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782Y1 - 오일주입기 - Google Patents

오일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782Y1
KR200195782Y1 KR2020000012173U KR20000012173U KR200195782Y1 KR 200195782 Y1 KR200195782 Y1 KR 200195782Y1 KR 2020000012173 U KR2020000012173 U KR 2020000012173U KR 20000012173 U KR20000012173 U KR 20000012173U KR 200195782 Y1 KR200195782 Y1 KR 2001957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nozzle
container
cap
oil in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정
Original Assignee
이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정 filed Critical 이기정
Priority to KR2020000012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7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7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7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00Devices for supplying lubricant by manual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일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일을 주입하고자 용기부를 기울인 경우 모서리 부분에 남은 잔량 오일까지도 용이하게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오일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부(20)와, 이 용기부(20)의 상단부에 결합된 캡(22)과, 이 캡(22)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노즐(24)과, 이 노즐(24)과 연결되도록 용기부(20) 내부로 연장된 흡입관(26)과, 상기 캡(22) 일측으로 돌출 설치된 레버(28)와, 이 레버(28)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펌핑부(30)로 구성된 오일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26)은 노즐(24)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져 그 단부가 용기부(20)의 바닥 모서리부에 근접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용기부(20) 모서리의 잔량 오일까지도 용이하게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주입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오일주입기{Oil inject}
본 고안은 오일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일을 주입하고자 용기부를 기울인 경우 모서리 부분에 남은 잔량 오일까지도 용이하게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오일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오일주입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20)와, 이 용기부(20)의 상단부에 결합된 캡(22)과, 이 캡(22)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노즐(24)과, 이 노즐(24)과 연결되도록 용기부(20) 내부로 연장된 흡입관(26)과, 상기 캡(22) 일측으로 돌출 설치된 레버(28)와, 이 레버(28)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펌핑부(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관(26)은 캡(22)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그 유입단(27)이 용기부(20) 중앙에 위치되며, 노즐(24)은 캡(22)으로부터 일측으로 수평연장된다.
따라서, 이러한 오일주입기는 통상 일측으로 눕혀 노즐(24)이 오일주입홈(40)에 수직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 노즐(24)을 통해 오일을 주입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같이 오일을 주입하고자 어느 일방향으로 기울이게되면 오일 잔량이 적을 경우 잔량 오일이 일측 모서리 부분으로 몰리면서 흡입관(26)의 유입단(27)을 통해 흡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오일이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오일을 주입하려고 하면 잔량 오일이 주입되지 않는 등 그 사용상 혼동과 불편이 유발된다. 또한, 상기 오일주입기의 용기부(20)는 측면과 바닥이 별도로 제작된 후 용접등의 방법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이음매가 생겨 오일이 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오일을 주입하고자 용기부를 기울인 경우 모서리 부분에 남은 잔량 오일까지도 용이하게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오일주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오일주입기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일주입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일주입기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용기부 22. 캡
24. 노즐 26. 흡입관
28. 레버 30. 펌핑부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부(20)와, 이 용기부(20)의 상단부에 결합된 캡(22)과, 이 캡(22)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노즐(24)과, 이 노즐(24)과 연결되도록 용기부(20) 내부로 연장된 흡입관(26)과, 상기 캡(22) 일측으로 돌출 설치된 레버(28)와, 이 레버(28)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펌핑부(30)로 구성된 오일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26)은 노즐(24)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져 그 단부가 용기부(20)의 바닥 모서리부에 근접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용기부(20) 모서리의 잔량 오일까지도 용이하게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주입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일주입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일주입기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오일주입기는 용기부(20)와, 이 용기부(20)의 상단부에 결합된 캡(22)과, 이 캡(22)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노즐(24)과, 이 노즐(24)과 연결되도록 용기부(20) 내부로 연장된 흡입관(26)과, 상기 캡(22) 일측으로 돌출 설치된 레버(28)와, 이 레버(28)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펌핑부(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관(26)은 노즐(24)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져 그 단부가 용기부(20)의 바닥면 모서리부에 근접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부(20)는 알루미늄 재질로 측면과 바닥이 일체가 되도록 딥드로잉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오일주입기는 그 흡입관(26)이 노즐(24)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져 그 흡입관(26)의 유입단(27)이 용기부(20)의 바닥 모서리부에 근접 배치되므로 오일주입기를 기울여 사용하게 되더라도 모서리 부분에 남은 잔량 오일까지도 용이하게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고, 용기부(20)에 이음매가 없어 오일이 새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오일주입기는 용기부 내부의 흡입관이 노즐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져 그 단부가 용기부의 바닥 모서리부에 근접 배치되므로 오일을 주입하고자 용기부를 기울인 경우 모서리 부분에 남은 잔량 오일까지도 용이하게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고, 용기부를 딥드로잉 성형하기 때문에 이음매가 없어 오일이 새지 않는다.

Claims (1)

  1. 용기부(20)와, 이 용기부(20)의 상단부에 결합된 캡(22)과, 이 캡(22)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노즐(24)과, 이 노즐(24)과 연결되도록 용기부(20) 내부로 연장된 흡입관(26)과, 상기 캡(22) 일측으로 돌출 설치된 레버(28)와, 이 레버(28)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펌핑부(30)로 구성된 오일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26)은 노즐(24)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져 그 단부가 용기부(20)의 바닥 모서리부에 근접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용기부 모서리의 잔량 오일까지도 용이하게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주입기
KR2020000012173U 2000-04-28 2000-04-28 오일주입기 KR2001957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173U KR200195782Y1 (ko) 2000-04-28 2000-04-28 오일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173U KR200195782Y1 (ko) 2000-04-28 2000-04-28 오일주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782Y1 true KR200195782Y1 (ko) 2000-09-15

Family

ID=1965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173U KR200195782Y1 (ko) 2000-04-28 2000-04-28 오일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7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6402Y1 (ko) 펌프식 용기의 잔량 방지용 딥튜브 구조
KR20020022797A (ko) 저장 탱크로부터 자동차 내연 기관으로의 연료 송출 장치
KR200195782Y1 (ko) 오일주입기
KR20110098968A (ko) 저벽 되접힘 용기
KR200400170Y1 (ko) 수목의 밀폐 압력식 수간주입기
KR200209781Y1 (ko) 겔 상태의 내용물 배출장치
KR200275169Y1 (ko) 휴대용 공기 펌프
KR200354877Y1 (ko) 애견용 귀세척기의 사용수 역류방지장치
ATE281889T1 (de) Pumpe für einen behälter
JP5456435B2 (ja) 液体噴出器
KR200262426Y1 (ko) 공기차단관과 다중 피스톤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AU2003203910B2 (en) Manual/pneumatic oil pumping device
KR200290778Y1 (ko) 디스펜서
FR2797255B1 (fr) Pompe a membrane pour recipient
KR200294015Y1 (ko) 공기차단관과 이중피스톤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60005393A (ko)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KR200305953Y1 (ko) 공기펌핑형 정량배출 용기
KR200353830Y1 (ko) 액체 흡입이 용이한 용기구조
JP2004255326A (ja) 中皿上昇式液体吐出容器
KR100458179B1 (ko) 그리스 통의 안착 유도용 가이드
KR101074518B1 (ko) 연료공급모듈의 개선형 체크밸브
KR200337443Y1 (ko) 구리스 급지 펌프 공기 흡입 및 잔량 방지용 구리스통
KR20030092487A (ko) 연료탱크의 연료공급구조
KR19990006897U (ko) 드럼용 펌프의 겸용마개
KR900009127Y1 (ko) 자동식 펌프의 마중물 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11229

Effective date: 2003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