 되접힘 홈을 둘레에 형성하고 그 되접힘 홈을 되접음으로써 상기 저벽을 상기 몸체부 내로 되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벽 되접힘 용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벽을 상기 몸체부 내로 되접을 때 되접힘선이 상기 되접힘 홈의 개구 위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되접힘 홈의 단면 형상이 U자형 내지 ㄷ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몸체부 상단에서 기립되는 구경부에 액체 토출 펌프를 장착시키고 그 액체 토출 펌프로부터 몸체부 내로 빨아올림 파이프를 내려뜨리고 액체 토출 펌프를 작동시켜서 빨아올림 파이프를 통해 빨려올라간 몸체부 내의 액체를 토출 가능하게 형성하며, 상기 몸체부의 저벽은 상기 몸체부 하단으로부터 몸체부 내로 원추사다리 둘레벽을 기립시켜 그 둘레벽 상면을 비스듬히 하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고 또한 그 둘레벽 상면을 오목하게 만들어 액 고임부로 형성하고, 그 액 고임부 내에 상기 빨아올림 파이프의 하단을 내려뜨린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2 형태(B)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폭 축소부를 형성하여 그 폭 축소부로부터 하방의 몸체부 부분을 상기 원추사다리 둘레벽의 하부에 접촉시켜 적재용 다리 튜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벽을 몸체부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시킨 제1 형태(A)와 상기 저벽을 상기 몸체부 내로 되접은 제2 형태(B)를 가짐과 함께 상기 몸체부 상단에서 기립되는 구경부에 액체 토출 펌프를 장착시키고 그 액체 토출 펌프로부터 몸체부 내로 빨아올림 파이프를 내려뜨리고 액체 토출 펌프를 작동시켜서 빨아올림 파이프를 통해 빨려올라간 몸체부 내의 액체를 토출 가능하게 하는 저벽 되접힘 용기로서, 상기 제2 형태(B)는 상기 몸체부 하단으로부터 몸체부 내로 원추사다리 둘레벽을 기립시켜 그 둘레벽 상면을 비스듬히 하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고 또한 그 둘레벽 상면을 오목하게 만들어 액 고임부를 형성하고, 상기 원추사다리 둘레벽의 외면과 상기 몸체부의 내면의 간극(S)에 잔류한 액체가 상기 원추사다리 둘레벽의 상단을 타넘어 액 고임부 내로 유입 가능하게 형성하고, 그 액 고임부 내에 상기 빨아올림 파이프의 하단을 내려뜨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벽 되접힘 용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형태(B)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폭 축소부를 형성하여 그 폭 축소부로부터 하방의 몸체부 부분을 상기 원추사다리 둘레벽의 하부에 접촉시켜 적재용 다리 튜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액 고임부가 비스듬히 상측 후방으로 경사진 저면과 그 저면의 가장자리로부터 비스듬히 상측 외방으로 올라가 상기 원추사다리 둘레벽의 상단에 교차하는 둘레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형태(A)는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서 둘레벽을 내려뜨려 둘레벽 하면을 비스듬히 상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고 또한 그 둘레벽 하면을 오목하게 만들어 비스듬히 상측 전방으로 경사진 저면형성용 면과 그 저면형성용 면의 가장자리로부터 비스듬히 상측 외방으로 올라가 상기 둘레벽의 하단에 교차하는 둘레면 형성용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빨아올림 파이프의 하면 중 적어도 후부를 비스듬히 상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벽을 몸체부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시킨 제1 형태(A)와 상기 저벽을 상기 몸체부 내로 되접은 제2 형태(B)를 갖는 동시에 상기 몸체부 상단에서 기립되는 구경부에 액체 토출 펌프를 장착시키고 그 액체 토출 펌프로부터 몸체부 내로 빨아올림 파이프를 내려뜨리고 액체 토출 펌프를 작동시켜서 빨아올림 파이프를 통해 빨려올라간 몸체부 내의 액체를 토출 가능하게 하는 저벽 되접힘 용기로서,
상기 몸체부는 그 하부의 일부에 직경 축소에 의해 형성된 둘레방향의 V 홈을 갖추고,
상기 제2 형태(B)는 상기 몸체부 하단으로부터 몸체부 내로 원추사다리 둘레벽을 기립시켜 그 둘레벽 상면을 비스듬히 하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고 또한 그 둘레벽 상면을 오목하게 만들어 액 고임부를 형성하고, 상기 V 홈의 저부로부터 하방의 몸체부 부분을 상기 원추사다리 둘레벽에 물이 새지 않게 접촉시켜 다리 튜브로 형성하면서 그 다리 튜브의 상면을 비스듬히 하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상기 액 고임부 내에 상기 빨아올림 파이프를 직선형으로 내려뜨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벽 되접힘 용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 고임부에서의 상기 빨아올림 파이프 하방의 저면 부분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전단이 그 오목부에 개구되고 또한 후단이 상기 원추사다리 둘레벽의 앞부분 상단에 개구되는 유로용 홈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저벽과 몸체부의 경계부를 절곡하여 외방으로 볼록한 되접힘 홈을 둘레에 형성하고 상기 저벽을 상기 몸체부 내로 되접을 때 되접힘선이 상기 되접힘 홈의 개구 위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벽과 몸체부의 경계부를 절곡하여 되접힘 홈을 둘레에 형성하고 그 되접힘 홈을 되접음으로써 저벽을 몸체부 내로 되접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저벽의 되접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저벽과 몸체부의 두께를 다르게 할 필요가 없고 저벽과 몸체부의 경계에서 두께에 불균형이 잘 생기지 않으며 균일하게 되접는 것이 가능해져, 적재 시의 안정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강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이 경우, 되접힘선이 상기 되접힘 홈의 개구 위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원추사다리 둘레벽 후부 외면과 몸체부 내면의 간극에 저장한 액체가 액 고임부 내로 유입 가능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액 고임부 내로 직선형의 빨아올림 파이프의 하단을 내려뜨렸기 때문에 몸체부 내의 액체 잔량을 적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직선형의 빨아올림 파이프를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파이프를 절곡할 필요가 없어 비용 저감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몸체부의 저벽이 몸체부 하측 외방으로 돌출되는 제1 형태와 상기 몸체부 내로 되접힌 제2 형태를 갖기 때문에, 제조 시에는 몸체부 저벽을 제조 용이한 제1 형태로 성형하고 제조 후에는 빨아올림 파이프와 협동하여 잔량을 최대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형상이며 안정된 적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제2 형태로 할 수 있다.
제2 형태는 원추 사다리꼴의 둘레벽 상면을 오목하게 만들었기 때문에 몸체부 하부의 강도가 향상됨과 동시에 액 고임부 주위에 잔류한 액체가 액 고임부 내로 유입 가능하게 형성하고 그 액 고임부 내로 빨아올림 파이프 하단을 내려뜨렸기 때문에 몸체부 내의 액체 잔량을 최대한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폭 축소부에서 하방의 몸체부 부분을 다리 튜브로 형성하여 다리 튜브를 적재부로 함으로써 용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다리 튜브는 이중벽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몸체부 하부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리 튜브 상면을 비스듬히 하측 전방으로 경사직 하는 테이퍼면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된 V 홈에서 상방의 몸체부 부분 내면과 원추 사다리꼴의 둘레벽 외면 사이의 간극은 원추 사다리꼴의 둘레벽의 가장 낮은 부분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그 간극 내의 액체는 모두 액 고임부 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잔량을 최대한 적게 할 수 있다.
빨아올림 파이프 하방의 저면 부분에 오목부와 유로용 홈을 형성했기 때문에 액체가 모이는 오목부 내에 빨아올림 파이프 하단을 위치시켜 두는 것에 의해 상기한 것과 함께 잔량을 더 적게 할 수 있다.
저벽과 몸체부의 경계부를 절곡하여 외방으로 볼록한 되접힘 홈을 둘레에 형성하였기 때문에 저벽과 몸체부의 두께를 변경하는 일 없이 저벽을 몸체부 내로 되접을 수 있고, 따라서 두께의 변동에 기인하는 되접힘 부분의 높낮이 차가 해소되게 되어 용기의 안정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저벽 되접힘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의 용기에 액체 토출 펌프를 장착한 일부 단면 정면도이다.
도 7은 저벽을 되접은 상태의 용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저벽 되접힘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 액체 토출 펌프를 장착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저벽 되접힘 용기의 제2 형태(B)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저벽 되접힘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 제1 형태(A)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저벽 되접힘 용기의 제2 형태(B)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제2 형태(B)의 용기에 액체 토출 펌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저벽 되접힘 용기의 제1 형태(A) 및 제2 형태(B)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저벽 되접힘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 형태(A)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저벽 되접힘 용기의 제2 형태(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저벽의 전방 상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액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작용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부호 1은 용기로, 몸체부(2) 상단으로부터 숄더부를 거쳐 구경부(3)를 기립시키고 구경부(3)에 후술하는 액체 토출 펌프를 장착시키고 있다.
몸체부(2)의 하단면을 폐쇄하는 저벽(4)은 몸체부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제1 형태(A)와 몸체부 내에 되접힌 제2 형태(B)를 갖는다. 먼저 토출시에 사용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제2 형태(B)에 대해 설명한다.
제2 형태(B)에서의 저벽(4)은 몸체부(2) 하단으로부터 그 몸체부 내로 원추사다리 둘레벽(5)을 기립시켜 둘레벽 상면(6)을 비스듬히 하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고 다시 그 둘레벽 상면(6)을 오목하게 만들어 액 고임부(7)로 형성한다.
액 고임부(7)는 비스듬히 하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저면(8)과 그 저면(8)의 가장자리로부터 비스듬히 상측 외방으로 올라가 원추사다리 둘레벽(5)의 상단에 교차하는 둘레면(9)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원추사다리 둘레벽(5)의 상단이 비스듬히 하측 전방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용기체 내의 액체가 감소해도 둘레벽 외면과 몸체부 내면의 간극(S) 내에 저장된 액체는 액 고임부(7) 내로 유입 가능하다.
다음으로 성형시에서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1 형태(A)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형태(A)에서의 저벽(4)은 몸체부(2) 하단으로부터 원추 사다리꼴의 둘레벽(10)을 내려뜨려 둘레벽 하면(11)을 비스듬히 상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고 또한 그 둘레벽 하면(11)을 하방으로 돌출시켜 비스듬히 상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저면형성용 면(12)과 그 저면형성용 면(12)의 가장자리로부터 비스듬히 상측 외방으로 올라가 둘레벽(10) 하단에 교차하는 둘레면 형성용 면(13)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부(2)와 저벽(4)의 경계부를 절곡하여 내방을 향해 개구하는 되접힘 홈(15)을 둘레방향에 형성하고 있다. 되접힘 홈(15)은 저벽(4)을 되접기 위해 몸체부(2) 내로 누른 경우에 저벽(4)이 되접힘 홈(15)의 개구 위쪽 가장자리(16)를 되접힘선으로 하여 몸체부(2) 내로 되접히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지만, 되접힘 홈의 일부 또는 복수 개소에 되접힘선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되접힘 홈의 만곡부의 일부에 되접힘선이 형성되도록 되접는 것도 가능하다.
되접힘 홈(15)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전형적으로는 U자형 내지 ㄷ자형이 바람직하다.
부호 20은 다리 튜브로, 몸체부(2)의 하단부에 폭 축소부(21)를 형성하고 그 폭 축소부(21)에서 하방의 몸체부(2) 부분을 원추사다리 둘레벽(5)의 하단부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다리 튜브(20)는 용기를 적재면에 적재시킬 때의 적재부가 된다.
부호 30은 액체 토출 펌프로, 실린더를 갖추고 있다. 실린더는 몸체부(2) 내에 내려뜨리는 실린더 본체(31)의 상부 외면에 부설된 외향 플랜지(32)를 구경부(3) 상단에 적재시키고 다시 실린더 본체(31) 하부에 흡입 밸브를 부설하고 또한 실린더 본체(31) 하단으로부터 빨아올림 파이프 끼워맞춤용 끼워맞춤 튜브(33)를 내려뜨리고 있다.
부호 34는 실린더 본체(31) 내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삽입된 작동 부재로, 실린더 본체(31) 내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끼워맞춰진 튜브형 피스톤(35)으로부터 스템(36)을 기립시키고 있다.
부호 40은 노즐 헤드로, 스템(36) 상단에 헤드 본체(41)를 끼워맞추고 또한 헤드 본체(41)로부터 노즐(42)을 전방으로 돌출시킨다. 부호 45는 캡으로, 구경부(3) 외면에 나사식 결합시킨 튜브체 상단에 내향 플랜지를 형성하여 그 내향 플랜지와 구경부(3) 상단으로 실린더 본체(31)의 외향 플랜지(32)를 협지한다.
부호 50은 빨아올림 파이프로, 실린더 본체(31) 하단으로부터 내려뜨리는 끼워맞춤 튜브(33) 내에 상부를 끼워맞춰 하단을 저벽(4)의 액 고임부(7) 내로 내려뜨리고 있다. 이 빨아올림 파이프(50)의 하단은 잔량을 가능한 한 적게 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액 고임부(7)의 최심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빨아올림 파이프(50)로는 종래 제품과 같이 < 모양으로 굴곡시킨 것이 아니라 직선형으로 신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빨아올림 파이프(50)의 하단 후부는 비스듬히 상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성형시에 저벽(4)은 제1 형태(A)가 되도록 성형한다. 성형 후, 제1 형태(A)에서의 저벽(4)을 몸체부(2) 내로 누르면 되접힘 홈(15)(예를 들어 되접힘 홈의 개구 위쪽 가장자리(16))을 되접힘선으로 하여 저벽(4)이 몸체부(2) 내로 되접힌다.
제2 형태(B)의 상태로 노즐 헤드(40)를 압하하면 빨아올림 파이프(50) 및 작동 부재(34)를 통해 노즐(42)로부터 몸체부 내의 액체가 원하는 태양으로 토출된다. 몸체부 내의 액체가 감소하면 액체는 액 고임부(7)에 저장되고 액 고임부(7)의 저면에는 빨아올림 파이프(50)의 하단이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잔량을 최대한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둘레벽 외면과 몸체부 내면의 간극(S) 내의 잔량은 원추사다리 둘레벽(5) 상단이 비스듬히 하측 전방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액 고임부(7) 내에 유입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를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부호 1은 용기로, 몸체부(2) 상단으로부터 숄더부를 거쳐 구경부(3)를 기립시키고 그 구경부(3)에 후술하는 액체 토출 펌프를 장착시키고 있다.
몸체부(2)의 하단면을 폐쇄하는 저벽(4)은 몸체부 하측 외방으로 돌출하는 제1 형태(A)와 몸체부 내에 되접힌 제2 형태(B)를 갖는다. 먼저 제2 형태(B)에 대해 설명한다.
제2 형태(B)에서의 저벽(4)은 몸체부(2) 하단으로부터 그 몸체부 내에 원추사다리 둘레벽(5)을 기립시켜 둘레벽 상면(6)을 비스듬히 하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고 다시 그 둘레벽 상면(6)을 오목하게 만들어 액 고임부(7)로 형성한다.
액 고임부(7)는 비스듬히 하측 후방으로 경사진 저면(8)과 그 저면(8)의 가장자리로부터 비스듬히 상측 외방으로 올라가 원추사다리 둘레벽(5)의 상단에 교차하는 둘레면(9)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추사다리 둘레벽(5) 외면과 몸체부(2) 내면 사이에는 간극(S)이 형성되고 그 간극(S)에 액체가 잔류하지만, 이 잔류 액체는 원추사다리 둘레벽(5) 상단이 비스듬히 하측 전방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원추사다리 둘레벽(5) 상단을 타넘어 액 고임부(7) 내에 유입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1 형태(A)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형태(A)에서의 저벽(4)은 몸체부(2) 하단으로부터 원추 사다리꼴의 둘레벽(10)을 내려뜨려 둘레벽 하면(11)을 비스듬히 상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고 또한 그 둘레벽 하면(11)을 오목하게 만들어 비스듬히 상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저면형성용 면(12)과 그 저면형성용 면(12)의 가장자리로부터 비스듬히 상측 외방으로 올라가 둘레벽(10) 하단에 교차하는 둘레면 형성용 면(13)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호 20은 다리 튜브로, 몸체부(2)의 하단부에 폭 축소부(21)를 형성하여 그 폭 축소부에서 하방의 몸체부(2) 부분을 원추사다리 둘레벽(5)의 하단부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다리 튜브(20)는 용기를 적재면에 적재시킬 때의 적재부가 된다.
부호 30은 액체 토출 펌프이며 실린더를 갖추고 있다. 실린더는 몸체부(2) 내에 내려뜨리는 실린더 본체(31)의 상부 외면에 부설된 외향 플랜지(32)를 구경부(3) 상단에 적재시키고 다시 실린더 본체(31) 하부에 흡입 밸브를 부설하고 또한 실린더 본체(31) 하단으로부터 빨아올림 파이프 끼워맞춤용 끼워맞춤 튜브(33)를 내려뜨리고 있다.
부호 34는 실린더 본체(31) 내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삽입된 작동 부재로, 실린더 본체(31) 내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끼워맞춰진 튜브형 피스톤(35)으로부터 스템(36)을 기립시키고 있다.
부호 40은 노즐 헤드로, 스템(36) 상단에 헤드 본체(41)를 끼워맞추고 또한 그 헤드 본체(41)로부터 노즐(42)을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부호 45는 캡으로, 구경부(3) 외면에 나사식 결합시킨 튜브체 상단에 내향 플랜지를 형성하여 그 내향 플랜지에서 실린더 본체(31)의 외향 플랜지(32)를 구경부(3) 상단에 압접하고 있다.
부호 50은 빨아올림 파이프로, 실린더 본체(31) 하단으로부터 내려뜨리는 끼워맞춤 튜브(33) 내에 상부를 끼워맞춰 하단을 저벽(4)의 액 고임부(7) 내에 내려뜨리고 있다. 이 빨아올림 파이프(50)의 하단은 잔량을 가능한 한 적게 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액 고임부(7)의 최심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빨아올림 파이프(50)로는 종래 제품과 같이 < 모양으로 굴곡시킨 것이 아니라 직선형으로 신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빨아올림 파이프(50)의 하단 후부는 비스듬히 상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제조 시에 저벽(4)은 제1 형태(A)가 되도록 형성한다. 제조 후, 제1 형태(A)에서의 저벽(4)을 몸체부(2) 내로 되접는다. 그러면 저벽(4)은 제2 형태(B)를 취한다. 이와 같이 저벽(4)을 몸체부(2) 내로 되접음으로써 저벽(4)이 제2 형태(B)를 취하는 조건으로는 저벽(4)을 얇게 하는 것이나 탄성 반전 가능하도록 저벽(4)의 두께를 약간 두껍게 하여 되접는 선을 형성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제2 형태(B)의 상태로 노즐 헤드(40)를 압하하면 빨아올림 파이프(50) 및 작동 부재(34)를 통해 노즐(42)로부터 몸체부 내의 액체가 원하는 태양으로 토출된다. 몸체부 내의 액체가 감소하면 액체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액 고임부(7)에 저장되고 액 고임부(7)의 저면에는 빨아올림 파이프(50)의 하단이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잔량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다. 잔량은 둘레벽 외면과 몸체부 내면의 간극(S)에도 잔류하지만 이 잔량은 원추사다리 둘레벽(5) 상단을 타넘어 액 고임부(7) 내에 유입하기 때문에 몸체부(2) 내에 남는 일이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를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부호 1은 용기로, 몸체부(2) 상단으로부터 숄더부를 거쳐 구경부(3)를 기립시키고 그 구경부(3)에 후술하는 액체 토출 펌프를 장착시키고 있다.
몸체부(2)의 하단면을 폐쇄하는 저벽(4)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몸체부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제1 형태(A)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몸체부 내에 되접힌 제2 형태(B)를 갖는다. 먼저 최종 형태로서의 제2 형태(B)에 대해 설명한다.
제2 형태(B)에서의 저벽(4)은 몸체부(2) 하단으로부터 그 몸체부 내에 원추사다리 둘레벽(5)을 기립시켜 둘레벽 상면(6)을 비스듬히 하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고 다시 그 둘레벽 상면(6)을 오목하게 만들어 액 고임부(7)를 형성한다.
액 고임부(7)는 비스듬히 하측 후방으로 경사진 저면(8)과 그 저면(8)의 가장자리로부터 비스듬히 상측 외방으로 올라가 원추사다리 둘레벽(5) 상단에 교차하는 둘레면(9)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추사다리 둘레벽(5) 외면과 몸체부(2) 내면 사이에는 간극(S)이 형성되지만, 그 대부분은 후술하는 다리 튜브(20)의 형성에 의해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성형시에서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1 형태(A)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형태(A)에서의 저벽(4)은 몸체부(2) 하단으로부터 원추 사다리꼴의 둘레벽(10)을 따라 내려뜨려 둘레벽 하면(11)을 비스듬히 상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한 후, 그 둘레벽 하면(11)을 하방으로 돌출시켜 비스듬히 상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저면형성용 면(12)과 그 저면형성용 면(12)의 가장자리로부터 비스듬히 상측 외방으로 올라가 둘레벽(10) 하단에 교차하는 둘레면 형성용 면(13)을 형성한다.
또한 몸체부(2)와 저벽(4)의 경계부를 절곡하여 외방으로 볼록한 되접힘 홈(15)을 둘레방향에 형성시킨다. 되접힘 홈(15)은 저벽(4)을 되접기 위해 몸체부(2) 내로 누른 경우에 저벽(4)이 되접힘 홈(15)의 일부를 되접힘선으로 하여 몸체부(2) 내로 되접히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형성된다.
되접힘 홈(15)의 단면 형상은 되접힘이 가능하다면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전형적으로는 U자형 내지 ㄷ자형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부(2)의 하단부에 직경 축소에 의해 둘레방향으로의 V 홈(17)을 형성하여 그 V 홈(17)의 저부(가장 지름이 작은 부분)에서 하방의 몸체부(2) 부분을 원추사다리 둘레벽(5)에 액체가 새지 않게 접촉시켜 다리 튜브(20)로 형성하면서 그 다리 튜브의 상면을 비스듬히 하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테이퍼면(22)으로 형성한다. 그 때, 다리 튜브(20)와 원추사다리 둘레벽(5) 각각의 전단의 높이는 거의 일치시키는데 다리 튜브(20) 후단의 높이는 원추사다리 둘레벽(5) 후단의 높이보다 낮게 한다.
부호 30은 액체 토출 펌프로, 실린더를 갖추고 있다. 실린더는 몸체부(2) 내에 내려뜨리는 실린더 본체(31)의 상부 외면에 부설된 외향 플랜지(32)를 구경부(3) 상단에 적재시키고 다시 실린더 본체(31) 하부에 흡입 밸브를 부설하고 또한 실린더 본체(31) 하단으로부터 빨아올림 파이프 끼워맞춤용 끼워맞춤 튜브(33)를 내려뜨리고 있다.
부호 34는 실린더 본체(31) 내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삽입된 작동 부재로, 실린더 본체(31) 내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끼워맞춰진 튜브형 피스톤(35)으로부터 스템(36)을 기립시키고 있다.
부호 40은 노즐 헤드로, 스템(36) 상단에 헤드 본체(41)를 끼워맞추고 또한 그 헤드 본체(41)로부터 노즐(42)을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부호 45는 캡으로, 구경부(3) 외면에 나사식 결합시킨 튜브체 상단에 내향 플랜지를 형성하여 그 내향 플랜지로 실린더 본체(31)의 외향 플랜지(32)를 구경부(3) 상단에 압접시키고 있다.
부호 50은 빨아올림 파이프로, 실린더 본체(31) 하단으로부터 내려뜨리는 끼워맞춤 튜브(33) 내에 상부를 끼워맞춰 하단을 저벽(4)의 액 고임부(7) 내에 내려뜨리고 있다. 빨아올림 파이프(50)로는 종래 제품과 같이 < 모양으로 굴곡시킨 것이 아니라 직선형으로 신장시키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성형시에 저벽(4)은 제1 형태(A)가 되도록 성형한다. 성형 후, 제1 형태(A)에서의 저벽(4)을 몸체부(2) 내로 누르면 되접힘 홈(15)의 일부를 되접힘선으로 하여 저벽(4)이 몸체부(2) 내로 되접힌다.
제2 형태(B)의 상태로 노즐 헤드(40)를 압하하면 빨아올림 파이프(50) 및 작동 부재(34)를 통해 노즐(42)로부터 몸체부 내의 액체가 원하는 태양으로 토출된다. 몸체부 내의 액체가 감소하여 간극(S) 내의 액체의 수위가 원추사다리 둘레벽(5) 후단의 높이보다 낮아져도 원추사다리 둘레벽(5)의 상면은 비스듬히 하측 전방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간극(S) 내의 액체는 액 고임부(7) 내에 유입 가능하다. 또한 다리 튜브(20) 상면은 비스듬히 하측 전방으로 경사진 테이퍼면(22)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꿔 말하면 다리 튜브(20) 상단에서 상방에 위치하는 간극(S)의 저부는 원추사다리 둘레벽(5) 전단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간극(S) 내의 액체는 모두 액 고임부(7) 내에 유입하게 되고, 따라서 잔량을 거의 전무로 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원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형태(B)의 상태로 액 고임부(7)에서의 빨아올림 파이프(50) 하방의 저면 부분에 오목부(60)를 형성하고, 전단이 오목부(60)에 개구되고 또한 후단이 원추사다리 둘레벽(5)의 앞부분 상단에 개구되며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폭이 오목부(60)의 좌우 폭보다 약간 작은 전후방향으로 가는 유로용 홈(61)을 마련하고 있다. 오목부(60)의 후단은 저면(8)의 후단과 일치시켜도 되고 혹은 저면(8)의 후단에서 약간 전방으로 이간시켜도 된다. 제1 형태(A)에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60)는 저면(8)의 후단부를 비스듬히 하측 전방으로 돌출시켜 형성한다. 그 외의 점은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잔량이 감소된 경우 액 고임부(7) 내의 액체는 유로용 홈(61)을 통해 오목부(60) 내에 유입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빨아올림 파이프(50) 하단을 오목부(60) 내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잔량의 추가적인 감소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성형 후에 저벽을 몸체부 내로 되접는 저벽 되접힘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펌프 등의 토출 기구가 장착된 용기체 내의 잔량을 최대한 감소시키도록 한 용기의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1: 용기 2: 몸체부
3: 구경부 4: 저벽
5: 원추사다리 둘레벽 6: 둘레벽 상면
7: 액 고임부 8: 저면
9: 둘레면 10: 둘레벽
11: 둘레벽 하면 12: 저면형성용 면
13: 둘레면 형성용 면 15: 되접힘 홈
16: 개구 위쪽 가장자리 17: V 홈
20: 다리 튜브 21: 폭 축소부
22: 테이퍼면 30: 액체 토출 펌프
31: 실린더 본체 32: 외향 플랜지
33: 끼워맞춤 튜브 34: 작동 부재
35: 튜브형 피스톤 36: 스템
40: 노즐 헤드 41: 헤드 본체
42: 노즐 45: 캡
50: 빨아올림 파이프 60: 오목부
61: 유로용 홈 A: 제1 형태
B: 제2 형태 S: 간극

Claims (13)

  1. 저벽을 몸체부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시킨 제1 형태(A)와 상기 저벽을 상기 몸체부 내로 되접은 제2 형태(B)를 갖는 저벽 되접힘 용기로서,
    상기 저벽과 몸체부의 경계부를 절곡하여 외방으로 볼록한 되접힘 홈을 둘레에 형성하고 상기 되접힘 홈을 되접음으로써 상기 저벽을 상기 몸체부 내로 되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벽 되접힘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벽을 상기 몸체부 내로 되접을 때 되접힘선이 상기 되접힘 홈의 개구 위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벽 되접힘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되접힘 홈의 단면 형상이 U자형 내지 ㄷ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벽 되접힘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부 상단에서 기립되는 구경부에 액체 토출 펌프를 장착시키고 상기 액체 토출 펌프로부터 몸체부 내로 빨아올림 파이프를 내려뜨리고 액체 토출 펌프를 작동시켜서 빨아올림 파이프를 통해 빨려올라간 몸체부 내의 액체를 토출 가능하게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의 저벽은 상기 몸체부 하단으로부터 몸체부 내로 원추사다리 둘레벽을 기립시켜 상기 둘레벽 상면을 비스듬히 하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고 또한 그 둘레벽 상면을 오목하게 만들어 액 고임부로 형성하고, 상기 액 고임부 내에 상기 빨아올림 파이프의 하단을 내려뜨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벽 되접힘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형태(B)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폭 축소부를 형성하여 상기 폭 축소부로부터 하방의 몸체부 부분을 상기 원추사다리 둘레벽의 하부에 접촉시켜 적재용 다리 튜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벽 되접힘 용기.
  6. 저벽을 몸체부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시킨 제1 형태(A)와 상기 저벽을 상기 몸체부 내로 되접은 제2 형태(B)를 가짐과 함께 상기 몸체부 상단에서 기립되는 구경부에 액체 토출 펌프를 장착시키고 상기 액체 토출 펌프로부터 몸체부 내로 빨아올림 파이프를 내려뜨리고 액체 토출 펌프를 작동시켜서 빨아올림 파이프를 통해 빨려올라간 몸체부 내의 액체를 토출 가능하게 하는 저벽 되접힘 용기로서,
    상기 제2 형태(B)는 상기 몸체부 하단으로부터 몸체부 내로 원추사다리 둘레벽을 기립시켜 상기 둘레벽 상면을 비스듬히 하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고 또한 상기 둘레벽 상면을 오목하게 만들어 그 액 고임부를 형성하고, 상기 원추사다리 둘레벽의 외면과 상기 몸체부의 내면의 간극(S)에 잔류한 액체가 상기 원추사다리 둘레벽의 상단을 타넘어 액 고임부 내로 유입 가능하게 형성하고,
    상기 액 고임부 내에 상기 빨아올림 파이프의 하단을 내려뜨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벽 되접힘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형태(B)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폭 축소부를 형성하여 상기 폭 축소부로부터 하방의 몸체부 부분을 상기 원추사다리 둘레벽의 하부에 접촉시켜 적재용 다리 튜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벽 되접힘 용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 고임부는 비스듬히 하측 후방으로 경사지는 저면과 상기 저면의 가장자리로부터 비스듬히 상측 외방으로 올라가 상기 원추사다리 둘레벽의 상단에 교차하는 둘레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벽 되접힘 용기.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태(A)는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서 둘레벽을 내려뜨려 둘레벽 하면을 비스듬히 상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고 또한 상기 둘레벽 하면을 오목하게 만들어 비스듬히 상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저면형성용 면과 상기 저면형성용 면의 가장자리로부터 비스듬히 상측 외방으로 올라가 상기 둘레벽의 하단에 교차하는 둘레면 형성용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벽 되접힘 용기.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빨아올림 파이프의 하면 중 적어도 후부를 비스듬히 상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벽 되접힘 용기.
  11. 저벽을 몸체부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시킨 제1 형태(A)와 상기 저벽을 상기 몸체부 내로 되접은 제2 형태(B)를 가짐과 함께 상기 몸체부 상단에서 기립되는 구경부에 액체 토출 펌프를 장착시키고 상기 액체 토출 펌프로부터 몸체부 내로 빨아올림 파이프를 내려뜨리고 액체 토출 펌프를 작동시켜서 빨아올림 파이프를 통해 빨려올라간 몸체부 내의 액체를 토출 가능하게 하는 저벽 되접힘 용기로서,
    상기 몸체부는 그 하부의 일부에 직경 축소에 의해 형성된 둘레방향의 V 홈을 갖추고,
    상기 제2 형태(B)는 상기 몸체부 하단으로부터 몸체부 내로 원추사다리 둘레벽을 기립시켜 상기 둘레벽 상면을 비스듬히 하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고 또한 그 둘레벽 상면을 오목하게 만들어 액 고임부를 형성하고, 상기 V 홈의 저부에서 하방의 몸체부 부분을 상기 원추사다리 둘레벽에 액체가 새지 않게 접촉시켜 다리 튜브로 형성하면서 상기 다리 튜브의 상면을 비스듬히 하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상기 액 고임부 내에 상기 빨아올림 파이프를 직선형으로 내려뜨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벽 되접힘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액 고임부에서의 상기 빨아올림 파이프 하방의 저면 부분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전단이 상기 오목부에 개구되고 또한 후단이 상기 원추사다리 둘레벽의 앞부분 상단에 개구되는 유로용 홈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벽 되접힘 용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벽과 몸체부의 경계부를 절곡하여 외방으로 볼록한 되접힘 홈을 둘레에 형성하고 상기 저벽을 상기 몸체부 내로 되접을 때 되접힘선이 상기 되접힘 홈의 개구 위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벽 되접힘 용기.
KR1020117017397A 2009-01-29 2010-01-27 저벽 되접힘 용기 KR101283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18058 2009-01-29
JP2009018058A JP5196440B2 (ja) 2009-01-29 2009-01-29 吸上げパイプ付き容器
JPJP-P-2009-198655 2009-08-28
JP2009198655A JP5344478B2 (ja) 2009-08-28 2009-08-28 底壁折返し容器
JP2009199688A JP5252504B2 (ja) 2009-08-31 2009-08-31 吸上げパイプ付き容器
JPJP-P-2009-199688 2009-08-31
PCT/JP2010/000456 WO2010087161A1 (ja) 2009-01-29 2010-01-27 底壁折返し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968A true KR20110098968A (ko) 2011-09-02
KR101283860B1 KR101283860B1 (ko) 2013-07-08

Family

ID=42395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397A KR101283860B1 (ko) 2009-01-29 2010-01-27 저벽 되접힘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25767B2 (ko)
EP (2) EP2383205B1 (ko)
KR (1) KR101283860B1 (ko)
CN (1) CN102300784B (ko)
AU (1) AU2010209243B2 (ko)
CA (1) CA2750289C (ko)
WO (1) WO20100871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53029C2 (ru) * 2008-12-31 2015-06-10 Плэстипэк Пэкэджинг, Инк. Пригодная для горячего заполнения пластиковая емкость с гибким основанием
WO2014004919A1 (en) * 2012-06-28 2014-01-03 Plastipak Packaging, Inc. Plastic container with flexible base
BE1021371B1 (nl) * 2014-06-17 2015-11-09 Nervia Plastics Kunststof recipiënten
US9433958B2 (en) * 2014-07-28 2016-09-06 Nam Joon KIM Saver bottle
JP6923216B2 (ja) * 2015-12-15 2021-08-18 イージー エヌ パ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 残留防止機能を有するストロー内蔵型パウチ
CN112623491A (zh) * 2020-11-30 2021-04-09 泉州梅洋塑胶五金制品有限公司 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0821A (en) * 1966-09-28 1968-07-02 Mullan Joseph Collapsible container
US3843005A (en) * 1972-02-11 1974-10-22 Owens Illinois Inc Blown plastic container
US4470526A (en) * 1981-08-10 1984-09-11 Jungkeun Cha Siphon dispensing bottle
US4472563A (en) * 1984-02-06 1984-09-18 Dow Corning Corporation Heat curable silicones having improved room temperature stability
US5062549A (en) * 1989-11-03 1991-11-05 Dowbrands Inc. Hand held, dip-tube style liquid dispenser
US5522548A (en) * 1994-10-06 1996-06-04 Summit Packaging Systems, Inc. Aerosol valve having swivelly mounted dip tube
JP3652426B2 (ja) 1994-12-12 2005-05-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放出用ポンプ容器
JPH08244749A (ja) * 1995-03-10 1996-09-24 Toyo Seikan Kaisha Ltd 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7121A (ja) 1996-06-21 1998-01-13 Shiseido Co Ltd キャップ付き容器
JPH10194317A (ja) 1996-12-27 1998-07-28 Yoshino Kogyosho Co Ltd ポンプ式液体噴出器
JP3688432B2 (ja) 1997-05-23 2005-08-3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詰め替え式ポンプ付き容器とその詰め替え用容器体
NZ521694A (en) * 2002-09-30 2005-05-27 Co2 Pac Ltd Container structure for removal of vacuum pressure
US8127955B2 (en) * 2000-08-31 2012-03-06 John Denner Container structure for removal of vacuum pressure
FR2817845B1 (fr) * 2000-12-08 2003-03-21 Valois Sa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EP1550611B1 (en) * 2002-08-28 2011-10-12 Yoshino Kogyosho Co., Ltd. Synthetic resin bottle
US6752297B1 (en) * 2003-03-05 2004-06-22 Kenneth William Ische Waste reducing dispensing container
IL165341A (en) 2003-12-16 2010-05-31 Dart Ind Inc Collapsible container
WO2006034231A1 (en) * 2004-09-20 2006-03-30 Graham Packaging Company, L.P. Container with cavity base
US7007827B1 (en) * 2004-12-01 2006-03-07 Shih-Wei Li Emulsion dispenser
US20060186144A1 (en) * 2005-02-18 2006-08-24 Tinsley Michael R Sure shot system
US20090008414A1 (en) * 2005-02-18 2009-01-08 Michael Tinsley Sure Shot
US20080023499A1 (en) * 2006-07-27 2008-01-31 Knight John B Dispensing package and methods of using and making
US20090230153A1 (en) * 2006-07-27 2009-09-17 Knight John B Dispensing Package and Methods of Using and Making
CA2567917A1 (en) * 2006-11-14 2008-05-14 Gotohti.Com Inc. Autoclavable piston chamber dip tube connection
CN101314423A (zh) * 2007-05-29 2008-12-03 林翊强 压取式液体抽吸瓶
US20080302831A1 (en) * 2007-06-05 2008-12-11 Chuan-Ying Wang Pump container with a pick-up port thereof
CN101104450A (zh) * 2007-08-03 2008-01-16 陈俊 易吸干瓶子
US8181831B2 (en) * 2009-05-18 2012-05-22 Joseph Powell Chapin Container and associated dispenser for liquid materials
US8281960B1 (en) * 2009-10-06 2012-10-09 Gers Brandi N Orbital bottle with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209243B2 (en) 2013-01-10
US8925767B2 (en) 2015-01-06
EP2383205A1 (en) 2011-11-02
CN102300784A (zh) 2011-12-28
EP2383205B1 (en) 2013-04-03
CA2750289A1 (en) 2010-08-05
CN102300784B (zh) 2013-07-10
EP2583904A1 (en) 2013-04-24
US20110278308A1 (en) 2011-11-17
EP2583904B1 (en) 2015-03-04
KR101283860B1 (ko) 2013-07-08
WO2010087161A1 (ja) 2010-08-05
EP2383205A4 (en) 2012-05-30
CA2750289C (en) 2014-02-25
AU2010209243A1 (en)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860B1 (ko) 저벽 되접힘 용기
US9186689B2 (en) Cap-integrated pumping type cosmetic container
KR101283872B1 (ko) 반전, 되접힘 저벽을 구비한 합성수지제 용기
JP6199699B2 (ja) 液体容器装着用ポンプ
JP5334111B2 (ja) 押下げヘッド及び吐出ポンプ
JP5780541B2 (ja) 液体噴出器
US20030106872A1 (en) Nipple with air intake valve
JP5196440B2 (ja) 吸上げパイプ付き容器
CN110786739B (zh) 下置式饮水机及配设有收缩包装水桶的下置式饮水机及其使用方法
JP5252504B2 (ja) 吸上げパイプ付き容器
JP7099927B2 (ja) 泡吐出器
KR20120008318U (ko) 내용물 상승용 피스톤을 구비하는 에어리스 펌프 용기
JP4458338B2 (ja) 縦型ポンプ
CN206462904U (zh) 一种料理机的内部排水结构
JP5344478B2 (ja) 底壁折返し容器
JP5495251B2 (ja) ポンプ付きチューブ容器
JP5825958B2 (ja) 吐出ポンプ
CN220725281U (zh) 一种防污台下盆
JP6673676B2 (ja) 吐出容器
JP2009249969A (ja) 排水栓
JP3614608B2 (ja) 縦形ポンプ式の液体噴出器
JP3725291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5588694B2 (ja) 吐出器
KR200195782Y1 (ko) 오일주입기
JP3852689B2 (ja) 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