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177A - 미국부저병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 상기 미생물을 함유하는 항균성 미생물제제 및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미국부저병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 상기 미생물을 함유하는 항균성 미생물제제 및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2177A
KR20110092177A KR1020100011690A KR20100011690A KR20110092177A KR 20110092177 A KR20110092177 A KR 20110092177A KR 1020100011690 A KR1020100011690 A KR 1020100011690A KR 20100011690 A KR20100011690 A KR 20100011690A KR 20110092177 A KR20110092177 A KR 20110092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ml
lactobacillus plantarum
larvae
same
path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8377B1 (ko
Inventor
박용하
윤병수
서병주
장윤정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1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377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3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53Lactobacillus
    • Y10S435/857Lactobacillus plantar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Lactobacillus plantarum YML 001)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국부저병(American Foulbrood)의 원인균인 패니바실러스 유충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고온과 산성·알칼리 조건, 여러 효소에 대해 안정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은 양봉산업에 있어 큰 질병인 미국 부저병으로 인한 봉군 붕괴 및 수확되는 벌꿀의 품질의 저하 현상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미생물제제로서 사용가능하며, 특히 항생제 남용으로 인한 항생제 잔류 벌꿀 제품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항생제 대체물로서 양봉 사료의 첨가물, 양봉 약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미국부저병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 상기 미생물을 함유하는 항균성 미생물제제 및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방제방법{Lactobacillus plantarum YML 001 against pathogen of American Foulbrood, microbial agent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venting pathoge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국부저병(American Foulbrood)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 상기 미생물을 함유하는 항균성 미생물제제 및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외 양봉 사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전염병인 미국부저병은 패니바실러스 유충(Paenibacillus larvae subsp. larvae)에 의해서 일어나며, 발생 시기는 주로 봉군 이동기이다. 우리나라 양봉업의 기반이 되고 있는 아까시 꽃이 기후의 변동으로 더워지는 기후에 꽃은 피는데 꿀 생산량이 감소함에 따라서 이것을 보충하려고 업자들이 설탕을 대량으로 급여하고 있고 이에 따라서 벌의 건강상태가 허약해져 질병에 쉽게 노출된다. 뿐만 아니라 애벌레와 성충의 질병이 많고, 진드기의 항생제 내성이 증가하여 뚜렷한 대책이 없는 상태이다.
주요 병적 증상으로는 유개봉 유충만이 발병하며 죽은 유충은 액화가 된다. 미국 부저병의 원인균은 주로 유충에 기생하며 유충의 폐사율이 증가함에 따라 봉군 자체의 붕괴를 야기하는 심각한 질병이다.
미국 부저병은 미생물성 질병으로 주로 항생제를 투여하여 치료를 하는데 패니바실러스 유충의 항생제 내성 균주 생성 및 양봉 부산물내 항생제 잔존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양봉에서 얻어지는 생산물로서 꿀, 프로폴리스 등은 대개 식품으로 이용되는 양봉 부산물 내 항생제 잔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미국 부저병의 감염 및 치료를 위해 항생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항생제의 사용에 의한 부작용 또한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는 항생제 잔존량에 대한 규제가 갈수록 엄격해지고 있으므로 계속적인 항생제의 사용 및 남용은 제고해야 할 문제로 이미 대두되어 왔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현재 미생물제제(Probiotics)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인체 및 동물체의 장내에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존재하면서 장내의 미생물 균총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미생물 중에는 숙주 동물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진 유산균 등의 유익한 미생물들이 있는가 하면 반대로 숙주에 직접적 또는 잠재적인 유해성을 가지는 대장균, 살모넬라, 포도상구균 등의 미생물들이 또한 포함된다. 인체 및 동물체의 경우 스트레스의 증가, 유해 세균의 감염 등의 외부 환경의 변화에 의해서 장내 미생물의 균총이 파괴될 경우 유해 미생물들의 급격한 성장으로 이어져 숙주동물의 건강상태를 악화시키거나 설사에서부터 심지어는 폐사의 위험으로까지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였을 경우 치료의 목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하게 되나 이러한 항생제는 체외로 완전히 배설이 되지 않고 숙주 내에 잔존하게 되며 지속적인 투여 시 유해 미생물들이 내성을 가지게 되므로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인체 및 동물체와 마찬가지로 곤충인 꿀벌 또한 비슷한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하여 유산균을 생산하는 미생물제제를 이용하여 양봉에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항생제의 대체제 개발이 중요하다.
미생물제제는 인체나 동물체의 장내에 서식하는 유익한 미생물을 분리하여 제제화한 것으로, 호기성균군, 혐기성균군, 유산균, 효모균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주로 유산균들이 주요 균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산균 프로바이오틱스는 항생제 남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유해 미생물의 감염으로 인한 질병을 사전에 억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미생물제제 프로바이오틱스로 다양한 종류의 유산균이 연구되어 왔으며, 특히 꿀벌의 장내 유용균인 비피더스균, 유산간균 및 유산구균을 혼합한 양봉사료 및 그 사용방법이 보고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 제67946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발표된 비피더스균 등을 혼합한 양봉사료를 이용하여 꿀벌의 면역기능을 증진시키는 것보다 꿀벌에 질병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미국부저병의 원인균인 패니바실러스 유충을 억제하는 항균활성을 지닌 신규 미생물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항생제의 대체용으로 꿀벌에게 투여하는 양봉용 사료 첨가제, 양봉 약품 등에 사용하여 미국부저병(American Foulbrood)의 원인균인 패니바실러스 유충(Paenibacillus larvae subsp. larvae)을 억제할 수 있는 내열성, 내산성 미생물,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국부저병(American Foulbrood)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Lactobacillus plantarum YML 001)을 제공한다.
상기 원인균은 패니바실러스 유충(Paenibacillus larvae subsp. larvae)이며,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은 내열성 및 내산성을 가지면서, 효소에 대하여 안정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은 최적온도 30℃-37℃에서 배양될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의 16S rRNA 유전자의 염기 서열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며, 수탁번호 KCTC11627BP 로 기탁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을 함유하는 항균성 미생물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미생물제제는 양봉 사료 첨가제나 양봉 약품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성 미생물제제을 이용한 미국부저병(American Foulbrood)의 방제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미국부저병(American Foulbrood)의 원인균인 패니바실러스 유충을 억제할 수 있는 내열성, 내산성의 신규 미생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을 제공한다.
상기 균주는 패니바실러스 유충을 억제하는 미생물을 탐색한 결과, 얻어진 새로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로서 패니바실러스 유충의 억제 능력이 우수하면서 내열성, 내산성을 지니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이 원인균인 패니바실러스 유충의 생장을 억제하는 억제환의 지름(단위는 mm)은 약 18mm로서, 대조군으로 100ppm 농도의 테트라사이클린 50㎕을 사용한 억제환의 지름(약 17mm)과 유사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이 미국부저병의 원인균의 생장을 억제하기 위한 최적 배양온도는 30-37℃이었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 균주의 상등액은 각종 효소와 고온의 열, pH 변화에 대한 감수성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 상등액의 효소에 대한 감수성 실험은 프로티에이즈-케이(Protease K), 펩신(pepsin), 트립신(trypsin), 알파-아밀레이즈(a-amylase), 리페이즈(lipase) 등의 5종의 효소에 대하여 실행하였으며 효소에 대한 감수성은 매우 적었다.
고온의 열과 pH 변화에 대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 상등액의 감수성 실험은 배양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시간별로 달리 열처리를 하였고, pH는 각기 다른 pH 범위의 버퍼(buffer)를 사용하여 실험하였으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 상등액은 열처리와 pH 변화에 대한 감수성이 매우 적었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의 형태 및 생리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은 그람양성의 세균으로, 호기적인 조건과 혐기적인 조건에서 동시에 성장하며 포자를 형성하지 않고 운동성이 없으며, 세포의 형태는 간균이다. 상기 균주의 성장을 위한 최적온도는 30-37℃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의 16S rRNA 유전자의 염기 서열은 서열번호 1로 기재되며, 16S rDNA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계통분류학적 분석을 통하여 본 발명의 균주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에 속하는 균주로서 99%의 16S rDNA 상동성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의 표준균주에 가장 높은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보여주는 균주로 동정되었다.
따라서, 상기의 결과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의 새로운 균주로 동정하고, 생물자원센터에 2010년 2월 1일자로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TC11627BP).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을 함유하는 미생물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미생물제제는 양봉사료 첨가제 또는 양봉약품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은 장기간 안정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글리세롤 성분을 포함하여 -80℃에 보관하거나 멸균된 10% 탈지유에 현탁하여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을 이용하여 미국부저병의 원인균인 패니바실러스 유충을 억제할 수 있는 미국부저병의 방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제방법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이 패니바실러스 유충을 억제하기 위한 최적 온도는 30-37℃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은 미국 부저병의 원인균인 패니바실러스 유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내열성, 내산성 기능을 가지고 있어 기존 항생제의 잔류, 오염 등의 문제를 대체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생물농약으로서의 고부가가치산물로 경제적 활용성이 증대될 것이다.
또한, 병원성 생물의 증식 억제 효과를 갖는 신기능 프로바이오틱스인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제제를 사용함으로써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고 봉군의 꿀벌의 질병을 치료하거나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산을 생성하는 성질을 가지는 미생물의 분리
대구·경산 일대의 50여 곳에서 채집한 김치 1g을 0.85% 생리식염수(0.85g/100ml)에 십진희석하고 BCP 한천[2.5g 건조 효모 추출물, 5.0g 펩톤, 1.0g 글루코오스, 0.1g L-시스테인, 1.0g 트윈80, 0.04g 브로모크레졸 퍼플(Bromcresol purple: BCP), 15.0g 한천 파우더, pH6.9±, EIKEN CHEMICAL]에 도말하여 30℃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중 산을 생성한 콜로니를 다시 MRS 한천(10g 프로테오스 펩톤 No.3, 10g 쇠고기 추출물, 5g 효모 추출물, 20g 덱스트로오스, 5g 폴리솔베이트80, 5g 초산나트륨, 2g 구연산암모늄, 0.1g MnSO4, 0.05g MnSO4, 2g 제2인산칼륨)을 사용하여 약 1,800 여종의 산 생성균을 순수분리 하였고 보존은 30% 글리세롤(H2O:글리세롤=7:3) 300㎕와 배양액 500㎕를 현탁하여 -70℃에 보존하였다.
<실시예 2> 분리된 미생물의 항균 활성 검토
본 발명에 사용된 미국부저병의 원인균인 패니바실러스 유충은 생물 자원센터에서 분양 받은 균으로, 기탁번호 KCTC3744 균주를 사용하였다.
1% 접종한 패니바실러스 유충을 BHI broth에서 24시간 동안 37℃, 호기적 조건에서 배양하고,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실험에 사용된 분리균은 MRS broth에 48시간 동안 30℃, 호기적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분리균의 배양액은 12,000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상등액과 균체를 분리하였고, 상등액을 항균활성 시험에 사용하였다.
1차 선별 단계로 96-well plate에 BHI broth를 100㎕씩 각 well에 분주하고 패니바실러스 유충 배양액을 50㎕를 분주하였다. 그 위에 분리균의 상등액 50㎕를 처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100ppm 테트라사이클린(Generay Biotech)을 상등액과 동량으로 사용하였다. 테트라사이클린은 내성 균주가 생기기 전까지 양봉 항균제로 사용되었으며 아직도 몇몇 양봉업에서는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패니바실러스 유충은 내성이 생기지 않은 균주이기에 테트라사이클린을 사용하였다.
처리가 끝난 96-well plate를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분광광도계(NanoBometer OPTIZEN 3220UV, Mecasys Co.)를 이용하여 OD 600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1차 시험에서 선발된 후보 균주는 2차 시험으로 페이퍼 디스크 항균활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앞선 시험과 같이 패니바실러스 유충을 BHI broth에서 24시간 동안 37℃, 호기적 조건에서 배양하고, 테스트에 사용된 분리균은 MRS broth에 48시간 동안 30℃, 호기적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패니바실러스 유충 배양액 400㎕을 BHI 한천 배지에 도말하고, 페이퍼 디스크에 분리균의 상등액 500㎕을 10배 농축하여 처리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 100ppm 테트라사이클린(100ppm) 50㎕을 사용하였다. 모든 처리가 끝난 플레이트를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클리어존(clear zone)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상기 분리균 1,800개 중에서 가장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을 YML 001로 명명하였으며, YML 001의 패니바실러스 유충에 대한 억제 활성을 시간별로 측정하기 위하여 3시간 단위로 배양액을 취하여 항균활성 시험을 하였다.
병원균의 생육 억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OD 6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21시간째에 항균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시간(h) OD600nm
0 1.353
3 1.202
6 1.162
9 1.023
12 0.939
15 0.142
18 0.150
21 0.135
24 0.165
27 0.158
30 0.398
33 0.583
36 0.200
48 0.254
테트라사이클린 (100ppm) 0.136
<실시예 3> YML 001 상등액의 효소에 대한 감수성 실험
YML 001 상등액의 효소에 대한 감수성 실험에 사용된 효소의 종류는 프로티에이즈-케이(Protease K), 펩신(pepsin), 트립신(trypsin), 알파-아밀레이즈(a-amylase), 리페이즈(lipase) 등으로 이들을 적절한 용매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준비한 효소를 50㎕씩 10배 농축한 YML 001 상등액 50 ㎕와 혼합하여 각 효소의 반응 온도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효소를 불활성화하기 위하여 100℃에서 10분간 처리를 한 뒤 패니바실러스 유충에 대한 항균활성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시험구 억제환 지름(mm)
Protease K + YML 001 상등액 17
Lipase + YML 001 상등액 16
Trypsin + YML 001 상등액 17
Pepsin + YML 001 상등액 17
α-amylase + YML 001 상등액 18
YML 001 상등액 17
테트라사이클린 (100ppm) 16
<실시예 4> YML 001 상등액의 열, pH 변화에 대한 감수성 실험
10배 농축된 YML 001 상등액을 50℃, 70℃, 100℃의 각 온도에서 10분, 20분, 30분, 60분 / 121℃에서 15분 동안 열처리를 하여 페이퍼 디스크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pH 조정은 각 pH에 해당하는 완충액을 0.2M로 조정해 농축된 상등액에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반응 후 pH 6.5로 조정하여 페이퍼 디스크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처리 온도 / 처리 시간 억제환 지름(mm)
50℃ / 10min 16
50℃ / 20min 17
50℃ / 30min 17
50℃ / 60min 17
70℃ / 10min 19
70℃ / 20min 18
70℃ / 30min 17
70℃ / 60min 18
100℃ / 10min 17
100℃ / 20min 17
100℃ / 30min 17
100℃ / 60min 17
121℃ / 15min 17
무처리구 YML 001 상등액 18
테트라사이클린 (100ppm) 17
pH(buffer) 억제환 지름(mm)
2 (0.2M citrate buffer) 15
3 (0.2M citrate buffer) 15
5 (0.2M acetate buffer) 15
7 (0.2M phosphate buffer) 15
9 (0.2M tris-HCl buffer) 15
11(0.2M sodium carbonate buffer) 13
상등액 원 pH (pH 4.6) 16
테트라사이클린 (100ppm) 16
<실시예 5> 선발한 미생물 YML001의 동정
상기 실시예 2에서 선발된 YML 001 균주를 MRS 배지(Difco사 제품)에서 30℃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YML 001 균주를 동정하기 위하여, 16S rDNA 유전자의 염기서열 결정 및 분석은 1492R과 27F를 프라이머로 사용하였다.
YML001 16S rRNA 유전자의 염기 서열은 서열번호 1로 기재되며, 16S rDNA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계통분류학적 분석을 통하여 본 발명의 균주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에 속하는 균주로서 99%의 16S rDNA 상동성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의 표준균주에 가장 높은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보여주는 균주로 동정되었다.
따라서, 상기의 결과에 기초하여 YML 001은 기존 미생물 제제와는 다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의 균주로 동정하고,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10년 2월 01일자로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TC11627BP).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1627 20100202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eungnam University <120> Lactobacillus plantarum YML 001 against pathogen of American Foulbrood, microbial agent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venting pathogen using the same <130> DP-2010-0065 <160> 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46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YML001 16S rRNA gene <400> 1 tnnnnnngct ngagctatac atgcaagtcg aacgaactct ggtattgatt ggtgcttgca 60 tcatgattta catttgagtg agtggcgaac tggtgagtaa cacgtgggaa acctgcccag 120 aagcggggga taacacctgg aaacagatgc taataccgca taacaacttg gaccgcatgg 180 tccgagcttg aaagatggct tcggctatca cttttggatg gtcccgcggc gtattagcta 240 gatggtgggg taacggctca ccatggcaat gatacgtagc cgacctgaga gggtaatcgg 300 ccacattggg actgagacac ggcccaaact cctacgggag gcagcagtag ggaatcttcc 360 acaatggacg aaagtctgat ggagcaacgc cgcgtgagtg aagaagggtt tcggctcgta 420 aaactctgtt gttaaagaag aacatatctg agagtaactg ttcaggtatt gacggtattt 480 aaccagaaag ccacggctaa ctacgtgcca gcagccgcgg taatacgtag gtggcaagcg 540 ttgtccggat ttattgggcg taaagcgagc gcaggcggtt ttttaagtct gatgtgaaag 600 ccttcggctc aaccgaagaa gtgcatcgga aactgggaaa cttgagtgca gaagaggaca 660 gtggaactcc atgtgtagcg gtgaaatgcg tagatatatg gaagaacacc agtggcgaag 720 gcggctgtct ggtctgtaac tgacgctgag gctcgaaagt atgggtagca aacaggatta 780 gataccctgg tagtccatac cgtaaacgat gaatgctaag tgttggaggg tttccgccct 840 tcagtgctgc agctaacgca ttaagcattc cgcctgggga gtacggccgc aaggctgaaa 900 ctcaaaggaa ttgacggggg cccgcacaag cggtggagca tgggtttaat tcgaagctac 960 gcgaagaacc ttaccaggtc ttgacatact atgcaaatct agagattaga cgttcccttc 1020 ggggacatgg atacaggtgg tgcatggttg tcgtcagctc gtgtcgtgag atgttgggtt 1080 aagtcccgca acgagcgcaa cccttattat cagttgccag cattaagttg ggcactctgg 1140 tgagactgcc ggtgacaaac cggaggaagg tggggatgac gtcaaatcat catgcccctt 1200 atgacctggg ctacacacgt gctacaatgg atggtacaac gagttgcgaa ctcgcgagag 1260 taagctaatc tcttaaagcc attctcagtt cggattgtag gctgcaactc gcctacatga 1320 agtcggaatc gctagtaatc gcggatcagc atgccgcggt gaatacgttc ccgggccttg 1380 tacacaccgc ccgtcacacc atgagagttt gtaacaccca aagtcggtgg ggtaaccttt 1440 taggaaccag cctgcataat ggngaca 1467

Claims (8)

  1. 미국부저병(American Foulbrood)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인균은 패니바실러스 유충(Paenibacillus larvae subsp. larva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은 내열성 및 내산성을 가지면서, 효소에 대하여 안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은 30℃-37℃에서 배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의 16S rRNA 유전자의 염기 서열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은 수탁번호 KCTC11627BP 로 기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을 함유하는 항균성 미생물제제.
  8. 청구항 7에 따른 항균성 미생물제제을 이용한 미국부저병(American Foulbrood)의 방제방법.

KR1020100011690A 2010-02-08 2010-02-08 미국부저병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 상기 미생물을 함유하는 항균성 미생물제제 및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방제방법 KR101658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690A KR101658377B1 (ko) 2010-02-08 2010-02-08 미국부저병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 상기 미생물을 함유하는 항균성 미생물제제 및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690A KR101658377B1 (ko) 2010-02-08 2010-02-08 미국부저병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 상기 미생물을 함유하는 항균성 미생물제제 및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방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177A true KR20110092177A (ko) 2011-08-17
KR101658377B1 KR101658377B1 (ko) 2016-09-21

Family

ID=4492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690A KR101658377B1 (ko) 2010-02-08 2010-02-08 미국부저병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 상기 미생물을 함유하는 항균성 미생물제제 및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3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073B1 (ko) * 2012-01-05 2013-09-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꿀벌 병해충 방제용 조성물
KR101348435B1 (ko) * 2011-12-08 2014-01-0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진균 활성을 가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007 및 이의 용도
US10264795B2 (en) 2015-06-23 2019-04-23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Streptomyces badius SP6C4 strain having antimicirobial activity against insect pathogen or strawberry fungal disease pathogen isolated from strawberry pollen and uses thereof
EP3698643A1 (en) * 2019-02-04 2020-08-26 Pileckas, Juozas The method of health maintaining and treating of the honey bee using herbal additiv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056B1 (ko) 2017-12-13 2019-12-04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231342B1 (ko) 2019-03-26 2021-03-25 주식회사 코젠바이오텍 낭충봉아부패병, 미국부저병 및 유럽부저병 병원체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낭충봉아부패병, 미국부저병 및 유럽부저병 병원체의 검출 방법
KR102191432B1 (ko) 2019-05-23 2020-12-15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유해세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타이완엔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11729B1 (ko) 2019-12-18 2021-10-13 대한민국 유산균에서 분리한 항균 펩타이드 플랜타리신 및 이의 용도
KR102353992B1 (ko) 2020-12-10 2022-01-24 대한민국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nibr k9 균주, 동 균주에서 분리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002A (ko) * 2003-09-05 2005-03-11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유해미생물 억제 활성을 가지는 신규 내산성 락토바실러스루테리 Probio-054 및 이를 함유하는 생균활성제
JP2005132804A (ja) * 2003-10-31 2005-05-26 Jrj Pharmaceutical Co Ltd 抗菌剤
US20060263344A1 (en) * 2003-04-02 2006-11-23 Mitchell Skop Novel probio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WO2008136730A1 (en) * 2007-05-03 2008-11-13 Tobias Olofsson Novel bacteria isolated from fresh honey or the honey producing tract of honey be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3344A1 (en) * 2003-04-02 2006-11-23 Mitchell Skop Novel probio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050025002A (ko) * 2003-09-05 2005-03-11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유해미생물 억제 활성을 가지는 신규 내산성 락토바실러스루테리 Probio-054 및 이를 함유하는 생균활성제
JP2005132804A (ja) * 2003-10-31 2005-05-26 Jrj Pharmaceutical Co Ltd 抗菌剤
WO2008136730A1 (en) * 2007-05-03 2008-11-13 Tobias Olofsson Novel bacteria isolated from fresh honey or the honey producing tract of honey be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435B1 (ko) * 2011-12-08 2014-01-0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진균 활성을 가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007 및 이의 용도
KR101304073B1 (ko) * 2012-01-05 2013-09-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꿀벌 병해충 방제용 조성물
US10264795B2 (en) 2015-06-23 2019-04-23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Streptomyces badius SP6C4 strain having antimicirobial activity against insect pathogen or strawberry fungal disease pathogen isolated from strawberry pollen and uses thereof
EP3698643A1 (en) * 2019-02-04 2020-08-26 Pileckas, Juozas The method of health maintaining and treating of the honey bee using herbal addi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377B1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377B1 (ko) 미국부저병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ml 001, 상기 미생물을 함유하는 항균성 미생물제제 및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방제방법
Li et al. Identific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dete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corn stover silage
Sarika et al. Bacteriocin production by a new isolate of Lactobacillus rhamnosus GP1 under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US8034606B2 (en) Acid tolerant Lactobacillus sakei probio-65 with the ability of growth suppression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and the anti-allergic effect
Latha et al. In vitro probiotic profile based selection of indigenous actinobacterial probiont Streptomyces sp. JD9 for enhanced broiler production
KR20020035415A (ko) 로타바이러스 및 유해 미생물 억제 활성을 가지는 신규내산성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프로바이오-16 및 이를함유하는 생균활성제
WO2014084523A1 (ko) 페디오코코스 액시딜락티시 j9를 함유한 건강보조식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13040390A (zh) 一株益生、耐盐约氏乳杆菌及其在畜禽水产养殖中防治病原菌的应用
KR101345248B1 (ko) 병원성 세균을 저해하는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170050527A (ko) 신선유지를 위한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kf15 및 이의 용도
KR20090105171A (ko) 항균물질을 생산하는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생균제조성물
CN116064324B (zh) 一株鼠李糖乳杆菌及其培养方法和在防治腹泻和肠炎方面的应用
KR20150056208A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sj8256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951273B1 (ko) 가축설사 억제제로써 죽엽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생물활성액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KR101659062B1 (ko) 미국부저병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페디오코커스 파버러스 yml 002, 상기 미생물을 함유하는 항균성 미생물제제 및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방제방법
KR102272419B1 (ko)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cc-45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20133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속 유산균 복합 균주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KR20080051798A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이를 이용한 생균제
Olanrewaju Antagonistic effect of Lactobacillus isolates from Kunnu and Cowmilk on selected pathogenic microorganisms
KR20170068694A (ko) 생균제 기능을 지니는 신규 천연 소독제
KR100513167B1 (ko) 가금티푸스 유발 살모넬라 갈리나룸 및 유해 병원성 미생물 생육 억제능을 갖는 신규 내산성 엔테로코커스 훼칼리스 Probio-053 및 이를 함유한 생균활성제
Mudroňová et al. Selection of probiotic Lactobacilli designed for the prevention of American Foubrood
KR102272415B1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cc-4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howdhury et al.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local milk and milk products
KR20160045278A (ko) 미생물 균주를 이용한 발효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