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083A -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083A
KR20110093083A KR1020100012901A KR20100012901A KR20110093083A KR 20110093083 A KR20110093083 A KR 20110093083A KR 1020100012901 A KR1020100012901 A KR 1020100012901A KR 20100012901 A KR20100012901 A KR 20100012901A KR 20110093083 A KR20110093083 A KR 20110093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shaft
output
planetary gear
r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5075B1 (ko
Inventor
김성규
김완규
김문규
한기천
이진형
권순형
김성학
김강용
Original Assignee
인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2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07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3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10Covers; Housings
    • E05Y2201/11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4Disengaging means
    • E05Y2201/216Clu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6Disk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8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Planetary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Retarde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동력축을 구비하며 상기 동력축을 회전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동력축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동력축에 치합되어 공전운동이 가능한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를 축지지하고 상기 동력축과 동축상에 배치되며 상기 유성기어의 공전운동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제1출력축을 포함하는 제1출력수단; 상기 유성기어를 내부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그 내주면이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공전운동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링기어와, 상기 링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링기어와 함께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제2출력축을 포함하는 제2출력수단; 및 상기 제2출력축과 접촉되거나 비접촉됨에 따라서 상기 제2출력축의 회전을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는 클러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Driving device with double output shaft}
본 발명은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출력축이 배치되어 있어 하나의 구동장치로서 2개의 출력을 얻어낼 수 있는 구동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동장치는 모터등을 동력원으로 하여 그 모터의 회전력을 그대로 외부로 전달하거나 또는 다수의 감속기등을 이용하여 속도 및 출력양을 변화시켜가면서 외부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구동장치의 내부에는 클러치 및 감속을 위한 유성감속기어장치등을 마련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여 원하는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게 있다.
한편, 최근에는 철도차량(특히 KTX 차량), RV 차량 및 저상버스 등에서 공압을 사용하여 개폐시키던 자동도어를 전기시스템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있어서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는 구동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철도차량등에는 공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플러그인 도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플러그인 도어는 차량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도어가 바깥측으로 우선 인출되고, 그 인출된 도어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차량몸체 내부를 열게 된다. 이러한 플러그인 도어에는 도어를 바깥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용 구동장치 및 도어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딩용 구동장치 등 2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2개의 구동장치를 동시에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도어구조가 협소해지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2개의 구동장치를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그 2개의 구동장치를 각각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는데 이는 전체적인 차량의 나머지공간을 좁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전기시스템으로 구동되는 경우에는 항상 과부하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즉 모터등에 과전류등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그러한 동력이 그대로 그 구동장치와 연결되는 도어등에 전달되어 상기 도어를 파손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염려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2개의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를 마련함에 따라 2개의 구동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고 실용적으로 또한 공간상의 제약없이 설치를 할 수 있는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과부하가 모터등에 걸리는 경우에도 그 동력이 그대로 출력축에 전달되도록 하지 않게 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는,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동력축을 구비하며 상기 동력축을 회전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동력축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동력축에 치합되어 공전운동이 가능한 유성기어와, 상기 각각의 유성기어를 축지지하고 상기 동력축과 동축상에 배치되며 상기 유성기어의 공전운동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제1출력축을 포함하는 제1출력수단;
상기 유성기어를 내부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그 내주면이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공전운동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링기어와, 상기 링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링기어와 함께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제2출력축을 포함하는 제2출력수단; 및
상기 제2출력축과 접촉되거나 비접촉됨에 따라서 상기 제2출력축의 회전을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는 클러치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장치에서, 상기 제1출력축은,
상기 유성기어가 일면에 배치되며 그 유성기어를 관통하는 핀이 고정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타면 중앙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설치되는 기둥형태의 제1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장치에서,
상기 제1축부재를 축지지하는 제1베어링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1축부재가 제1축부재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링기어에 고정결합되는 전면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장치에서,
제2출력축은,
외주면에 기어 이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 상기 동력축이 관통하는 원통 형상의 출력하우징과, 상기 출력하우징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돌출형성되며 그 외주면이 상기 링기어의 내주면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링기어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장치에서,
상기 출력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동력축을 축지지하는 제2베어링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장치에서,
상기 클러치수단은,
전자코일이 내장되고 전자력을 발생하며 일면에는 마찰면이 마련되고 타면은 모터측에 고정되어 있는 코어조립체;
상기 전자코일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코어조립체의 마찰면에 흡착 또는 이탈되며 중앙에는 동력축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의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와 상기 제2출력축을 서로 연결해주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장치에서,
상기 판스프링은 중공의 원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2곳의 위치에서 제1고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디스크와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수단들 사이에는 상기 판스크링과 상기 제2출력축을 결합시키는 제2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장치에서,
상기 코어조립체는,
2중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코어하우징;
상기 코어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환상의 전자코일; 및
상기 코어조립체의 마찰면을 형성하며 상기 전자코일을 덮도록 배치되는 환상의 마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는, 1개의 구동장치에서 이중 출력을 얻는 것이 가능하므로 2개의 출력이 요구되는 곳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공간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는, 그 내부에 과부하가 걸리면 모터의 회전력을 출력축으로 전달하지 않는 클러치수단이 마련되어 있어 정격토크 이상의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그 출력축에 연결된 장치가 파손되거나 손상될 염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
도 2는 도 1의 구동장치가 결합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주요부품의 분리사시도
도 5는 주요부품의 결합단면도
도 6은 도 4의 Ⅵ-Ⅵ 단면도
도 7은 도 4의 Ⅶ-Ⅶ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작동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구동장치가 결합된 정면도를 나타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주요부품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주요부품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Ⅵ-Ⅵ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Ⅶ-Ⅶ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작동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10)는, 모터(20), 제1출력수단(30), 제2출력수단(40) 및 클러치수단(50)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20)는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동력축(21)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동력축(21)을 회전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모터(20)는 통상적인 전기적으로 회전되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가능하다. 상기 모터(20)의 외주에는 상기 모터(20)를 감싸는 모터하우징(22)이 배치되어 있어 상기 모터(20)를 보호하고 인접한 클러치수단(5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동력축(21)에는 소정의 기어 이가 배치되어 있어 후술하는 유성기어(31)와 치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출력수단(30)은 유성기어(31)와 제1출력축(32)을 포함한다.
상기 유성기어(31)는, 상기 동력축(21)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동력축(21)에 치합되어 공전운동이 가능한 것으로서, 외주면에는 상술하는 동력축(21) 및 후술하는 제2출력수단(40)의 링기어(41)와 치합될 수 있도록 기어 이(3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성기어(31)는 상기 동력축(21)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변에 등간격으로 3개가 배치되는 데, 유성기어(31)의 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 또는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성기어(31)는, 그 중심에 핀(311)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311)에 축과 평행인 방향으로의 이동은 억제되고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만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출력축(32)은 상기 각각의 유성기어(31)를 축지지하고 상기 동력축(21)과 동축상에 배치되며 상기 유성기어(31)의 공전운동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제1출력축(32)은 회전판(321)과 제1축부재(322)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판(321)은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되, 상기 원판의 일면에는 상술하는 각각의 유성기어(31)들이 배치된다. 이러한 유성기어(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핀(311)에 의하여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게 된다.
상기 제1축부재(322)는 상기 회전판(321)의 타면 중앙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설치되는 기둥형태의 구성으로서, 상기 회전판(321)과는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판(321)의 회전에 의하여 함께 제1축부재(322)가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출력수단(40)은, 링기어(41)와 제2출력축(42)을 포함한다.
상기 링기어(41)는 상기 다수의 유성기어(31)를 내부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그 내주면이 상기 다수의 유성기어(31)와 치합되어 상기 유성기어(31)의 공전운동에 의하여 정역방향을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링기어의 내주면에는 상기 유성기어의 기어 이(31a)와 대응되는 기어 이(411)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그 링기어(4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출력축(42)과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2출력축(42)은 상기 링기어(41)와 결합되어 상기 링기어(41)와 함께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제2출력축(42)은 외주면에 기어 이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 상기 동력축(21)이 고나통하는 원통형상의 출력하우징(421)과, 상기 출력하우징(42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그 외주면이 상기 링기어(41)의 내주면과 면접촉하면서 상기 링기어(41)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4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출력하우징(421)의 내부에는 상기 동력축(21)을 축지지할 수 있는 제2베어링(423)이 배치되어 있어 상기 동력축(21)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러치수단(50)은, 상기 제2출력축(42)과 접촉되거나 비접촉됨에 따라서 상기 제2출력축(42)의 회전을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클러치수단(50)은, 코어조립체(51), 디스크(52) 및 판스프링(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어조립체(51)는 전자코일(512)이 내장되고 전자력을 발생하며 일면에는 마찰면이 마련되고 타면은 모터(20)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코어하우징(511), 전자코일(512), 마찰부재(5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어하우징(511)은 2중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모터(20)측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전자코일(512)은 코어하우징(511)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전기에 의하여 자력이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서, 환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찰부재(513)는 상기 코어조립체(51)의 마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디스크(52)와 접촉할 때에는 상기 디스크(52)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도록 마찰계수가 높은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찰부재(513)는 전자코일(512)을 덮도록 상기 코어하우징(511)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크(52)는, 전자코일(512)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코어조립체(51)의 마찰면에 흡착 또는 이탈되는 것으로서 중앙에는 동력축(21)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의 판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디스크(52)는 전자코일(512)의 자력에 의하여 견인될 수 있는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스프링(53)은, 상기 디스크(52)와 상기 제2출력축(42)을 서로 연결해주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코어조립체(51)에서 전자력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크(52)와 상기 코어조립체(51)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지만, 상기 코어조립체(51)에서 전자력이 발생되지 않을 때에는 탄성반력에 의하여 상기 디스크(52)를 상기 코어조립체(51)로부터 이격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이다. 이러한 판스프링(53)의 소재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성의 소재라면 무엇이나 사용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판스프링(53)은, 상기 판스프링(53)은 중공의 원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2곳의 위치에서 제1고정수단(531)에 의하여 상기 디스크(52)와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수단(531)들 사이에는 상기 판스크링과 상기 제2출력축(42)을 결합시키는 제2고정수단(532)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수단(531)은 리벳등이 사용되고, 상기 제2고정수단으로는 볼트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제1고정수단 및 제2고정수단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을 위한 것이라면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면커버(60)는 캡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1축부재(322)를 축지지하는 제1베어링(61)을 내부에 수용하면 상기 제1축부재(322)가 제1축부재(322)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방지하고 링기어(41)에 고정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1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코어조립체(51)의 전자코일(512)에 전기를 가하여 전자력을 발생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52)가 코어조립체(51)의 마찰면에 부착된다. 이때에는 제2고정수단(532)이 판스프링(53)과 제2출력축(42)을 서로 고정결합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디스크(52)가 상기 코어조립체(51)에 고정되면 그 제2출력축(42)의 회전이 차단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터(20)의 동력축(21)이 회전하면, 그 동력축(21)과 치합되어 있는 유성기어(31)가 각각 회전하게 된다. 한편, 유성기어(31)는 이에 따라서 링기어(41)와 치합되어 있으므로 그 링기어(41)의 내부에서 제1출력축(32)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유성기어(31)들이 링기어(41)의 내부에서 회전하게 되면 링기어(41)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유성기어(31)를 고정하고 있는 회전판(321)이 유성기어(31)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축부재(322)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제1축부재(322)의 회전에 따라서 그 제1축부재(322)와 연결되어 있는 소정의 구성들이 동작하게 된다. 예를 들어, 플러그인 도어에서는 그 도어가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플러그인 도어에서 도어의 인출이 최대한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도어의 인출이 멈추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제1축부재(322)의 회전이 멈추어지게 된다.(즉 제1축부재(322)가 더이상 회전을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축부재(322)의 회전이 멈추어지게 되는 경우에는, 코어조립체(51)의 전자코일(512)에 가해져 있는 전기를 끊게 되고 이에 따라서 디스크(52)는 판스프링(53)의 탄성반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52)가 코어조립체(51)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된 상태를 가지게 되며 이는 결국 제2축부재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20)를 지속적을 회전시키게 되면, 동력축(21)의 회전에 따라서 유성기어(31)를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출력축(32)의 회전이 억제되어 있는 상태에므로 그 제1출력축(32)과 연결되어 있는 회전판(321)의 회전도 멈추게 되고, 결국 상기 유성기어(31)는 제자리에서 회전만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성기어(31)가 제자리에서 회전만 하게 되면, 상기 유성기어(31)와 치합되어 있는 링기어(41)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링기어(41)와 결합되어 있는 제2출력축(42)이 동시에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출력축(42)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2출력축(42)과 치합되어 있는 소정의 구성이 가동을 시작하게 된다. 예를 들어, 플러그인 도어에서 도어의 슬라이드 동작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즉, 플러그인 도어에서 인출방향으로의 최대한 이동되어 슬라이드상태에 놓여진 도어는 상기 제2출력축(42)의 회전과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출력축(32)이 가동되는 상태에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급작스러운 동력이 유성기어(31)를 통해서 제1출력축(32)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클러치수단(50)에서 디스크(52)가 코어조립체(51)의 마찰면에 대해서 슬립이 가능하게 된다. 즉, 디스크(52)는 코어조립체(51)의 마찰면과 면접촉상태에서 서로 부착되어 있는데, 이는 마찰결합이므로 일정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그 마찰결합이 해제되어 디스크(52)의 회전이 가능하게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과부하로 인한 동력은 상기 디스크(52)가 코어조립체(51)에 대한 슬립으로 인하여 유성기어(31)를 통하여 상기 제1출력축(32)으로 전달이 어렵게 되어 상기 제1출력축(32)과 결합되어 있는 외부 구성(도어)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어의 수동개폐시에는 상기 클러치수단(50)에 가하는 전기를 해제함에 따라서 상기 디스크(52)가 코어조립체(51)의 마찰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며 이때에는 수동으로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즉, 클러치수단(50)에 가하는 전기를 끊는 경우에는 상기 제2출력축(42)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갑작스런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수동으로 그 제2출력축(42)에 결합될 구성을 동작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는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출력축이 회전판과 기둥형태의 제1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성기어를 배치한 상태에서 외부의 구성과 결합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출력축이 원통형상의 출력하우징과 상기 링기어의 내주면에 면접촉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출력하우징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도 링기어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클러치 수단으로서 코어조립체, 디스크,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제2출력수단의 회전을 허용 또는 억제할 수 있다면 무엇이나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될 수 있는 범위라면 권리범위가 확장될 수 있게 된다.
10...구동장치 20...모터
21...동력축 30...제1출력수단
31...유성기어 32...제1출력축
321...회전판 322...제1축부재
40...제2출력수단 41...링기어
42...제2출력축 421..출력하우징
422...결합부 423...제2베어링
50...클러치수단 51...코어하우징
511...코어하우징 512...전자코일
513...마찰부재 52...디스크
53...판스프링 531...제1고정수단
532...마찰부재 60...전면커버
61...제1베어링

Claims (8)

  1.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동력축을 구비하며 상기 동력축을 회전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동력축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동력축에 치합되어 공전운동이 가능한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를 축지지하고 상기 동력축과 동축상에 배치되며 상기 유성기어의 공전운동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제1출력축을 포함하는 제1출력수단;
    상기 유성기어를 내부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그 내주면이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공전운동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링기어와,
    상기 링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링기어와 함께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제2출력축을 포함하는 제2출력수단; 및
    상기 제2출력축과 접촉되거나 비접촉됨에 따라서 상기 제2출력축의 회전을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는 클러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축은,
    상기 유성기어가 일면에 배치되며 그 유성기어가 관통하는 핀이 고정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타면 중앙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설치되는 기둥형태의 제1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부재를 축지지하는 제1베어링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1축부재가 제1축부재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링기어에 고정결합되는 전면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2출력축은,
    외주면에 기어 이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 상기 동력축이 관통하는 원통 형상의 출력하우징과,
    상기 출력하우징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돌출형성되며 그 외주면이 상기 링기어의 내주면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링기어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동력축을 축지지하는 제2베어링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수단은,
    전자코일이 내장되고 전자력을 발생하며 일면에는 마찰면이 마련되고 타면은 모터측에 고정되어 있는 코어조립체;
    상기 전자코일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코어조립체의 마찰면에 흡착 또는 이탈되며 중앙에는 동력축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의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와 상기 제2출력축을 서로 연결해주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중공의 원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2곳의 위치에서 제1고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디스크와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수단들 사이에는 상기 판스크링과 상기 제2출력축을 결합시키는 제2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조립체는,
    2중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코어하우징;
    상기 코어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환상의 전자코일; 및
    상기 코어조립체의 마찰면을 형성하며 상기 전자코일을 덮도록 배치되는 환상의 마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
KR1020100012901A 2010-02-11 2010-02-11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 KR101165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901A KR101165075B1 (ko) 2010-02-11 2010-02-11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901A KR101165075B1 (ko) 2010-02-11 2010-02-11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083A true KR20110093083A (ko) 2011-08-18
KR101165075B1 KR101165075B1 (ko) 2012-07-12

Family

ID=4492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901A KR101165075B1 (ko) 2010-02-11 2010-02-11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0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761B1 (ko) * 2014-12-29 2015-06-04 주식회사 그린기전 유성기어 감속기
WO2015129958A1 (ko) * 2014-02-28 2015-09-03 주식회사 로보티즈 로봇 제어모듈의 5축회전 감속기
US11054002B2 (en) 2019-05-22 2021-07-06 Sambo Industrial Co., Ltd. Planetary geared reducer with dual reduction ratio
WO2024109297A1 (zh) * 2022-11-22 2024-05-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机器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596A (ko) 2012-11-16 2014-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동력 전달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2206092B1 (ko) 2019-04-26 2021-01-22 주식회사 삼보산업 듀얼 감속비를 가지는 유성기어 감속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3968B2 (ja) 2003-12-02 2006-09-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変速機
JP4396603B2 (ja) 2004-09-17 2010-01-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変速機
JP4899083B2 (ja) 2005-08-29 2012-03-21 Smc株式会社 減速比自動切換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9958A1 (ko) * 2014-02-28 2015-09-03 주식회사 로보티즈 로봇 제어모듈의 5축회전 감속기
CN106457559A (zh) * 2014-02-28 2017-02-22 株式会社乐博特思 机器人控制模块的5轴旋转减速器
KR101525761B1 (ko) * 2014-12-29 2015-06-04 주식회사 그린기전 유성기어 감속기
US11054002B2 (en) 2019-05-22 2021-07-06 Sambo Industrial Co., Ltd. Planetary geared reducer with dual reduction ratio
WO2024109297A1 (zh) * 2022-11-22 2024-05-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075B1 (ko)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075B1 (ko) 이중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장치
CN106065752B (zh) 机电式撑杆和允许及防止车辆的闭合构件的运动的方法
JP6335443B2 (ja) 電動式ブレーキ装置
CN107339399B (zh) 驱动装置
EP2974896B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WO2015186365A1 (en) Electric brake actuator for vehicles
US20090186736A1 (en)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KR20170092198A (ko)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JP2013534396A (ja) 自動車の開閉パネルのためのモータによる駆動装置
US20180362009A1 (en) Low-bulk electromechanical actuator for a disc brake
US10634218B2 (en) Multiplying nested gearbox
US10054204B2 (en) Variable output planetary gear set with electromagnetic braking
JP2019140875A (ja) 減速機付きモータ
US10401894B2 (en) Actuator device
US11378183B2 (en) Gearshift actuator
CN209304518U (zh) 动力工具
KR101184923B1 (ko) 감속기
CN113381645A (zh) 断电自锁式电机及闸机
JP5115760B2 (ja) 開閉体駆動装置
JP2008088729A (ja) クラッチ、モータ及び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5403405B2 (ja) 変速機付モータ
JP2018096198A (ja) 車両用ゲートリフター
US8821339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JP4998604B2 (ja) 開閉体駆動装置
KR102209898B1 (ko) 자동 제동 액츄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