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186A - 슈팅용 다관절 로봇 및 이를 이용한 게임기 - Google Patents

슈팅용 다관절 로봇 및 이를 이용한 게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186A
KR20110093186A KR1020100013072A KR20100013072A KR20110093186A KR 20110093186 A KR20110093186 A KR 20110093186A KR 1020100013072 A KR1020100013072 A KR 1020100013072A KR 20100013072 A KR20100013072 A KR 20100013072A KR 20110093186 A KR20110093186 A KR 20110093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oting
capsule
articulated robot
pressure plat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5577B1 (ko
Inventor
정상봉
Original Assignee
(주)미니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니로봇 filed Critical (주)미니로봇
Priority to KR102010001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577B1/ko
Publication of KR20110093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24Devices controlled by the player to project or roll-off the playing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30Capturing games for grabbing or trapping objects, e.g. fish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1/00Self-movable toy figures
    • A63H11/18Figure toys which perform a realistic walking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52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with a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nipulator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츠 게임이 가능한 휴머노이드 로봇을 통해 상품 뽑기를 할 수 있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 및 이를 이용한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 또는 상품이 들어있는 캡슐이 수용되어 상품 또는 캡슐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품 또는 캡슐을 파지하거나 구속하는 구속부와, 구속된 상품 또는 캡슐을 밀어내거나 타격하는 가압판과 가압판을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이용하여 상품 또는 캡슐을 슈팅하도록 슈팅부가 설치되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과, 본체의 외부에서 슈팅용 다관절 로봇의 움직임을 컨트롤하도록 본체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조작부; 및 상품 또는 캡슐이 슈팅용 다관절 로봇에 의해 투입되어 배출구로 배출되는 투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이용자에게 휴머노이드 로봇을 조작하는 재미와 스포츠 게임이 가능한 휴머노이드 로봇을 통해 상품 뽑는 재미 및 스포츠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슈팅용 다관절 로봇 및 이를 이용한 게임기{Articulated robot for shooting and Game machine using articulated robot for shooting}
본 발명은 상품 뽑기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포츠 게임이 가능한 휴머노이드 로봇을 통해 상품 뽑기를 함으로써, 로봇을 조작하는 재미와 스포츠 게임의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품 뽑기 게임기는 상품을 집을 수 있는 크레인을 가지고 상품을 집어서 뽑는 게임기가 주류이다.
즉, 이용자가 돈을 넣고 크레인을 작동시켜면 크레인은 전후좌우로 움직이면서 원하는 위치에 크레인을 하강시켜서 단순히 상품을 집어서 뽑는 방식이었다. 이 외에도 막대를 상하좌우로 움직인 후 막대를 전진시켜서 물품을 떨어뜨리는 등의 방식을 이용한 게임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게임은 단순한 방식을 이용하므로 흥미를 크게 유발시키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순한 상품 뽑기를 탈피하여 이용자가 스포츠 게임을 할 수 있는 로봇을 통해서 상품을 뽑음으로써, 이용자에게 로봇을 조작하는 재미와 스포츠 게임의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 또는 상품이 들어있는 캡슐이 수용되어 상품 또는 캡슐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품 또는 캡슐을 파지하거나 구속하는 구속부와, 구속된 상품 또는 캡슐을 밀어내거나 타격하는 가압판과 가압판을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이용하여 상품 또는 캡슐을 슈팅하도록 슈팅부가 설치되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과, 본체의 외부에서 슈팅용 다관절 로봇의 움직임을 컨트롤하도록 본체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조작부; 및 상품 또는 캡슐이 슈팅용 다관절 로봇에 의해 투입되어 배출구로 배출되는 투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체의 내부에 상품 또는 캡슐이 적재되어 순차적으로 인출되도록 슈팅용 다관절 로봇으로 작동시키는 인출부를 구비한 진열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일면에 슈팅용 다관절 로봇의 작동 방법을 이미지로 설명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 또는 캡슐을 파지하거나 구속하는 구속부; 및 구속된 상품 또는 캡슐을 밀어내거나 타격하는 가압판과, 가압판을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이용하여 상품 또는 캡슐을 슈팅하는 슈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슈팅부는, 회전축이 일정 회전각도를 벗어날 때까지 가압판을 구속하였다가 회전축이 일정 회전각도를 벗어나면 가압판이 회전하도록 슈팅용 다관절 로봇의 한 부분에 가압판을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가압판은, 상품 또는 캡슐에 밀착되어 휘어진 후 구속부의 작동을 해제하여 가압판이 복원되면서 상품 또는 캡슐을 밀어내거나, 스토퍼에 걸려 휘어진 후 회전축이 설정 각도를 벗어나 회전하면 가압판이 스토퍼를 벗어나 상품 또는 캡슐을 타격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는, 기존의 크레인을 이용한 단순 상품 뽑기를 탈피하여 이용자에게 휴머노이드 로봇을 조작하는 재미와, 스포츠 게임이 가능한 휴머노이드 로봇을 통해 스포츠 게임을 즐기면서 상품을 뽑음으로써 재미가 배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슈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슈팅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진열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진열대의 하단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인출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슈팅용 다관절 로봇에서 스토퍼가 추가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슈팅용 다관절 로봇으로 게임 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 또는 상품이 들어있는 캡슐(C)이 수용되어 상품 또는 캡슐(C)이 배출되는 배출구(21)가 형성된 본체(2);와, 상품 또는 캡슐(C)을 파지하거나 구속하는 구속부(33)와, 구속된 상품 또는 캡슐(C)을 밀어내거나 타격하는 가압판(323)과 가압판(323)을 회전축(322)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321)을 이용하여 상품 또는 캡슐(C)을 슈팅하도록 슈팅부(32)가 설치되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3);과, 본체(2)의 외부에서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의 움직임을 컨트롤하도록 본체(2)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조작부(4); 및 상품 또는 캡슐(C)이 슈팅용 다관절 로봇(3)에 의해 투입되어 배출구(21)로 배출되는 투입부(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1)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체(2)의 내부에 상품 또는 캡슐(C)이 적재되어 순차적으로 인출되도록 슈팅용 다관절 로봇(3)으로 작동시키는 인출부(65)를 구비한 진열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2)의 일면에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의 작동 방법을 이미지로 설명하는 디스플레이부(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 또는 캡슐(C)을 파지하거나 구속하는 구속부(33); 및 구속된 상품 또는 캡슐(C)을 밀어내거나 타격하는 가압판(323)과, 가압판(323)을 회전축(322)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321)을 이용하여 상품 또는 캡슐(C)을 슈팅하는 슈팅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3)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슈팅부(32)는, 회전축(322)이 일정 회전각도를 벗어날 때까지 가압판(323)을 구속하였다가 회전축(322)이 일정 회전각도를 벗어나면 가압판(323)이 회전하도록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의 한 부분에 가압판(323)을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스토퍼(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가압판(323)은, 상품 또는 캡슐(C)에 밀착되어 휘어진 후 구속부(33)의 작동을 해제하여 가압판(323)이 복원되면서 상품 또는 캡슐(C)을 밀어내거나, 스토퍼(35)에 걸려 휘어진 후 회전축(322)이 설정 각도를 벗어나 회전하면 가압판(323)이 스토퍼(35)를 벗어나 상품 또는 캡슐(C)을 타격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2)로부터 설정범위의 거리에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따라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이 춤을 추도록 본체(2)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센서(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1)는, 본체(2), 슈팅용 다관절 로봇(3), 조작부(4) 및 투입부(5)를 포함한다. 또한, 진열대(6), 스토퍼(35) 및 디스플레이부(7)를 더 포함한다.
본체(2)는, 상품 또는 상품이 들어있는 캡슐(C)을 수용하도록, 대략 내부가 비어있는 직육면체로 상부는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유리 또는 투명 아크릴패널이 설치되고, 하부의 일면에는 상품 또는 캡슐(C)(이하 '캡슐(C)'이라 함)이 배출되는 배출구(21)가 형성된다.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은, 몸통(31)과 캡슐(C)을 들어올리거나 구속하도록 구속부(33)가 몸통(31)의 한 부분에 설치되며 로봇이 이동하도록 이동수단(34)을 구비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조작부(4)에 의해 조종된다.
여기서,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은, 대략 인간을 닮은 휴머노이드 로봇이 사용되며 캡슐(C)을 파지하거나 들어올릴 수 있는 다관절의 팔(331)과 걸어다닐 수 있는 다관절의 다리를 구비한다. 즉, 팔(331)은 구속부(33)에 해당하고 다리는 이동수단(34)에 해당한다. 물론 이동수단(34)에는 바퀴 또는 캐터필러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체(2)의 내부 바닥에 놓인 캡슐(C)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도록 로봇이 앉았다 일어설 수 있는 다관절의 다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은, 손(332)으로 캡슐(C)을 구속한 상태에서 캡슐(C)을 슈팅하도록 몸통(31)의 전방에 슈팅부(32)가 설치된다.
슈팅부(32)는, 회전축(322)을 구비한 회전유닛(321)이 몸통(31)의 내부에 설치되고, 캡슐(C)을 밀어내거나 타격하는 가압판(323)이 회전축(322)과 결합하여 설치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322)이 회전하면 가압판(323)이 회전하여 캡슐(C)을 밀거나 타격하여 소정 거리만큼 날려보낸다.
가압판(323)은, 전방이 둔각으로 절곡된 대략 기다란 패널형상으로, 일면에 캡슐(C)이 똑바로 날아가도록 지지구멍(323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캡슐(C)이 지지구멍(323a)에 지지되어 캡슐(C)이 삐뚤어지지 않고 전방으로 날아갈 수 있다. 또한, 가압판(323)은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이 손(332)으로 캡슐(C)을 잡고 있는 동안 캡슐(C)을 가압하기 위해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슐(C)을 잡고 있던 손(332)을 해제함으로써 휘어진 가압판(323)이 복원되면서 캡슐(C)을 날려보낼 수 있다.
상술한 회전유닛(321)은, 내부에 감속기어와 전동모터 및 회전축(322)의 회전각을 설정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의 각 관절에 사용되는 작동수단 역시 상술한 회전유닛(321)이 사용된다. 이에 따라,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의 관절 중 특히 팔(331)과 손(332)의 관절 범위를 캡슐(C)의 크기에 맞도록 미리 설정하여 캡슐(C)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 캡슐(C)이 파손(332)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압판(323)으로부터 가해지는 힘 때문에 캡슐(C)이 손(332)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회전유닛(321)은, 가압판(323)이 과도하게 회전함으로써 로봇의 몸통(31)을 가격하여 손(332)상입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압판(323)과 연결되는 회전축(322)의 회전각도를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유닛(321)에 사용되는 감속기어, 전동모터 및 제어부는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조작부(4)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을 컨트롤하도록 본체(2)의 외면에 다수의 버튼 및 레버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조작부(4)를 사용하여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의 움직임을 조종한다.
투입부(5)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이 캡슐(C)을 슈팅하여 본체(2)의 배출구(21)로 나오도록 배출구(21)와 연결되는 투입구(51)가 형성되어 본체(2)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투입부(5)는 스포츠 게임이 가능하도록 농구 또는 축구 골대 등과 유사한 형태의 투입부(5)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을 이용하여 캡슐(C)을 투입부(5)에 투입함으로써 스포츠 게임과 상품 뽑기를 동시에 즐길 수 있다.
진열대(6)는, 직사각의 배면 패널(61) 전면에 하단 일면에 관통공(621)이 형성된 다수의 격막(62)이 등 간격으로 설치되고, 격막(62)의 전단에 배면 패널(61)의 높이 보다 짧은 직사각의 전면 패널(63)이 설치된다. 그리고, 격막(62)의 하단부에는 격막(62)의 하단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떨어진 높이에, 다수의 절개홈(641)이 형성되고 절개홈(641)의 끝단에 캡슐(C)을 지지하는 지지홈(642)이 형성된 지지대(64)가 가로로 설치되어 전면 패널(63)과 지지대(64) 사이에 캡슐(C)이 나오는 인출구(66)가 형성된다. 또한, 캡슐(C)을 인출구(66)로부터 인출하도록 지지대(64)의 하부에 회전가능한 인출부(65)가 설치된다.
여기서, 인출부(65)는 회전편(651) 및 힌지 축(635)을 포함하며, 회전편(651)은 대략 끝단이 절두된 직각 삼각형으로 캡슐(C)이 진열대(6) 전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면 전방이 돌출되고 상단 후방에 캡슐(C)을 밀어내도록 돌출편(651b)이 형성되며 일면에 힌지 축(635)이 끼워지는 축공이 형성되어 다수의 절개홈(641)에 각각 끼워져 수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힌지 축(635)이 격막(62)의 관통공(621)에 끼워지되 회전편(651)이 회전하도록 회전편(651)의 축공을 관통하여 격막(62)의 관통공(621)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지지편 및 지지홈(642)에 안착된 캡슐(C)을 회전편(651)이 회전함과 동시에 캡슐(C)의 후방에서 돌출편(651b)이 캡슐(C)을 밀어내어 캡슐(C)이 진열대(6)의 전방으로 배출된다.
상술한 진열대(6)는 캡슐(C)에 들어있는 상품이 보이도록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어느 상품을 뽑을 것인지 눈으로 확인하여 진열대(6)의 캡슐(C)을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는, 이용자가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의 조작 방법을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본체(2)의 전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디스플레이부(7)에 나오는 화면에 의해 조작부(4)의 사용법을 배우고 조작부(4)를 이용하여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을 조작하게 된다.
여기서, 본체(2)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의 거리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따라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이 춤을 추도록 본체(2)의 한 부분에 센서(8)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2) 앞으로 움직이는 물체가 지나갈 때 센서(8)가 이를 감지하여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이 춤을 춤으로써, 시각적인 즐거움을 선사함과 동시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1)를 광고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323)의 끝단을 잡은 상태에서 가압판(323)이 회전하면서 휘어지도록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의 손 하단에 가압판(323)의 끝단을 구속하는 스토퍼(3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압판(323)을 회전시키면 가압판(323)의 끝단이 스토퍼(35)에 걸려서 가압판(323)이 휘어지고, 계속해서 가압판(323)이 회전하면서 설정회전각을 벗어나면 가압판(323)의 끝단이 스토퍼(35)로부터 벗어나면서 휘어진 가압판(323)이 펴지면서 복원된다. 특히, 슈팅용 다관절 로봇(3')에서 손(332)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가압판(323)의 휘어지는 정도를 설정하여 캡슐(C)을 타격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고, 이와 달리 손(332)을 벌려서 가압판(323)의 휘어진 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35)로부터 벗어난 가압판(323)이 펴지면서 캡슐(C)을 타격하여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의 전방으로 캡슐(C)을 날려보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1)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용자는 조작부(4)를 이용하여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을 작동하여 마음에 드는 캡슐(C) 앞으로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의 손(332)으로 회전편(651)의 전방 상면을 누르면 회전편(651)이 회전하면서 돌출편(651b)이 캡슐(C)을 밀어내고 떠밀린 캡슐(C)은 진열대(6)의 전방으로 튀어나온다.
본체(2) 내부의 바닥으로 굴러 떨어진 캡슐(C)을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의 손(332)으로 잡은 후 이용자는 슈팅에 적합한 위치로 가기 위해 투입부(5)로부터 일정거리에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을 이동시킨 후, 슈팅부(32)의 회전유닛(321)을 작동시켜서 가압판(323)을 캡슐(C)에 밀착시킨다. 계속해서 회전유닛(321)을 작동시키면, 가압판(323)은 캡슐(C)에 걸려 휘어진다. 이때, 가압판(323)의 휘어진 정도 즉, 가압판(323)이 캡슐(C)을 얼마만큼의 힘으로 가압할 것인지 조작부(4)로 회전유닛(321)의 작동을 조절한다. 이는, 가압판(323)이 캡슐(C)을 가압하는 힘에 따라 캡슐(C)이 슈팅되는 거리가 달라지므로, 이용자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3)과 투입부(5)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회전유닛(321)의 작동을 조절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가압판(323)이 크게 휘어진 상태에서 캡슐(C)을 잡고 있던 손(332)을 벌리면 캡슐(C)은 멀리 날아갈 것이고, 가압판(323)이 조금 휘어진 상태에서 캡슐(C)을 잡고 있던 손(332)을 벌리면 캡슐(C)은 짧은 거리로 날아갈 것이다. 또한, 가압판(323)의 휘어진 상태에 따라 캡슐(C)은 높게 날아가거나 낮게 날아가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이를 예측하여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을 가지고 농구 게임을 하면서 상품 뽑기가 가능하다.(도 9 참조)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는 농구 게임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구 게임에 적합한 슈팅용 다관절 로봇(3") 및 축구 골대 형상의 투입부(미도시)로 교체하면 축구 게임도 가능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은 상술한 슈팅부(32)를 이동수단(34) 즉, 다리 부분에 각각 설치하고, 다리의 하단부에 가압판(323)의 끝단이 걸리도록 스토퍼(35')를 각각 설치한다. 이에 따라, 가압판(323)이 회전할 때 가압판(323)의 끝단이 스토퍼(35')에 걸려서 가압판(323)이 휘어지고, 계속해서 가압판(323)이 회전하여 설정 회전각을 벗어나면 가압판(323)의 끝단이 스토퍼(35')로부터 빠져나와 가압판(323)이 펴지면서 복원된다.
이하, 축구 게임에 적합한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슈팅용 다관절 로봇(3")으로 캡슐(C)을 들어서 원하는 위치에 캡슐(C)을 놓은 뒤, 캡슐(C)을 어느 방향으로 슈팅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슈팅용 다관절 로봇(3")을 이동시켜 위치를 잡는다. 그리고, 가압판(323)을 회전시켜서 캡슐(C)을 투입부 방향으로 타격한다. 이에 따라, 축구 게임을 즐기면서 상품 뽑기를 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투입부(미도시)를 교체하여 슈팅용 다관절 로봇이 캡슐(C)을 들고 투입구(미도시)로 직접 넣을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스포츠 게임을 즐기면서 상품을 뽑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로서, 본체(2)의 일면에 동전투입부(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간주하여 이에 대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슈팅용 다관절 로봇(3', 3")에서 번호를 도시하지 않은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슈팅용 다관절 로봇(3)에서 번호가 붙여진 구성에 대응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 2; 본체
21; 배출구 3; 슈팅용 다관절 로봇
31; 몸통 32; 슈팅부
321; 회전유닛 322; 회전축
323; 가압판 323a; 지지구멍
33; 구속부 331; 팔
332; 손 34; 이동수단
35; 스토퍼 4; 조작부
5; 투입부 51; 투입구
6; 진열대 61; 배면 패널
62; 격막 621; 관통공
63; 전면 패널 64; 지지대
641; 절개홈 642; 지지홈
65; 인출부 66; 인출구
651; 회전편 651a; 구멍
651b; 돌출편 653; 힌지 축
7; 디스플레이부 8; 센서
C; 캡슐

Claims (6)

  1. 상품 또는 상품이 들어있는 캡슐이 수용되어 상기 상품 또는 상기 캡슐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상품 또는 상기 캡슐을 파지하거나 구속하는 구속부와,
    구속된 상기 상품 또는 상기 캡슐을 밀어내거나 타격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을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 또는 상기 캡슐을 슈팅하도록 슈팅부가 설치되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슈팅용 다관절 로봇의 움직임을 컨트롤하도록 상기 본체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조작부; 및
    상기 상품 또는 상기 캡슐이 상기 슈팅용 다관절 로봇에 의해 투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투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상품 또는 상기 캡슐이 적재되어 순차적으로 인출되도록 상기 슈팅용 다관절 로봇으로 작동시키는 인출부를 구비한 진열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 상기 슈팅용 다관절 로봇의 작동 방법을 이미지로 설명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
  4. 상품 또는 캡슐을 파지하거나 구속하는 구속부; 및
    구속된 상기 상품 또는 상기 캡슐을 밀어내거나 타격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을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 또는 상기 캡슐을 슈팅하는 슈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슈팅부는,
    상기 회전축이 일정 회전각도를 벗어날 때까지 상기 가압판을 구속하였다가 상기 회전축이 일정 회전각도를 벗어나면 상기 가압판이 회전하도록 상기 슈팅용 다관절 로봇의 한 부분에 상기 가압판을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은,
    상기 상품 또는 상기 캡슐에 밀착되어 휘어진 후 상기 구속부의 작동을 해제하여 상기 가압판이 복원되면서 상기 상품 또는 상기 캡슐을 밀어내거나, 상기 스토퍼에 걸려 휘어진 후 상기 회전축이 설정 각도를 벗어나 회전하면 상기 가압판이 상기 스토퍼를 벗어나 상기 상품 또는 상기 캡슐을 타격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
KR1020100013072A 2010-02-11 2010-02-11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 KR101165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72A KR101165577B1 (ko) 2010-02-11 2010-02-11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72A KR101165577B1 (ko) 2010-02-11 2010-02-11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186A true KR20110093186A (ko) 2011-08-18
KR101165577B1 KR101165577B1 (ko) 2012-07-23

Family

ID=44929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072A KR101165577B1 (ko) 2010-02-11 2010-02-11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5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3367A (zh) * 2017-03-27 2017-06-13 吴晓骅 一种仿真狩猎系统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05Y1 (ko) * 2004-09-04 2004-12-14 하누리(주) 자동차 로봇을 이용한 상품인출 오락기
WO2008090686A1 (ja) * 2007-01-23 2008-07-31 Robo Catcher Partners Co., Ltd. 景品獲得ゲーム機、及び、人型2足歩行ロボット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3367A (zh) * 2017-03-27 2017-06-13 吴晓骅 一种仿真狩猎系统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577B1 (ko) 2012-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63261A1 (en) Shooting game
US8448948B1 (en) Vertically arranged arcade game
JP2007307163A (ja) 遊技機
US9552703B2 (en) Vacuum crane arcade game
JP2010088731A (ja) 遊技機
KR101719920B1 (ko) 파워볼 게임기
KR101165577B1 (ko) 슈팅용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게임기
US10741014B2 (en) Adjustable prize chute
KR101278607B1 (ko) 물품 뽑기 게임기
JP2007195628A (ja) 遊技機
US20170352228A1 (en) Crane Machine with Camera and Visual Targeting Assistance
US20180330577A1 (en) Vacuum crane game with perforated targets
KR101165578B1 (ko) 인간형 로봇을 이용한 자동 판매기
CN204073371U (zh) 一种击打游艺机
KR101276436B1 (ko) 인간형 로봇을 이용한 자동 판매기용 자동토출 상품진열대
KR101398509B1 (ko) 공 아케이드 게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
WO2007046191A1 (ja) 遊技機
KR101292834B1 (ko) 경품용 아케이드 게임기
JP2007215720A (ja) プッシャーゲーム装置
JP2004174159A (ja) 射的ゲーム機
KR101069056B1 (ko) 퀴즈 경품 게임기
KR20110080273A (ko) 물품 뽑기 게임기
JP4616157B2 (ja) ゲーム装置
KR102176083B1 (ko) 원반투척게임기
KR200256585Y1 (ko) 상품이 지급되는 축구 게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