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353A - 가변 기어비형 랙바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기어비형 랙바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353A
KR20110096353A KR1020100015754A KR20100015754A KR20110096353A KR 20110096353 A KR20110096353 A KR 20110096353A KR 1020100015754 A KR1020100015754 A KR 1020100015754A KR 20100015754 A KR20100015754 A KR 20100015754A KR 20110096353 A KR20110096353 A KR 20110096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rack bar
variable
gear ratio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3262B1 (ko
Inventor
박기제
양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00015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262B1/ko
Priority to US13/030,844 priority patent/US8613459B2/en
Priority to CN2011100424452A priority patent/CN102161347A/zh
Publication of KR20110096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6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the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08Changing the transfer ratio between the steering wheel and the steering gear by variable supply of energy, e.g. by using a superposition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0Steer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056Rotary to or from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Y10T74/18088Rack and pinion type
    • Y10T74/1812Alternately rotated pin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Y10T74/18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spur gear
    • Y10T74/1880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spur gear with r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888Reciprocating to or from oscillating
    • Y10T74/18976Rack and pin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7Rack and pin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기어비형 랙바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치간 간격이 서로 다른 랙형성부 가공을 위한 별도의 금형 제작이 필요없게 되고, 다양한 가공법을 이용하여 랙형성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한번의 가공으로 정밀한 치형상을 얻을 수 있게 되어서 가변 기어비형 랙바의 제작 공정과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가변 기어비형 랙바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Variable Gear Ratio Type Rack Bar and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변 기어비형 랙바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치간 간격이 서로 다른 랙형성부 가공을 위한 별도의 금형 제작이 필요없게 되고, 다양한 가공법을 이용하여 랙형성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한번의 가공으로 정밀한 치형상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가변 기어비형 랙바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는 운전석에 배치되는 조향휠(100)과 이에 연결된 조향축(105), 그리고 조향축을 차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향 컬럼(103), 조향축(105)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랙(110)과 피니언(120)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박스(130), 랙바 바디(115)에 랙(110)이 형성되어 있는 랙바(140), 랙바(140)의 양단부에 구비된 이너 볼 조인트(135)의 볼과 일체로 형성된 타이로드(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타이로드(150)는 아우터 볼 조인트(155)와 연결되고 너클(Knuckle, 159)로 힘을 전달하여 타이어(158)를 조향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주행중인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운전자의 의지대로 전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에 의해 회전조작이 가능한 조향휠과, 상기 조향휠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조향휠과 함께 회전하는 조향축와, 상기 조향축의 하단에 구비되면서 기어박스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조향축과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는 랙이 구비되어서 상기 피니언의 회전운동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는 랙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향장치는, 조향휠의 조타각이 커질수록 타이어의 마찰 및 자동차의 지오메트리(geometry) 등에 의하여 피니언에 걸리는 토크(torque)가 커지게 되는데, 상기 피니언에 걸리는 토크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인 경우에는 유압을 더욱 증가시키고,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인 경우에는 모터의 동력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도로 주행시 조향휠의 조작각도는 거의 90°이내에 한정되며, 조향휠을 90°이상 조작하는 경우는 주차시나 U턴시 뿐이다.
그런데, 조향장치에서 랙과 피니언의 기어비는 일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주차시나 U턴시에는 조향휠을 크게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피니언에 걸리는 토크를 줄이기 위하여 유압이나 또는 모터의 동력을 무한정 증가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변 기어비 시스템(VGR; Variable Gear Ratio System)이 개발되었다.
여기서 가변 기어비 시스템(VGR ; Variable Gear Ratio system)이란, 일반적으로 조향휠 조작력이 입력되는 피니언과 이에 연동되는 랙의 기어비가 가변되는 것으로서, 랙의 중앙부분과 양측부의 입력각을 달리하여 조향휠의 조작량이 많을 경우에 랙의 이동 거리를 크게 하여 주정차시나 U-턴시 조향휠의 필요 조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운전편의를 돕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가변 기어비 시스템은, 랙에 구비된 나사 치사이의 간격이 랙의 중앙부분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간격을 갖도록 랙의 형상을 변경한 시스템으로, 조향휠의 조타각이 커질수록 상기 랙의 이동거리를 크게 함으로써 피니언에 걸리는 토크를 줄이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가변 기어비 스티어링 시스템은 랙바 바디에 호빙머신(Hobbing Machine)이나 브로칭머신(Broaching Machine)으로 랙을 형성할 때 서로 다른 치간 간격의 랙형성부들을 한번에 가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수차례의 공정으로 단계를 나누어 가공하는 경우에도 랙형성부들의 가공 오차가 심해져서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랙형성부를 한번에 가공하기 위해 단조공법을 사용하여 랙형성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랙 형상 및 치수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운전자가 조향휠 조작시 조향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랙의 형상 및 치수의 정밀도를 위해 정밀한 단조 가공을 하는 경우에는 생산시간이 오래 걸리고 단가도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변 기어비형 랙바에 있어서 치간 간격이 서로 다른 랙형성부 가공을 위한 별도의 금형 제작이 필요없게 되고, 다양한 가공법을 이용하여 랙형성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한번의 가공으로 정밀한 치형상을 얻을 수 있게 되어서 가변 기어비형 랙바의 제작 공정과 단가를 낮추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랙바 바디의 일측면에 서로 다른 치간(齒間) 간격으로 랙이 형성된 둘 이상의 랙형성부를 구비하되, 상기 랙형성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랙이 형성된 일측 단부로부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상기 랙바 바디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랙바 바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기어비형 랙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조향휠과, 이에 연결된 조향축, 상기 조향휠의 조작량을 변경시키면서 상기 조향축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가변 기어비형 랙바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기어비형 랙바는, 랙바 바디의 일측면에 서로 다른 치간(齒間) 간격으로 랙이 형성된 둘 이상의 랙형성부를 구비하되, 상기 랙형성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랙이 형성된 일측 단부로부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상기 랙바 바디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랙바 바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치간 간격이 서로 다른 랙형성부 가공을 위한 별도의 금형 제작이 필요없게 되고, 다양한 가공법을 이용하여 랙형성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한번의 가공으로 정밀한 치형상을 얻을 수 있게 되어서 가변 기어비형 랙바의 제작 공정과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변 기어비형 랙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변 기어비형 랙바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변 기어비형 랙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변 기어비형 랙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변 기어비형 랙바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변 기어비형 랙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변 기어비형 랙바(210)는, 랙바 바디(220)의 일측면에 서로 다른 치간(齒間) 간격으로 랙이 형성된 둘 이상의 랙형성부(210a, 210b)를 구비하되, 상기 랙형성부(210a, 210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랙이 형성된 일측 단부로부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상기 랙바 바디(220)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랙바 바디(2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변 기어비형 랙바(210)는 자동차의 주차시나 U턴시에 조향휠의 조작량을 크게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거나, 조향휠(도 1의 100 참조) 조작시 조향축(도 1의 105 참조)과 연결된 피니언(도 1의 120 참조)에 걸리는 토크를 줄여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력을 줄여주기 위하여 피니언과 기어비가 가변될 수 있게 랙형성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가변 기어비형 랙바(210)는 서로 다른 치간 간격을 갖는 랙형성부(210a, 210b)가 둘 이상 구비되어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랙형성부는 별도로 형성된 후 랙바 바디(220)에 결합된다.
즉, 랙바 바디(220)에 랙을 형성할 때, 가변구간(210b)이나 기본구간(210a)과 같은 랙형성부를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별도로 형성하고, 랙형성부(210a, 210b)가 결합될 부위는 랙바 바디(220)에서 절삭 가공하여 결합될 장착면을 형성한 후 이들 별도 형성된 랙형성부, 일례로 가변구간(210b)과 랙바 바디(220)를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랙형성부(210a, 210b)는 셋으로 구비되되 이들 랙형성부(210a, 210b)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가변구간(210b)과 이 가변구간의 양측에 형성되는 기본구간(210a)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변구간(210b)의 치간 간격과 상기 기본구간(210a)의 치간 간격이 다르게 형성되는데,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이들 랙형성부(210a, 210b) 중 가변구간(210b)만을 별도 형성하여 랙바 바디(2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가변구간(210b)이나 기본구간(210a)은 서로 다른 치간 간격을 갖도록 랙형성부의 외주면에 브로칭 머신(Broaching Machine)이나 호빙 머신(Hobbing Machine) 등으로 랙 기어치를 형성하거나, 단조 공법으로 랙 기어치를 형성하여 랙바에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별도 형성된 랙형성부인 가변구간(210b)과 랙바 바디(220)의 결합 방법은 압입이나 용접 등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고, 이러한 방법외에 접착제를 이용한 본딩이나 융착 등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도 있으며, 용접의 경우에는 별도 형성된 랙형성부인 가변구간(210b)과, 랙바 바디(220)의 외주면을 용접하게 된다.
그리고, 압입의 경우에는 랙형성부(210a, 210b)와 랙바의 장착면의 치수를 비교적 정확하게 공차를 두어 적당한 압입력으로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압입의 경우 압입 결합 후 랙바의 작동시 분리가 되지 않도록, 랙형성부(210a, 210b) 중 별도 형성된 랙형성부인 가변구간(210b)과 랙바 바디(220)는 서로 맞물림 결합되는 체결수단을 구비하는데, 여기서 체결수단은 분리 형성된 가변구간(210b)과 랙바 바디(220) 중 어느 하나에 돌기부(230)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이 돌기부(2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맞물림 결합되도록 요홈부(235)를 형성하여 결합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 형성된 랙형성부인 가변구간(210b)과 랙바 바디(220)의 장착면에 서로 맞물림 결합되도록 돌기부(230)와 요홈부(235)를 형성하여, 별도 형성된 랙형성부인 가변구간(210b)을 랙바 바디(220)에 슬라이딩시키면서 결합할 수도 있다.
이렇게 랙형성부(210a, 210b)와 랙바 바디(220)를 별도로 형성하여 결합하는 경우 각각의 랙형성부(210a, 210b)에 구비되는 랙 기어치를 한번에 가공 형성할 수 있고, 특히 단조 공법에 비해 간단하고 정밀한 치형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가변구간(210b)의 치간 간격은 기본구간(210a)의 치간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조향휠을 끝까지 회전시켰을 때 즉, 좌회전과 우회전의 끝까지 조향휠을 회전시키는 조작시 조향휠의 조작력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이와 반대로 기본구간(210a)의 치간 간격이 가변구간(210b)의 치간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렇게 되면 조향휠을 끝까지 회전시킬 때 즉, 좌회전과 우회전의 끝까지 조향휠을 회전시키는 조작시 조향휠의 회전량이 줄어들어 조향이 간편하게 된다.
이처럼 가변구간(210b)과 기본구간(210a)의 치간 간격은 어떠한 목적으로 자동차 조향장치를 구성하는지에 따라서 가변구간(210b)이나 기본구간(210a) 중 어느 한쪽의 치간 간격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가변구간(210b)이나 기본구간(210a)은 어느 하나만 또는 둘만 별도로 형성되거나, 모두를 별도로 형성하여 랙바에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는 다르게 가변구간(210b)이나 기본구간(210a)의 치간 간격을 점차로 변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즉, 가변구간(210b)의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치간 간격을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가변구간(210b)의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치간 간격을 점차적으로 커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가변구간(210b)이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치간 간격이 작아지는 경우에는 기본구간(210a)의 치간 간격도 가변구간(210b)과 맞닿는 부위쪽 단부로부터 반대쪽 단부까지 가변구간(210b)의 치간 간격이 작아지는 양과 동일하게 치간 간격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역으로 가변구간(210b)이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치간 간격이 커지는 경우에는 기본구간(210a)의 치간 간격도 가변구간(210b)과 맞닿는 부위쪽 단부로부터 반대쪽 단부까지 가변구간(210b)의 치간 간격이 커지는 양과 동일하게 치간 간격이 커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가변구간(210b)의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치간 간격이 작아지거나 커지는 경우에는, 직선 주행에서 회전으로 바뀔 때 각각 조향휠의 회전량이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되며, 동시에 각각 조향휠의 조작력이 줄어들거나 늘어나게 된다.
한편,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술한 가변 기어비형 랙바(210)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즉, 조향휠(100)과, 이에 연결된 조향축(105), 상기 조향휠의 조작량을 변경시키면서 상기 조향축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가변 기어비형 랙바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기어비형 랙바는, 랙바 바디(220)의 일측면에 서로 다른 치간(齒間) 간격으로 랙이 형성된 둘 이상의 랙형성부(210a, 210b)를 구비하되, 상기 랙형성부(210a, 210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랙이 형성된 일측 단부로부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상기 랙바 바디(220)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랙바 바디(2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가변 기어비형 랙바(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변 기어비형 랙바(210)와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치간 간격이 서로 다른 랙형성부 가공을 위한 별도의 금형 제작이 필요없게 되고, 다양한 가공법을 이용하여 랙형성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한번의 가공으로 정밀한 치형상을 얻을 수 있게 되어서 가변 기어비형 랙바의 제작 공정과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 가변 기어비형 랙바 210a: 기본구간
210b: 가변구간 220: 랙바 바디
230: 돌기부 235: 요홈부

Claims (16)

  1. 랙바 바디의 일측면에 서로 다른 치간(齒間) 간격으로 랙이 형성된 둘 이상의 랙형성부를 구비하되, 상기 랙형성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랙이 형성된 일측 단부로부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상기 랙바 바디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랙바 바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기어비형 랙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랙형성부 중 별도 형성된 랙형성부와 상기 랙바 바디는 서로 결합되는 체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기어비형 랙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별도 형성된 랙형성부와 랙바 바디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에 결합되도록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요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기어비형 랙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랙형성부는 셋으로 구비되되 이들 랙형성부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가변구간과, 상기 가변구간의 양측에 형성되는 기본구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변구간의 치간 간격과 상기 기본구간의 치간 간격이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기어비형 랙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구간의 치간 간격이 상기 기본구간의 치간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기어비형 랙바.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구간의 치간 간격이 상기 가변구간의 치간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기어비형 랙바.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구간은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점차 치간 간격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기어비형 랙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구간은 상기 가변구간과 맞닿는 부위쪽 단부로부터 반대쪽 단부까지 상기 가변구간의 치간 간격이 작아지는 양과 동일하게 치간 간격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기어비형 랙바.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구간은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점차 치간 간격이 커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기어비형 랙바.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구간은 상기 가변구간과 맞닿는 부위쪽 단부로부터 반대쪽 단부까지 상기 가변구간의 치간 간격이 커지는 양과 동일하게 치간 간격이 커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기어비형 랙바.
  11. 조향휠과, 이에 연결된 조향축, 상기 조향휠의 조작량을 변경시키면서 상기 조향축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가변 기어비형 랙바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기어비형 랙바는,
    랙바 바디의 일측면에 서로 다른 치간(齒間) 간격으로 랙이 형성된 둘 이상의 랙형성부를 구비하되, 상기 랙형성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랙이 형성된 일측 단부로부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상기 랙바 바디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랙바 바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랙형성부 중 별도 형성된 랙형성부와 상기 랙바 바디는 서로 결합되는 체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별도 형성된 랙형성부와 랙바 바디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에 결합되도록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요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랙형성부는 셋으로 구비되되 이들 랙형성부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가변구간과, 상기 가변구간의 양측에 형성되는 기본구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변구간의 치간 간격과 상기 기본구간의 치간 간격이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구간의 치간 간격이 상기 기본구간의 치간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구간의 치간 간격이 상기 가변구간의 치간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KR1020100015754A 2010-02-22 2010-02-22 가변 기어비형 랙바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KR101393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754A KR101393262B1 (ko) 2010-02-22 2010-02-22 가변 기어비형 랙바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US13/030,844 US8613459B2 (en) 2010-02-22 2011-02-18 Variable gear ratio type rack bar and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the same
CN2011100424452A CN102161347A (zh) 2010-02-22 2011-02-22 可变齿比式齿杆以及具有其的车辆转向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754A KR101393262B1 (ko) 2010-02-22 2010-02-22 가변 기어비형 랙바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353A true KR20110096353A (ko) 2011-08-30
KR101393262B1 KR101393262B1 (ko) 2014-05-09

Family

ID=4446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754A KR101393262B1 (ko) 2010-02-22 2010-02-22 가변 기어비형 랙바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13459B2 (ko)
KR (1) KR101393262B1 (ko)
CN (1) CN1021613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306B1 (ko) * 2010-09-30 2012-10-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JP5780429B2 (ja) * 2011-11-16 2015-09-16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車両用操舵装置
JP5880155B2 (ja) * 2012-03-08 2016-03-0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13209376A1 (de) * 2013-05-22 2014-11-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Zahnstange für eine Lenk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JP6202109B2 (ja) * 2014-01-22 2017-09-27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用ラック、操舵装置、自動車、及び、ステアリング用ラックの製造方法、操舵装置の製造方法、自動車の製造方法
JP2015205581A (ja) * 2014-04-18 2015-11-19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ラックシャフトおよびラックシャフトの製造方法
US9744985B2 (en) 2015-02-17 2017-08-29 Hyundai Motor Company Rack bar unit of vehicle steering device
JP6202061B2 (ja) * 2015-08-25 2017-09-27 日本精工株式会社 ラ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操舵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自動車及びその製造方法
US10767732B2 (en) * 2017-08-22 2020-09-08 Ecolab Usa Inc. Eccentric gear drive with reduced backlash
JP6939291B2 (ja) * 2017-09-07 2021-09-2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ラックアンドピニオン式操舵装置及びラックアンドピニオン式操舵装置の製造方法
US20190185049A1 (en) * 2017-12-15 2019-06-20 Robert Bosch Automotive Steering Llc Steering Rack
CN111409694B (zh) * 2020-03-16 2021-10-26 南京工程学院 一种兼顾驾驶人体验和操纵性能的低噪声汽车转向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26272A (en) * 1926-12-20 1931-10-06 Pittsburgh Equitable Meter Co Demand meter
US2973658A (en) * 1958-06-27 1961-03-07 Arthur E Bishop Variable ratio power steering gear
US3074735A (en) * 1960-06-13 1963-01-22 Ford Motor Co Vehicle steering mechanism having anti-lash device
AU462162B2 (en) * 1970-08-17 1975-05-30 Bishop, A.E. Variable ratio steering mechanism for automotive vehicles
GB2026908B (en) * 1978-07-31 1982-11-10 Bishop A E Method of making sterring racks
JPS5676757A (en) * 1979-11-22 1981-06-24 Toyota Motor Corp Rack-and-pinion steering gear for vehicle
DE3202254C2 (de) * 1982-01-25 1986-02-20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g, 7990 Friedrichshaf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Zahnstange
JPS6353179A (ja) * 1986-08-22 1988-03-07 Honda Motor Co Ltd 前後輪操舵車
JPH0688539B2 (ja) * 1986-11-21 1994-11-09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の操舵装置
JPS63269780A (ja) * 1987-04-27 1988-11-08 Jidosha Kiki Co Ltd バリアブルギア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928427B2 (ja) * 1992-05-26 1999-08-03 株式会社チューブフォーミング チューブ状のラックバーを成型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
JP3014588B2 (ja) * 1994-06-20 2000-02-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可変舵角比操舵装置
JPH0986420A (ja) * 1995-09-26 1997-03-31 T R W S S J Kk 可変ピッチラックバー
JPH11139326A (ja) * 1997-11-10 1999-05-25 Koyo Seiko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10347146B4 (de) * 2003-10-10 2012-06-21 Audi Ag Zahnstangenlenkung für Kraftfahrzeuge
EP1988003B1 (de) * 2005-01-25 2013-05-15 Werner M. Bless Progressives Getriebe
KR100814760B1 (ko) * 2007-02-27 2008-03-19 주식회사 만도 기어 비 조합 랙바 및 피니언 기어를 구비한 자동차의조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262B1 (ko) 2014-05-09
US8613459B2 (en) 2013-12-24
US20110204588A1 (en) 2011-08-25
CN102161347A (zh)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6353A (ko) 가변 기어비형 랙바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CN105164000B (zh) 转向机构
US8813904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US8636099B2 (en) Rack-driven steering apparatus and rack-driven auxiliary power stee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2468606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nd vehicle steering system
JP4385286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WO2007026801A1 (ja) 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運動変換装置
US9689464B2 (en) Worm speed reduc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orm wheel included in worm speed reducer
US20140318289A1 (en) Worm gear mechanism
WO2013153586A1 (ja) 回転伝達機構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6111133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05492298A (zh) 用于机动车辆转向系统的转向轴
JP2013155787A (ja) ウォームギヤ機構及びウォームギヤ機構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6616670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30080123A (ko)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US11780491B2 (en) Electric recirculating ball power steering system
JP2010149574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20210300461A1 (en) Pinio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KR101337033B1 (ko) 듀얼 피니언식 랙바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 장치
WO2023095279A1 (ja) ギヤ及び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0269766A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9228696A (ja) 伝達機構、伝達機構の製造方法および車両用操舵装置
KR100378306B1 (ko) 직진안전성을향상시킨자동차용조향기어
KR101706466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JP2017154634A (ja) 操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