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287A - 상하 조립식 레저보트 - Google Patents

상하 조립식 레저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0287A
KR20110090287A KR1020100009981A KR20100009981A KR20110090287A KR 20110090287 A KR20110090287 A KR 20110090287A KR 1020100009981 A KR1020100009981 A KR 1020100009981A KR 20100009981 A KR20100009981 A KR 20100009981A KR 20110090287 A KR20110090287 A KR 20110090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cylinder
buoyancy
cylinder
hull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국
김인수
Original Assignee
김성국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국, 김인수 filed Critical 김성국
Priority to KR1020100009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0287A/ko
Publication of KR20110090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2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 B63B7/04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sectional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부력통을 상하로 조립하는 조립식 레저보트에 있어서: 상면 가장자리에 플랜지(12)를 지닌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2)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체결홈(13)을 구비하는 상부부력통(11)과, 상기 상부부력통(11)의 하부에 연결되어 하면에 고정홈(16)을 구비하는 하부부력통(15)으로 이루어진 선체부력통(10); 상기 선체부력통(10)의 상부부력통(11)과 하부부력통(15)의 각각 맞닿는 부분을 결합하여 좌우방향으로 이탈을 방지하는 요철부(20); 및 상기 선체부력통(10)을 종방향으로 감싸 연결하도록 상부부력통(11)의 체결홈(13)과 하부부력통(15)의 고정홈(16)을 연결하여 결합되는 연결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하 조립식 레저보트는 여러 개의 부력통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고, 상하로 형성되는 여러 개의 부력통으로 인해 파손시 침수의 위험을 줄임과 동시에 하부부력통 상에 물주입구를 구비하여 흘수를 조정하거나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안전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하 조립식 레저보트{A leisure Boat of prefabricated}
본 발명은 상하 조립식 레저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러 개의 부력통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고, 상하로 형성되는 여러 개의 부력통으로 인해 파손시 침수의 위험을 줄임과 동시에 하부부력통 상에 물주입구를 구비하여 흘수를 조정하거나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안전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상하 조립식 레저보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레저 인구의 증가에 따라 강, 호수, 또는 바다와 같은 수상에서 수상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이에 따라 수상에서 사용되는 스포츠가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수상 레저 스포츠로는 윈드써핑, 조정경기, 카누, 수상스키, 래프팅, 요트, 모터보트, 제트스키, 바나나보트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중에는 가족 또는 회사나 동호회에서 친목 및 단합 또는 여가시간을 즐기기 위하여 보트를 레저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보트는 일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을 한 후 정박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트를 다시 운반하여야 되는데 이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트레일러가 반드시 필요하였기 때문에 운반 및 휴대가 불편하고, 그에 따른 비용도 부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운반 및 휴대가 용이한 조립식 보트를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0428743호에 의하면 『선수부재, 연결부재, 선미부재로 분할 형성되어 이들이 각 부재에 형성된 연결봉 삽입공으로 끼워지는 연결봉에 의해 상호 조립되는 조립식 보트에 있어서, 선수부재 및 선미부재의 내부에 수납을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선수부재 및 선미부재의 상면에는 연결봉 삽입공을 노출시키기 위한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봉은 복수개로 분할 형성하여 상호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트가 개시된다.
다른 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0538706호에 의하면 『결합 가능한 다수 개의 분체로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외부를 감싸며 고정하는 외장부; 및 상기 외장부의 내부면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며 공기가 주입되면 부피 팽창을 하는 에어튜브;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외장부는,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상기 분체들을 수용하는 개구부가 마련된 자루 형상이고, 방수코팅 처리가 된 강화섬유로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 둘레의 소정의 위치에서 연장되어 대면하는 둘레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호 결합되는 상기 분체의 일측에는 상향 경사면과 하향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볼록단부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다른 분체의 일측에는 상기 볼록단부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단부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호 결합되는 상기 분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볼록단부면 또는 오목단부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부; 및 이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다른 분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부를 수용하는 돌기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트가 개시된다.
이러한, 조립식 보트는 횡방향으로 각각 분리되도록 형성하여 분리됨으로 인해 운반을 고려하여 형성하였지만, 보트가 충격으로 일부 파손될 경우 조립식 보트가 침몰되거나 파손된 부분으로 인해 선체가 비스듬하게 기울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는 폐단이 따랐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428743호 “조립식 보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538706호 “조립식 보트”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 개의 부력통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고, 상하로 형성되는 여러 개의 부력통으로 인해 파손시 침수의 위험을 줄임과 동시에 하부부력통 상에 물주입구를 구비하여 흘수를 조정하거나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안전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상하 조립식 레저보트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부력통을 상하로 조립하는 조립식 레저보트에 있어서: 상면 가장자리에 플랜지를 지닌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체결홈을 구비하는 상부부력통과 상기 상부부력통의 하부에 연결되어 하면에 고정홈을 구비하는 하부부력통으로 이루어진 선체부력통; 상기 선체부력통의 상부부력통과 하부부력통의 각각 맞닿는 부분을 결합하여 좌우방향으로 이탈을 방지하는 요철부; 및 상기 선체부력통을 종방향으로 감싸 연결하도록 상부부력통의 체결홈과 하부부력통의 고정홈을 연결하여 결합되는 연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선체부력통은 상부부력통과 하부부력통의 사이에 보조부력통을 더 구비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부부력통과 보조부력통은 일측에 물을 주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물주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하 조립식 레저보트는 여러 개의 부력통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고, 상하로 형성되는 여러 개의 부력통으로 인해 파손시 침수의 위험을 줄임과 동시에 하부부력통 상에 물주입구를 구비하여 흘수를 조정하거나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안전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레저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레저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레저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레저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레저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하나이상의 부력통을 상하로 조립하는 조립식 레저보트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 선체부력통(10), 요철부(20), 연결대(3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체부력통(10)은 상면 가장자리에 플랜지(12)를 지닌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2)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체결홈(13)을 구비하는 상부부력통(11)과 상기 상부부력통(11)의 하부에 연결되어 하면에 고정홈(16)을 구비하는 하부부력통(15)으로 이루어진다. 선체부력통(10)은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력통(11)과 하부부력통(15)으로 나뉘게 된다. 상부부력통(11)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플랜지(12)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12)의 양측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바, 선체부력통(10)의 선두(先頭)와 선미(船尾)상에 서로 대응되게 체결홈(13)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공기가 충만될 수 있도록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부력통(11)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부력통(15)을 구비하는 바, 하부부력통(15)은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에 형성되는 고정홈(16)을 구비하여 후술하는 연결대(30)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하부부력통(15)의 상면은 상부부력통(11)의 하면을 감싸도록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며 상술한 상부부력통(11)과 동일하게 내부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하부부력통(15)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물주입구(50)를 형성하여 보트의 흘수(DRAFT)를 조절하거나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요철부(20)는 상기 선체부력통(10)의 상부부력통(11)과 하부부력통(15)의 각각 맞닿는 부분을 결합하여 좌우방향으로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 요철부(20)은 선체부력통(10)의 상부부력통(11)과 하부부력통(15)의 맞닿는 부분에 각각 대응되도록 요철부를 형성하여 이탈을 방지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부력통(10)의 상부부력통(11)의 하면과 하부부력통(15)의 상면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요철부를 형성하게 된다. 요철부는 사각이나 반원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며 하부부력통(15)상에 상부부력통(11)이 안착하여 좌우방향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연결대(30)는 상기 선체부력통(10)을 종방향으로 감싸 연결하도록 상부부력통(11)의 체결홈(13)과 하부부력통(15)의 고정홈(16)을 연결하여 결합한다. 연결대(30)는 선체부력통(10)의 상부부력통(11)과 하부부력통(15)을 연결하여 전후 상하방향으로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고정구(31)를 구비한다. 이러한, 고정구(31)는 상부부력통(11)의 체결홈(13)상에 삽입하여 너트(14)로 체결하며, 하부부력통(15)의 하면에 형성되는 고정홈(16)을 감싸 고정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레저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선체부력통(10)은 상부부력통(11)과 하부부력통(15)의 사이에 보조부력통(40)을 더 구비하여 연결한다. 보조부력통(40)은 선체부력통(10)의 상부부력통(11)과 하부부력통(15)의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하는 바, 이는 바다 또는 강의 수심을 고려하여 추가로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부력통(40)은 상술한 요철부(20)가 부가된다. 상술한 상부부력통(11)은 하면에만 요철부를 형성하고, 하부부력통(15)은 상면에만 요철부를 형성하는 반면 상기 보조부력통(40)은 상면과 하면에 요철부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부력통(15)과 보조부력통(40)은 일측에 물을 주입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물주입구(50)를 더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부력통(15)의 일측에 물주입구(50)를 구비하지만, 보조부력통(40) 역시 물주입구(50)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물주입구(50)는 물 등을 주입하여 보트의 흘수를 조절하거나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러 개의 부력통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고, 상하로 형성되는 여러 개의 부력통으로 인해 파손시 침수의 위험을 줄임과 동시에 하부부력통 상에 물주입구를 구비하여 흘수를 조정하거나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안전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선체부력통 11: 상부부력통
12: 플랜지 13: 체결홈
14: 너트 15: 하부부력통
16: 고정홈 20: 요철부
30: 연결대 31: 고정구
40: 보조부력통 50: 물주입구

Claims (3)

  1. 하나 이상의 부력통을 상하로 조립하는 조립식 레저보트에 있어서:
    상면 가장자리에 플랜지(12)를 지닌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2)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체결홈(13)을 구비하는 상부부력통(11)과, 상기 상부부력통(11)의 하부에 연결되어 하면에 고정홈(16)을 구비하는 하부부력통(15)으로 이루어진 선체부력통(10);
    상기 선체부력통(10)의 상부부력통(11)과 하부부력통(15)의 각각 맞닿는 부분을 결합하여 좌우방향으로 이탈을 방지하는 요철부(20); 및
    상기 선체부력통(10)을 종방향으로 감싸 연결하도록 상부부력통(11)의 체결홈(13)과 하부부력통(15)의 고정홈(16)을 연결하여 결합되는 연결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조립식 레저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부력통(10)은 상부부력통(11)과 하부부력통(15)의 사이에 보조부력통(40)을 더 구비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조립식 레저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력통(15)과 보조부력통(40)은 일측에 물을 주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물주입구(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조립식 레저보트.
KR1020100009981A 2010-02-03 2010-02-03 상하 조립식 레저보트 KR20110090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981A KR20110090287A (ko) 2010-02-03 2010-02-03 상하 조립식 레저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981A KR20110090287A (ko) 2010-02-03 2010-02-03 상하 조립식 레저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287A true KR20110090287A (ko) 2011-08-10

Family

ID=4492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981A KR20110090287A (ko) 2010-02-03 2010-02-03 상하 조립식 레저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02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8167A1 (de) * 2016-09-29 2018-04-05 Martin Mai Boot
KR102007903B1 (ko) * 2018-01-31 2019-08-06 주식회사 지콥 학습용 모형선박 툴킷
KR20200074380A (ko) * 2018-12-14 2020-06-25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현측 구조가 개선된 고속단정용 튜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8167A1 (de) * 2016-09-29 2018-04-05 Martin Mai Boot
KR102007903B1 (ko) * 2018-01-31 2019-08-06 주식회사 지콥 학습용 모형선박 툴킷
KR20200074380A (ko) * 2018-12-14 2020-06-25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현측 구조가 개선된 고속단정용 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8336B1 (en) Watercraft propulsion system
US8739724B2 (en) Inflatable dry-dock
KR20110090287A (ko) 상하 조립식 레저보트
KR101807958B1 (ko) 동체 연결 관절을 구비하는 선박
KR100971085B1 (ko) 조립식 레저보트
US4779556A (en) Boat with sectional hull assembly held by geodetically oriented tendons
KR101487943B1 (ko) 쓰러스터 보호 장치
US20240149990A1 (en) Rolling reduction boat
US6860223B2 (en) Self-propelled personal watercraft
JP2013237425A (ja) 開閉ボート
KR20130002508A (ko) 선미 피크 탱크의 구조
CN108883812B (zh) 具有遮蔽系统的透明可调节的皮艇
TWI630147B (zh) 滑行式船舶中的防搖晃裝置及其製造方法
US20020038623A1 (en) Garage and swimming area for yachts, trawlers and the like
US2770817A (en) Water craft
KR20160004321U (ko) 데크하우스의 교체가 용이한 다목적 폰툰보트
US9598145B1 (en) Inflatable drift boat
WO2010034754A1 (fr) Système de protection pour la baignade en pleine eau
KR100807087B1 (ko) 푸쉬형 보조부력 착탈장치가 구비된 선박
KR101814182B1 (ko) 레저용 조립식 보트
KR20160069683A (ko) 콤비보트 및 그 제작 방법
US9540073B1 (en) Lightweight personal watercraft
KR200360102Y1 (ko) 튜브 결합이 용이한 보트
US20230144630A1 (en) Paddlecraft and Method of Making Same
JP3114619U (ja) サイドフロ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