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861A -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861A
KR20110091861A KR1020117011692A KR20117011692A KR20110091861A KR 20110091861 A KR20110091861 A KR 20110091861A KR 1020117011692 A KR1020117011692 A KR 1020117011692A KR 20117011692 A KR20117011692 A KR 20117011692A KR 20110091861 A KR20110091861 A KR 20110091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composition
mol
fillers
tot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9522B1 (ko
Inventor
마르코 아미치
체사레 주아이타
Original Assignee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filed Critical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Publication of KR20110091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08J5/08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를 함유하고 또한 특성, 특히 기계적 특성과 용융 상태의 고유동성과의 우수한 절충이 이루어진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적어도 고용융성 선형 폴리아미드 및 임의적으로 유리 섬유 등의 충전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POLYAMIDE}
본 발명은 그 특성, 특히 그 기계적 특성과 높은 용융 유동성 간의 우수한 균형을 나타내는 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고유동성 선형 폴리아미드 및 임의적으로 유리 섬유 등의 충전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또한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출 성형, 기체-사출 성형, 압출 및 압출-블로우 성형과 같은 기술로 성형하고자 하는 열가소성 물질의 경우 종종 조절이 요망되는 특성들 중에서, 강성, 충격 강도, 특히 비교적 고온에서의 치수 안정성, 성형 후 낮은 수축성, 다양한 방법에 의한 코팅 능력, 표면 외관 및 밀도를 언급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들은 중합체의 선택을 통해 또는 다양한 속성의 화합물의 중합체를 첨가하는 것을 통해 특정 범위 내로 조절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중합체성 조성물이란 용어가 사용된다. 주어진 용도에 대한 물질의 선택은 특정한 특성과 관련된 성능의 요구 수준 및 그 비용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폴리아미드는 예컨대 특히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다. 언제나 성능 및/또는 비용에 관한 사양을 충족시킬 수 있는 신규 물질을 수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용융 유동성 (가공 시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함) 과 기계적 특성 간의 우수한 균형을 나타내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수득하여, 특히 내충격성을 갖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인은 종래의 폴리아미드 조성물에 비해, 증가된 용융 유동성 및 동등하거나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고 또한 우수한 표면 외관을 갖는 제품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밝혀냈다. 또한, 이들 조성물은 해당 성형 공정에서, 특히 주기 시간이 앞당겨진 사출 성형에서 사용하기 용이한 것으로 보인다.
즉, 본 발명의 과제는 적어도
a) 8000 내지 18,000 g/mol 의 Mn 을 갖는 66 형 (코)폴리아미드 a);
b) (코)폴리아미드 a) 와 (코)폴리아미드 b) 의 배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5 중량% 내지 20 중량% 의 6 형 (코)폴리아미드 b) 로서, 상기 (코)폴리아미드 b) 가 18,000 내지 40,000 g/mol 의 Mn 을 갖는 것; 및
c)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 중량% 내지 90 중량% 의 보강 충전제
를 배합함으로써 수득되는 조성물로서,
상기 (코)폴리아미드 b) 에 대한 (코)폴리아미드 a) 의, 포름산 중에서 표준법 ISO 307 에 따라 측정되는, 용액 중 점도의 비가 0.3 내지 0.8 이고;
상기 조성물이 하기 관계식:
Figure pct00001
[식 중, η 은 275 ℃ 의 온도에서 측정된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겉보기 용융 점도이고; 전단 속도 100 s- 1 에서의 η100, 또는 전단 속도 1000 s- 1 에서의 η1000 이며; X 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보강 충전제의 중량 비율에 해당함]
에 따른 겉보기 용융 점도 (Pa.s) 를 갖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코)폴리아미드 a) 및 b) 만으로 이루어진 폴리아미드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정의
수평균 분자량 Mn 은 하기 식에 따라 정의된다:
Figure pct00002
[식 중, ni 는 상응하는 분자량 Mi 를 갖는 분자의 수임].
절대값 Mn 은 광회절이 연결되어 있는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 에 의해 측정할 수 있거나, "Nylon Plastics Handbook, written by Melvin I. Kohan, Hanser Publisher, 1995, pages 42 et seq., and page 78 et seq." 에 상세한 기재된 절차를 이용한 말단기의 분석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용액 중 점도는, Schott AVS 360 점도계를 이용해, 25 ℃ 의 온도에서, 1 리터 당 5 그램의 농도로 하여, 포름산 용액 중에서, 표준법 ISO 307 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겉보기 용융 점도는 표준법 ISO 11443 에 따라 특히 Gottfert Rheograph 2002 모세관 레오미터를 이용해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경이 12 mm 인 피스톤을 갖는, 길이 30 mm 및 직경 1 mm 인 모세관을 이용하여, 예컨대 각 폴리아미드의 정상 상태 수분 함량과 동일한 잔류 수분 함량을 갖는 시료를 이용해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코)폴리아미드 a) 는 66 형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즉 적어도 아디프산 및 헥사메틸렌디아민 또는 그 염, 예컨대 헥사메틸렌디아민 아디페이트로부터 수득되는 폴리아미드로서, 다른 폴리아미드 단량체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용어 "66 형 (코)폴리아미드" 란 80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의 아디프산 및 헥사메틸렌디아민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코)폴리아미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코)폴리아미드 a) 는 8000 내지 18,000 g/mol,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16,000 g/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00 내지 15,000 g/mol 의 Mn 을 가진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의 중합은 특히 폴리아미드의 중합을 위한 종래의 조작 조건에 따라 연속식 또는 배치식으로 실시된다.
이러한 중합 공정은 간단히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단량체와 다관능성 (i) 및 일관능성 (ii) 화합물과의 배합물을 가압 하에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것,
- 상기 배합물을 소정 기간 동안 가압 및 온도 하에 유지하면서 적당한 장치에 의해 수증기를 제거한 후, 감압하고, 소정 기간 동안 배합물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특히 수증기의 자생 압력 하에, 질소 하에 또는 진공 하에 유지하여, 형성된 물을 제거함으로써 중합을 지속시키는 것.
중합 종료시에, 유리하게는 물을 이용해 중합체를 냉각시키고, 막대 형태로 압출할 수 있다. 이들 막대를 절단하여 과립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라, 폴리아미드는 폴리아미드 66 단량체를, 중합 도중에, 특히 중합 개시 시에, 추가적으로는 이관능성 및/또는 일관능성 화합물이 존재 하에 첨가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들 이관능성 및/또는 일관능성 화합물은 폴리아미드의 단량체와 반응할 수 있는 아민 또는 카르복실산 관능기를 가진다. 이관능성 화합물은 동일한 아민 또는 카르복실산 관능기를 가질 수 있다. 아민 관능기는 1 차 및/또는 2 차 아민 관능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폴리아미드 a) 는 선형 또는 분지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사용되는 이관능성 및/또는 일관능성 화합물은 폴리아미드의 사슬 길이를 변형시키고, 특히 표준법 ISO 1133 에 따라 275 ℃ 의 온도, 325 g 의 하중에서 측정되는 용융 유동 지수가 10 g/10 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g/10 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g/10 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g/10 분인 폴리아미드를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이다.
중합 개시, 도중 또는 종료 시에, 모든 유형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 또는 또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모든 유형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모노아민 또는 디아민 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관능성 화합물로서, 특히 n-도데실아민 및 4-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아세트산, 라우르산, 벤질아민, 벤조산 및 프로피온산을 사용할 수 있다. 이관능성 화합물로서, 특히 아디프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세바크산, 아젤라산, 도데칸이산, 데칸이산, 피멜산, 수베르산, 지방산 이량체, 디(β-에틸카르복시)시클로헥사논, 헥사메틸렌디아민, 5-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메타-자일릴렌디아민, 부탄디아민, 이소포론디아민, 1,4-디아미노시클로헥산 및 3,3',5-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높은 용융 융동성을 갖는 66 형 폴리아미드의 제조에는 과잉의 아디프산 또는 과잉의 헥사메틸렌디아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말단 산기의 비율은 말단 아민기의 비율과 상이하며, 특히 적어도 2 배 많거나 적다. 말단 아민기 (TAG) 및/또는 말단 산기 (TCG) 의 양은 폴리아미드의 용해 후 전위차 시험법으로 구한다.
(코)폴리아미드 b) 는 6 형의, 즉 적어도 카프로락탐으로부터 수득되는 폴리아미드의 열가소성 폴리아미드로서, 임의적으로 다른 폴리아미드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용어 "6 형 (코)폴리아미드 b)" 란 특히 80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의 카프로락탐 단량체 잔기를 포함하는 (코)폴리아미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코)폴리아미드 b) 는 18,000 내지 40,000 g/mol, 바람직하게는 25,000 내지 30,000 g/mol 의 Mn 을 가진다.
(코)폴리아미드 b) 는 특히 중합 도중에, 카프로락탐 이외에, 전술한 이관능성 및/또는 일관능성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폴리아미드 b) 는 선형 또는 분지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코)폴리아미드 b) 에 대한 (코)폴리아미드 a) 의, 포름산 중에서 표준법 ISO 307 에 따라 측정되는, 용액 중 점도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6 이다.
보강 충전제 c) 로서는, 특히 유리 섬유, 탄소 섬유, 천연 섬유 또는 나노튜브와 같은 섬유상 충전제, 및/또는 비-섬유상 충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언급할 수 있다. 천연 섬유로서는, 삼 및 아마를 언급할 수 있다. 비-섬유상 충전제 중에서, 특히 모든 입자상 충전제, 층상 충전제 및/또는 박리성 또는 비박리성 나노충전제, 예컨대 알루미나, 카본 블랙, 점토, 몬모릴로나이트, 지르코늄 포스페이트, 카올린, 탄산칼슘, 규조토, 흑연, 운모, 실리카, 이산화티탄, 제올라이트, 탈크, 규회석, 예를 들어 디메타크릴레이트 입자와 같은 고분자 충전제, 유리 비드 또는 유리 분말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성물이 다양한 유형의 보강 충전제를 포함하는 것이 전적으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충전제는 잘게 절단된 유형의 유리 섬유, 특히 직경이 7 내지 14 ㎛ 인 유리 섬유일 수 있다. 이러한 충전제는 특히 예를 들어 엔진 유체와의 접촉과 같은 임계적 환경 조건 하에서, 섬유와 폴리아미드 매트릭스 간의 기계적 접착을 확보하는 표면 사이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보강 충전제 20 중량% 내지 60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전술한 폴리아미드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지시한 바와 같은 (코)폴리아미드 a) 및 (코)폴리아미드 b) 를 서로 배합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지시한 바와 같은 (코)폴리아미드 a) 및 (코)폴리아미드 b), 및 임의적으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 내지 90 중량% 의 보강 충전제를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후, 상기 배합물을 용융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종래의 열가소성 조성물의 제조와 유사한 방식으로, 전적으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전적으로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각종 화합물의 속성에 따라서 대략 고온에서 및 대략 고전단력으로 실시된다. 상기 화합물은 동시에 또는 연속하여 도입될 수 있다. 물질을 가열하고 전단력을 가하고 운반하는 압출 장치가 통상 사용된다. 이러한 장치는 당업자에게 충분히 공지되어 있다.
제 1 구현예에 따르면, 모든 화합물은 단일 조업 중, 예컨대 압출 조업 중에 용융 배합된다. 예를 들어, 중합체 물질의 과립을 배합하고, 이들을 압출 장치에 도입하여 용융시키고, 이에 크거나 작은 전단 응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최종 조성물을 제조하기 전에, 일부 화합물의 용융되거나 용융되지 않은 예비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압출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경우, 과립 형태로 만들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을 수반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과립을 성형하여 제품을 수득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품은 상기 조성물로 구성된다. 통상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개질된 폴리아미드를 막대의 형태로, 예를 들어 2 축 압출 장치에서 압출하고, 그 막대를 절단하여 과립으로 만든다. 그 다음, 상기에서 생성된 과립을 용융하고, 조성물을 용융된 상태로 성형 장치, 특히 사출-성형 장치에 공급함으로써 성형품을 제조한다.
(코)폴리아미드 a) 및 b) 는 특히 크거나 작은 전단 응력에 의해, 특히 압출기에서 용융 배합된다. (코)폴리아미드 a) 및 b) 는 또한 특히 기계적 배합기에서 냉 배합되어, 동시에 연속하여 용융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 a) 와 b) 의 배합물의 수득되는 최종 폴리아미드 매트릭스는 바람직하게는 9000 내지 25,000 g/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20,000 g/mol 의 Mn 을 가진다.
특히, 하기 관계식:
Figure pct00003
에 따른 겉보기 용융 점도 (Pa.s) 를 갖는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또한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제조에 통용되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윤활제, 난연제, 가소화제, 조핵제, 충격 개질제, 촉매, 광 및/또는 열 안정화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염료, 매티파잉제 (mattifying agent), 성형 보조제 또는 기타 통상적인 첨가제를 언급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 및 첨가제를 개질된 폴리아미드에, 예를 들어 중합 중에 각 충전제 또는 첨가제에 적합한 통상적인 수단을 통해 또는 용융 배합에 의해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예컨대 사출-성형 공정과 같은 임의의 플라스틱 성형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사출-성형 장치에 도입하고, 성형 조업을 실시하는 사출-성형 공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사용은, 자동차 또는 전기 산업용 제품의 제조라는 맥락내에서, 특히 크기가 큰 미세하고/하거나 복잡한 형태를 갖는 부품, 예컨대 자동차 펜더 (fender) 또는 차단기를 성형하는데 있어 특히 유리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원리를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특정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본 발명의 범주는 상기 특정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용어 "및/또는" 은 및, 또는, 그리고 또한 상기 용어와 관련된 요소의 모든 다른 가능한 조합을 의미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세부사항 또는 이점은 하기 실시예에 비추어 보다 명확히 드러날 것이며, 이 실시예는 오직 예시로만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 부분
사용되는 화합물은 하기와 같다:
- PA1: 4.5 g/10 분의 MFI (275 ℃, 325 g 의 하중에서 표준법 ISO 1133 에 따라 측정됨) 및 140 ㎖/g 의 VN (표준법 ISO 307 에 따름) 을 갖는 폴리아미드 66. 하기 말단기의 함량: TAG = 40 meq/㎏, TCG = 70 meq/㎏. Mn = 18,200 g/mol (말단기 값을 기준으로 산출됨).
- PA2: 20 g/10 분의 MFI 및 105 ㎖/g 의 VN 을 갖는 폴리아미드 66. 하기 말단기의 함량: TAG = 37 meq/㎏, TCG = 95 meq/㎏. 중합 개시 시에 아세트산 0.4 mol% 의 첨가에 의해 수득됨. Mn = 12,500 g/mol (말단기 값을 기준으로 산출됨).
- PA3: 7 g/10 분의 MFI 및 150 ㎖/g 의 VN 을 갖는 폴리아미드 6. 하기 말단기의 함량: TAG = 39 meq/kg, TCG = 51 meq/㎏. Mn = 22,200 g/mol (말단기 값을 기준으로 산출됨).
- PA4: 2 g/10 분의 MFI 및 200 ㎖/g 의 VN 을 갖는 폴리아미드 6. 하기 말단기의 함량: TAG = 41 meq/kg, TCG = 40 meq/㎏. Mn = 25,000 g/mol (말단기 값을 기준으로 산출됨).
- 유리 섬유: Vetrotex 995.
- 첨가제: EBS 왁스, 및 Ferroplast 사제의 상품명 54/1033 으로 판매하는 니그로신, 및 또한 CuI 및 KI 안정화제.
Werner and Pfleiderer ZSK 2 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폴리아미드, 30 중량% 의 유리 섬유 및 1.5 중량% 의 첨가제를 용융 배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한다. 압출 조건은 하기와 같다: 온도: 240 내지 280 ℃: 회전 속도: 200 내지 300 rpm, 처리량: 25 내지 60 ㎏/h.
특히, 직경 12 ㎜ 및 속도 (mm/s): 0.01; 0.02; 0.05; 0.1; 0.2; 0.5; 1.0; 2.0; 5.0 의 피스톤을 갖는 30 ㎜ × 1 ㎜ (직경) 의 라운드홀 타입의 모세관, 1000 bar 의 변환기가 장착된 Gottfert Rheograph 2002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건조 과립 상에서 표준법 ISO 11443 에 따라 모세관 레오미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표준법 ISO 3451/1A 에 따라 750 ℃ 에서 30 분 회분 함량을 측정한다.
표준법 ISO 527 에 따라 인장 강도를 측정한다. 표준법 ISO 179/1eU 에 따라 샤르피 비노치 (unnotched) 충격 강도를 측정한다.
나선 시험 (spiral test) 은, 과립을 용융하고, 배럴 온도가 275 ℃, 금형 온도가 80 ℃ 이고 최대 사출 압력이 수압 130 bar (사출 시간 약 0.4 초에 해당함) 인 BM-Biraghi 85T 프레스로, 두께 2 mm 및 폭 4 cm 의 직사각형 단면적을 갖는 나선-형상의 금형에 이를 주입함으로써 조성물의 유동성을 정량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는, 조성물로 정확히 충전된 금형의 길이로서 표현된다.
결과를 표 1 에 언급한다:
Figure pct00004
시험 C1 및 C2 는 비교로써 이용된다.
전혀 예기치 않게, 본 발명에 따른 시험 1 및 2 는 표준 조성물 C1 및 비교 시험 조성물 C2 에 비해 유변학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 간의 훨씬 나아진 균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된다.

Claims (10)

  1. 적어도
    a) 8000 내지 18,000 g/mol 의 Mn 을 갖는 66 형 (코)폴리아미드 a);
    b) (코)폴리아미드 a) 와 (코)폴리아미드 b) 의 배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5 중량% 내지 20 중량% 의 6 형 (코)폴리아미드 b) 로서, 상기 (코)폴리아미드 b) 가 18,000 내지 40,000 g/mol 의 Mn 을 갖는 것; 및
    c)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 중량% 내지 90 중량% 의 보강 충전제
    를 배합함으로써 수득되는 조성물로서,
    상기 (코)폴리아미드 b) 에 대한 (코)폴리아미드 a) 의, 포름산 중에서 표준법 ISO 307 에 따라 측정되는, 용액 중 점도의 비가 0.3 내지 0.8 이고;
    상기 조성물이 하기 관계식:
    Figure pct00005

    [식 중, η 은 275 ℃ 의 온도에서 측정된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겉보기 용융 점도이고; 전단 속도 100 s- 1 에서의 η100, 또는 전단 속도 1000 s- 1 에서의 η1000 이며; X 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보강 충전제의 중량 비율에 해당함]
    에 따른 겉보기 용융 점도 (Pa.s) 를 갖고;
    상기 겉보기 용융 점도는 표준법 ISO 11443 에 따라 측정되는 것인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코)폴리아미드 a) 가 10,000 내지 16,000 g/mol 의 Mn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코)폴리아미드 b) 가 25,000 내지 30,000 g/mol 의 Mn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폴리아미드 b) 에 대한 (코)폴리아미드 a) 의, 포름산 중에서 표준법 ISO 307 에 따라 측정되는, 용액 중 점도의 비가 0.5 내지 0.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 충진제 c) 가, 유리 섬유, 탄소 섬유, 천연 섬유 또는 나노튜브와 같은 섬유상 충전제, 및/또는 알루미나, 카본 블랙, 점토, 몬모릴로나이트, 지르코늄 포스페이트, 카올린, 탄산칼슘, 규조토, 흑연, 운모, 실리카, 이산화티탄, 제올라이트, 탈크, 규회석, 디메타크릴레이트 입자와 같은 고분자성 충전제, 유리 비드 또는 유리 분말과 같은 입자상 충전제, 층상 충전제 및/또는 박리성 또는 비박리성 나노충전제와 같은 비-섬유상 충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20 중량% 내지 60 중량% 의 보강 충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또한 윤활제, 난연제, 가소화제, 조핵제, 충격 개질제, 촉매, 광 안정화제 및/또는 열 안정화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염료, 매티파잉제 (mattifying agent) 및 성형 보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a) 와 b) 의 배합물의 수득되는 최종 폴리아미드 매트릭스가 9000 내지 25,000 g/mol 의 Mn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적어도 (코)폴리아미드 a) 및 (코)폴리아미드 b) 를 배합하는 것에 의한,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성형에 의해 수득되는 제품.
KR1020117011692A 2008-11-24 2009-11-24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KR101289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06578A FR2938846B1 (fr) 2008-11-24 2008-11-24 Composition polymere thermoplastique a base de polyamide
FR08/06578 2008-11-24
PCT/EP2009/065726 WO2010058024A1 (fr) 2008-11-24 2009-11-24 Composition polymere thermoplastique a base de polyam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861A true KR20110091861A (ko) 2011-08-16
KR101289522B1 KR101289522B1 (ko) 2013-07-24

Family

ID=40789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692A KR101289522B1 (ko) 2008-11-24 2009-11-24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56958B2 (ko)
EP (1) EP2350194B1 (ko)
KR (1) KR101289522B1 (ko)
CN (1) CN102224201B (ko)
BR (1) BRPI0916108B1 (ko)
FR (1) FR2938846B1 (ko)
WO (1) WO2010058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6643B (zh) * 2012-03-16 2015-04-08 苏州旭光聚合物有限公司 一种尼龙弹性体及其制备方法
US20140051795A1 (en) * 2012-08-17 2014-02-20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High impact long fiber reinforced polyamide composition
EP2716716B1 (de) * 2012-10-02 2018-04-18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n und deren Verwendung bei de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CN103980700A (zh) * 2014-06-09 2014-08-13 惠州市华聚塑化科技有限公司 一种抗静电无卤阻燃尼龙工程塑料及其制备方法
FR3041354B1 (fr) * 2015-09-22 2019-04-19 Arkema France Utilisation d'un prepolymere dans des compositions thermoplastiques transparentes, compositions les comprenant et leurs utilisations
CN109661554B (zh) 2016-08-08 2021-05-11 提克纳有限责任公司 用于散热器的导热聚合物组合物
CN110050032B (zh) * 2016-12-08 2022-06-28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热塑性组合物、由其制成的模塑部件及其在汽车和电子电气应用中的用途
WO2019125379A1 (en) * 2017-12-18 2019-06-27 Invista North America S.A R.L. Glass fiber-filled polyamide
RU2641931C1 (ru) * 2016-12-20 2018-01-2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лгогра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ВолгГТУ) Фторсодержащая полиам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 пониженной горючестью
JPWO2019203108A1 (ja) * 2018-04-16 2021-05-13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摺動部品
CN113652157A (zh) * 2021-08-24 2021-11-16 东莞市巴德迩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耐磨的聚氨酯水性涂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2819A (en) * 1976-09-07 1977-12-13 Emery Industries, Inc. Polyamide blends having improved processing characteristics
DE3826950A1 (de) * 1988-08-09 1990-02-22 Basf Ag Polyamid-formmassen
KR20010034207A (ko) * 1998-01-16 2001-04-25 크리스 로저 에이치 드라이크리닝 방법 및 그 방법의 실시에 사용되는플라스틱 백
FR2779730B1 (fr) 1998-06-11 2004-07-16 Nyltech Italia Polyamides a fluidite elevee, son procede de fabrication, compositions comprenant ce copolyamide
JP2007106828A (ja) * 2005-10-12 2007-04-26 Piolax Inc 配管用樹脂チューブ
DE502005001078D1 (de) * 2005-11-18 2007-08-30 Ems Chemie Ag Verstärkte Polyamidformmassen
WO2007113262A1 (fr) * 2006-03-31 2007-10-11 Rhodia Operations Polyamide de haute fluidité
CN100467540C (zh) * 2006-12-29 2009-03-11 深圳市科聚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光表面级尼龙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
CN101230192B (zh) * 2007-01-26 2011-06-22 南京聚隆科技股份有限公司 高流动性玻璃纤维增强聚酰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R2913023B1 (fr) * 2007-02-23 2009-04-10 Rhodia Operations Sas Composition polymere thermoplastique a base de polyam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36103A1 (en) 2012-05-31
US9156958B2 (en) 2015-10-13
EP2350194B1 (fr) 2018-07-04
EP2350194A1 (fr) 2011-08-03
BRPI0916108A2 (pt) 2015-11-03
BRPI0916108B1 (pt) 2019-08-20
FR2938846B1 (fr) 2012-12-07
CN102224201A (zh) 2011-10-19
WO2010058024A1 (fr) 2010-05-27
FR2938846A1 (fr) 2010-05-28
KR101289522B1 (ko) 2013-07-24
CN102224201B (zh)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522B1 (ko)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KR101218475B1 (ko)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JP5596157B2 (ja) 高流動性ポリアミド
CN104629353B (zh) 对热和光稳定的聚酰胺组合物
KR102031756B1 (ko)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1010 및 폴리아미드 101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폴리아미드, 및 폴리아미드 66을 포함하는 조성물
JP5086333B2 (ja) 高流動性ポリアミド
JP2011504941A (ja) フローインデックスの高いポリアミド
US20030158308A1 (en) Polymide molding compositions containing prepolymeric polyamides, a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use thereof
EP1563009A1 (de) Polyamidformmasse, daraus herstellbare formteile und deren verwendung
CN101421336A (zh) 高流动性聚酰胺
KR101984537B1 (ko) 기계적 특성, 표면 광택성 및 장기 내열성이 개선된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US7402218B2 (en) Process for the welding of two polyamide parts
BR112020008039A2 (pt) estabilizador melhorado para poliamidas
JPH11293105A (ja) 摩擦溶着成形品用ポリアミド組成物およびポリアミド成形品
JP2604462B2 (ja) 樹脂組成物
JPH11241020A (ja) 耐熱性樹脂組成物
KR20220144945A (ko) 선형 고분자를 포함하는 유동성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여 유동성이 향상된 고분자 조성물
JPS635146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