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901A -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 - Google Patents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901A
KR20110094901A KR1020100014629A KR20100014629A KR20110094901A KR 20110094901 A KR20110094901 A KR 20110094901A KR 1020100014629 A KR1020100014629 A KR 1020100014629A KR 20100014629 A KR20100014629 A KR 20100014629A KR 20110094901 A KR20110094901 A KR 20110094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ucket
disposed
too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8551B1 (ko
Inventor
이점호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4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5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4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23Q3/063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for holding turbin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2Vices with slid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1/10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 B25B1/103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with one screw perpendicular to the jaw faces, e.g. a differential or telescopic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30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10Devices for clamping workpieces of a particular form or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는, 복수 개의 사이드 블록(210)의 사이에 시트(212)가 형성되고 시트(212)에 제1 암나사(214)가 형성되며 공작기계의 가공영역에 설치되는 블록(110), 복수 개의 사이드 블록(210)내에 배치되고 제1 암나사(21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제1 체결 홀(222)이 형성되며 시트(212)에 설치되는 코아 블록(220), 코아 블록(220)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1 스프링(234)의 복원력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밀려나도록 탄발 설치되며 일측의 제1 단부(244)는 코아 블록(220)과 시트(212)와 복수 개의 사이드 블록(21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고 타측의 제2 단부(246)는 코아 블록(220)의 외측에 닿도록 배치되는 클램프 부재(240), 클램프 부재(240)와 제1 스프링(234)과 코아 블록(220)을 순차로 관통하여 제1 암나사(214)에 체결되는 제1 볼트(2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Jig in order to do clamp to dummy of bucket}
본 발명은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킷을 공작기계의 가동 테이블에 고정시켜 버킷을 마무리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는 터빈 로터(Turbine Rotor)가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그 터빈 로터의 외경에는 수백, 수천 개의 버킷(bucket)이 빼곡하게 설치된다.
상술한 터빈 로터는 보일러 또는 원자로에서 발생된 고온, 고압의 스팀이 갖고 있는 열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상술한 터빈 로터는 회전수가 1800RPM ~ 3600RPM으로 고속 회전하는 회전체이고, 상술한 버킷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목적이 다르므로 다양한 크기와 형상과 모양을 가진다.
특히, 버킷은 도브테일(dovetail)의 형상이 다양할 수 있고 이러한 도브테일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버킷을 공작기계의 가공영역에 설치되는 테이블에 고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버킷의 형상 특히 버킷의 베인(vane)파트의 형상은 외형 폭과 너비가 일정하지 않는 3차원 곡률을 갖는 독특한 형상으로서 일반적인 바이스 또는 클램프장치에 고정시키기에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버킷을 고정시키게 난해한 문제점이 있음에도 클램프에 고정시킬 때에는 공작기계에서 가공원점을 정렬하여야만 버킷을 소망하는 형상모양으로 가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가공원점을 정렬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버킷의 베인 파트일측에 가소재를 형성시키고, 그 가소재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여 버킷의 도브테일을 정교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킷을 고정할 때에 가공원점을 신속하게 정렬할 수 있도록 하여 가공준비시간을 단축하도록 하는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는, 복수 개의 사이드 블록의 사이에 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에 제1 암나사가 형성되며 공작기계의 가공영역에 설치되는 블록; 상기 복수 개의 사이드 블록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암나사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제1 체결 홀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에 설치되는 코아 블록; 상기 코아 블록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1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밀려나도록 탄발 설치되며 일측의 제1 단부는 상기 코아 블록과 상기 시트와 상기 복수 개의 사이드 블록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고 타측의 제2 단부는 상기 코아 블록의 외측에 닿도록 배치되는 클램프 부재; 상기 클램프 부재와 상기 제1 스프링과 상기 코아 블록을 순차로 관통하여 상기 제1 암나사에 체결되는 제1 볼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사이드 블록 중에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3 암나사; 상기 복수 개의 사이드 블록 중에 상기 제3 암나사가 형성된 사이드 블록의 일측에 제2 스프링에 의해 탄발 되게 배치되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푸셔가 형성된 정렬부재; 및 상기 정렬부재와 상기 제2 스프링을 관통하여 상기 제3 암나사에 체결되는 제2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사이드 블록 중에 어느 하나에 형성된 슬라이드 웨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셔는 상기 슬라이드 웨이에 수납되어 선형 운동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은, 상기 복수 개의 사이드 블록이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블록;과 상기 공작기계의 가공영역에 배치된 테이블에 고정되는 제2 블록;으로 분할되고 체결용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블록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작기계의 가공영역에 배치된 테이블에 고정되는 제3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는 버킷을 공작기계의 가공영역에 설치할 때에 가공원점을 신속하게 정렬할 수 있고, 이로써 가공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가공원점이 정교하게 정렬됨으로써 고품질의 버킷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에서 클램프 파트를 발췌하여 보인 상세 단면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공구(100)는 블록(100)의 일측에 버킷(10)을 고정하도록 하는 클램프 파트(200)가 구비되고, 상술한 블록(100)의 타측에 상술한 버킷(10)을 정렬하는 정렬 파트(300)가 구비된다.
또한, 상술한 블록(100)은 복수개가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고, 일례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블록(110a)과 제2 블록(110b)으로 분할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첨부도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블록(110b)의 하측에 또 다른 제3 블록(110c)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블록(110a)과 제2 블록(110b)의 구성을 첨부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블록(110a)의 일측에는 제5, 제6 체결 홀(112)(114)이 형성되고, 제2 블록(110b)의 일측에는 상술한 제5, 제6 체결 홀(112)(114)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제3, 제4 암나사(116)(118)가 형성되며, 복수 개의 제4, 제5 볼트(120)(122)를 상술한 제5, 제6 체결 홀(112)(114)에 관통시켜 상술한 제3, 제4 암나사(116)(118)에 체결함으로써 제1, 제2 블록(110a)(110b)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3 블록(110c)은 상술한 제2 블록(110b)과 통상적인 체결요소인 볼트에 의해 조립될 수 있고, 이러한 볼트 조립은 알려진 기술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제1 블록(110a)과 제2 블록(110b) 또는 제2 블록(110b)과 제3 블록(110c)이 조립될 때에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키 블록(key block) 또는 핀(pin)이 더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블록(110b) 또는 제3 블록(110c)은 공작기계의 테이블(400)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블록(110b)과 제3 블록(110c)이 조립된 상태에서 제3 블록(110c)이 테이블(400)에 설치될 때에는 버킷(10)의 가공위치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클램프 파트(200)는 첨부도면 도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100)의 일측에는 복수 개의 사이드 블록(210)이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 개의 사이드 블록(210)사이에는 시트(212)가 마련된다.
상술한 시트(212)에는 제1 암나사(214)와 제1 핀 홀(216)과 제2 암나사(218)가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시트(212)에는 코아 블록(220)이 배치될 수 있고, 코아 블록(220)은 상술한 복수 개의 사이드 블록(210)사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코아 블록(220)에는 상술한 제1 암나사(214)와 제1 핀 홀(216)과 제2 암나사(218)에 각각 대응하도록 제1 체결 홀(222)과 제2 핀 홀(224)과 제2 체결 홀(226)이 형성된다.
상술한 제1, 제2 핀 홀(216)(224)에는 핀(232)이 삽입되어 코아 블록(220)과 상술한 블록(110)간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고 이로써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켜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제1 체결 홀(222)에 제3 볼트(230)가 관통하여 상술한 제1 암나사(214)에 체결되어 코아 블록(220)을 블록(110)에 고정시킨다.
상술한 제2 체결 홀(226)에는 제1 스프링(234)이 수납될 수 있고, 상술한 제1 스프링(234)은 코일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스프링(234)의 외측에는 클램프 부재(240)가 배치되고, 클램프 부재(240)에는 제3 체결 홀(242)이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제3 체결 홀(242)에는 제1 볼트(250)가 관통하고, 제1 스프링(234)과 코아 블록(220)의 제2 체결 홀(226)을 관통하여 블록(110)의 제2 암나사(218)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술한 클램프 부재(240)는 상술한 제1 스프링(240)의 복원력에 의해 항상 외측방향으로 밀려나도록 힘이 작용되고 제1 볼트(250)를 조임에 따라 클램프 부재(240)는 블록(110)쪽으로 접근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클램프부재(240)의 제1 단부(244)는 버킷(10)의 가소재(12)에 닿게 되고, 상술한 클램프부재(240)의 제2 단부(246)은 상술한 코아 블록(220)에 닿게 된다.
상술한 정렬파트(300)는 첨부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렬파트(300)는 사이드 블록(210)의 일측에 제3 암나사(312)를 형성하고, 상술한 제3 암나사(312)의 일측에는 코일 압축 스프링인 제2 스프링(340)을 배치하며, 상술한 제2 스프링(340)의 외측에는 정렬 부재(320)를 배치한다.
상술한 정렬부재(320)는 일측에 제4 체결 홀(32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푸셔(324)가 형성된다.
상술한 제4 체결 홀(322)에는 제2 볼트(330)가 관통하고, 이어서 상술한 제2 볼트(330)는 제2 스프링(340)을 관통하여 상술한 제3 암나사(312)에 체결된다.
즉, 상술한 정렬부재(320)에는 상술한 제2 스프링(340)의 복원력에 의해 항상 외측방향으로 밀려나도록 하는 힘이 작용하고 상술한 제3 암나사(312)를 조임에 다라 정렬부재(320)가 사이드 블록(210)쪽으로 접근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푸셔(324)의 단부는 상술한 복수 개의 사이드 블록(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술한 푸셔(324)의 단부는 버킷(10)의 가소재(12)에 닿을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정렬 부재(32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버킷(10)의 고정위치가 정렬될 수 있고 이로써 버킷(10)의 가공원점이 정렬되는 것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사이드 블록(314)의 일측에는 상술한 푸셔(324)를 수납할 수 있는 슬라이드 웨이(314)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정렬부재(320)가 진퇴 될 때에 선형 진직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10)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100)의 작용을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공구(100)는 공작기계의 테이블(400)에 설치되고, 치공구(100)에는 버킷(10)이 고정된다.
버킷(10)이 고정되는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클램프 파트(200)에서 제1 볼트(250)를 느슨하게 풀면 클램프 부재(240)가 제1 스프링(234)에 의해 밀려나 클램프 부재(240)와 시트(212)의 사이에 공간이 확보된다.
또한, 정렬파트(300)에서는 버킷(10)의 가공원점에 적합하도록 푸셔(324)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후, 버킷(10)을 클램프 부재(240)와 시트(212)의 사이에 삽입하고, 이때 버킷(10)의 가소재(12)가 삽입되는 것이고 상술한 가소재(12)의 일측면은 상술한 푸셔(324)에 닿도록 정렬하게 된다.
이후, 상술한 제1 볼트(250)를 조이면 버킷(10)의 가소재(12)가 클램프 파트(200)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버킷(10)의 종류가 다양하여 버킷(10)의 도브테일 또는 베인 파트의 형상 모양이 다양하더라도 가소재(12)의 형상은 일정하게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어떠한 버킷(10)이든 가소재(12)가 형성된 버킷(10)은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가소재(10)는 버킷(10)의 가공이 완료된 후에 버킷(10)의 도브테일 쪽을 공작기계의 테이블에 설치하여 클램핑하고 기계 가공하여 가소재(10)를 제거함으로써 버킷(10)의 제품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는 버킷을 공작기계에 고정시켜 버킷을 가공할 때에 이용될 수 있다.
10: 버킷 12: 가소재 파트
100: 치공구 110: 블록
110a, 110b, 110c: 제1, 제2, 제3 블록
116, 118: 제3, 제4 암나사
250: 제1 볼트 330: 제2 볼트
230: 제3 볼트 120, 122: 제4, 제5 볼트
130: 메인 체결 홀 200: 클램프 파트
210: 사이드 블록 212: 시트
214, 218, 312: 제1, 제2, 제3 암나사
216: 제1 핀 홀 220: 코아 블록
222: 제1 체결 홀 226: 제2 체결 홀
242: 제3 체결 홀 322: 제4 체결 홀
112, 114: 제5, 제6 체결 홀
224: 제2 핀 홀 232: 핀
234, 340: 제1, 제2 스프링 240: 클램프 부재
244, 246: 제1, 제2 단부 300: 정렬 파트
314: 슬라이드 웨이 320: 정렬 부재
324: 푸셔 400: 테이블

Claims (5)

  1. 복수 개의 사이드 블록(210)의 사이에 시트(212)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212)에 제1 암나사(214)가 형성되며 공작기계의 가공영역에 설치되는 블록(110);
    상기 복수 개의 사이드 블록(210)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암나사(21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제1 체결 홀(222)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212)에 설치되는 코아 블록(220);
    상기 코아 블록(220)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1 스프링(234)의 복원력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밀려나도록 탄발 설치되며 일측의 제1 단부(244)는 상기 코아 블록(220)과 상기 시트(212)와 상기 복수 개의 사이드 블록(21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고 타측의 제2 단부(246)는 상기 코아 블록(220)의 외측에 닿도록 배치되는 클램프 부재(240);
    상기 클램프 부재(240)와 상기 제1 스프링(234)과 상기 코아 블록(220)을 순차로 관통하여 상기 제1 암나사(214)에 체결되는 제1 볼트(250);
    를 포함하는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사이드 블록(210) 중에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3 암나사(312);
    상기 복수 개의 사이드 블록(210) 중에 상기 제3 암나사(312)가 형성된 사이드 블록의 일측에 제2 스프링(340)에 의해 탄발 되게 배치되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푸셔(324)가 형성된 정렬부재(320); 및
    상기 정렬부재(320)와 상기 제2 스프링(340)을 관통하여 상기 제3 암나사(312)에 체결되는 제2 볼트(330);
    를 더 포함하는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사이드 블록(210) 중에 어느 하나에 형성된 슬라이드 웨이(3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셔(324)는 상기 슬라이드 웨이(314)에 수납되어 선형 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10)은,
    상기 복수 개의 사이드 블록(210)이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블록(110a);과
    상기 공작기계의 가공영역에 배치된 테이블에 고정되는 제2 블록(110b);으로 분할되고 체결용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110b)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작기계의 가공영역에 배치된 테이블에 고정되는 제3 블록(110c);을 더 포함하는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
KR1020100014629A 2010-02-18 2010-02-18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 KR101078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629A KR101078551B1 (ko) 2010-02-18 2010-02-18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629A KR101078551B1 (ko) 2010-02-18 2010-02-18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901A true KR20110094901A (ko) 2011-08-24
KR101078551B1 KR101078551B1 (ko) 2011-11-01

Family

ID=44930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629A KR101078551B1 (ko) 2010-02-18 2010-02-18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55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64032B (zh) * 2012-09-07 2014-12-11 Hon Hai Prec Ind Co Ltd 鎖緊機構
CN109702669A (zh) * 2019-02-18 2019-05-0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六研究所 一种传感器测试夹具
KR102263072B1 (ko) * 2020-12-30 2021-06-09 유상철 퀵 워크홀더 클램프장치
KR102263070B1 (ko) * 2020-12-30 2021-06-09 유상철 퀵 워크홀더 클램프장치
CN114939644A (zh) * 2021-02-17 2022-08-26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引导键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7963A (en) 1993-12-10 1995-01-03 Lehman; Lynn D. Machine vise
US7219408B2 (en) 2002-09-24 2007-05-22 General Electric Company Tool for securing a component
JP4410017B2 (ja) 2004-03-31 2010-02-03 コマツNtc株式会社 レーザー加工機のクランプ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64032B (zh) * 2012-09-07 2014-12-11 Hon Hai Prec Ind Co Ltd 鎖緊機構
CN109702669A (zh) * 2019-02-18 2019-05-0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六研究所 一种传感器测试夹具
CN109702669B (zh) * 2019-02-18 2024-03-0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六研究所 一种传感器测试夹具
KR102263072B1 (ko) * 2020-12-30 2021-06-09 유상철 퀵 워크홀더 클램프장치
KR102263070B1 (ko) * 2020-12-30 2021-06-09 유상철 퀵 워크홀더 클램프장치
CN114939644A (zh) * 2021-02-17 2022-08-26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引导键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8551B1 (ko) 201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551B1 (ko) 버킷의 가소재 고정용 치공구
KR101079517B1 (ko) 사이드 엔트리 타입 버킷의 가공용 치공구
CN101502935B (zh) 工件夹具
US8901794B2 (en) Synchronous machine
JP6246893B2 (ja) 動翼保持装置、動翼固定部材押込装置、回転機械の製造方法、組立方法、解体方法
CN104981306A (zh) 一种模架
CN104741671A (zh) 全自动动力头铣槽机床
CN102615307A (zh) 筒形件径向孔的钻孔工装
CN105345514B (zh) 夹具
CN203696517U (zh) 机床加工用夹具
JP5729655B2 (ja) 位置決め機構及び位置決め方法
CN207695393U (zh) 型材折弯机
CN202655954U (zh) 焊接接头拉伸试样的加工工装夹具
CN104759896A (zh) 动力头组件及四自由度微调底座
CN210136063U (zh) 一种水下连接器防松机构在线检测实验台
WO2018033408A1 (en) Axial flow turbine having a diaphragm split in two halves at a horizontal joint plane
CN104190978A (zh) 弹片式涨形夹紧器
CN202780605U (zh) 一种夹具
KR101044863B1 (ko) 터빈로터용 버킷의 페이스오프 치공구
KR200263347Y1 (ko) 알루미늄 및 비금속재료의 시험편 가공기
CN216633453U (zh) 一种方形齿圈夹紧定位装置
CN110976935A (zh) 平面螺旋滑块式胀缩轴
CN208496419U (zh) 定位夹具及数控机床
CN215659005U (zh) 一种用于车削可调整流叶片内环轴柄的夹具
KR101440845B1 (ko) 매거진드럼 가공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