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997A -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997A
KR20110096997A KR1020100016603A KR20100016603A KR20110096997A KR 20110096997 A KR20110096997 A KR 20110096997A KR 1020100016603 A KR1020100016603 A KR 1020100016603A KR 20100016603 A KR20100016603 A KR 20100016603A KR 20110096997 A KR20110096997 A KR 20110096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oving means
atm
information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삼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6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6997A/ko
Publication of KR20110096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8Terminal* with means permitting deposit or withdrawal, e.g. AT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는, 다양한 금융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종이매체가 입금되는 입금부 및 상기 종이매체가 출금되는 출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다양한 정보를 화면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ATM 본체; ATM 본체의 이동을 위하여, ATM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이동 수단; 이동 수단을 락킹(locking) 또는 락킹 해제(unlocking)하는 락킹 수단; ATM 본체에 마련되어,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인식부에 인식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수단에 대한 락킹 수단의 락킹 상태 해제 및 락킹 상태 설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수단에 대한 락킹 수단의 락킹(locking) 및 락킹 해제(unlocking)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에 의해서만 이동 수단에 대한 락킹 수단의 락킹 상태 설정 및 해제가 이루어짐으로써 탈취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Automatic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에 의해서만 이동 수단에 대한 락킹 수단의 락킹 상태 설정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기기(ATM, Automatic Teller Machine)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 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와 입금기 및 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 자동화기기는 현금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 요금 납부 및 티켓 발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금융 자동화기기는 은행과 같은 금융 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백화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금융 자동화기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은행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고정 타입의 금융 자동화기기가 사용되나, 편의점 등에서는 이동이 용이한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기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는,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부에 복수의 휠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장비 또는 사람의 힘을 이용하여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를 원하는 장소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에 있어서는, 복수의 휠에 의해 배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구비하지만, 이동성으로 인해 경사가 있는 지면에는 설치하기가 쉽지 않으며, 또한 복수의 휠을 이용하여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를 이동시킬 수 있어 금융 자동화기기가 통째로 탈취될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최근의 언론 보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의 탈취가 급증하고 있는데, 이때 복수의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탈취 행위가 보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를 원하는 장소에 견고히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탈취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는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수단에 대한 락킹 수단의 락킹(locking) 및 락킹 해제(unlocking)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에 의해서만 이동 수단에 대한 락킹 수단의 락킹 상태 설정 및 해제가 이루어짐으로써 탈취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수단에 대한 락킹 수단의 락킹 상태 해제 시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ATM 본체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이동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는, 다양한 금융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종이매체가 입금되는 입금부 및 상기 종이매체가 출금되는 출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다양한 정보를 화면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ATM 본체; 상기 ATM 본체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ATM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이동 수단; 상기 이동 수단을 락킹(locking) 또는 락킹 해제(unlocking)하는 락킹 수단; 상기 ATM 본체에 마련되어,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부에 인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수단에 대한 상기 락킹 수단의 락킹 상태 해제 및 락킹 상태 설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이동 수단에 대한 락킹 수단의 락킹 및 락킹 해제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고정 시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에 의해서만 이동 수단에 대한 락킹 수단의 락킹 상태 설정 및 해제가 이루어짐으로써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의 탈취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수단은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ATM 본체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휠을 포함하며, 상기 락킹 수단은 상기 ATM 본체가 일 장소에 고정될 때 상기 이동 수단에 밀착되어 상기 이동 수단의 회전 동작을 저지하며, 상기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정보가 상기 인식부에 인시될 때 제어부의 명령 신호에 의해 상기 이동 수단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이동 수단의 회전 동작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휠의 외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휠을 향하는 상기 락킹 수단의 외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출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이로 인해 락킹 상태 설정 시 삽입홈에 돌출 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이동 수단의 휠이 회전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인식부는, 상기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지문, 상기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가 소지한 카드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는, 상기 이동 수단에 대한 상기 락킹 수단의 락킹 상태가 유지될 때, 외부로부터 상기 ATM 본체를 이동시키려는 외압이 작용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에 따르면, 이동 수단에 대한 락킹 수단의 락킹(locking) 및 락킹 해제(unlocking)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에 의해서만 이동 수단에 대한 락킹 수단의 락킹 상태 설정 및 해제가 이루어짐으로써 탈취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에 따르면, 이동 수단에 대한 락킹 수단의 락킹 상태 해제 시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ATM 본체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이동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수단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수단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100)는, 기본 외관을 형성하는 ATM 본체(110)와, 다양한 정보가 화면상에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112)와, 버튼 동작을 통해 소정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부(114)와, 고객이 소지한 카드 또는 통장 등을 인식하는 카드/통장 인식부(116)와, 고객의 지문 정보를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117)와, 거래 내역에 따른 현금 또는 수표를 입출금하는 입출금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고객은 은행에 가지 않고서도 필요한 금융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100)를 통해, 입출금, 통장 정리, 계좌 이체 또는 공공 요금 납부 등의 금융 업무를 간단히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100)는,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ATM 본체(11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수단(12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 수단(120)은 ATM 본체(110)의 하단부 네 꼭지점 영역에 회전 가능한 복수의 휠(121, wheel)을 구비하며, 따라서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는 ATM 본체(110)를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이동 수단(120)의 이동성을 이용하여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100)를 통째로 탈취해가는 범죄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100)는,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 수단(120)을 락킹(locking) 또는 락킹 해제(unlocking)하는 락킹 수단(130)과, ATM 본체(110)에 마련되어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소정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미도시)와, 인식부에 인식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수단(120)에 대한 락킹 수단(130)의 락킹 상태 해제 및 락킹 상태 설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미리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에 한해서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100)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고, 또한 원하는 장소로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100)를 이동시킨 후 이동 수단(120)에 대한 락킹 수단(130)의 락킹 상태를 재설정함으로써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먼저 인식부에 대해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인식부는, 사용자가 소지한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인식부 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카드 인식부는 전술한 카드/통장 인식부(116) 중 카드 인식부로 적용될 수 있으며, 지문 인식부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이 고객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117)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인식부를 통해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인식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락킹 수단(130)은, 인식부를 통해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이동 수단(120)에 대한 락킹 상태를 해제하거나 락킹 상태를 재설정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락킹 수단(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수단(120)을 구성하는 복수의 휠(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근 가능하도록 ATM 본체(110)에 결합되어, ATM 본체(110)의 고정 상태 유지 시 복수의 휠(12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ATM 본체(110)를 미는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락킹 수단(130)에 의해 복수의 휠(121)이 회전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휠(121)의 외면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복수 개의 삽입홈(123)이 마련되고, 락킹 수단(130)의 외면에는 삽입홈(123)에 삽입 가능한 돌출 돌기(1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수단(120)의 휠(121)과 락킹 수단(130)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락킹 수단(130)에 마련된 돌출 돌기(133)가 휠(121)에 형성된 삽입홈(123)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휠(121)이 회전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다만, 외부로부터 강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견딜 수 있도록 삽입홈(123)이 형성되는 휠(121) 및 돌출 돌기(133)가 마련되는 락킹 수단(120)은 강성이 우수한 재질, 예를 들면 ABS 수지 등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반면에, 인식부에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이동 수단(120)에 대한 락킹 수단(130)의 락킹 상태는 해제된다. 즉, 락킹 수단(130)이 이동 수단(12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락킹 수단(130)의 돌출 돌기(133)가 휠(121)의 삽입홈(123)으부터 빠져 나오게 되고, 이로 인해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휠(121)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100)는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수단(120)에 대한 락킹 수단(130)의 접촉 상태에 따라 이동 수단(120)에 대한 락킹 수단(130)의 락킹 또는 락킹 해제가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락킹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락킹 수단은 형상 기억 물질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류가 비인가되는 경우 이동 수단(120)에 대한 접촉 상태를 유지하다가, 인식부에 사용자의 정보가 인식되게 되면 제어부(140)의 명령 신호에 의해 락킹 수단에 전류가 인가되어 이동 수단(120)에 대해 이격되는 형상으로 변화되는 형상 기억 물질이 락킹 수단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40, 도 2 참조)는, 전술한 인식부의 인식 정보에 기초하여 락킹 수단(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인식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정보와 동일한 사용자의 정보가 인식되면, 제어부(140)는 이동 수단(120)으로부터 락킹 수단(130)의 락킹 동작이 해제되도록 하고, 반면에 인식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정보와 다른 사용자의 정보가 인식되면 제어부는 이동 수단(120)에 대한 락킹 수단(130)의 락킹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에 한해서 이동 수단(120)에 대한 락킹 수단(130)의 락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락킹 상태를 재설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100)가 통째로 탈취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1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40)의 명령 신호에 의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보 수단은, 권한이 부여되지 않는 사람이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100)를 이동시킬 때 작동하여, 경보음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인식부를 통해 소정의 정보가 입력되었으나 인식된 정보와 미리 설정된 정보가 불일치할 때, 제어부(140)는 경보 수단을 작동시켜 경보음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100)를 취급하는 사람은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100)에 이상을 감지할 수 있으며, 바로 조취를 취할 수 있어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100)가 탈취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100)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100)의 제어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M 본체(110)의 인식부에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시키는, 인식 단계(S100)와,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이동 수단(120)에 대한 락킹 수단(130)의 락킹을 해제하는, 락킹 해제 단계(S200)와, ATM 본체(110)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킨 후, 이동 수단(120)에 대한 락킹 수단(130)의 락킹을 재설정하는, 락킹 재설정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100)를 다른 장소로 재배치해야 하는 경우, 먼저 이동 수단(120)에 대한 락킹 수단(130)의 락킹을 해제시켜야 한다. 다만, 이동 수단(120)에 대한 락킹 수단(130)의 락킹 상태 해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에 한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는, 카드 또는 지문 등을 인식부에 인식시킨다(S100). 이후, 제어부(140)는 인식부에 인식된 정보를 토대로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정보와 현재 인식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한 후, 일치하는 경우 이동 수단(120)에 대한 락킹 수단(130)의 락킹 상태를 해제한다(S200). 즉, 락킹 수단(130)이 이동 수단(12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휠(121)의 삽입홈(123)으로부터 락킹 수단(130)의 돌출 돌기(133)가 결합 해제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복수의 휠(121)을 구비하는 이동 수단(120)의 회전 동작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ATM 본체(110)의 이동 수단(120)을 이용하여 원하는 장소로 ATM 본체(110)의 위치를 재배치한 후, 다시 이동 수단(120)에 대한 락킹 수단(130)의 락킹 상태를 재설정한다(S300).
여기서, 이동 수단(120)에 대한 락킹 수단(130)의 락킹 재설정은, 사용자가 인식부에 다시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정보와, 미리 설정된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이동 수단(120)에 대한 락킹 수단(130)의 락킹 재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락킹 수단(130)이 이동 수단(120)을 락킹함으로써 이동 수단(120)의 회전 동작은 저지되고, 이로 인해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ATM 본체(110)를 이동시킬 수 없어 본 실시예의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100)가 통째로 탈취되는 것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수단(120)에 대한 락킹 수단(130)의 락킹 및 락킹 해제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고정 시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에 의해서만 이동 수단(120)에 대한 락킹 수단(130)의 락킹 상태 설정 및 해제가 이루어짐으로써 탈취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 수단(120)에 대한 락킹 수단(130)의 락킹 상태 해제 시 이동 수단(120)을 이용하여 ATM 본체(1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이동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 110 : ATM 본체
120 : 이동 수단 121 : 휠
130 : 락킹 수단 140 : 제어 수단
S100 : 인식 단계
S200 : 락킹 해제 단계
S300 : 락킹 재설정 단계

Claims (5)

  1. 다양한 금융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종이매체가 입금되는 입금부 및 상기 종이매체가 출금되는 출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다양한 정보를 화면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ATM 본체;
    상기 ATM 본체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ATM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이동 수단;
    상기 이동 수단을 락킹(locking) 또는 락킹 해제(unlocking)하는 락킹 수단;
    상기 ATM 본체에 마련되어,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부에 인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수단에 대한 상기 락킹 수단의 락킹 상태 해제 및 락킹 상태 설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ATM 본체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휠을 포함하며,
    상기 락킹 수단은 상기 ATM 본체가 일 장소에 고정될 때 상기 이동 수단에 밀착되어 상기 이동 수단의 회전 동작을 저지하며, 상기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정보가 상기 인식부에 인시될 때 제어부의 명령 신호에 의해 상기 이동 수단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이동 수단의 회전 동작을 허용하는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휠의 외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휠을 향하는 상기 락킹 수단의 외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 되는 돌출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
  4. 제1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의 지문, 상기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가 소지한 카드를 인식하는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에 대한 상기 락킹 수단의 락킹 상태가 유지될 때, 외부로부터 상기 ATM 본체를 이동시키려는 외압이 작용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
KR1020100016603A 2010-02-24 2010-02-24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 KR20110096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603A KR20110096997A (ko) 2010-02-24 2010-02-24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603A KR20110096997A (ko) 2010-02-24 2010-02-24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997A true KR20110096997A (ko) 2011-08-31

Family

ID=44932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603A KR20110096997A (ko) 2010-02-24 2010-02-24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69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89041A1 (en) * 2019-01-07 2022-03-24 Green Cubes Technology, Llc Mobile, nesting, battery powered kios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89041A1 (en) * 2019-01-07 2022-03-24 Green Cubes Technology, Llc Mobile, nesting, battery powered kios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4049B2 (en) Shutter mechanism of automated-teller machine
US20180091503A1 (en) Networked storage system and method
US10528929B2 (en) Computer terminal having a detachable item transfer mechanism for dispensing and collecting items
US10127756B2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US20190325711A1 (en) Cashier assist automated payment system
KR20110096997A (ko) 이동형 금융 자동화기기
JP6024161B2 (ja)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の防犯構造
JP5625773B2 (ja) 自動取引装置
CN203909936U (zh) 一种现金交易装置
KR101120868B1 (ko) 금융자동화기기용 입력 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용 입력 장치 동작 방법
JP2010055134A (ja) 媒体収納装置
US10341854B2 (en) Creating a secure physical connection between a computer terminal and a vehicle
KR20070037924A (ko) 지폐카세트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6405926B2 (ja) 自動取引装置
JP2015026249A (ja) 自動取引装置
JP4611344B2 (ja) 自動取引装置
KR200387672Y1 (ko) 금고용 이중도어
JP4319869B2 (ja) 金融営業店における貨幣取引処理装置
JP5298818B2 (ja) 施錠機構
CN104008601A (zh) 一种现金交易装置
CN211230035U (zh) 一种自助设备
JP5337063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引システム
CN201502248U (zh) 存取款一体机保险柜锁
US10783756B2 (en) Medium storage apparatus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JP2021189816A (ja) 現金管理装置及び現金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